KR102300418B1 - 복수의 이미지들에 포함된 여백을 고려하여 이미지 간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이미지들에 포함된 여백을 고려하여 이미지 간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0418B1 KR102300418B1 KR1020190057383A KR20190057383A KR102300418B1 KR 102300418 B1 KR102300418 B1 KR 102300418B1 KR 1020190057383 A KR1020190057383 A KR 1020190057383A KR 20190057383 A KR20190057383 A KR 20190057383A KR 102300418 B1 KR102300418 B1 KR 1023004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area
- images
- point
- adjac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238097 Callinectes sapid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23 data manag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26 mechanical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89—Automatic just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이미지들에 포함된 여백을 고려하여 이미지 간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이미지들에 포함된 여백을 고려하여 이미지 간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11: 배경 색상 값 추출부 112: 제1 여백 판단부
113: 제2 여백 판단부 114: 제1 사각 영역 생성부
115: 제2 사각 영역 생성부 116: 가로 가이드선 표시부
117: 세로 가이드선 표시부
Claims (12)
- 전자 문서에 복수 개의 이미지들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1 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이미지의 좌측 또는 우측의 기설정된(predetermined) 제1 인접 영역 - 상기 제1 인접 영역은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좌측으로 인접한 상기 제1 이미지의 면적에 해당하는 영역과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우측으로 인접한 상기 제1 이미지의 면적에 해당하는 영역을 의미함 - 에 제2 이미지를 위치시키라는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 문서의 배경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픽셀(pixel)들의 제1 색상 값을 추출하는 배경 색상 값 추출부;
상기 제1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의 색상 값들을 추출한 후, 추출된 상기 제1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의 색상 값들 중 상기 제1 색상 값과 동일한 색상 값을 갖는 픽셀들로 구성되는 영역을 제1 여백으로 판단하는 제1 여백 판단부;
상기 제2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의 색상 값들을 추출한 후, 추출된 상기 제2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의 색상 값들 중 상기 제1 색상 값과 동일한 색상 값을 갖는 픽셀들로 구성되는 영역을 제2 여백으로 판단하는 제2 여백 판단부;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여백을 제외한 제1 나머지 영역의 최상단지점, 최하단지점, 최좌측지점 및 최우측지점을 지나는 직선의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나머지 영역의 전체 외곽을 둘러싸는 가상의 제1 사각 영역을 생성하는 제1 사각 영역 생성부;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여백을 제외한 제2 나머지 영역의 최상단지점, 최하단지점, 최좌측지점 및 최우측지점을 지나는 직선의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나머지 영역의 전체 외곽을 둘러싸는 가상의 제2 사각 영역을 생성하는 제2 사각 영역 생성부;
상기 제1 인접 영역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위치시키라는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인접 영역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위치시키는 중, 상기 제1 사각 영역의 세로 길이의 중간 점을 지나는 가로 직선과 상기 제2 사각 영역의 세로 길이의 중간 점을 지나는 가로 직선이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는 가로 선을 이미지 정렬을 위한 가로 가이드선으로 표시하는 가로 가이드선 표시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이미지의 위쪽 또는 아래쪽의 기설정된 제2 인접 영역 - 상기 제2 인접 영역은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위쪽으로 인접한 상기 제1 이미지의 면적에 해당하는 영역과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아래쪽으로 인접한 상기 제1 이미지의 면적에 해당하는 영역을 의미함 - 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위치시키라는 명령이 재수신되면, 상기 제2 인접 영역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위치시키라는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인접 영역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위치시키는 중, 상기 제1 사각 영역의 가로 길이의 중간 점을 지나는 세로 직선과 상기 제2 사각 영역의 가로 길이의 중간 점을 지나는 세로 직선이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는 세로 선을 이미지 정렬을 위한 세로 가이드선으로 표시하는 세로 가이드선 표시부
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들에 포함된 여백을 고려하여 이미지 간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각 영역 생성부는
상기 제1 여백을 포함한 이미지 간 정렬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1 정렬 기준이 사전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최상단지점, 최하단지점, 최좌측지점 및 최우측지점을 지나는 직선의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이미지의 전체 외곽을 둘러싸는 가상의 제1 사각 영역을 생성하는 복수의 이미지들에 포함된 여백을 고려하여 이미지 간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각 영역 생성부는
상기 제2 여백을 포함한 이미지 간 정렬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2 정렬 기준이 사전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이미지의 최상단지점, 최하단지점, 최좌측지점 및 최우측지점을 지나는 직선의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이미지의 전체 외곽을 둘러싸는 가상의 제2 사각 영역을 생성하는 복수의 이미지들에 포함된 여백을 고려하여 이미지 간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 - 전자 문서에 복수 개의 이미지들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1 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이미지의 좌측 또는 우측의 기설정된(predetermined) 제1 인접 영역 - 상기 제1 인접 영역은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좌측으로 인접한 상기 제1 이미지의 면적에 해당하는 영역과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우측으로 인접한 상기 제1 이미지의 면적에 해당하는 영역을 의미함 - 에 제2 이미지를 위치시키라는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 문서의 배경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픽셀(pixel)들의 제1 색상 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의 색상 값들을 추출한 후, 추출된 상기 제1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의 색상 값들 중 상기 제1 색상 값과 동일한 색상 값을 갖는 픽셀들로 구성되는 영역을 제1 여백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의 색상 값들을 추출한 후, 추출된 상기 제2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의 색상 값들 중 상기 제1 색상 값과 동일한 색상 값을 갖는 픽셀들로 구성되는 영역을 제2 여백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1 여백을 제외한 제1 나머지 영역의 최상단지점, 최하단지점, 최좌측지점 및 최우측지점을 지나는 직선의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나머지 영역의 전체 외곽을 둘러싸는 가상의 제1 사각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여백을 제외한 제2 나머지 영역의 최상단지점, 최하단지점, 최좌측지점 및 최우측지점을 지나는 직선의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나머지 영역의 전체 외곽을 둘러싸는 가상의 제2 사각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인접 영역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위치시키라는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인접 영역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위치시키는 중, 상기 제1 사각 영역의 세로 길이의 중간 점을 지나는 가로 직선과 상기 제2 사각 영역의 세로 길이의 중간 점을 지나는 가로 직선이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는 가로 선을 이미지 정렬을 위한 가로 가이드선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이미지의 위쪽 또는 아래쪽의 기설정된 제2 인접 영역 - 상기 제2 인접 영역은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위쪽으로 인접한 상기 제1 이미지의 면적에 해당하는 영역과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아래쪽으로 인접한 상기 제1 이미지의 면적에 해당하는 영역을 의미함 - 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위치시키라는 명령이 재수신되면, 상기 제2 인접 영역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위치시키라는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인접 영역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위치시키는 중, 상기 제1 사각 영역의 가로 길이의 중간 점을 지나는 세로 직선과 상기 제2 사각 영역의 가로 길이의 중간 점을 지나는 세로 직선이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는 세로 선을 이미지 정렬을 위한 세로 가이드선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들에 포함된 여백을 고려하여 이미지 간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삭제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제1 사각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여백을 포함한 이미지 간 정렬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1 정렬 기준이 사전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의 최상단지점, 최하단지점, 최좌측지점 및 최우측지점을 지나는 직선의 연결을 통해 상기 제1 이미지의 전체 외곽을 둘러싸는 가상의 제1 사각 영역을 생성하는 복수의 이미지들에 포함된 여백을 고려하여 이미지 간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제2 사각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여백을 포함한 이미지 간 정렬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2 정렬 기준이 사전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이미지의 최상단지점, 최하단지점, 최좌측지점 및 최우측지점을 지나는 직선의 연결을 통해 상기 제2 이미지의 전체 외곽을 둘러싸는 가상의 제2 사각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미지들에 포함된 여백을 고려하여 이미지 간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제6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제6항,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7383A KR102300418B1 (ko) | 2019-05-16 | 2019-05-16 | 복수의 이미지들에 포함된 여백을 고려하여 이미지 간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7383A KR102300418B1 (ko) | 2019-05-16 | 2019-05-16 | 복수의 이미지들에 포함된 여백을 고려하여 이미지 간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2221A KR20200132221A (ko) | 2020-11-25 |
KR102300418B1 true KR102300418B1 (ko) | 2021-09-09 |
Family
ID=73645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7383A KR102300418B1 (ko) | 2019-05-16 | 2019-05-16 | 복수의 이미지들에 포함된 여백을 고려하여 이미지 간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0418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4369B1 (ko) * | 2016-03-04 | 2019-01-03 | 네이버 주식회사 | 자동 여백 생성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14228B2 (en) * | 2014-05-23 | 2022-11-29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Guides on a content generation system |
-
2019
- 2019-05-16 KR KR1020190057383A patent/KR1023004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4369B1 (ko) * | 2016-03-04 | 2019-01-03 | 네이버 주식회사 | 자동 여백 생성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2221A (ko) | 2020-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66390B2 (en) | Figure sizing and positioning on dynamic pages | |
US2012013365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ctionary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 |
KR102227523B1 (ko) | 만화 컨텐츠의 재배치 방법 | |
KR20160106970A (ko) | 디지털 사이니지의 최적 템플릿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 |
KR102187550B1 (ko) | 문서에 삽입되는 ole 개체에 대한 요약된 미리보기 화면을 생성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JP2012133661A (ja) | ビューワ装置、閲覧システム、ビューワ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KR102187540B1 (ko) | 문서 상에서 겹쳐진 개체에 대한 손쉬운 편집을 지원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119730B1 (ko) | 전자 문서에 적용 가능한 템플릿을 이미지로부터 추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102300418B1 (ko) | 복수의 이미지들에 포함된 여백을 고려하여 이미지 간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JP4830763B2 (ja) |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
KR102010522B1 (ko) | 공동 편집 대상 문서 상에서 편집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저의 이름 표시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300417B1 (ko) | 전자 문서에 삽입된 차트 이미지에서 차트 영역과 범례 영역에 대한 자동 매칭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20150277747A1 (en) | Touch Page Control Method and System | |
KR102067504B1 (ko) | 임시 머리글의 생성을 통해 자동필터 기능을 실행하는 스프레드시트 문서 편집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JP2018067298A (ja) | 手書き内容編集装置および手書き内容編集方法 | |
KR102045748B1 (ko) | Vr 기반의 프레젠테이션 문서의 출력이 가능한 hmd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00051169A (ko) | 전자 문서에 삽입된 개체에 대한 손쉬운 선택 및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466718B1 (ko) | 프레젠테이션 문서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에 녹화 영상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417764B1 (ko) | 전자 문서에 삽입된 개체들 중 타겟하는 개체의 손쉬운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1447555B1 (ko) | 표 입력 제어 기반의 전자 문서 편집 장치 및 방법 | |
KR102076561B1 (ko) | 전자 문서 내에 포함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102566908B1 (ko) | 프레젠테이션 문서를 구성하는 페이지에 개체 가이드 틀을 생성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20240202429A1 (en) |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editing pdf files | |
US20170147537A1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producing a document defined in a page description language | |
KR102300434B1 (ko) | 프레젠테이션 문서의 슬라이드 쇼 화면에서 슬라이드 영역을 벗어난 개체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1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