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353B1 -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353B1
KR102300353B1 KR1020210006993A KR20210006993A KR102300353B1 KR 102300353 B1 KR102300353 B1 KR 102300353B1 KR 1020210006993 A KR1020210006993 A KR 1020210006993A KR 20210006993 A KR20210006993 A KR 20210006993A KR 102300353 B1 KR102300353 B1 KR 102300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hydraulic pressure
unit
supply uni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주식회사 제이엠모터스펌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주식회사 제이엠모터스펌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하이텍
Priority to KR1020210006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내에서 발생한 화재를 유압으로 진압하는 장치로서, 상기 열차 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소화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분사노즐을 통해서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유닛; 상기 소화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소화유닛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제공유닛; 상기 소화유닛과 상기 유압제공유닛을 소통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배관; 및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상기 소화유닛과 유압제공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소화유닛과 유압제공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Railroad Vehicle Cylinder Type Fire Suppression Device}
본 발명은 열차내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방식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매우 미세한 분무를 사용하여 소화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 소화 유체, 예를 들면 물 또는 첨가제가 혼합된 물과 같은 소화 유체가 고압 하에서 소화 분무 노즐로부터 방출된다.
100 바(bar) 이상의 압력에 의해 소화 분무 노즐은 미세하게 분산되고 소화 분무를 생성하고, 생성된 소화 분무는 화원(fire source)을 충분히 냉각하고 그에 따라 성공적으로 소화하므로 양호한 소화성을 가진다.
그러나, 그러한 소화 분무에 의하여 모든 화원이 성공적으로 소화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밝혀졌다. 예를 들면, 접근이 어려운 구석부가 있는 영역에 발생된 화재와 소규모 화재는 소화 분무보다는 소화 가스에 의해 더 잘 진압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로는 소화될 전체 영역의 주된 구역에는 액상 분무를 분사하고, 소화될 영역의 일부 구역 내에는 국소적으로 액상 분무를 분사함과 더불어 가스를 분사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전체 용적에서 가스가 분사되는 구역의 용적은 작은 범위로 한정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소화 유체와 소화 가스의 혼합이 방지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공지의 장치를 통해서는, 소화 가스만이 사용되어야 할 민감한 영역에 소화 유체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없다. 또한, 소화 유체만으로 소화되어야할 영역에 소화 가스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없다. 공지된 밸브 장치는 소화 분무 또는 소화 가스에 대한 선택적인 가압에 적합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243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압을 이용하여 소화수를 분사하는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압이나 소화수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기능이 구비된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열차 내에서 발생한 화재를 유압으로 진압하는 장치로서, 상기 열차 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소화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분사노즐을 통해서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유닛; 상기 소화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소화유닛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제공유닛; 상기 소화유닛과 상기 유압제공유닛을 소통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배관; 및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상기 소화유닛과 유압제공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소화유닛과 유압제공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소화수가 수용되며 탄성력이 구비되어 신축이 가능한 파우치; 상기 파우치가 수용되며 상기 연결배관을 통해서 상기 유압공급유닛에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받는 소화수탱크; 및 상기 분사노즐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수의 분사를 제어하는 소화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제공유닛은, 상기 연결배관을 통해서 상기 소화유닛에 연결되며 내부에 질소가스가 수용되어 유압을 상기 소화유닛에 제공하는 질소탱크; 및 상기 연결배관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의 배출을 제어하는 질소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제공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압제공유닛의 압력과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질소 PT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소화유닛의 압력과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소화수 PT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제공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압제공유닛에 수용된 질소가스의 양을 모니터링하는 질소 게이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소화유닛에 수용된 소화수의 양을 모니터링하는 소화수 게이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파우치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파우치를 가압하여 터트리는 트리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질소탱크에 농축된 질소가스를 연결배관을 통해 소화수탱크로 유입시켜서 소화수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화유닛이나 유압제공유닛에 구비되며 컨트롤러에 각각 연결된 질소 PT 센서, 소화수 PT 센서, 질소 게이지, 소화수 게이지를 통해서 질소가스나 소화수의 온도나 압력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의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의 개념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의 개념을 나타낸 입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컨트롤러의 구성요소 제어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의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의 개념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의 개념을 나타낸 입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컨트롤러의 구성요소 제어 블록도이다.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 내에서 발생한 화재를 유압으로 진압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100), 소화유닛(200), 유압제공유닛(300), 연결배관(400) 및 컨트롤러(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열차 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소화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열차 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클램프 방식 등을 이용하여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제작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소화유닛(200)이나 유압제공유닛(300)의 구체적인 제어, 모니터링 및 탈부착 등이 가능하다.
소화유닛(2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된 분사노즐을 통해서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다.
소화유닛(200)은 파우치(210), 소화수탱크(220) 및 소화수밸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우치(210)는 소화수가 수용되며 탄성력이 구비되어 신축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파우치(210)의 재료로는 내구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합성수지의 종류로는 페놀수지, 폴리 우레탄수지, 폴리 아미드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아/멜라민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이 있다.
소화수탱크(220)는 파우치(210)가 수용되며 연결배관(400)을 통해서 유압공급유닛(300)에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소화수밸브(230)는 분사노즐에 설치되어 소화수의 분사를 제어할 수 있다. 소화수밸브(230)는 솔레노이드 방식의 밸브가 적용될 수 있는데, 솔레노이드 밸브란 전자 밸브로서, 전기가 통하면 플랜지가 올라가 밸브가 열리고 전기가 차단되면 플랜지 무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밸브가 닫히는 것으로, 원통형으로 감은 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자기장이 형성되며, 그 속에 철심을 넣으면 더 강한 자기장을 얻는다. 또한, 솔레노이드는 제조과정이 간단하고 경제성이 있어 일상 생활용품, 사무용품, 자동차부품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인다.
즉, 소화수밸브(230)는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화재감지장치로부터 화재신호를 접수한 즉시, 소화수밸브(2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유압제공유닛(300)은 소화유닛(200)에 연결되어 소화유닛(200)에 유압을 제공할 수 있다.
유압제공유닛(300)은 질소탱크(310) 및 질소밸브(320)를 포함할 수 있다.
질소탱크(310)는 연결배관(400)을 통해서 소화유닛(200)에 연결되며 내부에 질소가스가 수용되어 유압을 소화유닛(200)에 제공할 수 있다.
질소밸브(320)는 연결배관(40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유체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질소밸브(320)도 솔레노이드 방식의 밸브가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소화수밸브(230)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질소탱크(310)에는 설정된 기압의 압축 질소가스가 농축되어 있어서, 질소밸브(320)의 제어에 의해 연결배관(400)을 통해서 소화수탱크(210)로 이송되어 파우치(220)를 가압하여 파우치(220)내의 소화수를 분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압제공유닛(300)은 질소탱크(310)의 압축된 질소가스가 직접 소화수 탱크(210)에 주입되도록 가스의 유동유로를 제공하는 연결배관(400)을 통해서 소화수 탱크(210)를 가압하여 파우치(220)에 수용된 소화수를 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질소가스와 소화수의 분사 조절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각각의 소화수 솔레노이드 밸브(230)과 질소 솔레노이드 밸브(320)를 통해서 가능하다.
연결배관(400)은 소화유닛(200)과 유압제공유닛(300)을 소통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500)는 하우징(100) 내에 구비되며 소화유닛(200)과 유압제공유닛(300)에 각각 연결되어 소화유닛(200)과 유압제공유닛(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500)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 등과 와이파이 통신모듈, 블루트스 통신모듈 및 지그비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로 연동되어 외부에서도 작동을 제어하거나 제어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아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차내에 발생한 화재를 유압으로 진압하는 장치는, 질소 PT 센서(510), 소화수 PT 센서(520), 질소 게이지(530), 소화수 게이지(540), 트리거(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질소 PT 센서(510)는 유압제공유닛(3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 유압제공유닛(300)의 압력과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질소 PT 센서(510)에서 PT는 Pressure Temperature, 즉, 압력과 온도를 나타낸다.
소화수 PT 센서(520)는 소화유닛(2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 소화유닛(200)의 압력과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질소 게이지(530)는 유압제공유닛(3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 유압제공유닛(300)에 수용된 질소가스의 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소화수 게이지(540)는 소화유닛(2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 소화유닛(200)에 수용된 소화수의 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트리거(550)는 소화유닛(2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파우치(220)에 연결되어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서 파우치(220)를 가압하여 터트릴 수 있다.구체적으로, 트리거(550)는 소화수탱크(210)의 일부분에 설치되는데, 파우치(220)를 터트리는 가압핀(552)과 이를 작동시키는 구동장치로 솔레노이드(554)로 구성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554)는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며, 파우치(220)에 수용된 소화수가 전부 소진되는 경우 작동하여 가압핀(552)이 파우치(220)를 찔러서 터트리도록 하여 소화유닛(200)의 작동이 멈추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질소탱크(310)에 농축된 질소가스를 연결배관(400)을 통해 소화수탱크(210)로 유입시켜서 소화수를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화유닛(200) 이나 유압제공유닛(300)에 구비되며 컨트롤러(500)에 각각 연결된 질소 PT 센서(510), 소화수 PT 센서(520), 질소 게이지(530), 소화수 게이지(540)를 통해서 질소가스나 소화수의 온도나 압력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진압 장치
100 : 하우징
200 : 소화유닛
210 : 소화수탱크
220 : 파우치
230 : 소화수밸브
300 : 유압제공유닛
310 : 질소탱크
320 : 질소밸브
400 : 연결배관
500 : 컨트롤러
510 : 질소 PT 센서
520 : 소화수 PT 센서
530 : 질소 게이지
540 : 소화수 게이지
550 : 트리거
552 : 가압핀
554 : 솔레노이드

Claims (8)

  1. 열차 내에서 발생한 화재를 유압으로 진압하는 장치로서,
    상기 열차 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소화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분사노즐을 통해서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유닛;
    상기 소화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소화유닛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제공유닛;
    상기 소화유닛과 상기 유압제공유닛을 소통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배관; 및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며 상기 소화유닛과 유압제공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소화유닛과 유압제공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유닛은,
    소화수가 수용되며 탄성력이 구비되어 신축이 가능한 파우치;
    상기 파우치가 수용되며 상기 연결배관을 통해서 상기 유압제공유닛에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받는 소화수탱크; 및
    상기 분사노즐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수의 분사를 제어하는 소화수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파우치는,
    상기 유압제공유닛으로부터 제공된 유압에 의해 가압되어 소화수를 분사시키고,
    상기 소화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파우치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파우치를 가압하여 터트리는 트리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는,
    상기 파우치를 터트리는 가압핀; 및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가압핀을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파우치에 수용된 소화수가 소진되는 경우 구동되어 가압핀이 상기 파우치를 터트리도록 상기 가압핀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제공유닛은
    상기 연결배관을 통해서 상기 소화유닛에 연결되며 내부에 질소가스가 수용되어 유압을 상기 소화유닛에 제공하는 질소탱크; 및
    상기 연결배관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유체의 배출을 제어하는 질소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제공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압제공유닛의 압력과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질소 PT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소화유닛의 압력과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소화수 PT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제공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압제공유닛에 수용된 질소가스의 양을 모니터링하는 질소 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소화유닛에 수용된 소화수의 양을 모니터링하는 소화수 게이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
  8. 삭제
KR1020210006993A 2021-01-18 2021-01-18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 KR102300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993A KR102300353B1 (ko) 2021-01-18 2021-01-18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993A KR102300353B1 (ko) 2021-01-18 2021-01-18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353B1 true KR102300353B1 (ko) 2021-09-10

Family

ID=7777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993A KR102300353B1 (ko) 2021-01-18 2021-01-18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35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596A (ja) * 2001-09-18 2003-03-25 Koatsu Co Ltd 消火剤貯蔵容器の減量検出装置
JP2003159346A (ja) * 2001-11-29 2003-06-03 Mitsuhiro Kato 自動消火器
KR200414051Y1 (ko) * 2005-11-30 2006-04-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철도차량용 물 분무식 화재 소화장치
KR101062436B1 (ko) 2006-07-12 2011-09-06 포그텍 브란드슈츠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카게 소방 방법 및 장치
KR200482283Y1 (ko) * 2016-05-31 2017-01-06 주식회사 에스엠티티 기동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설비
KR101925911B1 (ko) * 2017-06-20 2019-02-26 (주)에스앤지코리아 휴대용 자동 소화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8596A (ja) * 2001-09-18 2003-03-25 Koatsu Co Ltd 消火剤貯蔵容器の減量検出装置
JP2003159346A (ja) * 2001-11-29 2003-06-03 Mitsuhiro Kato 自動消火器
KR200414051Y1 (ko) * 2005-11-30 2006-04-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철도차량용 물 분무식 화재 소화장치
KR101062436B1 (ko) 2006-07-12 2011-09-06 포그텍 브란드슈츠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카게 소방 방법 및 장치
KR200482283Y1 (ko) * 2016-05-31 2017-01-06 주식회사 에스엠티티 기동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설비
KR101925911B1 (ko) * 2017-06-20 2019-02-26 (주)에스앤지코리아 휴대용 자동 소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436B1 (ko) 소방 방법 및 장치
KR102300353B1 (ko) 철도차량 실린더 타입 화재진압장치
CN101327363A (zh) 背负式细水雾灭火装置
CN110101991B (zh) 一种煤矿用车载自喷水灭火系统
KR102608228B1 (ko) 전기차 또는 수소차 배터리 소화 장치
US8776820B2 (en) High rate discharge (HRD) valve incorporating a collet sleeve release mechanism
CN201500407U (zh) 泡沫喷雾灭火装置
KR20040015847A (ko) 질소가스에 의해 포말액이 방출되는 이동 가능한 긴급화재진압용 소화장치
KR100767241B1 (ko) 휴대용 액체분무 소화기
CN113577607B (zh) 压缩空气泡沫灭火系统用空气混合器及灭火系统
CN212016510U (zh) 一种气体灭火装置
WO1996001666A1 (en) Spray head
CN205730037U (zh) 一种基于雾化喷淋的公交车灭火装置
KR101062186B1 (ko) 호신용 경보분사장치
JP2000140143A (ja) 携帯式ウォーターミスト消火装置
CN203139464U (zh) 一种防滴漏高压细水雾开式喷头
KR101916599B1 (ko) 수동분사체를 갖는 소 공간 화재진압장치
KR102423983B1 (ko) 압력조절이 가능한 실린더 타입 철도차량 화재진압 장치
CN219804177U (zh) 一种气体灭火装置
CN213220677U (zh) 灭火系统
CN220046935U (zh) 一种远射程二氧化碳灭火器
KR102363971B1 (ko) 복합 소화 약제 무전원 방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시스템
CN218046219U (zh) 一种用于车辆的管线消防灭火装置
CN220435522U (zh) 一种具有实时启闭功能的气体灭火剂容器阀及灭火装置
CN215351724U (zh) 一种洁净气体灭火剂组合喷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