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099B1 - Expansion joint device for integrated bridge that prevents damage caused by load - Google Patents

Expansion joint device for integrated bridge that prevents damage caused by lo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099B1
KR102300099B1 KR1020210038668A KR20210038668A KR102300099B1 KR 102300099 B1 KR102300099 B1 KR 102300099B1 KR 1020210038668 A KR1020210038668 A KR 1020210038668A KR 20210038668 A KR20210038668 A KR 20210038668A KR 102300099 B1 KR102300099 B1 KR 102300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nger
anchor
load
joi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6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희민
안창모
Original Assignee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8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0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0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an integrated bridge that prevents damage due to loa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an integrated bridge that prevents damage and breakage caused by loads and shocks applied from the top by preventing damage and breakage during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slabs by constructing them in the gaps of structures in bridges.

Description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Expansion joint device for integrated bridge that prevents damage caused by load}Expansion joint device for integrated bridge that prevents damage caused by load

본 발명은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구조물 틈새에 시공하여 슬라브의 수축 및 팽창시 손상과 파손을 방지하며,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에 의해 파손을 방지하는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bridge expansion joint device that prevents damage due to load, and more particularly, prevents damage and breakage during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a slab by constructing it in a gap between structures of a bridge, and the load applied from the upper part And it relates to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an integrated bridge that prevents damage due to a load that prevents damage due to impact.

일반적으로, 핑거 조인트(Finger Joint)는 교량을 이루는 슬라브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신축작용 발생시 슬라브의 팽창 및 수축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용한다.In general, finger joints are installed in slabs constituting a bridge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y can respond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lab when expansion and contraction occurs.

이를 통해 교량 상판의 구조 또는 계절적 변환에 따라 발생되는 팽창 및 수축에 적절히 대응하여,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perly respond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caused by the structural or seasonal change of the bridge deck, thereby preventing damage and damage.

이러한 핑거 조인트는 하단에 베이스 앵글과 볼트, 너트 등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 후, 베이스 앵글을 슬라브에 시공하고 있다.These finger joints are detachably combined with a base angle at the bottom through bolts, nuts, etc., and then the base angle is installed on the slab.

하지만, 핑거 조인트는 잦은 신축력 작용 또는 교량을 이동하는 차량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에 의해 베이스 앵글과 연결하는 볼트의 피로가 누적되어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However, in the finger joint, the fatigue of the bolt connecting to the base angle is accumulated and fractured due to frequent stretching force action or impact and load applied by a vehicle moving the bridge.

이에 따라 볼트가 파단되어 베이스 앵글에서 핑거 조인트를 분리할 수 없어 부분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Accordingly, the bolt is broken and the finger join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base angle, resulting in a problem that partial replacement is impossible.

또한, 볼트의 파손에 의해 핑거 조인트가 베이스 앵글에서 이탈, 돌출, 함몰, 비틀림 등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주행중인 차량이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the finger joint is separated from the base angle, protrudes, dents, torsion, etc. occur due to the breakage of the bolt, which causes an accident in the driving vehicl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핑거 플레이트의 이탈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교량용 핑거 조인트"가 제시된 바 있다.As a prior art for solving this problem, a "finger joint for a bridge includ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a finger plate" has been proposed.

종래기술은 핑거 몸체 및 앵글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되어 핑거 몸체 및 앵글의 유동을 제한하는 체결 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앵커 볼트의 풀림으로 인한 핑거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ior art employs a fastening member inserted into a slit formed in the finger body and angle to restrict the flow of the finger body and angle, thereby preventing the finger plate from being separated due to loosening of the anchor bolt.

또한, 체결 부재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에 의해 체결 부재가 강하게 고정되어 핑거 몸체 및 앵글의 유동을 제한하고 핑거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n extension part extending downwardly and a fixing part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art on the fastening member, the fastening member is strongly fixed by concrete to limit the flow of the finger body and angle and to prevent the finger plate from being separated.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이 체결부재를 통해 앵커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여, 핑거 조인의 이탈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osening of the anchor bolt is prevented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thereby preventing separation and damage of the finger joint.

하지만, 차량의 통행시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에 의해 앵커 볼트 및 체결부재가 파단되어 교체를 위한 부분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However, the anchor bolt and the fastening member are broken by the impact and load applied during the passage of the vehicle, so that partial separation for replacement is difficult.

따라서 볼트의 파단에 의해 부분적으로 분리할 수 없어, 교량에서 설치된 교량용 핑거 조인트 전체를 교체하기 위해 많은 시간 및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Therefore, it cannot be partially separated by the breakage of the bolt, and a lot of time and money are incurred to replace the entire bridge finger joint installed in the bridge.

또한, 볼트를 설치하는 틈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킹을 설치하고 있으나, 장기간 사용시 패킹이 노후된 틈 사이로 이물질 및 우수가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packing is install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between the gaps in which the bolts are install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substances and rainwater are introduced between the gaps in which the packing is worn fo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패킹에 노후에 의해 볼트의 체결력이 약해져 핑거조인트가 돌출, 함몰 비틀리는 손상이 발생하여 차량사고를 유발하고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aging of the packing, the fastening force of the bolts is weakened, causing the finger joint to protrude, collapse, and twist, causing a vehicle accident.

한국등록특허 제10-2212014호(2021.01.29.)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12014 (2021.01.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의해 교량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amage and breakage of the bridge due to contraction and expansion due to temperature change by being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ridg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an integrated bridge that preven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주행 시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에 의해 파손, 손상 및 비틀림을 방지하는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bridge expansion joint device that prevents damage due to load, which prevents damage, damage, and torsion due to impact and load applied during driving of a veh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접을 통해 연결하여 장기간 가해진 하중에 의해 상부의 핑거플레이트가 함몰, 돌출되는 파손을 방지하며,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교체가 용이한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amage caused by the collapse and protrusion of the upper finger plate due to the load applied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connecting through welding, and it is constructed as an integral part to prevent damage caused by a load that is easy to replace. To provide a joint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입된 오수 및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판을 자성을 통해 고정하여 앵글플레이트의 수축 및 팽창, 충격 등에 의해 이탈을 방지하고, 특정위치에서 자성을 통해 고정할 수 있는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x the discharge plate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sewage and foreign substances through magnetism to prevent separation due to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angle plate, impact, etc., and a load that can be fixed through magnetism at a specific pos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bridge expansion joint device that prevents damage caused b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설된 모르타르의 타설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expansion joint device for a bridge that prevents damage due to a load that can easily check the pouring state of the poured mortar with the naked eye from the outsid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에 설치되어 슬라브의 수축 및 팽창 시 손상을 방지하는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간격홈이 형성되도록 양측에 한쌍으로 배치되며, 내측 일면에 상호 교차되는 핑거가 형성된 핑거플레이트;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에 용접 결합되는 앵커플레이트;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앵커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간격홈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앵글플레이트;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상부면과 상기 앵글플레이트의 내측면을 경계를 상기 앵커플레이트가 매설되도록 모르타르가 타설된 타설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integrated bridge expansion joint device that is installed on a bridge to prevent damage caused by a load to prevent damage during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slabs. a pair of finger plates arranged on both sides so as to form grooves, and fingers intersecting each other are formed on one inner surface; an anchor plat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at regular intervals and welded to the finger plate; an angle plat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nchor plat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and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gap groov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ouring part in which the mortar is poured so that the anchor plate is embedd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ngle plate.

상기 핑거플레이트에는 상기 앵커플레이트의 사이에 형성되어 모르타르가 유입되는 스레드홀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nger plate includes a threaded hole formed between the anchor plates through which the mortar flows.

상기 앵커플레이트는,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용접 결합되는 접촉판과, 상기 접촉판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접촉판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는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접촉판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매립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nchor plate includes a contact plat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nger plate and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and an extension plate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ct plate and having a relatively narrower width than the contact plate; ,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plate protrudes under the extension plate and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contact plate to form a buried plate.

상기 접촉판의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용접 결합되는 확장판과, 상기 연장판 및 상기 매립판의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타설부에 매립되는 매립바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extension plate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contact plate and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and a buried bar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extension plate and the buried plate to be embedded in the pouring part are further included.

상기 앵글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앵커플레이트와 상기 앵커플레이트 사이로 돌출되어, 타설된 상기 타설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지지바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upport bar coupled to the angle plate, protruding between the anchor plate and the anchor plate,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oured pouring part is further included.

상기 앵커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간격홈의 하단에 배치되며, 양측단이 상기 끼움돌기에 고정된 배수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fitting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nchor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rain plates disposed at the lower ends of the gap grooves, both ends of which are fixed to the fitting projections, are formed.

상기 끼움돌기는 자성에 의해 접촉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수판의 양측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 자성체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에 삽입되어 상기 자성체의 자성에 의해 고정되는 끼움판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tting projection is made of a material contacted by magnetism, and 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drain plate, and the fitting plate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projection and fixed by the magnetism of the magnetic material. preferably included.

본 발명에 따른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에 따르면, 교량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의해 교량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tegrated bridge expansion joint device for preventing damage due to l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ridge to prevent damage and damage to the bridge due to contraction and expansion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본 발명에 따르면, 핑거플레이트, 앵클플레이트 및 앵거플레이트는 용접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하여 차량의 주행시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에 의한 파손, 손상 및 비틀림 등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inger plate, the ankle plate and the anchor plate are firmly fixed through welding to prevent damage, damage, twist, etc. due to the impact and load applied dur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르면, 장기간 가해진 하중에 의해 핑거플레이트가 함몰 및 돌출되는 파손을 방지하여 차량의 통행시 원활하며,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inger plate is prevented from collapsing and protruding damage due to a load appli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o facilitate the passage of a vehicle and to prevent an accident.

본 발명에 따르면, 용접을 통해 일체로 이루어져, 볼트 등의 파단에 의한 파손 및 부분분리의 문제를 해결하며, 강한 하중 및 충격을 견딜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ade integrally through welding to solve the problems of breakage and partial separation due to fracture of bolts, etc., and has the effect of withstanding a strong load and impact.

본 발명에 따르면, 모르타르를 선택적으로 타설하여 현장상황에 맞춰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field conditions by selectively pouring mortar.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된 오수 및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판을 자성을 통해 고정하여 앵글플레이트의 수축 및 팽창, 충격 등에 의해 이탈을 방지하고, 특정위치에서 자성을 통해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ischarge plate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sewage and foreign substances is fixed through magnetism to prevent separation due to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angle plate, impact, and the like, and to be fixed through magnetism at a specific posi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모르타르의 타설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ate of mortar can be easily checked with the naked eye from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an integrated bridge that prevents damage due to a l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cho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agnetic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an integrated bridge that prevents damage due to a l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grated bridge expansion joint device that prevents damage by l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interi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chor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agnetic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구조물 틈새에 시공하여 슬라브의 수축 및 팽창시 손상과 파손을 방지하며,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에 의해 파손을 방지하는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bridge expansion joint device that prevents damage due to load. It relates to an integrated bridge expansion joint device that prevents breakage and prevents breakage by load that prevents breakage by load and impact applied from the upper par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교량에 설치되어 슬라브의 수축 및 팽창 시 파손, 손상 및 비틀림 등을 방지하며, 용이하게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핑거플레이트(10), 앵커플레이트(20), 앵글플레이트(30) 및 타설부(40)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bridge to prevent breakage, damage and torsion during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slab, and to facilitate maintenance, finger plate 10, anchor plate 20, angle plate 30 and It consists of a pouring part (40).

상기 핑거플레이트(10)는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간격홈(11)이 형성되도록 양측에 한쌍으로 배치되며, 내측 일면에 상호 교차되는 핑거(12)가 형성된다.The finger plates 10 are arranged in pairs on both side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gap groove 11, and fingers 12 intersecting each other are formed on one inner surface.

상기 앵커플레이트(20)는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0)에 용접 결합된다.A plurality of anchor plates 20 ar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welded to the finger plate 10 .

상기 앵글플레이트(30)는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앵커플레이트(2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간격홈(11)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The angle plate 3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nchor plate 2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and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gap groove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타설부(40)는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상부면과 상기 앵글플레이트(30)의 내측면을 경계를 상기 앵커플레이트(20)가 매설되도록 모르타르가 타설된다.In the pouring part 40 , the mortar is poured so that the anchor plate 20 is embedded with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ngle plate 30 .

즉, 양측에 한쌍으로 상기 핑거플레이트(10)가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단에 상기 앵커플레이트(20), 상기 앵글플레이트(30) 및 타설부(40)가 형성된다.That is, the finger plates 10 are arranged as a pair on both sides, and the anchor plate 20, the angle plate 30 and the pouring part 40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finger plates 10.

이렇게 형성된 상태에서 교량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교량에 타설된 슬라브의 수축 및 팽창에 대응하는 상기 간격홈(11)을 통해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forme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and damage through the gap groove 11 corresponding to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slab poured on the bridge by installing it on the bridge at regular intervals.

그리고 상기 핑거플레이트(10)는 상기 앵커플레이트(20)에 용접 결합되어, 차량 이동시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에 의해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비틀림, 돌출, 함몰 등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ger plate 10 is welded to the anchor plate 20 to prevent torsion, protrusion, depression, etc. of the finger plate 10 by the load and impact applied during vehicle movement.

아울러 상기 타설부(40)의 내부에는 견고한 타설을 위해 내부에 별도의 철근 등이 콘크리트 타설과 동일한 방식을 통해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reinforcing bar or the like is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pouring part 40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oncrete pouring for solid pouring.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Next, each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핑거플레이트(10)는 상기 간격홈(11)이 형성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양측에 한쌍으로 배치된다.First, the finger plates 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form the gap grooves 11 and are arranged in pairs on both sides.

이러한 상기 핑거플레이트(10)는 교량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된 판재로 이루어지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상기 핑거(12)가 형성된다.The finger plate 10 is made of a plate material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ridge, and the fingers 12 are formed on one surface facing each other.

이때, 상기 핑거(12)는 지그재그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끝단과 내측단에 라운드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nger 12 is formed along the zigzag direction, and a round is formed at the end and the inner end.

이를 통해 상기 핑거플레이트(10)는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상기 핑거(12)가 형성되어 지그재그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기 간격홈(11)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Through this, the finger plate 10 is arranged such that the fingers 12 are formed on one surface facing each other to form the spaced grooves 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zigzag direction.

그리고 상기 핑거플레이트(10)에는 상기 앵커플레이트(20)의 사이에 형성되어 모르타르가 유입되는 스레드홀(13)이 포함된다.And the finger plate 10 includes a thread hole 13 formed between the anchor plates 20 through which mortar is introduced.

이러한 상기 스레드홀(13)은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타설부(40)에서 타설된 모르타르가 유입되어 상기 타설부(40)의 타설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 plurality of these threaded holes 13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plate 10, and the mortar poured from the pouring part 40 is introduced to visually check the pouring state of the pouring part 40. made to be possible

또한, 상기 스레드홀(13)로 유입된 모르타르는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상단면에 맞춰 타설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0)와 상기 타설부(40)를 견고하게 접착되어 충격 및 하중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ortar introduced into the threaded hole 13 is poured to match the top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and the finger plate 10 and the pouring part 40 are firmly attached to each other to prevent impact and load. Stability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스레드홀(13)에 모르타르가 유입되어 별도의 보강, 패킹 등의 마감처리 없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mortar flows into the thread hole 13, it can be easily constructed without additional finishing treatment such as reinforcement or packing.

다음으로 상기 앵커플레이트(20)는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단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가 용접결합된다.Next, a plurality of anchor plates 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welding ar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

이때, 상기 앵커플레이트(20)는 판재형상을 가지되,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단에 용접결합되어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접촉판(20a), 연장판(20b) 및 매립판(20c)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anchor plate 20 has a plate shape, and is welded to the lower end of the finger plate 10 so as to support the load applied to the contact plate 20a, the extension plate 20b and the buried plate ( 20c).

상기 접촉판(20a)은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부면에 용접 결합된다.The contact plate 20a is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nger plate 10 and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

상기 연장판(20b)은 상기 접촉판(20a)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접촉판(20a)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The extension plate 20b protrudes below the contact plate 20a and has a relatively narrower width than that of the contact plate 20a.

상기 매립판(20c)은 상기 연장판(20b)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접촉판(20a)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The buried plate 20c protrudes below the extension plate 20b and has the same width as the contact plate 20a.

이때, 상기 매립판(20c)의 폭은 상기 접촉판(20a)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되, 상기 연장판(20b)보다 좁거나 넓게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buried plate 20c is preferably wider than that of the contact plate 20a, but is selectively formed to be narrower or wider than the extension plate 20b.

즉, 상기 접촉판(20a)과 상기 매립판(20c)은 상기 연장판(20b)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That is, the contact plate 20a and the buried plate 20c ar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wider width than the extension plate 20b.

이때, 상기 접촉판(20a)의 상단면은 상기 앵커플레이트(20)의 하단면에 접촉되어 용접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late (20a)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anchor plate (20) is welded.

여기서 상기 접촉판(20a)은 상기 앵커플레이트(20)의 외측면과 일치 또는 인접하게 배치되어 내측면에 상기 앵글플레이트(3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tact plate 20a is preferably disposed coincidentally with or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nchor plate 20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angle plate 30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그리고 상기 매립판(20c)은 상기 타설부(40)에 타설된 모르타르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하중 및 충격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nd the buried plate (20c) is made to be firmly fixed by the mortar poured on the pouring portion (40) to support the load and impact.

이를 통해 상기 앵커플레이트(20)는 상기 핑거플레이트(10)를 용접된 상태로 지지하여 고하중, 충격 등에 의해 상기 핑거플레이트(10)가 파손, 손상,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anchor plate 20 supports the finger plate 10 in a welded state, thereby preventing the finger plate 10 from being damaged, damaged, or twisted due to a high load or impact.

아울러,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단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상기 앵커플레이트(20)가 삽입되는 삽입홈(14)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14 ar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to which the anchor plate 20 is inserted.

즉, 상기 삽입홈(14)은 상기 접촉판(20a)의 상단면과 동일한 형상이 함몰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4)을 용이하게 삽입 고정한 후, 용접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the insertion groove 14 is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late 20a, so that the insertion groove 14 can be easily inserted and fixed, and then welded.

이를 통해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단면에는 상기 삽입홈(14)을 통해 상기 앵커플레이트(20)를 간편하게 배치한 후 용접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anchor plate 20 can be conveniently plac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14 and then welded.

따라서 상기 삽입홈(14)에 삽입된 상기 앵커플레이트(20)는 수직 방향의 충격 및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수평방향의 충격에 대응할 수 있다.Therefore, the anchor plate 2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4 can support the impact and loa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espond to the impa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same time.

그리고 상기 앵커플레이트(20)의 양측면으로 돌출된 확장판(21)과 매립바(22)가 더 포함된다.And the extension plate 21 and the embedding bar 22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anchor plate 20 are further included.

상기 확장판(21)은 상기 접촉판(20a)의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부면에 용접 결합된다.The extension plate 21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contact plate 20a and is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

즉, 상기 확장판(21)은 상기 접촉판(20a)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단면에 용접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the extension plate 21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contact plate 20a and is wel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to be supported.

따라서 상기 확장판(21)은 상기 접촉판(20a)의 측면으로 돌출될 리브 형상 또는 대각선, 수직 및 수평으로 돌출될 프레임을 통해 상기 핑거플레이트(10)를 지지하여,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에 의한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한다.Therefore, the extension plate 21 supports the finger plate 10 through a frame to protrud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a rib shape to protrude to the side of the contact plate 20a, or to resist the load and impact applied from the upper part. Reinforced to prevent damage and breakage.

상기 매립바(22)는 상기 연장판(20b) 및 상기 매립판(20c)의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타설부(40)에 매립된다.The embedding bar 22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extension plate 20b and the embedding plate 20c and is embedded in the pouring part 40 .

이러한 상기 매립바(22)는 상기 연장판(20b)과 상기 매립판(20c)의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타설되는 모르타르에 상기 앵커플레이트(2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The embedding bar 22 firmly fixes the anchor plate 20 to the mortar which is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extension plate 20b and the buried plate 20c and is poured.

따라서 양측으로 돌출된 상기 매립바(22)는 상기 타설부(40)에 매설됨에 따라 외부로 돌출 없이 상기 타설부(40)와 상기 앵커플레이트(20)가 매립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0)에서 전달되는 하중 및 충격을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embedding bars 22 protruding from both sides are embedded in the pouring part 40, the pouring part 40 and the anchor plate 20 are buried without protruding to the outside and delivered from the finger plate 10. It can support loads and shocks.

다음으로 상기 앵글플레이트(30)는 상기 앵커플레이트(2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0)를 지지하며, 상기 간격홈(11)으로 배출되는 이물질 및 우수 등을 배출하는 배수판(50)이 체결된다.Next, the angle plate 30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anchor plate 20 to support the finger plate 10, and a drain plate 50 for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and rainwater discharged into the gap groove 11. this is concluded

따라서 상기 앵글플레이트(30)는 수평으로 배치된 상판(30a)과 상기 상판(30a)의 일측단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으로 형성된 측판(30b)으로 구성된 "ㄱ"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angle plate 30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 consisting of a horizontally disposed top plate 30a and a side plate 30b formed vertically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top plate 30a.

이때, 상기 상판(30a)의 타측은 상기 앵커플레이트(20)의 상단 내측면에 결합되되, 상단면이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단면에 접촉된다.At this time,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late (30a)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anchor plate (20),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또한, 상기 측판(30b)은 상기 간격홈(11)의 하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양측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side plate 30b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gap groove 1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disposed on both sides.

이를 통해 상기 앵글플레이트(30)의 상기 상판(30a)은 상기 간격홈(11)을 향해 상기 앵커플레이트(20)에서 연장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부를 지지한다.Through this, the upper plate 30a of the angle plate 30 extends from the anchor plate 20 toward the gap groove 11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finger plate 10 .

또한, 상기 측판(30b)은 상기 간격홈(11)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간격홈(11)으로 유입된 이물질 및 오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ide plate 30b is spaced apart from the spacing groove 1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space so that foreign substances and sewage introduced into the spacing groove 11 can be introduced.

그리고 상기 앵글플레이트(30)에 결합되며, 상기 앵커플레이트(20)와 상기 앵커플레이트(20) 사이로 돌출되어, 타설된 상기 타설부(40)의 내부에 결합되는 지지바(32)가 더 포함된다.And a support bar 32 coupled to the angle plate 30, protruding between the anchor plate 20 and the anchor plate 20,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oured pouring part 40 is further included. .

즉, 상기 지지바(32)는 일측이 상기 앵글플레이트(30)에 결합되며,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외측면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앵커플레이트(20)와 상기 앵커플레이트(20)에 위치하여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the support bar 32 has one side coupled to the angle plate 30 , is dispos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 and is located on the anchor plate 20 and the anchor plate 20 . This is done to avoid interference.

이를 통해 상기 지지바(32)는 상기 타설부(40)의 내부에 매립된 철근 등에 밀착되어 상기 앵글플레이트(30)를 견고하게 지지하며, 변형 및 비틀림을 방지한다.Through this, the support bar 3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bar embedded in the pouring part 40 to firmly support the angle plate 30 and prevent deformation and twisting.

또한, 상기 앵글플레이트(30)의 상단면에는 다수개의 확인홈(33)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firmation grooves 33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ngle plate 30 .

이러한 상기 확인홈(33)은 상기 스레드홀(13)과 같이 상기 앵글플레이트(30) 내에 타설된 상기 타설부(40)의 매립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confirmation groove 33 is made to check the embedding state of the pouring part 40 poured into the angle plate 30 like the thread hole 13 .

따라서 상기 확인홈(33)은 상기 핑거(12)와 상기 핑거(12)사이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firmation groove 33 is positioned between the finger 12 and the finger 12 so that it can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앵커플레이트(20)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돌기(31)가 형성되며, 상기 간격홈(11)의 하단에 배치되며, 양측단이 상기 끼움돌기(31)에 고정된 배수판(50)이 포함된다.And the fitting projection 3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nchor plate 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pacing groove 11, both ends of the drain plate fixed to the fitting projection 31 ( 50) is included.

따라서 상기 끼움돌기(31)는 상기 앵커플레이트(20)의 측면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Accordingly, the fitting protrusion 31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surface of the anchor plate 20 .

이때, 상기 끼움돌기(31)는 상단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배수판(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L"단면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fitting protrusion 31 has an "L" cross section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 is opened so that the drain plate 50 can be inserted.

그리고 상기 배수판(50)은 상기 간격홈(11)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 및 우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nd the drain plate 50 is made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and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gap groove 11 .

이러한 상기 배수판(50)은 "V", "U", "W" 등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양측단이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끼움돌기(31)에 삽입된다.The drain plate 50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V", "U", "W", etc., and both ends are bent downward and inserted into the fitting protrusion 31 .

즉, 양측에 배치된 상기 앵커플레이트(20)의 상기 끼움돌기(31)에 양측단이 삽입되어 상기 배수판(50)을 설치할 수 있다.That is,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protrusions 31 of the anchor plate 20 disposed on both sides to install the drain plate 50 .

이를 통해 상기 배수판(50)은 상기 간격홈(1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간격홈(11)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 및 우수를 외부로 유도하여 배출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drain plate 50 is positioned under the gap groove 11 , and can guide foreign substances and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gap groove 11 to the outside and discharge it.

이때, 상기 배수판(50)은 충격에 의해 상기 끼움돌기(3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돌기(31)는 자성에 의해 접촉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수판(50)의 양측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 자성체(52)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31)에 삽입되어 상기 자성체(52)의 자성에 의해 고정되는 끼움판(51)이 더 포함된다.At this time, the fitting protrusion 31 is made of a material in contact with magnetism to prevent the drain plate 5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tting protrusion 31 due to impact, and both ends of the drain plate 50 . 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52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tting plate 51 inserted into the fitting protrusion 31 and fixed by the magnetism of the magnetic body 52 is further included.

따라서 상기 배수판(50)은 양측에 형성된 상기 끼움판(51)을 상기 끼움돌기(31)에 삽입하여 고정한다.Accordingly, the drain plate 50 is fixed by inserting the fitting plates 51 formed on both sides into the fitting protrusions 31 .

그리고 상기 끼움판(5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상기 자성체(52)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31)에 삽입 후, 자력에 의해 상기 끼움판(51)이 상기 끼움돌기(31)에 고정시킨다.And a plurality of the magnetic body 52 is formed in the fitting plate 5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fitting protrusion 31, the fitting plate 51 is attached to the fitting protrusion 31 by magnetic force. Fix it.

여기서 상기 끼움돌기(31)는 상기 자성체(52)가 접촉되어 자성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금속 등과 같은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tting protrusion 31 is made of any one of materials such as a metal that can be magnetically fixed by contacting the magnetic body 52 .

이를 통해 상기 핑거플레이트(10)에서 전달되는 충격 등에 의해 상기 배수판(50)이 상기 끼움돌기(3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충격 등에 의해 위치를 이동하여도 자성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된다.Through this, the drain plate 5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tting protrusion 31 due to an impact transmitted from the finger plate 10, etc., and is easily fixed by magnetism even if the position is moved by an impact.

또한, 상기 끼움돌기(31) 및 상기 배수판(50)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르게 수축 및 팽창하여도, 자성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접촉됨에 따라 이탈 및 변형을 방지한다.In addition, even if the fitting protrusion 31 and the drain plate 50 contract and expand different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flowable manner by magnetism to prevent separation and deformation.

다음으로 상기 타설부(40)는 상기 앵커플레이트(20) 및 상기 앵글플레이트(30)가 타설될 수 있도록 모르타르가 시공된다.Next, the pouring part 40 is constructed with mortar so that the anchor plate 20 and the angle plate 30 can be cast.

여기서 상기 타설부(40)는 무수축모르타르를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uring part 40 is constructed of non-shrinkable mortar.

따라서 상기 타설부(40)는 상기 앵커플레이트(20) 및 상기 앵글플레이트(30)가 교량에 설치된 후 타설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pouring part 40 can be stably fixed by pouring after the anchor plate 20 and the angle plate 30 are installed on the bridge.

또는, 상기 핑거플레이트(10)에 상기 앵커플레이트(20) 및 상기 앵글플레이트(30)를 설치한 후 별도로 타설한 후, 상기 교량에 배치할 수 있다.Alternatively, after installing the anchor plate 20 and the angle plate 30 on the finger plate 10, pouring separately, it may be disposed on the bridge.

이와 같이 상기 타설부(40)는 시공 상황에 따라 교량 위에서 작업자가 타설하거나, 사전에 모르타르를 타설한 후 교량으로 운반하여 단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교량 및 현장의 상황에 맞춰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this way, the pouring part 40 can be easily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bridge and the site so that the worker can pour it on the bridge or transport it to the bridge after pouring the mortar in advance,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situation, so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simple and convenient. is done

이를 통해 상기 타설부(40)는 상기 앵커플레이트(20) 및 상기 앵글플레이트(30)가 일정부분 매립되어 안정적으로 고정함에 따라 상기 핑거플레이트(10)에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경에 의한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ouring part 40 prevents damage and damage due to the load applied to the finger plate 10 and the impact force as the anchor plate 20 and the angle plate 30 are partially embedded and stably fixed.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타설부(40)는 타설시 상기 스레드홀(13)을 통해 모르타르의 타설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완전히 타설된 모르타르는 상기 스레드홀(13)로 유입되어 상기 앵커플레이트(20)를 용이하게 지지한다.In addition, the pouring part 40 can visually confirm the pouring state of the mortar through the threaded hole 13 when pouring, and the completely poured mortar flows into the threaded hole 13 and the anchor plate 20 support easily.

아울러, 상기 스레드홀(13)로 유입된 모르타르는 미장작업을 통해 깔끔하게 마감하여 별도의 상기 스레드홀(13)을 보강하기 위한 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시간 및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rtar introduced into the thread hole 13 is neatly finished through a plastering operation, work for reinforcing the separate thread hole 13 is unnecessary, thereb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and process.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핑거플레이트(10)는 일면에 상기 핑거(12)가 형성되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핑거(12)가 마주보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상기 간격홈(11)을 통해 일정간격 이격배치된다.First, the finger plate 10 has the fingers 12 formed on one surface, and is disposed on both sides, and the fingers 12 face each other. are spaced apart

그리고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앵커플레이트(20)가 용접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And the anchor plate 20 is welded to the lower end of the finger plate 10 at regular intervals to be firmly fixed.

이때,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단에는 상기 삽입홈(14)을 형성하여 상기 앵커플레이트(20)아 일정간격 다수개가 삽입되어 용이하게 용접 및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insertion groove 14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nger plate 10, and a plurality of anchor plates 20 are inserted at regular intervals to be easily welded and fixed.

이를 통해 상기 앵커플레이트(20)는 상기 핑거플레이트(10)에 용접결합되어 고하중 및 충격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고정된다.Through this, the anchor plate 20 is welded to the finger plate 10 and firmly fixed to support a high load and impact.

여기서 상기 앵커플레이트(20)에는 상기 확장판(21)을 통해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중 및 충격을 지지하여 손상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매립바(22)를 통해 타설되는 상기 타설부(40)에 견고하게 타설될 수 있도록 부가된다.Here, the anchor plate 20 is formed to support the load and impact of the finger plate 10 through the extension plate 21 to prevent damage and separation, and is poured through the embedding bar 22 . It is added so that it can be firmly poured into the pouring part 40 .

그리고 상기 앵글플레이트(30)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결합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0)를 지지하며, 상기 배수판(50)이 설치된다.And the angle plate 30 is coupled as described above to support the finger plate 10, and the drain plate 50 is installed.

이때, 상기 앵글플레이트(30)는 상기 앵커플레이트(20)에 용접결합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지지바(31)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상기 핑거플레이트(10)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한다.At this time, the angle plate 30 is firmly fixed to the anchor plate 20 through welding, and the support bar 31 is additionally installed to support the load applied from the finger plate 10 . do.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핑거플레이트(10), 상기 앵커플레이트(20) 및 상기 앵글플레이트(30)는 상기 타설부(40)를 통해 교량에 시공한다.In this installed state, the finger plate 10 , the anchor plate 20 and the angle plate 30 are constructed on the bridge through the pouring part 40 .

이때, 상기 타설부(40)는 상기 앵커플레이트(20)에 사전에 타설한 후, 교량에 시공하거나, 앵커플레이트(20)를 교량에 시공한 후 상기 타설부(40)를 타설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uring part 40 may be poured on the anchor plate 20 in advance and then constructed on the bridge, or the pouring part 40 may be poured after the anchor plate 20 is installed on the bridge.

이를 통해 상기 핑거플레이트(10)와 상기 앵커플레이트(20)는 용접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차량의 이동시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에 의한 비틀림, 파손 등을 방지한다.Through this, the finger plate 10 and the anchor plate 20 are coupled by welding to prevent torsion, damage, etc. due to the impact and load applied when the vehicle is moved.

또한 교체시 상기 타설부(40)를 파쇄한 후, 상기 핑거플레이트(10) 및 상기 앵커플레이트(20)를 일체로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crushing the pouring part 40 during replacement, the finger plate 10 and the anchor plate 20 may be integrally replaced.

즉, 통상적으로 체결되는 볼트의 경우, 하중 및 충격에 의해 볼트가 파단되어 앵커플레이트(20)에서 핑거플레이트(10)를 제거할 수 없어 통체로 교체함에 따라 이를 일체화하여 더욱 견고한 고정을 통해 파손 및 비틀림 등의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bolts that are normally fastened, the bolts are broken by load and impact, so that the finger plate 10 cannot be removed from the anchor plate 20, so it is integrated with a cylindrical body to prevent damage and damage through more robust fixation. Problems such as twisting can be eliminated.

또한, 볼트의 파단에 의해 부분분리가 불가능함에 따라 타설된 모르타르를 파쇄하여 일체로 교체하게 됨에 따라, 일체로 용접된 상기 핑거플레이트(10)를 간편하게 시공하여 작업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partial separation is impossible due to the breakage of the bolt, as the poured mortar is crushed and replaced as an integral part, the integrally welded finger plate 10 can be conveniently constructed to reduce work and time.

그리고 상기 배수판(50)은 상기 간격홈(11)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간격홈(11)으로 유입된 우수 및 이물질을 유도하여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in plate 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gap grooves 11 to induce and discharge rainwater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gap groove 11 .

또한, 상기 배수판(5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끼움판(51)이 상기 끼움돌기(31)에 삽입 고정하며, 자성에 의해 밀착고정되어 충격, 수축 및 팽창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tting plates 5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rain plate 50 are inserted and fixed to the fitting protrusions 31, and are tightly fixed by magnetism to prevent separation due to impact, contraction and expansion and to be easily fixed. ca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that you can

10: 핑거플레이트 11: 간격홈 12: 핑거
13: 스레드홀 14: 삽입홈
20: 앵커플레이트 20a: 접촉판 20b: 연장판
20c: 매립판 21: 확장판
22: 매립바
30: 앵글플레이트 30a: 상판 30b: 측판
31: 끼움돌기 32: 지지바
33: 확인홈
40: 타설부
50: 배수판 51: 끼움판 52: 자성체
10: finger plate 11: gap groove 12: finger
13: thread hole 14: insertion groove
20: anchor plate 20a: contact plate 20b: extension plate
20c: buried plate 21: extended plate
22: buried bar
30: angle plate 30a: top plate 30b: side plate
31: fitting protrusion 32: support bar
33: confirmation home
40: pour part
50: drain plate 51: fitting plate 52: magnetic material

Claims (7)

교량에 설치되어 슬라브의 수축 및 팽창 시 손상을 방지하는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간격홈(11)이 형성되도록 양측에 한쌍으로 배치되며, 내측 일면에 상호 교차되는 핑거(12)가 형성된 핑거플레이트(10);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0)에 용접 결합되는 앵커플레이트(20);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앵커플레이트(2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간격홈(11)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앵글플레이트(30);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상부면과 상기 앵글플레이트(30)의 내측면을 경계를 상기 앵커플레이트(20)가 매설되도록 모르타르가 타설된 타설부(4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핑거플레이트(10)에는 상기 앵커플레이트(20)의 사이에 형성되어 모르타르가 유입되는 스레드홀(13)이 포함되되, 상기 스레드홀(13)로 유입된 모르타르는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상단면에 맞춰 타설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0)와 상기 타설부(40)가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앵커플레이트(20)는,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부면에 용접 결합되는 접촉판(20a)과,
상기 접촉판(20a)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접촉판(20a)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는 연장판(20b)과,
상기 연장판(20b)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접촉판(20a)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매립판(20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단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상기 앵커플레이트(20)가 삽입되는 삽입홈(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In an integrated bridge expansion joint device installed on a bridge to prevent damage due to load to prevent damage during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slabs,
The finger plate 10 is disposed on both si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gap groove 11 in a pair on both sides, and fingers 12 intersecting each other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An anchor plate 20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at regular intervals and welded to the finger plate 10;
an angle plate 30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nchor plate 2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and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gap groove 11;
It consists of; a pouring part 40 in which the mortar is poured so that the anchor plate 20 is embedd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ngle plate 30;
The finger plate 10 includes a threaded hole 13 formed between the anchor plates 20 through which mortar is introduced, and the mortar introduced into the threaded hole 13 is the upper end of the finger plate 10 . It is poured to match the surface, and the finger plate 10 and the pouring part 40 are made to be firmly adhered,
The anchor plate 20,
a contact plate 20a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nger plate 10 and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an extension plate 20b protruding under the contact plate 20a and having a relatively narrower width than that of the contact plate 20a;
It protrudes under the extension plate 20b and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at of the contact plate 20a to form a buried plate 20c,
An integrated body that prevents damage by loa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14 are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anchor plate 20 is inserted. Expansion joints for bridg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20a)의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10)의 하부면에 용접 결합되는 확장판(21)과,
상기 연장판(20b) 및 상기 매립판(20c)의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타설부(40)에 매립되는 매립바(22)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xtension plate 21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contact plate 20a and wel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nger plate 10;
The extension plate 20b and the buried plate 20c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embedding bar 22 to be embedded in the pouring part 40. The integrated bridge preventing damage by loa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join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플레이트(30)에 결합되며, 상기 앵커플레이트(20)와 상기 앵커플레이트(20) 사이로 돌출되어, 타설된 상기 타설부(40)의 내부에 결합되는 지지바(32)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upport bar 32 coupled to the angle plate 30, protruding between the anchor plate 20 and the anchor plate 20,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oured pouring part 40, is further included. An all-in-one bridge expansion joint device that prevents damage due to loa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플레이트(30)의 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돌기(31)가 형성되며,
상기 간격홈(11)의 하단에 배치되며, 양측단이 상기 끼움돌기(31)에 고정된 배수판(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tting protrusion 31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ngle plate 30,
An integrated bridge expansion joint device that prevents damage due to load,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plate (5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gap groove (11) and fixed to the fitting protrusion (31) at both end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31)는 자성에 의해 접촉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수판(50)의 양측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 자성체(52)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31)에 삽입되어 상기 자성체(52)의 자성에 의해 고정되는 끼움판(51)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 일체형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tting protrusion 31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in contact with magnetism,
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52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drain plate 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tting plate 51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protrusion 31 and fixed by the magnetism of the magnetic body 52 . An expansion joint device for an integrated bridge that prevents damage due to loa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KR1020210038668A 2021-03-25 2021-03-25 Expansion joint device for integrated bridge that prevents damage caused by load KR1023000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668A KR102300099B1 (en) 2021-03-25 2021-03-25 Expansion joint device for integrated bridge that prevents damage caused by l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668A KR102300099B1 (en) 2021-03-25 2021-03-25 Expansion joint device for integrated bridge that prevents damage caused by lo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099B1 true KR102300099B1 (en) 2021-09-08

Family

ID=7778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668A KR102300099B1 (en) 2021-03-25 2021-03-25 Expansion joint device for integrated bridge that prevents damage caused by lo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09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882B1 (en) * 2022-01-26 2022-09-20 이정국 Expansion joints for bridges
KR102511958B1 (en) * 2022-04-13 2023-03-20 주식회사 지엠로드 One-touch expansion joint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2410A (en) * 1996-09-25 1998-04-21 Minoru Kusaba Web-plate mounting construction for steel joint in highway bridge
KR0119456Y1 (en) * 1994-11-10 1998-07-15 김성희 Expansion joint for bridge
JP2002309508A (en) * 2001-04-11 2002-10-23 Motonosuke Arai Expansion device for highway bridge
KR101368377B1 (en) * 2013-09-10 2014-03-03 (주)디에스엘 Expansion jointing apparatus for a bridge unify jointing process of anchor and drainage sheet
KR102212014B1 (en) 2020-09-15 2021-02-05 (주)디에스엘 Finger joint for bridge comprising finger plate release preven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456Y1 (en) * 1994-11-10 1998-07-15 김성희 Expansion joint for bridge
JPH10102410A (en) * 1996-09-25 1998-04-21 Minoru Kusaba Web-plate mounting construction for steel joint in highway bridge
JP2002309508A (en) * 2001-04-11 2002-10-23 Motonosuke Arai Expansion device for highway bridge
KR101368377B1 (en) * 2013-09-10 2014-03-03 (주)디에스엘 Expansion jointing apparatus for a bridge unify jointing process of anchor and drainage sheet
KR102212014B1 (en) 2020-09-15 2021-02-05 (주)디에스엘 Finger joint for bridge comprising finger plate release prevention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882B1 (en) * 2022-01-26 2022-09-20 이정국 Expansion joints for bridges
KR102511958B1 (en) * 2022-04-13 2023-03-20 주식회사 지엠로드 One-touch expansion join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099B1 (en) Expansion joint device for integrated bridge that prevents damage caused by load
KR101203980B1 (en) upper structure of bridge
KR101785624B1 (en) Precast expansion joints and method of construction for easy maintenance
KR101389285B1 (en) Pc girder shift of the chest wall with a block end integrated method
KR102040363B1 (en) Slab joint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s
KR200417259Y1 (en) Expansion joint for a bridge structure
KR101784721B1 (en) bridge-type expansion joint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hich can easily replace a drainage sheet
KR101160763B1 (en) Composite beam using deck plate having plulality of cap plate
KR102314546B1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Column and Beam
KR200406615Y1 (en) T shape precast concrete panel
KR102220544B1 (en) Bridge expansion joints with the improved install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191545B1 (en) Deck plate having plulality of cap plate
KR100949584B1 (en) Pre-cast concrete elment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for upper portion of bridge
JP6418805B2 (en) Embedded formwork for floor slabs
KR102405028B1 (en) Composite steel continuous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0140845Y1 (en) Expansion joint for road and bridge
EP1416101A1 (en) Composite beam
KR102305757B1 (en) Insrallation structure of hollow core slab
KR102247070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hollow core slab
JP2018165467A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precast wall balustrade
KR200291793Y1 (en) Pssc complex girder
KR102551244B1 (en) Web-open type steel box,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KR100564093B1 (en) A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of a bridge using expandable rubber
KR102618251B1 (en) Bridge Deck Replacement Construction Method
KR102663346B1 (en) Embedded device of full-depth precast deck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ransverse slope using the embedde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