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059B1 -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059B1
KR102300059B1 KR1020210070102A KR20210070102A KR102300059B1 KR 102300059 B1 KR102300059 B1 KR 102300059B1 KR 1020210070102 A KR1020210070102 A KR 1020210070102A KR 20210070102 A KR20210070102 A KR 20210070102A KR 102300059 B1 KR102300059 B1 KR 102300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al
user terminal
service us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민
Original Assignee
장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민 filed Critical 장영민
Priority to KR102021007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059B1/ko
Priority to US17/382,637 priority patent/US1168969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7Calculate past, present or future reven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41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mobile advert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특정 위치별 실시간 라이브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특정 위치의 외부 전경을 포함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 및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 특정 위치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는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 그리고 상기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위치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제공자 단말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상기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는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LIVE VIDEO}
본 발명은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인들이 설치한 특정 위치별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 라이브영상을 제공하는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트리트뷰(street view) 서비스는 미리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전자지도 상에서 사용자가 지정하는 위치의 거리 사진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종래 스트리트뷰 서비스의 경우 과거에 촬영된 정지화면 이미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점 등이 바뀌거나 거리 상황이 변하는 경우 업데이트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로 영상을 제공하는 정부 CCTV의 경우 일반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화질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안을 위해 집에 설치하는 홈 카메라의 경우 고가의 장비에 해당하므로, 일반인들이 구매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일반인들이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고화질 실시간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반인들이 설치한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고화질 실시간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위치별 실시간 라이브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은 특정 위치의 외부 전경을 포함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 및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 특정 위치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는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 그리고 상기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위치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제공자 단말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상기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플랫폼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은 특정 위치의 영상 제공자의 집 또는 오피스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집 또는 오피스 공간의 외부 전경을 포함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영상 촬영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 각각은 각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설치된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 및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서버는, 각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및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각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촬영 장치의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앱 지도 또는 웹 지도 상에 특정 위치별 카메라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카메라 아이콘 선택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카메라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촬영 장치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상기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은 상기 플랫폼 서버에게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에게 선택된 카메라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촬영 장치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때, 상기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상기 광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서버는, 카메라 아이콘 선택 횟수 정보에 기반하여, 카메라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제공자 단말에게 광고 수익금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반인들이 설치한 저가의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고화질 실시간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제공자가에게 광고 수익을 제공함으로써, 영상 제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다수의 영상 제공자의 참여를 통해 전세계 곳곳의 실시간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스트리트뷰 서비스 기술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실시간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 또는 자동차 표지판 등을 필터링함으로써,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고가의 영상 촬영 장치가 없어도, 플랫폼 서버를 통해 아파트 외 일반 주택의 외부전경이 촬영된 일정기간의 영상 저장이 가능하므로,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에에 따른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의 플랫폼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동작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의 플랫폼 서버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에에 따른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의 플랫폼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동작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은 영상 촬영 장치(100), 영상 제공자 단말(200),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 플랫폼 서버(400), 광고 서버(500), 빅데이터 서비스 이용자 단말(600), 기록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700)을 포함한다.
영상 촬영 장치(100)는 지도상 특정 위치에 위치하는 영상 제공자의 집 또는 오피스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집 또는 오피스 공간의 외부 전경을 포함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한 실시예로서, 도로, 건물, 사람, 자동차 등을 포함하는 외부 전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00)는 한 실시예로서, 집 또는 오피스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삼각대에 설치될 수 있고,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외벽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00)는 한 실시예로서, 실내외 2G 또는 5G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IP 카메라일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00)는 한 실시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00)는 한 실시예로서, 고화질 이미지 센서, 온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온도 센서, 습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습도 센서, 기압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압 센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마이크, GPS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00)는 한 실시예로서, 복수 개일 수 있으며, 각 영상제공자의 영상 제공자의 집 또는 오피스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영상 제공자 단말(200)은 한 실시예로서, 특정 위치의 외부 전경을 포함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 및 영상 촬영 장치(100)의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플랫폼 서버(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는 한 실시예로서, 영상 촬영 장치(100)가 설치되는 위치의 GPS 좌표 정보일 수 있다.
영상 제공자 단말(200)은 한 실시예로서, 와이파이(WIFI) 공유기의 DDNS(Dynamic DNS Services)를 통해 영상 촬영 장치(100)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영상 촬영 장치(100)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및 영상 촬영 장치(100)의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제공자 단말(200)은 한 실시예로서, 앱 또는 웹을 통해 영상 촬영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고, 보안을 위해 영상 촬영 장치(100)의 음성 녹화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영상 제공자 단말(200)은 음성 데이터가 제거된 영상 데이터를 플랫폼 서버(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영상 제공자 단말(200)은 한 실시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00)는 한 실시예로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외부 서버에 송신할 수 있고, 영상 제공자 단말(200)은 사물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00)는 한 실시예로서, 와이파이(WIFI) 공유기를 통해 실시간 영상 데이터,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플랫폼 서버(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영상 제공자 단말(200)은 한 실시예로서,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해 플랫폼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고, 영상 촬영 장치(100)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 및 계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은 한 실시예로서, 플랫폼 서버(400)가 제공하는 앱 지도 또는 웹 지도 상의 특정 위치의 카메라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고, 특정 위치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플랫폼 서버(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특정 위치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는 메시지는 카메라 아이콘 선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 아이콘 선택 정보는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400)는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로부터 특정 위치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제공자 단말(200)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버(400)는 등록부(410), 화면 관리부(420), 통신부(430), 영상 처리부(440), 인공지능 분석부(450), 저장부(460), 수익금 정산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등록부(410)는 한 실시예로서, 영상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영상 제공자 단말(200)과 연결된 영상 촬영 장치(100)의 IP주소를 등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면 관리부(420)는 한 실시예로서, 각 영상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및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각 영상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촬영 장치(100)의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앱 지도 또는 웹 지도 상에 특정 위치별 카메라 아이콘(3a)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화면 관리부(420)는 한 실시예로서, 선택된 카메라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촬영 장치(100)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에게 제공할 때,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의 화면 상에 광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화면 관리부(420)는 한 실시예로서, 실시간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고 있는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의 화면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광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화면 관리부(420)는 한 실시예로서, 실시간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고 있는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의 화면의 미리 설정된 위치의 사각 프레임 내부에 광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화면 관리부(420)는 한 실시예로서,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에게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때, 화면 상에 동영상 광고를 출력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건너뛰기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화면 관리부(420)는 한 실시예로서,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에게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때, 화면 상의 전광판 형상의 이미지에 광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화면 관리부(420)는 한 실시예로서,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에게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때, 화면 상에 실시간 채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화면 관리부(420)는 한 실시예로서,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에게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때, 화면 상에 미리 설정된 평가 항목에 관한 설문을 표시할 수 있다.
통신부(430)는 한 실시예로서,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영상 제공자 단말(200),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 광고 서버(500), 빅데이터 서비스 이용자 단말(600), 기록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7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30)는 한 실시예로서, 영상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영상 촬영 장치(100)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고, 영상 촬영 장치(100)의 IP주소 정보를 바탕으로 영상 촬영 장치(100)로부터 직접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430)는 한 실시예로서,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하는 카메라 아이콘 선택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카메라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촬영 장치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440)는 한 실시예로서, 미리 저장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택된 카메라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촬영 장치(100)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에서 사람의 얼굴 또는 자동차 번호판에 대해 필터링(Filtering)을 수행하여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리 저장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은 블러링(blurring) 알고리즘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440)는 한 실시예로서, 실시간 영상 데이터에서 사람의 얼굴 또는 자동차 번호판에 대해 블러링을 수행하여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440)는 한 실시예로서, 영상 제공자 단말(200) 또는 영상 촬영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한 후 10초 내지 60초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440)는 한 실시예로서, 영상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영상에서 특정 부분(예, 주택 또는 오피스의 창문)의 블러링 처리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영상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에서 특정 부분에 대한 블러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인공지능 분석부(450)는 한 실시예로서, 미리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특정 위치별 인구 통행량 정보, 차량 통행량 정보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인공지능 분석부(450)는 한 실시예로서, 미리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200) 또는 영상 촬영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온도 데이터, 습도 데이터, 기압 데이터를 분석하여 날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460)는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 및 계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수익금 정산부(470)는 한 실시예로서, 등록된 영상 제공자 단말(200)에 대응하는 카메라 아이콘 선택 횟수 정보와 미리 저장된 수익금 맵데이터를 비교한 결과에 기반하여, 해당 영상 제공자 단말(200)에 대한 광고 수익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수익금 정산부(470)는 한 실시예로서, 통신부(430)를 통해 카메라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제공자 단말(200)에게 광고 수익금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수익금 정산부(470)는 한 실시예로서, 영상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출금신청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영상 제공자 단말(200)의 광고 수익금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영상 제공자 단말(200)의 은행 계좌 또는 간편 결제 서비스 계정(예, paypal, 네이버페이)에 이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 제공자는 자신이 원할 때 언제든지 개인 은행 계좌로 출금 신청을 할 수도 있고, 간편 결제 서비스 계정으로 출금 신청을 할 수도 있다.
제어부(480)는 한 실시예로서, 등록부(410), 화면 관리부(420), 통신부(430), 영상 처리부(440), 인공지능 분석부(450), 저장부(460), 수익금 정산부(4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한 실시예로서, 빅데이터 서비스 이용자 단말(600)로부터 빅데이터 분석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통신부(430)를 통해 빅데이터 서비스 이용자 단말(600)에게 빅데이터 분석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한 실시예로서, 기록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700)로부터 특정 시점의 기록영상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록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700)에게 특정 시점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특정 시점의 기록영상은 범죄 또는 교통 사고 증거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로서, 동일한 위치 정보를 갖는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200)이 플랫폼 서버(400)에 등록될 수 있다.
제어부(480)는 한 실시예로서,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이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200)이 등록된 카메라 아이콘을 선택하면, 미리 설정된 기준 요건을 비교하여, 화면에 노출되는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준 요건은 한 실시예로서, 카메라의 고도, 해상도, 및 화각, 온도, 습도, 기압 수집 기능 유무, 화면 클릭 횟수, 광고 클릭 횟수, 서비스 이용자 평점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480)는 한 실시예로서, 동일한 위치 정보를 갖는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200)이 플랫폼 서버(400)에 등록될 때, 카메라의 고도가 더 높고, 해상도가 더 높으며, 화각이 더 넓으며, 온도, 습도, 기압 수집 기능이 있으며, 화면 클릭 횟수가 더 많으며, 광고 클릭 횟수가 더 많으며, 서비스 이용자 평점이 더 높은 영상 제공자 단말(200)을 화면의 최상단에 노출시킬 수 있다.
광고 서버(500)는 한 실시예로서, 플랫폼 서버(400)에게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빅데이터 서비스 이용자 단말(600)은 한 실시예로서, 플랫폼 서버(400)에게 빅데이터 분석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빅데이터 서비스 이용자 단말(600)은 한 실시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기록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700)은 한 실시예로서, 플랫폼 서버(400)에게 특정 시점의 기록영상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기록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700)은 한 실시예로서, 국가수사기관의 이용자 단말일 수 있다.
기록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700)은 한 실시예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의 플랫폼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는, 컴퓨터 시스템,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900)은, 버스(920)를 통해 통신하는 프로세서(910), 메모리(9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96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970), 및 저장 장치(9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900)은 또한 네트워크에 결합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9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또는 메모리(930) 또는 저장 장치(98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930) 및 저장 장치(98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930)는 ROM(read only memory)(931) 및 RAM(random access memory)(9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재의 실시예는 컴퓨터에 구현된 방법으로서 구현되거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본 기재의 적어도 하나의 양상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버는 프로세서(910) 및 메모리(93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및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각 영상 제공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촬영 장치(100)의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앱 지도 또는 웹 지도 상에 특정 위치별 카메라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하는 카메라 아이콘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택된 카메라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촬영 장치(100)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에서 사람의 얼굴 또는 자동차 번호판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하여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에게 송신하는 단계,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에게 선택된 카메라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촬영 장치(100)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때,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300)의 화면 상에 광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카메라 아이콘 선택 횟수 정보에 기반하여, 카메라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제공자 단말(200)에게 광고 수익금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의 동작 내용은 위에서 설명한 플랫폼 서버의 동작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특정 위치별 실시간 라이브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특정 위치의 영상 제공자의 집 또는 오피스 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집 또는 오피스 공간의 외부 전경을 포함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영상 촬영 장치,
    특정 위치의 외부 전경을 포함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 및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
    특정 위치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는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 그리고
    상기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위치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제공자 단말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상기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플랫폼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 각각은 각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설치된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 및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복수의 영상 촬영 장치는
    센서를 통해 온도 데이터, 습도 데이터, 기압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는
    미리 저장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선택된 카메라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촬영 장치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에서 사람의 얼굴 또는 자동차 번호판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하여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는
    미리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특정 위치별 인구 통행량 정보 및 차량 통행량 정보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는
    빅데이터 서비스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빅데이터 분석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빅데이터 서비스 이용자 단말에게 상기 빅데이터 분석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플랫폼 서버는
    복수의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록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시점의 기록영상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기록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에게 특정 시점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각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영상 데이터 및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각 영상 제공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촬영 장치의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앱 지도 또는 웹 지도 상에 특정 위치별 카메라 아이콘을 표시하는,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카메라 아이콘 선택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카메라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촬영 장치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상기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플랫폼 서버에게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에게 선택된 카메라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촬영 장치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때, 상기 라이브영상 서비스 이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상기 광고 정보를 표시하는,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카메라 아이콘 선택 횟수 정보에 기반하여, 카메라 아이콘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는 영상 제공자 단말에게 광고 수익금 정보를 송신하는,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
KR1020210070102A 2021-05-31 2021-05-31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 KR102300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102A KR102300059B1 (ko) 2021-05-31 2021-05-31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
US17/382,637 US11689698B2 (en) 2021-05-31 2021-07-22 Live image prov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102A KR102300059B1 (ko) 2021-05-31 2021-05-31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059B1 true KR102300059B1 (ko) 2021-09-09

Family

ID=7777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102A KR102300059B1 (ko) 2021-05-31 2021-05-31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89698B2 (ko)
KR (1) KR1023000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591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위치 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061261A (ko) * 2010-12-03 2012-06-13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제공 서버 및 방법
KR20170086320A (ko) * 2016-01-18 2017-07-26 씨엠마케팅컴퍼니 주식회사 위치 기반형 현장영상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3556A (ko)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원 블록 체인 기반의 영상 공유 방법 및 영상 공유 플랫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9361A1 (en) * 2008-06-13 2009-12-24 Paul Conrady Web-based communication system
US20120013738A1 (en) * 2010-07-15 2012-01-19 Sdr Solutions, Llc Video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with display advertising
US9996237B2 (en) * 2014-05-12 2018-06-12 Agt International Gmbh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of visual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591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위치 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061261A (ko) * 2010-12-03 2012-06-13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제공 서버 및 방법
KR20170086320A (ko) * 2016-01-18 2017-07-26 씨엠마케팅컴퍼니 주식회사 위치 기반형 현장영상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3556A (ko)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 에스원 블록 체인 기반의 영상 공유 방법 및 영상 공유 플랫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89698B2 (en) 2023-06-27
US20220385860A1 (en)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2663B1 (en) Remote video system
JP6080949B2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管理システム
JP5577318B2 (ja) 位置情報提供方法及び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
US201501250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collection using processed image data
TW201702956A (zh) 智慧型告示牌
TW201702957A (zh) 測量智慧型告示牌之使用者參與度
CN109493122A (zh) 用于实体店铺的客流统计分析方法、终端及存储介质
US20150324635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visitor monitoring
US96150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 monitoring
KR20120092850A (ko)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US20140032705A1 (en) Portable sign-in service
KR20140141745A (ko) 홍보 브이알 시스템 및 방법
KR102300059B1 (ko) 라이브영상 제공 시스템
KR20190119919A (ko) 스마트 광고 시스템
KR20120022483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986394B2 (en) Camera system
JP2006251105A (ja) 地図情報作成及び配信方法、並びに地図情報作成及び配信システム
KR100853379B1 (ko) 위치기반 이미지 파일 변환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서버
KR20220115643A (ko) 맞춤형 광고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20130057821A (ko) 무선랜 존에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 방법
KR20220012476A (ko) 승강장 유료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20140451A (ko) 촬영된 영상에 위치정보와 환경정보를 부가하는 촬영장치 및 방법
KR101336618B1 (ko) 얼굴인식을 통한 광고노출 카운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65186B1 (ko) 단말기 간에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방법
US20210287252A1 (en) Dynamic vehicle advertis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