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961B1 -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961B1
KR102299961B1 KR1020210073304A KR20210073304A KR102299961B1 KR 102299961 B1 KR102299961 B1 KR 102299961B1 KR 1020210073304 A KR1020210073304 A KR 1020210073304A KR 20210073304 A KR20210073304 A KR 20210073304A KR 102299961 B1 KR102299961 B1 KR 102299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rod
pressing
conductive laye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3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건
Original Assignee
이동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건 filed Critical 이동건
Priority to KR1020210073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9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9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1/00Dovetailed work; Tenons; Making tongues or grooves; Groove- and- tongue jointed work; Finger- joints
    • B27F1/08Making dovetails, tongues, or tenons, of definite limited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1/00Applying adhesives or glue to surfaces of wood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03Mechanical surfac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6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or tap hole conne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temporarily fix furnutu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tting step, a machining step, a grinding step, an assembling step, and a fixing step.

Description

가구 제조방법{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가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및 가고정이 용이한 가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temporarily fix.

가구란 일반적으로 집안 살림에 쓰는 기구로서, 주로 장롱, 책장, 탁자, 의자 따위와 같이 비교적 큰 제품을 이른다.Furniture is generally used for housekeeping, and mainly refers to relatively large products such as wardrobes, bookcases, tables, and chairs.

종래의 기술인 등록특허 제10-1231585호(이하 종래기술)는 전통가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목을 단일부품(130)의 각 크기별로 절단하는 제1단계; 절단된 상기 원목을 개별 단일부품(130) 형상으로 가공하고, 가공된 상기 단일부품(130)이 상호 이음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단일부품(130)들의 어느 일측에 결합부(113,160) 및 수용부(123,170)를 가공하는 제2단계; 상기 결합부(113,160) 및 상기 수용부(123,170)의 표면에 상호 대응하는 요철면(115,125,165,175)을 가공하는 제3단계; 요철면이 가공된 단일부품에 토칠을 하는 제4단계; 토칠된 각 단일부품에 1차 옻칠하는 제5단계;냉각된 상기 단일부품(130)들을 조립하여 백골(白骨)몸체(140)를 완성하는 제8단계; 들을 포함함으로써, 각 단일부품의 수분침투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도록 하고, 특히 결합부위의 수분 침투가 차단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 결합부위의 뒤틀림 및 틈의 발생이 방지되어 전통가구가 본연의 형상을 유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prior art Registered Patent No. 10-1231585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relates to a traditional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a first step of cutting a single piece of wood for each size of a single part 130; The cut log is processed into an individual single part 130 shape, and the coupling parts 113 and 160 and the receiving part on either side of the single parts 130 so that the processed single part 130 can form a joint joint. A second step of processing (123,170); a third step of processing the concave-convex surfaces (115, 125, 165, 175) corresponding to the surfaces of the coupling parts (113, 160) and the receiving parts (123, 170); a fourth step of torching the single part with the concave-convex surface; A fifth step of first lacquering each of the single parts to be painted; an eighth step of assembling the cooled single parts 130 to complete the white bone body 140; By including these, the moisture penetration of each single part is fundamentally blocked, and in particular, as moisture penetration of the joint part is blocked, distortion and the occurrence of gaps in the joint part are prevented during long-term use, so that the traditional furniture maintains its original shape. it will work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골격부재(단일부품)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skeletal members (single parts) cannot be easily assembl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립 및 가고정이 용이하여 가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that allows easy assembly and temporary fixing, thereby making it easy to manufacture furniture.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and features.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원자재를 절단하여 골격부재로 제조하는 절단 단계(S10), 상기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골격부재의 일 측에 홈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골격부재의 일 측에 상기 홈의 폭 보다 큰 폭을 가지는 돌기를 형성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공 단계(S20), 연마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골격부재를 연마하는 그라인딩 단계(S30), 상기 골격부재의 홈 또는 돌기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이웃하는 골격부재 중 어느 하나의 홈에 다른 하나의 돌기를 삽입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립 단계(S40) 및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골격부재를 가압하는 단계 및 이웃하는 골격부재에 핀을 박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정 단계(S50)를 포함한다.A cutting step (S10) of cutting the raw material using a cutting device to manufacture a frame member, forming a groove on one side of the frame member using the machining device, and a part of the frame member using the machining device A processing step (S20)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steps of forming a protrusion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groove on the side, a grinding step (S30) of grinding the skeleton member using a polishing device (S30), the groove of the skeleton member Alternatively, an assembling step (S40) comprising at least one of applying an adhesive to the protrusion and inserting the other protrusion into any one groove of the neighboring skeletal member and pressing the neighboring skeletal member using a pressing device and a fixing step (S50)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step of driving a pin to the neighboring frame member.

또한 상기 가압장치는, 봉, 상기 봉에 결합되는 결합파트 및 상기 결합파트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연장파트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봉에 체결되는 이동파트 및 상기 이동파트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가압파트를 포함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파트를 상기 봉 상에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device includes a support part including a rod,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rod, and an extension part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coupling part, a movable part fastened to the rod, and a pressing part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movable part It may include a pressing unit and a transfer means connected to the pressing unit to move the moving part on the rod.

또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봉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파트, 상기 고정파트에서 돌출 구비되되 상기 봉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중공이 형성된 너트 및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와 체결되고, 단부가 상기 가압파트와 연결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port means, a fixed part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d, a nut protruding from the fixed part and having a hollow form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and the nut passing through the hollow, The end may include a bolt connected to the pressing part.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골격부재의 일 측에 홈과 홈의 폭 보다 큰 폭을 가지는 돌기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조립 단계 및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골격부재를 가압하는 단계 등을 포함함으로써, 조립 및 가고정이 용이하여 가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 groove and a protrusion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groove on one side of the skeleton member, and assembling and pressing the skeleton member using a pressing device. ,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manufacture furniture because it is easy to assemble and temporarily fix.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절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골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가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연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골격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가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핀 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flowchart for explaining a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utting devic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keletal member.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ing apparatus.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lishing apparatus.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keleton member is assembled.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essing device.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in gu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of the embodiment (態樣, aspect) (or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spect, aspect, aspect) (or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s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1~, ~2~, etc.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referred to only to distinguish that they are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of manufacture, and their name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are may not match.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2는 절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골격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flowchart for explaining a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utting device,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keletal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제조방법은 골격부재(1)들을 용이하게 조립하여 가구(8)(후술하는 도 6 참조)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방법'이라 칭하기로 한다.The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asily assembling the skeletal members 1 to manufacture the furniture 8 (refer to FIG. 6 to be described later). This method will be referred to as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방법은 절단 단계(S10), 가공 단계(S20), 그라인딩 단계(S30), 조립 단계(S40) 및 고정 단계(S50)를 포함한다.1 to 3 , the method includes a cutting step (S10), a processing step (S20), a grinding step (S30), an assembling step (S40), and a fixing step (S50).

절단 단계(S10)는 절단장치(2)를 이용하여 원자재(1a)를 절단하여 골격부재(1)로 제조하는 단계이다.The cutting step (S10) is a step of cutting the raw material (1a) using the cutting device (2) to manufacture the skeletal member (1).

여기에서 원자재(1a)는 목재일 수 있으며, 절단장치(2)는 예시적으로 축, 상기 축과 축결합 되는 원형톱날 및 상기 축을 회동시키는 구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절단장치(2)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상기 원자재(1a)를 절단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raw material 1a may be wood, and the cutting device 2 may include, for example, a shaft, a circular saw blade coupled to the shaft and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shaft. The above-described cutting device (2)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and of course,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included as long as the raw material (1a) can be cut.

상기 절단 단계(S10)에서 절단장치(2)에 의해 원자재(1a)가 절단되어 제조되는 골격부재(1)는 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가구(8)의 골격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구(8)가 의자일 경우 상기 골격부재(1)는 등받이, 팔걸이, 다리 등에 해당하는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skeleton member 1 manufactured by cutting the raw material 1a by the cutting device 2 in the cutting step S10 may constitute the skeleton of the furniture 8 manufactured by the present method. For example, when the furniture 8 is a chair, the skeletal member 1 may include members corresponding to a backrest, an armrest, a leg, and the like.

도 4는 가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ing apparatus.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공 단계(S20)는 가공장치(3)를 이용하여 상기 골격부재(1)의 일 측에 홈(11)을 형성시키는 단계(S21) 및 상기 가공장치(3)를 이용하여 상기 골격부재(1)의 일 측에 상기 홈(11)의 폭 보다 큰 폭을 가지는 돌기(12)를 형성시키는 단계(S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1, 3 and 4, the processing step (S20) is a step (S21) of forming a groove 11 on one side of the skeleton member 1 using the processing device 3 (S21) and the processing and at least one of the step (S22) of forming the protrusion 12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groove 11 on one side of the skeleton member 1 by using the device 3 .

가공장치(3)는 예시적으로 절삭공구, 상기 절삭공구를 회동시키는 구동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으로는 가공장치(3)는 상기 절삭공구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CNC 장치 등일 수 있다.The processing apparatus 3 may include, for example, a cutting tool,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cutting tool, and the like. 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3 may be a CNC device including a transfer unit for moving the cutting tool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여기에서 수평 방향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이고, 수직 방향은 연직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ame will be appli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가공 단계(S20)에서 가공장치(3)는 상기 골격부재(1)를 파서 홈(11)을 형성시키거나, 특정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을 파서 돌기(12)를 형성시킬 수 있고, 홈(11)과 돌기(12)가 번갈아가며 배치되도록 가공할 수도 있다(도 4 참조).In the processing step (S20), the processing device 3 may dig the skeleton member 1 to form a groove 11, or may dig other portions except for a specific portion to form a projection 12, and a groove ( 11) and the protrusion 12 may be processed to be alternately arranged (see FIG. 4).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가공 단계(S30)에서 돌기(12)의 폭(12)을 홈(11)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시킨다고 하였는데, 이를 통해 후술하는 조립 단계(S40)에서 돌기(12)가 상기 홈(11)에 억지 끼워 맞춤 되도록 함으로써, 이웃하는 골격부재(1) 들의 보다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ing step (S30), the width 12 of the protrusion 1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groove 11. Through this, the protrusion 12 is formed in the assembling step S40 to be described later. By making it press fit into the groove 11,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neighboring skeletal members 1 are more firmly assembled.

예시적으로 돌기(12)는 그 단면이 원형일 수 있으며, 이러할 경우 돌기(12)의 폭은 외경이 되며, 홈(11)의 폭 또한 내경을 의미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protrusion 12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protrusion 12 may be the outer diameter, and the width of the groove 11 may also mean the inner diameter.

도 5는 연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lishing apparatus.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그라인딩 단계(S30)는 연마장치(4)를 이용하여 상기 골격부재(1)를 연마하는 단계이다.1 and 5 , the grinding step ( S30 ) is a step of grinding the skeleton member ( 1 ) by using the polishing device ( 4 ).

연마장치(4)는 연마숫돌 및 상기 연마숯돌과 축결합 되는 숯돌축 및 상기 숯돌축을 회동시키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lishing apparatus 4 may include a grinding stone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charcoal stone shaft and the charcoal stone shaft that are shaft-coupled to the polishing stone.

상기 그라인딩 단계(S30)에서 상기 골격부재(1)는 연마장치(4)에 의해 표면이 매끈해지도록 연마될 수 있다.In the grinding step (S30), the skeleton member 1 may be polished to a smooth surface by the polishing device 4 .

도 6은 골격부재가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keleton member is assembled.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립 단계(S40)는 상기 골격부재(1)의 홈(11) 또는 돌기(12)에 접착제(7)를 도포하는 단계(S41) 및 이웃하는 골격부재(1) 중 어느 하나의 홈(11)에 이웃하는 골격부재(1) 중 다른 하나의 돌기(12)를 삽입하는 단계(S4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1 and 6 , the assembling step ( S40 ) includes the step ( S41 ) of applying an adhesive 7 to the grooves 11 or protrusions 12 of the framework member 1 ( S41 ) and the neighboring framework members 1 . )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step (S42) of inserting the other protrusion 12 of the skeletal member 1 adjacent to any one of the grooves 11 (S42).

예시적으로 (S41) 단계에서 사용되는 접착제(7)는 에폭시 수지 등일 수 있다. Illustratively, the adhesive 7 used in step (S41) may be an epoxy resin or the like.

상술하였듯이 상기 가공 단계(S20)에서 돌기(12)의 폭이 홈(11)의 폭 보다 크도록 형성된다고 하였는데, 따라서 상기 (S42) 단계에서 상기 돌기(12)는 홈(11)에 삽입 및 억지 끼워 맞춤되어 이웃하는 골격부재(1)가 보다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ing step (S20), the width of the protrusion 1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groove 11. Therefore, in the step (S42), the protrusion 12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1 and restrained. By fitting the adjacent frame member 1 can be assembled more firmly.

도 7은 가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핀 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essing device, Figure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in gun.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고정 단계(S50)는 가압장치(5)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골격부재(1)를 가압하는 단계(S51) 및 이웃하는 골격부재(1)에 핀을 박는 단계(S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1, 7, and 8, the fixing step (S50) is a step (S51) of pressing the neighboring skeletal member (1) using the pressing device (5) and a pin on the neighboring skeletal member (1) I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driving step (S52).

도 7을 참조하여, 고정 단계(S50)를 수행하는 가압장치(5)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가압장치(5)는 봉(51)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봉(51)은 금속 재질일 수 있으며, 상하 방향(수직 방향과 평행)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pressing device 5 for performing the fixing step S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ressing device 5 includes a rod 51 . For example, the rod 51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may have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가압장치(5)는 봉(51)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결합파트(521) 및 상기 결합파트(521)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연장)되어 구비되는 연장파트(522)를 포함하는 지지부(5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device 5 includes a coupling part 521 that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rod 51 and an extension part 522 that protrudes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coupling part 521 and includes a support part ( 52) may be included.

또한 가압장치(5)는 봉(51)에 체결되는 이동파트(531) 및 이동파트(531)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연장)되어 구비되는 가압파트(532)를 포함하는 가압부(5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device 5 includes a pressing part 53 including a moving part 531 fastened to the rod 51 and a pressing part 532 provided by protruding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moving part 531 . may include

이동파트(531)는 봉(51)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하고, 이동파트(531)의 체결공에 상기 봉(51)이 관통 삽입되어 봉(51) 상에서 이동파트(531)가 봉(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결합)될 수 있다.The moving part 531 includes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rod 51 is penetrated, and the rod 51 is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of the moving part 531 so that the moving part 531 is formed on the rod 51 . It may be fastened (coupl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51 .

이때 가압장치(5)는 가압부(53)(예시적으로 가압파트(532))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파트(531)를 상기 봉(51) 상에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54)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sing device 5 may include a transfer unit 54 connected to the pressing unit 53 (eg, the pressing part 532 ) to move the moving part 531 on the rod 51 . .

이송수단(54)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봉(51)의 단부에 구비되어 봉(51)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파트(54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파트(541)는 예시적으로 봉(51)과 용접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봉(51)과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transfer means 54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t may include a fixing part 541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d 51 and fixed to the end of the rod 51 . The fixing part 541 may be coupled to the rod 51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for example, welding with the rod 51 .

또한 이송수단(54)은 상기 고정파트(541)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연장) 구비되는 너트(5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542)는 상기 봉(5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means 54 may include a nut 542 protruding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fixing part 541 . The nut 542 may have a hollow form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51 .

상기 너트(542)는 예시적으로 상기 중공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The nut 542 may be provided with a female threa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forms the hollow by way of example.

이송수단(54)은 상기 중공을 관통하고,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산과 체결되도록 수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너트(542)와 체결되는 볼트(5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543)는 단부가 상기 가압파트(532)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transfer means 54 may include a bolt 543 that passes through the hollow and is provided with a male threa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fastened with the female thread and is fastened to the nut 542 . The bolt 543 may have an end connected to the pressing part 532 to be fixed.

상기 볼트(543)는 마찬가지로 상기 봉(5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으며, 볼트(543)가 길이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일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파트(541)에 구비되는 너트(542)는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볼트(543)가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일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하측 방향 또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bolt 543 may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51 , and when the bolt 543 rotates in one direction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central axis, the fixing part 541 . Since the position of the nut 542 provided in the nut 542 is fixed, the bolt 543 can move in an upward direction or a downward direction, and when it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it can move in a downward direction or an upward direction.

따라서 볼트(543)에 연결되는 가압파트(532)가 봉(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압파트(532)와 연장파트(522)의 이격 거리가 조절 가능하여 가압파트(532)와 연장파트(522) 사이에 배치되는 골격부재(1)들이 가압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sing part 532 connected to the bolt 543 can reciproc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51, and through thi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ressing part 532 and the extended part 522 can be adjusted. The skeletal members 1 disposed between the 532 and the extended part 522 can be pressed.

상술하였듯이 골격부재(1)들은 홈(11) 및 돌기(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고, 상기 돌기(12)의 폭이 홈(11)의 폭 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억지끼움 된다고 하였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파트(532)와 연장파트(522) 사이의 거리가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돌기(12)를 홈(11)으로 보다 쉽게 가압할 수 있어 이웃하는 골격부재(1)들을 보다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t was said that the skeletal members 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groove 11 and the projection 12, and the width of the projection 1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groove 11, and it is said that it is a force fit.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sing part 532 and the extended part 522 is adjustabl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ress the protrusion 12 into the groove 11, so that the neighboring skeletal members 1 can be seen more easily.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firmly assembled.

고정 단계(S50)는 이웃하는 골격부재(1)에 핀을 박는 단계(S52)를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다. 상기 (S52) 단계는 핀을 발사하는 핀 총(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It was said that the fixing step (S50) may include a step (S52) of driving a pin into the neighboring skeletal member (1). The step (S52) may be performed by the pin gun 6 firing the pin.

(S52) 단계는 상기한 (S40) 단계에서 조립되어 가고정된 가구(8)에 핀을 박아 영구적으로 골격부재(1)들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공정이다. 상기 핀 총(6)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tep (S52) is a process for permanently fixing the frame members 1 by driving pins into the furniture 8 assembled and temporarily fixed in the step (S40). The pin gun 6 is commonly used in the field,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단계가 (S51)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S52) 단계에서 핀을 골격부재(1)에 발사하여 박히도록 하여도, 가압장치(5)에 의해 골격부재(1)들이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여, (S52)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도 보다 정밀한 가구(8)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esent step includes the step (S51), even if the pin is fired to the frame member 1 in the step (S52) to be hit, the frame members 1 are shaken by the pressing device 5.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more precise furniture 8 even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step (S52).

한편 가압장치(5)는 지지부(52) 상부에 구비되는 방수막(G)을 포함할 수 있다. 방수막(G)은 지지부(52)의 상부에 구비되는 누수감지수단(G2) 및 누수감지수단(G2)의 상부에 구비되는 방수수단(G1)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pressurizing device 5 may include a waterproofing membrane G provided on the support part 52 . The waterproofing membrane (G) includes a water leak detecting means (G2)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art (52) and a waterproofing means (G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leak detecting means (G2).

방수막(G2)은 지지부(52)와 누수감지수단(G2)을 상호 부착시키는 접착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잇는데, 접착층(미도시)은 아크릴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proofing film G2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not shown) for attaching the support 52 and the leak detecting means G2 to each other, and the adhesive layer (not shown) may include an acrylic adhesive.

방수수단(G1)은 프로필렌 에틸렌(propylene ethylene) 공중합체(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데 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는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채용되었다.The waterproofing means (G1) includes 100 parts by weight of a propylene ethylene copolymer (or ethylene-propylene copolymer), and the propylene-ethylene copolymer is employed to impart elasticity.

또한 방수수단(G1)은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와 폴리올(polyol) 혼합물 60 중량부를 포함하는데, 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혼합물이 6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윤활성 및 표면 코팅성이 저하되고,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방수층 전체의 경량성이 저하된다.In addition, the waterproofing means (G1) includes 6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diisocyanate and polyol, which was used to impart waterproofness, and when the mixture of diisocyanate and polyol is less than 60 parts by weight, lubricity and surface coating properties are lowered and when it exceeds 60 parts by weight, the lightness of the entire waterproofing layer is reduced.

알루미네이트(aluminate)는 방수수단(G1)의 각 성분들의 결합성 및 응집성을 향상시키도록 첨가된 것으로서, 결합 보제가 4 중량부 미만이면 혼합속도가 저하되고 4 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특성 및 경량성이 저하될 수 있다.Aluminate is added to improve the bonding properties and cohesiveness of each component of the waterproofing means (G1), and when the bonding aid is less than 4 parts by weight, the mixing speed is lowered, and when it exceeds 4 parts by weight, mechanical properties and lightness this may be lowered.

방수수단(G1)은 누수감지수단(G2)과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아크릴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waterproofing means (G1) may further include an acrylic adhesive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leak detection means (G2).

도 9를 참조하여 누수감지수단(G2)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누수감지수단(G2)은 방수수단(G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면에 다수의 지지홈(G211)이 형성된 하부 도전층(G21), 상기 하부 도전층(G21) 상부에 구비되는 절연층(G22), 상기 절연층(G22)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도전층(G23), 상기 지지홈(G211)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절연층(G22)에 배치되는 흡수팽창부(G24), 상기 하부 도전층(G21)에 연결된 하부 도전체(G25), 상기 흡수팽창부(G24) 상부에 구비된 상부 도전체(G26), 상기 하부 도전체(G25)와 상기 상부 도전체(G2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선(G27)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water leak detecting means G2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the water leak detecting means G2 is provided on the waterproof means G1 and has a lower conductive layer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G211 on the upper surface ( G21), the insulating layer G22 provided on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provided on the insulating layer G22, and the insulating layer supported by the support groove G211 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G24 disposed in the layer G22, the lower conductor G25 connected to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the upper conductor G26 provided on 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G24, and the lower part A conductive line G27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or G25 and the upper conductor G26 may be included.

여기에서 하부 도전층(G21), 상부 도전층(G23), 하부 도전체(G25), 상부 도전체(G26), 도선(G27) 각각은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전도성 필름 또는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G22)은 예시적으로 알갱이 형상이 다수의 고분자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다수의 고분자수지 알갱이는 하부 도전층(G21)과 상부 도전층(G23) 사이에 배치되어 흡수팽창부(G24)가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부 도전층(G21)과 상부 도전층(G23)을 이격시킨다.Here, each of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the lower conductor G25, the upper conductor G26, and the conductive wire G27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film such as copper or aluminum or a metal material. can The insulating layer G22 may include, for example, a plurality of polymer resins having a granular shape. That is, a plurality of polymer resin particles are disposed between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and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so that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and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are in a state in which 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G24) is not expanded. to separate

흡수팽창부(G24)는 폴리아크릴레이트(G241)(polyacrylate), 폴리아크릴레이트(G241)를 감싸되 면직물로 형성되는 내피(G242) 및 마 직조 직물로 형성되고 상기 내피(G242)를 감싸는 외피(G2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sorbent expansion part (G24) is formed of an endothelium (G242) formed of cotton fabric and hemp woven fabric wrapped around polyacrylate (G241), polyacrylate (G241), and an outer shell (G242) surrounding the endothelium (G242). G243).

흡수팽창부(G24)는 물과 접촉할 경우 상기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물은 내피(G242)와 외피(G243)를 투과하여 폴리아크릴레이트(G241)에 흡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G241)는 외피(G243)와 내피(G242)를 투과한 물을 흡수하여 팽창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흡수팽창부(G24)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누수감지수단(G2)이 흡수팽창부(G24)를 포함하여 물을 흡수 할 수 있기 때문에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G24 is designed to absorb and expand the water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and the water may be absorbed into the polyacrylate G241 by penetrating the endothelium G242 and the outer shell G243. The polyacrylate (G241) absorbs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er shell (G243) and the endothelium (G242) and expands, there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G24). In this way, since the water leak detection means (G2) can absorb water by including 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G24),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aterproofness.

상기한 상부 도전체(G26)는 강력 접착제 등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그 하부가 외피(G243) 및 내피(G242) 중 적어도 하나와 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nductor G26 may be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outer shell G243 and the inner shell G242 by a conventional method used in the relevant field, such as a strong adhesive.

한편 상부 도전층(G23)은 깔때기 형상의 다수의 호퍼(G231)를 포함할 수 있다. 물은 호퍼(G231)의 유입구(G231a)로 유입되어 배출구(G231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호퍼(G231) 각각의 배출구(G231b)는 흡수팽창부(G24)가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홈(G211) 각각의 중심 부분과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may include a plurality of funnel-shaped hoppers G231 .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G231a of the hopper G231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G231b.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outlets G231b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oppers G231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G211 in which the absorption and expansion parts G24 are disposed.

상부 도전체(G26)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되, 상부 도전체(G26)의 상단 폭은 배출구(G231b)의 폭 보다 작고, 상부 도전체(G26)의 하단 폭은 흡수팽창부(G24)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The width of the upper conductor G26 decreas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but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ductor G26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G231b, and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ductor G26 is 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 It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G24).

도 9의 [A]를 참조하면, 흡수팽창부(G24)는 물을 흡수하지 않은 상태로 팽창되지 않아, 하부 도전층(G21)과 상부 도전층(G23)은 절연층(G22)에 의해 이격된 상태이다. 따라서 하부 도전층(G21)에서 상부 도전층(G23) 또는 상부 도전층(G23)에서 하부 도전층(G21)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A , 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G24 does not expand without absorbing water, so that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and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are spaced apart by the insulating layer G22. is in a state of being Accordingly, since no current flows from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to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or from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to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leakage does not occur.

만약 도 9의 [A]에서 이웃하는 호퍼(G231)의 경계선(DL)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이하 (제1영역(A1))(도 9의 좌측 영역)에 물이 고이는 경우, 호퍼(G231)를 통해 상기 제1영역(A1)의 물을 모을 수 있다.If water accumulates in the left area (hereinafter (the first area A1)) (the left area of FIG. 9 ) based on the boundary line DL of the neighboring hopper G231 in [A] of FIG. 9, the hopper G231 ), the water in the first area A1 may be collected.

제1영역(A1)에 배치된 호퍼(G231)의 물이 배출구(G231b)를 통해 배출되어 고분자수지 알갱이 사이 공간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고, 배출구(G231b)보다 폭(도 9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 길이)이 작은 상부 도전체(G26)의 상단에서 분쇄되어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흡수팽창부(G24)에 흡수된다.Water from the hopper G231 disposed in the first area A1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G231b and moves downwar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polymer resin grains, and is wider than the outlet G231b (left and right direction based on FIG. 9 ) length) is pulverized at the upper end of the small upper conductor G26 and is absorbed by the absorption expansion unit G24 by moving downward.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도전체(G26)가 상단 폭은 배출구(G231b)의 폭보다 크므로 배출구(G231b)에서 배출된 물방울은 상부 도전체(G26)의 상단에 고이지 않을 수 있으며, 상부 도전체(G26)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므로, 물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도전체(G26)의 하단 폭이 흡수팽창부(G24)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상부 도전체(G26)를 통해 하측으로 이동한 물은 흡수팽창부(G24)로 이동하여 흡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ductor G26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G231b, the water droplets discharged from the outlet G231b may not accumulate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ductor G26, and the upper conductor Since the width of (G26) in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water can move downward.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ductor G26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absorption expansion unit G24, the water moving downward through the upper conductor G26 moves to the absorption expansion unit G24 and is absorbed. can be

상부 도전체(G26)를 통해 하측으로 흐른 물은 흡수팽창부(G24)의 외피(G243)와 내피(G242)룰 통과하여 폴리아크릴레이트(G241)에 흡수될 때, 폴리아크릴레이트(G241)는 수분 내에 팽창하게 되고, 흡수팽창부(G24)의 상부에 고정된 상부 도전체(G26)는 고분자수지 알갱이들을 이동시키며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부 도전층(G23)과 접촉한다. 이를 통해 상부 도전층(G23)과 하부 도전층(G21)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류계 등을 통해 이를 확인함으로써 누수가 발생된 상태임을 파악할 수 있다.When the water flowing downward through the upper conductor G26 passes through the outer shell G243 and the inner shell G242 of 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G24 and is absorbed into the polyacrylate G241, the polyacrylate (G241) is The upper conductor G26, which expands within a few minutes and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bsorption expansion unit G24, moves the polymer resin particles upward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Through this, current flows through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and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and it can be determined that a leak has occurred by checking the current through an ammeter or the like.

상술한 바와 같이 호퍼(G231)의 배출구(G231b)는 지지홈(G211)의 중심 부분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지지홈(G211)에 흡수팽창부(G24)가 배치되기 때문에 흡수팽창부(G24)를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누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흡수팽창부(G24)를 하부 도전층(G21)의 상면에 배치할 필요 없이 지지홈(G211)에만 배치할 수 있어 자재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was said that the outlet (G231b) of the hopper (G23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groove (G211). Leakage can be identified by using the expansion part G24 to a minimum. That is, since the absorption expansion part G24 can be disposed only in the support groove G211 without the need to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nductive layer G21, material savings can be achieved.

또한 상부 도전층(G23)을 이웃하는 호퍼(G231)가 형성하는 경계선(DL)을 통해 분할하여 구역화 함으로써, 다수의 구역 중 어느 한 구역(예를 들어 도 9의 [B]와 같이 제1영역(A1))에 누수가 발생함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된 구역만 보수를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dividing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through the boundary line DL formed by the neighboring hopper G231,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for example, the first region as shown in [B] of FIG. 9 ) (A1)) can be identified, so only the leaked area can be repaired.

도 9의 [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영역(A1)과 제2영역(A2)(경계선(DL)을 기준으로 우측 영역) 각각에 배치된 호퍼(G231) 중 제1영역(A1)에 배치된 호퍼(G231)에만 물이 고여 제1영역(A1)에 배치된 흡수팽창부(G24)만이 팽창할 경우, 제1영역(A1)의 상부 도전층(G23)과 하부 도전층(G21)만 통전되어 제1영역(A1)에만 누수가 발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제1영역(A1)만 보수를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보수 공정이 보다 간략화 할 수 있는 것이다(이웃하는 호퍼(G231) 사이에는 절연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B] of FIG. 9, the first of the hoppers G231 disposed in each of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the area on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line DL) When only the absorption and expansion part G24 disposed in the first area A1 expands due to the accumulation of water only in the hopper G231 disposed in the area A1, the upper conductive layer G2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rea A1 are It can be confirmed that only the conductive layer G21 is energized and leakage occurs only in the first area A1, so that only the first area A1 needs to be repaired, so that the repair process can be simplified ( Insulation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G231)).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골격부재: 1 원자재: 1a
홈: 11 돌기: 12
절단장치: 2 가공장치: 3
연마장치: 4 가압장치: 5
봉: 51 지지부: 52
결합파트: 521 연장파트: 522
가압부: 53 이동파트: 531
가압파트: 532 이송수단: 54
고정파트: 541 너트: 542
볼트: 543 핀 총: 6
접착제: 7 가구: 8
Skeletal member: 1 Raw material: 1a
Groove: 11 Turning: 12
Cutting device: 2 Processing device: 3
Polishing device: 4 Pressing device: 5
Rod: 51 Support: 52
Combined part: 521 Extended part: 522
Pressing part: 53 Moving part: 531
Pressing part: 532 Transport means: 54
Fixed part: 541 Nut: 542
Bolts: 543 Pins Total: 6
Glue: 7 Furniture: 8

Claims (4)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원자재를 절단하여 골격부재로 제조하는 절단 단계(S10);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골격부재의 일 측에 홈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골격부재의 일 측에 상기 홈의 폭 보다 큰 폭을 가지는 돌기를 형성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공 단계(S20);
연마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골격부재를 연마하는 그라인딩 단계(S30);
상기 골격부재의 홈 또는 돌기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이웃하는 골격부재 중 어느 하나의 홈에 다른 하나의 돌기를 삽입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립 단계(S40); 및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골격부재를 가압하는 단계 및 이웃하는 골격부재에 핀을 박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정 단계(S50);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장치는, 봉, 상기 봉에 결합되는 결합파트 및 상기 결합파트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연장파트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봉에 체결되는 이동파트 및 상기 이동파트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가압파트를 포함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파트를 상기 봉 상에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봉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파트, 상기 고정파트에서 돌출 구비되되 상기 봉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중공이 형성된 너트 및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와 체결되고, 단부가 상기 가압파트와 연결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지지부 상부에 구비되는 방수막(G)을 포함하되,
상기 방수막(G)은 상기 지지부 상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누수감지수단(G2) 및 누수감지수단(G2)의 상부에 구비되는 방수수단(G1)을 포함하되,
상기 방수수단(G1)은 프로필렌 에틸렌(propylene ethylene) 공중합체 100 중량부,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와 폴리올(polyol) 혼합물 60 중량부, 알루미네이트(aluminate) 4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감지수단은 상면에 다수의 지지홈이 형성된 하부 도전층, 상기 하부 도전층 상부에 구비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도전층, 상기 지지홈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절연층에 배치되는 흡수팽창부, 상기 하부 도전층에 연결된 하부 도전체, 상기 흡수팽창부 상부에 구비된 상부 도전체, 상기 하부 도전체와 상기 상부 도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선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팽창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면직물로 형성되되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를 감싸는 내피, 마 직조 직물로 형성되되 상기 내피를 감싸는 외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도전층은 깔때기 형상의 다수의 호퍼를 포함하고, 다수의 호퍼 각각의 배출구는 상기 다수의 지지홈 각각의 중심 부분과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도전체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고, 상기 상부 도전체의 상단 폭은 상기 배출구의 폭보다 작고, 상기 상부 도전체의 하단 폭은 상기 흡수팽창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제조방법.
Cutting step (S10) of cutting the raw material using a cutting device to manufacture a skeleton member;
At least one of forming a groove on one side of the framework member using a processing device and forming a protrusion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groove on one side of the framework member using the processing device a processing step (S20);
a grinding step (S30) of grinding the skeleton member using a polishing apparatus;
an assembling step (S40) comprising at least one of applying an adhesive to the grooves or protrusions of the frame member and inserting the other protrusion into any one groove of the adjacent frame member; and
A fixing step (S50) comprising at least one of pressing the neighboring skeletal member using a pressing device and driving a pin into the neighboring skeletal member;
including,
The pressing device includes a support part including a rod,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rod, and an extension part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coupling part, a movable part fastened to the rod, and a pressing part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movable part It includes a pressing unit and a transfer means connected to the pressing unit to move the moving part on the rod,
The conveying means includes a fixed part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d, a nut protruding from the fixed part and having a hollow formed along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 and the nut passing through the hollow and fastened to the end, includes a bolt connected to the pressing part,
The pressurizing device,
Including a waterproofing membrane (G)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The waterproof membrane (G) includes a water leak detection means (G2)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waterproof means (G1)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leakage detection means (G2),
The waterproofing means (G1) includes 100 parts by weight of a propylene ethylene copolymer, 6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diisocyanate and polyol, and 4 parts by weight of aluminate,
The leak detection means includes a lower conductive layer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formed on its upper surface, an insulating layer provided on the lower conductive layer, an upper conductive layer provided on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supported by the support grooves. an absorption expansion unit disposed in the absorbing expansion unit, a lower conductor connected to the lower conductive layer, an upper conductor provided on the absorption expansion unit, and a conductive wir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lower conductor and the upper conductor;
The absorbent expansion part is formed of polyacrylate, a cotton fabric, and an endothelium surrounding the polyacrylate, and an outer skin surrounding the endothelium, which is formed of a hemp woven fabric,
The upper conductive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funnel-shaped hoppers, and the outle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oppers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grooves,
Furni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upper conductor decreas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ductor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outlet, and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ductor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absorption expansion unit. manufacturing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73304A 2021-06-07 2021-06-07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KR1022999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304A KR102299961B1 (en) 2021-06-07 2021-06-07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304A KR102299961B1 (en) 2021-06-07 2021-06-07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961B1 true KR102299961B1 (en) 2021-09-07

Family

ID=7779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304A KR102299961B1 (en) 2021-06-07 2021-06-07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96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585B1 (en) * 2012-05-24 2013-02-15 김명철 Method for manufacturing traditional furni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585B1 (en) * 2012-05-24 2013-02-15 김명철 Method for manufacturing traditional furnitur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ke a simple wood chair _ 원목의자 만들기. [online], 2019.8.31., [2021.7.23. 검색], 인터넷 : <URL: https://www.youtube.com/watch?v=9eJnAm1VuQc>*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6056501B4 (en) Laminated glass pane with an attachment device for an antenna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AU2005321685B2 (en) Method of producing a fibre reinforced joint and fibre reinforced joint obtained thereby
US9874306B2 (en) Lightweight support structure, method of producing a lightweight support structure, composite sandwich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sandwich panel
KR102299961B1 (en) Furniture manufacturing method
CN201128483Y (en) Folding type rigid and semi-rigid solar array secondary pressing and releasing mechanism
CN105958923B (en) A kind of roof sheet tile connection structure of solar energy photovoltaic panel
JP2008518164A (en) Fastening body
CN105283678A (en) Insert for load application and/or anchorage of various components into/onto a composite sandwich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a lightweight support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DE2917422A1 (en) SYSTEM FOR MANUFACTURING A CONSTRUCTION GRID, COMPOSED OF TUBES AND BALLS
GB2520437A (en) Solar panel fastening device
CN103600318A (en) Fixture for assessing strength of stator blade and mounting method implemented by fixture
AU2002350955A1 (en) Method of forming and indirect testing of a bond on or in an aircraft component
CN112497764B (en) Flexible connection structure for carbon fiber composite circular tube glue joint and preparation method
CN104724277A (en) Light airplane composite material skin integral rapid connect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9944144A (en) A kind of quick-change tool holder system
EP2105617B1 (en) Mounting assembly
EP171790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ntenna radome for submarines
CN110118220A (en) A kind of freeway guardrail check bolt
KR102297761B1 (en) Welding device and kichen applianc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CN209465703U (en) A kind of adjustable knife rest
CN202626771U (en) Glued joint for welding seam of steel rail
US10406764B2 (en) Method for repairing a composite part
CN207089485U (en) A kind of quadruped robot airframe structure of leg good impact resistant effect
DE3711429C2 (en) Device for silencing a sanitary fitting
RU2633897C1 (en) Assembly dismountable connection of wooden r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