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749B1 - 후핑 보강재를 위한 스페이서를 가진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후핑 보강재를 위한 스페이서를 가진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749B1
KR102299749B1 KR1020140188271A KR20140188271A KR102299749B1 KR 102299749 B1 KR102299749 B1 KR 102299749B1 KR 1020140188271 A KR1020140188271 A KR 1020140188271A KR 20140188271 A KR20140188271 A KR 20140188271A KR 102299749 B1 KR102299749 B1 KR 102299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pacer
stiffener
attachment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051A (ko
Inventor
이비차 지바노비치
앙투안 카리
로낭 소레트
Original Assignee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filed Critical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Publication of KR20150075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10Hose-clips with a substantially-radial tighten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12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with tigh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력이 가해질 관형 구조(3)에 후핑 응력을 가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초기응력 보강재(2, 2`)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로써, 상기 구조는 축(X)을 구비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이며, 보강재 각각은: N 바퀴(turn) 응력이 가해질 구조의 표면(30)을 견디고 감싸는 주요 바인딩부(4) (N은 0을 제외한 정수); 한 쪽의 주요부의 연장선에서 제 1 단부(5)의 끝에 배열된 제 1 끝(21); 및 다른 한쪽의 주요부의 연장선에서 제 2 단부(6)의 끝에 배열된 제 2끝(22)을 포함하며, 고정 장치는 주요 몸체(10) 및 각 보강재의 두 개의 단부(21, 22)를 고정하고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두 쌍의 고정 개구를 포함하는 스페이서(1)를 포함하며, 제 1 단부(21)는 제 1 고정 부가장치(11)에 고정되고, 제 2 단부(22)는 제 2 고정 부가장치(12)에 고정되며, 스페이서(1)는 축(X)에 수직하게 배열된 스페이서의 정중면(PM)에 대칭으로 배열되며, 제 1 단부(5)는, 보강재가 구조의 표면(30)에 접하는, 축(X)에 평행한 방사상 평면(PR)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방사상 평면(PR)으로부터 제 1 고정 부가장치(11)까지 구조의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하며, 제 2 단부(6)는, 제 1 단부와 반대로, 보강재 구조의 표면(30)에 접하는 방사상 평면(PR)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방사상 평면(PR)으로부터 제 2 고정 부가장치(12)까지 구조의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후핑 보강재를 위한 스페이서를 가진 고정 장치{Anchoring device with spacer for hooping reinforcements}
본 발명은 응력이 가해질 구조 주위에 후핑 보강재(hooping reinforcement)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응력이 가해질 관형 구조에 후핑 응력(hooping stress)을 가하기 위한 두 개의 초기응력(prestress) 보강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고정 장치의 각 보강재는 적어도 한 바퀴 이상의 응력이 가해질 구조의 표면을 둘러싸는 주요 바인딩부, 제 1 끝 및 제 2 끝, 및 각 보강재의 제 1 및 제 2 끝이 고정된 고정 블럭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은 특허문서 FR2822177로부터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설명된 구성은, 보강재가 인장 상태에 있을 때, 고정 블록에 응력이 가해질 구조에 안쪽의 방사상 압력을 가하며, 상기 압력이 보강재에 의해서 가해진 분포된 압력보다 국부적으로 더 클 수 있다.
응력이 얇은 벽, 예컨대 중간-두께의 파이프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상대적으로 얇은-벽의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관형 구조에 적용될 때, 상기한 단점이 특히 문제가 된다.
따라서, 고정 블록의 위치에서 방사상 압력의 특이점(집중)이 생성되는 것을 피하면서 상대적으로 얇은-벽의 오목한, 특히 원통형 구조를 압박할 수 있는 해결책을 필요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응력이 가해질 관형 구조에 후핑 응력을 가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초기응력 보강재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로써, 상기 구조는 축(X)을 구비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이며,
보강재 각각은:
N 바퀴(turn) 응력이 가해질 구조의 표면을 견디고 감싸는 주요 바인딩부(4)(N은 0을 제외한 정수);
한 쪽의 주요부의 연장선에서 제 1 단부의 끝에 배열된 제 1 끝; 및
다른 한쪽의 주요부의 연장선에서 제 2 단부의 끝에 배열된 제 2 끝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고정 장치는 주요 몸체 및 각 보강재의 두 개의 단부를 고정하고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두 쌍의 고정 개구를 포함하는 스페이서(spacer)를 포함하며, 제 1 단부는 제 1 고정 부가장치에 고정되고, 제 2 단부는 제 2 고정 부가장치에 고정되며, 스페이서는 축(X)에 수직하게 배열된 스페이서의 정중면(PM)에 대칭으로 배열된다.
제 1 단부는, 보강재가 구조의 표면에 접하는, 포함된 축(X)에 평행한 방사상 평면(PR)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방사상 평면으로부터 제 1 고정 부가장치까지 구조의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하며, 제 2 단부는, 제 1 단부와 반대로, 보강재 구조의 표면에 접하는 방사상 평면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방사상 평면으로부터 제 2 고정 부가장치까지 구조의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한다.
상기 구성으로 단부가 순전히 원주상 남아있는 힘이 방사상 평면(PR)에 가깝게 종속되게 하며, 결과적으로 고정 장치가 응력이 가해질 구조에 추가적인 방사상 압력을 가하지 않는다.
상기 구성 때문에, 스페이서에 단부에 의해서 가해진 힘의 합력은 방사상 성분이 없으며, 따라서 스페이서는 "플로팅(floating)" 상태로 여겨질 수 있는, 즉, 구조의 표면에 상당한 압력이 없는 유리한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다음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추가적으로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제 1 고정 부가장치는 제 1 고정 개구에 의해서 형성되면 제 2 고정 부가장치는 제 2 고정 개구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리하여, 실질적으로 원형의 단면의 보강재를 위한 원불형 고정 조(jaw) 같은 고정 수단을 튼튼하고 신뢰성 있게 설치하는 것이 편리해진다.
유리하게는, 방사상 평면은 제 1 및 제 2 고정 개구 사이의 중간에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하여, 보강재의 제 1 및 제 2 끝에 유사한 접근을 허용하며, 방사상 평면의 양 측면에 균형 있는 기하학적 구성이 얻어진다.
접평면은 정중면 및 방사상 평면에 수직하고 구조의 표면에 인접하게 정의되며, 제 1 고정 부가장치는 제 1 고정축의 중심에 제 1 고정 개구를 구비하며 제 2 고정 부가장치는 제 2 고정축의 중심에 제 2 고정 개구를 구비하며, 제 1 고정축 및 제 2 고정축은 거의 30°만큼 접평면에서 각도상 떨어진다. 그리하여, 고정 개구의 접근, 특히 인장 툴링(tensioning tooling) 설치를 최적으로 용이하게 고정축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및 제 2 고정축은 접평면(PT)에 평행하며 동일 선상에 있다; 그리하여, 스페이서는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생산하기 쉬운 부분이 된다.
제 1 및 제 2 고정축은 각 0도 내지 20도 만큼 접평면에서 각도상 떨어져 접평면에 대하여 보호될 구조로부터 떨어져 배열된다; 그리하여, 접근이 스페이서에서 초과되는 방사상 힘 또는 전단응력을 만들지 않으며 엑츄에이터(actuator) 등과 같은 초기응력(prestress)을 적용하기 위한 툴링을 용이하게 한다.
제 1 및 제 2 고정 개구는 Emin 보다 큰 기결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실질적으로 원주상 방향에서 서로 떨어져 배열된다. 그리하여, 고정 개구 주위에 이용 가능한 공간이 충분하게 되며, 고정 개구에 툴링을 위한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스페이서의 몸체는 응력이 가해질 구조 쪽으로 향해진 오목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오목면은 접평면에 가까운 구조의 표면의 곡률 반지름(R) 이상의 곡률 반지름(R1)을 가진다. 이것은 응력이 가해진 후 구조의 표면(30)에 점 응력을 만들지 않으며 인장 전에 작업의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한다.
각 보강재는 응력을 받을 표면을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시스(sheath)(HDPE 플라스틱)에 의해 둘러싸인 7개의 와이어를 구비하는 금속 스트랜드(strand)이며, 그 사이의 윤활 제품이 스트랜드가 상기 외부 시스에 대하여 쉽게 미끄러지게 한다. 스트랜드는 보호 및 윤활을 위해서 리스를 바르고 시스로 감싼다. 상기 시스 스트랜드는 전체 보호 시스(HDPE 플라스틱)으로 삽입되며, 인장 전에 필러 제품(시멘트 슬러리)가 외부 시스 및 시스 스트랜드 사이의 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다. 그리하여, 균일하고 일정한 응력을 가하는 보강재 및 전치 시스 사이의 언형 공간으로 주입 및 시스에서 스트랜드의 적절한 미끄러짐이 있는 후핑 초기응력 수단으로써, 고성능 및 제어된 해결책을 제안한다.
게다가, 표면에 응력을 가하기 위한 평탄부(flattening)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은 시스의 평탄부에 의해서 힘의 고른 분배를 보장한다.
보강재는 2 바퀴(N=2)를 수행하며, 스페이서의 주요 몸체는 제 1 및 제 2 고정 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열된 통로를 형성하는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은 보강재들의 교차 없이, 하나 및 같은 고정부를 위한 초기응력의 더 큰 밀도를 가져오며 응력이 가해질 구조의 표면에 방사상 응력을 더 잘 분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스페이서(1)는 예컨대 주철로 만들어진 한-조각의 금속이다. 그리하여, 상기 스페이서는 초기응력으로부터의 고 반작용 힘을 견딜 만큼 충분히 단단해 진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보강재의 끝을 고정하고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두 쌍의 고정 개구 및 주요 몸체를 포함하는 상기한 고정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설계된 고정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음.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비-제한적 예에 의해서 주어진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의 다음의 설명을 통하여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와 후핑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 장치의 단면도를 이며, 도 2a는 단부의 앵커들 중 하나를 자세히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후핑 시스템에 의해 발생된 힘을 단면도에 도시한다.
도 4는 고정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고정 장치의 단면에서 기하하적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도 5와 유사한 도면이며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스페이서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보강재의 단면을 도시한다.
다양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후핑 응력(hooping stress)은 후핑 시스템(hooping system)에 의해서 적용될 수 있는 관형 구조(tubular structure)(3)의 일부를 도시한다. 특히, 안쪽의 방사상 응력(radial stress)은 구조를 강화하기 위해서 적용된다. 도시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관형 구조는 축(X)을 중심으로 회전된 실린더이다. 관형 구조의 벽(31)은 상기 구조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으며, 따라서, 앵커에서 특이점(singularity)을 피하기 위해서, 상기 구조의 외부표면(30)에 적용될 안쪽의 반경 응력을 가능한 균등하게 분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지 않은 구성에서, 관형 구조는 오직 일부만 원통형일 수 있다; 동일하게, 실린더는 회전형 실린더가 필수가 아니며, 실린더의 기초적인 곡선은 난형(ovoid), 타원형(elliptical), 또는 다른 폐쇄된 곡선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얇은 벽(3)을 구비하는 중공 관형 덕트(hollow tubular duct)를 도시하며, 상기 벽은 통상적으로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덕터는 고압의 액체 또는 기체를 견딜 수 있는 덕트일 수 있으며, 따라서 관형 덕트의 벽(31) 내에 해로운 인장 응력의 발생을 제한하거나 피하기 위해서 후핑 초기응력을 적용하는데 유용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관형 구조(3)의 외부표면(30)은 두 개의 보강재)(2, 2`)에 의해서 둘러싸이며, 보강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유리하게는, 제 2 보강재(2`)는 구조(3)의 축(X)에 수직 정중면(median plaine)(PM)에 대하여 반대편 제 1 보강재(2)와 대칭되게 배열된다.
각각의 보강재(2, 2`)는 바인딩부(binding portion)라 불리는 주요부(4)를 포함하며, 이는 구조를 감싸며 도시된 예에서 2 바퀴(turn) 이상의 응력이 가해질 구조의 표면(30)을 견딘다.
보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보강재는 구조의 외부표면 주위에 N 바퀴를 수행하며, N은 0을 제외한 정수이다. N은 1,2, 3 또는 이상일 수 있다.
보강재(2)는 한쪽에 제 1 끝(21)에서 끝나는 제 1 측면의 주요부에서 연장하는 제 1 단부(5)를 포함한다. 반대편에, 보강재(2)는 제 2 끝(22)에서 끝나는 제 2 측면의 주요부에서 연장하는 제 2 단부(6)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단부(5, 6)는 단부들의 끝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보강재들을 위한 고정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서 구비된 스페이서(1)에 위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 1 끝(21)이 스페이서(1)에 만들어진 제 1 고정 개구(11)에서 고정되며, 제 2 끝(22)이 스페이서(1)에 만들어 졌으나 원주방향으로 반대편 상에 있는 제 2 고정 개구(12)에서 고정된다.
도시된 경우에서, 보강재는 그 자체로 알려진 실질적으로 원형의 단면인 철 와이어로 구성된 스트랜드(strand)이다. 통상적으로 고정 개구에 보강재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원뿔형 조(jaw)(9)를 사용한다. 응력을 가하며 보강재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장치 및 관련된 방법은 특허문서 FR2822177에 개시된다. 도시된 예에서(도 2a), 용도는 도면부호 46으로 지칭된 중간 베어링부(bearing part)로 만들어지며, 스페이서(1)에 속하는 고정 개구(12) 및 조(9)를 위한 부가장치 사이에 끼워진다. 리스(greasing) 또한 보호 및 윤활을 위해서 구비된다.
스페이서(1)는 고체(10)를 포함하는 한-조각의(one-piece part) 형태를 취하며, 보강재의 정중면(PM)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열된 제 2 보강재(2`)를 위한 두 개의 다른 고정 개구(11`, 12`) 및 제 1 보강재를 위한 상기한 두 개의 고정 개구(11, 12)를 구비한다.
스페이서가 상기 정중면(PM)에 대하여 대칭적인 것을 고려하면, 다음의 설명은 주로 제 1 보강재(2)에 관한 것이다; 제 2 보강재(2`)에 관련된 어떤 것 및 제 2 보강재(2`)를 고정하는 것은 정중면(PM)에 대하여 제 1 보강재(2)를 비춰 추론할 수 있다.
스페이서(1)는, 예컨대 주철(cast iron) 또는 철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는 보강 콘크리트, 합성 물질, 또는 고정 힘(anchoring force)를 지지할 수 있는 다른 어떤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스페이서(1)가 방사상(radial) 평면 넘어 보강재의 단부(5, 6)로부터 각각 연장하는 보강재 끝(21, 22) 사이에 삽입될 때, 스페이서(1)는 필수적으로 압축된다.
제 1 고정 개구(11) 및 제 2 고정 개구(12)의 부가장치을 통과하며 축(X)에 평행한 평면으로 인장 평면(PT`)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인장 평면(PT`)에 평행한 접평면(PT)을 정의하는 것 및 응력을 받을 구주의 표면(30)에 인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축(X)을 통과하며 접평면(PT)에(그리하여 인장 평면(PT`)에) 수직한 방사상 평면(PR)이 정의된다.
방사상 평면(PR)을 정의하는 다른 방법이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방사상 평면(PR)에 포함되어 정의될 수 있는 지점(7)으로부터 연장하는 제 1 단부(5)와 관련되며, 보강재는 표면(30)에 접하며, 상기 지점(7)(축(X)과 방사상 평면(PR)을 정의하는 지점)으로부터 제 1 고정 개구(11)까지 연장하며, 제 1 단부의 반대편의 제 2 단부는 보강재가 표면(30)에 접하는 상기 방사상 평면(PR)에서 연장하며, 상기 방사상 평면(PR)으로부터 제 2 고정 개구(12)까지 연장한다.
다시 말해, 방사상 평면(PR)은 원통형 표면(30)의 외부 모선(external generatrix)(7)와 일치하면 상응하며, 각각의 단부는 원주의 방향에서 만나는 반대편 방향에서 표면으로부터 접선으로 떨어진다.
상기한 접평면(PT)을 정의하는 다른 방법은 상기한 외부 모선(7)을 통과하며 방사상 평면(PR)에 수직한 평면을 결정하는데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주요부(4)는 구조의 표면과 접촉하며 정확히 2 회전을 수행하여, 접평면(PT)에서 멀리 연장한다.
방사상 평면(PR)은 제 1 고정 개구(11) 및 제 2 고정 개구(12) 사이의 중간에 있으며 도면들은 "대칭된" 구성으로 존재하지만, 한쪽 측면에서 추가로 제거된 고정 개구들 중 하나와 있는 방사상 평면(PR)에 대하여 비대칭일 수 있으며, 상기 추가로 제거된 고정 개구 주위에 툴링의 접근을 증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기하하적 구성을 고려한다면, 스페이서 상의 두 개의 단부(5, 6)에 의해서 가해지는 합력은 상기 방사상 평면(PR)에서 두 개의 단부에 가해지는 힘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상기된 것들은 구조 상에 방사상 성분이 없는 보강재를 따르는 유일한 축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힘들의 합은 응력을 받는 구조의 표면에 스페이서로부터 상당한 압력을 유발할 수 있는 방사상 성분을 실질적으로 발생시키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되었듯이, 제 1 고정 개구(11)는 제 1 고정축(D1)을 정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제 2 고정 개구(12)는 제 2 고정축(D2)을 정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에 도시되었듯이, 힘의 방사상 성분은 고정 장치에서 특이점(집중된 방사상 또는 지점 힘)없이 응렬을 받을 구조의 전체 주변부에 걸쳐 전체적으로 균등하고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한다.
도 4에 도시되었듯이, 제 2 보강재(2`)는 정중면(PM)에 대하여 제 1 보강재(2)에 대칭이며, 제 2보강재의 주요부(4`) 및 끝(21`, 22`) 각각은 제 1 보강재(2)의 주요부(4) 및 끝(21, 22)에 대칭이다. 제 2 보강재를 위한 고정 개구(11`, 12`)는 상기한 제 1 보강재를 위한 고정 개구(11, 12)와 대칭이다.
도 5에 도시되었듯이, 고정 개구들은 인장 툴링을 설치하기 위한(보강재를 인장하기 위한) 각 개구 주위에 충분히 큰 공간을 획득하기 위해서 방사상 평면(PR)에서 일정 거리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고정 개구는 보강재(2)의 외직경(D) 및 방사상 평면(PR)에 가까운 구조(3)의 곡률 반지름(R)을 고려하여 충분히 크기 위해서 선택된 거리(Emin)만큼 떨어져 위치되어서, 고정 개구(11, 12) 및 보강재에 의해서 덮인 구조의 벽 사이에서 위치되고 활성화될 보강재를 인장하기 위한 툴링(tooling)을 허용하는 간극(Δ)이 존재한다.
도 6에 도시되었듯이, 접평면(PT)에 평행하고 상호 동일선상에 있는 고정축(D1, D2)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기 관점에서, 변형하면, 스페이서는 보강재의 제 1 단부의 부가장치에 해당하는 제 1 볼록부 및 보강재의 제 2 단부의 부가장치에 해당하는 제 2 볼록부를 가진 볼록하게 구배진 외부면을 구비한다. 접점(point of tangentiality)(7)에서 접하는 조건은 접평면에 평행한 고정축 없이 만족된다. 상기 경우에, 각각의 고정축은 30°미만의 각만큼 접평면으로부터 각도상으로 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각(알파)은 0°내지 20°사이에서 선택된다.
도 2, 7, 및 8에 도시되었듯이, 스페이서는 하부면(17)을 구비하며, 특히 상기 하부면은 오목한 형태로 강화될 구조 쪽으로 향한다.
응력을 받을 구조 쪽으로 향해진 오목면(17)은 접평면에 가까운 구조의 표면의 곡률 반지름(R) 이상의 곡률 반지름(R1)을 가진다. 그리하여, 어떤 국부적인 응력도 설치 및 초기응력(prestressing) 단계 동안에 회피된다.
하지만, 평평한 내부면 또는 도 6처럼 구배진 내부면을 구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스페이서의 주요 몸체(10)는 고정 없이 간단하게 통과하는 보강재의 중앙부(40)를 위한 자유 통로를 형성하는 채널(channel)(8)을 포함한다. 각각의 채널(8, 8`)은 제 1 고정 개구 및 제 2 고정 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도 9에 도시되었듯이, 도시된 보강재(2)는 예컨대 내부에 리스를 칠할 수 있는 시스(sheath)에 의해서 보호된 7개의 금속 와이어(26)를 포함한다. 전체 보호 시스는 싸여지고 리스를 칠한 보강재에 더해질 수 있다. 상기된 경우에, 상기 전체 외부 시스 및 시스 스트랜드(sheathed strand) 사이에 제품(시멘트 슬러리) 및 필러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서, 주입은 보강재를 인장하기 전에 일어난다. 게다가, 보강재의 보호 시스 각각은 외부면을 견딜 수 있는 베어링 평탄부(bearing flattening)(23)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보강재 대신에, 동일하거나 다른 단면의 합성 보강재, 또는 래칫 드럼(ratchet drum) 또는 평평한 조(jaw) 시스템에 의해서 고정되고 팽팽해지는 스트랩(strap)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된 경우에, 고정 개구는 래칫 드럼 또는 평평한 조 시스템이 압력을 가하는 좀 더 일반적인 생각의 "고정 부가장치(anchoring attachments)"에 의해서 교체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부가장치는 보유면(retaining surface)으로서 역할하며 숄더 슬롯(shoulder slot), 저널(journal), 또는 다른 형상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동일하게, 도시된 보강재는 개별적 보호 시스가 없는 헐벗은 금속 와이어를 구비하는 유일한 스트랜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환경 및 요구조건에 따라 보강재는 전체 시스를 포함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는, 상기된 경우 중에서 어떤 다른 대안이 존재할 수 있다(예컨대, 전체 시스에서 헐벗은 보강재).
주어진 스페이서는 매우 다른 곡률 반지름(R)을 가진 다양한 구조에 위치될 수 있는 많은 고정 장치들에 적합할 수 있다.
초기응력이 가해질 덕트(duct)를 위해 특정 길이 및 다중 후핑 시스템이 덕트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된다.

Claims (10)

  1. 응력이 가해질 관형 구조(3)에 후핑 응력을 가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초기응력 보강재(2, 2`)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로써,
    상기 구조는 축(X)을 구비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이며,
    보강재 각각은:
    N 바퀴(turn) 응력이 가해질 구조의 표면(30)을 견디고 감싸는 주요 바인딩부(4) (N은 0을 제외한 정수);
    한 쪽의 주요부의 연장선에서 제 1 단부(5)의 끝에 배열된 제 1 끝(21); 및
    다른 한쪽의 주요부의 연장선에서 제 2 단부(6)의 끝에 배열된 제 2끝(22)을 포함하며,
    고정 장치는 주요 몸체(10) 및 각 보강재의 두 개의 단부(21, 22)를 고정하고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두 쌍의 고정 개구를 포함하는 스페이서(1)를 포함하며, 제 1 단부(21)는 제 1 고정 부가장치(11)에 고정되고, 제 2 단부(22)는 제 2 고정 부가장치(12)에 고정되며, 스페이서(1)는 축(X)에 수직하게 배열된 스페이서의 정중면(PM)에 대칭으로 배열되며,
    제 1 단부(5)는, 보강재가 구조의 표면(30)에 접하는, 축(X)에 평행한 방사상 평면(PR)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방사상 평면(PR)으로부터 제 1 고정 부가장치(11)까지 구조의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하며,
    제 2 단부(6)는, 제 1 단부와 반대로, 보강재 구조의 표면(30)에 접하는 방사상 평면(PR)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방사상 평면(PR)으로부터 제 2 고정 부가장치(12)까지 구조의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하고,
    방사상 평면(PR)은 제 1 및 제 2 고정 부가장치(11, 12) 사이의 중간에 있는 고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접평면(PT)은 정중면 및 방사상 평면에 수직하고 구조의 표면(30)에 인접하게 정의되며,
    제 1 고정 부가장치는 제 1 고정축(D1)의 중심에 제 1 고정 개구(11)를 구비하며 제 2 고정 부가장치는 제 2 고정축(D2)의 중심에 제 2 고정 개구(12)를 구비하며,
    제 1 고정축(D1) 및 제 2 고정축(D2)은 거의 30°만큼 접평면(PT)에서 각도상 떨어진 고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고정축(D1, D2)은 접평면(PT)에 평행하며 동일 선상에 있는 고정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고정축(D1, D2)은 각 0°내지 20°만큼 접평면에서 각도상 떨어져 접평면에 대하여 보호될 구조로부터 떨어져 배열되는 고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의 몸체는 응력을 받을 구조 쪽으로 향한 오목면(17)을 구비하며, 상기 오목면은 접평면에 가까운 구조의 표면의 곡률 반지름(R) 이상의 곡률 반지름(R1)을 가지는 고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각 보강재(2, 2`)는 응력을 받을 표면(30)을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시스(24)에 의해 둘러싸인 7개의 와이어를 구비하는 금속 스트랜드이며,
    그 사이의 윤활 제품이 스트랜드가 상기 외부 시스에 대하여 쉽게 미끄러지게 하는 고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재는 2 바퀴(N=2)를 수행하며, 스페이서의 주요 몸체는 제 1 및 제 2 고정 개구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열된 통로를 형성하는 채널(8)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1)는 예컨대 주철로 만들어진 한-조각의 금속인 고정 장치.
  10. 한 쌍의 보강재의 끝을 고정하고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두 쌍의 고정 개구 및 주요 몸체를 포함하는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따른 고정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설계된 고정 스페이서(1).
KR1020140188271A 2013-12-24 2014-12-24 후핑 보강재를 위한 스페이서를 가진 고정 장치 KR102299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63546 2013-12-24
FR1363546A FR3015535B1 (fr) 2013-12-24 2013-12-24 Dispositif d'ancrage avec entretoise pour armatures de cerc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051A KR20150075051A (ko) 2015-07-02
KR102299749B1 true KR102299749B1 (ko) 2021-09-08

Family

ID=50137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271A KR102299749B1 (ko) 2013-12-24 2014-12-24 후핑 보강재를 위한 스페이서를 가진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562636B2 (ko)
EP (1) EP2889439B1 (ko)
KR (1) KR102299749B1 (ko)
AU (1) AU2014277802B2 (ko)
ES (1) ES2607706T3 (ko)
FR (1) FR3015535B1 (ko)
MX (1) MX352506B (ko)
PL (1) PL2889439T3 (ko)
PT (1) PT2889439T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241572B2 (en) 2015-03-31 2021-06-17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A user interface and system for supplying gases to an airway
US11111034B2 (en) * 2016-04-25 2021-09-07 Ruag Space Ab Separable roller screw assembly for a space craft release mechanism system
KR20220165802A (ko) 2016-08-11 2022-12-15 피셔 앤 페이켈 핼스케어 리미티드 압궤 가능 도관, 환자 인터페이스 및 헤드기어 연결부
CN107905453A (zh) * 2017-12-19 2018-04-13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采用浮动锚固体对圆形筒仓的体外预应力钢绞线加固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9670A1 (en) * 2001-03-15 2004-07-22 Jean-Francois Nieto Device for anchoring prestressing reinforcements, prestressing system including said device and corresponding reinforce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295A (en) * 1912-04-08 1914-02-03 William A Hillman Concrete silo.
US3329296A (en) * 1965-05-05 1967-07-04 Muth Steel Products Company De Lug for silo or similar structure
US3722158A (en) * 1971-09-30 1973-03-27 M Dykmans Protective arrangement for exposed tensioned cable
GB1573307A (en) * 1977-02-18 1980-08-20 Stressed Concrete Design Ltd Reinforced struct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9670A1 (en) * 2001-03-15 2004-07-22 Jean-Francois Nieto Device for anchoring prestressing reinforcements, prestressing system including said device and corresponding reinforc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89439A1 (fr) 2015-07-01
US9562636B2 (en) 2017-02-07
AU2014277802B2 (en) 2018-03-22
MX352506B (es) 2017-11-27
AU2014277802A1 (en) 2015-07-09
FR3015535B1 (fr) 2016-02-05
PL2889439T3 (pl) 2017-04-28
MX2015000021A (es) 2015-08-13
FR3015535A1 (fr) 2015-06-26
ES2607706T3 (es) 2017-04-03
KR20150075051A (ko) 2015-07-02
PT2889439T (pt) 2016-12-23
EP2889439B1 (fr) 2016-09-21
US20150176734A1 (en)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749B1 (ko) 후핑 보강재를 위한 스페이서를 가진 고정 장치
KR102187818B1 (ko) 베딩재료를 갖는 케이블 앵커리지
KR101928970B1 (ko) 받침줄과 같은 구조 케이블을 전환하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CA1179859A (en) Tension member, particularly for use as a diagonal cable in a stayed girder bridge
US20140115984A1 (en)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brace, in particular a stay cable, transversely to the longitudinal extent thereof
KR101757406B1 (ko) 향상된 가닥 안내 장치
US4442646A (en) Device for anchoring tensioning elements
US20200157818A1 (en) Reinforcement anchoring device
CN107708948B (zh) 连续纤维增强材料张紧装置、连续纤维增强材料的张紧方法及楔体
US8677720B2 (en) Precast concrete pile with carbon fiber reinforced grid
KR20180138443A (ko) 케이블 절단부용 고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케이블 정착부의 보수방법
TW202237952A (zh) 錨固件及預力混凝土
JPH063575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部分のプレストレス孔にプレストレス鋼材を挿入する方法
JP4104826B2 (ja) 緊張ケーブル偏向具
KR101564885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및 그 제작 방법
KR20190002947U (ko) 강연선 클램핑용 더미 구조체
US20210355696A1 (en) Transport anchor having a fibre-plastic composite material pressure element
KR101849254B1 (ko) 강연선의 내부식성과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특성이 향상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량용 거더
JP2005264484A (ja) 超高曲靭性pc柱状物
JP3602124B1 (ja) ケーブル保護および固定方法
KR20190001889A (ko) 강연선의 내부식성과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특성이 향상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그라우팅 장치
JP2005207218A (ja) ケーブル保護および固定方法
EP0044883B1 (en) A device for anchoring metal strands to structures by means of epoxy resin
KR102144079B1 (ko) Psc구조물에 긴장재를 삽입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psc구조물
KR200478112Y1 (ko) 강선 긴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