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557B1 -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557B1
KR102299557B1 KR1020200020272A KR20200020272A KR102299557B1 KR 102299557 B1 KR102299557 B1 KR 102299557B1 KR 1020200020272 A KR1020200020272 A KR 1020200020272A KR 20200020272 A KR20200020272 A KR 20200020272A KR 102299557 B1 KR102299557 B1 KR 102299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jig
jig
valve housing
coupled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5605A (ko
Inventor
김태협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0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557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2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mounting or demount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단이 유압블록 내에 설치된 밸브 하우징과 연결되는 연결지그 및, 연결지그의 외부에 전후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후방으로 이동시 연결지그의 후단을 타격하여 밸브 하우징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는 중량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SEPARATION DEVICE FOR HYDRAULIC VALVE}
본 발명은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직 밸브의 커버 및 밸브 하우징을 쉽고 빠르게 분리시킬 수 있는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직 밸브는 사용 중 스풀과 슬리브의 접촉에 의한 마모 및 내부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오링 등의 손상이 발생하므로, 주기적으로 분해하여 마모되거나 손상된 부분을 교체하는 등의 정비 작업을 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15753호(공개일: 2017년 02월 09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유량제어용 로직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밸브의 커버 및 밸브 하우징을 유압블록으로부터 쉽고 빠르게 분리시킬 수 있는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는 전단이 유압블록 내에 설치된 밸브 하우징과 연결되는 연결지그 및, 상기 연결지그의 외부에 전후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연결지그의 후단을 후방으로 타격하여 상기 밸브 하우징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지그는 전후 방향에 전방 스토퍼와 후방 스토퍼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량체는 상기 전방 스토퍼와 상기 후방 스토퍼의 사이에 위치되며,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후방 스토퍼를 후방으로 타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하우징에는 내부의 공간부를 폐쇄시키기 위해 체결홀이 형성된 커버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지그의 전단에는 상기 체결홀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사부에는 상기 공간부를 통해 상기 유로에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보조 연결지그가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연결지그는 상기 나사부와 암수로 결합되도록 보조 나사부가 형성되는 연결몸체 및, 상기 연결부의 전방으로 연장된 후 절곡되며, 전단이 상기 유로에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연결지그는 상기 나사부와 암수로 결합되도록 보조 나사부가 형성되며, 측면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연결몸체와,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에서 측방으로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며, 돌출시 전단이 상기 유로에 삽입되는 걸림구 및,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의 후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스토퍼는 상기 연결지그의 후방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중량체는 다수가 전후로 분할되며, 상기 후방 스토퍼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지그에 결합되는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에 의하면, 중량체를 이용한 타격 방식으로 밸브의 커버 및 밸브 하우징을 분리시킴으로써, 밸브의 커버 및 밸브 하우징을 쉽고 빠르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연결지그와 보조 연결지그를 이용해 밸브의 커버 및 밸브 하우징과 연결시킴으로써, 분리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보조 연결지그의 사이즈 및 형태 변경을 통해 다양한 규격의 밸브 하우징에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 하우징의 유로를 이용해 보조 연결지그를 연결시킴으로써, 별도의 결합 구조를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분리 작업시 유압블록과 밸브 하우징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조 연결지그의 사이즈 및 형태 변경을 통해 다양한 규격의 밸브 하우징에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이용해 밸브 하우징의 커버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이용해 밸브 하우징의 커버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이용해 밸브 하우징의 커버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이용해 밸브 하우징의 커버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이용해 밸브 하우징의 커버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를 이용해 밸브 하우징의 커버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는 유압블록(10)의 내부에 설치된 로직 밸브(Logic valve)를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결지그(100)와, 전방 스토퍼(200)와, 후방 스토퍼(300) 및, 중량체(400)를 포함한다.
로직 밸브(Logic valve)는 대유량 이용 및 응답성 그리고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로직 밸브의 밸브 하우징(20)은 유압블록(10)의 설치공간 내에 설치된다.
유압블록(1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유압블록(10)의 설치공간 내에 밸브 하우징(20)이 설치될 수 있으며, 밸브 하우징(20)의 일측은 유압블록(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밸브 하우징(20)의 내부에는 공간부(21)가 형성되며, 밸브 하우징(20)의 측면에는 유압블록(10)의 유로와 연통되도록 하나 이상의 유로(22)가 측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밸브 하우징(20)의 일측에는 공간부(21)의 일측을 폐쇄시키기 위한 커버(30)가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고, 커버(30)는 설치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커버(30)에는 후술 될 나사부(11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홀(31)이 형성되며, 체결홀(31)의 내부면에는 후술 될 나사부(110)와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암수로 결합시키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지그(10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연결지그(100)의 전단이 유압블록(10)의 설치공간 내에 설치된 밸브 하우징(20)과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지그(100)의 전단에는 나사부(110)가 형성되며, 연결지그(100)의 나사부(110)는 후술 될 커버(30)의 체결홀(31)에 나사결합 방식을 결합된다.
이와 함께, 연결지그(100)의 후단에는 후술 될 후바 스토퍼(300)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나사부(11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20)에 결합된 커버(3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연결지그(100)의 나사부(110)를 체결홀(31)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전방 스토퍼(200)는 연결지그(100)의 외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방 스토퍼(200)의 전방측에 결합되며, 연결지그(10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후방 스토퍼(300)는 연결지그(10)의 외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방 스토퍼(200)의 후방측에 이격 위치되며, 연결지그(10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여기서, 후방 스토퍼(300)의 일단에는 연결지그(100)의 후단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홀(3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홀(31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홀(3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연결지그(100)의 후단에 형성된 나사부(110)가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다.
중량체(400)는 연결지그(100)의 외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방 스토퍼(200)와 후방 스토퍼(300)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은 중량체(400)는 연결지그(100)의 외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방으로 이동시 연결지그(100)의 후방을 타격하여 밸브 하우징(20)의 분리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킨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량체(400)를 후방으로 이동시 중량체(400)가 후방 스토퍼(300)를 후방으로 타격하며, 후방 스토퍼(30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연결지그(100)에 후퇴되는 힘이 작용된다.
여기서, 중량체(400)는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작업자가 손으로 외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원통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중량체(400)의 내부에는 연결지그(100)를 관통 결합시키기 위한 관통홀(410)이 전후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량체(400)는 다수가 전후로 분할될 수 있으며, 전술한 후방 스토퍼(300)를 연결지그(100)로부터 분리시킨 후, 연결지그(100)에 결합되는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중량체(400)의 설치되는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후방 스토퍼(300)를 타격시 후방으로 가해지는 힘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밸브 하우징(20)의 중량, 사이즈 등에 대응하도록 타격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는 도 4 내지 6에서처럼 연결지그(100)의 전단에 보조 연결지그(500)가 더 결합될 수 있으며, 보조 연결지그(500)는 연결지그(100)의 나사부(110)에 결합된다.
보조 연결지그(500)는 밸브 하우징(20)의 공간부(21)를 통해 유로(22)에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결지그(100)가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 연결지그(100)는 밸브 하우징(20)의 커버(21)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밸브 하우징(20)을 유압블록(10)의 설치공간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연결지그(500)는 도 4 내지 6에서처럼 연결지그(100)에 결합되는 연결몸체(510) 및, 연결몸체(510)로부터 연장되는 걸림부(520)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몸체(510)의 후단에는 연결지그(100)의 나사부(110)가 암수로 대응 결합되도록 보조 나사부(511)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 나사부(511)의 내주면에는 연결지그(100)의 나사부(110)가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암수로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520)는 밸브 하우징(20)의 공간부(21)를 통해 삽입되는 부분으로, 연결몸체(510)의 전방으로 연장된 후 측방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전단이 밸브 하우징(20)의 유로(22)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연결지그(600)는 도 7 내지 9에서처럼 연결지그(100)에 결합되는 연결몸체(610)와, 연결몸체(610)에 구비되는 걸림구(620) 및, 걸림구(62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630)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몸체(610)의 후단에는 연결지그(100)의 나사부(110)가 암수로 대응 결합되도록 보조 나사부(611)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 나사부(611)의 내주면에는 연결지그(100)의 나사부(110)가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암수로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몸체(610)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6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612)은 측방으로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홈(612)은 연결몸체(6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걸림구(620)는 가이드홈(612)의 내부에서 측방으로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걸림구(620)는 돌출시 전단이 밸브 하우징(20)의 유로(22)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걸림 위치된다.
이와 같은 걸림구(620)는 연결몸체(5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걸림구(620)는 양측에 위치된 유로(2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630)는 가이드홈(612)의 내부에 설치되어 걸림구(620)의 후단을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탄성부재(630)는 코일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9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의 밸브 하우징(20) 분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압블록(10)의 설치공간에 설치된 밸브 하우징(20)의 커버(3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3에서처럼 연결지그(100)의 나사부(110)를 커버(30)의 체결홀(31)에 나사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중량체(4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후방으로 이동시켜 후방 스토퍼(300)에 타격시키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밸브 하우징(20)으로부터 커버(30)를 분리시킨다.
즉, 중량체(400)의 타격에 의해 커버(30)가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연결지그(100)를 통해 작용하는 힘에 의해 커버(30)가 밸브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유압블록(10)의 설치공간에 설치된 밸브 하우징(20)을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도 6에서처럼 연결지그(100)로 커버(3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연결지그(100)의 전단에 보조 연결지그(50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보조 연결지그(500)의 연결몸체(510)를 밸브 하우징(20)의 공간부(21)로 삽입시킨 후, 이때 연결몸체(510)의 측방으로 절곡된 걸림부(520)의 끝단을 유로(22)에 삽입시킨다. 이때 보조 연결지그(500)의 걸림부(520)가 유로(22)에 걸림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중량체(4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후방으로 이동시켜 후방 스토퍼(300)에 타격시키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유압블록(10)의 설치공간으로부터 밸브 하우징(20)을 분리시킨다.
즉, 중량체(400)의 타격에 의해 밸브 하우징(20)이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연결지그(100)를 통해 작용하는 힘에 의해 밸브 하우징(20)이 유압블록(10)의 설치공간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다른 형태로, 유압블록(10)의 설치공간에 설치된 밸브 하우징(20)을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는, 도 9에서처럼 연결지그(100)로 커버(3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연결지그(100)의 전단에 보조 연결지그(60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보조 연결지그(600)의 연결몸체(610)를 밸브 하우징(20)의 공간부(21)로 삽입시킨다. 이때 연결몸체(610)의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구(620)의 끝단이 공간부(21)의 내주면과 밀착되면서 가이드홈(612)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후, 걸림구(620)가 유로(22)와 동일 높이에 위치되는 경우, 탄성부재(630)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걸림구(620)가 가이드홈(612)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유로(22)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때 보조 연결지그(600)의 걸림구(620)가 유로(22)에 걸림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중량체(4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후방으로 이동시켜 후방 스토퍼(300)에 타격시키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유압블록(10)의 설치공간으로부터 밸브 하우징(20)을 분리시킨다.
즉, 중량체(400)의 타격에 의해 밸브 하우징(20)이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연결지그(100)를 통해 작용하는 힘에 의해 밸브 하우징(20)이 유압블록(10)의 설치공간으로부터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중량체(400)를 이용한 타격 방식으로 밸브의 커버(30) 및 밸브 하우징(20)을 분리시킴으로써, 밸브의 커버(30) 및 밸브 하우징(20)을 쉽고 빠르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연결지그(100)와 보조 연결지그(500)(600)를 이용해 밸브의 커버(30) 및 밸브 하우징(20)과 연결시킴으로써, 분리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보조 연결지그(500)의 사이즈 및 형태 변경을 통해 다양한 규격의 밸브 하우징(20)에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밸브 하우징(20)의 유로(22)를 이용해 보조 연결지그(500)를 연결시킴으로써, 별도의 결합 구조를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분리 작업시 유압블록(10)과 밸브 하우징(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조 연결지그(500)(600)의 사이즈 및 형태 변경을 통해 다양한 규격의 밸브 하우징에 범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유압블록 20: 밸브 하우징
21: 공간부 22: 유로
30: 커버 31: 체결홀
100: 연결지그 210: 나사부
200: 전방 스토퍼 300: 후방 스토퍼
310: 체결홀 400: 중량체
410: 관통홀 500: 보조 연결지그
510: 연결몸체 511: 보조 나사부
520: 걸림부 600: 보조 연결지그
610: 연결몸체 611: 보조 나사부
612: 가이드홈 620: 걸림구
630: 탄성부재

Claims (7)

  1. 전단이 유압블록 내에 설치된 밸브 하우징과 연결되는 연결지그; 및
    상기 연결지그의 외부에 전후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연결지그의 후단을 후방으로 타격하여 상기 밸브 하우징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는 중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지그는, 전후 방향에 전방 스토퍼와 후방 스토퍼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중량체는, 상기 전방 스토퍼와 상기 후방 스토퍼의 사이에 위치되며,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후방 스토퍼를 후방으로 타격하고,
    상기 후방 스토퍼는, 상기 연결지그의 후방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중량체는, 다수가 전후로 분할되며, 상기 후방 스토퍼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지그에 결합되는 개수를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에는, 내부의 공간부를 폐쇄시키기 위해 체결홀이 형성된 커버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지그의 전단에는, 상기 체결홀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유로가 측방으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에는, 상기 공간부를 통해 상기 유로에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보조 연결지그가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연결지그는,
    상기 나사부와 암수로 결합되도록 보조 나사부가 형성되는 연결몸체 및,
    상기 연결몸체의 전방으로 연장된 후 절곡되며, 전단이 상기 유로에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연결지그는,
    상기 나사부와 암수로 결합되도록 보조 나사부가 형성되며, 측면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연결몸체와,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에서 측방으로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며, 돌출시 전단이 상기 유로에 삽입되는 걸림구 및,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의 후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
  7. 삭제
KR1020200020272A 2020-02-19 2020-02-19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 KR102299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272A KR102299557B1 (ko) 2020-02-19 2020-02-19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272A KR102299557B1 (ko) 2020-02-19 2020-02-19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605A KR20210105605A (ko) 2021-08-27
KR102299557B1 true KR102299557B1 (ko) 2021-09-07

Family

ID=7750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272A KR102299557B1 (ko) 2020-02-19 2020-02-19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5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290Y1 (ko) * 2009-02-19 2012-0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로직 밸브 분해용 공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348B1 (ko) * 2010-07-07 2012-04-1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다우얼핀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290Y1 (ko) * 2009-02-19 2012-0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로직 밸브 분해용 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605A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7451B2 (en) Offset pulling head
KR101597824B1 (ko) 클램프헤드
JP2006181709A (ja) 打ち込み工具のフックにおける高さ可変機構
KR101143918B1 (ko) 엔드레스 벨트식연삭공구
US20210053104A1 (en) End Effector
KR102299557B1 (ko) 유압 밸브용 분리장치
US9534860B2 (en) Gas-operated firearm
EP3269511B1 (en) Device for gripping diesel engine injectors
US2527757A (en) Bushing for pneumatic hammers
KR101354371B1 (ko) 자동차용 밸브 스템실 제거장치
KR100728324B1 (ko) 오일댐퍼의 피스톤 분리 및 장착공구
US6854178B2 (en) Through-the-drill plate fastener installation tool
KR20160127638A (ko) 단발식의 에어 해머 공구, 및 상기 단발식의 에어 해머 공구의 타격력 조정 방법
KR200477229Y1 (ko) 과조임 방지 밸브렌치
US3364612A (en) Combination rod clamp and reel seat
EP3756828B1 (en) Striking tool
US5314002A (en) Vacuum valve apparatus for die casting
US1808481A (en) Pneumatic tool
US3253329A (en) Percussion type hand tool for separating two members
KR102172451B1 (ko) 에어 치핑 햄머
US6108885A (en) Insertion tool
JP7487569B2 (ja) 打込み工具
KR102424500B1 (ko) 실링 플러그에 의해 구멍을 실링하는 방법, 실링 플러그를 설치하기 위한 도구 및 이를 이용한 실링 플러그 설치방법
KR102013201B1 (ko) 인젝터 탈거용 스패너 지그
US957708A (en) Impact-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