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538B1 -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538B1
KR102299538B1 KR1020210071684A KR20210071684A KR102299538B1 KR 102299538 B1 KR102299538 B1 KR 102299538B1 KR 1020210071684 A KR1020210071684 A KR 1020210071684A KR 20210071684 A KR20210071684 A KR 20210071684A KR 102299538 B1 KR102299538 B1 KR 102299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pipe
storage tank
tan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6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수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오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오케이
Priority to KR1020210071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538B1/en
Priority to PCT/KR2021/010718 priority patent/WO2022255537A1/en
Priority to KR1020210116606A priority patent/KR202201632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5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38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liquids in storage containers
    • B67D7/0266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liquids in storage containers by gas acting directly on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38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the liquid level in vessels to be filled, e.g. using ultrasonic waves, optical reflexion, pro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6Arrangements of devices for purifying liquids to be transferred, e.g. of filters, of air or water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5Constructional details
    • B67D2001/0096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 B67D2001/0098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using a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46Component storage means
    • B67D2210/00149Fixed containers to be filled in situ
    • B67D2210/00152Automatically
    • B67D2210/00157Level detected electrically by contact with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lyte supply apparatus, as a device for supplying an electrolyte through pressurization of an inert gas, can be reduced in cost compared to a device for supplying an electrolyte using the conventional pump. The electrolyte supply apparatus easily supplies an electrolyte by pressurizing an inert gas,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provided. The electrolyte supply apparatus separates and recovers not only electrolyte supply but also gas components generated during the electrolyte supply process, for example, used inert gas or exhaust gas, and waste electrolyte, and purifies and discharges gas components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Through a safety system that is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supply apparatus and comprises a sensing unit, an alarm unit, a monitoring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 systemized safety system rather than a simple supply type can be built.

Description

전해질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시스템{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Electrolyte supply device and safety system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전해질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해질을 공급하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and a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supplying an electrolyte used in a secondary battery and a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스마트폰, MP3 플레이어,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모바일 전자 기기와 전기 자동차 등의 발전으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portable mobi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MP3 players, and tablet PCs, and electric vehicles, the demand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store electric energy is increasing explosively.

하지만, 리튬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해질은 폭발성 물질로 분류되어 폭발 및 발화의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전해질을 공급 및 보관하는데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여, 사용자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electrolyte used i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classified as an explosive material, and there is a risk of explosion and ignition. Accordingly, special management is required to supply and store the electrolyte, which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제10-2069568호 (2020.02.1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B1) No. 10-2069568 (2020.02.11.)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하고 사용자 용이하게 전해질을 공급하고 공급 과정의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safely and easily supplying an electrolyte and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supply process, and a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해질 공급 장치는, 전해질을 보관하는 전해질 보관 탱크;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와 탱크로리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배관;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와 제2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전해질이 상기 탱크로리로 이송되도록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로 비활성 가스를 제공하여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 내부를 가압하는 가압가스 제공부;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와 제3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상기 전해질의 이송에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에 존재하는 배기 가스를 전달받고, 가스 성분 및 폐전해액으로 분리하는 분리 탱크; 상기 분리 탱크와 제4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가스 성분을 정화하여 공기 중으로 배출하는 공기 정화 장치; 상기 분리 탱크와 제5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분리 탱크(140)로부터 상기 폐전해액이 전달되는 드레인 버퍼 탱크; 상기 드레인 버퍼 탱크와 제6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드레인 저장 탱크; 상기 제6 배관 중에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 버퍼 탱크에 모인 상기 폐전해액을 위치에너지에 반하여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로 이동시키는 제1 에어펌프; 상기 제1 배관 중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1 밸브; 상기 제2 배관 중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2 밸브; 상기 제3 배관 중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3 밸브; 상기 제4 배관 중에 설치되어 상기 제4 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밸브; 상기 제5 배관 중에 설치되어 상기 제5 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5 밸브; 및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에 보관된 상기 전해질을 상기 탱크로리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밸브를 조절하고,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 내에 포함된 상기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를 상기 분리 탱크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2 밸브 및 상기 제3 밸브를 조절하고, 상기 분리 탱크 내의 상기 가스 성분을 상기 공기 정화 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4 밸브를 조절하고, 상기 분리 탱크 내의 상기 폐전해액을 상기 드레인 버퍼 탱크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5 밸브를 조절하고, 상기 드레인 버퍼 탱크 내의 상기 폐전해액을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에어펌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Electrolyt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lyte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electrolyte; a first pipe connected betwee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and the tank lorry; a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through a second pipe and pressurizing the inside of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by providing an inert gas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so that the electrolyte is transferred to the tank lorry; It is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through a third pipe, and receives the inert gas used for transporting the electrolyte or the exhaust gas present i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through the third pipe, and separates it into a gas component and a waste electrolyte separation tank; an air purific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tank through a fourth pipe, purifying the gas component and discharging it into the air; a drain buffer tank connected to the separation tank through a fifth pipe and to which the waste electrolyte is delivered from the separation tank 140; a drain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drain buffer tank through a sixth pipe; a first air pump installed in the sixth pipe to move the waste electrolyte collected in the drain buffer tank to the drain storage tank against potential energy; a first valve installed in the first pipe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pipe; a second valve installed in the second pipe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pipe; a third valve installed in the third pipe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ird pipe; at least one fourth valve installed in the fourth pipe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fourth pipe; a fifth valve installed in the fifth pipe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fth pipe; and adjusting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to deliver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to the tank lorry, and directing the used inert gas or exhaust gas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to the separation tank. adjusting the second valve and the third valve to deliver, adjusting the fourth valve to deliver the gas component in the separation tank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and draining the waste electrolyte in the separation tank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fth valve to transfer to the buffer tank and controlling the first air pump to move the waste electrolyte in the drain buffer tank to the drain storage tank.

또한, 상기 드레인 버퍼 탱크는 지하에 매설되고,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는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폐전해액은 상기 분리 탱크로부터 상기 제5 배관을 통해 자연적인 유속에 의해 상기 드레인 버퍼 탱크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에어펌프는 지하에 매설된 상기 드레인 버퍼 탱크 내의 상기 폐전해액을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로 끌어올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in buffer tank is buried underground, the drain storage tank is installed on the ground, and the waste electrolyte may be moved from the separation tank to the drain buffer tank by a natural flow rate through the fifth pipe. . The first air pump may raise the waste electrolyte in the drain buffer tank buried underground to the drain storage tank.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해질 공급 장치는,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와 제7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폐전해질 수거부; 및 상기 제7 배관 중에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에 모인 상기 폐전해액을 상기 폐전해질 수거부로 이동시키는 제2 에어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는 제6 밸브가 설치된 제8 배관을 통해 상기 가압가스 제공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가스 제공부로부터 상기 비활성 가스가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 내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6 밸브를 온(on)하고, 압력을 가하여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 내의 상기 폐전해액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 에어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 내의 상기 폐전해액을 상기 폐전해질 수거부에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Electrolyt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electrolyte collecting unit connected to the drain storage tank and a seventh pipe; and a second air pump installed in the seventh pipe to move the waste electrolyte collected in the drain storage tank to the waste electrolyte collection unit, wherein the drain storage tank includes an eighth pipe in which a sixth valve is installed. It may be connected to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through the. The control unit turns on the sixth valve so that the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supply unit presses the inside of the drain storage tank, and applies pressure to move the waste electrolyte in the drain storage tank 2 By controlling the air pump, the waste electrolyte in the drain storage tank may be compressed and stored in the waste electrolyte collecting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비활성 가스의 가압을 통해 전해질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존의 펌프를 이용하여 전해질을 공급하는 장치에 비하여 비용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한편, 전해질은 폭발성 물질로 분류되는 전해질을 공급시키는 전해질 공급 장치가 폭발하는 경우, 비활성 가스로 질소를 사용할 때 질소가 소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전해질 공급 장치는 비활성 가스의 가압으로 용이하게 전해질을 공급시켜, 사용자의 편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해질 공급뿐만 아니라 전해질 공급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 성분(예: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 및 폐전해액을 분리하여 회수하고, 가스 성분을 정화 후 배출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해질 공급 장치와 연결되고, 서로 연동되는 센싱부, 알람부, 모니터링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전 시스템을 통해, 단순한 공급 형태가 아닌 시스템화된 안전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pparatus for supplying the electrolyte through the pressurization of the inert gas, the cost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apparatus for supplying the electrolyte using a conventional pump.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the electrolyte, which is classified as an explosive material, explodes, nitrogen may perform a fire extinguishing function when nitrogen is used as an inert gas. In addition,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easily supplies the electrolyte by pressurizing the inert gas,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provid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by separating and recovering gas components (eg, used inert gas or exhaust gas) and waste electrolyte generated in the electrolyte supply process as well as electrolyte supply, and purifying and discharging the gas components. On the other hand, through a safety system that is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and includes a sensing unit, an alarm unit, a monitoring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 systemized safety system rather than a simple supply type can be buil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해질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해질 공급 장치의 전해질 보관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해질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해질 공급 장치에서 전해질 보관 탱크로 공급된 전해질을 회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해질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안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lectrolyte storage tank of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of FIG. 1 .
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overing the electrolyte supplied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in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shown in FIG.
5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afety system including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clearly and in detail to the extent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해질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해질 공급 장치의 전해질 보관 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lectrolyte storage tank of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of FIG. 1 .

도 1을 참조하면, 전해질 공급 장치(1000)는 전해질 생산 장치(100), 전해질 보관 탱크(110), 가압가스 제공부(120), 분리 탱크(140), 공기 정화 장치(150), 드레인 버퍼 탱크(160), 드레인 저장 탱크(170), 폐전해질 수거부(180), 복수의 배관들(P1, P2, P3, P4, P5, P6, P7, P8, P9, P10, P11, P12, P13, P14), 복수의 밸브들(V1, V2,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2) 및 복수의 에어펌프들(AP1, AP2)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해질 공급 장치(1000)는 전해질 공급 업체로 전해질을 전달하는 탱크로리(tank lorry, 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1000 includes an electrolyte production device 100 , an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 a pressurized gas supply unit 120 , a separation tank 140 , an air purification device 150 , and a drain buffer. Tank 160, drain storage tank 170, waste electrolyte collection unit 180, a plurality of pipes (P1, P2, P3, P4, P5, P6, P7, P8, P9, P10, P11, P12, P13) , P14), a plurality of valves V1, V2,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2, and a plurality of air pumps AP1, AP2. Additionally,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1000 may further include a tank lorry 130 for delivering the electrolyte to the electrolyte supplier.

전해질 공급 장치(1000)에 의해 공급되고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전해질은 이차전지에 사용될 수 있다. 전해질은 유기 전해질 및 고분자 전해질로 나눠질 수 있다. 예컨대, 유기 전해질은 리튬염(LiAsF6, LiPF6, LiClO4)과 PC(polycarbonate), EC(ethylene carbonate), DME(dimethyl ether), DEC(diethyl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와 같은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supplied and temporarily stored by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1000 may be used in the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s can be divided into organic electrolytes and polymer electrolytes. For example, the organic electrolyte may include lithium salts (LiAsF6, LiPF6, LiClO4) and an organic solvent such as PC (polycarbonate), EC (ethylene carbonate), DME (dimethyl ether), DEC (diethyl carbonate), and DMC (dimethyl carbonate). can

예컨대, 유기 전해질은 유기 용매를 한 가지만 사용하기보다는 좋은 유전 상수를 갖는 용매(예컨대, PC, EC)와 낮은 점도를 갖는 용매(예컨대, DME, DEC, DMC)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전해질은 PEO(poly ethylene oxide) 또는 PMMA(poly methyl methacrylate)와 같은 고분자 매트릭스에 유기 용매와 리튬염을 첨가하여 사용하며, 선택적으로 가소제를 넣기도 한다. For example, the organic electrolyte may be used by mixing a solvent having a good dielectric constant (eg, PC, EC) and a solvent having a low viscosity (eg, DME, DEC, DMC) rather than using only one organic solvent. Polymer electrolytes are used by adding an organic solvent and lithium salt to a polymer matrix, such as polyethylene oxide (PEO) or 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and optionally a plasticizer.

한편, 전해질은 폭발위험성이 있는 물질로서, 0℃ 정도의 저온에서 공급 및 보관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해질이 공급되거나 보관되는 곳은 온도 조절부(CL)를 설치하여 전해질을 0℃으로 유지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lyte is an explosive material, and must be supplied and stored at a low temperature of about 0°C. Therefore, the electrolyte must be maintained at 0°C by installing a temperature control unit (CL) where the electrolyte is supplied or stor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해질 생산 장치(100)는 전해질을 생산하여 전해질 보관 탱크(11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해질 생산 장치(100)는 제1 배관(P1)을 통해 전해질 보관 탱크(110)와 연결되어, 생산된 전해질을 전해질 보관 탱크(110)로 이송할 수 있다. 제1 배관(P1) 중에는 제1 배관(P1)의 개폐를 위해 제1 밸브(V1)가 설치되어 전해질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lyte production apparatus 100 may produce an electrolyte and supply it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 For example, the electrolyte production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through the first pipe P1 to transfer the produced electrolyte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 A first valve V1 is installed in the first pipe P1 to open and close the first pipe P1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electrolyte.

전해질 보관 탱크(110)는 공급된 전해질을 보관(또는 임시 보관)할 수 있다. 전해질 보관 탱크(110)는 보관(또는 임시 보관)된 전해질을 탱크로리(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전해질 보관 탱크(110)는 제2 배관(P2) 및 제3 배관(P3)을 통해 가압가스 제공부(120)와 연결되고, 제5 배관(P5)을 통해 탱크로리(130)와 연결될 수 있다. 전해질 보관 탱크(110)는 제2 배관(P2) 및 제3 배관(P3)을 통해 가압가스 제공부(120)로부터 비활성 가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배관(P2) 중에는 제2 배관(P2)의 개폐를 위해 제2 밸브(V2)가 설치되고, 제3 배관(P3) 중에는 제3 배관(P3)의 개폐를 위해 제3 밸브(V3)가 설치되어, 비활성 가스의 제공 및 차단을 조절할 수 있다. 제5 배관(P5) 중에는 제5 배관(P5)의 개폐를 위해 제5 밸브(V5)가 설치되어, 전해질의 이송 및 차단을 조절할 수 있다. 제5 배관(P5)은 탱크로리(130)와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may store (or temporarily store) the supplied electrolyte.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may deliver the stored (or temporarily stored) electrolyte to the tank lorry 130 .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may be connected to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through the second pipe P2 and the third pipe P3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tank lorry 130 through the fifth pipe P5 .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may receive an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through the second pipe P2 and the third pipe P3 . A second valve V2 is installed in the second pipe P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pipe P2, and a third valve V3 is installed in the third pipe P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ird pipe P3. may be installed to control the provision and blocking of the inert gas. A fifth valve V5 is installed in the fifth pipe P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fth pipe P5 to control the transfer and blocking of electrolyte. The fifth pipe P5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tank lorry 130 .

일 예로, 탱크로리(130)와 연결된 제5 밸브(V5)를 온(on)하여 제5 배관(P5)을 열어, 탱크로리(130)와 전해질 보관 탱크(110)를 연통시킬 수 있다. 전해질 보관 탱크(110)와 연결된 제2 밸브(V2) 및 제3 밸브(V3)를 온하여 제2 배관(P2) 및 제3 배관(P3)을 열어, 전해질 보관 탱크(110)와 가압가스 제공부(120)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때 나머지 밸브들은 오프로 설정될 수 있다. 가압가스 제공부(120)로부터 비활성 가스가 전해질 보관 탱크(110) 내부를 가압하여, 전해질 보관 탱크(110)에 보관된 전해질은 제5 배관(P5)을 통해 탱크로리(130)로 이송될 수 있다. For example, by turning on the fifth valve V5 connected to the tank lorry 130 to open the fifth pipe P5, the tank lorry 130 and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may be in communication. By turning on the second valve (V2) and the third valve (V3)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to open the second pipe (P2) and the third pipe (P3),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and the pressurized gas Study 120 can be communicated. At this time, the remaining valves may be set to off.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pressurizes the inside of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may be transferred to the tank lorry 130 through the fifth pipe (P5).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해질 보관 탱크(110)로부터 탱크로리(130)로 전해질을 공급시킬 때, 펌프 없이 비활성 가스의 압력만으로 공급시킬 수 있어 목적하는 정확한 양의 전해질을 안전하게 공급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upplying the electrolyte from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to the tank lorry 130, it is possible to supply only the pressure of the inert gas without a pump, so that the desired exact amount of electrolyte can be safely supplied. can supply.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해질 보관 탱크(1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11)와, 압력 센서(111)와 연동되며 전해질 보관 탱크(110) 내 압력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제2 밸브(V2) 및 제3 밸브(V3)를 강제로 오프(off)시키고 제6 밸브(V6), 제8 밸브(V8) 및 제10 밸브(V10)를 강제로 온(on)시키는 제어부(440, 도 5 참조)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전해질 보관 탱크(110)에 저장된 전해질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 센서(111)와, 수위 센서(111)와 연동되며 전해질 양이 설정된 범위(예: 도 2의 B 레벨)를 벗어나면 제1 밸브(V1) 또는 제5 밸브(V5)를 강제로 오프시키는 제어부(440, 도 5 참조)가 더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sure sensor 111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and the pressure sensor 111 are interlocked and when the pressure i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is out of a set range, the second valve (V2) and the third valve (V3) forcibly off (off), the control unit 440 for forcibly turning on (on) the sixth valve (V6), the eighth valve (V8) and the tenth valve (V10); 5) may be further provided. Alternatively, when the water level sensor 111 for measuring the amount of electrolyte stored i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and the water level sensor 111 are interlocked and the electrolyte amount is out of a set range (eg, level B in FIG. 2), the first A control unit 440 (refer to FIG. 5 ) for forcibly turning off the valve V1 or the fifth valve V5 may be further provid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해질 보관 탱크(110)는 전해질을 저장(또는 임시 저장)하는데, 전해질이 0℃의 저온으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해질 보관 탱크(110)의 외측을 감싸는 온도 조절부(CL)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관(P1) 및 제5 배관(P5)은 전해질이 이동되는 통로로서, 전해질을 0℃의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해 온도 조절부(CL)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전해질 보관 탱크(110) 내부에 전해질 보관 탱크(11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비활성 가스 농도 센서(112)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전해질 수위가 설정된 레벨(예: A 레벨) 아래로 내려가면, 비활성 가스 농도 센서(112)가 노출되고 비활성 가스 농도 센서(112)에서는 비활성 가스 농도가 설정된 농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전해질을 보충을 알려줄 수 있다.1 and 2,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stores (or temporarily stores) the electrolyte, since the electrolyte must be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of 0 ° C., temperature control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A portion CL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first pipe P1 and the fifth pipe P5 are passages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moves, and a temperature control unit CL may be provided to maintain the electrolyte at a low temperature of 0°C. For example, an inert gas concentration sensor 112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inside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may be further provided. When the electrolyte level falls below a set level (eg, A level), the inert gas concentration sensor 112 is exposed and the inert gas concentration sensor 112 notifies you to replenish the electrolyte when the inert gas concentration is outside the set concentration range. ca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해질 보관 탱크(110)는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몸체와, 몸체의 일 단부를 폐쇄하는 상단부, 및 몸체의 일 단부에 대향하는 타 단부를 폐쇄하는 하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은 반구(hemisphere) 형상으로 몸체의 일 단부 및 타 단부 각각을 폐쇄할 수 있다. 일 예로, 전해질 보관 탱크(110)는 캡슐형상을 가지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전해질 보관 탱크(110)의 하단부가 둥근 표면을 가짐으로써, 전해질 보관 탱크(1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가 더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전해질 보관 탱크(110) 내에 전해질은 전해질 보관 탱크(110)의 75% 내지 85%까지 채워질 수 있다. 전해질 보관 탱크(110)의 85% 이상(예: 도 2의 B 레벨) 채워질 경우,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may include a body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 upper end closing one end of the body, and a lower end closing the other end opposite to one end of the body. Each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may clos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in a hemisphere shape. For example,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may have a capsule shape, and may have an elliptical cross-sect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As another example, by having the lower end of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has a round surfac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may be further provided. Meanwhile, the electrolyte i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may be filled up to 75% to 85% of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 When more than 85% of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eg, level B in FIG. 2 ) is filled, a safety problem may occu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해질 보관 탱크(110)는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를 분리 탱크(14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해질 보관 탱크(110)는 제6 배관(P6)을 통해 분리 탱크(1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6 배관(P6) 중에는 제6 배관(P6)의 개폐를 위해 제6 밸브(V6)가 설치되어, 전해질 보관 탱크(110) 내의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의 이동 및 차단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제5 밸브(V5)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분리 탱크(140)와 연결된 제6 밸브(V6)를 온하여 제6 배관(P6)을 열어, 전해질 보관 탱크(110)와 분리 탱크(140)를 연통시킬 수 있다. 전해질 보관 탱크(110)와 연결된 제2 밸브(V2) 및 제3 밸브(V3)를 온하여 제2 배관(P2) 및 제3 배관(P3)을 열어, 전해질 보관 탱크(110)와 가압가스 제공부(120)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에, 가압가스 제공부(120)로부터 비활성 가스가 전해질 보관 탱크(110) 내부를 가압하여, 전해질 보관 탱크(110) 내의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는 분리 탱크(140)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may deliver the used inert gas or exhaust gas to the separation tank 140 . For example,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may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tank 140 through the sixth pipe P6. A sixth valve V6 is installed in the sixth pipe P6 to open and close the sixth pipe P6 to control movement and blocking of the inert gas or exhaust gas used i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fifth valve V5 is turned off, the sixth valve V6 connected to the separation tank 140 is turned on to open the sixth pipe P6, and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and the separation tank ( 140) can be connected. By turning on the second valve (V2) and the third valve (V3)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to open the second pipe (P2) and the third pipe (P3),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and the pressurized gas Study 120 can be communicated. Accordingly, the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pressurizes the inside of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 and the inert gas or exhaust gas used i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may be moved to the separation tank 140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압가스 제공부(120)는 비활성 가스를 보관하며, 전해질 보관 탱크(110)로 비활성 가스를 제공하여, 전해질 보관 탱크(110)의 내부를 비활성 가스로 가압할 수 있다. 또는 가압가스 제공부(120)는 탱크로리(130)로 비활성 가스를 제공하여, 탱크로리(130)의 내부를 비활성 가스로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활성 가스는 질소(N2), 아르곤(Ar), 헬륨(He), 라돈(Rn), 네온(Ne), 제논(Xe)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폭발성 물질로 분류되는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공급 장치(1000)가 폭발하는 경우, 비활성 가스로 질소가 사용되면, 질소가 소화 기능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may store the inert gas and provide the inert gas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to pressurize the inside of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with the inert gas. Alternatively,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may provide the inert gas to the tank lorry 130 to pressurize the inside of the tank lorry 130 with the inert gas. For example, the inert gas may include one of nitrogen (N2), argon (Ar), helium (He), radon (Rn), neon (Ne), and xenon (Xe). For example, when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1000 for supplying an electrolyte classified as an explosive material explodes, when nitrogen is used as the inert gas, the nitrogen may perform a fire extinguishing func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압가스 제공부(12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21)와, 압력 센서(121)와 연동되며 가압가스 제공부(120) 내 압력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제2 밸브(V2)를 강제로 오프시키는 제어부(440, 도 5 참조)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는 가압가스 제공부(120)에 저장된 비활성 가스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 센서(121)와, 수위 센서(121)와 연동되며 비활성 가스 양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제2 밸브(V2)를 강제로 오프시키는 제어부(440, 도 5 참조)가 더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pressure sensor 121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is interlocked with the pressure sensor 121 and the pressure in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is out of a set range, A control unit 440 (refer to FIG. 5 ) for forcibly turning off the second valve V2 may be further provided. Alternatively, the water level sensor 121 for measuring the amount of inert gas stored in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and the water level sensor 121 are interlocked and when the inert gas amount is out of the set range, the second valve V2 is forcibly closed. A control unit 440 (refer to FIG. 5 ) for turning off may be further provid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탱크로리(130)는 전해질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며, 제5 배관(P5) 및 제5 밸브(V5)는 전해질이 공급되는 통로로 이용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전해질은 0℃ 정도의 저온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탱크로리(130), 제5 배관(P5) 및 제5 밸브(V5) 각각의 외측을 감싸는 온도 조절부(예: 도 2의 온도 조절부(CL))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ank lorry 130 temporarily stores the electrolyte, and the fifth pipe P5 and the fifth valve V5 are us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lectrolyte is supplied. Sinc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low temperature of the tank lorry 130, the fifth pipe (P5) and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eg,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CL) of FIG. 2 ) surrounding the outside of each of the fifth valve (V5) will be provided. ca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탱크로리(13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31)와, 압력 센서(131)와 연동되며 탱크로리(130) 내 압력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제5 밸브(V5)를 강제로 오프시키는 제어부(440, 도 5 참조)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는 탱크로리(130)에 저장된 전해질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 센서(131)와, 수위 센서(131)와 연동되며 전해질 양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제5 밸브(V5)를 강제로 오프시키는 제어부(440, 도 5 참조)가 더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sure sensor 131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tank lorry 130 and the pressure sensor 131 are interlocked and when the pressure in the tank lorry 130 is out of a set range, the fifth valve V5 is closed. A control unit 440 (refer to FIG. 5 ) for forcibly turning off may be further provided. Alternatively, a water level sensor 131 for measuring the amount of electrolyte stored in the tank lorry 130, and a control unit 440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water level sensor 131 and forcibly turns off the fifth valve V5 when the electrolyte amount is out of a set range , see FIG. 5) may be further provid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탱크로리(130)는 일시적으로 저장된 전해질을 전해질 보관 탱크(110)로 언로딩(unloading)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탱크로리(130)는 제2 배관(P2) 및 제12 배관(P12)을 통해 가압가스 제공부(120)와 연결되고, 제5 배관(P5)을 통해 전해질 보관 탱크(110)와 연결될 수 있다. 탱크로리(130)는 제2 배관(P2) 및 제12 배관(P12)을 통해 가압가스 제공부(120)로부터 비활성 가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2 배관(P12) 중에는 제12 배관(P12)의 개폐를 위해 제12 밸브(V12)가 설치되어, 비활성 가스의 제공 및 차단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ank lorry 130 may unload the temporarily stored electrolyte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 For example, the tank lorry 130 is connected to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through the second pipe P2 and the twelfth pipe P12, and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through the fifth pipe P5 and can be connected The tank lorry 130 may receive the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through the second pipe P2 and the twelfth pipe P12 . A twelfth valve V12 is installed in the twelfth pipe P12 to open and close the twelfth pipe P12, so that the supply and blocking of the inert gas can be controlled.

일 예로, 전해질 보관 탱크(110)와 연결된 제5 밸브(V5)를 온(on)하여 제5 배관(P5)을 열어, 탱크로리(130)와 전해질 보관 탱크(110)를 연통시킬 수 있다. 가압가스 제공부(120)와 연결된 제2 밸브(V2) 및 제12 밸브(V12)를 온하여 제2 배관(P2) 및 제12 배관(P12)을 열어, 탱크로리(130)와 가압가스 제공부(120)를 연통시킬 수 있다. 가압가스 제공부(120)로부터 비활성 가스가 탱크로리(130) 내부를 가압하여, 탱크로리(130)에 보관된 전해질은 제5 배관(P5)을 통해 전해질 보관 탱크(110)로 언로딩될 수 있다. For example, by turning on the fifth valve V5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to open the fifth pipe P5, the tank lorry 130 and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may be in communication. By turning on the second valve (V2) and the twelfth valve (V12) connected to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to open the second pipe (P2) and the twelfth pipe (P12), the tank lorry 130 and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can be communicated. The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supply unit 120 pressurizes the inside of the tank lorry 130 , and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tank lorry 130 may be unloaded in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through the fifth pipe P5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탱크로리(130)로부터 전해질 보관 탱크(110)로 전해질을 언로딩할 때, 펌프 없이 비활성 가스의 압력만으로 언로딩할 수 있어 목적하는 정확한 양의 전해질을 안전하게 언로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nloading the electrolyte from the tank lorry 130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it is possible to unload only the pressure of the inert gas without a pump, so the desired exact amount of electrolyte can be safely unload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 탱크(140)는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로부터 폐전해액을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는 폐전해액(예: 기화된 패전해액)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 탱크(140)는 중력에 기초하여 가벼운 가스 성분(예: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과 무거운 폐전해액을 분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paration tank 140 may separate the spent electrolyte from the used inert gas or exhaust gas. For example, the inert gas or exhaust gas used may contain a waste electrolyte (eg, vaporized waste electrolyte). The separation tank 140 may separate light gas components (eg, used inert gas or exhaust gas) and heavy waste electrolyte based on gravity.

분리 탱크(140)는 제8 배관(P8) 및 제11 배관(P11)을 통해 공기 정화 장치(1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8 배관(P8) 중에는 제8 배관(P8)의 개폐를 위해 제8 밸브(V8)가 설치되고, 제11 배관(P11) 중에는 제11 배관(P11)의 개폐를 위해 제11 밸브(V11)가 설치되어, 분리 탱크(140) 내의 가스 성분(예: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의 이동 및 차단을 조절할 수 있다. The separation tank 140 may be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through the eighth pipe P8 and the eleventh pipe P11 . An eighth valve V8 is installed in the eighth pipe P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ighth pipe P8, and an eleventh valve V11 is installed in the eleventh pipe P1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leventh pipe P11. may be installed to regulate the movement and blocking of gas components (eg, used inert gas or exhaust gas) in the separation tank 140 .

일 예로, 제6 밸브(V6)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공기 정화 장치(150)와 연결된 제8 밸브(V8) 및 제11 밸브(V11)를 온하여 제8 배관(P8) 및 제11 배관(P11)을 열어, 분리 탱크(140)와 공기 정화 장치(150)를 연통시킬 수 있다. 분리 탱크(140) 내의 가스 성분(예: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은 제8 배관(P8) 및 제11 배관(P11)을 통해 공기 정화 장치(150)로 이동될 수 있다.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sixth valve V6 is turned off, the eighth valve V8 and the eleventh valve V11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are turned on to turn on the eighth pipe P8 and the eleventh pipe ( P11) is opened to allow the separation tank 140 and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to communicate. A gas component (eg, used inert gas or exhaust gas) in the separation tank 140 may be mov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through the eighth pipe P8 and the eleventh pipe P11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 탱크(140)는 제7 배관(P7)을 통해 드레인 버퍼 탱크(16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7 배관(P7) 중에는 제7 배관(P7)의 개폐를 위해 제7 밸브(V7)가 설치되어, 폐전해액의 이동 및 차단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드레인 버퍼 탱크(160)와 연결된 제7 밸브(V7)를 온하여 제7 배관(P7)을 열어, 분리 탱크(140)와 드레인 버퍼 탱크(160)를 연통시킬 수 있다. 드레인 버퍼 탱크(160)는 지하에 매설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적인 유속에 의해, 폐전해액은 분리 탱크(140)로부터 드레인 버퍼 탱크(160)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paration tank 140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buffer tank 160 through the seventh pipe P7 . For example, a seventh valve V7 is installed in the seventh pipe P7 to open and close the seventh pipe P7, so that movement and blocking of the waste electrolyte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by turning on the seventh valve V7 connected to the drain buffer tank 160 to open the seventh pipe P7 , the separation tank 140 and the drain buffer tank 160 may be in communication. The drain buffer tank 160 may be buried underground. Accordingly, the waste electrolyte may be moved from the separation tank 140 to the drain buffer tank 160 by the natural flow rat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 탱크(14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41)와, 압력 센서(141)와 연동되며 분리 탱크(140) 내 압력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제6 밸브(V6)를 강제로 오프시키고 제8 밸브(V8) 및 제11 밸브(V11)를 강제로 온시키는 제어부(440, 도 5 참조)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분리 탱크(140)에 저장된 폐전해질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 센서(141)와, 수위 센서(141)와 연동되며 폐전해질 양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제6 밸브(V6)를 강제로 오프시키고 제7 밸브(V7) 및 제11 밸브(V11)를 강제로 온시키는 제어부(440, 도 5 참조)가 더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sure sensor 141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separation tank 140 is interlocked with the pressure sensor 141 and when the pressure in the separation tank 140 is out of a set range, the sixth valve V6 ) may be forcibly turned off and a control unit 440 (refer to FIG. 5 ) for forcibly turning on the eighth valve V8 and the eleventh valve V11 may be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he water level sensor 141 for measuring the amount of the waste electrolyte stored in the separation tank 140 is interlocked with the water level sensor 141, and when the amount of the waste electrolyte is out of a set range, the sixth valve V6 is forcibly turned off. and a control unit 440 (refer to FIG. 5 ) for forcibly turning on the seventh valve V7 and the eleventh valve V11 may be further provid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드레인 버퍼 탱크(160)는 폐전해액을 보관하고, 폐전해액에 포함된 가스 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레인 버퍼 탱크(160)에 전달된 폐전해액에도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의 일부가 포함될 수 있고, 드레인 버퍼 탱크(160)는 폐전해액에 포함된 가스 성분(예: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을 공기 정화 장치(150)로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ain buffer tank 160 may store the waste electrolyte and separate gas components included in the waste electrolyte. For example, the used inert gas or a part of the exhaust gas may be included in the waste electrolyte delivered to the drain buffer tank 160 , and the drain buffer tank 160 may contain a gas component (eg, used inert gas) included in the waste electrolyte. gas or exhaust gas) may be deliver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

드레인 버퍼 탱크(160)는 제9 배관(P9) 및 제11 배관(P11)을 통해 공기 정화 장치(1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9 배관(P9) 중에는 제9 배관(P9)의 개폐를 위해 제9 밸브(V9)가 설치되고, 제11 배관(P11) 중에는 제11 배관(P11)의 개폐를 위해 제11 밸브(V11)가 설치되어, 드레인 버퍼 탱크(160) 내의 폐전해액에 포함된 가스 성분의 이동 및 차단을 조절할 수 있다. The drain buffer tank 160 may be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through the ninth pipe P9 and the eleventh pipe P11 . A ninth valve V9 is installed in the ninth pipe P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inth pipe P9, and an 11th valve V11 is installed in the eleventh pipe P1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leventh pipe P11. is installed to control the movement and blocking of gas components included in the waste electrolyte in the drain buffer tank 160 .

일 예로, 공기 정화 장치(150)와 연결된 제9 밸브(V9) 및 제11 밸브(V11)를 온하여 제9 배관(P9) 및 제11 배관(P11)을 열어, 드레인 버퍼 탱크(160)와 공기 정화 장치(150)를 연통시킬 수 있다. 드레인 버퍼 탱크(160) 내의 폐전해액에 포함된 가스 성분은 제9 배관(P9) 및 제11 배관(P11)을 통해 공기 정화 장치(150)로 전달될 수 있다.For example, by turning on the ninth valve V9 and the eleventh valve V11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to open the ninth pipe P9 and the eleventh pipe P11, the drain buffer tank 160 and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 A gas component included in the waste electrolyte in the drain buffer tank 160 may be deliver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through the ninth pipe P9 and the eleventh pipe P11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드레인 버퍼 탱크(16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61)와, 압력 센서(161)와 연동되며 드레인 버퍼 탱크(160) 내 압력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제7 밸브(V7)를 강제로 오프시키고 제9 밸브(V9) 및 제11 밸브(V11)를 강제로 온시키는 제어부(440, 도 5 참조)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버퍼 탱크(160)에 저장된 폐전해질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 센서(161)와, 수위 센서(161)와 연동되며 폐전해질 양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제7 밸브(V7)를 강제로 오프시키는 제어부(440, 도 5 참조)가 더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sure sensor 161 that measures the pressure inside the drain buffer tank 160 is interlocked with the pressure sensor 161 and when the pressure in the drain buffer tank 160 is out of a set range, the seventh valve A control unit 440 (refer to FIG. 5 ) for forcibly turning off V7 and forcibly turning on the ninth valve V9 and the eleventh valve V11 may be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he water level sensor 161 that measures the amount of the waste electrolyte stored in the drain buffer tank 160 is interlocked with the water level sensor 161, and when the amount of the waste electrolyte is out of a set range, the seventh valve V7 is forcibly closed. A control unit 440 (refer to FIG. 5 ) for turning off may be further provid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드레인 저장 탱크(170)는 제13 배관(P13)을 통해 드레인 버퍼 탱크(16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레인 버퍼 탱크(160)는 지하에 매설되고, 드레인 저장 탱크(170)는 지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3 배관(P13) 중에는 제1 에어펌프(AP1)가 설치되고, 제1 에어펌프(AP1)는 드레인 버퍼 탱크(160)에 보관된 폐전해액을 지상에 설치된 드레인 저장 탱크(170)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ain storage tank 170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buffer tank 160 through the thirteenth pipe P13 . For example, the drain buffer tank 160 may be buried underground, and the drain storage tank 170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A first air pump AP1 is installed in the thirteenth pipe P13, and the first air pump AP1 moves the waste electrolyte stored in the drain buffer tank 160 to the drain storage tank 170 installed on the ground. ca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드레인 저장 탱크(170)는 제10 배관(P10) 및 제11 배관(P11)을 통해 공기 정화 장치(1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0 배관(P10) 중에는 제10 배관(P10)의 개폐를 위해 제10 밸브(V10)가 설치되고, 제11 배관(P11) 중에는 제11 배관(P11)의 개폐를 위해 제11 밸브(V11)가 설치되어, 드레인 저장 탱크(170) 내의 폐전해액에 포함된 가스 성분의 이동 및 차단을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ain storage tank 170 may be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through the tenth pipe P10 and the eleventh pipe P11. A tenth valve V10 is installed in the tenth pipe P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enth pipe P10, and an eleventh valve V11 is installed in the eleventh pipe P1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leventh pipe P11.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vement and blocking of the gas component contained in the waste electrolyte in the drain storage tank (170).

일 예로, 공기 정화 장치(150)와 연결된 제10 밸브(V10) 및 제11 밸브(V11)를 온하여 제10 배관(P10) 및 제11 배관(P11)을 열어, 공기 정화 장치(150)와 드레인 저장 탱크(170)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에, 드레인 저장 탱크(170) 내의 폐전해액에 포함된 가스 성분은 제10 배관(P10) 및 제11 배관(P11)을 통해 공기 정화 장치(150)로 전달될 수 있다.For example, by turning on the tenth valve (V10) and the eleventh valve (V11)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to open the tenth pipe (P10) and the eleventh pipe (P11),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and The drain storage tank 170 may be communicated. Accordingly, the gas component included in the waste electrolyte in the drain storage tank 170 may be deliver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through the tenth pipe P10 and the eleventh pipe P11.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드레인 저장 탱크(17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71)와, 압력 센서(171)와 연동되며 드레인 저장 탱크(170) 내 압력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제1 에어펌프(AP1)를 강제로 오프시키고 제10 밸브(V10) 및 제11 밸브(V11)를 강제로 온시키는 제어부(440, 도 5 참조)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저장 탱크(170)에 저장된 폐전해질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 센서(171)와, 수위 센서(171)와 연동되며 폐전해질 양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제1 에어펌프(AP1)를 강제로 오프시키는 제어부(440, 도 5 참조)가 더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sure sensor 171 for measuring the pressure inside the drain storage tank 170 is interlocked with the pressure sensor 171 and when the pressure in the drain storage tank 170 is out of a set range, the first air A control unit 440 (refer to FIG. 5 ) for forcibly turning off the pump AP1 and forcibly turning on the tenth valve V10 and the eleventh valve V11 may be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he water level sensor 171 for measuring the amount of the waste electrolyte stored in the drain storage tank 170 is interlocked with the water level sensor 171, and when the amount of the waste electrolyte is out of the set range, the first air pump AP1 is forced A control unit 440 (refer to FIG. 5 ) for turning off may be further provid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폐전해질 수거부(180)는 드레인 저장 탱크(170)로부터 폐전해액을 전달받아 압축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폐전해질 수거부(180)는 제14 배관(P14)을 통해 드레인 저장 탱크(17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4 배관(P14) 중에는 제2 에어펌프(AP2)가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aste electrolyte collecting unit 180 may receive the waste electrolyte from the drain storage tank 170 and compress and store it. For example, the waste electrolyte collecting unit 180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storage tank 170 through the fourteenth pipe P14. A second air pump AP2 may be installed in the fourteenth pipe P14.

일 예로, 드레인 저장 탱크(170)와 연결된 제2 밸브(V2) 및 제4 밸브(V4)를 온하여 제2 배관(P2) 및 제4 배관(P4)을 열어, 드레인 저장 탱크(170)와 가압가스 제공부(120)를 연통시킬 수 있다. 가압가스 제공부(120)로부터 비활성 가스가 드레인 저장 탱크(170) 내부를 가압하고 제2 에어펌프(AP2)는 드레인 저장 탱크(170) 내의 폐전해액을 폐전해질 수거부(18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가스 제공부(120)로부터 비활성 가스의 압력과 제2 에어펌프(AP2)에 의한 압력을 통해 폐전해액은 압축되어 폐전해질 수거부(18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나머지 밸브들은 오프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by turning on the second valve V2 and the fourth valve V4 connected to the drain storage tank 170 to open the second pipe P2 and the fourth pipe P4, the drain storage tank 170 and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may be communicated. The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supply unit 120 pressurizes the inside of the drain storage tank 170 , and the second air pump AP2 moves the waste electrolyte in the drain storage tank 170 to the waste electrolyte collection unit 180 . have. At this time, the waste electrolyte may be compressed through the pressure of the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and the pressure of the second air pump AP2 and stored in the waste electrolyte collecting unit 180 . At this time, the remaining valves may be set to off.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정화 장치(150)는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를 정화하여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 정화 장치(150)와 연결된 제8 밸브(V8) 및 제11 밸브(V1)를 온하여 제8 배관(P8) 및 제11 배관(P11)을 열어, 분리 탱크(140)와 공기 정화 장치(150)를 연통시킬 수 있다. 분리 탱크(140) 내의 가스 성분(예: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은 제8 배관(P8) 및 제11 배관(P11)을 통해 공기 정화 장치(150)로 이동될 수 있다. 공기 정화 장치(150)와 연결된 제9 밸브(V9) 및 제11 밸브(V11)를 온하여 제9 배관(P9) 및 제11 배관(P11)을 열어, 드레인 버퍼 탱크(160)와 공기 정화 장치(150)를 연통시킬 수 있다. 드레인 버퍼 탱크(160) 내의 가스 성분(예: 폐전해액에 포함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은 제9 배관(P9) 및 제11 배관(P11)을 통해 공기 정화 장치(150)로 이동될 수 있다. 공기 정화 장치(150)와 연결된 제10 밸브(V10) 및 제11 밸브(V11)를 온하여 제10 배관(P10) 및 제11 배관(P11)을 열어, 드레인 저장 탱크(170)와 공기 정화 장치(150)를 연통시킬 수 있다. 드레인 저장 탱크(170) 내의 가스 성분(예: 폐전해액에 포함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은 제10 배관(P10) 및 제11 배관(P11)을 통해 공기 정화 장치(150)로 이동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150 may purify and discharge the used inert gas or exhaust gas. For example, by turning on the eighth valve V8 and the eleventh valve V1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to open the eighth pipe P8 and the eleventh pipe P11, the separation tank 140 and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 A gas component (eg, used inert gas or exhaust gas) in the separation tank 140 may be mov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through the eighth pipe P8 and the eleventh pipe P11 . By turning on the ninth valve V9 and the eleventh valve V11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to open the ninth pipe P9 and the eleventh pipe P11, the drain buffer tank 160 and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can be communicated. A gas component (eg, inert gas or exhaust gas included in the waste electrolyte) in the drain buffer tank 160 may be mov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through the ninth pipe P9 and the eleventh pipe P11. . By turning on the tenth valve (V10) and the eleventh valve (V11)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the tenth pipe (P10) and the eleventh pipe (P11) are opened, the drain storage tank 170 and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can be communicated. A gas component (eg, inert gas or exhaust gas included in the waste electrolyte) in the drain storage tank 170 may be mov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through the tenth pipe P10 and the eleventh pipe P11. .

공기 정화 장치(150)로 이동된 가스 성분은 다양한 정화 과정을 거쳐 환경오염 물질을 제거한 후 공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질 공급 장치(1000)는 전해질 공급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The gas component moved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may be discharged into the air after removing environmental pollutants through various purification processes. Accordingly,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1000 may prevent contamination of air generated during the electrolyte supply proces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해질 보관 탱크(110)의 압력 센서(111) 또는 수위 센서(111), 가압가스 제공부(120)의 압력 센서(121) 또는 수위 센서(121), 탱크로리(130)의 압력 센서(131) 또는 수위 센서(131), 분리 탱크(140)의 압력 센서(141) 또는 수위 센서(141), 드레인 버퍼 탱크(160)의 압력 센서(161) 또는 수위 센서(161), 드레인 저장 탱크(170)의 압력 센서(171) 또는 수위 센서(171), 제1 내지 제12 밸브들(V1, V2,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2) 각각, 제1 및 제2 에어펌프(AP1, AP2) 각각은 제어부(440, 도 5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440, 도 5 참조)는 각 압력 센서(111, 121, 131, 141, 161, 171) 또는 수위 센서(111, 121, 131, 141, 161, 171)로부터 지속적으로 탱크 내부 압력 또는 수위를 입력 받아, 제1 내지 제12 밸브들(V1, V2,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2) 각각, 제1 및 제2 에어펌프(AP1, AP2)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sure sensor 111 or the water level sensor 111 of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the pressure sensor 121 or the water level sensor 121 of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the tank lorry 130 of pressure sensor 131 or water level sensor 131 , pressure sensor 141 or water level sensor 141 of separation tank 140 , pressure sensor 161 or water level sensor 161 of drain buffer tank 160 , drain The pressure sensor 171 or the water level sensor 171 of the storage tank 170, the first to twelfth valves (V1, V2,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2)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ir pumps AP1 and AP2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40 (refer to FIG. 5 ). The control unit 440 (refer to FIG. 5) continuously monitors the pressure or water level inside the tank from each of the pressure sensors 111, 121, 131, 141, 161, 171 or the water level sensors 111, 121, 131, 141, 161, and 171. Receive input, first to twelfth valves (V1, V2,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2),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air pumps (AP1, AP2), respectively can be controlled.

또한, 제어부(440, 도 5 참조)는 가압가스 제공부(120)와 연결된 제2 밸브(V2) 또는 제3 밸브(V3)에 설치된 유량 전송기(flow transmitter)를 제어하여, 전해질 보관 탱크(110)로 정확한 양의 비활성 가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되는 비활성 가스의 양이 정확해야 탱크로리(131)로 공급되는 전해질의 양이 정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40 (refer to FIG. 5 ) controls a flow transmitter installed in the second valve V2 or the third valve V3 connected to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to control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 ) can provide the correct amount of inert gas.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supplied to the tank lorry 131 may be accurate only when the amount of the provided inert gas is correct.

또한, 제어부(440, 도 5 참조)는 가압가스 제공부(120)와 연결된 제2 밸브(V2) 또는 제12 밸브(V12)에 설치된 유량 전송기(flow transmitter)를 제어하여, 탱크로리(130)로 정확한 양의 비활성 가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되는 비활성 가스의 양이 정확해야 전해질 보관 탱크(110)로 언로딩되는 전해질의 양이 정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40 (refer to FIG. 5 ) controls the flow transmitter installed in the second valve V2 or the twelfth valve V12 connected to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to control the flow transmitter to the tank lorry 130 . A precise amount of inert gas can be provided. The amount of inert gas provided must be accurate so that the amount of electrolyte unloaded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can be accurate.

또한, 제어부(440, 도 5 참조)는 가압가스 제공부(120)와 연결된 제2 밸브(V2) 또는 제4 밸브(V4)에 설치된 유량 전송기(flow transmitter)를 제어하여, 드레인 저장 탱크(170)로 정확한 양의 비활성 가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되는 비활성 가스의 양이 정확해야 폐전해질 수거부(180)에서 폐전해질을 일정하게 압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40 (refer to FIG. 5 ) controls a flow transmitter installed in the second valve V2 or the fourth valve V4 connected to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to control the drain storage tank 170 . ) can provide the correct amount of inert gas. When the amount of the provided inert gas is correct, the waste electrolyte can be constantly compressed by the waste electrolyte collecting unit 180 .

이와 같이 비활성 가스의 가압을 통해 전해질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존의 펌프를 이용하여 전해질을 공급하는 장치에 비하여 비용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한편, 폭발성 물질로 분류되는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공급 장치(1000)가 폭발하는 경우, 비활성 가스로 질소를 사용하면, 질소가 소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분리 탱크(140), 드레인 버퍼 탱크(160), 드레인 저장 탱크(170) 및 폐전해질 수거부(180)를 통해 전해질 공급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 성분(예: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 및 폐전해액을 분리하여 회수하고, 공기 정화 장치(150)를 통해 가스 성분을 정화 후 배출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pparatus for supplying the electrolyte through the pressurization of the inert gas, the cost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apparatus for supplying the electrolyte using a conventional pump.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1000 for supplying an electrolyte classified as an explosive material explodes, if nitrogen is used as an inert gas, nitrogen may perform a fire extinguishing function. In addition, gas components (eg, used inert gas or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electrolyte supply process through the separation tank 140 , the drain buffer tank 160 , the drain storage tank 170 , and the waste electrolyte collection unit 180 . And by separating and recovering the waste electrolyte, and purifying and discharging the gas component through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it is possible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해질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전해질 공급 장치(2000)는 전해질 생산 장치(200), 복수의 전해질 보관 탱크들(210, 215), 가압가스 제공부(220), 분리 탱크(240), 공기 정화 장치(250), 드레인 버퍼 탱크(260), 드레인 저장 탱크(270), 폐전해질 수거부(280), 복수의 배관들(P1, P2, P3, P4, P5, P6, P7, P8, P9, P10, P11, P12, P13, P14, P15, P16, P17, P18, P19, P20), 복수의 밸브들(V1, V2,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2, V15, V16, V17, V18, V19, V20) 및 복수의 에어펌프들(AP1, AP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2개의 전해질 보관 탱크들(210, 215), 하나의 가압가스 제공부(220)와 하나의 분리 탱크(240)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되, 본 발명은 전해질 보관 탱크, 가압가스 제공부, 및 버퍼 탱크의 수량을 이로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2개의 전해질 보관 탱크들(210, 215) 각각을 제1 전해질 보관 탱크(210) 및 제2 전해질 보관 탱크(215)라 지칭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2000 includes an electrolyte production device 200 , a plurality of electrolyte storage tanks 210 and 215 , a pressurized gas supply unit 220 , a separation tank 240 , and an air purification device ( 250), a drain buffer tank 260, a drain storage tank 270, a waste electrolyte collecting unit 280, a plurality of pipes P1, P2, P3, P4, P5, P6, P7, P8, P9, P10, P11, P12, P13, P14, P15, P16, P17, P18, P19, P20), a plurality of valves (V1, V2,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2, V15, V16, V17, V18, V19, V20 and a plurality of air pumps AP1 and AP2 may be included. In FIG. 3, two electrolyte storage tanks 210 and 215, one pressurized gas supply unit 220 and one separation tank 240 are exemplari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lyte storage tank and a pressurized gas supply unit , and the number of buffer tanks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ase of description, the two electrolyte storage tanks 210 and 215 are respectively referred to as a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210 and a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215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해질 생산 장치(200)는 제1 배관(P1)을 통해 제1 전해질 보관 탱크(210) 및 제2 전해질 보관 탱크(215)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배관(P1)은 제1 전해질 보관 탱크(210)에 연결된 제15 배관(P15)과 제2 전해질 보관 탱크(215)에 연결된 제16 배관(P16)과 연통될 수 있다. 제15 배관(P15) 및 제16 배관(P16)은 제1 배관(V1)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관(P1) 중에, 제1 배관(P1)을 개폐하기 위한 제1 밸브(V1)가 설치될 수 있다. 제15 배관(P15) 중에 제15 배관(P15)을 개폐하기 위한 제15 밸브(V15)가 설치되고, 제16 배관(P16) 중에 제16 배관(P16)을 개폐하기 위한 제16 밸브(V16)가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lyte production apparatus 2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210 and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215 through the first pipe (P1). For example, the first pipe P1 may communicate with a fifteenth pipe P15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210 and a sixteenth pipe P16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215 . The fifteenth pipe P15 and the sixteenth pipe P16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pipe V1. A first valve V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pipe P1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pipe P1 . A fifteenth valve (V1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fteenth pipe (P15) is installed in the fifteenth pipe (P15), and a sixteenth valve (V1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ixteenth pipe (P16) in the sixteenth pipe (P16) can be install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압가스 제공부(220)는 제2 배관(P2)을 통해 제1 전해질 보관 탱크(210), 제2 전해질 보관 탱크(215) 및 드레인 저장 탱크(27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배관(P2)은 제1 전해질 보관 탱크(210)에 연결된 제3 배관(P3), 제2 전해질 보관 탱크(215)에 연결된 제17 배관(P17) 및 드레인 저장 탱크(270)에 연결된 제4 배관(P4)과 연통될 수 있다. 제3 배관(P3), 제4 배관(P4) 및 제17 배관(P17)은 제2 배관(V2)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관(P2) 중에 제2 배관(P2)을 개폐하기 위한 제2 밸브(V2)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배관(P3) 중에 제3 배관(P3)을 개폐하기 위한 제3 밸브(V3)가 설치되고, 제4 배관(P4) 중에 제4 배관(P4)을 개폐하기 위한 제4 밸브(V4)가 설치되고, 제17 배관(P17) 중에 제17 배관(P17)을 개폐하기 위한 제17 밸브(V17)가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22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210 ,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215 , and the drain storage tank 270 through the second pipe P2 . . For example, the second pipe P2 includes a third pipe P3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210 , a 17th pipe P17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215 , and a drain storage tank 270 . )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ourth pipe (P4) connected to the. The third pipe P3 , the fourth pipe P4 , and the seventeenth pipe P17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cond pipe V2 . A second valve V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pipe P2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pipe P2 . A third valve V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hird pipe P3 is installed in the third pipe P3, and a fourth valve V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ourth pipe P4 in the fourth pipe P4. may be installed, and a 17th valve V17 for opening and closing the 17th pipe P17 among the 17th pipe P17 may be install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탱크로리(230)는 제5 배관(P5)을 통해 제1 전해질 보관 탱크(210) 및 제2 전해질 보관 탱크(215)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 배관(P5)은 제1 전해질 보관 탱크(210)에 연결된 제18 배관(P18)과 제2 전해질 보관 탱크(215)에 연결된 제19 배관(P19)과 연통될 수 있다. 제18 배관(P18) 및 제19 배관(P19)은 제3 배관(V3)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5 배관(P5) 중에, 제5 배관(P5)을 개폐하기 위한 제5 밸브(V5)가 설치될 수 있다. 제18 배관(P18) 중에 제18 배관(P18)을 개폐하기 위한 제18 밸브(V18)가 설치되고, 제19 배관(P19) 중에 제19 배관(P19)을 개폐하기 위한 제19 밸브(V19)가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ank lorry 2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210 and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215 through the fifth pipe (P5). For example, the fifth pipe (P5) may communicate with the eighteenth pipe (P18)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210) and the nineteenth pipe (P19)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215). The eighteenth pipe P18 and the nineteenth pipe P19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third pipe V3 . A fifth valve V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fth pipe P5 may be installed in the fifth pipe P5 . An 18th valve (V1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18th pipe (P18) is installed in the 18th pipe (P18), and a 19th valve (V1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19th pipe (P19) in the 19th pipe (P19) can be install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 탱크(240)는 제6 배관(P6)을 통해 제1 전해질 보관 탱크(210)와 연결될 수 있다. 분리 탱크(240)는 제20 배관(P20)을 통해 제2 전해질 보관 탱크(215)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6 배관(P6) 중에 제6 배관(P6)을 개폐하기 위한 제6 밸브(V6)가 설치될 수 있다. 제20 배관(P20) 중에 제20 배관(P20)을 개폐하기 위한 제20 밸브(V20)가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paration tank 24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210 through the sixth pipe (P6). The separation tank 24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215 through the twentieth pipe P20. For example, a sixth valve V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ixth pipe P6 among the sixth pipe P6 may be installed. A twentieth valve V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wentieth pipe P20 among the twentieth pipe P20 may be install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리 탱크(240)는 제7 배관(P7)을 통해 드레인 버퍼 탱크(26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7 배관(P7) 중에 제7 배관(P7)을 개폐하기 위한 제7 밸브(V7)가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paration tank 240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buffer tank 260 through the seventh pipe P7 . For example, a seventh valve V7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venth pipe P7 among the seventh pipe P7 may be install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정화 장치(250)는 제11 배관(P11)을 통해 분리 탱크(240), 드레인 버퍼 탱크(260) 및 드레인 저장 탱크(27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1 배관(P11)은 분리 탱크(240)에 연결된 제8 배관(P8), 드레인 버퍼 탱크(260)에 연결된 제9 배관(P9) 및 드레인 저장 탱크(270)에 연결된 제10 배관(P10)과 연통될 수 있다. 제8 배관(P8), 제9 배관(P9) 및 제10 배관(P10)은 제11 배관(V11)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11 배관(P11) 중에 제11 배관(P11)을 개폐하기 위한 제11 밸브(V11)가 설치될 수 있다. 제8 배관(P8) 중에 제8 배관(P8)을 개폐하기 위한 제8 밸브(V8)가 설치되고, 제9 배관(P9) 중에 제9 배관(P9)을 개폐하기 위한 제9 밸브(V9)가 설치되고, 제10 배관(P10) 중에 제10 배관(P10)을 개폐하기 위한 제10 밸브(V10)가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 purification device 250 may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tank 240 , the drain buffer tank 260 , and the drain storage tank 270 through the eleventh pipe P11 . For example, the eleventh pipe P11 may include an eighth pipe P8 connected to the separation tank 240 , a ninth pipe P9 connected to the drain buffer tank 260 , and a tenth pipe connected to the drain storage tank 270 . It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pipe (P10). The eighth pipe P8 , the ninth pipe P9 , and the tenth pipe P10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eleventh pipe V11 . An eleventh valve V1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leventh pipe P11 among the eleventh pipe P11 may be installed. An eighth valve (V8)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ighth pipe (P8) is provided in the eighth pipe (P8), and a ninth valve (V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inth pipe (P9) in the ninth pipe (P9) may be installed, and a tenth valve V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enth pipe P10 among the tenth pipe P10 may be install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해질 생산 장치(200)는 복수의 전해질 보관 탱크들(예: 제1 전해질 보관 탱크(210) 및 제2 전해질 보관 탱크(215))에 전해질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해질 보관 탱크(210)는 제1 배관(P1) 및 제15 배관(P15)을 통해 전해질을 공급받아 보관(또느 임시 보관)할 수 있다. 제2 전해질 보관 탱크(215)는 제1 배관(P1) 및 제16 배관(P16)을 통해 전해질을 공급받아 보관(또는 임시 보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lyte production apparatus 200 may supply electrolyte to a plurality of electrolyte storage tanks (eg,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210 and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215 ).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210 may receive the electrolyte through the first pipe P1 and the fifteenth pipe P15 and store (or temporarily store) the electrolyte.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215 may receive the electrolyte through the first pipe P1 and the 16th pipe P16 and store (or temporarily store) the electrolyt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탱크로리(230)는 복수의 전해질 보관 탱크들(예: 제1 전해질 보관 탱크(210) 및 제2 전해질 보관 탱크(215))로부터 전해질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해질 보관 탱크(210)는 제18 배관(P18) 및 제5 배관(P5)을 통해 탱크로리(230)로 전해질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전해질 보관 탱크(215)는 제19 배관(P19) 및 제5 배관(P5)을 통해 탱크로리(230)로 전해질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탱크로리(230)는 제1 전해질 보관 탱크(210) 및 제2 전해질 보관 탱크(215)로부터 동시에 전해질을 공급받아, 하나의 전해질 보관 탱크로부터 전해질을 공급받는 경우보다 전해질 공급 시간은 단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ank lorry 230 may receive electrolyte from a plurality of electrolyte storage tanks (eg,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210 and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215 ).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210 may supply the electrolyte to the tank lorry 230 through the eighteenth pipe (P18) and the fifth pipe (P5).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215 may supply electrolyte to the tank lorry 230 through the 19th pipe P19 and the fifth pipe P5. For example, the tank lorry 230 receives the electrolyte from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210 and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215 at the same time, and the electrolyte supply time is shorter than when the electrolyte is supplied from one electrolyte storage tank. ca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해질 보관 탱크들(예: 제1 전해질 보관 탱크(210) 및 제2 전해질 보관 탱크(215)) 내의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는 하나의 분리 탱크(240)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해질 보관 탱크(210) 및 제2 전해질 보관 탱크(215) 내의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는 동시에 분리 탱크(240)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7 밸브(V17) 및 제18 밸브(V18)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분리 탱크(140)와 연결된 제6 밸브(V6) 및 제19 밸브(V19)를 온하여 제6 배관(P6) 및 제20 배관(P20)을 열어, 전해질 보관 탱크들(210, 215) 각각과 분리 탱크(140)를 동시에 연통시킬 수 있다. 전해질 보관 탱크들(210, 215)과 연결된 제2 밸브(V2), 제3 밸브(V3) 및 제16 밸브(V16)를 온하여 제2 배관(P2), 제3 배관(P3) 및 제17 배관(P17)을 열어, 전해질 보관 탱크들(210, 215) 각각과 가압가스 제공부(220)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에, 가압가스 제공부(220)로부터 비활성 가스가 전해질 보관 탱크들(210, 215) 각각의 내부를 가압하여, 전해질 보관 탱크들(210, 215)의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는 분리 탱크(240)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전해질 보관 탱크들(210, 215)의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가 효율적으로 분리 탱크(240)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d inert gas or exhaust gas in a plurality of electrolyte storage tanks (eg,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210 and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215 ) is transferred to one separation tank 240 . can be moved For example, the spent inert gas or exhaust gas in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210 and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215 may be simultaneously transferred to the separation tank 240 .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17th valve (V17) and the 18th valve (V18) are turned off, the sixth valve (V6) and the 19th valve (V19) connected to the separation tank 140 are turned on to turn on the sixth pipe (P6) ) and the twentieth pipe P20 may be opened, so that each of the electrolyte storage tanks 210 and 215 and the separation tank 140 may be simultaneously communicated. The second valve (V2), the third valve (V3) and the sixteenth valve (V16)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s (210, 215) are turned on to turn on the second pipe (P2), the third pipe (P3) and the 17th pipe (P2). By opening the pipe P17, the electrolyte storage tanks 210 and 215 may communicate with each of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220 . Accordingly, the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220 pressurizes the inside of each of the electrolyte storage tanks 210 and 215, and the used inert gas or exhaust gas of the electrolyte storage tanks 210 and 215 is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tank ( 240) can be moved. Accordingly, the used inert gas or exhaust gas of the electrolyte storage tanks 210 and 215 can be efficiently moved to the separation tank 240 .

도 3에 도시된 전해질 공급 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전해질 공급 방법은 도 1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서는 하나의 가압가스 제공부(220)가 제공되나, 가압가스 제공부(220)는 제1 전해질 보관 탱크(210) 및 제2 전해질 보관 탱크(215) 각각과 분리되어 연결되도록 복수 개일 수도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and the electrolyte supply method shown in FIG. 3 are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FIG. 1 ,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FIG. 3 , on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220 is provided, but a plurality of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s 220 may be separate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210 and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215 . have.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해질 공급 장치에서 전해질 보관 탱크로 공급된 전해질을 회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다만, 도 4의 전해질 회수 방법은 도 1에도 적용될 수 있다. 4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overing the electrolyte supplied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in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shown in FIG. However, the electrolyte recovery method of FIG. 4 may also be applied to FIG. 1 .

도 4를 참조하면, 전해질 공급 장치(3000)는 전해질 생산 장치(300), 복수의 전해질 보관 탱크들(310, 315), 가압가스 제공부(320), 분리 탱크(340), 공기 정화 장치(350), 드레인 버퍼 탱크(360), 드레인 저장 탱크(370), 폐전해질 수거부(380), 복수의 배관들(P1, P2, P3, P4, P5, P6, P7, P8, P9, P10, P11, P12, P13, P14, P15, P16, P17, P18, P19, P20, P21, P22), 복수의 밸브들(V1, V2,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4, V15, V16, V17, V18, V19, V20, V21, V22) 및 복수의 에어펌프들(AP1, AP2)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3000 includes an electrolyte production device 300 , a plurality of electrolyte storage tanks 310 and 315 , a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320 , a separation tank 340 , and an air purification device ( 350), a drain buffer tank 360, a drain storage tank 370, a waste electrolyte collecting unit 380, a plurality of pipes P1, P2, P3, P4, P5, P6, P7, P8, P9, P10, P11, P12, P13, P14, P15, P16, P17, P18, P19, P20, P21, P22), a plurality of valves (V1, V2,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4, V15, V16, V17, V18, V19, V20, V21, V22) and a plurality of air pumps AP1 and AP2 may be included.

도 4에서는 2개의 전해질 보관 탱크들(310, 315), 하나의 가압가스 제공부(320)와 하나의 분리 탱크(340)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되, 본 발명은 전해질 보관 탱크, 가압가스 제공부, 및 버퍼 탱크의 수량을 이로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2개의 전해질 보관 탱크들(310, 315) 각각을 제1 전해질 보관 탱크(310) 및 제2 전해질 보관 탱크(315)라 지칭한다. 도 4에 도시된 전해질 공급 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또는 도 3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서는 하나의 가압가스 제공부(320)가 제공되나, 가압가스 제공부(320)는 제1 전해질 보관 탱크(310) 및 제2 전해질 보관 탱크(315) 각각과 분리되어 연결되도록 복수 개일 수도 있다.In FIG. 4, two electrolyte storage tanks 310 and 315, one pressurized gas supply unit 320 and one separation tank 340 are exemplari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lyte storage tank and a pressurized gas supply unit , and the number of buffer tanks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ase of description, the two electrolyte storage tanks 310 and 315 are respectively referred to as a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310 and a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315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shown in FIG. 4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in FIG. 1 or FIG. 3,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FIG. 4 , on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320 is provided, but a plurality of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320 may be separately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310 and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315 . hav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해질 공급 장치(3000)는 전해질 공급 배관(P17, P17, P5) 및 별도의 전해질 회수 배관(P20, P21, P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탱크로리(330)는 제5 배관(P5) 및 제18 배관(P18)을 통해 제1 전해질 보관 탱크(310)로부터 전해질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탱크로리(330)는 제5 배관(P5) 및 제19 배관(P19)을 통해 제2 전해질 보관 탱크(315)로부터 전해질을 공급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3000 may include electrolyte supply pipes (P17, P17, P5) and separate electrolyte recovery pipes (P20, P21, P22). For example, the first tank lorry 330 may receive the electrolyte from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310 through the fifth pipe (P5) and the eighteenth pipe (P18). The first tank lorry 330 may receive the electrolyte from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315 through the fifth pipe (P5) and the 19th pipe (P19).

한편, 제6 밸브(V6), 제15 밸브(V15) 및 제18 밸브(V18)를 오프하고, 제2 밸브(V2), 제3 밸브(V3), 제21밸브(V21) 및 제23 밸브(V23)를 온하여, 제2 배관(P2), 제3 배관(P3), 제21 배관(P21) 및 제23 배관(P23)을 제1 전해질 보관 탱크(310)와 연통시킬 수 있다. 제2 탱크로리(335)는 제21 배관(P21) 및 제23 배관(P23)을 통해 제1 전해질 보관 탱크(310)로부터 공급하고 남은 전해질(또는 잘못 투입된 전해질)을 회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6th valve V6, the 15th valve V15, and the 18th valve V18 are turned off, and the 2nd valve V2, the 3rd valve V3, the 21st valve V21, and the 23rd valve are turned off. By turning on (V23), the second pipe (P2), the third pipe (P3), the 21st pipe (P21), and the 23rd pipe (P23)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310). The second tank lorry 335 may recover the remaining electrolyte (or incorrectly injected electrolyte) after being supplied from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310 through the 21st pipe (P21) and the 23rd pipe (P23).

또한, 제20 밸브(V20), 제16 밸브(V16) 및 제19 밸브(V19)를 오프하고, 제2 밸브(V2), 제17 밸브(V17), 제22 밸브(V22) 및 제23 밸브(V23)를 온하여, 제2 배관(P2), 제17 배관(P17), 제22 배관(P22) 및 제23 배관(P23)을 제2 전해질 보관 탱크(315)와 연통시킬 수 있다. 제2 탱크로리(335)는 제22 배관(P22) 및 제23 배관(P23)을 통해 제2 전해질 보관 탱크(315)로부터 공급하고 남은 전해질(또는 잘못 투입된 전해질)을 회수할 수 있다. 전해질 회수 시에도, 펌프 없이 회수가 가능하여 보다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전해질이 회수될 수 있다.Further, the 20th valve V20, the 16th valve V16, and the 19th valve V19 are turned off, and the 2nd valve V2, the 17th valve V17, the 22nd valve V22, and the 23rd valve are turned off. By turning on V23 , the second pipe P2 , the 17th pipe P17 , the 22nd pipe P22 , and the 23rd pipe P23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315 . The second tank lorry 335 may recover the remaining electrolyte (or incorrectly injected electrolyte) after being supplied from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315 through the 22nd pipe P22 and the 23rd pipe P23. Even during the recovery of the electrolyte, the recovery is possible without a pump, so that the electrolyte can be recovered more simply and efficiently.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탱크로리(330)는 일시적으로 저장된 전해질을 복수의 전해질 보관 탱크(310, 315)로 언로딩(unloading)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탱크로리(330)는 제2 배관(P2) 및 제12 배관(P12)을 통해 가압가스 제공부(320)와 연결되고, 제5 배관(P5) 및 제18 배관(P18)을 통해 제1 전해질 보관 탱크(3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탱크로리(330)는 제2 배관(P2) 및 제12 배관(P12)을 통해 가압가스 제공부(320)로부터 비활성 가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가압가스 제공부(320)로부터 비활성 가스가 제1 탱크로리(330) 내부를 가압하여, 제1 탱크로리(330)에 보관된 전해질은 제5 배관(P5) 및 제18 배관(P18)을 통해 제1 전해질 보관 탱크(310)로 언로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tank lorry 330 may unload the temporarily stored electrolyte into the plurality of electrolyte storage tanks 310 and 315 . For example, the first tank lorry 330 is connected to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320 through the second pipe P2 and the twelfth pipe P12, and the fifth pipe P5 and the 18th pipe P18. I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310 through. The first tank lorry 330 may receive the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320 through the second pipe P2 and the twelfth pipe P12. The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320 pressurizes the inside of the first tank lorry 330, and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first tank lorry 330 is transferred to the first through the fifth pipe (P5) and the 18th pipe (P18). It may be unloaded in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310 .

또한, 제1 탱크로리(330)는 제2 배관(P2) 및 제12 배관(P12)을 통해 가압가스 제공부(320)와 연결되고, 제5 배관(P5) 및 제19 배관(P19)을 통해 제2 전해질 보관 탱크(315)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탱크로리(330)는 제2 배관(P2) 및 제12 배관(P12)을 통해 가압가스 제공부(320)로부터 비활성 가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가압가스 제공부(320)로부터 비활성 가스가 제1 탱크로리(330) 내부를 가압하여, 제1 탱크로리(330)에 보관된 전해질은 제5 배관(P5) 및 제19 배관(P19)을 통해 제2 전해질 보관 탱크(315)로 언로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ank lorry 330 is connected to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320 through the second pipe P2 and the twelfth pipe P12, and through the fifth pipe P5 and the 19th pipe P19. I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315). The first tank lorry 330 may receive the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320 through the second pipe P2 and the twelfth pipe P12. The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320 pressurizes the inside of the first tank lorry 330, and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first tank lorry 330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through the fifth pipe (P5) and the 19th pipe (P19). It may be unloaded in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315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탱크로리(335)는 일시적으로 저장된 전해질을 복수의 전해질 보관 탱크(310, 315)로 언로딩(unloading)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탱크로리(335)는 제2 배관(P2) 및 제24 배관(P24)을 통해 가압가스 제공부(320)와 연결되고, 제23 배관(P23) 및 제21 배관(P21)을 통해 제1 전해질 보관 탱크(3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4 배관(P24) 중에 제24 배관(P24)을 개폐하기 위한 제24 밸브(V24)가 설치되고, 제23 배관(P23) 중에 제23 배관(P23)을 개폐하기 위한 제23 밸브(V23)가 설치되고, 제21 배관(P21) 중에 제21 배관(P21)을 개폐하기 위한 제21 밸브(V21)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탱크로리(335)는 제2 배관(P2) 및 제12 배관(P12)을 통해 가압가스 제공부(320)로부터 비활성 가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가압가스 제공부(320)로부터 비활성 가스가 제2 탱크로리(335) 내부를 가압하여, 제2 탱크로리(335)에 보관된 전해질은 제23 배관(P23) 및 제21 배관(P21)을 통해 제1 전해질 보관 탱크(310)로 언로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tank lorry 335 may unload the temporarily stored electrolyte into the plurality of electrolyte storage tanks 310 and 315 . For example, the second tank lorry 335 is connected to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320 through the second pipe P2 and the 24 pipe P24, and the 23rd pipe P23 and the 21st pipe P21. I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lyte storage tank 310 through. A twenty-fourth valve (V2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wenty-fourth pipe (P24) is installed in the twenty-fourth pipe (P24), and a twenty-third valve (V2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wenty-third pipe (P23) in the twenty-third pipe (P23) may be installed, and a 21st valve V2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21st pipe P21 may be installed in the 21st pipe P21. The second tank lorry 335 may receive the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320 through the second pipe P2 and the twelfth pipe P12. The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supply unit 320 pressurizes the inside of the second tank lorry 335, and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second tank lorry 335 is transferred to the first through the 23rd pipe (P23) and the 21st pipe (P21). It may be unloaded in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310 .

또한, 제2 탱크로리(335)는 제2 배관(P2) 및 제24 배관(P24)을 통해 가압가스 제공부(320)와 연결되고, 제23 배관(P23) 및 제22 배관(P22)을 통해 제2 전해질 보관 탱크(315)와 연결될 수 있다. 제22 배관(P22) 중에 제22 배관(P22)을 개폐하기 위한 제22 밸브(V2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탱크로리(335)는 제2 배관(P2) 및 제24 배관(P24)을 통해 가압가스 제공부(320)로부터 비활성 가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가압가스 제공부(320)로부터 비활성 가스가 제2 탱크로리(335) 내부를 가압하여, 제2 탱크로리(335)에 보관된 전해질은 제23 배관(P23) 및 제22 배관(P22)을 통해 제2 전해질 보관 탱크(315)로 언로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tank lorry 335 is connected to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320 through the second pipe (P2) and the 24th pipe (P24), and through the 23rd pipe (P23) and the 22nd pipe (P22) I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lyte storage tank (315). A 22nd valve V2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22nd pipe P22 may be installed in the 22nd pipe P22. The second tank lorry 335 may receive the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320 through the second pipe P2 and the 24th pipe P24. The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320 pressurizes the inside of the second tank lorry 335, and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second tank lorry 335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through the 23rd pipe (P23) and the 22nd pipe (P22). It may be unloaded in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315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해질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안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5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afety system including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안전 시스템(4000)은 전해질 공급 장치(1000, 2000, 3000), 센싱부(410), 알람부(420), 모니터링부(430), 및 제어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 공급 장치(1000, 2000, 3000)는 도 1,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전해질 공급 장치(1000, 2000, 3000) 중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해질 공급 장치(1000, 2000, 3000)는 전해질 공급, 언로딩 및 드레인 장치(electrolyte supplying, unloading and drain device)로 지칭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safety system 4000 may include electrolyte supply devices 1000 , 2000 , 3000 , a sensing unit 410 , an alarm unit 420 , a monitoring unit 430 , and a control unit 440 . have.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1000 , 2000 , 3000 may be one of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s 1000 , 2000 , 3000 illustrated in FIGS. 1 , 3 or 4 .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lso,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s 1000 , 2000 , and 3000 may be referred to as electrolyte supplying, unloading and draining device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싱부(410)는 전해질 공급 장치(1000, 2000, 3000)와 연결될 수 있다. 센싱부(410)에서는 전해질 공급 장치(1000, 2000, 3000)로부터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감지하거나 전해질 공급 장치(1000, 2000, 3000)로부터 발생되는 열 및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nsing unit 410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1000, 2000, 3000). The sensing unit 410 may detect harmful gas generated from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s 1000 , 2000 , and 3000 or detect heat and fire generated from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s 1000 , 2000 and 3000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알람부(420)는 전해질 공급 장치(1000, 2000, 3000)와 연결될 수 있다. 알람부(420)는 센싱부(410)와 연동되어 센싱부(410)로부터 감지된 유해가스, 열, 및 화재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larm unit 420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1000, 2000, 3000). The alarm unit 42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sensing unit 410 to visually and aurally notify the harmful gas, heat, and fir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410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니터링부(430)는 폐쇄회로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 시각적으로 모니터하고, 소방대 등 관련 기관이 상시적으로 모니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onitoring unit 430 may visually monitor in real time using a closed circuit camera or the like, and a related institution such as a fire brigade may monitor it at all time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440)는 센싱부(410), 알람부(420) 및 모니터링부(430)로부터 감지된 것을 통해 살수/소화 장치를 가동시키거나 비상 정지 및 환기 등의 구체적인 액션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40)는 도 1에 도시된 전해질 보관 탱크(110) 내 압력 및 전해질 양에 따라 제1 밸브(V1), 제2 밸브(V2), 제3 밸브(V3), 제5 밸브(V5) 및 제6 밸브(V6)를 제어하고, 가압가스 제공부(120) 내 압력 및 비활성 가스 양에 따라 제2 밸브(V2), 제3 밸브(V3), 제4 밸브(V4) 및 제12 밸브(V12)를 제어하고, 탱크로리(130) 내 압력 및 전해질 양에 따라 제5 밸브(V5) 및 제12 밸브(V12)를 제어하고, 분리 탱크(140) 내 압력 및 폐전해질 양에 따라 제6 밸브(V6), 제7 밸브(V7), 제8 밸브(V8) 및 제11 밸브(V11)를 제어하고, 드레인 버퍼 탱크(160) 내 압력 및 폐전해질 양에 따라 제7 밸브(V7), 제9 밸브(V9), 제11 밸브(V11) 및 제1 에어펌프(AP1)를 제어하고, 드레인 저장 탱크(170) 내 압력 및 폐전해질 양에 따라 제2 밸브(V2), 제4 밸브(V4), 제10 밸브(V10), 제11 밸브(V11), 제1 에어펌프(AP1) 및 제2 에어펌프(AP2)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40 operates the watering/fire extinguishing device through the sensing unit 410, the alarm unit 420, and the monitoring unit 430, or performs specific actions such as emergency stop and ventilation. can tak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40 may include a first valve (V1), a second valve (V2), a third valve (V3), and a fifth according to the pressure and the electrolyte amount i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shown in FIG. 1 . The valve V5 and the sixth valve V6 are controlled, and the second valve V2, the third valve V3, and the fourth valve V4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essure in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and the amount of the inert gas. and a twelfth valve (V12), and a fifth valve (V5) and a twelfth valve (V12) according to the pressure in the tank lorry 130 and the amount of electrolyte, and the pressure and the amount of waste electrolyte in the separation tank 140 control the sixth valve (V6), the seventh valve (V7), the eighth valve (V8), and the eleventh valve (V11) according to the (V7), the ninth valve (V9), the eleventh valve (V11) and the first air pump (AP1) to control, and according to the pressure in the drain storage tank 170 and the amount of the waste electrolyte, the second valve (V2), The fourth valve V4 , the tenth valve V10 , the eleventh valve V11 , the first air pump AP1 , and the second air pump AP2 may be controll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해질 공급 장치(1000, 2000, 3000)와 연결되고, 서로 연동되는 센싱부(410), 알람부(420), 모니터링부(430), 및 제어부(440)를 포함하는 안전 시스템(4000)을 통해, 단순한 공급 형태가 아닌 시스템화된 안전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1000, 2000, 3000), the safety including the sensing unit 410, the alarm unit 420, the monitoring unit 430, and the control unit 440 that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With the system 4000, a systemized safety system rather than a simple supply type can be established.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above are specific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imple design changes or easily changeabl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include techniques that can be easily modified and implemented using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전해질 공급 장치 100: 전해질 생산 장치
110: 전해질 보관 탱크 111: 센서
120: 가압가스 제공부 121: 센서
130: 탱크로리 131: 센서
140: 분리 탱크 141: 센서
150: 공기 정화 장치
160: 드레인 버퍼 탱크 161: 센서
170: 드레인 저장 탱크 171: 센서
180: 폐전해질 수거부
P1, P2, P3, P4, P5, P6, P7, P8, P9, P10, P11, P12, P13, P14: 배관
V1, V2,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2: 밸브
AP1, AP2: 에어펌프
1000: electrolyte supply device 100: electrolyte production device
110: electrolyte storage tank 111: sensor
120: pressurized gas supply unit 121: sensor
130: tank lorry 131: sensor
140: separation tank 141: sensor
150: air filter
160: drain buffer tank 161: sensor
170: drain storage tank 171: sensor
180: waste electrolyte collection unit
P1, P2, P3, P4, P5, P6, P7, P8, P9, P10, P11, P12, P13, P14: Piping
V1, V2,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2: valve
AP1, AP2: Air pump

Claims (4)

전해질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전해질을 보관하는 전해질 보관 탱크(110);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110)와 탱크로리(130)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배관(P5);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110)와 제2 배관(P2, P3)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전해질이 상기 탱크로리(130)로 이송되도록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110)로 비활성 가스를 제공하여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110) 내부를 가압하는 가압가스 제공부(120);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110)와 제3 배관(P6)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3 배관(P6)을 통해 상기 전해질의 이송에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110)에 존재하는 배기 가스를 전달받고, 가스 성분 및 폐전해액으로 분리하는 분리 탱크(140);
상기 분리 탱크(140)와 제4 배관(P8, P11)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가스 성분을 정화하여 공기 중으로 배출하는 공기 정화 장치(150);
상기 분리 탱크(140)와 제5 배관(P7)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분리 탱크(140)로부터 상기 폐전해액이 전달되는 드레인 버퍼 탱크(160);
상기 드레인 버퍼 탱크(160)와 제6 배관(P13)을 통해 연결되는 드레인 저장 탱크(170);
상기 제6 배관(P13) 중에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 버퍼 탱크(160)에 모인 상기 폐전해액을 위치에너지에 반하여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170)로 이동시키는 제1 에어펌프(AP1);
상기 제1 배관(P5) 중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배관(P5)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1 밸브(V5);
상기 제2 배관(P2, P3) 중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배관(P2, P3)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2 밸브(V2, V3);
상기 제3 배관(P6) 중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배관(P6)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3 밸브(V6);
상기 제4 배관(P8, P11) 중에 설치되어 상기 제4 배관(P8, P11)의 개폐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밸브(V8, V11);
상기 제5 배관(P7) 중에 설치되어 상기 제5 배관(P7)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5 밸브(V7); 및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110)에 보관된 상기 전해질을 상기 탱크로리(130)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 밸브(V5) 및 상기 제2 밸브(V2, V3)를 조절하고,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110) 내에 포함된 상기 사용된 비활성 가스 또는 배기 가스를 상기 분리 탱크(140)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2 밸브(V2, V3) 및 상기 제3 밸브(V6)를 조절하고, 상기 분리 탱크(140) 내의 상기 가스 성분을 상기 공기 정화 장치(150)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4 밸브(V8, V11)를 조절하고, 상기 분리 탱크(140) 내의 상기 폐전해액을 상기 드레인 버퍼 탱크(160)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5 밸브(V7)를 조절하고, 상기 드레인 버퍼 탱크(160) 내의 상기 폐전해액을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170)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에어펌프(AP1)를 조절하는 제어부(440)를 포함하는 전해질 공급 장치.
In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for storing the electrolyte;
A first pipe (P5) connected betwee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and the tank lorry (130);
It is connected through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and the second pipe (P2, P3), and provides an inert gas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so that the electrolyte is transferred to the tank lorry 130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 110) a pressurized gas supply unit 120 for pressurizing the inside;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and the exhaust gas present i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are connected through the third pipe (P6), the inert gas used for transporting the electrolyte through the third pipe (P6) a separation tank 140 for receiving and separating the gas component and the waste electrolyte;
an air purification device 150 connected to the separation tank 140 and a fourth pipe (P8, P11), purifying the gas component and discharging it into the air;
a drain buffer tank 160 connected to the separation tank 140 through a fifth pipe P7 and to which the waste electrolyte is delivered from the separation tank 140 ;
a drain storage tank 170 connected to the drain buffer tank 160 through a sixth pipe P13;
a first air pump (AP1) installed in the sixth pipe (P13) to move the waste electrolyte collected in the drain buffer tank (160) to the drain storage tank (170) against potential energy;
a first valve (V5) installed in the first pipe (P5)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pipe (P5);
a second valve (V2, V3) installed in the second pipe (P2, P3)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pipe (P2, P3);
a third valve (V6) installed in the third pipe (P6)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third pipe (P6);
at least one fourth valve (V8, V11) installed in the fourth pipe (P8, P11)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fourth pipe (P8, P11);
a fifth valve (V7) installed in the fifth pipe (P7)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fth pipe (P7); and
The first valve (V5) and the second valve (V2, V3) are adjusted to deliver the electrolyte stored i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to the tank lorry (130), and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adjusting the second valves V2 and V3 and the third valve V6 to deliver the used inert gas or exhaust gas contained therein to the separation tank 140 , and to control the fourth valves V8 and V11 to deliver the gas component to the air purification device 150 , and to deliver the waste electrolyte in the separation tank 140 to the drain buffer tank 160 . a control unit 440 for controlling the fifth valve V7 and controlling the first air pump AP1 to move the waste electrolyte in the drain buffer tank 160 to the drain storage tank 170; containing electrolyte supp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버퍼 탱크(160)는 지하에 매설되고,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170)는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폐전해액은 상기 분리 탱크(140)로부터 상기 제5 배관(P7)을 통해 자연적인 유속에 의해 상기 드레인 버퍼 탱크(160)로 이동되고,
상기 제1 에어펌프(AP1)는 지하에 매설된 상기 드레인 버퍼 탱크(160) 내의 상기 폐전해액을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170)로 끌어올리는 전해질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ain buffer tank 160 is buried underground,
The drain storage tank 170 is installed on the ground,
The waste electrolyte is moved from the separation tank 140 to the drain buffer tank 160 by a natural flow rate through the fifth pipe P7,
The first air pump (AP1) is an electrolyte supply device for raising the waste electrolyte in the drain buffer tank (160) buried underground to the drain storage tank (17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170)와 제7 배관(P14)을 통해 연결되는 폐전해질 수거부(180); 및
상기 제7 배관(P14) 중에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170)에 모인 상기 폐전해액을 상기 폐전해질 수거부(180)로 이동시키는 제2 에어펌프(AP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170)는 제6 밸브(V2, V4)가 설치된 제8 배관(P2, P4)을 통해 상기 가압가스 제공부(120)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440)는,
상기 가압가스 제공부(120)로부터 상기 비활성 가스가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170) 내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6 밸브(V2, V4)를 온(on)하고,
압력을 가하여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170) 내의 상기 폐전해액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 에어펌프(AP2)를 제어하여,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170) 내의 상기 폐전해액을 상기 폐전해질 수거부(180)에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설정된, 전해질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waste electrolyte collecting unit 180 connected to the drain storage tank 170 and a seventh pipe P14; and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air pump (AP2) installed in the seventh pipe (P14) to move the waste electrolyte collected in the drain storage tank (170) to the waste electrolyte collecting unit (180),
The drain storage tank 170 is connected to the pressurized gas supply unit 120 through the eighth pipes (P2, P4) installed with the sixth valves (V2, V4),
The control unit 440,
Turning on the sixth valves (V2, V4) so that the inert gas from the pressurized gas supply unit 120 pressurizes the inside of the drain storage tank 170,
By controlling the second air pump (AP2) to move the waste electrolyte in the drain storage tank 170 by applying pressure,
The electrolyte supply device, which is set to compress and store the waste electrolyte in the drain storage tank 170 in the waste electrolyte collection unit 180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110)와 연결되고,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110) 내 압력 및 전해질 수위를 감지하는 제1 센서(111);
상기 가압가스 제공부(120)와 연결되고, 상기 가압가스 제공부(120)의 압력 및 비활성 가스 수위를 감지하는 제2 센서(121);
상기 분리 탱크(140)와 연결되고, 상기 분리 탱크(140) 내 압력 및 폐전해질 수위를 감지하는 제3 센서(141);
상기 드레인 버퍼 탱크(160)와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 버퍼 탱크(160) 내 압력 및 폐전해질 수위를 감지하는 제4 센서(161);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170)와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170) 내 압력 및 폐전해질 수위를 감지하는 제5 센서(171); 및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110) 내부에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110)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비활성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가스 농도가 설정된 범위보다 큰 경우 상기 전해질 보충을 알리는 비활성 가스 농도 센서(1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40)는 상기 제1 센서(111) 또는 상기 비활성 가스 농도 센서(112)와 연결되어 상기 압력 및 전해질 수위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해질 보관 탱크(110)에 상기 전해질을 공급하는 배관에 설치된 밸브를 조절하고, 상기 제2 센서(121)와 연결되어 상기 압력 및 비활성 가스 수위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2 밸브(V2, V3)를 조절하고, 상기 제3 센서(141)와 연결되어 상기 분리 탱크(140) 내 압력 및 폐전해질 수위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3 밸브(V6)를 조절하고, 상기 제4 센서(161)와 연결되어 상기 드레인 버퍼 탱크(160) 내 압력 및 폐전해질 수위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5 밸브(V7)를 조절하고, 상기 제5 센서(171)와 연결되어 상기 드레인 저장 탱크(170) 내 압력 및 폐전해질 수위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1 에어펌프(AP1)를 조절하는 전해질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sensor 111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and sensing the pressure and the electrolyte level in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a second sensor 121 connected to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and sensing the pressure and the inert gas level of the pressurized gas providing unit 120;
a third sensor 141 connected to the separation tank 140 and sensing the pressure and the waste electrolyte level in the separation tank 140 ;
a fourth sensor 161 connected to the drain buffer tank 160 and sensing a pressure and a waste electrolyte level in the drain buffer tank 160;
a fifth sensor 171 connected to the drain storage tank 170 and sensing the pressure and the waste electrolyte level in the drain storage tank 170; and
An inert gas concentration sensor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inside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inert gas, and notifying the electrolyte replenishment when the measured gas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a set range (112)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440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111 or the inert gas concentration sensor 112 to supply the electrolyte to the electrolyte storage tank 110 when the pressure and the electrolyte level are out of set ranges. controls the valve installed in the ,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nsor 121 to control the second valves V2 and V3 when the pressure and the inert gas level are out of the set ranges, and the third sensor 141 and It is connected to control the third valve V6 when the pressure and the waste electrolyte level in the separation tank 140 are out of the set ranges, and is connected to the fourth sensor 161 to control the pressure in the drain buffer tank 160 . and when the waste electrolyte level is out of the set range, the fifth valve V7 is adjusted, and the pressure in the drain storage tank 170 and the waste electrolyte level in the drain storage tank 170 are connected to the fifth sensor 171 out of the set range. Electrolyte supply device for controlling the first air pump (AP1).
KR1020210071684A 2021-06-02 2021-06-02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2995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684A KR102299538B1 (en) 2021-06-02 2021-06-02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PCT/KR2021/010718 WO2022255537A1 (en) 2021-06-02 2021-08-12 Electrolyte supply apparatus and safety system comprising same
KR1020210116606A KR20220163231A (en) 2021-06-02 2021-09-01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684A KR102299538B1 (en) 2021-06-02 2021-06-02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606A Division KR20220163231A (en) 2021-06-02 2021-09-01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538B1 true KR102299538B1 (en) 2021-09-07

Family

ID=777973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684A KR102299538B1 (en) 2021-06-02 2021-06-02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0210116606A KR20220163231A (en) 2021-06-02 2021-09-01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606A KR20220163231A (en) 2021-06-02 2021-09-01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953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386Y1 (en) * 2003-05-07 2003-08-09 키펙스솔루션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generating hydrogen gas and oxygen gas with a means for separating a gas from electrolyte
KR102069568B1 (en) 2019-02-19 2020-02-11 조수민 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20095913A (en) * 2018-12-14 2020-06-18 株式会社デンソー Electrolyte station, power management system
KR20200101278A (en) * 2020-01-17 2020-08-27 조수민 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00133722A (en) * 2018-03-22 2020-11-30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Alkaline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gas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386Y1 (en) * 2003-05-07 2003-08-09 키펙스솔루션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generating hydrogen gas and oxygen gas with a means for separating a gas from electrolyte
KR20200133722A (en) * 2018-03-22 2020-11-30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Alkaline water electrolysis device and gas manufacturing method
JP2020095913A (en) * 2018-12-14 2020-06-18 株式会社デンソー Electrolyte station, power management system
KR102069568B1 (en) 2019-02-19 2020-02-11 조수민 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00101278A (en) * 2020-01-17 2020-08-27 조수민 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231A (en)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568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200101278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755190B1 (en) Sample collection device and sample collection method
CN106568638B (en) A kind of gas mixer
US20190006699A1 (en) Pressure and/or temperature management in electrochemical systems
US20190229350A1 (en) Cavern battery bank
KR102299538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3985426B (en) The wet solid waste treatment method of nuclear facilities radioactivity
CN102921266A (en) Tail gas recovery device for sulfur hexafluoride gas test instrument
KR102299537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9276976A (en) A kind of recyclable device and method of sulfur hexafluoride and nitrogen mixed gas
CN100588868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containing sulphur hexafluoride gas leakage
KR102305899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olyte and safety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3303857B (en) A kind of expoxy propane cargo unloader and the technique of unloading a ship
CN103432694B (en) Acid dangerous chemical leakage emergency disposal method and movable type disposal system of acid dangerous chemical leakage emergency disposal method
KR20200124348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explosive material
CN201802437U (en) Movable type liquid carbon dioxide fire preventing and extinguishing device for mine
KR20200124350A (en) Exhausting system
CN209204995U (en) A kind of recyclable device of sulfur hexafluoride and nitrogen mixed gas
WO2022255537A1 (en) Electrolyte supply apparatus and safety system comprising same
CN100408452C (en) Chlorine leakeage processing device with liquid chlorine processing ability
CN103157376A (en) SNCR and SCR (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and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combined reducing agent storage and preparation system
CN204429039U (en) A kind of exhaust emissions detoxification system for mist configuration
US20210379509A1 (en) Method for degassing flowable fluids
CN209872888U (en) Station desulfurization device for low-potential sulfur natural g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