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440B1 - 공공조명을 위한 IoT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의 등록 및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공공조명을 위한 IoT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의 등록 및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440B1
KR102299440B1 KR1020200004716A KR20200004716A KR102299440B1 KR 102299440 B1 KR102299440 B1 KR 102299440B1 KR 1020200004716 A KR1020200004716 A KR 1020200004716A KR 20200004716 A KR20200004716 A KR 20200004716A KR 102299440 B1 KR102299440 B1 KR 102299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way
platform
information
iot
io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5447A (ko
Inventor
박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200004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44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1/306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04L61/3015Name registration, generation or assignment
    • H04L61/302Administrative registration, e.g. for domain names at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ICANN]
    • H04L61/307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30Types of network names
    • H04L2101/365Application layer names, e.g. buddy names, unstructured names chosen by a user or home appliance n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30Types of network names
    • H04L2101/375Access point names [AP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등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로등이나 보안등과 같은 등주의 등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IoT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를 관리자의 스마트기기를 통해 현장에서 간편하게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는 IoT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 등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공조명을 위한 IoT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의 등록 및 관리방법{Registr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IoT device and gateway for public illumination}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의 등록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로등이나 보안등과 같은 공공조명의 등기구를 제어하기 위한 IoT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를 관리자의 스마트기기를 통해 현장에서 간편하게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는 IoT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의 등록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물인터넷을 구현하기 위한 IoT디바이스, 게이트웨이의 관리 및 통신 절차에 다양한 사물인터넷 표준들이 정립되어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 환경은 제어 대상물에 설치되어 제어 대상물을 제어하고 상태를 검출하는 IoT 디바이스, 관리자가 관리하고 IoT 디바이스에서 계측된 정보들을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 대상물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IoT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플랫폼, IoT 디바이스와 플랫폼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게이트웨이로 이루어진다.
사물인터넷 분야는 크게 자동차, 헬스케어, 가전, 물류 분야의 개인 IoT, 농업, 공장 분야의 산업 IoT, 보안관제, 환경, 에너지 분야의 공공 IoT로 구분된다.
특히, 공공 IoT 분야는 최근 친환경 에너지 정책과 에너지 사용 절감 정책에 발맞춰 급성장하고 있는 분야이다.
공공 IoT 분야 중, 전력 IoT분야는 정보통신단체표준(TTA standard)의 에너지 전력 분야 사물인터넷(e-IoT)로 표준화되어 있는데, 이 표준은 에너지 전력시설에 구축될 e-IoT 디바이스(센서 및 액추에이터)를 연결하여 e-IoT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할 수 있으며 수집된 측정 데이터를 e-IoT 플랫폼에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서비스 규격을 정의한다.
또한, 이 표준은 IETF CoAP, OMA LWM2M, oneM2M 표준을 근간으로 e-IoT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규격을 정의하며, e-IoT 디바이스와 e-IoT 게이트웨이, e-IoT 플랫폼 사이의 메시지 절차를 정의하고 이를 위한 장치 및 리소스 식별자를 정의한다.
그러나 이 표준에는 공공시설물인 가로등이나 보안등에 적합한 기능과 절차는 정의되지 않아 가로등이나 보안등에 적합한 e-IoT표준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47673호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가로등 의 고장 발생을 신고할 수 있는 '앱을 이용한 가로등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817599호에는 보안등의 전력량 감시, 안정기 및 조명램프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문제발생시 보안등관리자에게 전달하여 신속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보안등 관제시스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들은 가로등이나 보안등의 효율적인 운용과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IoT 디바이스나 게이트웨이를 플랫폼에 등록하는 절차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가로등이나 보안등의 제어를 위한 IoT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의 등록 절차를 표준화하여 제조사나 모델이 상이하더라도 현장에서 관리자가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는 방법이 정립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로등이나 보안등의 제어 및 감시를 위한 IoT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를 플랫폼에 간편하게 등록할 수 있는 IoT 디바이스 등록방법 및 게이트웨이 등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등주에 부착되어 미세먼지, 온도, 습도, 전력 사용량 또는 고장 여부를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게이트웨이를 통해 플랫폼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플랫폼의 제어 정보를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등주의 등기구를 제어하는 IoT 디바이스를 상기 플랫폼에 등록하기 위한 IoT 디바이스 등록방법으로서, 관리자의 스마트기기를 등주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와 유선케이블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IoT디바이스의 통신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가 관리자로부터 상기 IoT디바이스의 기기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가 입력받은 기기정보를 상기 IoT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IoT디바이스는 전송받은 기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통신식별자와 상기 기기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등록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식별자는 상기 IoT디바이스의 맥어드레스이고, 상기 기기정보는 상기 IoT디바이스의 제조사ID, 모델ID, 시리얼넘버, 상기 IoT디바이스가 접속해야하는 접속 게이트웨이 정보, 상기 IoT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서 정보 또는 상기 IoT디바이스가 설치되는 등주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통신식별자와 상기 기기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플랫폼이 상기 IoT디바이스가 접속할 접속 게이트웨이로 상기 통신식별자와 상기 IoT디바이스의 응답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게이트웨이가 상기 통신식별자에 해당하는 IoT디바이스로 응답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응답요청을 받은 IoT디바이스가 상기 접속 게이트웨이로 자신의 기기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게이트웨이가 수신한 기기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이 기 수신한 기기정보와 현재 응답된 기기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IoT기기를 등록하고 통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신하여 플랫폼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플랫폼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를 상기 플랫폼에 등록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등록방법으로서, 관리자의 스마트기기를 상기 게이트웨이와 유선케이블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통신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가 관리자로부터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기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가 입력된 기기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전송받은 기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통신식별자와 상기 기기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등록방법을 더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식별자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맥어드레스이고, 상기 기기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제조사ID, 모델ID 또는 시리얼넘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통신식별자와 상기 기기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플랫폼이 상기 통신식별자에 해당하는 게이트웨이로 응답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응답요청을 받은 게이트웨이가 자신의 기기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이 기 수신한 기기정보와 현재 응답된 기기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를 등록하고 통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IoT 디바이스 등록방법 및 게이트웨이 등록방법에 의하면, 관리자의 스마트기기를 유선케이블을 통해 IoT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에 접속하여 기기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IoT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에 기기등록을 위한 별도의 통신모듈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기기등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IoT 디바이스 등록방법 및 게이트웨이 등록방법에 의하면, IoT 디바이스 또는 게이트웨이에서 기기정보를 플랫폼으로 전송하지 않고 스마트기기가 직접 기기정보를 플랫폼으로 무선 전송하여 간편하게 기기등록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등록방법과 게이트웨이 등록방법이 수행되는 e-IoT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등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등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등록방법과 게이트웨이 등록방법이 수행되는 e-IoT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e-IoT 환경은 플랫폼(100), 게이트웨이(200) 및 IoT 디바이스(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IoT 디바이스(300)는 등록을 위해 관리자의 스마트기기(40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200)를 등록하고자 할 경우, 상기 스마트기기(400)는 상기 게이트웨이(20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플랫폼(100)과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인터넷망이나 전화통신망(LTE, 5G)과 같은 광대역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웨이(200)와 상기 IoT 디바이스(300)는 LoRa(Long Range)와 같은 저전력 무선 자가망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400)는 상기 IoT 디바이스(300)와 유선케이블(410)을 통해 유선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선케이블(410)은 USB와 같은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규격의 유선케이블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선케이블(410)은 USB 이외에 다양한 인터페이스 방식의 케이블로 대체가 가능하다. 다만, 상기 IoT 디바이스(300)와 상기 스마트기기(400)는 유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에 한정된다.
그 이유는 상기 IoT 디바이스(300)가 상기 스마트기기(400)와 무선으로 연결될 경우 별도의 무선 통신 모듈이 필요하여 부피가 커지고 비용이 증가하며, 무선통신모듈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유지 보수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IoT 디바이스(300)는 가로등이나 보안등의 등주(10)에 부착되어 등기구(11)의 온/오프, 디밍 제어, 전력 소비량 감시, 고장 여부 등을 검출한다.
또한, 상기 IoT 디바이스(300)는 등주(10) 주위의 미세먼지, 온도, 습도 등의 환경 정보를 더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상기 플랫폼(100)의 제어 명령을 상기 IoT 디바이스(300)로 전송하거나, 상기 IoT 디바이스(300)에서 계측된 정보를 상기 플랫폼(100)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플랫폼(100)은 상기 IoT 디바이스(300)에서 계측한 정보를 빅데이터로 저장하고 공공기관이나 유지 보수업체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플랫폼(100)에 접근하여 빅데이터의 이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IoT 디바이스 등록방법 및 게이트웨이 등록방법은 상기 IoT 디바이스(300)와 상기 게이트웨이(200) 및 상기 플랫폼(100)이 전술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IoT 디바이스(300)와 상기 게이트웨이(200)를 상기 플랫폼(100)에 등록하여 서로 통신 가능한 상태를 만들어 주는 방법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등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등록방법은 관리자가 상기 IoT 디바이스를 등주(10)에 최초 설치하고 상기 IoT 디바이스(300)와 상기 플랫폼(100)이 상기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통신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등록하는 방법이다.
먼저, 관리자는 상기 등주(10)에 IoT 디바이스(300)를 설치하고, 유선케이블(410)을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400)를 상기 IoT 디바이스(300)에 연결한다(S1000).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400)는 현장단말로써 상기 IoT 디바이스(300)의 등록을 위해 별도로 제작된 단말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와 같은 일반적인 스마트기기일 수 있다.
다음, 상기 IoT 디바이스(300)는 상기 스마트기기(400)로 자신의 통신식별자를 전송한다(S1100).
또한, 상기 통신식별자는 맥어드레스(MAC address)일 수 있으며 통신을 위해 부여된 고유 번호이다.
다음, 상기 스마트기기(400)는 관리자로부터 상기 IoT 디바이스(300)의 기기정보를 입력받고(S1200), 입력된 기기정보를 상기 IoT 디바이스(300)에 전송하며(S1300), 상기 IoT 디바이스(300)는 전송받은 기기정보를 저장한다(S1400).
또한, 상기 기기정보는 상기 IoT 디바이스(300)의 기기정보로써 상기 IoT 디바이스(300)를 제조한 제조사ID, 상기 IoT 디바이스(300)의 모델ID, 상기 IoT 디바이스(300)의 고유 식별 번호인 시리얼넘버, 상기 IoT 디바이스(300)가 탑제한 센서 정보(미세먼지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등), 상기 IoT 디바이스(300)가 접속해야하는 접속 게이트웨이 정보, 상기 IoT 디바이스(300)가 설치된 위치의 위치정보(GPS정보)를 포함한다.
다음, 상기 스마트기기(400)는 상기 IoT 디바이스(300)의 통신식별자와 기기정보를 상기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S1500).
즉, 상기 기기정보는 상기 스마트기기(4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IoT 디바이스(300)에 저장되는 한편, 상기 플랫폼(100)으로 함께 전송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400)와 상기 플랫폼(100)은 LTE, 5G와 같은 전화통신망, Wi-Fi와 같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무선으로 상기 통신식별자와 상기 기기정보를 전송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의 등록방법은 상기 IoT 디바이스(300)가 상기 플랫폼(100)으로 직접 접근하여 자신의 정보를 등록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스마트기기(400)가 상기 플랫폼(100)에 접속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300)를 등록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플랫폼(100)이 상기 스마트기기(400)로 부터 수신한 기기정보 내의 접속 게이트웨이로 접속하고, 수신한 통신식별자의 IoT 디바이스(300)로 응답을 요청한다(S1600).
다음, 상기 접속 게이트웨이(200)가 상기 통신식별자에 해당하는 IoT 디바이스(300)로 접속하여 응답을 요청한다(S1700).
다음, 응답을 요청받은 IoT 디바이스(300)가 자신의 기기정보를 상기 접속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하고(S1800), 상기 접속 게이트웨이(200)는 수신한 기기정보를 상기 플랫폼(100)에 전송하여 응답한다(S1900).
다음, 상기 플랫폼(100)은 S1500단계에서 기 전송받은 기기정보와 현재 응답된 기기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IoT 디바이스(300)를 등록하고 통신을 개시한다(S200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등록방법에 의하면, 스마트기기(400)와 IoT 디바이스(300)를 서로 유선케이블로 접속하여 IoT디바이스(300)에 기기정보를 등록하고, 스마트기기(400)는 자신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으로 기기정보를 플랫폼(100)에 전송하여 플랫폼(100)이 등록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장에서 매우 간편하게 IoT 디바이스(300)를 플랫폼(100)에 등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등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등록방법은 상기 게이트웨이(200)를 최초 설치하고 상기 플랫폼(100)에 등록하여 통신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다.
먼저, 관리자가 상기 게이트웨이(200)를 설치하고 상기 스마트기기(400)를 상기 게이트웨이(200)에 접속한다(S10000).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등주(10)에 부착이 가능하며 배전함이나 분전반과 같은 별도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400)는 상기 게이트웨이(200)와 유선케이블을 통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400)와 상기 게이트웨이(200)의 유선 연결 방법은 전술한 상기 스마트기기(400)와 상기 IoT 디바이스(300)의 유선 연결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상기 게이트웨이(200)가 상기 스마트기기(400)로 통신식별자를 전송한다(S11000).
다음, 상기 스마트기기(400)는 관리자로부터 상기 게이트웨이(200)의 기기정보를 입력받는다(S12000).
또한, 상기 기기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200)의 상기 게이트웨이(200)를 제작한 제조사ID, 상기 게이트웨이(100)의 모델ID 및 상기 게이트웨이(100)의 시리얼넘버를 포함한다.
다음, 상기 스마트기기(400)는 입력된 기기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하며(S13000),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전송받은 기기정보를 저장한다(S14000).
다음, 상기 스마트기기(400)는 상기 게이트웨이(200)의 통신식별자 및 기기정보를 상기 플랫폼(100)으로 전송한다(S15000).
다음, 상기 플랫폼(100)은 수신된 통신식별자의 게이트웨이(200)로 접근하여 응답을 요청한다(S16000).
다음, 상기 게이트웨이(200)는 상기 플랫폼(100)으로 기기정보를 전송한다(S17000).
그러면, 상기 플랫폼(100)은 S15000단계에서 기 수신한 기기정보와 현재 전송된 게이트웨이(200)의 기기정보를 서로 비교하고 일치할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200)를 등록하여 통신을 개시한다(S1800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등록방법에 의하면, 스마트기기(400)와 게이트웨이(200)를 서로 유선케이블로 접속하여 게이트웨이(200)에 기기정보를 등록하고, 스마트기기(400)는 자신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으로 기기정보를 플랫폼(100)에 전송하여 플랫폼(100)이 등록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장에서 매우 간편하게 게이트웨이(200)를 플랫폼(100)에 등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플랫폼 200:게이트웨이
300:IoT 디바이스 400:스마트기기

Claims (6)

  1. 등주에 부착되어 미세먼지, 온도, 습도, 전력 사용량 또는 고장 여부를 포함하는 계측 정보를 게이트웨이를 통해 플랫폼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플랫폼의 제어 정보를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등주의 등기구를 제어하는 IoT 디바이스를 상기 플랫폼에 등록하기 위한 IoT 디바이스 등록방법으로서,
    관리자의 스마트기기를 등주에 설치된 IoT 디바이스와 유선케이블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IoT디바이스의 통신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IoT디바이스가 아닌 관리자로부터 상기 IoT디바이스의 기기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가 입력받은 기기정보를 상기 IoT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IoT디바이스는 전송받은 기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통신식별자와 상기 기기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식별자는 상기 IoT디바이스의 맥어드레스이고, 상기 기기정보는 상기 IoT디바이스의 제조사ID, 모델ID, 시리얼넘버, 상기 IoT디바이스가 접속해야하는 접속 게이트웨이 정보, 상기 IoT디바이스에 포함된 센서 정보 또는 상기 IoT디바이스가 설치되는 등주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이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통신식별자와 상기 기기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플랫폼이 상기 IoT디바이스가 접속할 접속 게이트웨이로 상기 통신식별자와 상기 IoT디바이스의 응답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게이트웨이가 상기 통신식별자에 해당하는 IoT디바이스로 응답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응답요청을 받은 IoT디바이스가 상기 접속 게이트웨이로 자신의 기기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게이트웨이가 수신한 기기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이 기 수신한 기기정보와 현재 응답된 기기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IoT디바이스를 등록하고 통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등록방법.
  2. 삭제
  3. 삭제
  4. IoT 디바이스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신하여 플랫폼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플랫폼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를 상기 플랫폼에 등록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등록방법으로서,
    관리자의 스마트기기를 상기 게이트웨이와 유선케이블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통신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게이트웨이가 아닌 관리자로부터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기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가 입력된 기기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전송받은 기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가 상기 통신식별자와 상기 기기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식별자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맥어드레스이고, 상기 기기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제조사ID, 모델ID 또는 시리얼넘버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이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통신식별자와 상기 기기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플랫폼이 상기 통신식별자에 해당하는 게이트웨이로 응답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응답요청을 받은 게이트웨이가 자신의 기기정보를 상기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이 기 수신한 기기정보와 현재 응답된 기기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를 등록하고 통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등록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200004716A 2020-01-14 2020-01-14 공공조명을 위한 IoT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의 등록 및 관리방법 KR102299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716A KR102299440B1 (ko) 2020-01-14 2020-01-14 공공조명을 위한 IoT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의 등록 및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716A KR102299440B1 (ko) 2020-01-14 2020-01-14 공공조명을 위한 IoT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의 등록 및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447A KR20210105447A (ko) 2021-08-27
KR102299440B1 true KR102299440B1 (ko) 2021-09-07

Family

ID=7750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716A KR102299440B1 (ko) 2020-01-14 2020-01-14 공공조명을 위한 IoT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의 등록 및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4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034B1 (ko) * 2021-04-27 2023-01-30 주식회사 멕서스 사물인터넷장치와 5g/lte 무선라우터를 통합 관리하는 원격 관제 솔루션 서버
CN117500091A (zh) * 2022-07-25 2024-02-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Pin设备的注册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116743850A (zh) * 2022-09-30 2023-09-12 广州地铁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平台的设备自发现系统及其实现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2066A1 (ja) * 2004-12-08 2006-06-15 Nec Corporation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認証情報生成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651A (ko) * 2015-10-30 2017-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조명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2066A1 (ja) * 2004-12-08 2006-06-15 Nec Corporation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認証情報生成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447A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440B1 (ko) 공공조명을 위한 IoT 디바이스 및 게이트웨이의 등록 및 관리방법
US10172219B2 (en)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TWI674012B (zh) 一種無線上網流量控制的方法和裝置
WO2014098481A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에너지 소비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37049B1 (ko) 조명 장치, 조명 장치 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등록 방법
US10492279B2 (en) Use of position data to determine a group monitor
US10750548B2 (en) Out of band diagnostics and maintenance
US10153913B1 (en) Secondary radio for diagnostic/debug
EP3313112B1 (en) Indo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nternet of things system
KR20200090652A (ko) 통합 IoT 모듈 및 이를 이용한 IoT 기반의 설비 환경 통합 관리 시스템
CN111654844A (zh) 设备配对方法以及相关设备、装置
JP5982515B1 (ja) センサデバイス、管理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672868B1 (ko)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프로비저닝 시스템 및 방법
TW201733308A (zh) 智慧開關控制系統與方法
CN109861891B (zh) 智能控制网络系统、云端平台及智能网关设备
US10973109B2 (en) Installing or changing an executable computer program in an illumination system
Kim Measuring power consumption of CC2530 with Z-Stack
US20210095841A1 (en) Antenna Assemblies For Light Fixtures
CN110890986A (zh) 一种基于zigbee终端批量配网系统与方法
CN113794610A (zh) 网关通讯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70108904A1 (en) Location based electric power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hereof
CN115486039A (zh) 节点控制单元和网络服务设备
CN107800598B (zh) 远距离通用外设接入方法、装置及系统
KR101978517B1 (ko) 실시간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통한 단말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CN110677963A (zh) 一种智能物联网灯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