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517B1 - 실시간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통한 단말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실시간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통한 단말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517B1
KR101978517B1 KR1020120142536A KR20120142536A KR101978517B1 KR 101978517 B1 KR101978517 B1 KR 101978517B1 KR 1020120142536 A KR1020120142536 A KR 1020120142536A KR 20120142536 A KR20120142536 A KR 20120142536A KR 101978517 B1 KR101978517 B1 KR 101978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 application
information
terminal
appl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2871A (ko
Inventor
강수진
허성필
김연수
김상언
김의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30142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실시간 단말앱 다운로드를 통한 단말의 연동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방법은, M2M 규격에 따른 M2M 객체에 있어서, 레거시 단말이 접속되면 단말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정보 관리 서버를 통해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이 M2M 객체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을 디바이스 설치파일 관리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통한 단말 연동 방법 및 그 장치{Method of Automatic Plug and Play for Device using Real Time Device Application Download and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M2M(machine to machine)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비표준 규격의 레거시 단말을 수용하여 서비스할 수 있는 실시간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통한 단말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 통신은 MTC(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M2M(Machine type communication), 스마트 디바이스 통신(Smart Device communication), 또는 사물지향통신(machine oriented communication) 등, 사람이 통신 과정에 개입하지 않고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의 모든 통신 방식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M2M 시스템에서는 M2M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를 구비하지 못한 비표준 단말인 레거시 단말이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M2M Area Network)로 연결되면 이러한 레거시 단말을 M2M 네트워크와 연동하기 위해 게이트웨이(G) 또는 디바이스(D) 단의 GIP/DIP(Gateway Interworking Proxy/Device Interworking Proxy)의 공통 모듈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의해 수용되지 못하는 레거시 단말에는 이러한 방식을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표준 단말을 게이트웨이(G) 또는 단말(D)에서 수용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단말앱 다운로드를 통해 레거시 단말을 연동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M2M 서비스 능력(M2M Service Capabilities)이 탑재되어 있지 않은 단말(Device)에 대해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M2M Area Network)을 통해 M2M 게이트웨이(Gateway) 또는 단말(Device)에 연동하여 M2M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private profile을 사용하는 등의 이유로, GIP/DIP에서 수용할 수 없는 레거시 단말을 게이트웨이(G) 또는 단말(D)에서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레거시 단말이 게이트웨이(G) 또는 단말(D)에 접속될 때 해당 모델에 대한 단말앱(DA: Device Application) 설치파일을 실시간으로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자동으로 Plug&Play 시킴으로써 private profi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레거시 단말을 수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거시 단말이 접속될 때 해당 모델에 대한 단말앱(Device Application)을 자동으로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구동함으로써 GIP/DIP가 수용하지 못하는 레거시 단말들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거시 단말이 게이트웨이(G) 또는 단말(D)에 접속될 때 해당 모델에 대한 단말앱(DA: Device Application) 설치파일을 실시간으로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자동으로 Plug&Play 시킴으로써 private profil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레거시 단말을 수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환경으로서 M2M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환경으로서 M2M 참조점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거시 단말과 게이트웨이(G)/단말(D)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거시 단말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물 통신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사물 통신은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IoT(Internet of Things), 스마트 장치 통신(Smart Device Communication, SDC), 또는 사물 지향 통신(Machine Oriented Communication) 등으로 다양하게 불려질 수 있다. 사물 통신은 사람이 통신 과정에 개입하지 않고 통신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통신을 지칭한다. 사물 통신은 지능형 검침(Smart Meter), 전자 보건(e-Health), 통신 가전(Connected Consumer), 도시 자동화(City Automation), 차량 응용(Automotive Application)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Machine-to-machine (M2M) 통신 시스템에서 비표준 규격의 레거시 단말을 수용하여 서비스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적용될 환경으로서 M2M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은 국제표준인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s Institute) TC(Technical Committee) M2M에 기술된 M2M 구조에 기초하여 디바이스/게이트웨이 및 M2M 코어 플랫폼(Core Platform)에서 다수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수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환경에서 적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M2M 구조는 도면의 상측에 도시된 네트워크/어플리케이션 도메인(Network and Application domain) 또는 M2M 플랫폼과, 도면의 하측에 도시된 사물 지능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2M 디바이스/게이트웨이 도메인(M2M Device domain)으로 구성된다.
네트워크/어플리케이션 도메인은 M2M 서비스 능력인 M2M SC(M2M Service Capabilities)(112)에 접근하거나 서비스 로직을 제공하는 M2M 어플리케이션(M2M Application)(111), 3GPP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113), 및 M2M SC(112)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도메인의 서비스 능력(SC)들(112)은 하나 또는 복수의 코어 네트워크(113)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존의 타 규격에 따라 공지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어플리케이션 도메인은 이외에도 M2M 디바이스/게이트웨이 도메인과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xDSL, WiMAX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114), 그리고 M2M 관리 기능(M2M Management Functions)(115) 및 네트워크 관리 기능(Network Management Functions)(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M2M 디바이스/게이트웨이 도메인은 M2M 게이트웨이(120) 및 M2M 디바이스(130 및 140)를 포함한다.
M2M 게이트웨이(120)는 M2M 어플리케이션(121)과 M2M 서비스 능력(1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2M 디바이스(130)는 M2M 어플리케이션(M2M Application)(131)과 M2M 서비스 능력(M2M Service Capabilities)(132)이 탑재될 수 있다. M2M 서비스 능력(132)을 탑재한 M2M 디바이스(130)는 액세스 네트워크(114)를 통해 직접 네트워크 도메인과 연동되어 동작(interworking and interconnection)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면 M2M SC를 포함하지 않는 M2M 디바이스(140)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M2M area network)을 통해 M2M 게이트웨이(120)와 연결되어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동작(interworking and interconnection)할 수 있다.
즉, M2M 디바이스(130 및 140)는 네트워크 도메인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M2M 어플리케이션(131)을 구동하여 M2M 디바이스 또는 M2M 게이트웨이의 M2M SC(Service Capabilities)(132 또는 122)를 통해 네트워크/어플리케이션 도메인에서 동작(interworking and interconnection)할 수 있다.
M2M 게이트웨이(120)는 M2M SC(122)를 통해 M2M 디바이스들(140)이 네트워크/어플리케이션 도메인에서 동작(interworking and interconnection)할 수 있도록 한다.
M2M 서비스 능력(Service Capabilities)은 M2M 서비스에 공통으로 필요한 기능으로, 네트워크 도메인에 있는 M2M 네트워크 서비스 능력(M2M Service Capabilities: NSCL)은 서버 플랫폼 형태로 구현되며, 디바이스/게이트웨이 도메인의 M2M 서비스 능력(M2M Service Capabilities: DSCL/GSCL)(132, 122)은 단말에 상주하여 동작한다.
서비스 능력(SC)은 일 실시예로서 xAE, xGC, xRAR, xCS, xREM, xSEC, xHDR, xTM, xTM, xIP, xCB 또는 xTO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수 있으며, x는 네트워크의 경우 N, 게이트웨이의 경우 G, 디바이스의 경우 D일수 있다. 즉, xIP는 NIP, GIP 또는 DIP일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될 xSEC는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것(Security Capability)으로서, NSEC, GSEC 또는 DSEC 일 수 있다.
이러한 M2M 게이트웨이(120) 또는 M2M 디바이스(130)의 SCL(Service Capability Layer)(122 및 132)은 네트워크 도메인의 SCL(Service Capability Layer)(112)과 특정 인터페이스를 형성하여 상호 통신하며 동작(interworking and interconnection)한다.
이를 위해 M2M 표준 구조에 따르면 네트워크 도메인과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 도메인들의 상호 인터페이스로서 mIa, mId, dIa의 참조점(reference points)이 정의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적용될 환경으로서 ETSI TC M2M 참조점에 관한 도면이다.
mIa는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사용하는 참조점으로서 M2M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NSCL (M2M Service Capability Layer in the network)과 NA (Network Application) 간의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mId는 네트워크 도메인의 NSCL과 디바이스/게이트웨이 도메인의 D/G SCL (DSCL 또는 GSCL) 간의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즉, mId는 M2M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도메인의 NSCL과 디바이스의 서비스 능력 레이어인 DSCL (M2M Service Capabilities in the M2M Device) 간에 적용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이며, 네트워크의 NSCL과 게이트웨이의 GSCL (M2M Service Capabilities in the M2M Gateway)에 적용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dIa는 M2M 디바이스/게이트웨이 도메인에서 사용하는 참조점으로서, M2M 디바이스에서 제공하는 디바이스 서비스 능력 레이어(DSCL)와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Device Application)(DA)의 인터페이스, M2M 게이트웨이에서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서비스 능력 레이어(GSCL)와 게이트웨이 어플리케이션(Gateway Application)(GA)의 인터페이스, M2M 게이트웨이에서 제공하는 GSCL과 DA의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M2M 표준 구조의 M2M 서비스 구조는, 예를 들어, 경우 1(Case1), 경우 2(Case2), 레거시 경우 1(Legacy case1), 레거시 경우 2(Legacy case2), 레거시 ㄱ경우 3(gacy case3) 등이 고려될 수 있다.
경우 1(Case1)에 따르면, M2M 서비스 능력(SC)(122)과 M2M 어플리케이션(121)을 포함하는 M2M 디바이스(D)(210)가 mId 참조점을 통하여 네트워크 도메인(290)의 NSCL과 연동할 수 있다.
경우 2(Case2)는, M2M 어플리케이션(121)을 포함하지만 M2M 서비스 능력(SC)(122)을 포함하지 않는 M2M 디바이스(D')(230)의 예로서, M2M 디바이스(D')(230)은 M2M 서비스 능력(SC)을 포함하지 않으며 dIa 참조점을 통해 M2M 게이트웨이(G)(270)의 M2M 서비스 능력(SC)(122)과 연동하여 네트워크 도메인(290)의 NSCL과 연동할 수 있다.
레거시 경우 1 내지 3은, 디바이스가 레거시 디바이스, 즉 M2M 디바이스가 아닌 비표준규격 디바이스(d)(250)인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경우, 레거시 디바이스(d)는 M2M 디바이스가 구비하는 M2M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M2M 네트워크 내의 타 장치의 서비스 능력(SCL)인 xIP(Interworking Proxy capability)를 통해 네트워크 도메인(290)에서 동작(interworking and interconnection)하게 된다.
여기서, x는 네트워크의 경우 N, 게이트웨이의 경우 G, 디바이스의 경우 D일수 있다. 즉, xIP는 NIP, GIP, DIP일 수 있다.
xIP는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Area Network)의 구조(structure)를 발견하고, 서비스 능력 레이어(SCL)에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Area Network structure)를 나타내는 M2M 리소스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Area Network structure)가 바뀌면, 이것이 반영되도록 M2M 리소스 구조를 관리할 수 있다.
레거시 경우1(Legacy case1)은, 비표준규격 디바이스(d)(250)가 네트워크 도메인의 NIP를 통해 네트워크 도메인(290)에서 동작(interworking and interconnection)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레거시 경우2(Legacy case2)는, 비표준규격 디바이스(d)(250)가 M2M 게이트웨이의 GIP를 통해 네트워크 도메인(290)에서 동작(interworking and interconnection)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레거시 경우3(Legacy case3)에 따르면, 비표준규격 디바이스(d)(250)가 M2M 디바이스(D)의 DIP를 통해 네트워크 도메인(290)에서 동작(interworking and interconnection)할 수 있다.
요약하면, ETSI TC M2M의 "M2M Functional Architecture(TS 102 690)" 문서 따르면, GIP/DIP는 비표준규격단말과 GSCL/DSCL간의 상호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다.
게이트웨이 연동 프록시 능력(GIP capability) 또는 디바이스 연동 프록시 능력(DIP capability)은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경우에 한해 채용되는 게이트웨이 서비스 능력 레이어(GSCL) 또는 디바이스 서비스 능력 레이어(DSCL)의 추가 선택적 능력으로서, 비표준단말과 GSCL 또는 DSCL 간의 연동 기능을 제공한다. 다만 기존의 레거시 단말의 특성에 따라 기타 다른 연동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으며, M2M 디바이스 또는 게이트웨이의 특성에 따라 제공되는 연동 기능에 제한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ETSI TC M2M의 "Interworking between the M2M Architecture and M2M Area Network technologies (TR 102 966)" 문서에서는 GIP/DIP/NIP와 같은 연동 프록시 모듈(Interworking Proxy Unit: IPU)은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 구조를 발견하고, ETSI M2M 서비스 능력 레이어에서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ETSI M2M 리소스 구조를 생성하며,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의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 ETSI M2M 리소스 구조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즉, 연동 프록시 모듈 IPU(GIP/DIP/NIP)는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 구조를 발견하고, 이를 ETSI M2M SCL로 표현할 수 있는 리소스 구조를 생성한다. 그리고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ETSI M2M 리소스도 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GIP/DIP는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을 사용하는 비표준규격 단말들에 대해 공통의 변환 룰을 통해 ETSI M2M의 리소스로 만드는 단말앱(Device Application)과 같은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는 비표준규격 단말이 규격화된 에어리어 네트워크에 따른 M2M 규격에서 제공하는 공통의 변환 룰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 즉 블루투스와 같은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의 표준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단말에 대해서만 해당된다.
규격화된 에어리어 네트워크을 이용하지 않거나 또는 규격화된 에어리어 네트워크을 이용하는 비표준규격 단말이라도 규격화된 에어리어 네트워크에 따른 공통의 변환 룰을 적용할 수 없는 개별 프로파일(private profile)을 사용하는 레거시 단말의 경우에는 규격화된 공통의 변환 룰을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GIP/DIP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없다.
여기서 말하는 프로파일이란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별로 프로토콜 스택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해 규정한 것으로, 예를 들어 블루투스의 경우 시리얼 케이블 연결을 에뮬레이션한 시리얼 포트 프로파일(Serial Port Profile), 쓰리-인-원 폰(3-in-1 Phone)의 기능인 인터컴을 구현하기 위한 인터콤 프로파일(Intercom Profile), 퍼스널 컴퓨터(PC)나 핸드폰을 무선으로 연결하는 헤드셋을 구현하기 위한 헤드셋 프로파일(Headset Profile) 등 30여가지의 프로파일이 있다.
이러한 표준 프로파일이 아닌 개별 프로파일(private profile)을 사용하는 비표준 규격의 레거시 단말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변환 룰을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GIP/DIP에서 수용할 수 없다.
상술한 TR 102 690 문서에서는 비표준규격 단말의 특성에 따라 다른 연동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TR 102 966 문서에서도 에어리어 네트워크 별로 또는 레거시 단말별로 별도의 M2M 어플리케이션(M2M Application)이 필요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GIP/DIP는 ETSI TC M2M 규격상에서 선택적인 기능이므로, GIP/DIP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게이트웨이(G)/단말(D)들은 연동 가능성이 있는 비표준규격의 레거시 단말들 각각의 단말앱(Device Application)들을 탑재해야 이러한 단말들과의 연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규격의 통신 기기들을 연동시키는 보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조된 게이트웨이는 어떤 비표준규격의 레거시 단말들이 연결되더라도 연동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므로 모든 비표준규격의 레거시 단말의 단말앱(DA)들을 탑재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등의 다양한 이유로 GIP/DIP에서 수용할 수 없는 비표준 단말을 게이트웨이(G) 또는 단말(D)에서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GIP.DIP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게이트웨이(G) 또는 단말(D)에서 비표준 단말을 효과적으로 수용하여 네트워크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르면 레거시 단말이 게이트웨이(G) 또는 단말(D)에 접속될 때 해당 모델에 대한 단말앱(DA: Device Application) 설치 파일을 실시간으로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자동으로 플러그 앤 플레이(Plug&Play)시킴으로써 개별 프로파일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레거시 단말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거시 단말, 게이트웨이(G)/단말(D) 및 서버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레거시 단말(d1~d4)(340 내지 370)들은 각각의 에어리어 네트워크(Area Network)을 통해 게이트웨이(G) 또는 단말(D)(400)에 접속한다.
레거시 단말 d1(340) 및 d2(350)는 블루투스(Bluetooth)의 규격 통신에 따라 통신하며 레거시 단말 d3(360) 및 d4(370)는 지그비(zigbee)의 규격 통신에 따라 통신한다.
레거시 단말 d1(340) 내지 d4(350)는 표준 규격 에어리어 네트워크을 통해 게이트웨이(G)/단말(D)(400)과 통신하며, M2M 규격에서 제공하는 공통의 변환률을 적용할 수 있는 규격 프로파일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M2M 규격에서 제공하는 GIP/DIP/NIP와 같은 연동 프록시 모듈에 의해 공통의 변환 룰을 적용할 수 없는 개별 프로파일(private profile)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거나 M2M 규격에서 제공하는 공통의 변환률을 적용할 수 있는 규격 프로파일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라도 게이트웨이(G)/단말(D)에서 GIP/DIP를 탑재하지 않은 경우 등에 대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G)/단말(D)(400)는 디바이스 앱 관리 모듈(410) 및 서비스 능력 레이어 모듈(G/DSCL)(470)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앱 관리 모듈(410)은, 게이트웨이(G) 또는 단말(D)과 연결되는 디바이스의 앱을 관리하여 해당 디바이스와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DIY(Do It Yourself) 에이전트 클라이언트로 칭하며, 이를 위해 디바이스 관리부(Device manager)(411), 에이전트 클라이언트부(Agent Client)(412),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Device Application Manager: 이하, DA 관리부)(413), 및 메모리(414)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관리부(411)는 주기적으로 게이트웨이(G)/단말(D)과 페어링된 디바이스를 검색하여 디바이스 식별자(Device ID)를 조회하는 기능을 하며, DA 관리부(413)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설치하고 설치된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에이전트 클라이언트부(412)는 디바이스 앱 관리 모듈(410)의 각 요소들과 통신하여 레거시 단말(340) 및 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디바이스 앱 정보)를 수집하며, 디바이스 앱 정보 관리 서버(31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디바이스 앱 정보 관리 서버는, 예를 들면 DIY 에이전트 서버로 칭하며, 에이전트 서버(311)와 DA 정보 관리부(313)를 포함한다.
에이전트 서버(311)는 게이트웨이(G)/단말(D)의 디바이스 앱 관리 모듈(410)의 에이전트 클라이언트부(412)와의 통신을 수행하며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DA 정보 관리부(313)는 각종 디바이스 식별자(Device ID)에 대한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식별자(ID),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버전,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설치파일의 위치정보(URI) 등을 추가/삭제/조회/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A 설치파일 관리서버(320)는 디바이스 식별자(Device ID) 별로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DA) 설치파일을 관리하는 다운로드 서버이다.
M2M 서버플랫폼은 ETSI TC M2M 규격상의 네트워크 서비스 능력 레이어(NSCL)에 해당하며 게이트웨이(G)/단말(D)의 서비스 능력 레이어(G/DSCL)(470)과 mId 표준 규격 연동을 하는 플랫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거시 단말 앱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레거시 디바이스에 대한 페어링 모니터링 과정(S5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단말(400)의 디바이스 앱 관리 모듈(410)은 디바이스 관리부(411)를 통해 주기적으로 페어링된 레거시 단말의 리스트를 요청한다(S510).
레거시 단말(340)은 예를 들면 블루투스나 지그비와 같은 에어리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M2M 게이트웨이(G)/단말(D)(400)에 페어링된다(S520).
이에 따라 디바이스 관리부(411)에서 새로이 페어링된 레거시 단말(34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 단말 리스트를 수신하여 저장된 페어링 단말 리스트가 변경되어 에이전트 클라이언트부(412)에 통지된다(S530).
저장된 페어링 단말 리스트에 새로이 페어링된 단말이 추가되어 변경되면, 디바이스 앱 관리 모듈(410)의 에이전트 클라이언트부(412)는 추가된 해당 레거시 단말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device ID information)를 디바이스 관리부(411)를 통해 요청하여 획득한다(S540).
여기서, 디바이스 식별 정보란 레거시 단말(340)이 사용하는 단말 앱(DA)을 구분할 수 있는 정보로서 레거시 단말(340)의 모델 ID나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또는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와 같은 단말 기기 고유번호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하 디바이스 앱 설치 파일 위치 정보 획득 과정(S6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디바이스 앱 설치 파일 위치 정보 획득 과정은 후술하는 디바이스 앱 설치 및 구동 과정 중 해당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앱 버전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720)를 먼저 수행하여 해당하는 디바이스 앱 버전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디바이스 앱이 설치되거나 업데이트되는 등 변경 사항이 있을 때마다 디바이스 앱 관리 모듈(410)의 메모리(414)에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디바이스 앱에 대한 정보 및 설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야 한다.
한편, 새로이 페어링된 레거시 단말(340)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한 디바이스 앱 관리 모듈(410)의 에이전트 클라이언트부(412)는 디바이스 앱 정보 관리 서버(310)에 해당 레거시 단말(340)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레거시 단말(340)에 대한 디바이스 앱 정보를 요청한다(S610).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제공받아 디바이스 앱 정보를 요청받은 디바이스 앱 정보 관리 서버(310)의 에이전트 서버(311)는 디바이스 앱(DA) 정보 관리부(313)에 해당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대한 디바이스 앱 정보를 요청한다(S620).
이에 따라, DA 정보 관리부(313)는 저장부(315)에서 수신된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DA 정보를 조회한다(S630).
디바이스 앱 정보는, 디바이스 ID를 갖는 레거시 단말이 사용하는 디바이스 앱 식별자(DA ID), DA 위치정보, DA 버전 정보 등 디바이스 앱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말하며 각각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부(315)에 저장된다.
디바이스 앱 정보 관리부(313)는 독출된 해당 디바이스 앱 정보를 에이전트 서버(311)를 통해 게이트웨이(G)/단말(D)의 에이전트 클라이언트(412)로 전송한다(S640, S650).
이하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구동 과정(S700)을 설명한다.
디바이스 앱 정보를 수신한 에이전트 클라이언트(412)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413)에 디바이스 앱 설치를 요청한다(S710).
디바이스 앱 관리부(413)는 메모리(414)를 조회하여 해당 디바이스 앱 정보, 예를 들면 디바이스 앱 식별자에 해당하는 DA 버전의 디바이스 앱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고(S720) 설치가 되어 있으면 설치되어 있는 해당 디바이스 앱을 구동한다(S750). 이 경우 메모리(414)는 디바이스 앱 식별자, 디바이스 앱 버전 정보 등의 디바이스 앱 정보에 일대일 대응하여 해당 디바이스 앱이 설치되어 있는지에 대해 예를 들면 리스트로 구성하여 디바이스 앱 설치 내역을 저장한다.
그러나 해당 디바이스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디바이스 앱 관리부(413)는 디바이스 앱 설치 파일 관리 서버(320)에 해당 디바이스 앱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디바이스 앱을 요청하여 수신하고(S730, S740), 다운로드된 디바이스 앱을 설치하여 구동한다(S750).
디바이스 앱이 설치되면 디바이스 앱 관리부(413)는 해당 디바이스 앱 정보에 대응하여 디바이스 앱의 설치 내역을 메모리(414)에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된 단말 앱(DA)은 ETSI TC M2M 표준 절차에 따라 G/DSCL(47)에 등록하고 M2M의 절차를 따라 레거시 단말(340)에 M2M 서버 플랫폼(330)과의 통신 등의 M2M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연동을 위한 방법이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절차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본질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 방식에 따라 각 단계의 수행 절차가 바뀌거나 둘 이상의 단계가 통합되거나 하나의 단계가 둘 이상의 단계로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M2M 에어리어 네트워크으로 연결된 레거시 단말을 연동하기 위해 GIP/DIP의 공통 모듈을 이용하는 기존의 방법으로는 비규격 에어리어 네트워크 또는 규격 에어리어 네트워크이라도 M2M 규격에서 제공하는 공통의 변환룰을 적용할 수 없는 개별 프로파일 레거시 단말에는 적용할 수 없었다. 또한 GIP/DIP을 탑재하지 않은 M2M 게이트웨이 또는 단말에서는 비표준규격의 레거시 단말과 연동하기 위해서는 비표준규격 레거시 단말에 해당하는 단말 앱(DA)을 모두 탑재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실시간 단말앱 다운로드를 통한 레거시 단말의 자동 Plug&Play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방법은 레거시 단말이 접속될 때 해당 모델에 대한 단말 앱(Device Application)을 자동으로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구동할 수 있어 레거시 단말들을 효과적으로 M2M 네트워크로 수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00: 게이트웨이/디바이스 410: 디바이스 앱 관리 모듈

Claims (14)

  1. M2M 규격에 따른 M2M 객체에 있어서, 상기 M2M 객체에 비표준규격의 레거시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레거시 단말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정보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M2M 객체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을 디바이스 설치파일 관리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네트워크의 단말 연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M2M 규격에 따른 M2M 객체에 설치하여 상기 레거시 단말에 대한 M2M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네트워크의 단말 연동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네트워크의 단말 연동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및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버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는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일대일 대응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네트워크의 단말 연동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는 상기 레거시 단말의 모델 ID, MAC 주소 및 단말 고유 번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네트워크의 단말 연동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버전,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설치파일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네트워크의 단말 연동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 획득 단계에서는, 주기적으로 페어링된 단말 리스트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네트워크의 단말 연동 방법.
  8. M2M 규격에 따른 M2M 객체에 있어서, 상기 M2M 객체에 비표준규격의 레거시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레거시 단말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디바이스 관리부;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정보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에이전트 클라이언트; 및
    상기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M2M 객체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을 디바이스 설치파일 관리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객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상기 획득된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M2M 객체에 설치하여 서비스 능력 레이어에서 상기 레거시 단말에 대한 M2M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객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객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및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버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설치 여부는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에 일대일 대응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객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식별 정보는 상기 레거시 단말의 모델 ID, MAC 주소 및 단말 고유 번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객체.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버전,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설치파일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객체.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관리부는, 주기적으로 페어링된 단말 리스트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객체.
KR1020120142536A 2012-06-20 2012-12-10 실시간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통한 단말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1978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6151 2012-06-20
KR1020120066151 2012-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871A KR20130142871A (ko) 2013-12-30
KR101978517B1 true KR101978517B1 (ko) 2019-05-15

Family

ID=49986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536A KR101978517B1 (ko) 2012-06-20 2012-12-10 실시간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통한 단말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868B1 (ko) 2015-03-27 2016-11-04 엠디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프로비저닝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2302A (ko) 2015-05-09 2016-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물리적 접근 제한을 이용한 장치들 사이의 키 공유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6220A1 (en) 2009-04-08 2010-10-1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ode selec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20120044865A1 (en) 2010-08-20 2012-02-2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oupling An M2M Device To A Wireles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739B1 (ko) * 2008-12-03 2011-01-13 주식회사 케이티 Fota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48854B1 (ko) * 2009-01-19 2011-07-13 주식회사 케이티 M2m 어플리케이션의 가입자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서비스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6220A1 (en) 2009-04-08 2010-10-1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ode selec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20120044865A1 (en) 2010-08-20 2012-02-2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oupling An M2M Device To A Wirel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871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8100B2 (en) Service enabler function
US11277278B2 (en)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471686B (zh) 终端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102646526B1 (ko) 기기간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자동화된 서비스 등록
EP2919437A1 (en) Capability open platform, method and gateway for achieving terminal device plug and play management
AU2016361086B2 (en)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800996B2 (en) Machine to machine system, method and server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JP6629345B2 (ja) M2mサービスを追加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9876858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connection in a machine to machine environment
CN105659689A (zh) 用于无线环境中的双重角色处理的方法和系统
CN103338267A (zh) 一种SIP和Web服务融合的移动智能社区增值业务平台
KR101978517B1 (ko) 실시간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통한 단말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US10455358B2 (en) Pros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communications device
EP2936891B1 (en) Method, control node, gateway and computer program for enabling communication with a newly detected device
CN105025273A (zh) 楼宇可视对讲系统的连接方法、密码设置方法及系统
CN103414713A (zh) 一种访问云端媒体资源的方法、装置和dlna设备
CN102904978B (zh) 泛在网络内泛在设备实现通用即插即用的方法
CN113557707A (zh) 设备注册机制
CN113424510A (zh) 基于模板的注册
KR20170025550A (ko) 게이트웨이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5684352B (zh) 属于私用网络的装置、管理装置的设备和方法以及介质
CN101527661A (zh) 一种网关设备的控制系统
WO2020157452A1 (en) Electronic device subscri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