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312B1 - dental gum for cats - Google Patents

dental gum for ca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312B1
KR102299312B1 KR1020190017347A KR20190017347A KR102299312B1 KR 102299312 B1 KR102299312 B1 KR 102299312B1 KR 1020190017347 A KR1020190017347 A KR 1020190017347A KR 20190017347 A KR20190017347 A KR 20190017347A KR 102299312 B1 KR102299312 B1 KR 102299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cats
dental gum
gum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3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9398A (en
Inventor
김용민
서강문
김보윤
강선미
Original Assignee
(주)벨벳케어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벨벳케어,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벨벳케어
Priority to KR1020190017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312B1/en
Publication of KR20200099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3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3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6Chewable toys, e.g. for dental care of pets

Abstract

적어도 길이방향으로 4.0cm보다 크거나 같고, 직경 방향 혹은 너비 방향으로 1.6cm 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로 만들어져 대다수의 고양이 구강구조상 한 번에 삼키기 어렵고 두 번 이상 치아로 씹어 삼키기에 적합한 크기로 나누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덴탈 껌이 개시된다. 이때 고양이용 덴탈 껌은 경도가 있으면서도 부분적으로 파손되어 압착되면서 전체적 파단없이 치아가 박히면서 표면이 긁힐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에는 고양이 이빨이 들어가기 쉬운 오목한 부분 혹은 골 부분이 분포되어 어느 부분을 깨물던 이빨이 그 부근의 오목한 부분으로 유도되어 오목한 부분에서 고양이용 덴탈 껌이 파열되면서 치아 표면이 고양이용 덴탈 껌과 긁히기 쉽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양이용 덴탈 껌은 고양이가 쉽게 삼킬 수 없고, 깨무는 동작을 유도하여 치아와 고양이용 덴탈 껌을 이루는 물질 사이에 쉽게 마찰(긁힘)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고양이 치아를 깨끗하게 닦는 역할을 할 수 있다.
It is made to be at least equal to or greater than 4.0 c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greater than or equal to 1.6 cm in the diametric or width direction, which is difficult to swallow due to the oral structure of most cats, and is made to be chewed with teeth more than once to be divided into sizes suitable for swallowing. Disclosed is dental gum for cats, characterized in tha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ntal gum for cats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so that the surface can be scratched while the teeth are embedded without breaking it as it is partially damaged and compressed while having hardness, and the surface is distributed with concave or trough parts that are easy for cat teeth to enter. No matter where the teeth are biting, the teeth are guided to the concave portion nearby, and the dental gum for cats ruptures in the concave portion, making the tooth surface easier to scratch with the dental gum for cats.
The dental gum for ca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easily swallowed by cats, and by inducing a biting action, friction (scratches) can be easily made between the teeth and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dental gum for cats, so it can serve to clean the cat's teeth. .

Description

고양이용 덴탈 껌{dental gum for cats}dental gum for cats

본 발명은 애완동물인 고양이의 치아건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고양이용 덴탈 껌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gum for cats that can be used for dental health of a pet cat.

반려동물의 수명은 치아 건강에 의존하는 바가 크다. 치주 질환은 반려동물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질병의 하나이다. 연령 2살 이후 개의 80%, 고양이의 약 70% 정도가 다양한 형태의 치주 질환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 pet's lifespan is highly dependent on dental health. Periodontal disease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in companion animals. It is known that 80% of dogs and 70% of cats after 2 years of age have various types of periodontal disease.

그러나, 반려동물의 치아에 대해 양치질을 계속하는 것은 동물이나 주인에 대해 모두 번거롭고 힘든 일이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의 경우 개껌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개껌은 식용 동물의 껍질이나 질긴 부분을 가공하여 장난감 겸 간식의 역할을 하게 한 것이 많은데, 이 과정에서 애완견의 치아를 튼튼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However, continuing to brush the teeth of a companion animal becomes cumbersome and difficult for both the animal and the owner. To solve this problem, dog gum is widely used for dogs. In many cases, dog gum is made by processing the skins or tough parts of edible animals to serve as both a toy and a snack, and in this process, it can play a role in strengthening the dog's teeth.

그러나, 이런 종류의 개껌은 치아를 양치질하는 효과는 크게 가질 수 없어서 개가 치아로 깨물어 씹고 끊는 과정에서 부숴지면서 치아 표면이 개껌에 닿아 치아 표면을 긁어 플러그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이 큰 다른 종류의 개껌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However, this type of dog gum cannot have a great effect on brushing teeth, so it is crushed in the process of biting and chewing with the dog's teeth. Dog gum has been developed and used.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84056호에는 이런 개껌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84056 discloses such a dog gum.

최근 반려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 반려견에 대한 제품에 비해 반려묘에 대한 치아 건강 용품은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개껌과 비슷한 형태와 재질의 것을 조금 작게 제조하여 고양이에게 적용하도록 하는 고양이껌이 시중에 판매되고 사용되기도 한다.Recently, awareness of cats has been increasing, but compared to products for dogs, dental health products for cats have not been developed much. Therefore, cat gum that is manufactured a little smaller in shape and material similar to that of existing dog gum and applied to cats is sold and used in the market.

그러나, 개껌은 개에 적합하게 만들어진 것이므로 개와 달리 완전한 육식동물로 치아 개수 및 역할, 형태가 다른 고양이는 저작방법 및 기전도 달라 효과적인 적용이 어렵다. However, since dog gum is made for dogs, unlike dogs, cats with different number, roles, and shapes of teeth are completely carnivores, so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apply them because their chewing methods and mechanisms are different.

따라서, 고양이에 대한 치아 건강을 돕기 위해 고양이 치아의 개수, 형태, 역할과 이에 따른 저작 방법과 기전을 충분히 고려한 별도의 고양이껌이 요청된다. Therefore, in order to help the dental health of cats, a separate cat gum that sufficiently considers the number, shape, and role of the cat's teeth and the chewing method and mechanism thereof is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4056호: 반려견용 덴탈 츄잉 껌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84056: Dental chewing gum for dog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9862호: 애완 동물의 치석감소를 위한 애완동물 간식의 제조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069862: Manufacturing method of pet snacks for reducing tartar in pet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개껌 형태의 고양이껌을 고양이에게 제공할 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고양이 치주질환을 예방하는데 효율적인 형태의 고양이용 덴탈 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gum for cats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at gum in the form of dog gum to cats and is effective in preventing periodontal disease in cats.

본 발명은 고양이껌이 고양이가 삼키지 않고 깨물고 씹는 동작을 유도하여 치아와 고양이껌을 이루는 물질 사이에 쉽게 마찰(긁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고양이용 덴탈 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gum for cats in which the cat gum induces a biting and chewing motion without swallowing the cat, so that friction (scratches) can be easily made between the teeth and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cat gum.

본 발명은 고양이가 깨물거나 씹는 동작을 할 때 쉽게 미끌어지지 않고 파쇄되도록 하여 고양이껌이 효과적으로 고양이 치아에 잘 긁히도록 할 수 있는 고양이용 덴탈 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gum for cats that can be easily crushed and not slippery when a cat bites or chews so that the cat gum can be effectively scratched on the cat's teet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양이용 덴탈 껌은 적어도 길이방향으로 4.0cm보다 크거나 같고, 직경 방향 혹은 너비 방향으로 1.6cm 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로 만들어져 대다수의 고양이 구강구조상 한 번에 삼키기 어렵고 두 번 이상 치아로 씹어 삼키기에 적합한 크기로 나누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ntal gum for ca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ade at least greater than or equal to 4.0 c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greater than or equal to 1.6 cm in the radial or width direction, making it difficult to swallow at a time due to the oral structure of most ca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be chewed with teeth at least twice and divided into sizes suitable for swallowing.

또한, 본 발명에서 고양이용 덴탈 껌의 표면에는 고양이 이빨이 들어가기 쉬운 오목한 부분 혹은 골 부분이 분포되어 어느 부분을 깨물던 이빨이 그 부근의 오목한 부분으로 유도되어 오목한 부분에서 고양이용 덴탈 껌이 파열되면서 치아 표면이 고양이용 덴탈 껌과 긁히기 쉽도록 만들어진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dental gum for cats is distributed with a concave part or a trough part where cat teeth easily enter, so that the teeth that bite any part are guided to the concave part in the vicinity thereof, and the dental gum for cats ruptures in the concave part. The tooth surface is made with dental gum for cats and easy to scratch.

본 발명에서 골부분과 함께 산부분이 형성되며, 골부분과 산부분은 둘 이상의 막대 모양의 부분을 꽈배기처럼 서로 꼬이도록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ain part is formed together with the trough part, and the ridge part and the mountain part may be formed by coupling two or more rod-shaped parts to be twisted with each other like a twist.

본 발명에서 골부분과 산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뻗고 원주 방향으로 전체에 걸쳐 번갈아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ley portion and the mountain portion may be formed so as to exten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lternately positioned throughout the en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때 산과 산 사이의 간격 및 골과 산 사이의 깊이가 직경 혹은 너비 크기는 1/4 이상 1/3 이하 정도로 크고 산과 산 사이의 사면은 오목한 곡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mountain and the mountain and the depth between the valley and the mountain are about 1/4 or more and 1/3 or less in diameter or width, and the slope between the mountain and the mountain may form a concave curve.

이때, 사면은 오돌도돌한 돌기가 다수 존재하여 돌기 사이의 작은 오목한 부분과 돌기가 이루는 작은 볼록한 부분을 가져 치아가 사면에 닿을 때 골부분까지 미끄러지지 않고 치아가 닿는 초기 위치에서 고양이용 덴탈 껌의 파단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작은 오목한 부분과 작은 볼록한 부분은 규칙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골부분과 산부분은 여주 열매의 표면과 같이 볼록한 돌기 부분이 불규칙한 높이와 간격으로 산포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lope has a large number of undulating projections, with a small concave portion between the projections and a small convex portion formed by the projections. It can be done well. Small concave parts and small convex parts may be installed regularly, but in the valley part and mountain part, convex projections like the surface of bitter gourd fruit may be scattered at irregular heights and intervals.

이때, 직경 혹은 너비 방향의 크기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로 가면서 커져서 가운데가 볼록하고 양단은 좁은 형태가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ize in the diameter or width direction may increase toward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have a convex center and narrow ends at both ends.

본 발명에서 고양이용 덴탈 껌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혹은 둥근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측면상에 골부분이 길이방향 및 둘레 방향 혹은 원주 방향의 선형 홈을 이루되 선 사이 간격이 일정한 혹은 차이가 있는 격자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내부는 빈 공간일 수 있고 채워진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ntal gum for cats is in the form of a cylinder or a round rod as a whole, and the troughs on the side form a linear groove in the longitudinal and circumferential or circumferential directions, but in the form of a grid with a constant or different spacing between the lines. can achieve In this case, the interior may be an empty space or may be filled.

본 발명의 고양이용 덴탈 껌은 고양이가 쉽게 삼킬 수 없고, 깨무는 동작을 유도하여 치아와 고양이용 덴탈 껌을 이루는 물질 사이에 쉽게 마찰(긁힘)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고양이 치아를 깨끗하게 닦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dental gum for ca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easily swallowed by a cat, and by inducing a biting action, friction (scratches) can be easily made between the teeth and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dental gum for cats, so it can serve to clean the cat's teeth. .

아울러, 본 발명의 고양이용 덴탈 껌은 고양이가 깨무는 동작을 할 때 쉽게 미끌어지지 않고 파쇄되어 고양이 치아가 고양이용 덴탈 껌 물질 속에 들어가면서 고양이용 덴탈 껌이 효과적으로 고양이 치아에 잘 긁히도록 하여 고양이 치아를 쉽게 닦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ntal gum for ca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asily slippery and shredded when the cat bites, so that the cat's teeth enter into the cat's dental gum material so that the cat's dental gum is effectively scratched by the cat's teeth to easily clean the cat's teeth. It can serve as a cleaning agent.

도1 하나의 대상 고양이의 상악 모형틀의 평면 사진,
도2는 하나의 대상 고양이의 하악 모형틀의 평면 사진,
도3 및 도4는 각각 하나의 대상 고양이의 상악 모형틀 및 하악 모형틀의 일 측방에서 찍은 사진이며,
도5는 하나의 대상 고양이의 상악 모형틀과 하악 모형틀의 치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사진,
도6 내지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고양이용 덴탈 껌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the maxillary model frame of one target cat,
2 is a plan photo of the mandible model frame of one target cat;
3 and 4 are photos taken from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model frames of one target cat, respectively.
5 is a side photo showing the meshing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model frames of one target cat;
6 to 8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dental gum for ca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발명자는 고양이 치아 건강 유지라는 가장 적합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고양이용 덴탈 껌을 형성하기 위해 먼저 고양이의 구강 및 치아 크기, 형태, 고양이의 저작 행태 등에 대한 정확한 파악 및 정리를 시도하고, 이를 통해 고양이용 덴탈 껌이 가져야할 특성을 인식하려 하였다.First, in order to form dental gum for cats that can perform the most suitable function of maintaining cat teeth health, the inventor first attempts to accurately identify and organize the cat's mouth and tooth size, shape, and cat's chewing behavior, and through this We tried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that dental gum should have.

먼저 고양이의 구강 및 치아 크기나 형태,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DKSH계 캣(domestic Korean short hair cat) 연령 1살 내지 10살의 중성화 암컷(FS) 1마리와 중성화 수컷(MC) 3마리, 러시아 블루 캣(Russian blue cat) 4살 중성화 수컷 한 마리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한다.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ze, shape, and structure of the cat's mouth and teeth, DKSH (domestic Korean short hair cat) 1 neutered female (FS) and 3 neutered males (MC) aged 1 to 10 years old, Russian blue cat (Russian blue cat) The test is conducted on one 4-year-old neutered male.

고양이용 덴탈 껌의 치석 제거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이들 고양이에 대해 마취 하에서 스케일링을 실시하여 구강을 정리하는데, 초음파 치석 제거기로 치은연 상, 하의 치석을 제거하고 연마제로 세마를 실시하였다.As a pre-step to measure the calculus removal effect of dental gum for cats, these cats were scaled under anesthesia to clean their oral cavity.

디지털 캘리퍼(digital caliper)로 각 치아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상악(maxilla) 두 번째 전구치(작은 어금니: premolar:PM) 높이, 상악 세 번째 전구치의 높이, 상악 전구치 사이의 길이, 하악(mandible) 첫 번째 전구치의 높이, 하악 두 번째 전구치의 높이, 하악 구치(어금니: molar:M)의 첫 번째 팁 및 두 번째 팁높이, 하악 전구치 사이의 길이, 하악 두 번째 전구치와 구치의 첫 번째 끝단 혹은 팁(tip) 사이의 길이, 하악 구치의 첫 번째 팁과 두 번째 팁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였다.The size of each tooth is measured with a digital caliper. The maxilla is the height of the second premolar (premolar:PM), the height of the maxillary third premolar, the length between the maxillary premolars, and the mandible (mandible). ) height of first premolar, height of mandibular second premolar, height of first and second tip of mandibular molar (molar:M), length between mandibular premolar, mandibular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The length between the ends or tips, and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ips of the mandibular molars were measured.

그리고 하나의 별도 대상 고양이에 대해 Alginate(상표명)와 yellow stone(상표명)을 사용하여 하나의 상, 하악의 구강 구조 본 혹은 모형틀(석고틀과 같은 틀)을 만들어 상악과 하악의 구강 크기를 대표할 수 있는 크기, 가령 견치(송곳니:canine) 사이의 길이 C, 가장 안쪽 구치 사이의 길이 A, 전치(앞니:incisor) 내측과 가장 안쪽 구치 내측 사이의 길이 B를 디지털 캘리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And for one separate target cat, using Alginate (trade name) and yellow stone (trade name), one upper and lower oral structure model or model frame (frame like plaster mold) was made to represent the size of the oral cavity of the maxilla and mandible. Possible sizes, such as length C between canine teeth, length A between innermost molars, and length B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incisor and innermost molars, were measured using a digital caliper.

아울러, 저작 운동 혹은 저작 행태 파악을 위해 고양이가 씹을 때의 모습을 측면과 정면에서 촬영하여 관찰하여 저작 시간과 저작 방법을 분석하였다.In addition, the mastication time and mastication method were analyzed by photographing and observing the appearance of the cat chewing from the side and the front in order to grasp the chewing movement or chewing behavior.

도1, 도2는 이렇게 얻어진 상악 모형틀 및 하악 모형틀의 평면 사진이며, 도3 및 도4는 이렇게 얻어진 상악 모형틀 및 하악 모형틀의 측방에서 본 사시 사진이며, 도5는 상악 틀과 하악 틀의 치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사진이다.1 and 2 are plan photos of the maxillary model frame and mandibular model obtained in this way, FIGS. 3 and 4 are isometric photos of the maxillary model frame and mandibular model obtained in this way, and FIG. 5 is the maxillary frame and mandible. It is a side view showing the meshing state of the frame.

도1 및 도2에는 상악의 구강 크기로서 가장 안쪽면을 기준으로 한 좌우 구치 사이의 길이 A, 가장 바깥쪽 전치(앞니:incisor)의 혀쪽 면과 가장 안쪽 구치의 꼬리쪽(가장 내측) 사이의 길이 B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도1에는 상악 두번째 전구치(PM2) 너비, 상악 세 번째 전구치(PM3)의 너비가, 도2에는 하악의 2 개의 전구치 및 구치의 각 팁의 너비가 H자형태로 표시되어 있다.1 and 2 show the size of the oral cavity of the maxilla, the length A between the left and right molars based on the innermost surface, between the lingual surface of the outermost incisor and the caudal side (the innermost) of the innermost molar. Length B is indicated by an arrow. In FIG. 1 , the width of the maxillary second anterior teeth (PM2) and the maxillary third frontal teeth (PM3) are shown in FIG.

도3에는 상악 두번째 전구치(PM2) 높이, 상악 세 번째 전구치(PM3)의 높이, 이들 상악 전구치의 팁 사이의 길이가 화살표로 표시되고, 도4에는 하악 첫 번째 전구치의 높이, 하악 두 번째 전구치의 높이, 하악 구치(어금니: molar:M) 첫 번째 팁 및 두 번째 팁의 높이, 하악 전구치 사이의 길이, 하악 두 번째 전구치와 구치의 첫 번째 끝단 혹은 팁(tip) 사이의 길이, 하악 구치의 첫 번째 팁과 두 번째 팁 사이의 길이가 화살표로 각각 표시된다.3, the height of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PM2), the height of the maxillary third premolar (PM3), and the length between the tips of these maxillary premolars are indicated by arrows. height of premolar, mandibular molar (molar:M) first and second tip height, length between mandibular premolars, length between mandibular second premolar and first tip or tip of molars,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ips of the mandibular molars is indicated by arrows, respectively.

도5에는 상, 하악 치합시의 어금니 총 교합부 길이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In FIG. 5, the total length of the molar occlusion during upper and lower teeth is indicated by arrows.

아래의 표1은 5마리의 대상물 고양이에 대해 디지털 캘리퍼(Digital caliper)를 이용하여 고양이 구강구조에서 각 파라메터(parameter)들의 값(mm)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Table 1 below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values (mm) of each parameter in the cat oral structure using a digital caliper for 5 target cats.

Breed Breed
CriteriaCriteria
DKSHDKSH
(개체 1)(object 1)
RussianRussian
blueblue
(개체 2)(object 2)
DKSHDKSH
(개체 3)(object 3)
DKSHDKSH
(개체 4)(object 4)
DKSHDKSH
(개체 5)(object 5)
평균average
Maxilla (Maxilla ( 상악)maxilla)
PM2PM2
highthight 5.05.0 3.03.0 4.04.0 5.05.0 4.04.0 4.33±0.814.33±0.81
widthwidth 2.152.15 2.052.05 2.02.0 2.152.15 2.12.1 2.09±0.0652.09±0.065 Maxilla Maxilla
PM3PM3
highthight 5.05.0 4.04.0 4.04.0 5.55.5 5.05.0 4.83±0.684.83±0.68
widthwidth 2.12.1 2.152.15 2.12.1 2.152.15 2.02.0 2.1±0.0612.1±0.061 Mandible (Mandible ( 하악)mandible)
PM2PM2
highthight 4.54.5 3.53.5 4.04.0 4.04.0 4.54.5 4.08±0.374.08±0.37
widthwidth 2.22.2 2.152.15 2.12.1 2.252.25 2.22.2 2.18±0.0572.18±0.057 Mandible Mandible
PM3PM3
highthight 5.05.0 4.54.5 4.04.0 5.05.0 5.05.0 4.7±0.424.7±0.42
widthwidth 2.222.22 2.22.2 2.152.15 2.22.2 2.22.2 2.19±0.0262.19±0.026 Mandible Mandible
M1(M1( crcr .).)
highthight 4.54.5 4.04.0 4.04.0 5.05.0 5.05.0 4.5±0.494.5±0.49
widthwidth 2.12.1 2.02.0 2.12.1 2.12.1 2.12.1 2.08±0.0452.08±0.045 Mandible Mandible
M1(cd.)M1 (cd.)
highthight 4.54.5 4.04.0 5.05.0 5.55.5 5.05.0 4.8±0.524.8±0.52
widthwidth 2.12.1 2.052.05 2.12.1 2.12.1 2.12.1 2.09±0.0222.09±0.022 Maxilla (PM2-PM3)Maxilla (PM2-PM3) 9.09.0 9.09.0 7.87.8 8.08.0 8.58.5 8.46±0.558.46±0.55 MandibleMandible
(PM2-PM3)(PM2-PM3)
8.08.0 6.56.5 6.56.5 7.07.0 7.57.5 7.1±0.677.1±0.67
MandibleMandible
(PM3-M1((PM3-M1( crcr .)).)))
4.04.0 5.05.0 4.04.0 4.04.0 4.04.0 4.2±0.4474.2±0.447
MandibleMandible
(M1((M1( crcr .)-M1(cd.)).)-M1(cd.))
5.05.0 5.05.0 5.55.5 6.56.5 5.05.0 5.4±0.6525.4±0.652
Maxilla AMaxilla A 41.541.5 37.037.0 37.037.0 42.042.0 34.034.0 38.3±3.3838.3±3.38 Maxilla BMaxilla B 39.039.0 36.036.0 34.034.0 40.040.0 32.032.0 36.2±3.34636.2±3.346 Maxilla CMaxilla C 21.021.0 19.019.0 20.520.5 22.522.5 18.018.0 20.2±1.75320.2±1.753 Mandible AMandible A 34.034.0 32.032.0 30.530.5 34.034.0 31.231.2 32.52±1.9232.52±1.92 Mandible BMandible B 34.534.5 31.231.2 30.130.1 34.334.3 32.532.5 32.34±1.6132.34±1.61 Mandible CMandible C 17.017.0 16.516.5 15.015.0 16.516.5 14.014.0 15.8±1.25415.8±1.254

여기서 Cr은 구치 앞쪽 팁(Cranial tip of the teeth) Cd는 구치 뒷쪽 팁( Caudal tip of the teeth), PM은 전구치, M은 구치, Maxilla는 상악 Mandible은 하악을 나타낸다.Here, Cr denotes the anterior tip of the molars (Cranial tip of the teeth), Cd denotes the caudal tip of the teeth, PM denotes the anterior teeth, M denotes the molars, and Maxilla denotes the maxilla and Mandible denotes the mandible.

이상의 검사를 통해 얻어진 수치를 중요 수치 위주로 개략적으로 살펴보면서 고양이의 구강 구조 각 부분을 비교 분석하면, 상악의 최대 가로 폭에 해당하는 A는 38.3±3.38mm, 상악의 최대 세로 길이에 해당하는 B는 36.2±3,346mm로 측정되었고 하악의 A는 32.52±1.92mm, B는 32.34±1.61mm로 측정되었다. 상악과 하악의 A/B 비율은 1.06, 1.005가 된다. When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part of the cat's oral structure, looking at the numerical values obtained through the above examination mainly with important values, A, which corresponds to the maximum horizontal width of the maxilla, is 38.3±3.38 mm, and B, which corresponds to the maximum vertical length of the maxilla, is 36.2. It was measured to be ±3,346mm, mandibular A was measured to be 32.52±1.92mm, and B was measured to be 32.34±1.61mm.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A/B ratios are 1.06 and 1.005.

A, B 중 하나보다 더 큰 것이라야 한 번에 입에 넣고 삼킬 수가 없으므로 가장 큰 것보다 큰 것으로 생각하면 41.68보다 큰 것이고, 통계적 평균으로 따질 경우, 38.3보다 큰 것이 되는데, 대략 중간 값을 따지면 40mm가 되고 따라서 먹이와 같은 대상물 길이를 이 길이보다 크게 형성하면 대상물을 씹지 않고 삼키는 경우는 거의 없게 된다. If it is larger than one of A and B, it cannot be put in the mouth at once and swallowed, so if it is considered as the largest, it is greater than 41.68, and in terms of the statistical average, it is greater than 38.3. Therefore, if the length of the object, such as food, is formed larger than this length, the object is rarely swallowed without chewing.

저작에 관련된 저작용 치아로서 전구치와 구치의 높이 측정 결과 하악 두 번째 전구치(PM2)의 높이가 4.08±0.37mm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고 상악 세 번째 전구치(PM3)의 높이가 4.83±0.68mm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너비는 하악 첫 번째 구치가 2.08±0.045mm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고, 상악 세번째 전구치가 2.18±0.057mm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As a mastication-related chewing tooth, the height of the premolar and posterior teeth was measured. As a result, the height of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PM2) was measured to be the lowest at 4.08±0.37mm, and the height of the maxillary third premolar (PM3) was 4.83±0.68mm. was measured to be the highest. As for the width, the lower first molar was measured at 2.08±0.045mm, and the third premolar of the maxilla was measured the highest at 2.18±0.057mm.

고양이의 치식(Type of teeth)는 상악 3/1/3/1, 하악 3/1/2/1로 전치 3, 견치 1, 구치 1은 동일하고 전구치만 상악이 1개가 더 많다. 그러나, 상악의 첫 번째 전구치와 구치는 크기가 작고 하악의 전구치나 구치와의 치합 관련성이 적어 저작운동에서는 중요하지 않고 이들에 대한 폭과 높이 측정은 생략되었다.Cat's teeth (Type of teeth) are 3/1/3/1 of the maxilla and 3/1/2/1 of the mandible, with 3 anterior teeth, 1 canine, and 1 molar, and only the front teeth have one more maxilla. However, the first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of the maxilla are small in size and have little relation to the occlusion of the mandibular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견치뿐 아니라 모든 전구치와 구치는 끝단이 매우 날카롭게 형성되어 상, 하악 치합시 옆에서 본 구조는 상, 하악 치아의 끝단(팁)이 서로 만나지 않고 어긋나면서 교합됨을 알 수 있다.Not only the canine, but also all the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have very sharp ends, so it can be seen that the tip (tips)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do not meet each other and occlude when viewed from the side when the upper and lower teeth meet.

저작과 관련된 주요 교합부는 도5의 화살표와 같이 상악의 두 번째 전구치, 세 번째 전구치, 하악의 모든 전구치와 구치가 있는 부분이 되고 여기서 총 교합부 길이도 이들 저작용 치아로서 전구치와 구치가 위치하는 구간의 길이가 된다.The main occlusal part related to mastication is the part where the maxillary second and third anterior teeth, and all the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of the mandible are located,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It is the length of the section where the molars are located.

저작용 치아 사이의 길이로서 상악 두 번째 전구치와 세 번째 전구치 사이의 길이는 8.46±0.55mm이고, 하악 두 번째 전구치와 세 번째 전구치 사이의 길이는 7.1±0.652mm, 세 번째 전구치와 구치의 앞부분 팁까지의 길이가 4.2±0.447mm, 구치의 앞부분 팁과 뒷부분 팁 사이의 길이는 5.4±0.652mm로 측정되었고, 총 교합부 길이는 16mm, 더욱 엄밀하게는 16.7±0.583mm로 측정되었다.As the length between masticatory teeth, the length between the maxillary 2nd and 3rd anterior teeth is 8.46±0.55mm, the length between the mandibular 2nd and 3rd anterior teeth is 7.1±0.652mm, and the 3rd premolar is 8.46±0.55mm. The length to the anterior tip of the and molars was measured to be 4.2±0.447mm, and the length between the anterior and posterior tips of the posterior teeth was measured to be 5.4±0.652mm, and the total occlusal length was measured to be 16mm, more precisely, 16.7±0.583mm. became

전치로 먹이와 같은 대상물을 물어 대부분을 구강 안으로 넣은 후 길이나 너비가 크면 그냥 삼키기 어려워 저작용 치아들로 씹게 되며, 이때 대상물은 저작용 치아들의 중간쯤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대상물이 충분히 길어 한입에 구강에 넣지 못한 먹이도 손으로 일부를 잡거나 누른 후 저작용 치아쪽에 치열과 먹이 길이 방향이 교차(cross)되도록 한 후 물어서 일단 자르거나, 끝단 일부를 부수어 저작한 후 삼키게 된다. After biting an object such as food with an incisor and putting most of it into the mouth, if the length or width is large, it is difficult to swallow and chews with chewing teeth, and the object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hewing teeth. Of course, even if the object is long enough that it cannot be put into the mouth in one bite, hold or press part of it with your hands, and then bite the tooth so that the teeth and the length of the food cross on the chewing tooth side, and then cut it off or break the tip and chew it and then swallow it. .

이런 경우, 공통적으로 덴탈 껌이 총교합부 수치보다 크면 어금니 및 전구치로 저작운동을 할 때 대부분의 이들 치아가 덴탈 껌에 닿게 되며 씹을 때 이들 저작용 치아는 덴탈 껌 내로 박히는 형태가 되어 저작용 치아 표면을 긁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dental gum is larger than the total occlusal value, most of these teeth come into contact with the dental gum when masticating with the molars and anterior teeth. It can serve to scratch the surface.

따라서, 덴탈 껌은 총 교합부의 길이에 해당하는 16mm, 더 바람직하게는 16.7mm 보다 큰 너비나 혹은 직경을 가지도록 하면 덴탈 껌을 총교합부 중간에 놓고 씹을 때 저작용 치아들 거의 전부가 덴탈 껌의 본체 내로 박히고 치아를 닦는 역할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치아 세정에 바람직하게 된다.Therefore, if the dental gum has a width or diameter greater than 16 mm, more preferably 16.7 mm, corresponding to the total occlusal length, almost all of the chewing teeth are placed in the middle of the total occlusal area and chewed. It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of the body and serves to wipe the teeth, so it is preferable for cleaning teeth.

한편, 저작용 치아에서 상악의 상하 방향 길이 혹은 높이(H)가 가장 큰 것인 PM3은 4.83mm, 하악의 상하 방향 길이 혹은 높이(H)가 가장 큰 것인 구치의 두 번째 팁은 4.8mm이며, 이들을 단순히 더해도 10mm가 넘지 않으며, 통상 이들 끝단은 치합 상태에서 서로 만나지 않고 엇갈려 접하게 되므로 텐탈 껌의 너비나 직경이 16mm보다 크면 치아들은 저작을 할 때 전체 높이가 덴탈 검 본체 내부에 박힐 수 있고, 치아의 높이는 덴탈 껌의 너비나 직경 크기 결정에 고려하지 않아도 큰 문제가 없게 된다. 즉, 총 교합부 길이는 치합시 윗니 상단 뿌리부분에서 아랫니 하단 뿌리부분까지의 길이보다 통상 상당히 길고, 따라서 씹을 때 치아를 뿌리부분까지 충분히 박아넣어도 될 정도로 두깨(너비)나 직경이 큰 것이므로 이 부분은 별도 크기 조건으로 삼지 않아도 된다.On the other hand, PM3, which has the largest vertical length or height (H) of the maxilla in masticatory teeth, is 4.83 mm, and the second tip of the molars, which has the largest vertical length or height (H) of the mandible, is 4.8 mm. , simply adding them does not exceed 10mm, and in general, these ends do not meet each other an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interlocking state. , there is no big problem even if the height of the teeth is not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width or diameter of the dental gum. That is, the total length of the occlusal part is usually considerably longer than the length from the root of the upper tooth to the root of the lower tooth during bite, and therefore the thickness (width) or diameter is large enough to insert the tooth to the root when chewing. is not required as a separate size condition.

촬영 자료를 통해 저작 기전을 분석한 결과는 고양이는 음식을 전치로 우선 잡고 전구치와 구치 부분(총 교합부)으로 바로 넘겨서 저작 운동을 하는데, 보통 저작 횟수는 3~7회이고 음식 재질과 크기에 따라 횟수 차이가 있다. 특히 첫 번째 저작에서 강한 힘으로 대상을 깨부수거나 자르고 이후 저작은 보조적인 저작이 된다. 저작에서 전치와 견치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전치는 먹이 등 대상물을 잡는 역할을 주로 하고 견치는 먹이를 죽이거나 크게 찢는 역할을 하며 저작에는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는다. 모든 치아들이 전체적으로 저작운동은 최소화하고 별로 씹지 않고 먹이를 먹도록 이루어진다.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ewing mechanism through the photographed data, the cat first grabs the food with the anterior teeth and transfers it directly to the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total occlusal part) to perform the masticatory movement. Usually, the number of mastications is 3 to 7 times, and the material and size of the foo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imes. In particular, in the first work, the object is broken or cut with a strong force, and subsequent works become auxiliary works. The incisors and canines are rarely used in the work. The incisor mainly plays a role in catching objects such as prey, while the canine teeth kill or tear the prey, but play no special role in mastication. All teeth are made to eat with minimal chewing movement and little chewing as a whole.

이상과 같은 고양이의 구강 크기 및 치아 배치, 형태, 크기와 저작 행태를 정리하면, 1살 이상의 고양이에서 구강의 크기는 큰 차이가 없이 대동소이하며, 따라서 고양이용 덴탈 껌을 만들 때 다양한 크기를 준비하기보다는 실질적으로 치아병(치주질환)이 문제가 되는 2살령 이상의 고양이 모두에 대해 공통적 크기의 고양이 껌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고, 공통적으로 바람직한 덴탈 껌 크기를 정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If we summarize the oral size and tooth arrangement, shape, size and chewing behavior of cat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oral cavity in cats over 1 year old, so prepare various sizes when making dental gum for cats. Rather than that, it is preferable to prepare a cat gum of a common size for all cats over 2 years of age in which dental disease (periodontal disease) is a problem, and it means that a commonly desirable dental gum size can be determined.

그리고, 고양이용 덴탈 껌은 고양이가 육식동물로, 먹이를 씹는 저작 운동을 할 때 전구치와 구치도 일반 동물의 송곳니와 비슷하게 끝단이 뾰족하고, 가위날처럼 날카롭게 형성되어 적은 횟수만 먹이를 자르듯이 씹고, 작은 덩어리는 그냥 삼켜버린다는 것을 고려할 때, 치태나 치석 제거를 위한 덴탈 껌은 전체 크기가 구강 크기와 연관되어 구강의 크기를 나타내는 상악과 하악의 A, B 가운데 가장 큰 크기를 기준으로 잡아 그냥 삼키지 못하고 충분한 저작시간을 확보하도록 각각이 그 길이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하고 길이 40mm 이상으로 하고, 너비나 직경은 16.7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In addition, dental gum for cats is a carnivore, and when a cat is chewing food, the front and molars have a sharp tip similar to the canine of a normal animal, and are sharply formed like a scissors blade, so it cuts food only a small number of times. Considering that chewing and swallowing small lumps, dental gum for plaque or tartar removal is based on the largest size among maxilla and mandible A and B, which indicates the size of the mouth in relation to the size of the oral cavity. In order to ensure sufficient chewing time without swallowing, each should be formed larger than the length, and it is appropriate to set the length to 40mm or more, and the width or diameter to be 16.7mm or more.

단, 이들 크기를 상회하면 그냥 삼키는 문제는 없고, 저작을 할 때 저작용 치아 모두와 접촉을 할 수 있으므로 이런 수치 이상으로 너무 크게 만들 필요는 없다. 길이가 너무 크면 고양이가 먹거나 씹다가 중간에 남겨 먹지 않고 손실될 염려가 높아지고, 너비나 직경이 너무 크면 고양이가 덴탈 껌을 씹기 위해 입을 벌려야하는 데 불편함이 생길 수 있으므로 길이는 1개의 분량을 감안하여 80MM 이하, 너비는 20mm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f it exceeds these sizes, there is no problem with swallowing, and there is no need to make it too large beyond these values because it can come into contact with all of the chewing teeth during mastication. If the length is too large, the cat may lose it while eating or chewing, and if the width or diameter is too large, it may cause discomfort in the cat having to open its mouth to chew dental gum.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form a width of 80 mm or less and a width of 20 mm or less.

한편, 고양이의 섭식 및 저작 행태를 보면 건조 사료와 치아의 접촉은 주로 치아 단부(팁)에서 이루어지며, 탄수화물 혹은 다당류 함량이 많은 작은 조각 먹이의 경우에도 주는 대로 씹지 않고 삼키는 경우가 많다. On the other hand, if you look at the feeding and chewing behavior of cats, the contact between the dry food and the teeth is mainly made at the tooth end (tip), and even in the case of small pieces of food containing a lot of carbohydrates or polysaccharides, they are often swallowed without chewing as they are given.

기존 치석이나 치태를 제거하는 치아 정리 후에 고양이에게 여러 종류의 건조 사료를 주고 치아 표면을 닦는 효과를 살펴보면, 기계적 세정작용이 가능한 재질이나 작은 먹이를 주는 집단 1, 기계적 세정작용이 별로 없는 작은 먹이를 주되 주인이 양치를 하도록 한 집단 2, 기계적 세정 작용이 가능한 재질의 큰 먹이를 주는 집단 3, 집단 2와 같은 먹이를 주지만 양치를 시키지 않는 집단 4를 가지고 실험을 실시할 때 기계적 세정 작용이 있는 큰 먹이를 준 집단 3이 치은염(gingivitis)이나 플라그(치태: plaque), 치석(calculus) 현상이 적었다.When examining the effect of giving cats various types of dry food and wiping the tooth surface after tooth cleaning to remove existing tartar or plaque, group 1 with materials capable of mechanical cleaning or small food, and small food with little mechanical cleaning action Whe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group 2, in which the owner had to brush teeth, group 3, which was given a large feed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mechanical cleaning, and group 4, which was fed the same food as group 2 but did not brush their teeth, Group 3 fed the diet had less gingivitis, plaque, and calculus.

세정 작용이 가능한 재질은 주로 경도가 있지만 다공성(multipore)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부스러지기 쉬운 크런치(crunch)한 재질의 먹이이면서 치아가 먹이에 완전히 박힐 때까지 완전히 쪼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 혹은 완전히 쪼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가 섬유 등으로 엮여있는 것을 들 수 있다.Materials that can be cleaned are mainly hard, but partially brittle foods due to porosity (multipore), which can prevent the teeth from completely splitting until they are completely embedded in the food, or completely In order to prevent splitting, the inside is woven with fibers or the like.

이런 재질은 또한 비교적 건조되고 단단하여 형태가 유지되므로 같은 크기라도 고기와 같은 무른 먹이에 비해 목에서 잘 넘기지 못하므로 자연히 씹는 횟수가 늘게 되고 그냥 삼키는 가능성도 작아져 치아 세정에 유리하다.These materials are also relatively dry and hard to maintain their shape, so even if they are the same size, they do not pass through the throat as well as soft foods such as meat, so the number of times of chewing increases naturally and the possibility of swallowing is reduced, which is advantageous for cleaning teeth.

즉, 고양이 덴탈 껌은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져 큰 덩어리도 그냥 삼킬 수 있는 것은 안되고, 형태가 유지되는 단단한 물질, 치아 표면을 충분한 기계적 강도로 긁을 수 있는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 치아로 저작을 할 때 혹은 씹을 때 치아가 조금만 들어가도 깨지거나 부숴지기 보다는 치아 전체나 상당 부분이 몸체에 박히면서 치아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다공질로 만들거나, 혹은 내부에 곡물 몸체보다 질긴 섬유 조직 가령 어류 살의 섬유 조직이나 수세미의 섬유 조직과 같은 섬유 조직을 결합하여 한 번 물었을 때 잘 절단되지 않아 몇 번씩 씹을 기회를 주는 재질로고양이 덴탈 껌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cat dental gum is made of a soft material that cannot be swallowed even in large chunks, it is made of a hard material that maintains its shape, and a hard material that can scratch the tooth surface with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Rather than cracking or crushing even a small amount of teeth when chewing or chewing, the entire or substantial part of the tooth is embedded in the body and made porous so that it can contact the tooth surface, or fibrous tissue that is tougher than the grain body, such as the fibrous tissue of fish meat, It is desirable to make cat dental gum from a material that combines the same fibrous tissue as the loofah's fibrous tissue and gives it a chance to chew several times because it is not easily cut once bitten.

한편, 덴탈 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단순히 건조 사료만 주는 경우와 건조 사료 급식 후 일정 시간 가령 3시간 후에 덴탈 껌을 주는 경우로 실험군을 나누어 실험한 결과 4주 정도의 실험을 통해서도 치은염, 치태, 치석에서 유의미하게 덴탈 껌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특히 치석과 같이 긁힘에 의한 효과를 볼 수 있는 치주질환 혹은 문제에 있어서는 64% 정도의 개선효과를 나타내어 치주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o verify the effect of dental gum,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a case where only dry feed was given and a case where dental gum was gi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such as 3 hours, after feeding dry feed. As a result, gingivitis, plaque, Dental gum appears to be effective in calculus, and in particular, in periodontal diseases or problems that can be affected by scratching, such as tartar, it is shown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periodontal disease by showing an improvement effect of about 64%.

이상에서 고양이용 덴탈 껌의 크기와 재질 측면을 주로 살펴보았다면, 아래에서는 몇 가지 고양이용 덴탈 껌의 구체적 외관, 형태를 살펴본다.If we have mainly looked at the size and material aspects of dental gum for cats above, we will look at the specific appearance and shape of some dental gums for cats below.

고양이의 경우, 전구치(앞어금니) 및 구치(어금니)와 같이 저작용 치아도 끝단이 날카롭고 뾰족하여 초식동물의 어금니와 같은 상부의 그라인딩 마찰면이 거의 없다고 생각할 수 있고, 주로 치아 세정은 치아가 덴탈 껌 몸체 속에 박히면서 긁는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고, 치아가 몸체에 잘 박히기 위해서는 몸체를 다공성 재질로 만드는 것 외에 씹을 때 치아가 몸체 표면에서 미끌어져 빠져나가지 않도록 치아 끝단이 힘을 받게 놓이는 틈새나 홈이 있다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cats, chewing teeth like premolars (premolars) and molars (molars) also have sharp and pointed ends, so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re is almost no grinding friction surface on the top like molars of herbivores. It is made through a scratching action while being embedded in the dental gum body, and in order for the teeth to stick to the body well, the body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and the tooth tip is placed under force to prevent the teeth from sliding off the body surface when chewing. It would be better if I had a home.

이런 치아 끝단을 받쳐줄 틈새나 홈을 만드는 방법으로 몇 가지 유형의 덴탈 껌을 제안하며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6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덴탈 껌의 몇 가지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실시예에 대한 개념적 사시도이다.Several types of dental gum are proposed as a way to create gaps or grooves to support the ends of these teeth and are explained through drawings. 6 to 8 are conceptual perspective views of embodiments showing several different forms of the dental gu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에는 원기둥 펠릿 형태의 덴탈 껌이 개시된다. 이때, 원기둥 측표면에는 가로 및 세로 방향의 격자선 홈이 형성된다. 6 discloses a dental gum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pellet. At this time, the lattice line groove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er.

전체 크기를 보면 길이 40mm, 직경 16mm이고 재질은 건조 사료나 과자와 같은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치아가 몸체 속으로 들어갈 때 전체가 쪼개지기보다는 치아 부분만 허물어져 압축되면서 치아가 박혀도 쉽게 쪼개지지 않도록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다.If you look at the overall size, the length is 40mm and the diameter is 16mm, and the material is made of a relatively hard material such as dry food or sweets. It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so as not to be crushed.

둥그렇고 매끄러운 표면을 이루는 덴탈 껌에서 이들 격자선 홈에 치아 끝단(팁)이 걸리면 쉽게 미끄러지지 않고 고양이가 씹을 때 덴탈 껌에 충분히 힘이 가해지면서 치아가 몸체 내부로 쉽게 박히게 된다.In dental gum that has a round and smooth surface, if the tooth tip (tip) gets caught in these grid grooves, it does not slide easily, and when a cat chews, sufficient force is applied to the dental gum and the tooth is easily embedded into the body.

홈의 입구 폭 및 깊이는 대략 2mm 정도이며, 이는 고양이의 전구치 및 구치도 끝단이 뾰죽한 팁으로 이루어지고, 치아 폭도 대략 2mm보다 조금 더 커서 이정도 너비이면 치아가 충분히 홈에 들어가 빠져나오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홈의 깊이는 치아의 높이에 비해 충분히 작게 하여 치아가 홈에서 더 깊이 몸체 속으로 박힐 수 있도록 한다.The entrance width and depth of the groove is about 2mm, which is made up of the tip of the cat's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with a sharp tip, and the tooth width is also slightly larger than about 2mm. Because. The depth of the groove should be sufficiently small compared to the height of the tooth so that the tooth can be driven deeper into the body from the groove.

서로 평행한 선형 홈 사이의 간격은 고양이의 저작용 치아 사이의 간격 혹은 팁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가령, 고양이의 상악의 저작용 치아인 두 번째 와 세 번째 전구치 팁 사이의 거리가 평균 8.46mm이고, 하악의 총 교합부 가운데 부분에 있는 두 팁인 두 전째 전구치 팁과 구치의 첫 번째 팁 사이의 거리가 4.2mm이므로 홈과 홈 간격이 대략 4.2mm가 되도록 주기적으로 형성하면 하악의 두 팁이 동시에 홈에 걸리고, 상악의 두 치아의 팁 사이의 거리도 그 2배에 가까워 동시에 홈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The spacing between the linear grooves parallel to each other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spacing between the cat's chewing teeth or the spacing between the tips. For example,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tips of the 2nd and 3rd anterior teeth, which are masticatory teeth in the maxilla in cats, is 8.46 mm on average, and between the tips of the 2nd anterior premolar and the 1st tip of the molar, the two tips in the middle of the total occlusal part of the mandible. Since the distance of is 4.2mm, if the groove and groove are formed periodically so that the gap is approximately 4.2mm, the two tips of the mandible are caught in the groove at the same tim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ips of the two teeth of the upper jaw is close to twice that, so the probability of getting caught in the groove at the same time this rises

마찬가지로 하악의 첫 번째 전구치 팁과 두 번째 전구치 팁 사이의 거리는 7.5mm이고 하악의 구치의 첫 번째 팁과 두 번째 팁 사이의 거리는 5mm이므로 공약수 개념으로 공통 간격인 2.5mm 주기 혹은 간격으로 홈을 형성하면 홈이 하악의 첫 번째 전구치 팁과 두 번째 전구치 팁에 동시에 걸리거나, 하악 구치의 첫 번째 팁과 두 번째 팁에 동시에 걸릴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Similarly,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of the first and second premolars of the mandible is 7.5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ips of the mandibular molars is 5mm. Therefore, as a common factor, grooves are made at intervals of 2.5mm, which is a common interval. Formation may increase the probability that the groove will catch on the tip of the first and second premolars of the mandible at the same time, or on the first and second tips of the mandibular molars at the same time.

단, 본 실시예에서 홈은 원기둥형 페릿의 측표면에 형성되는 것이므로 직선 개념의 간격에 비해 조금 더 넓은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rical ferret, it may be necessary to form it at a slightly wider interval than the interval of a straight line concept.

도7에는 길이 중간의 직경이 크고 길이 양단의 직경은 줄어드는 가운데가 볼록한 기둥 형태이면서 그 측면은 원주방향으로 골과 산이 번갈아가면서 형성되는 덴탈 껌이 개시된다.7 discloses a dental gum in which the diameter in the middle of the length is large and the diameter at both ends of the length is reduced in the form of a convex column in the middle, and the side surface is formed by alternating valleys and mountai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거시적으로는 측표면에 원주 방향으로 골과 산의 형성되는 것과 별도로 미시적으로는 측표면에 높이 2mm, 팁 간격 2mm 정도의 작은 돌기 다수가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있다.Macroscopically, apart from the formation of valleys and mountai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lateral surface, microscopically, a large number of small protrusions with a height of 2 mm and a tip spacing of 2 mm a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lateral surface.

여기서도 전체적 크기를 보면 길이 40mm, 직경 16mm이고 재질은 건조 사료나 과자와 같은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치아가 몸체 속으로 들어갈 때 전체가 쪼개지기보다는 치아 부분만 허물어져 압축되면서 치아가 박혀도 쉽게 쪼개지지 않도록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다.Again, looking at the overall size, the length is 40mm and the diameter is 16mm, and the material is made of a relatively hard material such as dry feed or sweets. It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so as not to split.

여기서 길이 방향으로 직경이 변하도록 한 것은 부위별로 직경을 다르게 하여 고양이가 자기에게 적합한 크기의 직경 부분을 치아 교합부에 위치시킨 상태로 덴탈 껌을 씹어서, 즉, 저작하여 길이 방향으로 절단을 하고, 그렇게 절단된 부분, 부분을 입안에 넣고 다시 씹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지도록 한 것이며, 가운데 볼록한 부분은 너비 혹은 직경이 16mm 이상으로 형성되므로 이 부분을 저작할 때에는 교합부 전체의 치아가 덴탈 껌에 닿아 치아를 세정하는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ason for changing the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 is that the diameter is different for each part, and the cat chews dental gum while placing the diameter part of the appropriate size on the occlusal part of the teeth, that is, chewing it and cutting 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cut part is put in the mouth and has an opportunity to chew again, and the convex part in the middle is formed with a width or diameter of 16mm or more. The action of cleaning the teeth by touching can be made.

이때, 가운데를 볼록하게 하고, 양 단부를 작은 직경으로 한 것은 고양이가 덴탈 껌을 처음 입안에 집어넣는 단계에서 편하게 구강 내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t this time, the convex center and the small diameter at both ends allow the cat to easily insert the dental gum into the oral cavity at the stage of putting the dental gum into the mouth for the first time.

표면에 돌기 다수 개가 고르게 분포하므로 저작용 치아의 팁들이 어느 부분에 접촉하여도 그 부분의 돌기 사이에 팁이 놓이고, 골과 산 사이의 경사면에서라도 치아 팁이 미끌어지지 않고 덴탈 껌 몸체에 압력을 작용시켜 치아가 몸체에 쉽게 박히면서 치아를 긁어줄 수 있게 된다.Since a number of protrusions are evenly distributed on the surface, the tip is placed between the protrusions of the chewing tooth when the tips of the masticating tooth come into contact with any part, and the tooth tip does not slide even on the slope between the bone and the mountain, a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dental gum body. This allows the teeth to be easily embedded in the body and scrape the teeth.

따라서, 산과 산 사이의 사면이나 골에서 오돌도돌한 돌기가 다수 존재하여 돌기 사이의 작은 오목한 부분과 돌기가 이루는 작은 볼록한 부분을 가져 치아가 사면에 닿을 때 골부분까지 미끄러지지 않고 치아가 닿는 초기 위치에서 치아가 씹을 때 몸체 속으로 잘 박힐 수 있다. 작은 오목한 부분과 작은 볼록한 부분은 규칙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여주 열매의 표면과 같이 볼록한 돌기 부분이 불규칙한 높이와 간격으로 산포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Therefore, there are many bumpy projections on the slope or bone between the mountains and the small concave part between the projections and the small convex part formed by the projections. can be embedded well into the body when chewed. Small concave parts and small convex parts may be installed regularly, but convex protrusions like the surface of bitter gourd may be scattered at irregular heights and intervals.

도 8에는 꽈배기 모양으로 마치 긴 머리를 땋을 때 복수 줄기가 서로 꼬아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진행되는 형태의 덴탈 껌이 개시된다. 여기서는 3개의 작은 직경의 기둥체, 가령 8mm 직경의 기둥체가 서로 꼬아지면서 기둥체와 기둥체 사이에 홈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줄기에 해당하는 기둥체 직경을 8mm로 한 것은 저작용 치아 팁과 인접 치아 팁 사이의 간격을 고려한 것이며, 이는 도7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설명을 적용할 수 있다.8 discloses a dental gum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stems are twisted together and proce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long hair is braided in a twist shape. Here, three small-diameter pillars, for example, 8mm-diameter pillars, were twisted to form a groove between the pillars and the pillars. Here, the reason that the diameter of the column corresponding to the stem is 8 mm is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he chewing tooth tip and the adjacent tooth tip, and the same explanation as described in FIG. 7 can be applied.

여기서도 전체적 크기를 보면 길이 40mm, 직경 16mm이고 재질은 건조 사료나 과자와 같은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치아가 몸체 속으로 들어갈 때 전체가 쪼개지기보다는 치아 부분만 허물어져 압축되면서 치아가 박혀도 쉽게 쪼개지지 않도록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섬유를 포함하여 잘 끊어지지 않고 여러번 씹어야 절단이 되도록 한다.Again, looking at the overall size, the length is 40mm and the diameter is 16mm, and the material is made of a relatively hard material such as dry feed or sweets. It should be made of a porous material so that it does not split, or it must be chewed several times without breaking easily, including fibers.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but these are only illustratively describ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따라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or application example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such modifications or application example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Claims (7)

적어도 길이는 40mm보다 크거나 같고 80mm보다 작아 한 번에 입 안에 넣어 삼킬 수 없도록 형성되고,
직경 혹은 너비는 저작용 치아인 전구치 및 구치로 이루어지는 교합부 길이에 해당하는 16mm 보다 크거나 같고 20mm보다 작도록 만들어져 저작 운동을 할 때 상기 저작용 치아인 전구치 및 구치가 모두 닿아 치아 표면이 마찰될 수 있도록 하고,
재질 측면에서 외부 압력시 부분적으로 파괴되어도 치아 표면을 긁을 수 있는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다공성 공간을 가진 다공질로 형성되어 씹을 때 치아 압력에 의해 부분적으로 부숴지면 다공성 공간에 의해 물질이 압축되어 전체가 깨지기보다는 치아 전체가 몸체에 박히도록 전체 형태가 유지되어 치아 표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덴탈 껌.
at least greater than or equal to 40 mm in length and less than 80 mm formed so that it cannot be swallowed by placing it in the mouth at one time;
The diameter or width is made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16mm and smaller than 20mm, which corresponds to the length of the occlusal part consisting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which are masticatory teeth, so that both the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which are the masticating teeth, contact and the surface of the teeth during mastication motion. to allow friction,
In terms of material, it is made of a hard material that can scratch the tooth surface even if it is partially destroyed by external pressure, but is formed as a porous material with a porous space. Rather, dental gum for cat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ire shape is maintained so that the entire tooth is embedded in the body so that it can be in contact with the tooth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에는 치아 끝단이 들어가기 쉬운 오목한 부분이 설치되어 치아가 유도되고 미끌어지지 않으면서 씹는 압력이 몸체로 전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덴탈 껌.
The method of claim 1,
Dental gum for ca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is provided with a concave part where the tip of the teeth can easily enter, so that the teeth can be guided and chewing pressure can be transmitted to the body without slipping.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건조된 식물성 혹은 동물성 섬유조직이 포함되어 부분적으로 부숴져도 전체적으로 형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덴탈 껌.
The method of claim 1,
Dental gum for cat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dried vegetable or animal fibrous tissue to maintain its overall shape even if it is partially crushed.
제 2 항에 있어서,
원기둥 펠릿 형태로 이루어지고, 측표면에 길이 방향 및 원주 방향의 선형 홈이 격자무늬 형태로 일정 간격으로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덴탈 껌.
3. The method of claim 2,
Dental gum for cat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pellet, and linear grooves in the longitudinal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s are repeated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orm of a grid pattern on the side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 중간부분의 직경이 크고 길이 방향 양단부분의 직경은 줄어들어 가운데가 볼록한 기둥 형태이면서 그 측면은 원주방향으로 골과 산이 번갈아가면서 형성되고,
상기 골과 산이 형성되는 측표면에 전체적으로 간격 2mm 정도로 돌기 복수 개가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고양이용 덴탈 껌.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ameter of the middle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arge and the diameter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duced, so that the middle is convex, and the side is formed by alternating valleys and mountai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ental gum for cat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distributed at an interval of about 2 mm as a whole on the side surface where the bone and acid are 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꽈배기 모양 혹은 땋은 머리 모양으로 직경 8~10mm의 복수 줄기가 서로 꼬아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진행되는 형태를 가지며 줄기와 줄기 사이가 나선 형태의 오목한 선형 홈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덴탈 껌.
3. The method of claim 2,
Dental gum for cats, characterized in that multiple stems with a diameter of 8 to 10 mm are twisted together in a twisted shape or a braided hair shape and progress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cave linear groove in the form of a spiral is formed between the stem and the stem.
KR1020190017347A 2019-02-14 2019-02-14 dental gum for cats KR1022993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347A KR102299312B1 (en) 2019-02-14 2019-02-14 dental gum for ca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347A KR102299312B1 (en) 2019-02-14 2019-02-14 dental gum for ca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398A KR20200099398A (en) 2020-08-24
KR102299312B1 true KR102299312B1 (en) 2021-09-08

Family

ID=7223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347A KR102299312B1 (en) 2019-02-14 2019-02-14 dental gum for ca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3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5385A1 (en) * 2021-03-01 2022-09-09 裕 野口 Toothbrushing set for anima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862B1 (en) 2008-08-22 2011-10-04 (주)아르테미스코리아 Manufacturing method of pet food for reducing tartar
KR101784056B1 (en) * 2014-09-03 2017-10-10 캔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Dental chewing gum for a companion dog
KR20180008069A (en) * 2016-07-15 2018-01-24 (주)벨벳케어 dental gum for pet do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아지 치석제거 아르르 덴탈츄 기능성껌 골라먹자!, 네이버 블로그, (2018.07.27.),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dlwlgid92/2213273884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398A (en)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4084C (en) Dental care pet food
EP2389800B1 (en) Pet dental chew
US20120160180A1 (en) Edible pet chew
US4802444A (en) Therapeutic pet toy
US9681642B2 (en) Edible, chewable object for carnivorous pet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hygiene of the oral cavity of said pets using one such object
BR0208578B1 (en) product and method to improve the animal&#39;s dental hygiene.
AU783815B2 (en) Dental diet for reducing tartar
KR102254626B1 (en) Gum for pet with dental calculus removing effect
KR102299312B1 (en) dental gum for cats
KR101784056B1 (en) Dental chewing gum for a companion dog
KR20180008069A (en) dental gum for pet dog
JP2012034675A (en) Pet food
KR20220118015A (en) Eatable Chewing Brush For Pet
Bjone et al. Influence of chewing on dental health in dogs
김보윤 Development of feline dental hygiene chew considering the anatomical features of dentition
KR102641611B1 (en) Dental gum for dog oral care
Kim et al. Development of dental hygiene gum for cats considering their anatomical features of dentition
KR20180124390A (en) Pet food based on pig&#39;s na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86762B1 (en) Dog gum manufacturing method using fish flesh and dog gum by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KR102375789B1 (en) clean device for pet teeth
CN215422257U (en) Multi-flavor rod-shaped dog chews
CN210900898U (en) Pet tooth strengthening ring
Allmuca et al. The Influence of the Diet in the Development of the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in Dogs
WO2013167961A1 (en) Device for animal teeth cleaning
Li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Canine Oral Health Care Sit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