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270B1 - 반응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응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응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응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270B1
KR102299270B1 KR1020210018458A KR20210018458A KR102299270B1 KR 102299270 B1 KR102299270 B1 KR 102299270B1 KR 1020210018458 A KR1020210018458 A KR 1020210018458A KR 20210018458 A KR20210018458 A KR 20210018458A KR 102299270 B1 KR102299270 B1 KR 102299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k
reaction water
dissolved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시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시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시엘
Priority to KR1020210018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02F1/48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treatment device, i.e. not in contact with the liquid to be treated, e.g. detach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using pure oxygen or oxygen rich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4Diffusers or nozzles for ozon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반응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응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수 제조 장치는 음이온이 용해되어 있는 유입수가 공급 및 배출되는 관로, 관로 상에 마련되어 유입수에 용해되어 있는 음이온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전자기유도부, 및 관로 상에 마련되는 도전판 및 도전판에 빛을 조사하여 유입수에 도전판에서 생성되는 전자 음이온을 이동시키는 광원을 갖는 광조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응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응수 제조 방법{Apparatus for producing reactive liquid and the method thereof using it}
본 발명은 반응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응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살균, 소독, 정화 등의 용도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반응수 제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이나 공장에서 배출되는 오폐수 증가로 인해 수질이 오염되고, 또 난방 및 공장에서 발생하는 배출 가스 증가로 인해 대기가 오염되는 등 주변 환경이 점차적으로 악화됨에 따라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인식 변화가 거세지고 있다.
일례로, 양식장, 정수장, 하수처리장 등의 시설에서는 살균, 소독, 스케일 제거 등을 위해 사용하는 약품들을 되도록 자연 친화적인 물질로 대체함으로써 그 사용량을 줄이려고 한다. 또한, 배출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질소 또는 황 화합물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전 걸러내는 흡착제도 친환경적인 수성 성분으로 제조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포집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1999-0064389호(1999.08.05)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반응수에 용해되어 있는 음이온의 용존량을 높이는 동시에 활성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반응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응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음이온이 용해되어 있는 유입수가 공급 및 배출되는 관로, 관로 상에 마련되어 유입수에 용해되어 있는 음이온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전자기유도부, 및 관로 상에 마련되는 도전판 및 도전판에 빛을 조사하여 유입수에 도전판에서 생성되는 전자 음이온을 이동시키는 광원을 갖는 광조사부를 포함하는 반응수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유도부는 복수의 영구자석이 마련되어 있으며 회전하는 제1 원통체와, 상기 제1 원통체를 이격하여 감싸는 제2 원통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원통체의 외부에는 코일이 권선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관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또는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유도부는 소정 간격으로 대향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가 회전하는 제1 디스크 및 제2 디스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디스크에는 복수의 영구자석이 분산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디스크에는 코일이 권선되어 있으며, 상기 관로는 상기 제1 디스크의 영구자석과 마주보는 상기 제2 디스크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는 원반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관로는 입구와 출구가 서로 반대 방향에 대향 배치되고, 그 사이의 경로가 디스크에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관로의 입구와 출구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오존 및 산소 음이온이 용해되어 있는 유입수가 공급 및 배출되는 관로, 관로 상에 마련되어 유입수에 용해되어 있는 음이온에 전자기력을 인가하는 전자기력인가부재, 및 관로 상에 마련되는 도전판 및 도전판에 빛을 조사하여 전자기력인가부재를 통과한 유입수에 도전판에서 생성되는 전자 음이온을 이동시키는 광원을 갖는 광조사부를 포함하는 반응수 제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수에 오존을 주입하여 오존수를 생성하는 제1 전처리 공정과, 상기 오존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존을 나노 버블로 미세화하는 나노 오존수를 생성하는 제2 전처리 공정과, 상기 나노 오존수를 자기장에 노출시켜 자기 반응수를 생성하는 제1 반응수 제조 공정과, 상기 자기 반응수에 빛을 조사하여 전자 음이온이 용해된 전자 반응수를 형성하는 제2 반응수 제조 공정을 포함하는 반응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반응수 제조 공정은 복수의 영구자석이 마련되어 있으며 회전하는 제1 원통체와, 상기 제1 원통체를 이격하여 감싸는 제2 원통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원통체의 외부에는 코일이 권선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나노 오존수가 통과하는 관로가 마련되어 있는 전자기유도부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반응수 제조 공정은 소정 간격으로 대향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가 회전하는 제1 디스크 및 제2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크에는 복수의 영구자석이 분산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디스크에는 제1 디스크와 소정 간격으로 대향 마련되며 코일이 권선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디스크의 영구자석과 마주보는 상기 제2 디스크의 일면에는 상기 나노 오존수가 통과하는 관로가 마련되어 있는 전자기유도부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응수 제조 방법은 오존, 산소, 전자 등의 음이온들이 용해되어 있는 유입수를 자기장에 노출시킴으로써 이온화를 촉진하고 용존량을 늘리는 동시에 활성 상태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응수 제조 방법은 유입수에 빛을 조사하여 광전 효과에 의해 발생한 전자 음이온을 유입수로 이동시킴으로써 다량의 음이온이 포함된 반응수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수는 피부 미용, 오염물질의 제거는 물론 살균 소독 등 광범위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으며 활성 상태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응수 제조 장치를 이용한 반응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응수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응수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응수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응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의해 생성된 반응수를 활용하는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응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반응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반응수 제조 방법은 원수에 오존을 혼합하여 유입수를 만드는 제1 전처리 공정(S1)과, 유입수에 용해되어 있는 오존을 나노 버블 형태로 용존시키는 용해수를 만드는 제2 전처리 공정(S2)과, 용해수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동시에 광을 조사하여 반응수를 만드는 반응수 제조 공정(S3)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전처리 공정(S1)에서는 원수로 수돗물 또는 음용을 위해 정수된 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오염수의 수처리 용도로 사용할 경우 외부 폐수 및 하수의 처리수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원수는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는 이송로(P) 상에 펌프(10)를 배치하여 공급한다.
유입수(오존수)를 형성하기 위해 투입되는 오존은 펌프, 인젝터, 이젝터 등의 기액 혼합기(11)를 통해 이송로로 공급될 수 있다. 오존은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무성방전법, 전해법, 광화학 반응법, 방사선 조사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에너지 효율, 안정성, 및 조작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무성방전방식을 채용하고, 이젝터를 통해 이송로(P)에 오존을 주입할 수 있다.
오존이 용해된 유입수는 믹싱 탱크(15)로 이송되고, 믹싱 탱크(15)에서는 소정의 압력 조건을 형성하여 오존이 용해되어 있는 유입수를 안정화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원수에 오존을 주입하여 유입수를 만드는 공정을 예시했으나, 이때 유입수에는 오존과 함께 산소도 음이온 상태로 용해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산소원자 3개가 결합된 오존은 산소에 비해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외부 환경 및 시간 경과에 따라 상대적으로 안정된 산소 형태로 돌아가려 하기 때문이다.
제2 전처리 공정(S2)에서는 유입수에 용해되어 있는 오존과 산소 등의 음이온을 나노 버블 형태로 변환시켜 용해수(나노 오존수)를 제조한다. 나노 버블은 일반 산기관 대비 접촉 면적이 넓고 부상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오랜 체류시간으로 산소 전달율이 향상된다. 나노 버블은 액체 내 기체 사이즈를 미세화하는 방식으로 만들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가압식, 선회식, 가압선회식 등의 방식 가운데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나노 버블 발생기를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고 나노 버블 발생기에 의해 제조된 용해수를 저장하고 있는 저수조(20)를 일례로 도시하였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유입수와 나노 버블을 포함하는 용해수 제조 공정을 제1 전처리 공정(S1)과 제2 전처리 공정(S2)으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단일 전처리 공정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반응수 제조 공정(S3)에서는 이송로(P)를 통해 공급되는 용해수를 반응수 제조 장치(30)를 이용하여 반응수를 제조한다. 반응수 제조 장치(30)는 용해수에 자기장을 인가하기 위한 전자기유도부(31)와, 용해수에 전자 음이온을 포함시키기 위한 광조사부(36)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기유도부(31)에 의해 자기 반응수를 생성하는 공정을 제1 반응수 제조 공정(S3-1)이라고 하고, 광조사부(36)에 의해 전자 반응수를 생성하는 공정을 제2 반응수 제조 공정(S3-2)이라 칭할 수도 있다.
전자기유도부(31)는 용해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존과 산소 등의 음이온을 자기장에 노출시켜 전자 스핀에 의해 회전 운동이 발생하고 음이온이 미세 전기를 띠게 함으로써 이온화를 촉진하고 음이온의 용존 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자기 반응수를 제조한다(아인슈타인-드하스 효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유도부(31)는 복수의 자석(32a)이 마련되어 있으며 회전하는 제1 원통체(32)와, 제1 원통체(32)를 이격하여 감싸며 외주에 코일(33a)이 권선되어 있는 제2 원통체(33)를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자석(32a)이 마련된 제1 원통체(32)는 모터(35)를 통해 회전 구동된다. 이때, 모터(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축 모터를 채용할 경우 전자기유도부(31)로 유입수를 이송하는 펌프(35a)와 같이 구동되면서 에너지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2 원통체(33)의 외부에는 코일(33a)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권선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용해수가 이동하는 관로(34)가 형성되어 있다. 관로(34)는 용해수가 제2 원통체(33)를 통과할 때 최대한 자기장 환경에 노출될 수 있도록 예컨대, 제2 원통체(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코일과 마찬가지로 나선 형태를 배치되거나 또는 수직이나 수평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관로(34)의 입구와 출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유도부에서 양단으로 분리 배치되는 관로(34)의 형성에 용이하다.
광조사부(36)는 광전 효과를 이용하여 전자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전판(37)과 도전판(37)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도 4의 38)을 포함한다. 도전판(37)은 여기에 속박된 전자가 방출될 수 있는 금, 백금, 은, 동 등의 단일 금속 또는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다. 광원(38)은 자외선 또는 레이저로 마련되어 도전판(37)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전판(37)은 관로(34)의 입구 또는 출구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부착할 수 있으며, 광조사부(36)의 광원은 도전판(37)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하여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도전판(37)은 전자기유도부(31)에 인접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관로(34)의 입구와 출구 중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수의 상류측인 입구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광전 효과에 의해 도전판(37)에서 생성되는 음이온 전자를 전자기유도부(31)의 자기장으로 끌어당겨 최대한 많은 양의 전자가 반응수에 흡수되어 전자 반응수를 다량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빛의 광전 효과로 인해 전자 음이온이 함유된 나노 버블은 친수성 콜로이드 입자로서 미세 전기(전하)를 띠고 있는 물 분자의 브라운 운동에 혼합되어 물속에서 오래 지속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유도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유도부(40)는 일 실시 예의 전자기유도부(31)가 모터 축방향에 대해 수직형이라고 한다면, 수평형이라고 볼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 예의 전자기유도부(40)는 소정 간격으로 대향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가 회전하는 제1 디스크(42)와 제2 디스크(43)를 포함한다.
제1 디스크(42)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영구자석(42a)이 동심원 상에 분산 배치되어 있고, 제1 디스크(42)에 대향하고 있는 제2 디스크(43)에는 코일(45)이 권선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 배치 방식은 수직 배치 방식에 비해 자기장이 미치는 범위는 좁아지지만 상대적으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디스크(43)에는 제1 디스크(42)의 영구자석(42a)과 마주보는 일면에 관로(43a)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디스크(43)의 좌우에 제1 디스크(42)가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경우 관로(43a)는 제2 디스크(43)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관로(43a)는 반응수가 제2 디스크(43)를 통과할 때 최대한 오래 자기장에 영향을 받도록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을 따라 또는 중심에서 외측을 향해 지그재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관로(43a)의 입구와 출구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하는 것이 자기장 노출 경로를 길게 하여 전자 반응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용이하다.
한편, 상기 실시 예에서는 영구 자석을 회전시켜 코일에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음이온을 자기장에 노출시키고 미세 전기를 띠게 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와 반대로 회전하는 코일측에 전류를 인가하고 영구 자석측에 관로를 마련하여 코일과 영구 자석 사이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음이온이 미세 전기를 띠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전자기 유도 현상). 또한, 영구 자석이나 코일이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코일에 3상의 외부 전원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전류를 가함으로써, 코일과 영구 자석 사이에 전자기력이 인가되도록 하여 그 사이의 관로를 통과하는 음이온이 회전 운동을 하고 미세 전기를 띠게 할 수도 있다(전자기력인가부재).
각 공정에 따른 용존 산소량
오존수 나노 오존수 자기 반응수 전자 반응수
용존
산소량
(20℃,
ppm)
1(hr) 30 30 30 30
1일 15 20 24 28
3개월 10 14 18 25
6개월 8 12 15 20
잔여율(%) 26.7 40 50 66.7
상기 표는 각 제조 공정에서 생성되는 물 예컨대, 제1 전처리 공정(S1)에서 생성되는 오존수(유입수), 제2 전처리 공정(S2)에서 생성되는 나노 오존수(용해수), 반응수 제조 공정(S3) 중 반응수 제조 장치(30)의 전자기유도부(31)에서 생성되는 반응수(자기 반응수), 광조사부(36)에서 생성되는 반응수(전자 반응수)에 대해 1기압, 20℃ 조건에서의 용존 산소량(ppm)을 나타낸 것이다. 1 기압, 20℃ 조건 하에서 순수한 물의 포화 용존 산소량은 8~9ppm이다.
실험을 위해, 각 공정에서 생성되는 물의 용존 산소량은 30ppm으로 동일하게 조정하였으며, 최대 50ppm까지 주입할 수 있었다.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각 공정에서 생성된 물의 용존 산소량은 점차적으로 포화 용존 산소량에 근접하게 되는데, 본 실시 예와 같이 반응수 제조 장치(30)를 통해 생성된 반응수는 6개월이 경과하더라도 용존 산소량의 잔여율이 50%를 상회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전자기유도 현상과 광전 효과에 의해 생성된 반응수는 다량의 오존, 산소, 전자 등의 음이온을 포함하고 있어서 음이온 농도가 상당히 높다.
독일의 물리학자 필립 레너드에 의해 발표된 '레너드 효과'에 따르면, 음의 성질을 띠는 음이온은 폭포 지역이나 숲 속에 있는 것과 같이 호흡 또는 피부를 통해 흡수되어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활력을 증가시키며 피를 맑게 하고 신경 안정과 피로회복 및 식욕 증진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이온 상태의 산소와 중성 상태일 때보다 활동성이 강하고, 나아가 음이온을 띠게 되면 더 활성화 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인체에 들어간 산소 음이온은 여러 유익한 작용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온 상태의 오존은 활동성이 강하여 소독 및 살균 작용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되는 반응수는 종래에 비해 용해되어 있는 음이온을 장시간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음이온이 미생물의 세포막을 파괴하여 살균하는 것은 이미 공지된 사실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반응수는 활성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저수조(50) 등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저수조(50)의 반응수는 일례로, 도면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빛과 전자 반응(Light and Electron Reaction; L&ER)에 의해 용존되어 있는 오존, 산소 등의 음이온을 이용하여 과일, 체소의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세정수나 또는 양식장, 폐수 및 하수 처리 등에 살균 및 소독수로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세먼지, CO2, NOx, SOx 등의 오염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는 배출 가스(Gas)를 송풍팬(51)으로 기액반응조(52)로 이동시키고, 이 기액반응조(52)에 본 실시 예의 반응수를 미스티 형태로 분사하여 수성 흡착제로 활용함으로써 악취 및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배출 가스 내 오염 물질들은 본 실시 예의 반응수와 아래와 같이 반응하여 제거될 수 있다.
미세먼지 + 반응수 : H2O(O2-, O3-) -> 미세먼지 흡착
CO2 + 반응수 : H2O(O2-, O3-) -> H2CO3
NOx + 반응수 : H2O(O2-, O3-) -> HNO3
SOx + 반응수 : H2O(O2-, O3-) -> H2SO4
오염 물질이 제거된 배출 가스는 수분제거시설(53)을 통해 잔류 수분을 제거한 후 대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오염수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재차 반응수와 혼합하여 정화 및 살균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하수처리장 등의 정화 시설에서는 스케일(NH4MgPO4; 스투루바이트)로 인한 배관 막힘을 막기 위해 배관에 본 실시 예의 반응수를 주기적으로 투입시킴으로써, 스투루바이트와 본 실시 예의 반응수에 용존된 산소가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스케일 형성을 미연에 방지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스케일과 반응수는 아래와 같이 반응하여 제거될 수 있다.
NH4MgPO4 + O2- -> NH4OH + MgO + H3PO4
10..펌프 20..나노 버블 발생기
30..반응수 제조 장치 31, 40..전자기유도부
36..광조사부 50..저수조

Claims (9)

  1. 삭제
  2. 음이온이 용해되어 있는 유입수가 공급 및 배출되는 관로;
    상기 관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수에 용해되어 있는 음이온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전자기유도부; 및
    상기 관로 상에 마련되는 도전판 및 상기 도전판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유입수에 도전판에서 생성되는 전자 음이온을 이동시키는 광원을 갖는 광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유도부는
    복수의 영구자석이 마련되어 있으며 회전하는 제1 원통체와,
    상기 제1 원통체를 이격하여 감싸는 제2 원통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원통체의 외부에는 코일이 권선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관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또는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있는 반응수 제조 장치.
  3. 음이온이 용해되어 있는 유입수가 공급 및 배출되는 관로;
    상기 관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수에 용해되어 있는 음이온에 자기장을 인가하는 전자기유도부; 및
    상기 관로 상에 마련되는 도전판 및 상기 도전판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유입수에 도전판에서 생성되는 전자 음이온을 이동시키는 광원을 갖는 광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유도부는
    소정 간격으로 대향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가 회전하는 제1 디스크 및 제2 디스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디스크에는 복수의 영구자석이 분산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디스크에는 코일이 권선되어 있으며,
    상기 관로는 상기 제1 디스크의 영구자석과 마주보는 상기 제2 디스크의 일면에 마련되는 반응수 제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원반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관로는 입구와 출구가 서로 반대 방향에 대향 배치되고, 그 사이의 경로가 디스크에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있는 반응수 제조 장치.
  5. 제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관로의 입구와 출구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반응수 제조 장치.
  6. 삭제
  7. 삭제
  8. 원수에 오존을 주입하여 오존수를 생성하는 제1 전처리 공정과,
    상기 오존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존을 나노 버블로 미세화하는 나노 오존수를 생성하는 제2 전처리 공정과,
    상기 나노 오존수를 자기장에 노출시켜 자기 반응수를 생성하는 제1 반응수 제조 공정과,
    상기 자기 반응수에 빛을 조사하여 전자 음이온이 용해된 전자 반응수를 형성하는 제2 반응수 제조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반응수 제조 공정은
    복수의 영구자석이 마련되어 있으며 회전하는 제1 원통체와,
    상기 제1 원통체를 이격하여 감싸는 제2 원통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원통체의 외부에는 코일이 권선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나노 오존수가 통과하는 관로가 마련되어 있는 전자기유도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반응수 제조 방법.
  9. 원수에 오존을 주입하여 오존수를 생성하는 제1 전처리 공정과,
    상기 오존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존을 나노 버블로 미세화하는 나노 오존수를 생성하는 제2 전처리 공정과,
    상기 나노 오존수를 자기장에 노출시켜 자기 반응수를 생성하는 제1 반응수 제조 공정과,
    상기 자기 반응수에 빛을 조사하여 전자 음이온이 용해된 전자 반응수를 형성하는 제2 반응수 제조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반응수 제조 공정은
    소정 간격으로 대향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가 회전하는 제1 디스크 및 제2 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크에는 복수의 영구자석이 분산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디스크에는 제1 디스크와 소정 간격으로 대향 마련되며 코일이 권선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디스크의 영구자석과 마주보는 상기 제2 디스크의 일면에는 상기 나노 오존수가 통과하는 관로가 마련되어 있는 전자기유도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반응수 제조 방법.
KR1020210018458A 2021-02-09 2021-02-09 반응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응수 제조 방법 KR102299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458A KR102299270B1 (ko) 2021-02-09 2021-02-09 반응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응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458A KR102299270B1 (ko) 2021-02-09 2021-02-09 반응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응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270B1 true KR102299270B1 (ko) 2021-09-08

Family

ID=7778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458A KR102299270B1 (ko) 2021-02-09 2021-02-09 반응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응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2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389A (ko) 1998-10-09 1999-08-05 이주봉 해산어 육상 축양장의 수질개선방법 및 그 장치
KR101634667B1 (ko) * 2014-01-10 2016-06-30 한국기계연구원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농도 오존수 생성 장치
KR101922560B1 (ko) * 2016-12-14 2018-11-27 한국기계연구원 광전 효과에 의한 항균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389A (ko) 1998-10-09 1999-08-05 이주봉 해산어 육상 축양장의 수질개선방법 및 그 장치
KR101634667B1 (ko) * 2014-01-10 2016-06-30 한국기계연구원 전자기장을 이용한 고농도 오존수 생성 장치
KR101922560B1 (ko) * 2016-12-14 2018-11-27 한국기계연구원 광전 효과에 의한 항균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274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산화질소 함유수 제조장치
KR100843986B1 (ko) 고효율 악취제거장치
KR100986245B1 (ko) 무동력혼화공급장치를 이용한 고효율 약액세정식 탈취장치 및 그 방법
CN104058480B (zh) 低气压放电等离子体水处理装置及方法
KR102094915B1 (ko) 공기살균장치
CN206273335U (zh) 一种光催化雾霾消除器
CN105536458A (zh) 氧化剂协同紫外光净化有机废气的装置及处理方法
KR20070011640A (ko) 난분해성 및 고농도 오,폐수 정화장치
CN106823798A (zh) 一种超声波协同紫外光净化有机废气装置及处理方法
KR200434060Y1 (ko) 오존(수), 플라즈마, 촉매를 이용한 고효율 악취제거장치및 그 방법
KR100770422B1 (ko) 촉매반응의 강화방법
CN107585970A (zh) 一种工业反渗透浓水中难降解有机物深度处理的工艺
KR102299270B1 (ko) 반응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응수 제조 방법
JP3986438B2 (ja) 原子遊離型水溶液生成装置、原子遊離型水溶液生成方法及び原子遊離型水溶液
CN103071165A (zh) 一种液体杀菌消毒装置
CN103420528A (zh) 一种多级鼓泡氧化塔式污水处理反应器
CN1872716A (zh) 液相等离子体联合负载型TiO2催化处理废水的方法
KR101323258B1 (ko) 플라즈마 살균방법
CN205550039U (zh) 一种复合等离子光氧催化有机废气净化设备
KR102360668B1 (ko) 반응수 제조 장치
JP2000279977A (ja) 流体処理方法及び流体処理装置
KR20010074599A (ko) 자외선 및 오존 발생 에이오피 챔버 및 이를 이용한수처리 장치
CN112225369A (zh) 一种等离子体协同粉末状催化剂有机废水处理装置
CN111499061B (zh) 一种天然水体处理方法及装置
KR101323248B1 (ko) 플라즈마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