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024B1 - 원예용 결속기 - Google Patents

원예용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024B1
KR102299024B1 KR1020170075685A KR20170075685A KR102299024B1 KR 102299024 B1 KR102299024 B1 KR 102299024B1 KR 1020170075685 A KR1020170075685 A KR 1020170075685A KR 20170075685 A KR20170075685 A KR 20170075685A KR 102299024 B1 KR102299024 B1 KR 102299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gripping
lock member
main handle
clinch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614A (ko
KR102299024B9 (ko
Inventor
하야시 스스무
타구치 사토시
타케무라 하지메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4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024B1/ko
Publication of KR10229902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02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01G17/085Espalier machines; Ty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9/00Independent binders, e.g. for hay; Binders attachable to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applying separate securing members, e.g. deformable clips
    • B65B13/345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과제>
테이프 파지 장치의 록 부재의 동작에 관련되는 하중을 저감시키는 것에 의해, 핸들을 조작할 때의 하중을 저감할 수 있는 원예용 결속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테이프 파지 장치(35)는, 테이프(60)의 인출 방향을 따라 마련된 지지부(36)와, 지지부(36)에 대향하도록 마련된 파지 부재(37)와, 파지 부재(37)를 지지부(36)의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38)과, 파지 부재(37)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38)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파지 부재(37)를 대기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록 부재(39)와, 록 부재(39)를 파지 부재(37)에 체결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40)을 구비한다. 록 부재(39)는, 클린처 아암(3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원예용 결속기{BINDING MACHINE FOR GARDENING}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에 있어서 유인 결속 작업에 사용하는 원예용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농작물을 재배할 때의 유인 결속 작업에 원예용 결속기가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오이, 포도, 토마토 등의 농작물 재배에 있어서, 식물의 덩굴이나 줄기를 지주나 그물 등에 결속하기 위해 원예용 결속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원예용 결속기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로부터 테이프를 인출 가능한 메인 핸들과, 메인 핸들에 대해 회동 가능한 클린처 아암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원예용 결속기의 조작 핸들을 가볍게 움켜쥐면, 클린처 아암이 메인 핸들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클린처 아암 선단의 테이프 파지 장치가 메인 핸들의 선단부로부터 인출된 테이프를 파지한다. 이 상태에서 핸들의 움켜쥠을 해제하면, 클린처 아암이 메인 핸들에 대해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테이프가 인출된다. 테이프를 인출하여 클린처 아암과 메인 핸들 사이에 테이프가 펼쳐진 상태로 했으면, 이 인출한 테이프에 농작물 및 지주를 대고, 농작물 및 지주를 클린처 아암과 메인 핸들 사이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다시 핸들을 움켜쥐면, 클린처 아암이 메인 핸들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테이프 루프가 형성된다. 더욱 핸들을 움켜쥐면, 테이프 루프의 양단이 스테이플에 의해 철해지는 동시에, 테이프 루프의 단부가 커터에 의해 절단되어, 결속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원예용 결속기는, 핸들이 가압되지 않은 대기시에 테이프 파지 장치의 견인침이 테이프를 놓은 상태로 대기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테이프 파지 장치는, 견인침을 대기 상태로 하기 위해, 견인침과 체결되어 견인침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록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록 부재는, 조작 핸들의 움켜쥠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원예용 결속기의 테이프 파지 장치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장의 판금을 겹쳐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테이프 파지 장치의 견인침의 요동을 제어하고, 테이프를 파지하는 동작을 실현하고 있었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4-224412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테이프 파지 장치는,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바이어싱된 견인침에 의해 테이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견인침을 대기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이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핸들을 움켜쥘 필요가 있어, 결속 동작에 있어서의 핸들의 조작 하중을 증대시키는 한 요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견인침을 대기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록 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록 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기 때문에, 록을 해제하거나, 해제된 록 부재를 다시 록하는 경우에는, 록 부재를 바이어싱하는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핸들을 움켜쥘 필요도 있었다.
이와 같은 원예용 결속기는 옥외의 밭 등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내부에 흙 등이 진입하는 경우가 있지만, 종래의 테이프 파지 장치에서는, 3장의 판금을 겹쳐 슬라이딩시키는 구조였기 때문에, 판금의 사이나 주위에 흙 등의 이물이 들어가서 슬라이딩 저항이 커지는 경우가 있었다. 종래의 구조에서는, 이와 같이 슬라이딩 저항이 증대해도 테이프 파지 장치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이들의 판금을 바이어싱하는 스프링 하중을 크게 하고, 슬라이딩 저항이 증대한 경우에도 그 이상의 스프링 하중으로 판금을 작동시키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스프링 하중을 크게 하면, 슬라이딩 저항의 증대에 더하여,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결속 동작에 있어서의 핸들 하중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테이프 파지 장치의 록 부재의 동작에 관련되는 하중을 저감시키는 것에 의해, 핸들을 조작할 때의 하중을 저감할 수 있는 원예용 결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하를 특징으로 한다.
(1)에 기재된 발명은, 선단부로부터 테이프를 인출 가능한 메인 핸들과, 상기 메인 핸들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린처 아암과, 상기 클린처 아암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핸들의 선단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테이프의 단부를 파지 가능한 테이프 파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파지 장치는, 상기 테이프의 인출 방향을 따라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대향하도록 마련된 파지 부재와, 상기 파지 부재를 상기 지지부의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과, 상기 파지 부재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상기 파지 부재를 대기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록 부재와, 상기 록 부재를 상기 파지 부재에 체결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록 부재는, 상기 클린처 아암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록 부재는, 상기 파지 부재를 테이프 파지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록 부재는, 상기 파지 부재의 둘레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메인 핸들에 상기 록 부재와 체결되는 록 해제부를 마련하고, 상기 록 해제부는, 상기 메인 핸들에 대한 상기 클린처 아암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록 부재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메인 핸들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를 인출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테이프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클린처 아암을 상기 메인 핸들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테이프 가이드가 상기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상기 록 부재를 푸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파지 부재와 상기 록 부재는, 체결 개소를 제외하고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록 부재는, 상기 록 부재가 상기 파지 부재에 체결하는 때에,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록 부재는, 상기 록 부재가 상기 파지 부재에 체결하는 때에, 상기 파지 부재와 평면 접촉하지 않고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록 부재는, 상기 파지 부재가 상기 록 부재와 상기 체결 개소에서만 접촉하도록,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록 부재는, 클린처 아암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록 부재가 회동식이기 때문에, 가이드 기구를 단순하게 할 수 있어, 주위에 흙 등의 이물이 부착되어도 저항이 쉽게 증대하지 않는다. 또한, 저항이 쉽게 증대하지 않기 때문에,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이나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을 작게 해도 테이프 파지 장치를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물에 의한 저항의 증대를 억제하는 동시에,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들의 조작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록 부재는, 파지 부재를 테이프 파지 위치에 유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파지 부재를 지지부측으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력의 크기에 관계 없이, 파지 부재를 확실하게 파지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들의 조작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록 부재는, 파지 부재의 둘레면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파지 부재와 록 부재가 최소한의 접촉 개소만으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파지 부재와 록 부재 사이에 흙 등이 들어가서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물에 의한 저항의 증대를 억제하는 동시에,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들의 조작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메인 핸들에 록 부재와 체결되는 록 해제부를 마련하고, 록 해제부는, 메인 핸들에 대한 클린처 아암의 회동에 연동하여, 록 부재에 작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록을 해제하기 위해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지 않아도, 클린처 아암을 메인 핸들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의 동작에 연동하여, 록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클린처 아암을 메인 핸들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 테이프 가이드가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록 부재를 푸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록을 해제하기 위해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지 않아도, 클린처 아암을 메인 핸들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의 동작에 연동하여, 록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파지 부재와 록 부재는, 체결 개소를 제외하고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파지 부재와 록 부재가 최소한의 접촉 개소만으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파지 부재와 록 부재 사이에 흙이 들어가서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원예용 결속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원예용 결속기의 측면도이고, 클린처 아암을 메인 핸들에 대해 개방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원예용 결속기의 측면도이고, 클린처 아암을 메인 핸들에 대해 완전히 닫힌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조작 핸들의 커버재를 뗀 원예용 결속기의 측면도이고, 클린처 아암을 메인 핸들에 대해 개방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조작 핸들의 커버재를 뗀 원예용 결속기의 측면도이고, 클린처 아암을 메인 핸들에 대해 완전히 닫힌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원예용 결속기의 선단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원예용 결속기의 선단 부근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있어서, (a)는 테이프 가이드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테이프 가이드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파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a)는 록 부재의 사시도이고, (b)는 록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원예용 결속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파지 동작을 실행하기 전의 상태의 도면이다.
도 13은 원예용 결속기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파지 동작을 실행하기 전의 상태의 도면이다.
도 14는 테이프 가이드와 록 부재 및 지지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테이프 가이드가 록 부재 및 지지부에 접촉하기 전의 상태의 도면이다.
도 15는 테이프 가이드와 록 부재 및 지지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테이프 가이드가 록 부재를 밀어 올린 상태의 도면이다.
도 16은 테이프 가이드와 록 부재 및 지지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테이프 가이드가 지지부에 맞닿은 상태의 도면이다.
도 17은 원예용 결속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파지 부재가 테이프 가이드와 협동하여 테이프를 파지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8은 원예용 결속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파지 부재가 지지부와 협동하여 테이프를 파지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9는 원예용 결속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테이프 파지 장치로 테이프를 파지하여 인출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0은 원예용 결속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테이프 가이드가 파지 부재에 접촉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1은 원예용 결속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테이프 가이드가 파지 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2는 원예용 결속기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테이프를 절단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방이란, 원예용 결속기(10)의 사용시에 피결속물(S)을 향하는 방향(도 2에 있어서의 오른쪽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란, 전방의 역방향(도 2에 있어서의 왼쪽 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예용 결속기(10)는, 농작물 재배에 있어서 유인 결속 작업에 사용되는 것이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형성된 가늘고 긴 메인 핸들(11)과, 메인 핸들(1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린처 아암(30)과, 클린처 아암(3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핸들(50)을 구비하고 있다. 클린처 아암(30)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25)에 의해 상시 바이어싱되어 있고, 통상시에는 메인 핸들(11)에 대해 열린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 핸들(50)과 메인 핸들(11)을 움켜쥐는 것에 의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린처 아암(30)이 메인 핸들(11)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클린처 아암(30)이 메인 핸들(11)에 대해 소정의 위치까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 메인 핸들(11)의 선단부(11a)로부터 테이프(60)를 인출하기 위해, 클린처 아암(30)의 선단부(30a)로 테이프(60)를 파지하는 파지 동작이 실행되는 동시에, 클린처 아암(30)이 메인 핸들(11)에 대해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더욱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되었을 때, 테이프(60)로 피결속물(S)을 결속하여 테이프(60)를 절단하는 결속 동작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즉, 파지 동작시에는, 핸들이 완전히 닫히는 위치까지 움켜쥐지 않고, 소정의 위치까지 클린처 아암(30)을 메인 핸들(11)에 대해 회동시킨다. 한편, 결속 동작시에는, 핸들이 완전히 닫히는 위치까지 움켜쥐는 조작을 하여, 클린처 아암(30)을 메인 핸들(11)에 대해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더욱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와 같이, 움켜쥐는 조작의 종점 위치에 따라 파지 동작과 결속 동작을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파지 동작을 할 때에는,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더욱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없도록 클린처 아암(30)의 이동이 규제되는 한편, 결속 동작을 할 때에는, 이 규제가 해제된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움켜쥐는 조작의 종점 위치를 의식하지 않아도, 끝까지 움켜쥐는 조작을 하면, 자동적으로 파지 동작과 결속 동작이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피결속물(S)을 결속할 때에는, 먼저 핸들을 움켜쥐고 클린처 아암(30)을 메인 핸들(11)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클린처 아암(30)의 선단부(30a)로 테이프(60)를 파지하는 파지 동작이 실행된다. 그 후, 핸들의 움켜쥠을 해제하여 클린처 아암(30)을 메인 핸들(11)에 대해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60)를 파지한 상태로 클린처 아암(30)의 선단부(30a)와 메인 핸들(11)의 선단부(11a)가 서로 이격되어, 클린처 아암(30)과 메인 핸들(11) 사이에 테이프(60)가 펼쳐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펼쳐진 테이프(60)의 외측으로부터 묘목이나 가지 등의 피결속물(S)을 집어 넣고, 다시 핸들을 움켜쥐고 클린처 아암(30)을 메인 핸들(11)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결속물(S)을 결속하는 테이프 루프의 양단이 스테이플(61)로 결착되고, 테이프(60)가 절단된다(결속 동작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첫번째의 움켜쥠 동작에서는 파지 동작이 실행되고, 두번째의 움켜쥠 동작에서는 결속 동작이 실행된다. 그리고, 이 파지 동작과 결속 동작을 교대로 실행하는 것에 의해, 피결속물(S)을 결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테이프 루프의 양단을 결착하는 결착 수단으로서 스테이플(61)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이나 용착에 의해 테이프 루프의 양단을 결착하도록 해도 좋다.
메인 핸들(11)은,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형성된 막대 모양의 부재이고, 길이 방향을 따라 테이프(60)나 스테이플(61)을 배치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 메인 핸들(11)에는, 스테이플 매거진(12)과, 푸셔 유닛(13)과, 테이프 가이드(16)와, 스테이플 드라이버(18)와, 테이프 매거진(20)이 장착되어 있다.
스테이플 매거진(12)은, 스테이플(61)을 수용하기 위한 길이가 긴 부재이다. 이 스테이플 매거진(12)은,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핸들(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내부에 스테이플(61)을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테이플 매거진(12)에 수용되는 스테이플(61)은,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복수의 스테이플(61)을 접착제로 접합한 것이 사용된다. 스테이플 매거진(12)에 수용된 스테이플(61)은, 후술하는 푸셔 유닛(13)에 의해 선단 방향으로 가압된다. 스테이플 매거진(12)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스테이플 드라이버(18)를 도입하기 위한 긴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스테이플 매거진(12)은, 후단측에 마련된 축을 중심으로 메인 핸들(11)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푸셔 유닛(13)은,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플 매거진(12) 내에 삽입/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재이다. 이 푸셔 유닛(13)은,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플 매거진(12) 내의 스테이플(61)을 전방으로 바이어싱하고 있다. 스테이플 매거진(12) 내에 스테이플(61)을 세팅할 때에는, 이 푸셔 유닛(13)을 내리고, 스테이플 매거진(12)의 상방으로부터 스테이플(61)을 삽입한다.
스테이플 드라이버(18)는,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플 매거진(12)의 선단 부근을 향하도록 메인 핸들(11)의 선단부(11a)에 고정된 플레이트이다. 이 스테이플 드라이버(18)는, 스테이플(61)을 1개만 타출시키도록 스테이플(61)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린처 아암(30)이 메인 핸들(11)에 대해 완전히 닫힌 상태까지 회동하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플 드라이버(18)가 스테이플 매거진(12) 내에 진입하여, 스테이플 매거진(12) 내의 선두 스테이플(61)을 타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클린처 아암(30)이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클린처 아암(30)이 스테이플 매거진(12)을 가압하여 스테이플 드라이버(18)의 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스테이플 매거진(12)이 요동하는 것에 의해, 스테이플 드라이버(18)가 스테이플 매거진(12)의 내부에 진입하여, 스테이플(61)을 타출하도록 되어 있다. 타출된 스테이플(61)은, 테이프(60)를 관통한 후에, 후술하는 클린처(33)에 클린치되어 테이프(60)를 껴안도록 양 발이 굴절되고, 이에 의해 겹쳐진 테이프(60)의 단부(60a)가 결착되도록 되어 있다.
테이프 매거진(20)은,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핸들(11)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테이프(60)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 테이프 매거진(20)은, 릴 형태로 권취된 테이프(60)를 수용 가능하고, 테이프(60)를 출납시키기 위해 개폐 가능한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이 테이프 매거진(20)에 수용된 테이프(60)는, 메인 핸들(11)을 따라, 메인 핸들(11)의 선단부(11a)까지 인출된다. 메인 핸들(11)의 선단부(11a)까지 인출된 테이프(60)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테이프 가이드(16)에 의해 단부(60a)가 유지된다.
테이프 가이드(16)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핸들(11)의 선단부(11a)에 배치되어 있고, 메인 핸들(11)에 마련된 테이프 가이드 요동축(19)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테이프 가이드(16)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에 테이프(60)를 인출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유도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 테이프 가이드(16)의 유도로는, 삽통한 테이프(60)가 이탈하지 않도록 테이프(60)의 양측부, 전면, 후면을 포함하는 4방향을 덮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유도로에 삽통한 테이프(60)는 선단으로부터 인출되어 클린처 아암(30)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 테이프(60)의 단부(60a)는, 후술하는 클린처 아암(30)의 테이프 파지 장치(35)에 의해 파지되어 필요량이 인출된다.
이 테이프 가이드(16)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축 구멍(16a)과, 슬릿(16b)과, 배면부(16c)와, 당접부(16d)와, 테이프 유지부(16e)와, 절단날 장착부(16f)를 구비한다.
요동축 구멍(16a)은, 테이프 가이드 요동축(19)을 관통시키기 위한 원형 구멍이다. 이 요동축 구멍(16a)은, 테이프 가이드(16)의 하방(클린처 아암(30)에서 보아 먼 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요동축 구멍(16a)이 테이프 가이드 요동축(19)에 피벗되는 것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16)는 클린처 아암(30)을 향하는 단부가 전방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테이프 가이드(16)는 바이어싱 부재에 의해 항상 후방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배면부(16c)는, 테이프(60)를 후방에서 지지하는 판상의 부위이다. 이 배면부(16c)의 양측에서는, 테이프 유지부(16e)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테이프 유지부(16e)는, 배면부(16c)와 협동하여 테이프(60)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하 2군데에 각각 한쌍의 테이프 유지부(16e)를 마련하고 있고, 4개의 테이프 유지부(16e)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테이프 유지부(16e)는 거의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하 각각 한쌍의 테이프 유지부(16e)의 선단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대향하는 테이프 유지부(16e)의 선단의 사이에, 슬릿(16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16b)은, 후술하는 파지 부재(37)를 유도로 내에 진입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당접부(16d)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부(16c)의 상단 에지에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파지 부재(37)의 경사면(37d)에 접촉하여, 이 경사면(37d)을 따라 슬라이딩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 당접부(16d)는, R모양으로 선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파지 부재(37)의 경사면(37d)의 양측의 에지에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37d)의 에지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당접부(16d)와 파지 부재(37)로 테이프(60)를 끼워 당겼을 때, 테이프(60)에 구멍이 뚫리거나 끊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절단날 장착부(16f)는, 피결속물(S)의 결속후에 테이프(60)를 절단하는 절단날(17)을 고정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 절단날 장착부(16f)에는,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60)의 유도로보다 후방에서, 테이프(60)의 유도로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도록, 절단날(17)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절단날(17)을 테이프 가이드(16)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16)가 요동했을 때, 절단날(17)이 테이프 가이드(16)에 연동하여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시에 있어서의 절단날(17)은, 날끝(17a)이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테이프(60)를 절단할 때에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끝(17a)이 상방을 향하도록 이동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절단날(17)은, 테이프(60)를 절단할 때, 날끝(17a)이 테이프(60)를 향하도록 노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테이프(60)가 테이프 가이드(16)에 연동하여 요동하도록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테이프 가이드(16)가 직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하고, 이 테이프 가이드(16)에 연동하여 절단날(17)이 직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절단날(17)이 이동하지 않고, 테이프 가이드(16)나 스테이플 매거진(12) 등의 절단날(17) 근방의 부재가 이동하여, 절단날(17)의 날끝(17a)이 테이프(60)를 향하도록 노출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한편, 상기한 테이프 가이드(16) 및 절단날(17)의 양측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핸들(11)의 일부인 측벽부(11b)에 의해 덮여 있고, 도 2 및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때 테이프 가이드(16) 및 절단날(17)이 노출하지 않게 되어 있다. 즉, 메인 핸들(11)은, 측면에서 볼때 절단날(17)의 날끝(17a)에 겹치게 배치된 측벽부(11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측벽부(11b)는, 절단날(17)의 상태에 관계 없이(절단날(17)이 이동한 전후 모두에 있어서), 측면에서 볼때 항상 절단날(17)의 날끝(17a)에 겹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메인 핸들(11)의 선단부(11a)에서 이물을 집었다고 해도, 절단날(17)이 이물에 찔리는 일이 없다. 한편, 이 측벽부(11b)의 후방은 경사부(11c)로 되어 있고, 메인 핸들(11)의 선단부(11a)에서 피결속물(S)을 끼운 경우에도, 피결속물(S)을 후방(메인 핸들(11) 및 클린처 아암(30)의 내측)으로 유도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핸들(11)의 양측에는, 롤러형 체결부(14)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메인 핸들(11)의 하면에는, 손가락 걸이부(1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롤러형 체결부(14)는, 후술하는 조작 핸들(50)의 링크부(52)를 슬라이딩 안내하기 위한 돌기이다. 손가락 걸이부(15)는, 메인 핸들(11)과 조작 핸들(50)을 움켜쥐었을 때, 움켜쥔 손가락을 걸기 위한 돌기이다.
클린처 아암(30)은,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행하게 접속된 한쌍의 판금 부재(30b)로 구성되어 있다. 이 클린처 아암(30)은, 메인 핸들(11)과의 사이에 C자 모양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선단부(30a)의 방향으로 곡선적으로 연장되는 아암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클린처 아암(30)은, 후단부 부근에 마련된 회전축(31)에 의해 메인 핸들(1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클린처 아암(30)에는, 클린처(33)와, 테이프 파지 장치(35)와, 파지 장치 커버(41)가 장착되어 있다.
클린처(33)는, 전술한 스테이플 드라이버(18)의 선단에 대향하도록, 클린처 아암(30)의 선단부(30a)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플 드라이버(18)에 의해 스테이플(61)이 타출되었을 때, 타출된 스테이플(61)의 양 발이 클린처(33)에 의해 클린치되어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되어 있다. 클린처(33)이 스테이플(61)의 양 발을 내측으로 절곡하는 것에 의해, 테이프(60)가 철되어 결착되도록 되어 있다.
테이프 파지 장치(35)는, 클린처 아암(30)의 선단부(30a)에 장착되어, 메인 핸들(11)의 선단부(11a)로부터 인출된 테이프(60)의 단부(60a)를 파지 가능한 장치이다. 이 테이프 파지 장치(35)는, 지지부(36)와, 파지 부재(37)와,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38)과, 록 부재(39)와,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40)을 구비한다.
지지부(36)는,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60)의 인출 방향을 따라 클린처 아암(30)에 고정되어 있고, 테이프(60)의 후면을 지지 가능한 판상의 받음부(36a)를 구비한다. 이 받음부(36a)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36b)는, 후술하는 파지 부재(37)의 접촉부(37c)에 체결되는 개소이고, 테이프(60)보다 폭이 좁고, 접촉부(37c)보다 폭이 넓은 홈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받음부(36a)의 양측에는, 이동 규제부(36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이동 규제부(36c)는, 테이프 가이드(16)를 당접시키는 것에 의해 클린처 아암(30)의 회동을 규제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파지 부재(37)는, 지지부(36)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테이프(60)를 캐치하기 위해 지지부(36)의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파지 부재(37)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축 구멍(37a)과, 클로부(37b)와, 접촉부(37c)와, 경사면(37d)과, 함몰부(37e)와, 둘레면(37f)과, 피체결부(37g)와, 회전 저지부(37i)를 구비한다.
회동축 구멍(37a)은, 파지 부재 회동축(42)을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고, 이 회동축 구멍(37a)에 파지 부재 회동축(42)을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파지 부재(37)는 클린처 아암(3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피벗되어 있다.
클로부(37b)는, 지지부(36)의 받음부(36a)와 협동하여 테이프(60)를 캐치하기 위한 돌출부이다. 이 클로부(37b)의 선단에는, 상술한 요부(36b)에 진입할 수 있는 접촉부(37c)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파지 부재(37)가 작동했을 때, 지지부(36) 및 파지 부재(37)의 서로 체결되는 요철 형상(요부(36b) 및 접촉부(37c))에 의해, 테이프(60)를 강고하게 파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이 요철 형상으로 테이프(60)를 파지하면, 테이프(60)의 중간부가 요부(36b)의 홈에 밀어넣어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절곡된 테이프(60)의 북원력이 요부(36b)의 에지 부분에 작용하여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테이프(60)가 쉽게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한 클로부(37b)의, 메인 핸들(11)측의 면은, 경사면(37d)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경사면(37d)은, 테이프 가이드(16)의 당접부(16d)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테이프 가이드(16)의 당접부(16d)를 접촉시켜 유도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경사면(37d)의 선단 반대측에는, 함몰부(37e)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함몰부(37e)는, 경사면(37d)을 따라 슬라이딩한 테이프 가이드(16)가 그 이상 슬라이딩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경사면(37d)에 대해 각도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파지 부재(37)의, 메인 핸들(11) 반대측의 둘레면(37f)에는, 피체결부(37g) 및 회전 저지부(37i)가 마련되어 있다. 이 피체결부(37g) 및 회전 저지부(37i)는, 파지 부재(37)의 둘레면(37f)에 돌출 형성된 돌기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록 부재(39)를 체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록 부재(39)는, 이 파지 부재(37)의 둘레면(37f)을 따라 이동하여, 상황에 따라 피체결부(37g) 또는 회전 저지부(37i)에 체결 가능해진다.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38)은, 파지 부재(37)를 지지부(36)의 방향으로 바이어싱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38)은,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다. 이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38)이 파지 부재(37)를 바이어싱하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록 부재(39)에 의한 록이 해제되었을 때에 파지 부재(37)가 작동하여, 지지부(36)와 파지 부재(37)로 테이프(60)를 양측에서 끼워 파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록 부재(39)는, 파지 부재(37)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38)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파지 부재(37)를 대기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록 부재(39)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축 구멍(39a)과, 체결부(39b)와, 피가압부(39c)를 구비한다.
회동축 구멍(39a)은, 록 부재 회동축(43)을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이 회동축 구멍(39a)에 록 부재 회동축(43)을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록 부재(39)는 클린처 아암(3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피벗되어 있다.
체결부(39b)는, 파지 부재(37)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부위이고, 파지 부재(37)에 체결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부(39b)는,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 부재(37)의 둘레면(37f)에 대향 배치되어 있고, 둘레면(37f)에 형성된 피체결부(37g) 및 회전 저지부(37i)에 체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체결부(39b)가 피체결부(37g)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파지 장치(35)가 테이프(60)를 파지하지 않고 열린 대기 상태를 취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록 부재(39)가 회동하여 체결부(39b)가 피체결부(37g)로부터 이탈하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파지 장치(35)가 테이프(60)를 파지 가능하게 닫힌 파지 상태를 취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 파지 상태에 있어서는, 체결부(39b)가 회전 저지부(37i)에 체결 가능하게 향하고 있고, 파지 부재(37)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 저지부(37i)가 체결부(39b)를 향하는 것에 의해, 록 부재(39)가 다시 회동할 때까지는, 테이프 파지 장치(35)가 파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피가압부(39c)는, 록 부재(39)를 요동시킬 때에 밀어 올려지는 부위이고,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가이드(16)의 선단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하는 것에 의해, 클린처 아암(30)을 메인 핸들(11)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 테이프 가이드(16)가 후술하는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40)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록 부재(39)를 가압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40)은, 록 부재(39)를 파지 부재(37)에 체결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40)은,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압축 스프링이다. 이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40)이 록 부재(39)를 바이어싱하는 것에 의해, 록 부재(39)의 체결부(39b)는, 항상 피체결부(37g) 또는 회전 저지부(37i)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파지 장치 커버(41)는, 상기한 테이프 파지 장치(35)를 덮는 커버이고,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린처 아암(30)에 2장의 판금 부재(30b)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지 장치 커버(41)는, 좌우로 분할 가능한 분할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 테이프 파지 장치(35)를 수용하고 있다. 이 파지 장치 커버(41)는, 하방이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의 안쪽에 테이프 파지 장치(35)의 받음부(36a)나 클로부(37b)가 배치되어 있다. 이 파지 장치 커버(41)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파지 장치(35)의 전방을 덮는 전방 돌출부(41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방 돌출부(41a)가 판금 부재(30b)의 선단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작물의 사이에 클린처 아암(30)을 삽입할 때에는, 곡선적으로 형성된 전방 돌출부(41a)만이 작물 등에 닿고, 테이프 파지 장치(35)가 작물 등에 닿지 않게 되어 있다.
조작 핸들(50)은,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예용 결속기(10)의 본체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51)와, 베이스 부재(51)에 탈착 가능한 커버재(55)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51)는, 메인 핸들(11)이나 클린처 아암(30)에 직접 작용하는 금속제의 부품이다. 이 베이스 부재(51)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 지지점(51a)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클린처 아암(30)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동 지지점(51a)에서 보아 한쪽에 메인 핸들(11)에 체결되는 링크부(52)를 구비하는 한편, 회동 지지점(51a)에서 보아 다른 한쪽에 핸들 지지부(53)를 구비한다. 한편, 핸들 지지부(53)는, 커버재(55)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레버 조작부(55c)로서 기능하는 부위이다.
링크부(52)는, 메인 핸들(11)에 체결되어 지렛대의 작용점이 되는 부분이다. 이 링크부(52)의 선단에는 훅(52c)이 형성되고, 이 훅(52c)이 메인 핸들(11)의 롤러형 체결부(14)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린처 아암(30)이 메인 핸들(1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 핸들(50)과 메인 핸들(11)을 움켜쥐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훅(52c)이 롤러형 체결부(14)로부터 이탈하여, 링크부(52)의 전면에 형성된 슬라이딩면(52a)의 위를 롤러형 체결부(14)가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면(52a)이 롤러형 체결부(14)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에 의해, 클린처 아암(30)이 메인 핸들(11)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롤러형 체결부(14)를 체결시키는 슬라이딩면(52a)은, 스테이플(61)을 타출할 때의 조작 하중을 저감하기 위해 경사가 단계적으로 변화되어 있다. 즉, 파지 동작을 할 때의 슬라이딩면(52a)의 경사보다, 결속 동작을 할 때의 경사를 크게 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조작 하중이어도 결속 동작을 할 때 더 큰 힘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큰 힘을 필요로 하는 결속 동작이어도, 가벼운 조작 하중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면(52a)의 경사가 변화하기 때문에, 슬라이딩면(52a)의 경사가 변화되는 부분에는 돌출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재(55)는,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51)가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 부재이고, 조작 핸들(50)의 외부에 접촉하거나 조작되거나 하는 부분은 모두 커버재(55)로 덮여 있다. 이 커버재(55)는, 훅 커버부(55a)와, 레버 조작부(55c)를 구비한다.
훅 커버부(55a)는, 상기한 링크부(52)나, 메인 핸들(11)과 클린처 아암(30)과의 교차부(X)(도 4 및 도 5 참조)를 덮는 부위이다. 이 훅 커버부(55a)의 측면에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 조작부(55c)와 메인 핸들(11)을 움켜쥔 손가락을 따르는 곡선 돌기(55b)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곡선 돌기(55b)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움켜쥐기 쉽고, 기계를 상향으로 유지했을 때에도 가벼운 움켜쥠으로 유지할 수 있는 조작 핸들(50)이 실현되어 있다.
레버 조작부(55c)는, 핸들 지지부(53)를 덮는 부위이고, 조작 핸들(50)을 조작할 때 작업자가 움켜쥐는 부위이다. 이 레버 조작부(55c)가 메인 핸들(1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움켜쥐는 조작이 되면, 베이스 부재(51)가 회동 지지점(51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링크부(52)가 메인 핸들(11)에 작용하는 것에 의해, 메인 핸들(11)과 클린처 아암(30)이 서로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다음으로, 이 원예용 결속기(10)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원예용 결속기(10)로 결속 작업을 할 때는, 먼저,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부재(39)와 파지 부재(37)를 체결시켜, 파지 부재(37)를 대기 상태로 해놓는다.
이 상태에서 핸들을 움켜쥐고 클린처 아암(30)을 메인 핸들(11)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가이드(16)의 테이프 유지부(16e)가 록 부재(39)의 피가압부(39c)에 닿는다.
더욱 클린처 아암(30)을 회동시키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부재(39)가 밀어 올려져 회동한다. 록 부재(39)가 회동하는 것에 의해, 록 부재(39)의 체결부(39b)가 파지 부재(37)의 피체결부(37g)로부터 이탈하여, 파지 부재(37)가 회동한다. 이에 의해, 파지 부재(37)의 클로부(37b)가 테이프 가이드(16)의 배면부(16c)에 가압되고, 테이프 가이드(16)로부터 인출된 테이프(60)의 단부(60a)가 테이프 가이드(16)의 유도로 내에서 파지된다.
이 때, 더욱 클린처 아암(30)을 회동시키고자 하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가이드(16)의 테이프 유지부(16e)가 지지부(36)의 이동 규제부(36c)에 닿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테이프 가이드(16)가, 클린처 아암(30)의 회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클린처 아암(30)의 회동이 규제되는 것에 의해, 클린처 아암(30)은 완전히 닫힌 상태(결속 동작을 실행하는 닫힌 상태)까지 회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한편, 테이프 가이드(16)가 클린처 아암(30)의 회동을 규제할지 여부는, 테이프 파지 장치(35)의 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즉, 테이프 파지 장치(35)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한 바와 같이 클린처 아암(30)의 회동을 규제하지만, 테이프 파지 장치(35)가 파지 상태에 있을 때는, 테이프 가이드(16)가 테이프 파지 장치(35)에 작용하는 것에 의해(상세한 것은 후술), 클린처 아암(30)의 회동을 규제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도 21 참조).
이와 같이 첫번째의 움켜쥠 동작을 하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 부재(37)가 테이프 가이드(16)의 유도로 내에 진입하여, 유도로 내에서 테이프 가이드(16)의 배면부(16c)와 협동하여 테이프(60)를 파지한다. 이 상태에서 핸들의 움켜쥠이 해제되어 클린처 아암(30)이 메인 핸들(11)에 대해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 부재(37)가 테이프(60)를 파지한 상태로 유도로 내를 슬라이딩하여, 유도로를 빠져나간 지점에서 지지부(36)와 협동하여 테이프(60)를 파지한다.
더욱 클린처 아암(30)을 메인 핸들(11)에 대해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60)를 파지한 상태로 클린처 아암(30)의 선단부(30a)와 메인 핸들(11)의 선단부(11a)가 서로 이격되어, 클린처 아암(30)과 메인 핸들(11) 사이에 테이프(60)가 펼쳐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펼쳐진 테이프(60)의 외측에서 묘목이나 가지 등의 피결속물(S)을 집어 넣고, 클린처 아암(30)을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결속물(S)을 결속하는 테이프 루프가 형성된다.
도 20의 상태에서 더욱 핸들을 움켜쥐고 클린처 아암(30)을 메인 핸들(11)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테이프 가이드(16)의 당접부(16d)가 파지 부재(37)의 경사면(37d)에 닿아, 당접부(16d)가 파지 부재(37)의 경사면(37d)에 가이드되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테이프 가이드(16)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테이프 유지부(16e)가 지지부(36)의 이동 규제부(36c)에 닿지 않는 위치로 테이프 가이드(16)가 대피한다. 테이프 가이드(16)가 대피하는 것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16)에 의한 클린처 아암(30)의 회동 규제가 해제되고, 클린처 아암(30)을 완전히 닫힌 상태(결속 동작을 실행하는 닫힌 상태)까지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이와 같이 테이프 가이드(16)가 이동하기 시작한 단계에서는, 록 부재(39)의 체결부(39b)가 파지 부재(37)의 회전 저지부(37i)를 향하고 있어, 파지 부재(37)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접부(16d)가 경사면(37d)의 끝에 있는 함몰부(37e)에 체결될 때까지 테이프 가이드(16)가 전방으로 요동한다. 이와 같이 당접부(16d)가 함몰부(37e)에 체결되면, 테이프 가이드(16)와 파지 부재(37)로 협동하여 테이프(60)를 유지한 상태가 된다. 한편, 당접부(16d)가 함몰부(37e)에 체결되기 직전에, 테이프 가이드(16)의 테이프 유지부(16e)가 록 부재(39)의 피가압부(39c)를 밀어 올려, 록 부재(39)를 요동시킨다. 이에 의해, 파지 부재(37)의 이동 규제가 해제된다.
이 도 21의 상태에서 더욱 핸들을 움켜쥐고 클린처 아암(30)을 메인 핸들(11)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가이드(16)와 파지 부재(37)가 함께 전방으로 넘어진다. 이 때, 테이프 가이드(16)는 테이프(60)를 유지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테이프(60)에 장력이 부여된다. 테이프 가이드(16)와 함께 파지 부재(37)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테이프 파지 장치(35)가 테이프(60)를 풀어주지만, 풀린 테이프(60)는, 장력이 부여된 테이프(60)에 의해 아래로부터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클린처 아암(30)의 선단부(30a)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그리고, 테이프 가이드(16)가 요동하는 것에 의해, 테이프 가이드(16)에 고정된 절단날(17)이 테이프(6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팽팽해진 테이프(60)를 절단한다. 동시에, 절단날(17)보다 후방에서 스테이플 드라이버(18)에 의해 스테이플(61)이 타입된다.
한편, 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린처 아암(30)을 메인 핸들(11)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테이프 가이드(16)의 테이프 유지부(16e)가, 록 부재(39)의 피가압부(39c)로부터 이탈한다. 이 때문에, 록 부재(39)를 밀어 올리고 있던 힘이 없어지기 때문에, 록 부재(39)는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40)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이동하여, 파지 부재(37)에 체결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파지 부재(37)는, 테이프 가이드(16)와 함께 이동하는 것에 의해, 대기 상태보다 전방까지 이동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핸들의 움켜쥠을 해제하여 클린처 아암(30)을 메인 핸들(11)에 대해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 부재(37)가 록 부재(39)에 체결되어 테이프 파지 장치(35)가 대기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원예용 결속기(10)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고, 1회의 결속 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록 부재(39)는, 클린처 아암(3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파지 부재(37), 록 부재(39)가 회동식이기 때문에, 가이드 기구를 단순하게 할 수 있어, 주위에 흙 등의 이물이 부착되어도 저항이 쉽게 증대하지 않는다. 또한, 저항이 쉽게 증대하지 않기 때문에,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38)이나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40)의 바이어싱력을 작게 해도 테이프 파지 장치(35)를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물에 의한 저항의 증대를 억제하는 동시에,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들의 조작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록 부재(39)는, 파지 부재(37)를 테이프 파지 위치에 유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파지 부재(37)를 지지부(36)측으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력의 크기에 관계 없이, 파지 부재(37)를 확실하게 파지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38)의 바이어싱력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들의 조작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록 부재(39)는, 파지 부재(37)의 둘레면(37f)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파지 부재(37)와 록 부재(39)가 최소한의 접촉 개소만으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파지 부재(37)와 록 부재(39) 사이에 흙 등이 들어가서 저항이 증가하는 문제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물에 의한 저항의 증대를 억제하는 동시에,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들의 조작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클린처 아암(30)을 메인 핸들(11)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 테이프 가이드(16)가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40)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록 부재(39)를 푸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록을 해제하기 위해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지 않아도, 클린처 아암(30)을 메인 핸들(11)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의 동작에 연동하여, 록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가이드(16)로 록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조작 도중에 록이 해제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닫힘 동작이 이루어진 적정한 타이밍으로 록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테이프 파지 장치(35)가 테이프(60)를 끼워 파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종래 사용되고 있는 바와 같은, 테이프(60)에 클로를 찔러 테이프(60)를 유지하는 기구여도 본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테이프 가이드(16)가 요동하는 것에 의해 록 부재(39)를 푸시하지 않는 위치로 대피 가능하게 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테이프 가이드(16)가 전후로 직선으로 움직이는 구조여도 좋다.
(1)에 기재된 발명은, 선단부로부터 테이프를 인출 가능한 메인 핸들과, 상기 메인 핸들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린처 아암과, 상기 클린처 아암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핸들의 선단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테이프의 단부를 파지 가능한 테이프 파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파지 장치는, 상기 테이프의 인출 방향을 따라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대향하도록 마련된 파지 부재와, 상기 파지 부재를 상기 지지부의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과, 상기 파지 부재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상기 파지 부재를 대기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록 부재와, 상기 록 부재를 상기 파지 부재에 체결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록 부재는, 상기 클린처 아암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록 부재는, 상기 파지 부재를 테이프 파지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록 부재는, 상기 파지 부재의 둘레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메인 핸들에 상기 록 부재와 체결되는 록 해제부를 마련하고, 상기 록 해제부는, 상기 메인 핸들에 대한 상기 클린처 아암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록 부재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메인 핸들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를 인출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테이프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클린처 아암을 상기 메인 핸들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테이프 가이드가 상기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상기 록 부재를 푸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파지 부재와 상기 록 부재는, 체결 개소를 제외하고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록 부재는, 상기 록 부재가 상기 파지 부재에 체결하는 때에,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록 부재는, 상기 록 부재가 상기 파지 부재에 체결하는 때에, 상기 파지 부재와 평면 접촉하지 않고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록 부재는, 상기 파지 부재가 상기 록 부재와 상기 체결 개소에서만 접촉하도록,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원예용 결속기
11: 메인 핸들
11a: 선단부
11b: 측벽부
11c: 경사부
12: 스테이플 매거진
13: 푸셔 유닛
14: 롤러형 체결부
15: 손가락 걸이부
16: 테이프 가이드(록 해제부)
16a: 요동축 구멍
16b: 슬릿
16c: 배면부
16d: 당접부
16e: 테이프 유지부
16f: 절단날 장착부
17: 절단날
17a: 날끝
18: 스테이플 드라이버
19: 테이프 가이드 요동축
20: 테이프 매거진
25: 인장 스프링
30: 클린처 아암
30a: 선단부
30b: 판금 부재
31: 회전축
32: 아암부
33: 클린처
35: 테이프 파지 장치
36: 지지부
36a: 받음부
36b: 요부
36c: 이동 규제부
36e: 돌출부
37: 파지 부재
37a: 회동축 구멍
37b: 클로부
37c: 접촉부
37d: 경사면
37e: 함몰부
37f: 둘레면
37g: 피체결부
37i: 회전 저지부
38: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
39: 록 부재
39a: 회동축 구멍
39b: 체결부
39c: 피가압부
40: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
41: 파지 장치 커버
41a: 전방 돌출부
42: 파지 부재 회동축
43: 록 부재 회동축
50: 조작 핸들
51: 베이스 부재
51a: 회동 지지점
52: 링크부
52a: 슬라이딩면
52b: 돌출부
52c: 훅
53: 핸들 지지부
55: 커버재
55a: 훅 커버부
55b: 곡선 돌기
55c: 레버 조작부
60: 테이프
60a: 단부
61: 스테이플
S: 피결속물
X: 교차부

Claims (9)

  1. 선단부로부터 테이프를 인출 가능한 메인 핸들과,
    상기 메인 핸들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린처 아암과,
    상기 클린처 아암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핸들의 선단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테이프의 단부를 파지 가능한 테이프 파지 장치와,
    상기 메인 핸들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를 인출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테이프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파지 장치는, 상기 테이프의 인출 방향을 따라 마련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대향하도록 마련된 파지 부재와, 상기 파지 부재를 상기 지지부의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과, 상기 파지 부재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파지 부재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상기 파지 부재를 대기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록 부재와, 상기 록 부재를 상기 파지 부재에 체결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록 부재는, 상기 클린처 아암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파지 부재와의 상기 체결이 풀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테이프 가이드는, 상기 클린처 아암을 상기 메인 핸들에 대해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 상기 록 부재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상기 록 부재를 푸시하는, 원예용 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는, 상기 파지 부재를 테이프 파지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결속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는, 상기 파지 부재의 둘레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결속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핸들에 상기 록 부재와 체결되는 록 해제부를 마련하고,
    상기 록 해제부는, 상기 메인 핸들에 대한 상기 클린처 아암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록 부재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결속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부재와 상기 록 부재는, 체결 개소를 제외하고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결속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는, 상기 록 부재가 상기 파지 부재에 체결하는 때에,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결속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는, 상기 록 부재가 상기 파지 부재에 체결하는 때에, 상기 파지 부재와 평면 접촉하지 않고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결속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록 부재는, 상기 파지 부재가 상기 록 부재와 상기 체결 개소에서만 접촉하도록,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결속기.
  9. 삭제
KR1020170075685A 2016-06-15 2017-06-15 원예용 결속기 KR102299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19281 2016-06-15
JP2016119281A JP6677091B2 (ja) 2016-06-15 2016-06-15 園芸用結束機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614A KR20170141614A (ko) 2017-12-26
KR102299024B1 true KR102299024B1 (ko) 2021-09-08
KR102299024B9 KR102299024B9 (ko) 2022-04-14

Family

ID=5906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685A KR102299024B1 (ko) 2016-06-15 2017-06-15 원예용 결속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448581B2 (ko)
EP (2) EP3662745A1 (ko)
JP (1) JP6677091B2 (ko)
KR (1) KR102299024B1 (ko)
CN (1) CN107517773B (ko)
ES (1) ES2776729T3 (ko)
PL (1) PL3257359T3 (ko)
PT (1) PT3257359T (ko)
TW (2) TWI7059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72313S (ko) * 2016-06-15 2017-03-27
JP1660478S (ko) * 2019-08-23 2020-06-01
JP1660479S (ko) * 2019-08-23 2020-06-01
JP7324400B2 (ja) * 2019-08-23 2023-08-10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422981B2 (ja) * 2019-08-23 2024-01-29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TWI721919B (zh) * 2020-07-03 2021-03-11 金翔發有限公司 捆束機把手改良結構
CN114671062B (zh) * 2020-12-24 2024-03-29 华伟实业股份有限公司 束带束紧工具
RU2771379C1 (ru) * 2021-03-22 2022-05-0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ый агроинженерный центр ВИМ» (ФГБНУ ФНАЦ ВИМ) Завязывающий механизм триммера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пучков убираемых культур с селекционных деляно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7886A1 (ja) 2004-12-20 2006-06-29 Aglis Co., Ltd. 園芸用結束装置及び結束方法
KR100598212B1 (ko) * 2001-07-11 2006-07-07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원예용 결속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8833A (en) * 1964-12-04 1969-04-15 Nichiro Kogyo Kk Thermo-plastic tape or band bonding machine
AU732515B2 (en) * 1999-07-20 2001-04-26 Nam-Sun Jho A binding machine for gardening
JP3908174B2 (ja) 2003-01-24 2007-04-25 南善 趙 園芸用結束機
WO2007013158A1 (ja) 2005-07-28 2007-02-01 Aglis Co., Ltd. 園芸用結束機のテープ引出機構
JP2008072928A (ja) * 2006-09-20 2008-04-03 Nagashima Junichi 結束機
KR101027960B1 (ko) * 2010-09-28 2011-04-13 서해영 원예용 결속기
EP2926649A4 (en) * 2012-11-29 2016-06-22 Nichiban Kk FOCUSING DEVICE
US9736997B2 (en) * 2014-01-02 2017-08-22 Nam Sun CHO Binding machine for agricul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212B1 (ko) * 2001-07-11 2006-07-07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원예용 결속기
WO2006067886A1 (ja) 2004-12-20 2006-06-29 Aglis Co., Ltd. 園芸用結束装置及び結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57359A1 (en) 2017-12-20
US10448581B2 (en) 2019-10-22
JP2017222398A (ja) 2017-12-21
PL3257359T3 (pl) 2020-07-27
TW201811621A (zh) 2018-04-01
EP3662745A1 (en) 2020-06-10
US20170359971A1 (en) 2017-12-21
CN107517773A (zh) 2017-12-29
KR20170141614A (ko) 2017-12-26
TWI705920B (zh) 2020-10-01
JP6677091B2 (ja) 2020-04-08
US20190307081A1 (en) 2019-10-10
EP3257359B1 (en) 2020-02-26
CN107517773B (zh) 2021-07-02
KR102299024B9 (ko) 2022-04-14
PT3257359T (pt) 2020-04-15
TWI705919B (zh) 2020-10-01
TW201946840A (zh) 2019-12-16
ES2776729T3 (es)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024B1 (ko) 원예용 결속기
KR102281534B1 (ko) 원예용 결속기
KR102366358B1 (ko) 원예용 결속기
KR102357532B1 (ko) 원예용 결속기
KR102365899B1 (ko) 원예용 결속기
JP2017222397A5 (ko)
JP6702006B2 (ja) 園芸用結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