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848B1 -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848B1
KR102298848B1 KR1020210015467A KR20210015467A KR102298848B1 KR 102298848 B1 KR102298848 B1 KR 102298848B1 KR 1020210015467 A KR1020210015467 A KR 1020210015467A KR 20210015467 A KR20210015467 A KR 20210015467A KR 102298848 B1 KR102298848 B1 KR 102298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nformation
digital substation
receiver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심복
Original Assignee
육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심복 filed Critical 육심복
Priority to KR1020210015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7Details of data content structure of message packets; data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은,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수신한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변전소의 화재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과정; 화재 발생이 식별되면, 상기 화재 정보를 발생시킨 상기 감지기 또는 상기 발신기의 위치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화재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화재 정보를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 및 상기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의 형식으로 변환된 정보를 상기 디지털변전소의 상위 운영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장치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re receiver interlocking with digital substation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화재발신기와 IEC 61850 기반의 디지털변전소 시스템을 연계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은 어떤 원인에 의해 발생한 화재를 초기에 열, 연기, 불꽃 등의 연소생성물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건물내의 사람들에게 발화장소를 알려주는 설비들을 총칭할 수 있다.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은 직접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이하, 감지기),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 장소 등에 대한 정보를 발신하는 화재발신기(이하 발신기), 화재발신기 또는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 장소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화재수신기(이하 수신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은 소방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본 규칙)의 적용을 받는데, 본 규칙에서 수신기는 크게 P형 수신기과 R형 수신기로 구분되고 있다. P형 수신기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는 화재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 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 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P형 수신기는 감지기, 발신기 및 경종 등을 실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이용하며, 통상 소규모의 건물에 많이 사용되며, 1급과 2급으로 구분되나, 2급은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4층 이상의 건물에는 반드시 1급이 설치되어야 한다.
R형 수신기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고유 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 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R형 수신기는 통상 대규모 건물에 사용되며,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선로 수가 적고 선로 길이를 확장할 수 있어 추가 설치가 용이하며, 증설 또는 이설 용이하며, 화재 발생지구별 표시가 가능하며, 신호 전달이 정확하다. R형 수신기는 감지기, 발신기와 수신기의 사이에 중계기를 접속하여 감지기나 발신기에서 발하는 신호를 고유의 신호로서 수신하는 방식을 이용하며, 일반적으로 회선수가 많거나 한 구내의 다수 동 건물을 관리하고자 할 때 또는 회선수의 증설계획이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수신기 관련하여, 종래 한국등록특허 제10-0750513호(2007년 08월 20일,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는 감지기와 발신기로부터 화재신호 또는 그 외 설비 작동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하여, 화재발생이나 소화설비 등의 작동을 방화대상물의 관계자에게 통보하는 기능을 개시하고 있으나, 화재발생 또는 그 밖의 방재 이벤트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기록하는 기능이 없어, 화재발생 또는 그 밖의 이벤트 발생 이력 조회가 불가능한 한계를 갖는다. R형 수신기 중 일부는 발신기로부터 전달 받은 화재 신호 등의 화재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나, P형 수신기에서 R형 수신기로 교체하는 것은 건물의 배선 등의 사정 또는 교체 비용 또는 보다 비싼 R형 수신기의 가격 등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즉, 이미 건축이 완료된 건물들 특히, 디지털변전소에 이미 설치된 P형 수신기를 R형 수신기로 교체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또한, P형 수신기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변전소를 원격지에서 운영 관리하는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은 IEC 61850 통신 기반으로 동작하는데, 종래의 P형 수신기는 IEC 61850 통신 기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어, IEC 61850 통신을 기반으로 하며, 화재 정보 또는 그 밖의 이벤트 발생 기록이 저장되어 그 이력을 조회할 수 있는 수신기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50513호(2007년 08월 20일,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지털변전소 및 디지털변전소의 상위 운영시스템을 연계하기 위해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의 형태로 화재 정보를 변환할 수 있으며, 화재 정보에 대한 이력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은,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수신한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변전소의 화재 발생 여부를 식별하는 과정; 화재 발생이 식별되면, 상기 화재 정보를 발생시킨 상기 감지기 또는 상기 발신기의 위치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화재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화재 정보를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 및 상기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의 형식으로 변환된 정보를 상기 디지털변전소의 상위 운영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화재수신기는 P형 화재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저장된 화재 정보를 DNP 통신 프로토콜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 및 상기 DNP 통신 프로토콜의 형식으로 변환된 정보를 상기 디지털변전소의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화재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수신한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변전소의 화재 발생 여부를 식별하고, 화재 발생이 식별되면, 상기 화재 정보를 발생시킨 상기 감지기 또는 상기 발신기의 위치를 식별하며, 상기 화재 정보를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의 형식으로 변환하는 제어부; 상기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의 형식으로 변환된 정보를 상기 디지털변전소의 상위 운영장치로 전송하는 출력부; 및 상기 화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화재수신기는 P형 화재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화재 정보를 DNP 통신 프로토콜의 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DNP 통신 프로토콜의 형식으로 변환된 정보를 상기 디지털변전소의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장치는 IEC 61850 통신 기반의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과 직접 연계 가능한 IEC 61850 통신 기반의 P형 화재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어, 디지털변전소 건설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장치는 디지털변전소에서 사용되는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기 저장할 수 있고,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화재 정보 또는 방재 정보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어, 디지털변전소 및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장치는 디지털변전소 및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 간을 연계하여, 디지털변전소 내의 타 전력 설비와 화재 설비의 동작 사항을 수신기의 관리자 및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의 관리자에 의해 통합적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원격지에 위치하더라도 신속한 화재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고, 예측할 수 없는 정전 및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장치는 소방 설비 관련 지식이 없는 수신기의 관리자에게 별도 교육 없더라도 용이하게 종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부를 포함하며, 수신기의 관리자가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의 이상 발생 때에도 독자적으로 용이하게 소방 설비를 감시, 제어 및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변전소는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수요자에게 보내는 과정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성질을 바꾸어 주는 시설을 지칭할 수 있으며, 변전소 내의 설비들은 상호 간에 보호ㆍ제어ㆍ감시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동작할 수 있다. 종래의 변전소는 이러한 신호를 구리선에 의한 전기신호 전송을 통해 운영했지만, 디지털변전소는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변전소 내의 설비들은 IEC 61850 통신을 표준 통신 방식으로 이용하여, 제작사가 상이한 경우라도 상호 간의 통신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장치는, 디지털변전소 내 별도의 방재 지능형 전자장치(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IED)의 설치 없이, IEC 61850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원격지에서 디지털변전소를 운영ㆍ관리하는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과, 직접, 디지털변전소 및 디지털변전소에 설치된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을 연계할 수 있다. 디지털변전소 내 별도의 방재 지능형 전자장치(IED)가 구비되더라도, 디지털변전소와 수용접점의 용량이 크지 않아 디지털변전소를 원격지에서 운영 관리하는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에서 확인 가능한 디지털변전소 내 소화설비 작동 이벤트 사항은 제한적일 수 있고, 같은 구역의 이벤트가 통합되어 세부 사항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장치는 IEC 61850 통신 기반의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과 직접 연계 가능한 IEC 61850 통신 기반의 P형 화재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어, 디지털변전소 건설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은 도 2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기에, 도 2를 도 1과 함께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는 수신기(210)에 포함되어, 디지털변전소(220)와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230) 사이에서 화재에 대한 정보 또는 방재에 대한 정보 자체 또는 화재에 대한 정보 또는 방재에 대한 정보를 가공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는 수신기(210)와 구별되는 별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210)는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이하,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를 수신기(210)로 지칭한다.
수신기(210)는 디지털변전소(220)의 화재 발생 여부를 계속적으로 또는 일정 주기마다 모니터링할 수 있다(S110). 수신기(210)는 디지털변전소(2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기(221)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신기(222)로부터 화재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기(221)가 설치된 위치, 감지기(221)가 동작하는 시간, 감지기(221)의 감지 온도, 감자기의 종류, 일정 농도 이상의 연기가 일정 시간(공칭축적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221)는 온도 감지기, 연기 감지기, 염을 감지하는 불꽃 감지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감지기는 기 설정된 온도에 따라 해당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동작하는 정온식 온도 감지기 또는 기 설정된 온도 차이에 도달하면 동작하는 차동식 온도 감지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차동식 감지기는 감지 센서의 동작 방식에 따라 공기식, 열전대식, 열반도체식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감지기(221)는 동작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온식 감지기는 감지 센서의 동작 방식에 따라 바이메탈식, 열반도체식(서미스터식)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감지기(221)는 동작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기 감지기는 이온화식 감지기, 광전식 감지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감지기(221)는 동작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신기(210)가 화재 발생을 식별하면, 화재 정보를 발생시킨 감지기 또는 발신기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S120). 수신기(210)는 화재 정보를 발생시킨 적어도 하나의 감지기(221)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신기(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신기(222)는 화재 정보 전송과 수신기(210) 간의 상호 통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T형 발신기, 화재 정보 전송과 수신기(210) 간의 상호 통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P형 발신기, M형 수신기에 대응하는 M형 발신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특히, P형 발신기는 수신기와 전화연락장치의 유무에 따라 1급 또는 2급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발신기(222)는 상기 구분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재 정보를 발생시킨 적어도 하나의 감지기(221)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신기(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가 식별되면, 수신기(210)는 경보 장치를 동작시켜, 관리자로 하여금 화재 발생 사정을 알리고, 디지털변전소(220)에 포함되는 화재 설비를 동작시킬 수 있다.
화재설비는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추가적인 피해를 막는 방재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210)는 IEC 61850 통신을 위한 전처리를 수행하여,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230)로 화재 발생 사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화재 발생 사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30). 상위운영시스템(230)는 디지털변전소(220) 또는 수신기(210)에서 생성한 정보를 가공하고 직접 처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는 수신기(310)와 구별되는 별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310)는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이하,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를 수신기(310)로 지칭한다.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가 수신기(310)와 구별되는 별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일 경우, 디지털변전소(320)의 외부 변형 없이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310)는 디지털변전소(320) 또는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330)으로부터 화재 정보 또는 방재 정보를 입력 받거나, 수신기(310) 자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부(311), 화재 정보 또는 방재 정보를 특정 통신 프로토콜(protocol)로 변경하거나, 화재 정보 또는 방재 정보를 저장부(314)로 하여금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부(312), 화재 정보 또는 방재 정보에 대한 알림 또는 화재 정보 또는 방재 정보의 분석 정보를 디스플레이 또는 음향 등을 통해 출력하는 출력부(313) 및 화재 정보 또는 방재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저장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311)는 디지털변전소(320)에 설치되는 감지기(321) 또는 발신기(322) 각각과의 유선 통신을 통해 화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311)는 감지기(321) 또는 발신기(322)로부터 수신한 화재 정보를 제어부(312)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312)는 입력부(311)로부터 수신한 화재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 처리를 통해 화재에 대한 분석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2)는, 화재 정보가 중계기에 의해 발생되었는지, 또는 발신기에 의해 발생되었는지, 또는 감지기기에 의해 발생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312)는, 화재 정보가 발생된 중계기, 발신기 또는 감지기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312)는 중계기, 발신기 또는 감지기가 동작하는 시간, 중계기, 발신기 또는 감지기의 감지 온도, 감자기의 종류 또는 일정 농도 이상의 연기가 일정 시간(공칭축적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석 정보로서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312)에 의해 산출된 분석 정보는 출력부(313)에 포함되는 DNP 통신 출력부 또는 IEC 61850 통신 출력부에 의해 DNP 통신 프로토콜 또는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 각각으로 변환될 수 있다. 출력부(313)는 변환된 분석 정보를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3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출력부(313)는 디지털변전소에서 사용되는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기 저장할 수 있고,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화재 정보 또는 방재 정보의 변환을 수행할 수 있어, 디지털변전소(320) 및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330)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312)는 분석 정보를 바탕으로 디지털변전소(320) 내에 구비된 화재 설비(323)을 구동시키는 방재 정보를 화재 설비(323)으로 직접 또는 디지털변전소(3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312)는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330)으로부터 방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재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설비(323)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는 수신기(410)와 구별되는 별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410)는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이하,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를 수신기(410)로 지칭한다.
실시예에 따라, 수신기(410)는 P형 수신기 또는 R형 수신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수신기(410)는 P형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신기(410)는 디지털변전소(420) 및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430) 간의 연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11), 디지털변전소(420)에 구비된 감지기(421) 또는 발신기(422)로부터 화재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입력부(412),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변전소(420)의 방재를 위한 방재 정보를 디지털변전소(420)에 구비된 화재 설비(423)로 전송하는 설비제어 출력부(413), 디지털변전소(420)로부터 수신한 화재 정보를 디지털변전소(430) 운영시스템에 포함되는 스카다 시스템(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431, 이하, 스카다)과 DNP 통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정보의 형식을 변환시키는 DNP 통신 출력부(414), 디지털변전소(420)로부터 수신한 화재 정보를 디지털변전소(430) 운영시스템에 포함되는 상위 운영장치(432)과 IEC 61850 통신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정보의 형식을 변환시키는 IEC 61850 통신 출력부(415), 관리자에 의해 수신기(410)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부(416), 관리자에 의해 외부 입력부(416)를 통해 요구되는 정보를 전처리하는 화면 처리부(417), 화면 처리부(417)에 의해 전처리 된 결과를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418) 및 수신기(410)로 입력되는 모든 정보, 즉, 화재 정보 또는 방재 정보 또는 그 밖의 이벤트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4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외부 입력부(416)가 포함하는 입력 장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일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을 통해 조작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외부 입력부(416)는 수신기(410)에 포함되는 주요 소방 설비(도면 미도시)를 동작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시험용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외부 입력부(416)을 통해 입력된 조작 정보는 제어부(411)를 통해 연산 처리되어 방재 정보에 기초로 활용될 수 있고, 설비제어 출력부(413)로 방재 정보로서 직접 전달되어 화재 설비(423)를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입력부(416)에서 화재 설비(423)를 제어하기 위한 방재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411)를 통하여 방재 정보로 산출되어 설비제어 출력부(413)로 전달되어 현장의 화재 설비(423)의 소방 설비가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외부 입력부(416)는 터치스크린에 타블로 데이터 파일 형식을 통해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어, 관리자는 외부 입력부(416)을 통해 수신기(410)를 전반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419)는 수신기로 입력되는 모든 정보, 예를 들어, 감지기(421) 또는 발신기(422) 또는 중계기(도면 미도시)로부터 수신한 화재 정보,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411)에 의해 분석된 정보, 외부 입력부(416)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 정보 또는 방재 정보,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430)으로부터 전달 받은 방재 정보, 화재 설비의 동작 이력 정보 등을 메모리 등의 저장소자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동작 이력 정보는 화재 일자별, 화재 장소별, 화재 유형별, 이벤트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고, 외부 입력부(416)에 의해 검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419)가 저장할 수 있는 정보는 메모리의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최소 10만개 이상의 기록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장 용량이 초과될 경우 가장 오래된 정보부터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화면처리부(417)은 제어부(411)에서 처리되는 모든 정보를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화면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화면처리부(417)에서 그래픽으로 처리된 정보는 화면출력부(418)를 통하여 관리자에게 시각적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화면 출력부(418)에 의해 시각적 화면으로 출력된 정보를 통해, 관리자는 화재 설비(423)의 감시 및 제어에 관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으며, 디지털변전소(420) 내의 화재 상황 및 디지털변전소(420) 내부의 경계 구역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IEC 61850 통신출력부(415)는 종래의 수신기와 차이를 보이는 구성으로서, IEC 61850 통신출력부(415)는 IEC 61850 통신 기반의 수신기(410)에서 발생한 모든 정보를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430)에 포함되는 상위운영장치(432)에 전달할 수 있다. 상위운영장치(432)로 전달된 정보는 가공된 후, SCADA(431)에 전달될 수 있다.
IEC 61850 통신출력부(415)는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430)에 포함되는 SCADA(431)에서 내려온 제어 정보를 상위운영장치(432)로부터 전달 받아 처리할 수 있으며, IEC 61850 통신출력부(415)에서 처리된 정보는 제어부(411)를 통하여 연산 처리되어 설비제어 출력부(413)로 전달되어 화재 설비(423)에 포함되는 방재 설비를 조작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신기(410)에 입력 또는 생성된 모든 정보는 상위 운영장치(432)에 실시간 전송될 수 있으며,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430)은 IEC 61850 통신 기반의 상위 운영장치(432)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기(410) 또는 디지털변전소(420)를 원격으로 통합 추적 감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411)는 IEC 61850 통신 기반의 정보를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모드버스(Modbus) TCP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IEC 61850 통신 출력부(415)에 전달할 수 있으며, IEC61850 통신 출력부(415)는 Modbus TCP 통신 프로토콜의 정보를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위운영장치(432)와 실시간 통신을 할 수 있다. 상위운영장치(432)는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로 전달 받은 정보를 통합하여 DNP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KEPCO DNP1.0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SCADA(431)와 실시간 통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CADA(431)는 DNP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KEPCO DNP1.0 프로토콜을 통해 제어 정보를 상위 운영장치(432)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위 운영장치(432)는 전달받은 DNP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KEPCO DNP1.0 프로토콜의 제어 정보를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의 형태로 변환하여 수신기(410)의 IEC 61850 통신 출력부(415)에 전달할 수 있다. IEC 61850 통신 출력부(415)를 통해 전달 받은 IEC61850 통신 프로토콜의 제어 정보는 모드버스(Modbus) TCP 통신 프로토콜의 형태로 변환 되어 제어부(411)에 실시간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410)는 디지털변전소(420) 및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430)간을 연계하여, 디지털변전소(420) 내의 타 전력 설비(도면 미도시)와 화재 설비(423)의 동작 사항을 수신기(410)의 관리자 및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430)의 관리자에 의해 통합적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원격지에 위치하더라도 신속한 화재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고, 예측할 수 없는 정전 및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410)는 소방 설비 관련 지식이 없는 수신기(410)의 관리자에게 별도 교육 없더라도 용이하게 종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410)의 관리자가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430)의 이상 발생 때에도 독자적으로 용이하게 소방 설비를 감시, 제어 및 계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는 디지털변전소의 화재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510).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는 디지털변전소에 구비되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 또는 중계기로부터 발생되는 화재 정보를 지속적으로 또는 일정 주기 마다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는 바람직하게 P형 수신기일 수 있으며, 디지털변전소에 구비되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 또는 중계기와는 유선 통신을 통해 화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가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을 식별하지 않으면(S520의 "아니오" 경로), 디지털변전소의 화재 발생 여부의 모니터링이 계속 수행될 수 있으며,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가 화재 발생을 식별하면(S520의 "예" 경로),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는 화재 정보를 발생시킨 감지기(또는 발신기 또는 중계기)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S530).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는 화재 정보를 바탕으로 감지기(또는 발신기 또는 중계기)의 위치 또는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가 감지기의 위치 또는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식별한 후,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는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 장치 또는 방재 설비를 포함하는 화재 설비를 동작시키는 방재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한 방재 정보를 해당 화재 설비로 전송하여 화재 설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540).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가 화재 설비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는 화재 정보를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정보로 변환하여 상위 운영장치로 화재 발생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531). 화재 발생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상위 운영장치는 DNP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KEPCO DNP 1.0 프로토콜에 따른 정보로 변환하여 SCADA 시스템으로 해당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533).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가 화재 설비를 동작시킨 후,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는 화재 정보를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S550).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는 저장 장치에 화재 정보를 저장하기 이전에, 화재 정보에 대한 분석 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 화재 정보를 화재 일자별, 화재 위치별, 화재 종류별 등의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한 정보를 분석 정보와 함께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는 화재 발생이 해소되었는지, 감지기(또는 발신기 또는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할 수 있고(S560), 화재 발생이 해소되었으면(S560의 "예" 경로),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 복귀 접점을 발생시켜 리셋시킬 수 있다(S561). 화재 발생이 해소되지 않았는데(S560의 "아니오" 경로), 외부리셋을 입력 받지 않았다면(S570의 "아니오" 경로), 화재 발생이 해소되었는지 계속적으로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외부 리셋을 입력 받았다면(S570의 "예" 경로), 디지털변전소의 화재 발생 여부를 다시 모니터링할 수 있다(S57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감지기와 발신기로 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따라서 화재를 식별하고 화재발생 정보를 알리는 P형 수신기에 있어서,
    디지털변전소(22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기(221)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신기(222)로부터 화재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화재설비(423)의 제어가 가능하며,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디지털변전소(420) 및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430) 간의 연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11)와, 디지털변전소(420)에 구비된 감지기(421) 또는 발신기(422)로부터 화재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입력부(412)와,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변전소(420)의 방재를 위한 방재 정보를 디지털변전소(420)에 구비된 화재 설비(423)로 전송하는 설비제어 출력부(413)와, 디지털변전소(420)로부터 수신한 화재 정보를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430)에 포함되는 스카다(431)로 전송하기 위하여 스카다시스템(SCADA)(431)과의 DNP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DNP 통신 출력부(414)와, 디지털변전소(420)의 화재정보를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430)으로 제공 및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430)의 SCADA(431)에서 내려온 제어 정보를 제공받기 위하여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430)의 상위운영장치(432)와의 IEC 61850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IEC 61850 통신 출력부(415)와, 관리자에 의해 P형수신기의 동작 제어, 방재정보의 입력, 화재설비(423)의 제어 및 저장부(419)에 저장된 이벤트 정보의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부(416)와, 관리자에 의해 외부 입력부(416)를 통해 요구되는 정보를 전처리하는 화면 처리부(417)와, 화면 처리부(417)에 의해 전처리 된 결과를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418) 및 수신기(410)로 입력되는 화재 정보 또는 방재 정보와 같은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419)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419)는 감지기(421) 또는 발신기(422)로부터 수신한 화재 정보,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411)에 의해 분석된 정보, 외부 입력부(416)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 또는 방재 정보, 디지털변전소 운영시스템(430)으로부터 전달 받은 방재 정보, 화재 설비의 동작 이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이력 정보는 외부입력부(416)에 의해 검색될 수 있는 화재 일자별, 화재 장소별, 화재 유형별, 이벤트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장치.
  6. 삭제
KR1020210015467A 2021-02-03 2021-02-03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장치 KR102298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467A KR102298848B1 (ko) 2021-02-03 2021-02-03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467A KR102298848B1 (ko) 2021-02-03 2021-02-03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848B1 true KR102298848B1 (ko) 2021-09-06

Family

ID=7778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467A KR102298848B1 (ko) 2021-02-03 2021-02-03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8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513B1 (ko) 2006-06-08 2007-08-20 효림산업 주식회사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
KR101732430B1 (ko) * 2016-05-23 2017-05-04 열두방재(주)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02975B1 (ko) * 2018-12-12 2019-10-17 안형준 변전소 전력설비 예방진단 장치
KR102101094B1 (ko) * 2018-10-22 2020-04-16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제어를 위한 전력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513B1 (ko) 2006-06-08 2007-08-20 효림산업 주식회사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
KR101732430B1 (ko) * 2016-05-23 2017-05-04 열두방재(주)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101094B1 (ko) * 2018-10-22 2020-04-16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제어를 위한 전력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002975B1 (ko) * 2018-12-12 2019-10-17 안형준 변전소 전력설비 예방진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CN106383463B (zh) 一种基于安全帽的施工环境监测系统及方法
US202300120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detection of switch capacitor operation
CN104850047A (zh) 电力设备安全监控系统
CN112398221A (zh) 一种安全用电监测系统
KR101219176B1 (ko) 재난 방지용 통합관리 제어 시스템
CN101341521A (zh) 便携监视器
CN104504840A (zh) 一种烟气报警系统及报警方法
KR102501053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340644B1 (ko) 인공지능형 토탈 보안관제 서비스시스템
KR102335676B1 (ko) 예비전력의 사용 시 안정적인 속도로 화재감시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화재감시 시스템
CN104300678A (zh) 基于电力设备运行智能综合在线监控系统
CN103310579A (zh) 基于ZigBee无线通信的电力火灾复合探测装置
KR102243534B1 (ko) 재난 안전형 스마트 수배전반 관리시스템
CN111047815A (zh) 基于自学习模型识别消防探测器误报的方法及系统
CN112562246A (zh) 电气设备火灾监测系统
KR102251174B1 (ko) 스카다(skada) 프로그램을 이용한 화재감지 제어 방법
KR101734659B1 (ko) 전력구내 지중 송전선로의 전기화재 징후 감지 및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98848B1 (ko) 디지털변전소 시스템과 연동하는 화재수신기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장치
CN106789481B (zh) 智能家居的数据可视化整体监控系统
CN205785324U (zh) 火力发电厂监测系统
CN104865918A (zh) 基于gis的电力监控系统
KR20150061289A (ko) Usn 기반의 화재 경로 예측 시스템
KR100339958B1 (ko) 원격 열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059080A (zh) 基于电力设备运行智能综合在线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