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324B1 -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 - Google Patents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324B1
KR102298324B1 KR1020190150732A KR20190150732A KR102298324B1 KR 102298324 B1 KR102298324 B1 KR 102298324B1 KR 1020190150732 A KR1020190150732 A KR 1020190150732A KR 20190150732 A KR20190150732 A KR 20190150732A KR 102298324 B1 KR102298324 B1 KR 102298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version information
video
matching
fram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2468A (ko
Inventor
이정환
방경식
유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샵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샵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샵캐스트
Priority to KR1020190150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3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007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8Matching video sequ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은 검색 비디오에 대한 제1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 기준 비디오에 대한 제2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부; 및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검색 비디오와 상기 기준 비디오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매칭부; 및 상기 기준 비디오를 상기 제2 변환 정보로 변환하는 기준 전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전처리부는 상기 기준 비디오를 구성하는 기준 프레임 이미지에 레터박스가 있는 경우, 레터박스를 제거하는 자름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System for Identifying video}
본 발명은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별 정확성 및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환경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멀티미디어의 범람과 사용자들의 유료 콘텐츠 사용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지적재산권 침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불법 콘텐츠들의 무분별한 공유는 디지털 콘텐츠 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서 저작권 단속활동을 강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P2P/웹하드 환경에서도 불법 콘텐츠를 검색 및 다운로드하고 콘텐츠를 식별하고 불법 배포자를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불법 콘텐츠들은 약 80%가 P2P, 웹하드, 동호회/카페를 통해서 전파되고 있으며 각 업체별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다양성 때문에 불법 콘텐츠의 검색 및 불법복제자 추적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불법 콘텐츠의 추적 및 차단을 위해 워터마킹/핑거프린팅, 네트워크 모니터링, 매크로 프로그램, 공개 P2P 프로토콜 조작, 페이크 파일 유포 등의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10155(2014.09.17. 공개)호는 디지털 핑거프린팅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불법 복제물이 원본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아니라, 단속을 피하기 위해, 영상의 크기, 해상도, 회전, 대칭 등에 대해 변화를 주어 업로드가 되고 있는 실정인 바, 정확하게 불법 복제물을 식별하기 어려우며,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검색 비디오의 식별 정확성 및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은 검색 비디오에 대한 제1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 기준 비디오에 대한 제2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부; 및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검색 비디오와 상기 기준 비디오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매칭부; 및 상기 기준 비디오를 상기 제2 변환 정보로 변환하는 기준 전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전처리부는 상기 기준 비디오를 구성하는 기준 프레임 이미지에 레터박스가 있는 경우, 레터박스를 제거하는 자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에 의하면 검색 비디오의 식별 정확성 및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의 제1 변환 정보와 제2 변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의 기준 전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기준 비디오의 전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은 검색 비디오에 대한 제1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 기준 비디오에 대한 제2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부; 및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검색 비디오와 상기 기준 비디오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매칭부; 및 상기 기준 비디오를 상기 제2 변환 정보로 변환하는 기준 전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전처리부는 상기 기준 비디오를 구성하는 기준 프레임 이미지에 레터박스가 있는 경우, 레터박스를 제거하는 자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준 전처리부는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의 해상도를 줄이는 제1 리사이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준 전처리부는 상기 제1 리사이즈부에 의해 해상도가 작아진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를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준 전처리부는 상기 제1 리사이즈부에 의해 해상도가 작아진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를 기 설정된 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키는 대칭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준 전처리부는 상기 제1 리사이즈부에 의해 해상도가 작아지기 전의 레버박스가 없는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를 기 설정된 영역으로 자름하는 멀티자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기준 전처리부는 상기 멀티자름부에 의해 잘라진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의 해상도를 줄이는 제2 리사이즈부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의 제1 변환 정보와 제2 변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의 기준 전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기준 비디오의 전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1)은 기준 비디오를 기준으로 검색 비디오가 상기 기준 비디오와 동일한 비디오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준 비디오는 저작권으로서 보호받는 비디오 영상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검색 비디오는 무단으로 복제되어 사용되는 비디오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준 비디오와 상기 검색 비디오의 정의는 상호 바뀌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1)은 상기 검색 비디오에 대한 제1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D1), 상기 기준 비디오에 대한 제2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부(D2) 및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검색 비디오와 상기 기준 비디오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1)은 상기 검색 비디오를 전처리하여 생성된 상기 제1 변환 정보를 상기 제1 메모리부(D1)에 저장하고, 상기 기준 비디오를 전처리하여 생성된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상기 제2 메모리부(D2)에 저장한 후, 상기 매칭부를 통해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기준 비디오와 상기 검색 비디오가 동일한 비디오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변환 정보 및 상기 제2 변환 정보 각각은 상기 검색 비디오 및 상기 기준 비디오를 정의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 코드일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검색 비디오를 구성하는 프레임인 임의의 검색 프레임 이미지에 대해 기 설정된 선분들의 끝점에 위치하는 영역의 밝기를 비교하여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검색 프레임 이미지 상에 제1 선분, 제2 선분 및 제3 선분을 설정하고, 만약 상기 제1 선분의 양 끝점의 영역 상에 상기 검색 프레임 이미지의 밝기를 상호 비교하여 아래 측의 끝점이 상 측의 끝점보다 밝기가 밝은 경우 코드 1을 부여하고, 반대로 아래 측의 끝점이 상 측의 끝점보다 밝기가 어두운 경우 코드 0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1 선분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선분에 대해서 양 끝점의 영역 상에 상기 검색 프레임 이미지의 밝기를 상호 비교하여 아래 측의 끝점이 상 측의 끝점보다 밝기가 밝은 경우 코드 1을 부여하고, 반대로 아래 측의 끝점이 상 측의 끝점보다 밝기가 어두운 경우 코드 0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임의의 상기 검색 프레임 이미지에 대해 101 코드를 부여할 수 있고, 상기 기준 비디오를 구성하는 프레임인 임의의 기준 프레임 이미지에 대해 001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변환 정보를 영상의 시간순으로 부여된 복수의 상기 검색 프레임 이미지에 대한 코드 조합(핑거프린트)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변환 정보 역시 영상의 시간순으로 부여된 복수의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에 대한 코드 조합(핑거프린트)일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상기 검색 비디오의 핑거프린트와 상기 기준 비디오의 핑거프린트를 상호 매칭시키면, 유사한 부분이 유사도 매트릭스(similarity matrix) 상에 대각선으로 매칭된 매칭 구간이 발생된다.
이러한 대각선의 매칭 구간이 발생되면 상기 검색 비디오와 상기 기준 비디오가 동일한 비디오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1)은 상기 기준 비디오를 상기 제2 변환 정보로 변환하는 기준 전처리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준 전처리부(10)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전처리부(10)는 상기 기준 비디오의 영상을 디코더(100)를 통해 상기 기준 비디오를 구성하는 프레임인 복수의 기준 프레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는 상기 디코더(100)에 의하여 기 설정된 FPS(Frame Per Second) 수로 생성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해상도로 생성될 수 있고, 기 설정된 색체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는 상기 디코더(100)에 의하여 10 FPS로 128X128 해상도의 그레이 색체로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기준 동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는 상기 기준 전처리부(10)가 구비하는 샘플링부(200)에 의해 무작위 또는 영상의 시간 순 및/또는 간격 등의 기 설정된 기준 하에 복수 개가 샘플링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기준 전처리부(10)는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에 레터박스가 있는 경우, 레터박스를 제거하는 자름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레터박스는 도 3이 원본 이미지에서 상하에 검정색으로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준 전처리부(10)가 구비하는 감지부(300)는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에 레터박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에 레터박스가 있는 경우 상기 자름부(400)는 레터박스 영역의 이미지를 잘라내어 제거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자름부(400)는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에 레터박스가 없는 경우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를 자르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기준 전처리부(10)는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의 해상도를 줄이는 제1 리사이즈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리사이즈부(500)는 128X128 해상도를 가지는 원본 이미지를 64X64 해상도로 리사이즈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사이즈부(500)에 의해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의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저해상이 됨으로 인해 식별 오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기준 전처리부(10)는 상기 제1 리사이즈부(500)에 의해 해상도가 작아진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를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부(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의 의미는 도 3에 볼 수 있듯이 원본 이미지를 90도, 180도 및 270도 등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회전부(700)에 의해 하나의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에서 90도, 180도 및 270도 등으로 회전된 복수의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일례로, 상기 기준 전처리부(10)는 상기 제1 리사이즈부(500)에 의해 해상도가 작아진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를 기 설정된 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키는 대칭부(8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대칭의 의미는 도 3에 볼 수 있듯이 원본 이미지를 X축, Y축 등으로 대칭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대칭부(800)에 의해 하나의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에서 대칭 변화된 복수의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 전처리부(10)는 상기 제1 리사이즈부(500)에 의해 해상도가 작아지기 전의 레터박스가 없는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를 기 설정된 영역으로 자름하는 멀티자름부(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멀티자름부(600)는 상기 제1 리사이즈부(500)를 거치지 않은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를 기 설정된 영역으로 자름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영역으로의 자름의 의미는 도 3에 볼 수 있듯이 원본 이미지를 상측 부분 10%, 하측 부분 10%, 좌측 부분 30%, 우측 부분 10% 등, 상, 하, 좌 및/또는 우로 기 설정된 영역만큼 테두리를 잘라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자르는 부분의 퍼센트는 복수로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멀티자름부(600)에 의해 하나의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에서 상, 하, 좌 및/또는 우로 잘라진 복수의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기준 전처리부(10)는 상기 멀티자름부(600)에 의해 잘라진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의 해상도를 줄이는 제2 리사이즈부(90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700) 및 상기 대칭부(800)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는 그 전에 상기 제1 리사이즈부(500)에 의해 저해상도로 변경되나, 상기 멀티자름부(600)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는 먼저 상기 멀티자름부(600)에 의해 잘라진 후 상기 제2 리사이즈부(900)를 통해 저해상도 이미지로 변환 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사이즈부(900)는 상기 제1 리사이즈부(500)가 변환하는 저해상도 이미지와 동일한 저해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전처리부(10)는 하나의 상기 기준 비디오에서 복수 개의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를 생성하고, 하나의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를 기준으로 회전된, 대칭된, 자름된 복수 개의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검색 비디오와 매칭하는 모집단을 매우 크게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1)은 상기 검색 비디오가 원본 영상에서 회전, 대칭, 자름된 편집 영상이라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700), 상기 대칭부(800) 및 상기 멀티자름부(600)에 의해 생성된 수 많은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 각각에는 상기 기준 전처리부(10)가 구비하는 코드 부여부(미 도시)에 의해 앞서 설명한 식별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코드의 총 집합이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1)은 상기 검색 비디오에 대해 상기 기준 전처리부(10)와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여 상기 제1 변환 정보를 생성하는 검색 전처리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검색 전처리부(20)는 상기 검색 비디오를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검색 프레임 이미지에 대해 회전, 대칭, 자름, 리사이즈를 구현하여 식별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여러 버전의 상기 제1 변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하는 상기 매칭부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제1 메모리부(D1)는 상기 검색 전처리부(2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1 변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읽기 전용의 메모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메모리부(D2)는 상기 기준 전처리부(1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메모리일 수 있다.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비디오와 상기 검색 비디오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검색 비디오와 상기 기준 비디오가 대응되는지 여부를 빠르게 도출하기 위해, 상기 제1 메모리부(D1)는 상기 검색 비디오가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구간 검색 비디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구간 검색 비디오의 상기 제1 변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구간 검색 비디오는 상기 검색 전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수 많은 코드 중 기 설정된 개수(구간)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식별 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1 메모리부(D1)는 상기 검색 비디오 전 구간에 대한 상기 제1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검색 비디오의 전 구간에 대해 복수 개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구간 검색 비디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구간 검색 비디오의 상기 제1 변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색 비디오가 4구간으로 분할되어 상기 구간 검색 비디오가 4개인 경우, 상기 제1 메모리부(D1)는 4개의 상기 구간 검색 비디오 중, 우선 첫 번째 구간의 상기 구간 검색 비디오의 상기 제1 변환 정보, 즉 식별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제1 메모리부(D1)에 저장된 첫 번째 구간의 상기 구간 검색 비디오의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메모리부(D2)에 저장된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한 결과 미리 정해진 대응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예들 들어, 유사도 매트릭스 상에 대각선의 매칭 구간이 형성되는 경우), 두 번째 구간의 상기 구간 검색 비디오의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하지 않더라도 상기 기준 비디오와 상기 검색 비디오가 동일한 영상임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한 결과 상기 미리 정해진 대응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메모리부(D1)는 복수의 상기 구간 검색 비디오 중 매칭하지 않은 상기 구간 검색 비디오(예들 들어, 두 번째 구간의 상기 구간 검색 비디오)의 상기 제1 변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제1 메모리부(D1)에 저장된 두 번째 구간의 상기 구간 검색 비디오의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메모리부(D2)에 저장된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하는 복수의 코어부(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어부(C)는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부분에 포인트(유사도 매트릭스 상에 대각선을 구성하는 포인트)를 형성하는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코어부(C)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코어부(C)는 각각, 상기 기준 비디오가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구간 기준 비디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구간 기준 비디오의 상기 제2 변환 정보와 상기 제1 변환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비디오가 6개의 구간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6개의 상기 구간 기준 비디오 각각에 대응되는 6개의 상기 제2 변환 정보 각각은 6개의 상기 코어부(C)에 각각 매핑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코어부(C)는 상기 제2 메모리부(D2)로부터 직접적으로 분할된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전달받아 매핑될 수도 있으며, 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3 메모리부(D3)으로부터 분할된 상기 제2 변환 졍보를 전달받아 매핑될 수도 있다.
그 결과, 복수의 상기 코어부(C)에서 각각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동시에 매칭하여 상기 결과 정보를 생성한다는 점에서, 식별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코어부(C)는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하는 복수의 스레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상기 스레드부 각각에는 상기 제2 변환 정보가 기 설정된 구간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분할 변환 정보 각각이 매핑될 수 있다.
즉, 6개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구간 기준 비디오의 상기 제2 변환 정보는 다시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되어 하나의 상기 코어부(C)가 구비하는 복수의 상기 스레드부 각각에 매핑될 수 있다.
그 결과, 어느 하나의 상기 스레드부는 복수의 상기 제2 분할 변환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분할 변환 정보와 상기 제1 변환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도 5은 상기 스레드부가 상기 제2 분할 변환 정보와 상기 제1 변환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되는 부분에 포인트(유사도 매트릭스 상에 대각선을 구성하는 포인트)를 형성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어느 하나의 상기 코어부(C)가 구비하는 제1 스레드부(T1)는 복수의 상기 제2 분할 변환 정보 중 어느 하나가 매핑되어 있어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매칭되는 부분에 포인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2 스레드부(T2)는 복수의 상기 제2 분할 변환 정보 중 다른 어느 하나가 매핑되어 있어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매칭되는 부분에 제2 포인트를 생성할 수 있고, 제3 스레드부(T3)는 복수의 상기 제2 분할 변환 정보 중 또 다른 어느 하나가 매핑되어 있어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매칭되는 부분에 제3 포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1)은 복수의 상기 코어부(C)가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한 결과인 상기 결과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의 제3 메모리부(D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메모리부(D3)는 복수의 상기 코어부(C)로부터 각각 상기 결과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상기 제3 메모리부(D3) 각각은, 복수의 상기 코어부(C)로부터 각각 상기 결과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메모리부(D3)가 2개인 경우, 하나의 상기 제3 메모리부(D3)는 3개의 상기 코어부(C)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상기 제3 메모리부(D3)는 다른 3개의 상기 코어부(C)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 메모리부(D2)는 복수의 상기 제3 메모리부(D3)로부터 각각 상기 결과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메모리부(D2)는 병렬적으로 복수의 상기 제3 메모리부(D3)로부터 상기 결과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메모리부(D2)는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제2-1 메모리부(D2-1) 및 상기 결과 정보를 저장하는 제2-2 메모리부(D2-2)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제2 메모리부(D2)에 저장된 상기 결과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대응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판단부(A)는 복수의 상기 제3 메모리부(D3)로부터 직접 상기 결과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미리 정해진 대응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2 메모리부(D2)에 저장된 상기 결과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미리 정해진 대응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판단부(A)는 수 많은 상기 스레드부가 형성한 포인트만을 판단하여, 포인트들이 유사도 매트릭스 상에 소정 길이 이상의 대각선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기준 비디오와 상기 검색 비디오가 동일한 비디오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1)은 정보들에 대한 병렬적 처리에 의해 상기 기준 비디오와 상기 검색 비디오 간의 식별 정확성을 높이는 동시에 식별 속도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디코더
200: 샘플링부
300: 감지부
400: 자름부

Claims (6)

  1. 검색 비디오에 대한 제1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부;
    기준 비디오에 대한 제2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부; 및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검색 비디오와 상기 기준 비디오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매칭부; 및
    상기 기준 비디오를 상기 제2 변환 정보로 변환하는 기준 전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전처리부는,
    상기 기준 비디오를 구성하는 기준 프레임 이미지에 레터박스가 있는 경우, 레터박스를 제거하는 자름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준 전처리부는,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의 해상도를 줄이는 제1 리사이즈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준 전처리부는,
    상기 제1 리사이즈부에 의해 해상도가 작아진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를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준 전처리부는,
    상기 제1 리사이즈부에 의해 해상도가 작아진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를 기 설정된 축을 기준으로 대칭시키는 대칭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준 전처리부는,
    상기 제1 리사이즈부에 의해 해상도가 작아지기 전의 레터박스가 없는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를 기 설정된 영역으로 자름하는 멀티자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준 전처리부는,
    상기 멀티자름부에 의해 복수 회 잘라진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의 해상도를 줄이며, 상기 제1 리사이즈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와 동일한 해상도의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를 형성하는, 제2 리사이즈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 및 상기 대칭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는,
    상기 회전부 및 상기 대칭부에 의해 처리되기 전, 상기 제1 리사이즈부를 통해 저해상도로 변경되며,
    상기 멀티자름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기준 프레임 이미지는,
    상기 멀티자름부에 의해 처리된 후 상기 제2 리사이즈부를 통해 저해상도로 변경되며,
    상기 제1 메모리부는,
    상기 제1 변환 정보를 저장하되, 복수 개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구간 검색 비디오중 어느 하나의 상기 구간 검색 비디오의 상기 제1 변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제1 메모리부에 저장된 복수의 구간 검색 비디오중 어느 하나의 상기 구간 검색 비디오의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하며,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한 결과 미리 정해진 대응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기준비디오와 상기 검색 비디오가 동일한 영상으로 식별하며,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한 결과 상기 미리 정해진 대응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메모리부에 저장된 복수의 상기 구간 검색 비디오 중 매칭하지 않은 상기 구간 검색 비디오의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하며,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제1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하는 복수 개의 코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코어부는,
    복수 개 각각, 상기 기준비디오가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구간 기준 비디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구간 기준 비디오의 상기 제2 변환 정보와 상기 제1 변환 정보를 매칭하며,
    상기 코어부는,
    상기 제1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하는 복수의 스레드부를 더 구비하며,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은,
    복수의 상기 코어부가 상기 제1 변환 정보와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매칭한 결과인, 결과 정보를 저장하는 복수의 제3 메모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메모리부는,
    상기 제2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 제2-1 메모리부 및
    상기 결과 정보를 저장하는 제2-2 메모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제2-2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결과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대응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2-2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결과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미리 정해진 대응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50732A 2019-11-21 2019-11-21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 KR102298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732A KR102298324B1 (ko) 2019-11-21 2019-11-21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732A KR102298324B1 (ko) 2019-11-21 2019-11-21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468A KR20210062468A (ko) 2021-05-31
KR102298324B1 true KR102298324B1 (ko) 2021-09-07

Family

ID=7615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732A KR102298324B1 (ko) 2019-11-21 2019-11-21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32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0273A (ko) * 1997-11-17 2000-11-25 이데이 노부유끼 텔레비젼 장치 및 텔레비젼 장치의 표시 방법 및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63139B1 (ko) * 2008-09-23 2011-09-07 한국과학기술원 크기 변화, 회전, 절삭에 강인한 내용기반 영상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986361B1 (ko) * 2016-09-23 2019-06-07 주식회사 모션크루 디지털 동영상 특징값 추출 시스템 및 방법, 및 상기 특징값을 이용한 디지털 동영상 유사도 판단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468A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27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bookmark video fingerprints
US11301714B2 (en) Detecting usage of copyrighted video content using object recognition
US200903168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consistency between digital contents
US8433175B2 (en) Video comparing using fingerprint representations
US20190377764A1 (en) Illegal content search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986223B1 (ko) 불법 동영상 데이터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130062582A (ko) 만화 출판물에 대한 핑거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CN112199545A (zh) 基于图片文字定位的关键词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803066B1 (ko) 불법 복제된 서적의 통합 식별 시스템 및 방법
KR102298324B1 (ko) 병렬 비디오 식별 시스템
KR20090004552A (ko) 비디오 처리 권리의 실시를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141411B1 (ko) 콘텐츠 기반 클린 클라우드 시스템 및 그 방법
Karyakarte et al. Digital image fraudulence: A curse to forensic odontology
KR101427220B1 (ko)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저작권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7248968B2 (ja) 画像識別装置、画像識別方法、および画像識別プログラム
Pujari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n Copy Move Forgery Detection in Spatial Domain Method Using Lexicographic and Non Lexicographic techniques
Jongweon et al. Video identification based on common features in a scene segmented by CNN
KR20210122756A (ko) 웹하드 콘텐츠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FR3001599A1 (fr) Procede de reconnaissance de contenus video ou d'images en temps reel
Pooja et al. A Semi Blind Reversible Watermarking On Numerical Relational Database
Kim et al. Research on advanced performance evaluation of video digital con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