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122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122B1
KR102298122B1 KR1020140129299A KR20140129299A KR102298122B1 KR 102298122 B1 KR102298122 B1 KR 102298122B1 KR 1020140129299 A KR1020140129299 A KR 1020140129299A KR 20140129299 A KR20140129299 A KR 20140129299A KR 102298122 B1 KR102298122 B1 KR 102298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ole transport
transport layer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941A (ko
Inventor
박진호
이광연
윤성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1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40Interrelation of parameters between multiple constituent active layers or sublayers, e.g. HOMO values in adjacent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서브 화소, 제2 서브 화소 및 제3 서브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서, 제1 서브 화소, 제2 서브 화소 및 제3 서브 화소에 공통으로 배치되며,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정공 주입층, 정공 주입층 상에서, 제1 서브 화소 및 제2 서브 화소 각각에 배치되는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 각각 상에 배치되는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유기 발광층, 및 정공 주입층 상에서, 제3 서브 화소에 배치되는 제3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1) 정공 주입층의 HOMO 레벨이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HOMO 레벨보다 높은 것, 및 정공 주입층의 이동도(mobility)가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이동도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전류 누설 현상으로 인해 구동을 의도치 않은 인접 화소에서 광이 발광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공 주입층에서의 전류 누설 현상으로 인해 구동을 의도치 않은 유기 발광층에서 광이 발광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는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CD)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 가능하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저전압 구동에 의해 소비 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색상 구현, 응답 속도, 시야각,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 CR)도 우수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연구되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적색의 광을 발광하기 위한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의 광을 발광하기 위한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의 광을 발광하기 위한 청색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 각각에서는 전극들을 통해 공급된 정공과 전자가 서로 결합되어 광이 발광된다. 정공을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과 전극 사이에는 정공 수송층이 일반적으로 배치된다.
근래에 들어, 정공의 이동을 더욱 가속시키기 위해서 전극과 유기 발광층들 사이에 배치되는 정공 수송층에 p형 도펀트를 첨가하는 기술이 도입되었다. 정공 수송층에 p형 도펀트를 첨가하는 경우 유기 발광층들로 정공이 더욱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으므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수명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정공 수송층의 이동도가 p형 도펀트에 의해 크게 향상됨에 따라 청색 유기 발광층을 구동시키기 위해 전류를 인가할 때에 전류가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적색 유기 발광층에도 흐르는 현상, 즉 전류 누설 현상이 발생하여, 청색 유기 발광층에 인접한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적색 유기 발광층이 동시에 구동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전류 누설 현상은 구동을 의도치 않은 다른 유기 발광층이 발광되도록 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휘도 저하 및 소비 전력 증가를 야기하기 때문에 낮은 품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조되는 주된 원인이 되었다.
[관련기술문헌]
1. 유기메모리발광소자 및 디스플레이 장치 (특허출원번호 제10-2009-0107998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청색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정공 주입층에서의 전류 누설 현상으로 인해 적색 유기 발광층 및 녹색 유기 발광층에서 광이 발광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류가 누설되어 구동을 의도치 않은 인접 화소에서 광이 발광되는 현상이 억제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목표된 화소에서만 광이 발광되어 휘도가 향상되고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서브 화소, 제2 서브 화소 및 제3 서브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서, 제1 서브 화소, 제2 서브 화소 및 제3 서브 화소에 공통으로 배치되며,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정공 주입층, 정공 주입층 상에서, 제1 서브 화소 및 제2 서브 화소 각각에 배치되는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 각각 상에 배치되는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유기 발광층, 및 정공 주입층 상에서, 제3 서브 화소에 배치되는 제3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1) 정공 주입층의 HOMO 레벨이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HOMO 레벨보다 높은 것, 및 정공 주입층의 이동도(mobility)가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이동도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전류 누설 현상으로 인해 구동을 의도치 않은 인접 화소에서 광이 발광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정공 주입층 상에서 제1 서브 화소, 제2 서브 화소 및 제3 서브 화소에 공통으로 배치된 공통 정공 수송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정공 주입층과 공통 정공 수송층은 동일한 호스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정공 주입층,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은 방향족 아민 계열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정공 주입층을 구성하는 물질, 제1 정공 수송층을 구성하는 물질 및 제2 정공 수송층을 구성하는 물질은 서로 동일한 주 사슬을 가지며, 서로 상이한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정공 주입층은 HOMO 레벨은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HOMO 레벨보다 적어도 0.2 eV 이상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정공 주입층의 이동도는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이동도보다 10배 이상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유기 발광층 각각은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발광하며, 적색 및 녹색 중 하나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3 유기 발광층은 청색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유기 발광층 각각의 턴-온 전압(Turn-on voltage)은 제3 유기 발광층의 턴-온 전압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두께는 마이크로 캐비티(microcavity)의 광학적 거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정공 수송층과 제2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1 애노드, 제2 애노드 및 제3 애노드가 배치된 기판, 제1 애노드, 제2 애노드 및 제3 애노드 상에 배치되며,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정공 주입층, 제1 애노드, 제2 애노드 및 제3 애노드 각각 상에 배치된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 적색 유기 발광층과 정공 주입층 사이에 배치된 제1 정공 수송층, 녹색 유기 발광층과 정공 주입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정공 수송층, 및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 상에 공통으로 배치된 캐소드를 포함하고, 1) 정공 주입층의 HOMO 레벨이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HOMO 레벨보다 높은 것, 및 정공 주입층의 이동도(mobility)가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이동도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청색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적색 유기 발광층 및 녹색 유기 발광층에서 광이 발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애노드, 제2 애노드 및 제3 애노드 각각은 반사층 및 반사층 상에 형성된 투명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3 애노드 및 캐소드 사이에 전류가 흐를 때에,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에 의해 적색 유기 발광층 및 녹색 유기 발광층으로의 전류의 흐름이 억제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HOMO 레벨 및 이동도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청색 서브 화소를 구동할 때에 인접한 적색 서브 화소 및 녹색 서브 화소도 함께 구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을 통해 정공 주입층으로부터 정공이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유기 발광층으로 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높은 휘도 및 낮은 구동 전압을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이 단면도이다.
도 2a는 비교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정공 주입층,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에 대한 HOMO 레벨 및 이동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b는 비교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3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발광되는 광의 파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c는 비교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각 층들의 HOMO 레벨을 나타내는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이다.
도 3a는 실시예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의 정공 주입층,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에 대한 HOMO 레벨 및 이동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3b는 비교예 및 실시예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의 제3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발광되는 광의 파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a는 실시예 2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의 정공 주입층,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에 대한 HOMO 레벨 및 이동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4b는 비교예 및 실시예 2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의 제3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발광되는 광의 파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a는 실시예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의 정공 주입층,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에 대한 HOMO 레벨 및 이동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5b는 비교예 및 실시예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의 제3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발광되는 광의 파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비교예의 제1 서브 화소, 제2 서브 화소 및 제3 서브 화소에 대한 전류 밀도-전압 곡선(J-V curv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실시예 3의 제1 서브 화소, 제2 서브 화소 및 제3 서브 화소에 대한 전류 밀도-전압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이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기판(110), 제1 애노드(120a), 제2 애노드(120b), 제3 애노드(120c), 정공 주입층(130), 공통 정공 수송층(140), 제1 정공 수송층(150a), 제2 정공 수송층(150b), 제1 유기 발광층(160a), 제2 유기 발광층(160b), 제3 유기 발광층(160c), 전자 수송층(170), 캐소드(180) 및 유기물층(190)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기판이다. 기판(110)은 투명성 및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0)은 하나의 색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제1 서브 화소(R), 제2 서브 화소(G) 및 제3 서브 화소(B)를 포함한다. 제1 서브 화소(R), 제2 서브 화소(G) 및 제3 서브 화소(B) 각각에서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이 발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 화소(R) 및 제2 서브 화소(G)에서는 적색 광 및 녹색 광 중 어느 하나의 광이 발광될 수 있고, 제3 서브 화소(B)에서는 청색 광이 발광될 수 있다.
기판(110) 상에 제1 애노드(120a), 제2 애노드(120b) 및 제3 애노드(120c)가 배치된다. 제1 애노드(120a), 제2 애노드(120b) 및 제3 애노드(120c) 각각은 제1 유기 발광층(160a), 제2 유기 발광층(160b) 및 제3 유기 발광층(160c)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애노드(120a), 제2 애노드(120b) 및 제3 애노드(120c)는 서브 화소 별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애노드(120a)는 제1 서브 화소(R)에 배치되고, 제2 애노드(120b)는 제2 서브 화소(G)에 배치되고, 제3 애노드(120c)는 제3 서브 화소(B)에 배치된다.
제1 애노드(120a), 제2 애노드(120b) 및 제3 애노드(120c) 각각은 일함수가 높은 투명 전도성 물질 및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전도성 물질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ITZO; Indium Tin Zinc Oxide)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도시상의 편의를 위해, 제1 애노드(120a), 제2 애노드(120b) 및 제3 애노드(120c)를 하나의 층으로 표현하였다.
제1 애노드(120a), 제2 애노드(120b) 및 제3 애노드(120c) 상에 공통으로 정공 주입층(130)이 배치된다. 정공 주입층(130)은 제1 유기 발광층(160a), 제2 유기 발광층(160b) 및 제3 유기 발광층(160c)으로의 정공의 주입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정공 주입층(130)은 일정한 호스트 물질에 p형 도펀트가 첨가되어 형성된다. 정공 주입층(130)에 p형 도펀트가 첨가되는 경우 정공 주입층(130)의 이동도가 크게 향상되므로 제1 유기 발광층(160a), 제2 유기 발광층(160b) 및 제3 유기 발광층(160c)으로의 정공의 주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정공 주입층(130) 상에는 공통 정공 수송층(140)이 배치된다. 공통 정공 수송층(140)은 정공 주입층(130)으로부터 정공을 전달받아 제1 유기 발광층(160a), 제2 유기 발광층(160b) 및 제3 유기 발광층(160c)으로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 공통 정공 수송층(140)은 또한 이동도가 매우 높은 정공 주입층(130)이 제3 유기 발광층(160c)과 직접 접촉하여 제3 유기 발광층(160c)의 효율 및 수명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공통 정공 수송층(140)과 정공 주입층(130)은 동일한 호스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공통 정공 수송층(140)에 p형 도펀트를 첨가한 물질이 정공 주입층(130)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공정 장비에서 연속 공정으로 정공 주입층(130)과 공통 정공 수송층(140)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정공 수송층(140) 상에서, 제1 서브 화소(R)에 제1 정공 수송층(150a)이 배치되고, 제2 서브 화소(G)에 제2 정공 수송층(150b)이 배치된다. 제1 정공 수송층(150a) 및 제2 정공 수송층(150b) 각각은 제1 유기 발광층(160a) 및 제2 유기 발광층(160b) 각각으로 정공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정공 수송층(150a) 및 제2 정공 수송층(150b) 각각의 두께는 마이크로캐비티(microcavity)의 광학적 거리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정공 수송층(150a) 및 제2 정공 수송층(150b) 각각의 두께는 제 1 유기 발광층이 제1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서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형성하도록, 그리고 제2 유기 발광층이 제2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서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형성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제1 서브 화소(R) 및 제2 서브 화소(G)에서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이 발광되므로, 제1 정공 수송층(150a) 및 제2 정공 수송층(150b) 각각의 두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유기 발광층(160a)이 적색 유기 발광층이고 제2 유기 발광층(160b)이 녹색 유기 발광층인 것으로 상정하고, 제1 정공 수송층(150a)의 두께를 제2 정공 수송층(150b)의 두께보다 두껍게 표현하였다.
정공 주입층(130)은 제1 애노드(120a), 제2 애노드(120b) 및 제3 애노드(120c) 상에 공통으로 형성되며, p형 도펀트로 인해서 상당히 높은 이동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제3 유기 발광층(160c)에서 광이 발광되도록 제3 애노드(120c)와 캐소드(180) 사이에 수직으로 전류를 흘러 보내는 경우, 이동도가 높은 정공 주입층(130)에서 수평으로 전류가 누설되어 제1 유기 발광층(160a) 및 제2 유기 발광층(160b)으로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 소위 전류 누설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전류 누설 현상은 제3 서브 화소(B)를 구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인접하는 제1 서브 화소(R) 및 제2 서브 화소(G)에서도 광이 발광되게 하기 때문에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휘도를 저하시키고 소비 전력을 증가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정공 주입층(130)의 높은 이동도로 인한 전류 누설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적어도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먼저 정공 주입층(130)의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s) 레벨이 제1 정공 수송층(150a) 및 제2 정공 수송층(150b) 각각의 HOMO 레벨보다 높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정공 주입층(130)의 HOMO 레벨이 제1 정공 수송층(150a) 및 제2 정공 수송층(150b) 각각의 HOMO 레벨보다 높게 되는 경우 정공 주입층(130)으로부터 정공이 제1 유기 발광층(160a) 및 제2 유기 발광층(160b)으로 덜 원활하게 공급되게 되므로 제3 유기 발광층(160c)을 구동할 때에 구동을 의도하지 않은 제1 유기 발광층(160a) 및 제2 유기 발광층(160b)에서 광이 발광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수치적으로, 정공 주입층(130)의 HOMO 레벨은 제1 정공 수송층(150a) 및 제2 정공 수송층(150b) 각각의 HOMO 레벨보다 적어도 0.2 eV 이상 높을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또한 정공 주입층(130)의 이동도(mobility)가 제1 정공 수송층(150a) 및 제2 정공 수송층(150b) 각각의 이동도보다 큰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정공 주입층(130)의 이동도가 제1 정공 수송층(150a) 및 제2 정공 수송층(150b) 각각의 이동도보다 크게 되는 경우 정공 주입층(130)으로부터 제1 유기 발광층(160a) 및 제2 유기 발광층(160b)으로 정공이 느리게 공급되므로 전류 누설 현상으로 인해 제3 서브 화소(B)에 인접한 제1 서브 화소(R) 및 제2 서브 화소(G)에서 광이 발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수치적으로, 정공 주입층(130)의 이동도는 제1 정공 수송층(150a) 및 제2 정공 수송층(150b) 각각의 이동도보다 10배 이상 클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공 주입층(130)의 HOMO 레벨을 제1 정공 수송층(150a) 및 제2 정공 수송층(150b) 각각의 HOMO 레벨보다 높게 구성하거나 정공 주입층(130)의 이동도를 제1 정공 수송층(150a) 및 제2 정공 수송층(150b) 각각의 이동도보다 크게 구성함으로써 제1 서브 화소(R) 및 제2 서브 화소(G)를 구동하기 위한 턴-온 전압(Turn-on voltage)이 제3 서브 화소(B)를 구동하기 위한 턴-온 전압보다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서브 화소(R) 및 제2 서브 화소(G)의 턴-온 전압이 제3 서브 화소(B)의 턴-온 전압보다 높은 경우 동일한 누설 전류에서도 제3 서브 화소(B)가 먼저 발광될 수 있으므로, 누설 전류로 인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정공 주입층(130)의 HOMO 레벨이 제1 정공 수송층(150a) 및 제2 정공 수송층(150b) 각각의 HOMO 레벨보다 높게 구성되거나 정공 주입층(130)의 이동도가 제1 정공 수송층(150a) 및 제2 정공 수송층(150b) 각각의 이동도보다 크게 구성되도록, 정공 주입층(130)을 구성하는 물질, 제1 정공 수송층(150a)을 구성하는 물질 및 제2 정공 수송층(150b)을 구성하는 물질이 선별될 수 있다.
선별된 정공 주입층(130)의 물질, 제1 정공 수송층(150a)의 물질 및 제2 정공 수송층(150b)의 물질은 서로 동일한 주 사슬을 가지면서 서로 상이한 치환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공 주입층(130), 제1 정공 수송층(150a) 및 제2 정공 수송층(150b) 모두는 서로 상이한 치환기를 가지는 방향족 아민 계열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서브 화소(R)에서 제1 정공 수송층(150a) 상에 제1 유기 발광층(160a)이 배치되고, 제2 서브 화소(G)에서 제2 정공 수송층(150b) 상에 제2 유기 발광층(160b)이 배치되고, 제3 서브 화소(B)에서 공통 정공 주입층(140) 상에 제3 유기 발광층(160c)이 배치된다. 제1 유기 발광층(160a), 제2 유기 발광층(160b) 및 제3 유기 발광층(160c) 각각은 제1 애노드(120a), 제2 애노드(120b) 및 제3 애노드(120c) 각각으로부터 전압을 인가 받아 광을 발광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유기 발광층(160a), 제2 유기 발광층(160b) 및 제3 유기 발광층(160c)은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발광한다. 제1 유기 발광층(160a) 및 제2 유기 발광층(160b)은 적색 광 및 녹색 광 중 어느 하나의 광을 발광할 수 있으며, 제3 유기 발광층(160c)은 청색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제1 유기 발광층(160a), 제2 유기 발광층(160b) 및 제3 유기 발광층(160c) 상에는 공통으로 전자 수송층(170)이 배치된다. 전자 수송층(170)은 제1 유기 발광층(160a), 제2 유기 발광층(160b) 및 제3 유기 발광층(160c)으로의 전자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전자 수송층(170)은 Alq3, PBD, TAZ, spiro-PBD, BAlq, Liq(lithium quinolate), BMB-3T, PF-6P, TPBI, COT 및 SAlq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자 수송층(170) 상에서 제1 서브 화소(R), 제2 서브 화소(G) 및 제3 서브 화소(B)에 공통으로 캐소드(180)가 배치된다. 캐소드(180)는 제1 유기 발광층(160a), 제2 유기 발광층(160b) 및 제3 유기 발광층(160c)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캐소드(180)는 전자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캐소드(180)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캐소드(180)의 일함수는 약 4.1 e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가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이므로, 캐소드(180)는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투명하게 될 수 있다.
캐소드(180) 상에서 제1 서브 화소(R), 제2 서브 화소(G) 및 제3 서브 화소(B)에 공통으로 유기물층(190)이 배치된다. 유기물층(190)은 캐소드(180)가 가지는 단차를 평탄화하고 이물을 보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유기물층(190)은 아크릴(Acryl) 계열의 레진 또는 에폭시(Epoxy) 계열의 레진(Resin)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판(110) 상에는 제1 애노드(120a), 제2 애노드(120b) 및 제3 애노드(120c)와 연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의 HOMO 레벨 및 이동도를 달리하여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교예에서는 정공 주입층과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의 HOMO 레벨 및 이동도를 동일하게 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는 정공 주입층보다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의 HOMO 레벨을 점차적으로 낮게 하면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2에서는 정공 주입층보다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의 이동도를 점차적으로 작게 하면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3에서는 정공 주입층보다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의 HOMO 레벨을 낮게 하고, 이동도를 작게 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모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제조되었으며,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의 HOMO 레벨 및 이동도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제조되었다. 그리고,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 모두에서 제1 유기 발광층은 적색 유기 발광층으로, 제2 유기 발광층은 녹색 유기 발광층으로, 제3 유기 발광층은 청색 유기 발광층으로 구성하였다.
도 2a 내지 도 2c는 비교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비교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정공 주입층,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에 대한 HOMO 레벨 및 이동도를 나타내는 표이며, 도 2b는 비교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3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발광되는 광의 파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며, 도 2c는 비교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각 층들의 HOMO 레벨을 나타내는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이다.
도 2a 및 도 2c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정공 주입층,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은 서로 동일한 HOMO 레벨 및 이동도를 갖는다.
도 2b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제3 유기 발광층, 즉 청색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450 내지 495 nm의 파장의 청색 광이 발광될 뿐만 아니라 495 nm 내지 780 nm의 파장의 녹색 및 적색 광 역시 상당한 수준으로 발광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비교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제3 유기 발광층, 즉 청색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누설 전류로 인해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유기 발광층, 예를 들어 적색 유기 발광층 및 녹색 유기 발광층에서도 광이 발광됨을 알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실시예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실시예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의 정공 주입층,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에 대한 HOMO 레벨 및 이동도를 나타내는 표이며, 도 3b는 비교예 및 실시예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의 제3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발광되는 광의 파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참고로, 실시예 1에서는 별도로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도시하지는 않았다.
도 3a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에서 정공 주입층은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보다 높은 HOMO 레벨을 갖는다.
도 3b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실시예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에서 제3 유기 발광층, 즉 청색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495 nm 내지 780 nm의 파장의 녹색 및 적색 광이 매우 적은 수준으로 발광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정공 주입층과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유기 발광층 사이의 HOMO 레벨 차이가 커질수록 495 nm 내지 780 nm의 파장의 녹색 및 적색 광이 더 적게 발광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들로부터, 정공 주입층의 HOMO 레벨을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유기 발광층의 HOMO 레벨보다 높게 구성하는 경우, 제3 유기 발광층, 예를 들어 청색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누설 전류로 인해 구동을 의도하지 않은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유기 발광층, 예를 들어 적색 유기 발광층 및 녹색 유기 발광층에서 광이 발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실시예 2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실시예 2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의 정공 주입층,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에 대한 HOMO 레벨 및 이동도를 나타내는 표이며, 도 4b는 비교예 및 실시예 2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의 제3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발광되는 광의 파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참고로, 실시예 2에서는 별도로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도시하지는 않았다.
도 4a를 참조하면, 실시예 2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에서 정공 주입층은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보다 큰 이동도를 갖는다.
도 4b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실시예 2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에서 제3 유기 발광층, 즉 청색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495 nm 내지 780 nm의 파장의 녹색 및 적색 광이 매우 적은 수준으로 발광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정공 주입층과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유기 발광층 사이의 이동도 차이가 커질수록 495 nm 내지 780 nm의 파장의 녹색 및 적색 광이 더 적게 발광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들로부터, 정공 주입층의 이동도를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유기 발광층의 이동도보다 크게 구성하는 경우, 제3 유기 발광층, 예를 들어 청색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누설 전류로 인해 구동을 의도하지 않은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유기 발광층, 예를 들어 적색 유기 발광층 및 녹색 유기 발광층에서 광이 발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실시예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의 정공 주입층,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에 대한 HOMO 레벨 및 이동도를 나타내는 표이며, 도 5b는 실시예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의 제3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발광되는 광의 파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참고로, 실시예 3에서는 별도로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도시하지는 않았다.
도 5a를 참조하면, 실시예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에서 정공 주입층은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보다 높은 HOMO 레벨 및 큰 이동도를 갖는다.
도 5b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실시예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들에서 제3 유기 발광층, 즉 청색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495 nm 내지 780 nm의 파장의 녹색 및 적색 광이 매우 적은 수준으로 발광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정공 주입층의 HOMO 레벨을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유기 발광층의 HOMO 레벨보다 높게 구성하고, 정공 주입층의 이동도를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유기 발광층의 이동도보다 크게 구성하는 경우, 제3 유기 발광층, 예를 들어 청색 유기 발광층을 구동할 때에 누설 전류로 인해 구동을 의도하지 않은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유기 발광층, 예를 들어 적색 유기 발광층 및 녹색 유기 발광층에서 광이 발광되는 것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a는 비교예의 제1 서브 화소, 제2 서브 화소 및 제3 서브 화소에 대한 전류 밀도-전압 곡선(J-V curve)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b는 실시예 3의 제1 서브 화소, 제2 서브 화소 및 제3 서브 화소에 대한 전류 밀도-전압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제1 서브 화소는 적색 서브 화소로, 제2 서브 화소는 녹색 서브 화소로, 제3 서브 화소는 청색 서브 화소를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제1 서브 화소의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서브 화소의 제2 유기 발광층 각각의 턴-온 전압이 제3 서브 화소의 제3 유기 발광층의 턴-온 전압보다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도 6b를 참조하면, 실시예 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제1 서브 화소의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서브 화소의 제2 유기 발광층 각각의 턴-온 전압이 제3 서브 화소의 제3 유기 발광층의 턴-온 전압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비교예에서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전류 누설 현상으로 인해 의도치 않은 서브 화소에서 광이 발광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기판
120a: 제1 애노드
120b: 제2 애노드
120c: 제3 애노드
130: 정공 주입층
140: 공통 정공 수송층
150a: 제1 정공 수송층
150b: 제2 정공 수송층
160a: 제1 유기 발광층
160b: 제2 유기 발광층
160c: 제3 유기 발광층
170: 전자 수송층
180: 캐소드
190: 유기물층
R: 적색 서브 화소
G: 녹색 서브 화소
B: 청색 서브 화소

Claims (18)

  1. 제1 서브 화소, 제2 서브 화소 및 제3 서브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서브 화소, 상기 제2 서브 화소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에서 동일 평면 상에 공통으로 배치되며,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정공 주입층;
    상기 제1 서브 화소, 상기 제2 서브 화소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에서 상기 정공 주입층의 상면에 배치된 공통 정공 수송층;
    상기 제1 서브 화소 및 상기 제2 서브 화소 각각에서 상기 공통 정공 수송층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정공 수송층 및 제2 정공 수송층;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2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3 서브 화소에서 상기 공통 정공 수송층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3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1) 상기 정공 주입층의 HOMO 레벨이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HOMO 레벨보다 높은 것; 및
    2) 상기 정공 주입층의 이동도(mobility)가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이동도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주입층과 상기 공통 정공 수송층은 동일한 호스트 물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주입층,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은 방향족 아민 계열의 물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주입층을 구성하는 물질, 상기 제1 정공 수송층을 구성하는 물질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을 구성하는 물질은 서로 동일한 주 사슬을 가지며, 서로 상이한 치환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주입층의 HOMO 레벨은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HOMO 레벨보다 적어도 0.2 eV 이상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주입층의 이동도는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이동도보다 10배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2 유기 발광층 각각은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발광하며, 적색 및 녹색 중 하나의 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기 발광층은 청색 광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2 유기 발광층 각각의 턴-온 전압(Turn-on voltage)은 상기 제3 유기 발광층의 턴-온 전압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두께는 마이크로 캐비티(microcavity)의 광학적 거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공 수송층과 상기 제2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탑 에미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1 애노드, 제2 애노드 및 제3 애노드가 배치된 기판;
    상기 제1 애노드, 상기 제2 애노드 및 상기 제3 애노드 상에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며,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정공 주입층;
    상기 제1 애노드, 상기 제2 애노드 및 상기 제3 애노드 각각 상에 배치된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청색 유기 발광층;
    상기 제1 애노드, 상기 제2 애노드 및 상기 제3 애노드 상에서 상기 정공 주입층의 상면에 배치된 공통 정공 수송층;
    상기 적색 유기 발광층과 상기 공통 정공 수송층 사이에 배치된 제1 정공 수송층;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과 상기 공통 정공 수송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적색 유기 발광층,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청색 유기 발광층 상에 공통으로 배치된 캐소드를 포함하고,
    1) 상기 정공 주입층의 HOMO 레벨이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HOMO 레벨보다 높은 것; 및
    2) 상기 정공 주입층의 이동도(mobility)가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이동도보다 큰 것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은 상기 공통 정공 수송층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적색 유기 발광층은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은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청색 유기 발광층은 상기 공통 정공 수송층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노드, 상기 제2 애노드 및 상기 제3 애노드 각각은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 상에 형성된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 사이에 전류가 흐를 때에,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에 의해 상기 적색 유기 발광층 및 상기 녹색 유기 발광층으로의 상기 전류의 흐름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주입층의 HOMO 레벨은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HOMO 레벨보다 적어도 0.2 eV 이상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주입층의 이동도는 상기 제1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정공 수송층 각각의 이동도보다 10배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40129299A 2014-09-26 2014-09-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98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299A KR102298122B1 (ko) 2014-09-26 2014-09-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299A KR102298122B1 (ko) 2014-09-26 2014-09-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941A KR20160036941A (ko) 2016-04-05
KR102298122B1 true KR102298122B1 (ko) 2021-09-02

Family

ID=5580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299A KR102298122B1 (ko) 2014-09-26 2014-09-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9877B (zh) * 2016-11-21 2019-06-14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和有机发光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127B1 (ko) * 2006-02-14 2007-08-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75867B1 (ko) * 2008-06-19 2010-08-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1813533B1 (ko) * 2011-11-14 2018-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KR102037819B1 (ko) * 2012-12-24 2019-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66092B1 (ko) * 2012-12-24 2020-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941A (ko) 201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230B1 (ko) 백색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70334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417729B (zh) 白色有机发光器件
KR102165234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410499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521109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50113399A (ko) 유기 발광 소자
KR102595367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037819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46290A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43033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46948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90381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유기발광 적층구조물
KR10229812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94141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9864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466254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60073461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159710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133407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230940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279513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52154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595242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369068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