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792B1 - 자동온도조절 밸브 - Google Patents

자동온도조절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792B1
KR102297792B1 KR1020207016769A KR20207016769A KR102297792B1 KR 102297792 B1 KR102297792 B1 KR 102297792B1 KR 1020207016769 A KR1020207016769 A KR 1020207016769A KR 20207016769 A KR20207016769 A KR 20207016769A KR 102297792 B1 KR102297792 B1 KR 102297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port
memory spring
port
valv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5329A (ko
Inventor
하오밍 치우
쯔용 리아오
Original Assignee
쯔지앙 산후아 오토모티브 컴포넌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116965.7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780260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1115307.6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780259B/zh
Application filed by 쯔지앙 산후아 오토모티브 컴포넌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쯔지앙 산후아 오토모티브 컴포넌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8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01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23/02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with sensing element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response to changes of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F16H57/0413Controlled cooling or heating of lubricant; Temperature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8Arrangements of lubricant 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04Lubricant cooler
    • F01P2060/045Lubricant cooler for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70/00Details
    • F01P2070/02Details using shape memory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단부 캡(30), 밸브 본체(10) 및 밸브 본체의 밸브 챔버(10a)에 위치된 밸브 코어(40)를 포함하는 자동온도조절 밸브가 개시되며, 자동온도조절 밸브는 제1 유출구(101), 제2 유출구(104), 밸브 챔버와 연통하는 제1 유입구(103), 밸브 챔버 및 제2 유출구와 연통하는 제1 밸브 포트(B), 그리고 밸브 챔버 및 제1 유출구와 연통하는 제2 밸브 포트(A)를 가지고, 밸브 챔버에는 리턴 스프링(202) 및 메모리 스프링(201)이 추가로 구비된다. 온도가 특정 값으로 상승하면, 메모리 스프링은 탄성력을 생성하여 밸브 코어를 복귀력을 극복하며 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제1 밸브 포트를 닫는다. 밸브 본체 또는 밸브 코어 또는 단부 캡에는 초기 위치 및 작동 위치가 구비되며, 메모리 스프링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초기 위치에 위치된다. 온도가 특정 값으로 상승하면, 메모리 스프링이 변형되어 후단부가 초기 위치에서 분리되어 작동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메모리 스프링은 응답시간이 더 빠르며 즉시 다른 유로로 전환할 수 있다. 자동온도조절 밸브는 부피가 작으며, 초기 위치 및 작동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관련 장치는 초기 상태에서 제1 유출구를 통해 매체로 채워질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온도조절 밸브
본원은 밸브 본체의 기술 분야, 특히 자동온도조절 밸브에 관한 것이다.
윤활유는 윤활 및 냉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의 변속기에 수용되어야 하며, 윤활유는 적절한 작동 온도에서 제어되어야 한다.
변속기에서 윤활유의 온도가 높을 때, 윤활유는 외부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냉각장치는 냉각수 또는 냉매를 사용하여 고온의 윤활유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함으로써, 변속기의 윤활유를 특정 작동 온도 범위 내로 유지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윤활유의 온도가 낮으면, 윤활유는 냉각장치를 통과하지 않는다. 즉, 변속기의 윤활유가 유출될 때 두 개의 유로가 있는데, 하나의 유로는 냉각장치를 통과하고, 다른 하나는 냉각장치를 통과하지 않는다.
현재, 상기 2 개의 유로의 전환은 자동온도조절 밸브를 통해 수행된다. 자동온도조절 밸브에는 열 액추에이터와 스프링이 구비된다. 열 액추에이터는 감 열성 물질에 의해 감지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열적으로 팽창 및 수축된다. 열팽창 중에는, 스프링에 힘이 전달되어 냉각장치를 통과하는 유로가 개방되며, 냉각수축 중에는, 스프링이 리셋되어 냉각장치를 통과하는 유로가 우회된다.
상기 해결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문제가 있다.
감열성 물질에 의한 온도 감지로부터 열적 팽창 및 수축 공정, 그 후 스프링에 힘을 가하기까지에 필요한 응답 시간이 있다. 즉, 열 액추에이터의 응답 시간이 길어서, 윤활유 온도의 특정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유발하므로, 변속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상기 감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열 액추에이터는 부피가 크다.
온도 제어의 감지 시간을 개선하기 위해 본원에 따라 자동온도조절 밸브가 제공된다.
단부 커버, 밸브 본체 및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 캐비티에 위치한 밸브 코어를 포함하는 자동온도조절 밸브가 본원의 기술적 해법에 따라 제공되며, 자동온도조절 밸브는 제1 유출구, 제2 유출구 및 밸브 캐비티와 연통하는 제1 유입구를 가지고, 밸브 본체에는 밸브 캐비티를 제2 유출구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제1 밸브 포트가 추가로 구비되며, 밸브 코어의 이동 중에 밸브 코어는 제1 밸브 포트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밸브 캐비티에는 리턴 스프링 및 메모리 스프링이 추가로 구비되고, 메모리 스프링은 메모리 합금으로 제조되며, 리턴 스프링은 복귀력을 제공하여 밸브 코어가 제1 밸브 포트를 개방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 스프링은 일 단부가 밸브 코어의 일 단부와 접촉하고, 다른 일 단부가 단부 커버와 접촉하며, 온도가 특정 값으로 상승할 때, 메모리 스프링은 탄성력을 발생시켜 밸브 코어를 복귀력에 대항하여 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제1 밸브 포트를 폐쇄하도록 구성되고,
밸브 코어의 외벽의 적어도 일부는 밸브 캐비티의 내벽과 슬라이딩 결합되고, 제1 유입구는 밸브 본체의 측벽에 구비된다.
열 액추에이터를 갖는 기술적 해법과 비교하여, 메모리 스프링을 사용하는 해법의 응답 시간이 더 빠르며, 상기 기술적 해법에서는 매체를 다른 유로로 전환하기에 늦지 않게 제1 밸브 포트가 개방될 수 있다. 냉각기와 변속기에 적용하면 변속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열 액추에이터와 비교하여, 메모리 스프링과 밸브 코어의 조합은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다.
도 1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온도조절 밸브를 다른 각도에서 본 개략도로서, 바닥을 도시하며,
도 3은 도 1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단면도로서, 제2 밸브 포트가 폐쇄되고 제1 밸브 포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밸브 코어가 우측으로 이동된 후의 도 3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도 3의 밸브 본체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2 밸브 포트가 폐쇄되고 제1 밸브 포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7은 밸브 코어가 우측으로 이동된 후의 도 6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본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초기 상태에서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갖고 제2 밸브 포트가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갖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9는 온도가 특정 값으로 상승하고 메모리 스프링이 변형된 후의 도 8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온도가 특정 값 아래로 떨어지고 메모리 스프링이 특성을 상실한 후의 도 9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개방되고 제2 밸브 포트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1은 도 8의 밸브 코어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초기 상태에서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갖고 제2 밸브 포트가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갖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13은 온도가 특정 값으로 상승하고 메모리 스프링이 변형된 후의 도 12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는 온도가 특정 값 아래로 떨어지고 메모리 스프링이 특성을 상실한 후의 도 13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개방되고 제2 밸브 포트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5는 도 12의 단부 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6은 본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초기 상태에서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갖고 제2 밸브 포트가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갖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17은 온도가 특정 값으로 상승하고 메모리 스프링이 변형된 후의 도 16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8은 온도가 특정 값 아래로 떨어지고 메모리 스프링이 특성을 상실한 후의 도 17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개방되고 제2 밸브 포트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9는 본원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0은 도 19의 밸브 코어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1은 본원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2는 본원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개방되고 제2 밸브 포트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3은 온도가 상승하고 메모리 스프링이 변형된 후의 도 22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4는 설치 후 도 22의 단부 커버, 밸브 코어, 리턴 스프링 및 메모리 스프링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5는 도 24의 개략사시도이고,
도 26은 본원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밸브 포트(B)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A)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7은 본원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개방되고 제2 밸브 포트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8은 밸브 코어가 우측으로 이동된 후의 도 27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2 밸브 포트가 개방되고 제1 밸브 포트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9는 도 27의 밸브 코어의 개략도이다.
본원은 2017년 11월 13일에 중국특허청에 출원된 "자동온도조절 밸브"라는 명칭의 중국특허출원 제201711116965.7호 및 2017년 11월 13일에 중국특허청에 출원된 "자동온도조절 밸브"라는 명칭의 중국특허출원 제201711115307.6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들은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통상의 기술자가 본원의 기술적 해법을 더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본원은 도면 및 특정 실시예와 함께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온도조절 밸브를 다른 각도에서 본 개략도로서, 바닥을 도시하며, 도 3은 도 1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단면도로서, 제2 밸브 포트가 폐쇄되고 제1 밸브 포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밸브 코어가 우측으로 이동된 후의 도 3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도 3의 밸브 본체의 개략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온도조절 밸브는 밸브 본체(10)를 포함하며, 밸브 본체 내부에 밸브 캐비티(10a)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캐비티(10a)는 밸브 본체(10)의 일 단부면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관통하여 좌측 단부에 단부 포트를 갖는 밸브 캐비티(10a)를 형성하며, 단부 포트를 차단하기 위해 단부 커버(30)가 사용된다. 밸브 캐비티(10a)에는 밸브 코어(40)가 구비되며, 밸브 코어(40)는 밸브 캐비티(10a)를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축 방향은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의 밸브 캐비티(10a)의 연장 방향을 나타내며, 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좌우 방향이다. 밸브 본체(10)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일 때, 이때의 축 방향은 밸브 본체(10)의 길이 방향 또는 밸브 캐비티(10a)의 길이 방향을 지칭하기도 한다.
자동온도조절 밸브는 제1 유출구(101), 제2 유입구(102) 및 제2 유출구(104)를 가지며, 밸브 캐비티(10a)와 연통하는 제1 유입구(103)를 또한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구들 및 유출구들은 밸브 본체(10)의 외벽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는 외부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서, 밸브 캐비티(10a)를 제2 유출구(104)와 연통시키기 위한 제1 밸브 포트(B) 및 밸브 캐비티(10a)를 제1 유출구(101)와 연통시키기 위한 제2 밸브 포트(A)가 또한 밸브 본체(10)에 구비된다. 제2 밸브 포트(A)는 구체적으로 밸브 캐비티(10a)의 측면 캐비티 벽에 구비되고, 제2 밸브 포트(A)와 제1 유출구(101) 사이에 유출구 통로(10d)가 형성된다. 제1 밸브 포트(B)는 밸브 캐비티(10a)의 단부 캐비티 벽, 즉 도 3의 우측 단부에 있는 캐비티 벽에 형성되고, 좌측 단부는 단부 커버(30)에 의해 차단된 단부 포트이다. 제1 밸브 포트(B)는 제2 유출구 통로를 통해 제2 유출구(104)와 연통하고, 도 3의 제2 유출구 통로는 작은 구멍(10c), 및 제2 유입구(102)와 제2 유출구(104) 사이의 직선 통로(10b)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 따른 자동온도조절 밸브는 변속기와 냉각기 사이에 사용될 수 있다. 자동온도조절 밸브 내부를 흐르는 매체는 윤활유이다. 즉,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제1 유출구(101)는 냉각기의 유입구와 연통하고, 제2 유입구(102)는 냉각기의 유출구와 연통하며, 제2 유출구(104)는 변속기의 유입구와 연통하고, 제1 유입구(103)는 변속기의 유출구와 연통한다. 변속기에서 유출된 후, 윤활유는 제1 유입구(103)를 통해 자동온도조절 밸브로 들어가고, 이어서 윤활유는 제1 포트(B) 및 제2 유출구(104)를 통해 변속기로 바로 다시 유입되거나, 또는 윤활유는 냉각될 제2 포트(A) 및 제1 유출구(101)를 통해 냉각기로 유입되고, 제2 유입구(102) 및 제2 유출구(104)를 통해 변속기로 복귀한다. 다음의 주요 작동 과정이 또한 본원에 의해 예시된다. 다만, 변속기와 냉각기는 본원에서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전형적인 적용일 뿐이라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변속기 외에도 자동온도조절 밸브는 매체 유로를 조정하기 위해 온도를 제어하는 데 필요한 다른 응용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밸브 코어(40)는 제1 밸브 포트(B) 및 제2 밸브 포트(A)의 개폐를 전환하도록 이동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코어(40)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1 밸브 포트(B)를 차단하고 제2 밸브 포트(A)를 개방할 수 있고, 밸브 코어(40)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2 밸브 포트(A)를 차단하고 제1 밸브 포트(B)를 개방할 수 있다. 제1 밸브 포트(B) 및 제2 밸브 포트(A)의 개방 및 폐쇄는 2개의 유로의 전환을 실현하고, 자동온도조절 밸브가 변속기와 냉각기에 적용될 때, 윤활유는 냉각기를 통과함으로써 냉각될 수 있거나 냉각 없이 변속기로 바로 복귀될 수 있다.
밸브 코어(40)의 이동은 주로 밸브 캐비티(10a)에 구비된 리턴 스프링(202) 및 메모리 스프링(201)에 의해 이루어진다. 메모리 스프링(201)은 형상기억합금 재료(SMA: Shape Memory Alloy)로 만들어진 스프링이다. 리턴 스프링(202)은 밸브 코어(40)가 제1 밸브 포트(B)를 개방하게 하는 복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턴 스프링(202)은 인장 스프링, 즉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이다. 도 3에서 밸브 코어(40)의 당기는 힘의 방향은 좌측이다. 좌측 스프링은 밸브 코어(4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밸브 코어(40)는 무게를 줄이고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I자형 축 방향 단면을 갖는 구조로 가공될 수 있다. 온도가 특정 값으로 상승하면, 메모리 스프링(201)의 탄성 특성이 활성화되고, 메모리 스프링(201)은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위치에너지를 갖는다. 탄성력의 방향은, 밸브 코어(40)를 복귀력에 대항하여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당기는 힘의 방향과 반대이다. 활성화되는 메모리 스프링(201)의 탄성에 대응하는 특정 값은 필요조건에 따라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고, 따라서 경로 전환이 요구되는 주위 온도에서의 온도 증가로 인해 메모리 스프링(201)이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음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도 3에 도시된 작동 상태에서, 매체(예를 들어, 변속기의 상기 윤활유)는 제1 유입구(103)로부터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밸브 캐비티(10a)로 흐른다. 제2 밸브 포트(A)가 폐쇄되고 제1 밸브 포트(B)가 개방되기 때문에, 매체는 제1 밸브 포트(B)를 통해 작은 구멍(10c), 직선 통로(10b) 및 제2 유출구(104)로 흘러서 변속기로 복귀한다.
매체의 온도가 특정 값으로 상승하면, 자동온도조절 밸브는 도 4에 도시된 작동 상태에 있고, 메모리 스프링(201)의 탄성 특성이 활성화되며, 생성된 탄성력은 리턴 스프링(202)의 복귀력보다 크다. 이때, 밸브 코어(40)는 메모리 스프링(201)과 리턴 스프링(202)에 의해 가해지는 힘 사이의 차이에 의해 제1 밸브 포트(B)를 향해 이동한다. 밸브 코어(40)는 제1 밸브 포트(B)를 차단하고 제2 밸브 포트(A)를 개방할 수 있다. 매체가 제1 유입구(103)로부터 유입된 후, 매체는 냉각될 제2 밸브 포트(A), 유출구 통로(10d) 및 제1 유출구(101)를 통해 냉각기에 유입된다. 냉각된 윤활유는 냉각기 밖으로 유출된 다음, 제2 유입구(102)로부터 밸브 캐비티(10a)로 유입되고, 직선 통로(10b)와 제2 유출구(104)를 통해 변속기에 다시 유입된다.
매체의 온도가 특정 값 아래로 떨어진 후에는, 메모리 스프링(201)의 탄성 특성이 작동하지 않고, 탄성력이 감소된 다음 사라지며, 밸브 코어(40)는 리턴 스프링(202)의 복귀력에 의해 제1 밸브 포트(B)로부터 멀어진다. 이때, 제1 밸브 포트(B)가 개방되고, 제2 밸브 포트(A)는 폐쇄되며, 밸브 코어(40)는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스프링(201)은 밸브 코어(40)의 동작을 구동하는 열 액추에이터로서 기능하며, 구조가 간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모리 스프링(201) 및 리턴 스프링(202)은 모두 단부 커버(30)와 밸브 코어(40) 사이에 구비된다. 배열 방식이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명백하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은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2 밸브 포트가 폐쇄되고 제1 밸브 포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7은 밸브 코어가 우측으로 이동된 후의 도 6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메모리 스프링(201)은 단부 커버(30)와 밸브 코어(40) 사이에 위치된다. 메모리 스프링(201)은 일 단부가 밸브 코어(40)의 다른 일 단부와 접촉하고, 다른 일 단부는 단부 커버(30)와 접촉한다. 밸브 본체(10)에 단차진 구멍이 형성되고, 단차진 구멍 중 큰 구멍은 밸브 캐비티(10a)이고, 제1 밸브 포트(B)는 작은 구멍(10c)과 큰 구멍의 연결부에 형성된다. 차이점은,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의 리턴 스프링(202)이 당기는 힘 대신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는 점, 즉 리턴 스프링(202) 및 메모리 스프링(201)이 각각 밸브 코어(40)의 양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는 점이다. 리턴 스프링(202)의 일 단부는 밸브 코어(40)의 일 단부와 접촉하고, 리턴 스프링(202)의 타 단부는 밸브 본체(10)에 맞닿아 밸브 코어(40)에 반대 방향 힘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리턴 스프링(202)은 작은 구멍(10c)에 구비되고, 작은 구멍(10c)에는 단차부가 구비된다. 리턴 스프링(202)은 밸브 코어(40)와 단차부 사이에서 미리 압축되어 밸브 코어(40)를 제1 밸브 포트(B)로부터 멀어지게 하기 위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며, 탄성복원력의 방향은 밸브 코어(40)에 인가된 메모리 스프링(201)의 탄성력의 방향과 반대이다. 이때, 리턴 스프링(202)과 대향하는 밸브 코어(40)의 우측 단부에는 리턴 스프링(202) 내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리턴 스프링(202)을 조립하고 또한 밸브 코어(40)의 위치 결정 및 안내 역할을 할 수 있다.
물론, 작은 구멍(10c)에 단차부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고, 리턴 스프링(202)의 우측 단부는 직선 통로(10b)의 내벽에 직접 맞닿을 수 있다. 또는 직선 통로(10b)의 내벽에 오목 구멍이 제공되고, 리턴 스프링(202)의 우측 단부는 오목 구멍에 직접 맞닿는다. 리턴 스프링(202)은 밸브 코어(40)와 밸브 캐비티(10a)의 우측 단부의 캐비티 벽 사이에서 미리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밸브 코어(40)의 우측 단부는 밸브 코어(40)가 우측으로 이동할 때 제1 밸브 포트(B)를 차단할 수 있는 실링부이고, 메모리 스프링(201)은 제2 밸브 포트(A)의 실링부로서 기능한다. 매체의 온도가 낮을 때, 메모리 스프링(201)은 압축되어 빡빡한 상태이고 제2 밸브 포트(A)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밸브 포트(A)를 차단할 수 있다. 메모리 스프링(201)이 가열 및 팽창될 때는, 메모리 스프링(201)이 변형 및 신장되고, 메모리 스프링(201)의 직경이 감소하며, 제2 밸브 포트(A)와 메모리 스프링(201) 사이에 간극이 나타나고, 메모리 캐비티(201)의 여러 스프링 코일들 사이에 노치가 나타날 수도 있으며, 밸브 캐비티(10a) 내의 매체는 간극 및 노치를 통해 제2 밸브 포트(A)로 흐른 다음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밸브 포트 A가 개방된다. 이 구성에 의해, 메모리 스프링(201)은 밸브 코어(40)의 이동을 구동하는 열 액추에이터로서 기능할뿐만 아니라 실링부로서도 작용하여, 밸브 코어(40)의 구조를 단순화함을 알 수 있다.
물론, 제2 밸브 포트(A)를 차단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도 8은 본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초기 상태에서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밸브 포트(B)가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갖고 제2 밸브 포트(A)가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갖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9는 온도가 특정 값으로 상승하고 메모리 스프링(201)이 변형된 후의 도 8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1 밸브 포트(B)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A)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온도가 특정 값 아래로 떨어지고 메모리 스프링(201)이 특성을 상실한 후의 도 9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1 밸브 포트(B)가 개방되고 제2 밸브 포트(A)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1은 도 8의 밸브 코어(40)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밸브 포트(A)가 밸브 캐비티(10a)의 측면 캐비티 벽에도 구비되고, 제1 밸브 포트(B)는 밸브 캐비티(10a)의 단부 캐비티 벽에 구비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밸브 코어(40)에는 슬리브 부분(402)이 추가로 구비되고, 메모리 스프링(201)은 슬리브 부분(402)에 구비되며 단부 커버(30)와 밸브 코어(40)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밸브 코어(40)의 우측 단부는 제1 밸브 포트(B)를 차단하기 위한 제1 실링부를 형성하고, 밸브 코어(40)상의 슬리브 부분(402)은 제2 밸브 포트(A)를 차단하기 위한 제2 실링부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슬리브 부분(402)의 외벽은 밸브 캐비티(10a)의 측면 캐비티 벽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제2 밸브 포트(A)를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 스프링(201)은 밸브 코어(40)를 온도 변화에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열 액추에이터로서만 기능한다.
메모리 스프링(201)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밸브 코어(40)와 대향하는 단부 커버(30)의 내측 단부면 상에 돌출 플랫폼이 제공되고, 메모리 스프링(201)의 일 단부는 돌출 플랫폼 상에 슬리브된다. 밸브 코어(40)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401) 및 본체부(401)의 일부의 외부에 슬리브된 슬리브 부분(402)을 포함한다. 본체부(401)의 좌측 단부는 슬리브 부분(402) 내로 연장된다. 메모리 스프링(201)의 다른 일 단부는 본체부(401)의 좌측 단부에 슬리브된다. 밸브 코어(40)의 슬리브 부분(402) 및 본체부(40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가공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밸브 본체(10)에 단차진 구멍이 역시 형성된다. 단차진 구멍 중 큰 구멍은 밸브 캐비티(10a)이고, 제1 밸브 포트(B)는 단차진 구멍의 큰 구멍과 작은 구멍(10c)의 연결부에 형성된다. 또한, 밸브 코어(40)의 본체부(401)의 우측 단부는 제1 실링부로서 기능하며 안내 로드(403)에도 연결된다. 안내 로드(403) 및 본체부(401)는 개별적으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 로드(403)는 작은 구멍(10c)에 삽입되어 밸브 코어(4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안내 로드(403)가 안내를 위해 작은 구멍(10c)에 삽입되도록 밸브 코어(40) 상에 제공된다는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밸브 포트(B)와 대향하는 밸브 코어(40)의 단부는 중량을 줄이고 재료를 절약하기 위해 중공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밸브 포트(B)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로서, 밸브 코어(40)의 우측 단부에는 리턴 스프링(202) 내로 삽입되는 돌출 플랫폼이 제공된다. 리턴 스프링(202)은 작은 구멍(10c)에 위치되며 또한 특정 안내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실시예에서, 안내 로드(403)는 안내를 위해 작은 구멍(10c)에 직접 삽입되며, 안내 효과가 더 우수하다. 슬리브 부분(402)이 구비되기 때문에, 리턴 스프링(202)을 설치하기 위해 작은 구멍(10c)의 구멍 벽 상에 단차부를 가공할 필요가 없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스프링(202)은 슬리브 부분(402)과 밸브 캐비티(10a)의 단부 캐비티 벽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 밸브 코어(40)에는 슬리브 부분(402)이 구비되기 때문에, 슬리브 부분(402)은 밸브 캐비티(10a)의 측면 캐비티 벽과 슬라이딩 결합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입구(103)에 가까운 슬리브 부분(402)의 바닥(즉, 도 8에서 바닥 아래쪽)에 개구(402b)가 구비되므로, 매체는 슬리브 부분(402)의 내부 캐비티 내로 흐를 수 있고 따라서 제2 밸브 포트(A)로 흐른다.
매체가 메모리 스프링(201)과 더 빠르고 더 많이 접촉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닥을 관통하는 안내 유입구(402a)가 도 8에서 제1 유입구(103)로부터 멀리 떨어진 슬리브 부분(402)의 바닥(도 8에서 바닥 위쪽)에 추가로 구비되며, 유동 안내 통로로서, 안내 유입구(402a)는 밸브 캐비티(10a)를 슬리브 부분(402)의 내부 캐비티와 연통 시키도록 구성된다. 안내 유입구(402a)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밸브 코어(40)의 본체부(401)의 좌측 단부에 단부 돌출 플랫폼(401a)이 제공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초기 상태에서, 즉 공장을 떠날 때, 메모리 스프링(201)의 일 단부는 단부 돌출 플랫폼(401a) 주위에 둘러싸이고, 단부 돌출 플랫폼(401a)과 본체부(401)에 의해 형성된 단차면에 맞닿는데, 이 단차면은 메모리 스프링(201)의 단부의 초기 위치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밸브 포트(B)는 완전히 개방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가지며, 제2 밸브 포트(A)는 또한 미리 설정된 초기 개방도를 가지므로, 자동온도조절 밸브는 제2 밸브 포트(A)가 초기 상태에서 항상 개방되는 특성을 가지며, 이로써 변속기에 윤활유를 채우는 동시에 초기 상태의 냉각기에 윤활유를 채우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초기 충전의 요건을 충족시킨다. 즉, 두 밸브 포트가 모두 개방된다.
그 후, 윤활유의 온도가 특정 값으로 상승할 때, 메모리 스프링(201)은 어느 정도 변형되고 팽창함으로써, 단부 돌출 플랫폼(401a)으로부터 분리되고 더 큰 외경으로 본체부(401)를 둘러싼다. 메모리 스프링(201)은 이후 정상 작동 상태로 전환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본체부(401)를 둘러싸며, 변형되어 슬리브 부분(402)의 바닥 위치에 맞닿는다. 이 위치가 작동 위치이다. 이때, 제1 밸브 포트(B)는 메모리 스프링(201)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메모리 스프링(201)의 단부의 초기 위치 및 작동 위치는 단부와 밸브 본체(10)(밸브 캐비티의 캐비티 벽 또는 밸브 본체(10)의 단부 커버(30))의 상대 위치 또는 단부와 밸브 코어(40)의 상대 위치를 지칭하며, 밸브 코어(40)가 이동함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온도가 특정 값보다 낮으면, 메모리 스프링(201)은 그 특성을 상실한다. 리턴 스프링(202)의 복귀력의 작용에 의해, 밸브 코어(40)가 이동하여 메모리 스프링(201)을 압축시킨다. 슬리브 부분(402)의 하부와 단부 커버(30) 사이의 거리는 본체부(401)의 돌출 플랫폼과 단부 커버(30) 사이의 거리보다 크며, 따라서 메모리 스프링(201)이 본체부(401)의 돌출 플랫폼으로부터 분리되어 본체부(401)를 둘러싸는 경우, 밸브 코어(40)는 리턴 스프링(202)의 작용에 의해 단부 커버(30)에 더 가깝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부분(402)은 제2 밸브 포트(A)를 차단하여 미리 설정된 초기 개방도를 제거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설정 방법이 제공됨을, 즉 2단계 단차부(단부 돌출 플랫폼(401a)과 본체부(401) 사이의 단차면이 제1 단차면이고, 슬리브 부분(402)의 바닥이 제2 단차면임)가 밸브 코어(40) 상에 제공되고, 초기 위치 및 작동 위치는 각각 제1 단차면 및 제2 단차면에 의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메모리 스프링(201)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밸브 포트(B)는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가지며, 메모리 스프링(201)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밸브 코어(40)와 제1 밸브 포트(B) 사이의 거리는 메모리 스프링(201)이 작동 위치에 있고 온도가 특정 값보다 낮을 때 밸브 코어(40)와 제1 밸브 포트(B)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밸브 코어(40)가 특정 위치에 있을 때, 초기 위치와 단부 커버(40) 사이의 거리는 작동 위치와 단부 커버(40)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모리 스프링(201)이 (특정 값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임의의 온도 환경에 있을 때, 제1 밸브 포트(B)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제2 밸브 포트(A)는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갖는다(제2 밸브 포트(A)가 구비되지 않으면, 매체는 제1 유출구(104)로 직접 흐를 수 있다). 작동 위치에서 이후에는, 단부 커버(30)와 밸브 코어(40) 사이의 거리가 더 길어지므로, 리턴 스프링(202)은 밸브 코어(40)가 메모리 스프링(202)을 더 많은 거리만큼 압축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제1 밸브 포트(B)를 개방하고 제2 밸브 포트(A)를 폐쇄할 수 있다.
초기 위치와 작동 위치의 설정은 밸브 코어(40)와 단부 커버(30) 또는 밸브 코어(40)와 밸브 본체(1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메모리 스프링(201)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가 2개의 작동 위치에서 상이한 정도로 압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밸브 포트(B)의 개폐를 달성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위치 및 작동 위치는 밸브 코어(40) 또는 밸브 본체(10)에서 설정될 수도 있고, 이는 2단계 단차부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으며, 밸브 코어(40)와 밸브 본체(10) 양쪽 모두가 초기 위치 및 작동 위치로, 또는 밸브 코어(40)와 단부 커버(30) 양쪽 모두가 초기 위치 및 작동 위치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메모리 스프링(201)의 양단부가 초기 위치 또는 작동 위치에 맞닿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1 유출구(101), 제2 유입구(102), 제2 유출구(104) 및 제1 유입구(103)는 모두 밸브 본체(10)의 측벽에 구비되고, 제1 밸브 포트(B)는 밸브 캐비티(10a)의 단부 캐비티 벽에 구비되며, 제2 밸브 포트(A)는 밸브 캐비티(10a)의 측면 캐비티 벽에 구비된다. 제2 유출구(104)와 제2 유입구(102)는 서로 반대쪽이며, 제2 유출구(104)와 제2 유입구(102) 사이에 직선 통로(10b)가 형성된다(이하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에서도 직선 통로(10b)가 형성됨). 제1 밸브 포트(B)는 직선 통로(10b)와 연통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단차진 구멍 중 작은 구멍(10c)을 통해 직선 통로(10b)와 연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유입구(103) 및 제2 유입구(102)는 제2 유출구(104)로의 통로를 공유할 수 있어, 구조를 단순화하고 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물론, 다른 설정 방법도 채택될 수 있다.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유입구, 유출구 및 밸브 포트는 다른 방식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도 12는 본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초기 상태에서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밸브 포트(B)가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갖고 제2 밸브 포트(A)가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갖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13은 온도가 특정 값으로 상승하고 메모리 스프링(201)이 변형된 후의 도 12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는 온도가 특정 값 아래로 떨어지고 메모리 스프링(201)이 특성을 상실한 후의 도 13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1 밸브 포트가 개방되고 제2 밸브 포트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15는 도 12의 단부 커버(30)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단부 커버(30)는 실제로 밸브 본체(10)의 단부 포트 위치를 덮을 뿐만 아니라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기와 통신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기능하는 시트 전환 구조도 된다. 전환 시트에는 전환 시트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통로가 구비되며, 통로에 의해 유출구 통로(10d)가 형성된다. 유출구 통로(10d)의 내부 단부 포트는 제2 밸브 포트(A)이고, 외부 단부 포트는 제1 유출구(101)이다. 이때, 제2 밸브 포트(A) 및 제1 밸브 포트(B)는 밸브 캐비티(10a)의 축 방향을 따라서 분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밸브 코어(40)의 이동 중에, 밸브 코어(40)의 일 단부는 제1 밸브 포트(B)를 차단하기 위한 제1 실링부일 수 있고, 타 단부는 제2 밸브 포트(A)를 차단하기 위한 제2 실링부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밸브 코어(40)가 제1 밸브 포트(B) 및 제2 밸브 포트(A)를 차단하는 작업이 더욱 편리하고, 밸브 코어(40)는 가공이 더 쉽다. 이 실시예에서, 시트 전환 구조를 갖는 단부 커버(30)에 의해 형성된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제1 유출구(101)에 추가하여, 제2 유출구(104), 제2 유입구(102) 및 제1 유입구(103) 또한 밸브 본체(10)에 외부로부터 연결된 커넥터(50)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외부와 연통하는 유출구 및 유입구는 각각 밸브 본체(10) 상에 커넥터 형 구조로서 직접 형성되며, 두 해결책 모두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4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초기 개방도의 설정도 수행된다. 도 15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환 시트의 밸브 코어(40)를 향한 내측 단부에 2단계 단차부가 구비되고, 제1 단차부의 외경은 제2 단차부의 외경보다 작아서, 양쪽 다 밸브 코어(40)와 대향하는 제1 단차면(301) 및 제2 단차면(302)을 형성하며, 제1 단차면(301)은 초기 위치이고 제2 단차면(302)은 작동 위치이다. 밸브 코어(40)와 초기 위치 사이의 거리는 밸브 코어(40)와 작동 위치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장 출고 초기 상태에서, 메모리 스프링(201)의 좌측 단부는 밸브 코어(40)의 제1 단차부 주위에 둘러싸이고 제1 단차면(301)에 맞닿는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밸브 포트(B)는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A)는 미리 설정된 초기 개방도를 가지므로, 자동온도조절 밸브는 제2 밸브 포트(A)가 초기 상태에서 항상 개방되는 특성을 가짐으로써 초기 상태에서 윤활유를 변속기에 채우는 동시에 윤활유를 냉각기에 채우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초기 충전의 요건을 충족시킨다. 물론, 제2 밸브 포트(A)가 구비되지 않으면, 메모리 스프링(201)은 초기 위치에 맞닿고, 제1 밸브 포트(B)는 폐쇄되며, 윤활유는 제1 유출구(101)를 통해 냉각기로 직접 유입될 수 있다.
그 후, 윤활유의 온도가 특정 값으로 상승하면, 메모리 스프링(201)은 어느 정도 변형되어 팽창함으로써, 제1 단차부로부터 분리되어 제2 단차부 주위를 둘러싼다. 그 후, 메모리 스프링(201)은 정상 작동 위치로 전환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제2 단차부 주위로 둘러싸일 것이다. 메모리 스프링(201)은 또한 제2 단차면(302)에 맞닿도록 변형된다. 이때, 제1 밸브 포트(B)는 메모리 스프링(201)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온도가 특정 값보다 낮으면, 메모리 스프링(201)은 그 특성을 상실한다. 리턴 스프링(202)의 복귀력의 작용에 의해, 밸브 코어(40)가 이동하여 메모리 스프링(201)을 압축시킨다. 제2 단차면(302)과 밸브 코어(40) 사이의 거리는 제1 단차면(301)과 밸브 코어(40) 사이의 거리보다 크고, 따라서 메모리 스프링(201)이 제1 단차부로터 분리되고 제2 단차부 주위에 둘러싸일 때, 밸브 코어(40)는 리턴 스프링(202)의 작용에 의해 단부 커버(30)에 더 가까울 것이며, 밸브 코어(40)의 좌측 단부는 제2 밸브 포트(A)를 차단하여 미리 설정된 초기 개방도를 제거하고, 제1 밸브 포트(B)는 이제 개방된다.
제4 실시예에서, 밸브 코어(40)의 제2 밸브 포트(A)와 대향하는 단부(도 12에서 좌측 단부, 즉 제2 실링부)의 외주부는 테이퍼진다. 즉, 제2 밸브 포트(A)를 더 잘 차단하고 안내 효과를 갖기 위해, 제2 밸브 포트(A)와 협동하는 테이퍼 형 표면을 갖는다. 메모리 스프링(201)에 용이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밸브 코어(40)의 좌측 단부에는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돌출부가 구비되고, 메모리 스프링(201)의 우측 단부는 주변 돌출부에 맞닿는다. 밸브 코어(40)의 제1 밸브 포트(B)와 대향하는 단부(도 12에서 우측 단부, 즉 제1 실링부)는 돌출 플랫폼을 가지며 돌출 플랫폼은 리턴 스프링(20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리턴 스프링(202)은 작은 구멍(10c)에 배치된다.
밸브 코어(40)는 또한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6은 본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초기 상태에서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밸브 포트(B)가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갖고 제2 밸브 포트(A)가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갖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17은 온도가 특정 값으로 상승하고 메모리 스프링(201)이 변형된 후의 도 16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1 밸브 포트(B)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A)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4 실시예와 동일하며, 차이점은 밸브 코어(40)의 구조에만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코어(40)는 구형체이다. 구형 밸브 코어(40)가 제1 밸브 포트(B) 및 제2 밸브 포트(A)를 차단하기 위해 사용될 때, 더 나은 차단 효과가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형 밸브 코어(40)가 사용될 수도 있거나, 또는 적어도 차단을 위한 부분은 구형 표면으로 가공된다.
제5 실시예에서, 시트 전환 구조를 갖는 단부 커버(30) 상에 2단계 단차부가 또한 구비되어, 메모리 스프링(201)은 초기 형상을 갖고 미리 설정된 초기 개방도를 형성하며, 이는 냉각기에 냉각 오일을 채우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밸브 코어(40)의 구조와 관련하여, 본원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밸브 포트(B)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A)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9를 더욱 참조할 수 있고, 도 20은 도 19의 밸브 코어(40)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밸브 코어(40)의 구조가 서로 연결된 구형부(404)와 실링판(405)을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이 실시예는 제4 및 제5 실시예와 동일하다. 구형부(404)는 제2 밸브 포트(A)를 차단하는데 사용되고, 실링판(405)은 제1 밸브 포트(B)를 차단하는데 사용된다.
실링부(405)의 구형부(404)와 대향하는 면에는 오목 구멍(405a)이 구비되어, 구형부(404)는 오목 구멍(405a)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구형부(404)와 실링판(405)의 고정을 용이하게 한다. 실링판(405)의 다른 측면에 돌출부가 구비되어 리턴 스프링(202) 내로 삽입되는데, 이는 리턴 스프링(202)의 위치설정, 안내 및 용이한 설치의 역할을 한다. 이때, 구형부(404)는 2개의 밸브 포트의 차단을 동시에 충족시킬 필요가 없으며, 메모리 스프링(201)은 단부 커버(30)와 실링판(405) 사이에 위치된다.
도 21을 다시 참조하면, 도 21은 본원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밸브 포트(B)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A)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4 내지 제6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차이점은 밸브 요소(40)의 구조에만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밸브 코어(40)는 원통형이며, 밸브 코어(40)의 2개의 단부면은 각각 제1 밸브 포트(B) 및 제2 밸브 포트(A)를 실링하는 데 사용된다. 제1 밸브 포트(B)와 대향하는 밸브 코어(40)의 측면에는 돌기가 또한 구비되어 리턴 스프링(202) 내로 삽입되는데, 이는 리턴 스프링(202)의 위치설정, 안내 및 용이한 설치의 기능을 갖는다.
도 22 내지 도 25를 연속적으로 참조하면, 도 22는 본원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밸브 포트(B)가 개방되고 제2 밸브 포트(A)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3은 온도가 상승하고 메모리 스프링이 변형된 후의 도 22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1 밸브 포트(B)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A)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4는 설치 후 도 22의 단부 커버, 밸브 코어, 리턴 스프링 및 메모리 스프링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5는 도 24의 개략사시도이다.
제4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제2 밸브 포트(A)는 단부 커버(30)에도 구비되지만(단부 커버는 시트 전환 구조로 구현되지 않음), 제1 유출구(101)는 여전히 밸브 본체(10)의 내벽에 제공된다. 이때, 단부 커버(30)와 밸브 본체(10)에는 제1 유출구(101)를 제2 밸브 포트(A)와 연통시키는 유출구 통로(10d)가 구비되며, 유출구 통로(10d)는 실제로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형에 상당하다. 제2 밸브 포트(A)의 위치는 제4 내지 제7 실시예의 위치와 유사하며, 이는 밸브 코어(40)가 더욱 편리하게 이동하여 차단을 실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단부 커버(30)에는 구멍이 구비되고, 자동온도조절 밸브에는 밸브 스템(60)이 추가로 구비된다. 밸브 스템(60)의 일 단부는 축 방향을 따라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밸브 스템(60)의 타 단부는 단부 커버(30)로부터 연장된다. 단부 커버(30)로부터 연장되는 밸브 스템(60)의 타 단부는 밸브 코어(40)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밸브 코어(40)와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밸브 코어(40)는 이동 과정 중에 밸브 스템(6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양호한 위치설정 및 안내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커버(30)의 외주에 환형 통로가 형성되는데, 이는 매체가 제1 유출구(101)로 유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24에서, 단부 커버(30)의 좌측 단부는 밸브 캐비티(10a)의 좌측 단부 포트를 차단하는데 사용되며, 제2 밸브 포트(A)는 우측 단부에 형성되고,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 사이에 커넥터가 구비된다. 밸브 스템(60)은 제2 밸브 포트(A)로부터 커넥터로 삽입되어 좌측 단부로 들어간다. 단부 커버(30)의 좌측 단부, 우측 단부 및 커넥터는 일체로 형성되어, 구조가 신뢰할 수 있고, 밸브 스템(60) 및 메모리 스프링(201)의 안정적인 설치를 달성하며, 이들 부재가 먼저 조립된 후에 밸브 커버(10a) 내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단부 커버(30)의 좌측 단부, 우측 단부 및 커넥터는 개별적으로 형성된 후 연결될 수도 있다.
명백하게, 밸브 스템(60)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전환 구조를 갖는 단부 커버(30)에 제1 유출구(101)가 구비되는 실시예의 경우, 밸브 스템은 단부 커버(30)의 통로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밸브 스템의 단부는 커넥터에 의해 통로의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제8 실시예에서, 밸브 스템(60)이 단부 커버(30)에 고정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밸브 스템(60)은 밸브 코어(40)에 고정되고 단부 커버(3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비교하면, 밸브 스템(60)이 단부 커버(30)에 고정되는 경우, 밸브 코어(40)는 보다 매끄럽고 신뢰성 있게 작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밸브 코어(40)에는 밸브 스템(60)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관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코어(40)의 우측 단부의 외주 벽에 실링편(40')이 구비된다. 실링편(40')은 제1 밸브 포트(B)를 차단하기 위한 제1 실링부로서 기능한다. 리턴 스프링(202)을 설치하기 위해, 밸브 코어(40)의 우측 단부의 외주 벽에 환형 홈이 추가로 구비된다. 리턴 스프링(202)의 일 단부가 환형 홈에 삽입되고, 리턴 스프링(202)의 다른 일 단부는 작은 구멍(10c)의 단차부에 맞닿으며, 물론 리턴 스프링(202)의 다른 일 단부는 직선 통로(10b)의 내벽 또는 밸브 캐비티(10a)의 단부 캐비티 벽에 맞닿을 수도 있으나, 이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으로, 여기서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실링편(40')와 관련하여, 실링편(40') 역시 밸브 코어(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6은 본원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밸브 포트(B)가 폐쇄되고 제2 밸브 포트(A)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실링편(40')이 밸브 코어(40)와 일체로 형성될 때, 이는 보다 신뢰성 있는 강도를 갖는다. 리턴 스프링(202)은 실링편(40')에 직접 맞닿을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리턴 스프링(202)은 작은 구멍(10c) 및 실링편(40')의 단차부에서 미리 압축된다. 밸브 코어(40)는 본원의 각 실시예에서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고, 각 실시예의 밸브 코어(40)의 구조는 상호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각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10)의 측벽에 제1 유입구(103)가 구비될 때, 밸브 코어(40)의 이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밸브 코어(40)는 밸브 코어(40)의 적어도 일부가 밸브 캐비티(40)의 내벽과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이는 유체가 유입될 때 밸브 코어(40) 또는 메모리 스프링(201)에 대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도 27은 본원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밸브 포트(B)가 개방되고 제2 밸브 포트(A)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8은 밸브 코어가 우측으로 이동된 후의 도 27의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개략도로서, 제2 밸브 포트(A)가 개방되고 제1 밸브 포트(B)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9는 도 27의 밸브 코어(40)의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밸브 코어(40)는 밸브 캐비티(10a)를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밸브 코어(40)의 일부는 밸브 캐비티(10a)의 내벽과 슬라이딩 결합된다. 제1 밸브 포트(B)는 밸브 캐비티(10a)의 단부 캐비티 벽, 즉 축 방향 캐비티 벽에 위치하고, 제2 밸브 포트(A)는 밸브 캐비티(10a)의 측면 캐비티 벽, 즉 반경방향 캐비티 벽에 위치한다. 이 해결책에서, 제1 유입구(103)와 제2 밸브 포트(A)는 서로 반대쪽이다. 구체적으로, 제1 유입구(103)를 밸브 캐비티(10a)와 연통시키는 유입구 통로(10e)는 제2 밸브 포트(A) 및 유출구 통로(10d)와 반대쪽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유입구(103)와 제1 유출구(101) 사이의 통로는 직선 통로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밸브 포트(A)가 개방될 때, 매체는 직선 통로를 통해 유출될 수 있고, 응답이 더 빠르다.
본 실시예의 밸브 코어(40)의 구조는 제3 실시예의 구조와 유사하다. 밸브 코어(40)는 제2 밸브 포트(A)를 차단하기 위한 제2 실링부로서 작용하는 슬리브 부분(402)을 포함한다. 메모리 스프링(201)은 슬리브 부분(402)에 구비되고 밸브 코어(40)와 단부 커버(30) 사이에 위치된다. 물론, 밸브 코어(40)를 다른 구조 또는 메모리 스프링(201)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제2 밸브 포트(A)를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0 실시예에서, 슬리브 부분(402)의 개방 단부의 가장자리에 노치(402c)가 구비되어, 슬리브 부분(402) 내로 매체를 안내하기 위한 유동 안내 통로로서 기능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부분(402)이 제2 밸브 포트(A)를 차단하기 위해 사용될 때, 매체는 노치(402c)의 위치를 통해 슬리브 부분(402)에 들어갈 수 있고, 따라서 메모리 스프링(201)은 가열된 매체와 접촉하여 늦지 않게 변형될 수 있다. 유동 안내 통로는 도면에 도시된 노치(402c)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슬리브 부분(402)의 측벽 또는 바닥에 제공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출구 통로(10d)와 유입구 통로(10e)는 반대로 배열되어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슬리브 부분(402)이 밸브 캐비티(10a)의 내벽에 슬라이딩 결합될 때, 매체와 제1 밸브 포트(B) 사이의 통로를 막지 않기 위해, 도 27에서, 제2 밸브 포트(A)에 대응하는 슬리브 부분(402)의 외벽의 일부는 밸브 캐비티(10a)의 내벽과 슬라이딩 결합되고, 슬리브 부분(402)의 외벽에서 유입구 통로(10e) 및 제1 유입구(103)에 대응하는 부분과 밸브 캐비티(10a)의 내벽과의 사이에 간극이 구비되며, 이는 매체가 제1 밸브 포트(B)로 유동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즉, 제2 실링부는 제2 밸브 포트(A)를 실링하기 위해서만 필요하고, 슬리브 부분(402)에서 유입구 통로(10e)와 대향하는 부분과 밸브 캐비티(10a)의 내벽 사이에 간극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캐비티(10a)의 중심축은 밸브 코어(40)의 중심축으로부터 오프셋되고, 밸브 캐비티(10a)에서 유입구 통로(10e)에 대향하는 부분은 오목하다. 물론, 밸브 캐비티(10a)는 오목하지 않을 수 있고, 밸브 코어(40)는 축에 대하여 편심 구조로서 구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밸브 코어(40)의 일부가 밸브 캐비티(10a)의 내벽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이러한 방식은 안정성 및 내충격성을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유체 유동을 또한 촉진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밸브 본체(10)에 2단계로 단차진 구멍이 형성되고, 가장 큰 구멍 밸브 캐비티(10a)이며, 중간 구멍과 가장 큰 구멍의 사이의 연결부에 제1 밸브 포트(B)가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밸브 포트(B)를 차단하기 위해 이동하는 밸브 코어(40)의 행정이 단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큰 구멍과 작은 구멍을 포함하는 단차진 구멍을 구비하는 것도 적용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유입구(102)와 제2 유출구(104)도 서로 반대쪽이며, 제2 유입구(102)와 제2 유출구(104) 사이에 직선 통로(10b)가 형성되고, 리턴 스프링(202)은 가장 작은 구멍을 관통하며 밸브 코어(40)와 직선 통로(10b)의 내벽 사이에서 압축된다. 직선 통로(10b)의 내벽에는 리턴 스프링(20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분명히, 리턴 스프링(202)의 단부는 밸브 캐비티(10a)의 단부 벽에서 압축될 수 있거나, 또는 가장 작은 구멍에 단차부가 제공될 수 있고, 리턴 스프링(202)의 단부는 단차부에서 또는 밸브 코어(40)에서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형성된 밸브 캐비티(10a)은 일 단부에 단부 포트를 갖는 캐비티이고, 단부 포트에 단부 커버(30)가 구비되며, 단부 커버(30)와 밸브 코어(40) 사이에 메모리 스프링(201)이 구비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방법은 밸브 본체(10)를 기계 가공하여 밸브 캐비티(10a)를 형성하기에 편리하지만, 밸브 캐비티(10a)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조 공정을 사용할 경우, 밸브 캐비티(10a)의 두 단부는 단부 포트를 갖지 않을 수 있고, 단부 커버는 구비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제1 실시예에서) 메모리 스프링(201) 및 리턴 스프링(202)은 밸브 캐비티(10a)의 캐비티 벽과 밸브 코어(4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2단계 단차부를 설정하는 목적이 메모리 스프링(201)의 특성을 사용하여 메모리 스프링(201)이 초기 위치로부터 가열, 팽창 및 변형 후 작동 위치로 전환되고 작동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것임을 미리 설정된 개구도를 갖는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다. 따라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책은 2단계 단차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밸브 코어(40)의 단부에 환형 홈이 제공되고, 환형 홈에 메모리 스프링(201)의 단부가 제공되며, 온도가 상승한 후, 메모리 스프링(201)의 이 단부는 환형 홈으로부터 분리되고 작동 위치로서 다른 위치에 맞닿으며, 이는 또한 미리 설정된 초기 개방도를 설정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밸브 코어(4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요소는 메모리 스프링(201)이다. 스프링이 열 액추에이터 주위에 둘러싸여있는 해결책과 비교할 때, 메모리 스프링(201)의 응답 시간이 더 빠르며, 매체를 다른 유로로 전환하기에 늦지 않게 제2 밸브 포트(A)가 개방될 수 있다. 냉각기와 변속기에 적용되면, 변속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변속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자동온도조절 밸브에 열 액추에이터가 추가로 구비될 필요가 없고,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편리하여, 전체 자동온도조절 밸브가 더 가벼워지고 부피가 작아 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예로서 밸브 본체(10)에는 제1 밸브 포트(B) 및 제2 밸브 포트(A)가 구비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2 밸브 포트(A)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음을, 즉 개폐 가능한 제2 밸브 포트(A)는 구비되지 않지만, 제1 유출구(101)와 밸브 캐비티(10a) 사이의 통로는 관통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속기와 냉각기에 적용하면, 제1 밸브 포트(B)가 폐쇄될 때, 매체(윤활유 등)는 냉각기로 바로 흐를 수 있다. 제1 밸브 포트(B)가 개방될 때, 제2 밸브 포트(A)가 없고 제1 유출구(101)와 연통하는 유출구 통로 만이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냉각기는 제1 유출구(101)와 연통하기 때문에, 제1 유출구(101)를 통한 유로의 유동저항은 제1 밸브 포트(B)를 통해 제2 유출구(104)로 바로 흐르는 유로의 유동 저항보다 더 클 것이다. 따라서, 매체는 대부분 제1 밸브 포트(B)를 통해 제2 유출구(104)로 흐를 것이다. 물론, 제2 밸브 포트(A)를 제공하고 제2 밸브 포트(A)와 제1 밸브 포트(B)의 개폐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상이한 요구 사항에 따라 매체의 유로를 보다 명확하게 분배하고 시스템 내부 누출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 밸브 포트(A)가 구비되지 않을 때, 초기 위치 및 작동 위치가 있는 상기 실시예에서, 메모리 스프링(201)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제1 밸브 포트(B)가 폐쇄되어, 윤활유가 제1 유출구(101)로부터 냉각기로 직접 유입되어 초기 상태에서 윤활유를 채울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동시에, 제2 유입구(102)가 제공되어야 하고, 제1 밸브 포트(B)는 또한 제2 유입구(102)와 연통되어, 제2 유입구(102)로부터 유입되는 윤활유가 또한 제1 밸브 포트(B)와 변속기 사이의 통로를 채워서, 전체 시스템의 오일 충전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제2 밸브 포트(A)가 구비될 때, 제1 밸브 포트(B)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가질 수 있고, 또한 폐쇄될 수도 있다. 제1 밸브 포트(B)가 폐쇄될 때, 자동온도조절 밸브의 밸브 본체(10)에는 바람직하게는 제2 유출구(104)와 연통하는 제2 유입구(102)가 또한 구비되어, 제2 유입구(102)로부터 유입되는 윤활유가 제1 밸브 포트(B)와 변속기 사이의 통로를 또한 채울 수 있다. 물론, 제1 밸브 포트(B)가 초기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갖는 경우, 제1 밸브 포트(B)와 변속기 사이의 통로는 채워질 수 있다. 해결책은 밸브 본체(10)에 제2 유입구(102)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냉각기의 유출구는 다른 통로들을 통해서 변속기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2 밸브 포트(A)가 구비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초기 상태에서 냉각기를 채우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즉, 메모리 스프링(201)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밸브 코어(40)와 제1 밸브 포트(B) 사이의 거리는 메모리 스프링이 작동 위치에 있고 온도가 특정 값보다 낮을 때 밸브 코어(40)와 제1 밸브 포트(B)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이러한 방식으로, 메모리 스프링(201)이 특정 값을 갖는 온도보다 낮을 때, 메모리 스프링(201)의 길이가 변화하여, 제1 밸브 포트(B) 및/또는 제2 밸브 포트(A)는 초기 위치와 작동 위치에서 상이한 개방도를 갖도록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원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 대한 몇몇 수정 및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및 개선은 또한 본원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10: 밸브 본체
10a: 밸브 캐비티
10b: 직선 통로
10c: 작은 구멍
10d: 유출구 통로
10e: 유입구 통로
B: 제1 밸브 포트
A: 제2 밸브 포트
101: 제1 유출구
102: 제2 유입구
103: 제1 유입구
104: 제2 유출구
201: 메모리 스프링
202: 리턴 스프링
30: 단부 커버
301: 제1 단차면
302: 제2 단차면
40: 밸브 코어
401: 본체부
401a: 단부 돌출 플랫폼
402: 슬리브 부분
402a: 안내 유입구
402b: 개구
402c: 노치
403: 안내 로드
405: 실링판
405a: 오목 구멍
404: 구형부
40': 실링편
50: 외부 커넥터
60: 밸브 스템

Claims (13)

  1. 자동온도조절 밸브로서,
    단부 커버, 밸브 본체 및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 캐비티에 위치한 밸브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온도조절 밸브는 제1 유출구, 제2 유출구 및 상기 밸브 캐비티와 연통하는 제1 유입구를 가지며, 상기 밸브 본체에는 상기 밸브 캐비티를 상기 제2 유출구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제1 밸브 포트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밸브 코어의 이동 중에 상기 밸브 코어는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밸브 캐비티에는 리턴 스프링 및 메모리 스프링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메모리 스프링은 메모리 합금으로 제조되며, 상기 리턴 스프링은 복귀력을 제공하여 상기 밸브 코어가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개방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 스프링은 일 단부가 상기 밸브 코어의 일 단부와 접촉하고, 다른 일 단부가 상기 단부 커버와 접촉하며, 온도가 특정 값으로 상승할 때, 상기 메모리 스프링은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밸브 코어를 복귀력에 대항하여 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폐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밸브 포트의 개구는 상기 밸브 코어의 이동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 유입구는 상기 밸브 본체의 측벽에 구비되는, 자동온도조절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온도조절 밸브에는 제2 밸브 포트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밸브 포트는 상기 밸브 캐비티의 측면 캐비티 벽에 구비되며, 상기 밸브 코어는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차단하기 위한 제1 실링부와, 상기 제2 밸브 포트를 차단하기 위한 제2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코어에는 슬리브 부분이 구비되며, 상기 메모리 스프링의 일 단부는 상기 슬리브 부분의 개방 단부로부터 상기 슬리브 부분 내로 연장되고, 상기 슬리브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밸브 캐비티의 내벽과 슬라이딩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제2 실링부는 상기 슬리브 부분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부분의 외벽 중 상기 제2 밸브 포트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제2 밸브 포트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온도조절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온도조절 밸브는 제2 밸브 포트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밸브 포트는 상기 밸브 캐비티의 측면 캐비티 벽에 구비되고, 상기 밸브 코어 또는 상기 단부 커버에는 초기 위치 및 작동 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메모리 스프링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단부 커버의 초기 위치 또는 상기 밸브 코어의 초기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메모리 스프링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밸브 포트는 폐쇄 상태이고, 상기 제2 밸브 포트는 개방 상태이며, 상기 제2 밸브 포트는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가지고, 상기 메모리 스프링의 온도가 상기 특정 값으로 가열되고 상기 메모리 스프링이 변형된 후, 상기 메모리 스프링의 일 단부는 초기 위치로부터 분리되어 작동 위치에 있고 작동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작동 위치에서, 온도가 상기 특정 값으로 상승할 때, 상기 메모리 스프링은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밸브 코어를 복귀력에 대항하여 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폐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 스프링의 온도가 상기 특정 값 아래로 저하된 후에는, 상기 메모리 스프링은 탄성 특성을 상실하고,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밸브 코어를 구동하여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온도조절 밸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코어 또는 상기 단부 커버에는 초기 위치 및 작동 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메모리 스프링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단부 커버의 초기 위치 또는 상기 밸브 코어의 초기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메모리 스프링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밸브 포트는 폐쇄 상태이고, 상기 제2 밸브 포트는 개방 상태이며, 상기 제2 밸브 포트는 미리 설정된 개방도를 가지고, 상기 메모리 스프링의 온도가 상기 특정 값으로 가열되고 상기 메모리 스프링이 변형된 후, 상기 메모리 스프링의 일 단부는 초기 위치로부터 분리되어 작동 위치에 있고 작동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작동 위치에서, 온도가 상기 특정 값으로 상승할 때, 상기 메모리 스프링은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밸브 코어를 복귀력에 대항하여 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폐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 스프링의 온도가 상기 특정 값 아래로 저하된 후에는, 상기 메모리 스프링은 탄성 특성을 상실하고,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밸브 코어를 구동하여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온도조절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코어는 본체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분은 상기 슬리브 부분 내로 연장되는 일 단부를 가지며 단부 돌출 플랫폼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 코어에는 제1 단차부 및 상기 제1 단차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 단차부를 포함하는 2단계 단차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단차부는 상기 단부 돌출 플랫폼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차부는 상기 슬리브 부분의 바닥에 의해 형성되며, 제1 단차면의 위치는 초기 위치이고, 제2 단차면의 위치는 작동 위치이며, 초기 위치에서 상기 밸브 코어와 상기 제1 밸브 포트 사이의 거리는 작동 위치에서 상기 밸브 코어와 상기 제1 밸브 포트 사이의 거리보다 큰, 자동온도조절 밸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커버에는 제1 단차부 및 상기 제1 단차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2 단차부를 포함하는 2단계 단차부가 구비되며, 제1 단차면의 위치는 초기 위치이고, 제2 단차면의 위치는 작동 위치이며, 초기 위치와 상기 제1 밸브 포트 사이의 거리는 작동 위치와 상기 제1 밸브 포트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자동온도조절 밸브.
  7. 제2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분 중 상기 제1 유입구와 대향하는 부분과 상기 밸브 캐비티의 내벽 사이에 간극이 구비되고, 상기 밸브 캐비티를 상기 슬리브 부분의 내부 캐비티와 연통시키기 위한 유동 안내 통로가 상기 슬리브 부분의 상기 외벽과 상기 밸브 캐비티의 상기 내벽 사이에 구비되는, 자동온도조절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분의 상기 개방 단부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노치가 구비되고, 상기 유동 안내 통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치에 의해 형성되는, 자동온도조절 밸브.
  9. 제2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분의 바닥에 안내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 유입구는 상기 밸브 캐비티를 상기 슬리브 부분의 내부 캐비티와 연통시키기 위한 유동 안내 통로인, 자동온도조절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온도조절 밸브는 상기 제2 유출구와 연통하는 제2 유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유출구, 상기 제2 유입구, 상기 제2 유출구 및 상기 제1 유입구는 모두 상기 밸브 본체의 상기 측벽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유출구와 상기 제2 유입구는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2 유출구와 제2 유입구 사이에는 직선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밸브 포트는 상기 직선 통로와 연통되는, 자동온도조절 밸브.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온도조절 밸브는 상기 제2 유출구와 연통하는 제2 유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출구 및 상기 제2 유입구는 각각 냉각기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입구 및 상기 제2 유출구는 각각 변속기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 연결되는, 자동온도조절 밸브.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에는 단차진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진 구멍 중 큰 구멍은 상기 밸브 캐비티이며, 상기 제1 밸브 포트는 상기 단차진 구멍의 큰 구멍과 작은 구멍의 연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실링부에 안내 로드가 연결되며, 상기 안내 로드는 상기 작은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작은 구멍의 내벽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밸브 코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자동온도조절 밸브.
  13. 자동온도조절 밸브로서,
    단부 커버, 밸브 본체 및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 캐비티에 위치한 밸브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온도조절 밸브는 제1 유출구, 제2 유출구, 상기 제2 유출구와 연통하는 제2 유입구 및 상기 밸브 캐비티와 연통하는 제1 유입구를 가지며, 상기 밸브 본체에는 상기 밸브 캐비티를 상기 제2 유출구와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제1 밸브 포트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밸브 코어의 이동 중에 상기 밸브 코어는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밸브 캐비티에는 리턴 스프링 및 메모리 스프링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메모리 스프링은 메모리 합금으로 제조되며, 상기 리턴 스프링은 복귀력을 제공하여 상기 밸브 코어가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개방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밸브 본체, 상기 밸브 코어 및 상기 단부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초기 위치 및 작동 위치가 구비되며, 상기 메모리 스프링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밸브 본체 또는 상기 밸브 코어 또는 상기 단부 커버의 초기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메모리 스프링의 온도가 특정 값으로 가열되고 상기 메모리 스프링이 변형된 후, 상기 메모리 스프링의 상기 일 단부는 초기 위치로부터 분리되어 작동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메모리 스프링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밸브 포트는 폐쇄되고, 상기 메모리 스프링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 코어와 상기 제1 밸브 포트 사이의 거리는 상기 메모리 스프링이 작동 위치에 있고 온도가 특정 값 아래일 때 상기 밸브 코어와 상기 제1 밸브 포트 사이의 거리보다 작으며,
    상기 메모리 스프링이 작동 위치에 있고 온도가 상기 특정 값으로 상승할 때, 상기 메모리 스프링은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밸브 코어를 복귀력에 대항하여 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폐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 스프링의 온도가 상기 특정 값 아래로 저하된 후에는, 상기 메모리 스프링은 탄성 특성을 상실하고,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밸브 코어를 구동하여 상기 제1 밸브 포트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자동온도조절 밸브.
KR1020207016769A 2017-11-13 2018-11-13 자동온도조절 밸브 KR102297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116965.7A CN109780260B (zh) 2017-11-13 2017-11-13 调温阀
CN201711116965.7 2017-11-13
CN201711115307.6 2017-11-13
CN201711115307.6A CN109780259B (zh) 2017-11-13 2017-11-13 调温阀
PCT/CN2018/115136 WO2019091481A1 (zh) 2017-11-13 2018-11-13 调温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329A KR20200085329A (ko) 2020-07-14
KR102297792B1 true KR102297792B1 (ko) 2021-09-03

Family

ID=6643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769A KR102297792B1 (ko) 2017-11-13 2018-11-13 자동온도조절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293071A1 (ko)
EP (1) EP3712466A4 (ko)
KR (1) KR102297792B1 (ko)
CN (1) CN110799776B (ko)
WO (1) WO20190914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5703B (zh) * 2017-10-23 2021-02-02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热交换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360800U (zh) 2011-11-24 2012-08-01 北京龙浩安达新技术有限公司 切换阀及采暖系统
CN202371214U (zh) 2011-11-24 2012-08-08 北京龙浩安达新技术有限公司 冷热切换混合阀
US20130042927A1 (en) * 2011-08-19 2013-02-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alve configured for regulating the flow of fluid from a transmission to a fluid cooler
CN104595526A (zh) 2015-01-14 2015-05-06 苏州西脉记忆合金有限公司 一种记忆合金恒温水龙头
CN104847874A (zh) 2014-02-14 2015-08-19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使用形状记忆合金的热旁路阀
CN107304834A (zh) 2016-04-21 2017-10-31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温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0198A (en) * 1978-04-12 1980-02-26 Lockhart Industries, Inc. Oil cooler bypass valve actuating means
US5746170A (en) * 1995-11-16 1998-05-05 Ginko Bussan Co., Ltd. Engine oil block for use in routing oil to an oil cooler
US6497372B2 (en) * 2000-12-07 2002-12-24 Jae-Heung Lee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valve
DE10261180A1 (de) * 2002-12-20 2004-07-01 Daimlerchrysler Ag Temperaturgeregelte Ölspritzdüse zur Kolbenkühlung
US6742716B1 (en) * 2003-02-28 2004-06-01 Standard-Thomson Corporation Thermostat
DE102006039554A1 (de) * 2006-08-23 2008-03-06 Zf Friedrichshafen Ag Bypassventil für einen einem Hydraulikaggregat nachgeordneten Kühler
CN102597440A (zh) * 2009-12-07 2012-07-18 株式会社Tbk 发动机润滑油供给装置
KR101108063B1 (ko) * 2010-01-22 2012-01-31 김순자 형상기억 합금 스프링을 이용한 자동 온도조절 밸브
US9200713B2 (en) * 2011-12-02 2015-12-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alve configured for regulating the flow of fluid from a transmission to a cooler
CN103791664B (zh) * 2012-10-31 2016-09-14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单向控制功能的热力膨胀阀
KR101600405B1 (ko) * 2013-03-11 2016-03-07 이재흥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을 이용한 자동온도 조절밸브
KR101733466B1 (ko) * 2015-10-12 2017-05-11 주식회사 유니크 바이패스 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 조립체
US20160047459A1 (en) * 2015-10-30 2016-02-18 Air International Thermal Systems R & D (Shanghai) Co., Ltd Temperature-regulating Valve of Transmission Oil Cooling System in A Passenger Car
CN107304844B (zh) * 2016-04-21 2019-08-23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调温器及一种温控系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42927A1 (en) * 2011-08-19 2013-02-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alve configured for regulating the flow of fluid from a transmission to a fluid cooler
CN202360800U (zh) 2011-11-24 2012-08-01 北京龙浩安达新技术有限公司 切换阀及采暖系统
CN202371214U (zh) 2011-11-24 2012-08-08 北京龙浩安达新技术有限公司 冷热切换混合阀
CN104847874A (zh) 2014-02-14 2015-08-19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使用形状记忆合金的热旁路阀
CN104595526A (zh) 2015-01-14 2015-05-06 苏州西脉记忆合金有限公司 一种记忆合金恒温水龙头
CN107304834A (zh) 2016-04-21 2017-10-31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温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93071A1 (en) 2020-09-17
WO2019091481A1 (zh) 2019-05-16
EP3712466A4 (en) 2021-07-14
EP3712466A1 (en) 2020-09-23
CN110799776A (zh) 2020-02-14
CN110799776B (zh) 2024-04-09
KR20200085329A (ko)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19048A1 (ja) サーモバルブ
EP2444703B1 (en) Thermal valve
KR20070077069A (ko) 오일 냉각기를 사용하여 자동 기어를 연결하는 서모스탯밸브
KR20150038523A (ko) 온도조절장치
KR102380176B1 (ko) 밸브 조립체, 열교환 조립체, 및 기어박스용 오일온도조절 시스템
KR20180120236A (ko) 온도 조절 밸브
CN109780260B (zh) 调温阀
KR20180111937A (ko) 서모스탯 및 온도 제어 시스템
KR102297792B1 (ko) 자동온도조절 밸브
US10302208B2 (en) Control valve with external relief bias member
CN108087530B (zh) 热交换组件
KR20190047018A (ko) 변속기 오일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열 교환 조립체 및 밸브 조립체
EP3812633B1 (en) Temperature adjusting valve
CN109780258B (zh) 调温阀
CN109780310B (zh) 调温阀
CN109780259B (zh) 调温阀
CN109780261B (zh) 调温阀
CN108087532B (zh) 热交换组件
WO2017206750A1 (zh) 一种调温阀
CN108087579B (zh) 阀组件
KR101393832B1 (ko) 차량의 피스톤 냉각용 체크 밸브
CN112747167B (zh) 一种调温阀
CN109780187A (zh) 调温阀
JP2016011716A (ja) 電磁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