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778B1 - Planter - Google Patents
Plan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7778B1 KR102297778B1 KR1020190110889A KR20190110889A KR102297778B1 KR 102297778 B1 KR102297778 B1 KR 102297778B1 KR 1020190110889 A KR1020190110889 A KR 1020190110889A KR 20190110889 A KR20190110889 A KR 20190110889A KR 102297778 B1 KR102297778 B1 KR 1022977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planter
- frame
- water collecting
- ro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랜터는 중공체로 형성된 다수 개의 프레임이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어 외부골격을 이루되, 상면에는 복수 개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상부측에 장착되며, 내부에 식물이 심겨지는 식생박스, 상기 하우징 내부 하부측에 장착되며,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관통구를 통해 유입된 빗물이 집수되는 용기인 집수통과, 일단이 상기 집수통에 연결되고 타단이 식생박스에 연결되어 상기 집수통에 집수된 빗물이 식생박스로 유입되도록 하는 로프가 설치된 집수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빗물을 별도의 집수통에 집수하고 집수된 물이 로프를 통해 플랜터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관리가 용이하여, 플랜터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필요하지 않아 관리비용이 절감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er, wherein a plurality of frames formed of a hollow body are cross-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external skeleton, a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its upper surface and an outlet hole formed on its lower part, and an interior of the housing A vegetation box mounted on the upper sid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mounted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outlet, a water collecting passage, which is a container for collecting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one end of the It is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box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vegetation box to include a water collecting unit installed with a rope so that the rain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box flows into the vegetation box. By allowing the used water to be supplied to the plants planted in the planter through the rope, it is easy to manage, and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of reducing the management cost by not requiring a manager to manage the plan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랜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부 및 빗물이 집수되는 공간부를 마련하여 집수된 빗물이 식물에게 공급되도록 하는 플랜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er that provides a spac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nd a space in which rainwater is collected so that collected rainwater is supplied to plants.
일반적으로 보행자가 통행하는 도심의 도로나 공원, 관광지 등에는 녹색환경 조성을 위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한 조경용 화분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조경용 화분은 철재나 토기, 합성수지, 목재 등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In general, landscaping pots that allow plants to be planted are installed on roads, parks, and tourist destinations in the city where pedestrians pass, and these pots for landscaping are installed in various forms using iron, earthenware, synthetic resin, wood, etc. is manufactured with
일례로써, 대한민국, 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69351호에는, 복수 개의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각 베이스프레임의 단부를 상호 결속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연결구를 포함하여 일정 틀을 형성하는 베이스부재, 복수 개의 벽플레이트와, 상기 각 벽플레이트의 단부를 상호 결속하는 복수 개의 코너연결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배수판 상에 안착되고 내부에 식재 공간을 형성하며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적층되는 벽부재로 이루어진 가드닝 플랜터가 제시되어 있다. As an example,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169351, a base member forming a predetermined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base frames and a plurality of frame connectors for mutually binding ends of each base frame, a plurality of walls A gardening planter comprising a plate and a plurality of corner connectors for mutually binding the ends of each wall plate is provided, thereby being seated on the drain plate and forming a planting space therein. .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랜터들은 상기 플랜터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주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야하므로, 관리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lanters as described above have a problem in that management costs are high because a manager must periodically supply water in order to water the plants planted in the planter.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박스와 빗물이 집수되는 집수통을 각각 마련하되, 로프에 의해 상기 집수통에 집수된 물이 식생박스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되도록 하여 관리가 용이한 플랜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a vegetation box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nd a water collecting container in which rainwater is collected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by means of a rope is supplied to the plants planted in the vegetation box. This is to provide an easy-to-use planter.
본 발명은 플랜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랜터는 중공체로 형성된 다수 개의 프레임이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어 외부골격을 이루되, 상면에는 복수 개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상부측에 장착되며, 내부에 식물이 심겨지는 식생박스, 상기 하우징 내부 하부측에 장착되며,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관통구를 통해 유입된 빗물이 집수되는 용기인 집수통과, 일단이 상기 집수통에 연결되고 타단이 식생박스에 연결되어 상기 집수통에 집수된 빗물이 식생박스로 유입되도록 하는 로프가 설치된 집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er, wherein a plurality of frames formed of a hollow body are cross-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external skeleton, a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its upper surface and an outlet hole formed on its lower part, and an interior of the housing A vegetation box mounted on the upper sid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mounted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outlet, a water collecting passage, which is a container for collecting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one end of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coll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box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vegetation box, the rope is installed so that the rain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box flows into the vegetation box.
또한, 상기 하우징은, 지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면프레임, 상기 하면프레임으로부터 소정간격 상부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복수 개의 관통구가 형성된 상면프레임, 상기 하면프레임 및 상면프레임의 사이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하면프레임, 상면프레임, 측면프레임은 중공체이며, 상기 관통구를 통해 유입된 빗물은 배출구를 통해 상기 집수통에 집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lower frame in which an outlet is formed, an upper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frame and A side frame coupl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frame, wherein the lower frame, the upper frame, and the side frame are hollow bodies, and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is collected in the collecting bin through the outlet characterized.
또한, 상기 로프는 면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pe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cotton yarn.
또한, 상기 하면프레임은, 각 변이 상기 배출구 및 연결배관측으로 갈수록 하향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frame, each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downward slope toward the outlet and the connection pipe side.
또한, 상기 하면프레임의 하부 네 모서리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받침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lower four corners of the lower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frame is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빗물을 별도의 집수통에 집수하고 집수된 빗물이 로프를 통해 플랜터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플랜터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필요하지 않아 관리비용이 절감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rainwater in a separate water collecting container and allows the collected rainwater to be supplied to the plants planted in the planter through a rope,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manager to manage the planter, thereby reducing management costs. have.
또한, 기존에 사용되는 플랜터의 구조를 활용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시장성이 좋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planter is utilized, manufacturing is easy, and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of good marketability.
또한, 플랜터에 식재된 식물에 수분이 적절하게 공급되어지므로 식물이 잘 자라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moisture is adequately supplied to the plants planted in the planter,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that the plants grow well.
도1은 본 발명의 플랜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플랜터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하우징의 우측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라 하우징에 가이드판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라 하우징에 가이드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및 A-A' 단면 확대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플랜터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의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a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of rain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ight cross-sectional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guide plate is coupled to a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A′ of a state in which a guide member is coupled to a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n the pla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례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ince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examples shown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플랜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플랜터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랜터(1000)는, 외부 골격을 이루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 내부 상부측에 장착되며, 내부에 식물이 심겨지는 식생박스(200), 상기 하우징 내부 하부측에 장착되며, 내부에 빗물이 집수되는 집수부(300)를 포함한다.1 to 2, the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후술할 식생박스(200) 및 집수부(300)가 장착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어 외부 골격을 이루는 요소이다.First, the
상기 하우징(100)은, 중공체로 형성된 다수 개의 프레임이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육면체를 형성하는 구조로 마련된다.The
더욱 상세하게,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을 이루는 프레임을 상면프레임(120),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이루는 프레임을 측면프레임(140),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이루는 프레임을 하면프레임(160)이라 한다.In more detail, the frame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면프레임(160)의 하부 네 모서리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받침프레임(180)을 결합하여, 상기 하면프레임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하면프레임 하부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upling the supporting
아울러, 상기 상면프레임(12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관통구(122)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122)를 통해 빗물이 상기 프레임 내부로 유입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또한, 상기 상면프레임(120)의 전체적인 수평단면은 사각형상이되, 각 변은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overall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의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상면프레임(120)의 각 변의 수직단면은, 양 단이 하부로 하향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122)를 통해 유입된 빗물이 상기 측면프레임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4 ,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housing, the vertical cross-section of each side of the
또한, 상기 상면프레임(120)의 또 다른 실시례로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면프레임(120)의 외주연에는 회동가능하게 가이드판(124)이 장착되되, 상기 가이드판(124)은 상면프레임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상향된 기울기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빗물이 상기 가이드판을 따라 상기 상면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구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한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그리고 이러한 상기 가이드판(124)은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상기 상면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미사용시, 회동되어 상기 측면프레임(140)에 중첩되었다가 필요 시, 일정각도 회동되어 빗물을 상기 관통구(122)로 가이드하도록 한다.And the
또한, 상기 상면프레임(120)의 또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상면프레임(120)의 상면에는 급수구(126)가 형성되어, 필요시 사용자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물을 직접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급수구에는 착탈가능한 캡이 마련되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또한, 상기 상면프레임(120)의 내측 상면에는 매쉬망(도면미표시)이 결합되어 상기 관통구(122)를 통해 모래나 흙 등 다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In addition, a mesh network (not shown) is coupl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이어서, 상기 측면프레임(140)은, 상기 상면프레임(120)의 하면 네 모서리에 상기 상면프레임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면프레임(120)을 지지하되, 중공체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를 통해 유입된 빗물을 상기 하면프레임(160)으로 전달하는 요소이다.Next, the
다음으로, 상기 하면프레임(160)은, 상기 측면프레임(140)의 하부에 상기 상면프레임과 대향되게 결합된다.Next, the
상기 하면프레임(160)의 전체적인 수평단면은 사각형상이며, 내측 일면에는 배출구(162)가 형성되어 있다.The overall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상기 배출구(162)는, 상기 관통구(122)를 통해 유입된 빗물을 후술할 집수부(300)의 집수통(340)으로 배출하는 요소이며, 본 발명에서는 빗물이 상기 집수통(340)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하기 위해, 상기 배출구에 별도의 연결배관(164)을 결합하였다.The
상기 하면프레임(160)은, 각 변이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62) 및 연결배관(164)측으로 갈수록 하향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빗물이 상기 배출구(162)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례로서 상기 하우징을 수직, 수평단면이 사각형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이는 실시례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mbodiment, the housing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having a vertical and horizontal cross-section, but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i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다음으로, 상기 식생박스(200)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부측에 장착되되, 상부는 개방되고 내부에 식물이 색재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Next, the
본 발명에서는 실시례로 상기 식생박스(200)가, 상기 하우징(100)과 동일하게 육면체로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mbodiment, the
아울러, 상기 식생박스(200)는,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예를 들면, 상기 식생박스(200)의 상부측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상면프레임(120)의 상부측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걸림홈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식생박스가 용이하게 교체되어질 수 있다.For example, a locking jaw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식생박스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수분공급구(202)가 형성되어 있다.And, at least one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수분공급구(202)에는, 상하부로 돌출되게 가이드부재(220)가 추가로 결합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220)는 상기 수분공급구(202)를 관통되도록 장착되는 후술할 로프(320)를 가이드하는 요소이다.6,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재(220)는, 중공관 형상의 제1부재(222)와, 상기 제1부재의 상부에 제1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원판형상의 제2부재(224)를 포함하되, 상기 원판형상의 제2부재의 상면에는 나선형으로 가이드돌기(226)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에는 소정간격 이격되게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228)이 형성되어, 상기 로프(320)가 상기 중공관을 통과 한 뒤, 상기 가이드돌기를 따라 나선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로프가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진 상태로 가이드부재(220)에 결합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로프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넓은 면적으로 상기 식생박스(200) 내부에 배치되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rope has an effect of being disposed inside the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220)는 후술할 집수부(300)의 로프관통구(322)까지 연장 형성되어, 후술할 로프(320)를 보호함으로써 로프에 적셔진 물이 증발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And the
한편, 상기 집수부(300)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부측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관통구(122)를 통해 유입된 빗물을 상기 식생박스(200)에 심겨진 식물에게 공급하는 요소이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collecting
상기 집수부(300)는, 상기 하우징 내부 하부측에 장착되는 집수통(340)과, 상기 집수통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식생박스 내부에 연결되는 로프(320)을 포함한다.The
상기 집수통(340)은 내부에 빗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마련된 용기이며, 상기 배출구(162)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162)를 통해 배출되는 빗물이 집수되는 공간이다.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집수통(340)을 상기 하우징과 동일하게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집수통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부측에 효율적으로 장착되도록 하였으나, 상기 집수통의 형상, 크기, 높이 등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아울러, 상기 집수통(340) 내부에는 필터 등이 내장되어 빗물 중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filter or the like may be built in the
또한, 상기 집수통(340)은 외부에서 사용자가 상기 집수통(340) 내부에 집수된 수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투명창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집수통 내부에 레벨게이지 및 레벨센서 등이 장착되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집수통(340)의 상면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로프관통구(322)가 형성된다.And a rope through
이어서, 상기 로프(320)는 일단이 집수통(34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식생박스(200)에 연결되어, 삼투압의 원리에 의해 상기 집수통에 집수된 빗물이 식생박스에 심겨진 식물에게 공급되도록 하는 요소이다.Then, the
즉, 상기 로프는 물을 흡수하여, 상기 집수통에 집수된 빗물을 상기 식생박스에 심겨진 식물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rope serves to absorb the water, and deliver the rain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box to the plants planted in the vegetation box.
상기 로프(320)는 물을 용이하게 흡수하는 면사(cotton yarn)재질이고, 충분히 굵은 두께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The
상기 로프의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로프는, 양단에 매듭이 지어져서, 양 끝단부가 각각 집수통과 식생박스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rope, the rope is knotted at both ends, so that both ends do not separate from the water collecting trough and the vegetation box, respectively.
또한, 상기 로프는 상부끝단부가, 다수 갈래로 나누어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식생박스(200)내부에서 방사형으로 펼쳐진상태로 배치되도록하여, 높은 수분공급 효율을 가지도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rope is provided t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ranches, and arranged in a radially unfolded state inside the
또한, 상기 로프는, 등간격 이격되게 매듭이 지어지도록 마련되어, 로프가 길이 대비, 많은양의 물을 흡수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ope is provided to be knotted at equal intervals, so that the rope can maintain a state in which it absorbs a large amount of water compared to its length.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터의 외측면에는 모재나 철재 등 마감부재가 결합되어질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7, a finishing member such as a base material or iron material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lant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for explaining the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obtain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s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claims.
1000:플랜터
100:하우징
120:상면프레임
122:관통구
140:측면프레임
160:하면플레임
162:배출구
164:연결배관
180:받침프레임
200:식생박스
202:수분공급구
220:가이드부재
222:제1부재
224:제2부재
226:가이드돌기
228:가이드홈
300:집수부
320:로프
322:로프관통구
340:집수통1000: planter
100: housing
120: top frame
122: through hole
140: side frame
160: lower flame
162: outlet
164: connection pipe
180: support frame
200: vegetation box
202: moisture supply port
220: guide member
222: first member
224: second member
226: guide projection
228: guide home
300: catchment department
320: rope
322: rope through hole
340: water tank
Claims (5)
상기 하우징 내부 상부측에 장착되며, 내부에 식물이 심겨지는 식생박스;
상기 하우징 내부 하부측에 장착되며,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관통구를 통해 유입된 빗물이 집수되는 용기인 집수통과, 일단이 상기 집수통에 연결되고 타단이 식생박스에 연결되어 상기 집수통에 집수된 빗물이 식생박스로 유입되도록 하는 로프가 설치된 집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지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면프레임, 상기 하면프레임으로부터 소정간격 상부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복수 개의 관통구가 형성된 상면프레임, 상기 하면프레임 및 상면프레임의 사이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하면프레임, 상면프레임, 측면프레임은 중공체이며, 상기 관통구를 통해 유입된 빗물은 배출구를 통해 상기 집수통에 집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터.
a housing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formed of a hollow body are cross-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external skeleto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n outlet hole is formed on the lower part;
a vegetation box mounted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housing, in which plants are planted;
It is mounted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outlet, and is a container that collects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water collecting tank,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o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vegetation box. It includes a; includes a; includes a;
The housing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lower frame in which an outlet is formed, an upper fram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nd a side frame coupl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space between planter that does.
상기 로프는 면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rope is a plant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cotton yarn.
상기 하면프레임은, 각 변이 상기 배출구 및 연결배관측으로 갈수록 하향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터.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frame is a planter, characterized in that each side is formed to have a downward slope toward the outlet and the connection pipe.
상기 하면프레임의 하부 네 모서리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받침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터.
According to claim 1,
Planter,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lower four corners of the lower frame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0889A KR102297778B1 (en) | 2019-09-06 | 2019-09-06 | Plan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0889A KR102297778B1 (en) | 2019-09-06 | 2019-09-06 | Plan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9888A KR20210029888A (en) | 2021-03-17 |
KR102297778B1 true KR102297778B1 (en) | 2021-09-03 |
Family
ID=7524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0889A KR102297778B1 (en) | 2019-09-06 | 2019-09-06 | Plan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7778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4922B1 (en) * | 2009-01-15 | 2009-06-29 | 계룡건설산업 주식회사 | Wall greening-method contrivance |
KR101019776B1 (en) | 2010-11-02 | 2011-03-23 | 주식회사 신우엘에스산업 | Moisture restoring system of vegetation block |
KR101538389B1 (en) | 2014-09-11 | 2015-07-22 | 계룡건설산업 주식회사 | Hydroponic growing Landscaping trees bad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9670B1 (en) | 2011-03-25 | 2013-04-01 | 임태영 | Pagora for Providing Rain Water to a Planter Using Rain Wat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as |
KR101252377B1 (en) * | 2011-04-06 | 2013-04-08 | 박슬기 | Cultivating apparatus for easy drainage |
KR101169351B1 (en) | 2012-01-13 | 2012-07-30 | 주식회사 예건 | Gardening planter |
-
2019
- 2019-09-06 KR KR1020190110889A patent/KR10229777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4922B1 (en) * | 2009-01-15 | 2009-06-29 | 계룡건설산업 주식회사 | Wall greening-method contrivance |
KR101019776B1 (en) | 2010-11-02 | 2011-03-23 | 주식회사 신우엘에스산업 | Moisture restoring system of vegetation block |
KR101538389B1 (en) | 2014-09-11 | 2015-07-22 | 계룡건설산업 주식회사 | Hydroponic growing Landscaping trees bad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9888A (en) | 2021-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321034B (en) | ||
CN106572639B (en) | Modular container and modular irrigation system | |
JP4165841B2 (en) | Water tank tray for planting mat and its equipment | |
US20100307057A1 (en) | Rainwater catchment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ng system having rainwater catchment apparatus | |
KR101234615B1 (en) | Planter for green wall | |
JP2014508538A (en) | Flower pot water supply device | |
KR101723134B1 (en) | Water supply equipment for tree using collecting well | |
KR200472746Y1 (en) | Planting container | |
US20120005956A1 (en) | Portable plant bucket | |
KR102297778B1 (en) | Planter | |
KR101838545B1 (en) | A Water Storage Apparatus for Vegetation Port | |
KR200492913Y1 (en) | Collecting apparatus of rainwater | |
JP2009165400A (en) | Planting unit, greening planting unit using the planting unit, and system for the greening planting unit | |
US10292344B2 (en) | Hydro planter | |
KR101124639B1 (en) | Vegetation block | |
CN212910918U (en) | Ecological road greening isolation belt | |
KR200461953Y1 (en) | An assemble type flowerpot | |
US20130047507A1 (en) | Self-watering elevated growing system | |
KR100960460B1 (en) | A block for storing water | |
JP5842416B2 (en) | Planting container | |
KR100827572B1 (en) | Prefabricated flower garden of variableness type forapartment house | |
KR100966800B1 (en) | Retaining wall system for planting | |
KR101905357B1 (en) | Bottom Watering Garden Container Easy To Supply Water And Oxygen To Soil | |
KR200451545Y1 (en) | Flowerpot | |
JP4733946B2 (en) | plan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