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351B1 - Gardening planter - Google Patents

Gardening pla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351B1
KR101169351B1 KR1020120004423A KR20120004423A KR101169351B1 KR 101169351 B1 KR101169351 B1 KR 101169351B1 KR 1020120004423 A KR1020120004423 A KR 1020120004423A KR 20120004423 A KR20120004423 A KR 20120004423A KR 101169351 B1 KR101169351 B1 KR 101169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rame
support
gardening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4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건
Priority to KR1020120004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3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3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PURPOSE: A gardening planter capable of easily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is provided to enable users to assemble the planter into various shapes, and to minimize the number of components. CONSTITUTION: A gardening planter capable of easily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comprises the following: a base member including plural base frames(110), and plural frame connectors(120) connecting the base frames; wall members(200) including wall plates(210) and corner connectors(220) connecting the wall plates for forming planting spaces in the inside of the planter; hole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connectors and the corner connectors; and binding pins pasting through the holes for mutually fixing the base member and the wall members.

Description

가드닝 플랜터{GARDENING PLANTER}Gardening Planter {GARDENING PLANTER}

본 발명은 꽃이나 관상용 식물 등, 각종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가드닝 플랜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dening plant that can be grown in a variety of forms while being able to cultivate various plants such as flowers and ornamental plants, and at the same time to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일반적으로 보행자가 통행하는 도심의 도로나 공원, 관광지 등에는 녹색환경 조성을 위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한 조경용 화분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조경용 화분은 철재나 토기, 합성수지, 목재 등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In general, landscaping pots are installed on the roads, parks, and tourist spots in the city where pedestrians pass, so that plants can be planted to create a green environment. These landscaping pots are made of various forms using steel, earthenware, synthetic resin, and wood. It is manufactured.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0-0006611호에서 제안된 '조경용 꽃 설치대'는 삼각 또는 사각형태의 프레임의 전면부에 일정 간격으로 봉 버팀대를 설치하고 상기 봉 버팀대의 사이에 꽃을 식재할 수 있는 장방형의 용기를 삽입설치 하여 조경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으로, 그 구성은 꽃 설치대의 전면부에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전면부에 구성된 프레임의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봉 버팀대와, 상기 봉 버팀대의 사이사이에 꽃을 식재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장방형의 용기를 형성한 것이다.As an example, the 'Landscaping flower installation stand' prop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0-0006611 may install rod braces at regular intervals on a front surface of a triangular or rectangular frame, and plant the flowers between the rod braces. Inserting a rectangular container to enhance the landscape effect, the configuration is a frame composed of the front portion of the flower mounting frame, a rod brace fixed to a fixed interval at the front of the frame composed of the front portion, the rod brace Between the will form a rectangular container to be installed to plant flowers.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꽃이 식재된 용기를 프레임 전면부에 마련된 봉 버팀대 사이사이에 삽입하여 설치하므로 전체적인 꽃 설치대의 형태가 제한적이어서 조경 형태가 단조롭다는 단점이 있고, 기본 설계된 형태 외에 다른 형태의 설치대를 제작하는 경우 그 설치대를 위해 모든 구성요소를 다시 설계 및 제작해야 함은 물론 봉 버팀대들을 설치할 때 일일이 용접이나 나사 등으로 제조해야 하므로 결국 여러 가지 형태의 설치대를 제조하는 경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동시에 장시간에 걸쳐서 제조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structure has a disadvantage that the landscaped form is monotonous because the flower arrangement is limited by inserting a container planted with flowers between the rod brace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frame.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not only all the components must be redesigned and manufactured for the mount, but also the welding rods must be manufactured when installing the rod braces. Since there is a need to manufacture o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부품 가지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나사와 같은 요소를 배제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다양한 형태로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식재용 가드닝 플랜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gardening plant for planting, which allows the user to assemble in various forms while excluding components such as screws while minimizing the number of parts.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각 베이스프레임의 단부를 상호 결속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연결구(120)를 포함하여 일정 틀을 형성하는 베이스부재(100); 복수 개의 벽플레이트(210)와, 상기 각 벽플레이트의 단부를 상호 결속하는 복수 개의 코너연결구(22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배수판 상에 안착되고 내부에 식재 공간을 형성하며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적층되는 벽부재(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se member 100 including a plurality of base frame 110, and a plurality of frame connectors 120 for binding the ends of each base frame to form a predetermined frame; The wall member 210 includes a plurality of wall plates 210 and a plurality of corner connectors 220 that bind the ends of the wall plates to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200).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 가지수가 최소화되면서도 이들 부품 조립하는 방식으로 가드닝 플랜터를 구성하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umber of parts is minimized and the gardening plant is configured by assembling these parts,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maximized.

또한 나사와 같은 체결요소를 배제하므로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여 단시간 내에 시공과 해체 가능하며 재사용도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이다.In addition,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because it excludes fastening elements such as screws, so that construction and disassembly can be performed within a short time, and reuse is very economical.

게다가 여러가지 형태의 가드닝 플랜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옥상 녹화 공간이나 소규모 도심 텃밭 조성, 노약자 대상의 기능 변환 등, 각종 조경을 위한 주변 환경에 적합한 형태의 가드닝 플랜터를 자유롭게 임의 선택할 수 있게 되어 구매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types of gardening planters can be formed, allowing the buyer to freely select a gardening plant type suitable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or various landscaping, such as a rooftop green space, small urban garden gardening, or function change for the elderly. Satisfaction can be maximiz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기본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베이스부재 조립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벽부재 조립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기본 구성을 보인 조립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조립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조립 사시도.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라 설치되는 가드닝 플랜터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로서 지지부재(좌대)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로서 지지부재(좌대)의 조립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로서 지지부재와 벽부재의 조립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로서 벽부재와 투명 덮개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로서 벽부재와 투명 덮개의 조립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로서 벽부재와 휀스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로서 벽부재와 휀스부재의 조립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구성된 다양한 형태의 가드닝 플랜터를 보인 이미지.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member assembly state of the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ll member assembly state of the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ardening plant installed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FIGS. 6 and 7.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member (base) as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member (base) as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member and a wall member as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ll member and a transparent cover as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wall member and a transparent cover as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ll member and a fence member as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wall member and a fence member as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image showing various types of gardening plant configure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struc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only the illustrated form, and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conventional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or substitutes of the illustrated for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기본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베이스부재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벽부재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기본 구성을 보인 조립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the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member assembly state of the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wall of the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assembly of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가드닝 플랜터는 기본 구성요소로서, 베이스부재(100)와 벽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100) 상에는 배수판(140)이 안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gardening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member 100 and a wall member 200 as basic components, and a drain plate 140 may be seated on the base member 100.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베이스프레임(110)이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각 베이스프레임(110)이 상호 연결되어 소정 형태의 틀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 각 베이스프레임(110)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연결구(120)를 포함한다.The base member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ase frames 1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each base frame 110 is connected to the end of each base frame 110 in order to form a predetermined shape It includes a plurality of frame connectors 120 for interconnecting.

상기 배수판(140)은 식재용 흙의 유출을 방지하고 물만 배출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슬릿(slit) 형태로 복수 개의 배수구멍(미도시)이 형성된 것으로, 도 1 및 도 4와 같이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베이스부재(100) 내측 단부에 안착되도록 턱(14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기성품을 구입하여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drainage plate 14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not shown) in the form of slits on the bottom surface to prevent the leakage of planting soil and to discharge only water. The jaw 141 may be formed to be seated at the inner end of the base member 100, which may be used to purchase ready-made products.

상기 벽부재(200)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판재 형태의 벽플레이트(210)가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각 벽플레이트(210)가 상호 연결되어 소정 형태의 틀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 각 벽플레이트(110)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 개의 코너연결구(2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4와 같이 상기 벽부재(200)가 상기 베이스부재(100)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그 내부에 식재 공간이 형성된다.The wall member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late-shaped wall plate 2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each wall plate 210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shape of the frame to each wall plate 110 It includes a plurality of corner connectors 220 to interconnect the end of the, as shown in Figure 4 the wall member 200 is located above the base member 100 is formed planting space therein.

도 2와 같이 상기 프레임연결구(1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을 직각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연장부(121)를 갖는다. 상기 각 연장부(121)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단부를 내입하기 위한 공간(124)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124)은 3개 면이 폐쇄되고 1개 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장부(121)는 한 쌍의 벽체(122)가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고, 상기 각 벽체(122)의 일측 단부를 폐쇄벽(123)이 연결하여 상기 공간(124)의 일측 면을 폐쇄하게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rame connector 120 has two extension parts 121 extending in a right angle direction to connect the base frame 110 in a right angle direction. In each of the extension parts 121, a space 124 for inserting the end of the base frame 110 is formed, and the space 124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ree surfaces are closed and one surface is open. . To this end, the extension part 121 is provided with a pair of walls 122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one side surface of the space 124 is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wall 122 by a closing wall 123. Can be closed.

이 경우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단부를 상기 각 벽체(122) 사이의 개방면으로 끼워 넣으면 베이스프레임(110)의 단부가 공간(124) 내에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end of the base frame 110 is inserted into the open surface between the walls 122, the end of the base frame 110 can be coupled in the space 124.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벽부재(200)의 조립을 위해 상기 벽플레이트(210)의 양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폭이 점차 확장하면서 돌출된 결속돌기(211)를 형성하고, 상기 벽플레이트(210)를 상호 연결하는 코너연결구(220)는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연장부(222)가 구비되며, 상기 각 연장부(222)에는 상기 결속돌기(211)와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간격이 점차 확장하면서 홈이 패인 슬롯(223)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both ends of the wall plate 210 form a binding protrusion 211 protruding while the width is gradually expanded to the outside for assembling the wall member 200, and the wall plate 210 is formed. ) And the corner connector 220 interconnecting each other is provided with two extension portions 222 extending in a right angle direction, and each of the extension portions 222 has a gap inwardly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binding protrusion 211. The slot 223 is formed with grooves gradually expanding.

이 경우 상기 결속돌기(211)가 상기 슬롯(223)에 삽입, 결합하면 코너연결구(220)에 의해 벽플레이트(210)가 길이방향이나 측면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고 일정 높이를 가지는 벽부재(200)를 형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binding protrusion 211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lot 223, the wall plate 210 has a predetermined height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longitudinal or lateral direction by the corner connector 220. Can be formed.

한편,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틀 내부에는 배수판지지대(13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배수판지지대(130)는 양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틀 내측 대향면에 각각 연결되어 베이스부재 내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구성되어 베이스부재(100) 상에 안착되는 배수판(140)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배수판(140)이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2, a drainage plate support 13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rame of the base member 100, and both sides of the drainage plate support 130 face the inside of the frame of the base member 100. It is formed in a form that is connected to the surface across the base member, respectively,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plate 140 seated on the base member 100 to prevent the drain plate 140 is bent or deformed.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벽부재(200)가 베이스부재(10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각 부재(100,200)는 결속핀(10)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As shown in FIG. 4, in the state where the wall member 200 is seated on the base member 100, the members 100 and 200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binding pin 10.

이를 위해 도 2와 같이 상기 프레임연결구(120)의 일측에는 상기 결속핀(10)이 관통되는 홀(126)이 천공되고, 도 3과 같이 상기 코너연결구(220) 일측에도 상기 결속핀(10)이 관통되는 홀(221)이 천공되며, 벽부재(200)가 베이스부재(100) 상에 안착될 때 상기 각 홀(126,221)은 일직선 상에 위치하게 되어 결속핀(10)이 삽입될 수 있다.To this end, a hole 126 through which the binding pin 10 penetrates is drilled in one side of the frame connector 120 as shown in FIG. 2, and the binding pin 10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corner connector 220 as shown in FIG. 3. When the hole 221 penetrates and the wall member 200 is seated on the base member 100, the holes 126 and 221 are positioned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binding pin 10 may be inserted. .

도 2와 같이 상기 프레임연결구(120)에 형성된 홀(126)은 각 연장부(121)가 만나는 코너벽(125)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7)에 형성되고, 이때 상기 돌출부(127)의 높이는 상기 코너벽(125)의 높이에 대해 1/2 이하로 돌출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6을 참조하여 구체화될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hole 126 formed in the frame connector 120 is formed in the protrusion 127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orner wall 125 where each of the extension portions 121 meets. The height may protrude less than 1/2 with respect to the height of the corner wall 125, which will be embodi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상술한 기본 구성에서 변형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ed from the above-described basic configuration.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벽부재(200)는 복수 개가 적층되어 다층을 이룰 수 있으며, 이 경우 식재공간이 커지므로 예컨대 뿌리가 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속핀(10)은 적어도 다층으로 적재된 벽부재(200)의 모든 코너연결구(220)를 관통한 다음 프레임연결구(120)에까지 삽입되는 길이로 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결속핀(10)의 길이는 가드닝 플랜터의 구조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5, a plurality of the wall member 200 can be stacked to form a multi-layer, in this case, because the planting space is large, it is possible to plant long roots,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binding pin 10 should be at least a length that passes through all the corner connectors 220 of the wall member 200 stacked in a multi-layer and then inserted into the frame connector 120. Therefore, the length of the binding pin 1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gardening plant.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라 설치되는 가드닝 플랜터의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third perspective view of FIG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ardening plant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직사각형으로 일측 변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과 같이 상기 프레임연결구(120)에 형성된 돌출부(127)의 높이는 코너벽(125)의 높이에 대해 1/2 이하로 돌출되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6의 부분확대도와 같이 2개의 프레임연결구(120)를 상호 연결할 때 어느 하나를 뒤집어서 배치하면 각각의 돌출부(127)가 상하에 위치하여 각 돌출부(127)의 홀(126)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므로 결속핀(10)이 각 홀(126)에 관통하여 2개의 프레임연결구(120)를 상호 고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base member 100 may have a rectangular length of one side thereof. To this end,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127 formed in the frame connector 120 as shown in FIG. 6 protrudes less than 1/2 with respect to the height of the corner wall 125, and when configured in this way, two parts as shown in FIG. When the frame connector 120 is connected to one another, if one is turned upside down, each of the protrusions 127 is positioned up and down so that the holes 126 of each of the protrusions 127 are located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binding pins 10 are each hole. The two frame connectors 120 may be fixed to each other by penetrating through 126.

이와 같이 프레임연결구(120)의 상하 방향을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는 방식으로 하여 베이스부재(100)의 길이를 더 연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such, the length of the base member 100 may be further extended in such a manner that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connector 120 is alternately arranged.

도 8과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00)가 연장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벽부재(200)의 길이도 직사각형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과 같이 상기 벽부재(200)는 3개의 벽플레이트(210)를 상호 연결하는 중간연결구(230)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the length of the wall member 200 may also extend in a rectangular shape to correspond to the extension of the base member 100. To this end, as shown in FIG. 7, the wall member 200 further includes an intermediate connector 230 interconnecting the three wall plates 21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벽플레이트(210)의 양측 단부에 외측으로 폭이 점차 확장하면서 돌출된 결속돌기(211)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연결구(230)는 3개 방향으로 연장된 3개의 연장부(232)가 형성되며, 상기 각 연장부(232)에는 상기 결속돌기(211)와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간격이 점차 확장하면서 홈이 패인 슬롯(233)이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protruding binding protrusions 211 ar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wall plate 210 so as to gradually expand outwardly, and the intermediate connector 230 has three extension portions extending in three directions ( 232 is formed, and each of the extension portions 232 is formed with a slot 233 slotted with an interval gradually expanding inwardly so as to correspond to the binding protrusion 211.

이 경우 도 8과 같이 4개의 코너연결구(220)와 2개의 중간연결구(230)를 통해 7개의 벽플레이트(210)를 한 일(日)자와 같이 연결할 수 있으며, 같은 방식으로 벽부재(200)의 길이를 더 연장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the seven wall plates 210 may be connected as one Japanese character through four corner connectors 220 and two intermediate connectors 230, and the wall member 200 may be connected in the same manner. ) Can be further extended.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의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gardening plant.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0)와 벽부재(200)의 길이가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벽부재(200)를 다층으로 적재한 다음 결속핀(10)으로 각 벽부재(200)와 베이스부재(100)를 체결하면 2개의 식재 공간이 형성된 가드닝 플랜터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9, the wall members 200 are stacked in a multi-layered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s of the base member 100 and the wall member 200 are extended, and then each of the wall members 200 and the binding pin 10 are stacked. When the base member 100 is fastened, a gardening plant having two planting spaces is formed.

또한 도 10과 같이 벽부재(200) 내부에 격벽을 형성하지 않기 위해 일측 변의 길이를 더 길게 제조 한 또 다른 벽플레이트(210)를 이용하여 직사각형의 벽부재(200)를 구성하면 하나의 식재공간이 형성된 가드닝 플랜터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ctangular wall member 200 is configured by using another wall plate 210 having a longer length of one side in order not to form a partition in the wall member 200, as shown in FIG. This formed gardening plant can be formed.

또한 도 11과 같이 베이스부재(100) 저부에 휠이 형성된 캐스터(caster)(20)를 설치하면 가드닝 플랜터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11, when the caster 20 having the wheel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se member 100, the gardening planter can be easily mov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로서 지지부재(좌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로서 지지부재(좌대)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로서 지지부재와 벽부재의 조립 사시도이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member (base) as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member (base) as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member and a wall member as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00) 하부에 다리 형태의 지지부재(30)를 설치하면 베이스부재(100)와 지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이 공간으로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게 되어 휠체어에 착석한 사람도 식재된 식물을 가꿀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when the support member 30 having a leg shape is installed below the base member 100,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se member 100 and the ground so that the wheelchair can enter the space. A seated person can care for planted plants.

상기 지지부재(30)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진 복수 개의 지지포스트(31)와, 상기 각 지지포스트(31)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대(32)로 구성된다.The support member 3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posts 3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onnecting table 32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respective support posts 31.

또한, 상기 지지포스트(31)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상부지지대(34)를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틀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하고, 상기 각 지지포스트(31)에 하부지지대(35)를 연결하며, 상기 상부지지대(34) 및 하부지지대(35)를 연결지지대(36)로 상호 연결하면 2개의 지지포스트(31)가 하부지지대(35)를 통해 상호 지지되는 동시에 연결지지대(36)를 통해 베이스부재(100)와 연결 지지되어 지지력이 향상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stably install the support post 31, the upper support 34 is installed so as to cross the inside of the frame of the base member 100, and the lower support 35 on each of the support posts 31. When the upper support 34 and the lower support 35 are interconnected by the connection support 36, the two support posts 31 are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35 and at the same time, It is connected and supported by the base member 100 through the support force is improved.

상기 지지포스트(31) 상단에는 포스트홀(33)이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홀(33)과 상기 프레임연결구(120)의 홀(126)을 상호 일직선 상에 배치하면, 결속핀(10)을 통해 베이스부재(100)와 지지부재(30)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00) 상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벽부재(200)를 적층한 다음 결속핀(10)이 코너연결구(220)의 홀(221)과 프레임연결구(120)의 홀(126) 및 포스트홀(33)을 연속해서 관통하게 하면 지지부재(30)가 부착된 가드닝 플랜터가 구성된다.Post holes 33 are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support posts 31, and when the holes 126 of the post holes 33 and the frame connector 120 are disposed in a line with each other, the binding pins 10 are disposed. The base member 100 and the support member 30 may be fixed to each other. Therefore, as shown in FIG. 14, one or a plurality of wall members 200 are stacked on the base member 100, and then the binding pin 10 is connected to the hole 221 and the frame connector 120 of the corner connector 220. Continuously penetrating the hole 126 and the post hole 33 of the ()) constitutes a gardening plant with a supporting member 30 attached thereto.

도 1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로서 벽부재와 투명 덮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로서 벽부재와 투명 덮개의 조립 사시도이다.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ll member and a transparent cover as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wall member and a transparent cover as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벽부재(200) 상부에 투명 덮개(40)가 결합되면 식재공간이 외기와 차단되므로 온실형 가드닝 플랜터를 구성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5, when the transparent cover 4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wall member 200, the planting space is blocked from outside air, thereby forming a greenhouse-type gardening plant.

상기 투명 덮개(40)는 유리 또는 투명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고, 투명 덮개의 가장자리에는 홀이 형성된 플랜지(41)가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41)의 홀이 상기 코너연결구(220)에 결속핀 결속핀(10)의 머리에 안착되게 함으로써 투명 덮개(40)를 자유롭게 착탈시킬 수 있다.The transparent cover 40 may be made of glass or transparent synthetic resin, the edge of the transparent cover is provided with a flange 41 is formed with a hole, the hole of the flange 41 is a binding pin to the corner connector 220 The transparent cover 40 can be fre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head of the binding pin 10.

도 17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로서 벽부재와 휀스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가드닝 플랜터로서 벽부재와 휀스부재의 조립 사시도이다.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ll member and a fence member as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wall member and a fence member as a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벽부재(2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식물이 타고 오르도록 하기 위한 휀스부재(50)를 설치하면 식물이 식재된 벽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가드닝 플랜터를 꽃벽이나 휀스(fence)로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when the fence member 50 is installed at one edge of the wall member 200 to allow the plant to climb, the plant can form a wall in which the plant is planted. Can be used as a fence.

상기 휀스부재(50)는 내부에 망체가 구비된 망프레임(51)과 상기 벽부재(200) 상에 결합되는 망포스트(53)를 포함한다.The fence member 50 includes a mesh frame 51 having a mesh body therein and a mesh post 53 coupled to the wall member 200.

상기 망프레임(51)의 양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폭이 점차 확장하면서 돌출된 결속돌기(52)가 구비되고, 상기 망포스트(53)의 하단에는 핀(54)이 연장 돌출되며, 망포스트(53)의 측면에는 상기 결속돌기(52)와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간격이 점차 확장하면서 홈이 패인 슬롯(55)이 형성된다.Both end portions of the mesh frame 51 are provided with a binding protrusion 52 protruding while the width gradually expands to the outside, and a pin 54 extends and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mesh post 53, and the mesh post 53. In the side of the) is formed a slot 55 in which the groove is recessed while the interval gradually expands inwardly so as to correspond to the binding projection 52.

이 경우 도 18과 같이 망포스트 하단의 핀(54)이 상기 코너연결구(220)에 형성된 홀(221)에 삽입되는 동시에 망프레임(51)의 결속돌기(52)가 망포스트(53)의 슬롯(55)에 삽입되어 휀스부재(50)가 벽부재(200) 상에 고정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8, the pin 54 at the bottom of the mesh post is inserted into the hole 221 formed in the corner connector 220, and the binding protrusion 52 of the mesh frame 51 is inserted into the slot of the mesh post 53. Inserted into the 55, the fence member 50 is fixed on the wall member 200.

상기 망프레임(51)이 한 쌍의 망포스트(53) 사이에 슬라이드 형태로 끼워진 상태에서 망프레임(51)이 망포스트(53) 상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망포스트(53) 상에 스토퍼(57)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mesh post 53 to prevent the mesh frame 51 from being separated above the mesh post 53 while the mesh frame 51 is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mesh posts 53. The stopper 57 may be provided.

상기 스토퍼(57)는 상기 망포스트(53)의 단면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판재로 되고 하단에는 하향 돌출된 핀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망포스트(53)의 상단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는 홀(56)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망포스트(53) 상단에 스토퍼(57)가 결속되면 스토퍼(57)가 슬롯(55)의 상단을 폐쇄하게 되므로 망프레임(51)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stopper 57 is formed of a plat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sh post 53, and a lower downwardly protruding pin is integrally provided, and the upper end of the mesh post 53 has a hole into which the pin is inserted. 56) is formed. In this case, when the stopper 57 is bound to the upper end of the mesh post 53, the stopper 57 closes the upper end of the slot 55, thereby preventing the mesh frame 51 from moving upward.

도 1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구성된 다양한 형태의 가드닝 플랜터를 보인 이미지로서, 도 1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르면 정사각으로 이루어진 기본형 가드닝 프랜트를 비롯하여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형태의 가드닝 플랜터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하부에 캐스터를 설치하여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의 높이를 달리 하여 여러 개의 가드닝 플랜터를 계단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19 is an image showing various types of gardening plant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9 made of a rectangular including a basic gardening plant made of squares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gardening plant of the form, it can also be movable by installing a caster at the bottom,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 number of gardening plant in step by vary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member.

또한, 가드닝 플랜터 상부에 투명 덮개를 설치하여 온실형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상부에 격자 형태의 휀스부재를 설치하여 꽃벽이나 휀스로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등, 그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greenhouse type by installing a transparent cover on the upper part of the gardening plant, as well as by installing a fence member in the form of a lattice in the upper part to make it usable as a flower wall or a fence. Can be.

이와 같이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and the claims, such as changing and mixing a part of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are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outloo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10... 결속핀 20... 캐스터 30... 지지부재
31... 지지포스트 32... 연결대 33... 포스트홀
34... 상부지지대 35... 하부지지대 36... 연결지지대
40... 투명 덮개 41... 플랜지 50... 휀스부재
51... 망프레임 52... 결속돌기 53... 망포스트
54... 핀 55... 슬롯 56... 포스트홀
57... 스토퍼 100... 베이스부재 110... 베이스프레임
120... 프레임연결구 121... 연장부 122... 벽체
123... 폐쇄벽 124... 공간 125... 코너벽
126... 홀 127... 돌출부 130... 배수판지지대
140... 배수판 141... 턱
200... 벽부재 210... 벽플레이트 211... 결속돌기
220... 코너연결구 221... 홀 222... 연장부
223... 슬롯 230... 중간연결구 231... 홀
232... 연장부 233... 슬롯
10 ... Binding pin 20 ... Caster 30 ... Support member
31 ... support post 32 ... connection 33 ... posthole
34 ... upper support 35 ... lower support 36 ... connection support
40 ... Transparent cover 41 ... Flange 50 ... Fence member
51 ... the net frame 52 ... the binding 53 ... the net post
54 ... pin 55 ... slot 56 ... posthole
57 ... stopper 100 ... base member 110 ... base frame
120 ... Frame connector 121 ... Extension 122 ... Wall
123 ... closed wall 124 ... space 125 ... corner wall
126 ... hole 127 ... projection 130 ... drainage plate support
140 ... drain plate 141 ... chin
200 ... Wall member 210 ... Wall plate 211 ... Binder projection
220 ... corner connector 221 ... hole 222 ... extension
223 ... slot 230 ... intermediate end 231 ... hole
232 ... extension 233 ... slot

Claims (14)

복수 개의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각 베이스프레임의 단부를 상호 결속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연결구(120)를 포함하여 일정 틀을 형성하는 베이스부재(100);
복수 개의 벽플레이트(210)와, 상기 각 벽플레이트의 단부를 상호 결속하는 복수 개의 코너연결구(220)를 포함하여 내부에 식재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서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적층되는 벽부재(200);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연결구(120) 일측에 홀(126)이 천공되고, 상기 코너연결구(220) 일측에 홀(221)이 천공되며, 일정 길이를 가진 결속핀(10)이 상기 각 홀(126,221)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부재와 벽부재가 상호 고정되게 하고,
상기 홀(126)은 상기 프레임연결구의 각 연장부(121)가 만나는 코너벽(125)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7)에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127)의 높이는 상기 코너벽(125)의 높이에 대해 1/2 이하로 형성되어, 2개의 프레임연결구를 상하로 엇갈리게 배치시 각 홀이 상하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결속핀으로 고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 설치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닝 플랜터.
A base member 100 including a plurality of base frames 110 and a plurality of frame connectors 120 for binding the ends of the base frames to each other;
A wall member 200 including a plurality of wall plates 210 and a plurality of corner connectors 220 for binding the ends of each of the wall plates to form a planting space therein, and one or more are stacked on the base member. );
Consisting of
The hole 126 is drilled in one side of the frame connector 120, the hole 221 is drilled in one side of the corner connector 220, and a binding pin 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penetrates the holes 126 and 221. The base member and the wall member to be fixed to each other,
The hole 126 is formed in the protrusion 127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orner wall 125 where each extension 121 of the frame connector meets,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127 of the corner wall 125 It is formed to be less than 1/2 with respect to the height, and when the two frame connectors are arranged up and down, each hole i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up and down to be fixed with a binding pin to enable continuous installation of the bas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Gardening planter,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연결구(120)는,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연장부(121)를 형성하고, 상기 각 연장부(12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단부를 내입하는 공간(124)이 형성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벽체(122)와, 상기 각 벽체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공간의 일측을 폐쇄하는 폐쇄벽(12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닝 플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connector 120 forms two extension parts 121 extending in a right angle direction, and each of the extension parts 121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form a space 124 into which an end of the base frame is inserted. Garden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losed wall (123) and a closed wall (123) for connecting one end of each of the walls to close one side of the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플레이트(210)의 양측 단부에 외측으로 폭이 점차 확장하면서 돌출된 결속돌기(211)가 형성되고, 상기 코너연결구(220)는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연장부(222)를 형성하며, 상기 각 연장부에는 상기 결속돌기(211)와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간격이 점차 확장하면서 홈이 패인 슬롯(2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닝 플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ind protrusions 211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wall plate 210 so as to gradually expand outwardly, and the corner connector 220 forms two extension portions 222 extending in a right direction. Garden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extension portion is formed with a slot 223 slotted groove while gradually extending inwardly so as to correspond to the binding projection (2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부재는 3개의 벽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중간연결구(2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벽플레이트의 양측 단부에 외측으로 폭이 점차 확장하면서 돌출된 결속돌기(211)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연결구는 3개 방향으로 연장된 3개의 연장부(232)를 형성하며, 상기 각 연장부(232)에는 상기 결속돌기(211)와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간격이 점차 확장하면서 홈이 패인 슬롯(2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닝 플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ll member further includes an intermediate connector 230 connecting the three wall plates, and the binding protrusion 211 protrudes while the width gradually expands to the outside at both ends of the wall plate, and the intermediate connector is formed. Three extension portions 232 extending in three directions are formed, and each of the extension portions 232 has slots 233 in which grooves are formed while gradually extending inwardly so as to correspond to the binding protrusions 211. Garden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양측 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틀 내측 대향 면에 연결된 배수판지지대(1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닝 플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Garden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h ends are provided with a drainage plate support 130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100 opposi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 저부에는 베이스부재를 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지지부재(30)가 구비되되, 상기 지지부재는 일정 길이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하향 연결된 복수 개의 지지포스트(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닝 플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member bottom por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30 spaced apart from the base me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the suppor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 posts 3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ed downward from the base member Gardening plant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스트(31) 상단에 포스트홀(33)이 형성되고, 상기 각 지지포스트(31)의 상부를 연결대(32)가 연결 지지하며, 프레임연결구 일측에 형성된 홀(126)과 상기 포스트홀(33)을 일직선 상에 배치하여 결속핀(10)으로 상호 고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닝 플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Post holes 33 are formed at the upper ends of the support posts 31, and connecting rods 32 support the upper portions of the support posts 31, and holes 126 and the post holes formed at one side of the frame connector. 33) arranged in a straight line, the garden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be fixed to each other by the binding pin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틀 내부를 가로지르는 상부지지대(34)와, 상기 각 지지포스트(31)를 연결하는 하부지지대(35)와, 상기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지지대(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닝 플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upper support 34 which crosses the inside of the frame of the base member, the lower support 35 for connecting the respective support posts 31, and the connecting support 36 for connecting the upper support and the lower support further Garden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부재 상부에 투명 덮개(4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닝 플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Garden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t cover 40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wall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부재 일측 가장자리에 식물이 타고 오르도록 하기 위한 휀스부재(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닝 플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Garden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ence member (50) is provided on the one side edge of the wall member for the plant to climb.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휀스부재(50)는, 내부에 망체가 구비된 틀의 양측 단부에 외측으로 폭이 점차 확장하면서 돌출된 결속돌기(52)가 구비된 망프레임(51)과, 하단에 핀(54)이 연장 돌출되고 측면에 상기 결속돌기(52)와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간격이 점차 확장하면서 홈이 패인 슬롯(55)이 형성된 망포스트(53)를 포함하여, 코너연결구(220)에 형성된 홀(221)에 상기 핀(54)을 결속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닝 플랜터.
The method of claim 12,
The fence member 50 has a mesh frame 51 provided with a binding protrusion 52 which protrudes while the width is gradually extended outward at both ends of the frame provided with the mesh inside, and the pin 54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thereof. A hole formed in the corner connector 220, including a net post 53 having a slot 55 having a slot formed therein, the groove being extended and gradually extending inwardly so as to extend and protrude to the side and corresponding to the binding protrusion 52. Gardening 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 (54) can be engaged with the 221.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망포스트(53)의 상단에 홀(56)이 형성되고, 상기 망포스트(53) 상단에 위치하고 하단에 핀이 돌출된 스토퍼(57)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토퍼의 핀이 상기 홀(56)에 결속되어 망프레임(51)을 고정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닝 플랜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A hole 56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esh post 53, and further includes a stopper 57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mesh post 53 and a pin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thereof. And a mesh frame 51 can be fixed to the gardening planter.
KR1020120004423A 2012-01-13 2012-01-13 Gardening planter KR1011693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423A KR101169351B1 (en) 2012-01-13 2012-01-13 Gardening pla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423A KR101169351B1 (en) 2012-01-13 2012-01-13 Gardening plan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9351B1 true KR101169351B1 (en) 2012-07-30

Family

ID=4671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423A KR101169351B1 (en) 2012-01-13 2012-01-13 Gardening pla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351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7917A1 (en) * 2014-08-20 2016-02-25 윤태소 Variable modular vegetable garden
KR101832941B1 (en) * 2017-08-10 2018-02-27 주식회사 유퍼니 Prefabricated flower garden
KR102194284B1 (en) * 2020-02-26 2020-12-22 김의성 Planter box
KR20210029888A (en) 2019-09-06 2021-03-17 사공집 Planter
US11277978B2 (en) 2019-01-11 2022-03-22 Stephen Fitzwater Vinyl raised bed garden planter kit with modular extension option
KR20220055880A (en) 2020-10-27 2022-05-04 안혜진 Multipurpose gardening shelf
KR102598903B1 (en) * 2023-01-27 2023-11-0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크 Bed for growing animals and pla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816A (en) 1997-12-09 1999-06-29 Ykk Architectural Products Inc Mounting structure for face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to post
JP2009136281A (en) 2007-11-13 2009-06-25 Yoshitada Okimura Planter
KR101047359B1 (en) 2008-07-30 2011-07-07 조규호 Prefab plan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816A (en) 1997-12-09 1999-06-29 Ykk Architectural Products Inc Mounting structure for face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to post
JP2009136281A (en) 2007-11-13 2009-06-25 Yoshitada Okimura Planter
KR101047359B1 (en) 2008-07-30 2011-07-07 조규호 Prefab plant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7917A1 (en) * 2014-08-20 2016-02-25 윤태소 Variable modular vegetable garden
KR101832941B1 (en) * 2017-08-10 2018-02-27 주식회사 유퍼니 Prefabricated flower garden
US11277978B2 (en) 2019-01-11 2022-03-22 Stephen Fitzwater Vinyl raised bed garden planter kit with modular extension option
KR20210029888A (en) 2019-09-06 2021-03-17 사공집 Planter
KR102194284B1 (en) * 2020-02-26 2020-12-22 김의성 Planter box
KR20220055880A (en) 2020-10-27 2022-05-04 안혜진 Multipurpose gardening shelf
KR102598903B1 (en) * 2023-01-27 2023-11-0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도크 Bed for growing animals and pla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351B1 (en) Gardening planter
US8904706B1 (en) Modular interlocking planter
JP3187481U (en) Green wall structure
KR101164891B1 (en) Prefabricated flower garden
CA2910465A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plants on non-horizontal surfaces
EP2368464A1 (en) Flower holder structure
KR101035461B1 (en) Fence For Landscape architecture
KR20160022968A (en) Variable modular kitchen garden
KR20100054776A (en) Prefabricated flower garden
KR102002834B1 (en) Multipurpose prefabricated flowerbeds
US20130042528A1 (en) Tree surround decorative planter pot
US20120204486A1 (en) Prefabricated gardening apparatus
KR200466546Y1 (en) vertical moving type apparatus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ior Assembly complex
KR102157856B1 (en) Prefabricated pots
KR101466266B1 (en) Pyramid flowers top wreath
KR101980305B1 (en) Flowerpot frame for landscaping
JP3491020B2 (en) Planting container
JP3320689B2 (en) Prefabricated flower pot
JP2980283B2 (en) Expandable terraces
KR102182296B1 (en) Assembly house
KR101179690B1 (en) Block for protecting the tree
KR100619274B1 (en) Prefabricate flower bed
JP2013017477A (en) Assembly set of assembly-type container and assembly-type container
JP2011188769A (en) Ready-to-assemble planter
KR102161270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partition for making flower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