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201B1 -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 Google Patents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201B1
KR102297201B1 KR1020200024707A KR20200024707A KR102297201B1 KR 102297201 B1 KR102297201 B1 KR 102297201B1 KR 1020200024707 A KR1020200024707 A KR 1020200024707A KR 20200024707 A KR20200024707 A KR 20200024707A KR 102297201 B1 KR102297201 B1 KR 102297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ace
main body
cover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션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션에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션에어
Priority to KR1020200024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201B1/ko
Priority to KR1020210111907A priority patent/KR20210110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Abstract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제1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에 송풍팬 및 열선을 포함하는 본체;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제2 공간을 구비하는 상부 수조; 상기 상단부 또는 상기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공간을 덮는 커버; 및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제1 공간과 구분되는 제3 공간에 위치하는 하부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조의 상기 하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경우 가습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상부 수조의 상기 상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경우 건조 모드로 동작한다.

Description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HUMIDIFIER WITH DRYING FUNCTION}
본 발명은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상부 수조와 본체의 결합 구조에 따라 가습 모드와 건조 모드로 동작하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습기는 크게 수조 내부의 물을 히터를 사용하여 가온, 증발시켜 증발되는 수증기를 분무관에 모아 토출관을 통해 분무시키는 가열식 가습기와, 수조 내부의 물을 초음파로 진동하는 진동자를 사용하여 미세 입자화시켜 분무관을 통해 모아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분무시키는 초음파 가습기, 물을 윅(wick)을 이용하여 증발시키고 팬을 이용해 증발이 잘 일어나도록 하는 습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그러나 기존의 위 가습기들은, 수조 내부에서 물을 가열 또는 초음파 진동자를 사용하거나, 또는 윅(wick)을 이용하여 미세 입자화 할 경우에 발생되는 수분의 잔류로 인하여, 미생물이 번식하기 좋은 조건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번식된 미생물이 분무되는 수분에 섞여 인체 호흡기로 침투하여 각종 질병을 유발하고. 이로 인한 사망 사고가 발생하는 등 가습기 사용에 심각한 위생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수조 내부에 번식하는 미생물을 차단하기 위하여, 가습기를 자주 청소하여 건조시키는 등의 관리가 필요하나, 이는 사용자에게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며, 실제는 자주 청소를 행하지 못하여 가습기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3-0030685A KR 10-2013-0092093A KR 10-1749061B1
삭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손쉽게 건조를 시킬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제1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에 송풍팬 및 열선을 포함하는 본체;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제2 공간을 구비하는 상부 수조; 상기 상단부 또는 상기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공간을 덮는 커버; 및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제1 공간과 구분되는 제3 공간에 위치하는 하부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조의 상기 하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경우 가습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상부 수조의 상기 상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경우 건조 모드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모드를 이용하여 가습 작동 시 수분에 노출되는 본체, 상부 수조 및 커버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부 수조를 거꾸로 본체에 결합하고 커버를 상부 수조에 결합시키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건조 모드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수조가 거꾸로 결합되고 본체 내부의 프레임이 경사짐에 따라 본체, 상부 수조 및 커버에 존재하는 내부의 잔여 물기가 하부 수조로 흘러가 손쉽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모드에서 하부 수조로 배수 후 남겨진 물기와 습기는 본체에 존재하는 열선으로 공기를 데우고 송풍팬을 이용하여 외부로 송풍 시 함께 배출함으로써 가습기 내부의 물기와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수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가지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가습기(10)의 각 구성들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도 7 내지 도 11을 통해 가습기(10)의 가습 모드와 건조 모드를 설명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기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가습기를 일 에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가습기는 가열식 가습기 또는 습식 가습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할 경우 진동자 대신 히터 또는 윅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수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수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가지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10)는 커버(100), 상부 수조(200), 본체(300) 및 하부 수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가습기(10)의 형상을 사각 기둥 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원형 기둥 형태 등 전체적인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10)는 상부 수조(200)의 하단부(도 4에서 제1 방향에 위치한 상부 수조(200)의 단부)가 본체(300)에 결합될 경우 가습 모드로 동작하고, 상부 수조(200)의 상단부(도 4에서 제2 방향에 위치한 상부 수조(200)의 단부)가 본체(300)에 결합될 경우 건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드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수조(200)의 하단부가 본체(300)와 결합하는 것을 올바르게 본체(300)와 결합하는 것으로 혼용하여 설명하고, 상부 수조(200)의 상단부가 본체(300)와 결합하는 것을 거꾸로 결합하는 것으로 혼용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100)는 상부 수조(20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 수조(200)의 제2 공간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00)는 제2 공간을 덮으며 커버 홀(140)이 형성된 커버 프레임(110) 및 커버 프레임(110)의 일면에서 돌출된 커버 제1 돌기(120)와 커버 제2 돌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홀(140)은 커버 프레임(11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제1 돌기(120)의 높이는 커버 제2 돌기(130)의 높이(h)보다 작을 수 있고, 커버 제2 돌기(130)의 높이(h)는 밸브(240)를 커버 프레임(110)이 눌러줄 수 있도록 밸브(240)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홀(140)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뚜껑(150)을 별도로 더 구비할 수 있다. 도2 이하 단면도에서는 뚜껑(150)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물론 뚜껑(150)은 생략되거나 별도의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100)는 건조 과정에서 고온의 건조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기구(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물론 배기구(160)는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수조(200)는 상단부(도 4의 제2 방향에 위치) 또는 하단부(도 4의 제1 방향에 위치)가 본체(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제2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수조(200)는 서로 각각 연결되며 제2 공간을 정의하는 상부 제1 프레임(210), 상부 제2 프레임(220) 및 상부 제3 프레임(280), 제1 프레임(210)의 일면에서 돌출된 상부 제1 돌기(230), 제3 프레임(280)의 일면에서 돌출된 상부 제2 돌기(250) 및 제3 프레임(280)을 관통하도록 제3 프레임(280)에 위치하며 물 공급을 단속하는 밸브(240)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 제2 프레임(220)이 둘러싸는 상부 홀(270)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제2 프레임(220)이 상부 홀(270)을 둘러싸고, 상부 제1 프레임(210)이 상부 제2 프레임(220)을 둘러싸며 바닥면을 형성하는 상부 제3 프레임(280)이 상부 제1 프레임(210)과 상부 제2 프레임(2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상부 제1 프레임(210), 상부 제2 프레임(220) 및 상부 제3 프레임(280)이 둘러싸는 제2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밸브(240)는 상부 수조(200)의 제2 공간과 본체(300)의 제1 공간을 연결하는 관통 홀(221)에 위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 공간과 제1 공간 사이의 물 공급을 단속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 홀(221)은 상부 제3 프레임(28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부 제1 돌기(230)와 상부 제2 돌기(240)는 본체(300) 또는 커버(100)와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30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제1 공간을 구비하며 내부에 송풍팬(360) 및 열선(37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300)는, 서로 연결되어 본체(300)의 외형을 정의하는 본체 제1 프레임(310) 및 본체 제2 프레임(330), 본체 제1 프레임(310)의 내주면과 연결되며 제1 공간과 제3 공간을 구분하는 본체 제3 프레임(340), 본체 제1 프레임(310)에서 돌출된 본체 제1 돌기(311), 본체 제2 프레임(330)에서 돌출된 본체 제2 돌기(312), 본체 제1 프레임(310)에 형성되어 하부 수조(400)의 인출 통로가 되는 본체 제1 개구부(321), 본체 제2 프레임(330)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본체 제2 개구부(331), 본체 제3 프레임(340)에 위치하는 진동자(380) 및 본체 제3 프레임(340)에 배치되어 제1 공간과 제3 공간을 연결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 제1 프레임(310)은 본체(300)의 측벽을 구성하고 본체 제2 프레임(330)은 본체(300)의 바닥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수평면을 기준으로 경사진 본체 제3 프레임(340)이 배치됨에 따라 본체(300)의 내부가 본체 제3 프레임(330)과 본체 제1 프레임(310)으로 둘러싸인 제1 공간(도 5에서 본체 제3 프레임(330)의 상부 공간)과 본체 제1 프레임(310), 본체 제2 프레임(330) 및 본체 제3 프레임(340)으로 둘러싸인 제3 공간(도 5에서 본체 제3 프레임(330)의 하부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 제1 돌기(311)와 개폐부(350)의 형상은 상부 수조(200)와 결합이 용이한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송풍팬(360)은 본체 제3 프레임(340)에 위치하며 외부의 공기를 제1 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열선(370)은 본체 제3 프레임(340)에 위치하며 외부의 공기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자(380)는 본체 제3 프레임(340)에 위치하며 초음파 진동자일 수 있다. 진동자(380)는 물 분자를 미세 입자화시켜 물 분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누름부(390)는 본체 제3 프레임(340)에서 돌출되며 상부 수조(200)와 본체(300)가 제1 방향으로 결합할 경우에 밸브(240)를 눌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밸브(240)가 누름부(390)에 의해 눌러질 경우, 상부 수조(200)의 제2 공간과 본체(300)의 제1 공간이 관통 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폐부(350)는, 본체 제1 프레임(310)의 내면에서 돌출된 개폐 걸이(351), 개폐 걸이(3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프레임(352) 및 회전 프레임(352)의 회전에 따라 본체 제3 프레임(340)에 형성되어 제1 공간과 제3 공간을 연통하는 개폐 홀(354)을 덮거나 개방하는 개폐 커버(3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커버(353)는 회전 프레임(352)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부 수조(400)는 본체(300)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본체(300)의 내부 중 제1 공간과 구분되는 제3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수조(400)는 물을 수용하는 하부 프레임(410)과 개구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수조(400)는 본체 제1 개구부(321)를 통해 본체(300)에서 분리되거나 본체(30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가습기(10)는 상부 수조(200)가 도 7의 좌측과 같이 제1 방향으로 본체(300)와 결합될 경우 가습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상부 수조(200)가 도 7의 우측과 같이 제2 방향으로 본체(300)와 결합될 경우 건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습 모드란 상부 수조(200)가 올바르게 본체(300)와 결합하여 내부에 구비된 물을 분무로 변형하여 외부로 분출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부 수조(200)의 하단부가 제1 방향으로 본체(300)와 결합되어 가습기(10)가 가습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제2 돌기(250)가 본체 제1 프레임(310)의 단부에 안착되고 밸브(240)가 본체 제3 프레임(340)에서 돌출된 누름부(390)에게 눌려지고 송풍팬(360)과 진동자(380)가 구동함으로써 상부 수조(200)의 제2 공간에 위치한 물이 본체(300)의 제1 공간으로 흐르고 진동자(380)에 의해 변환된 물 분무(30)가 상부 홀(270) 및 커버 홀(140)을 통해 외부로 분출될 수 있다. 또한, 본체 제2 개구부(33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송풍팬(360)을 통해 제1 공간으로 유입되면서 제3 공간, 제1 공간, 상부 홀(270) 및 커버 홀(140) 순서대로 물 분무(30)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건조 모드란 가습 작동 시 수분에 노출되는 본체(300), 상부 수조(200) 및 커버(100)의 물기를 제거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모드는 상부 수조(200)가 거꾸로 본체(300)에 결합되고 커버(100)가 상부 수조(200)에 결합될 경우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상부 수조(200)가 본체(300)에 거꾸로 결합만 되어도 건조 모드가 동작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 수조(200)의 상단부가 제2 방향으로 본체(300)와 결합되어 가습기(10)가 건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제1 프레임(210)과 상부 제1 돌기(230)가 본체 제1 프레임(310)의 단부에 안착되고 상부 제1 돌기(230)가 회전 프레임(352)을 누름에 따라 개폐 커버(353가 도 9와 같이 상부쪽으로 열릴 수 있고, 개폐 커버(353)가 열림에 따라 개폐 홀(354)가 개방되어 제1 공간에 위치하던 물이 도 10과 같이 본체 제3 프레임(340)의 경사면을 따라 하부 수조(400)로 흐를 수 있다. 즉,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건조 모드에서 본체(300), 상부 수조(200) 및 커버(100)에 존재하던 내부의 잔여 물기를 하부 수조(400)로 흘려보냄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110)과 커버 제2 돌기(130)가 각각 상부 제2 돌기(250)와 상부 제3 프레임(280)에 안착함에 따라 커버(100)가 밸브(240)를 눌러줄 수 있고 관통 홀(221)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도 9와 도 10과 같이 결합할 경우 송풍팬(360)과 열선(370)이 구동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하면 하부 수조(400)로 배수 후 남겨진 물기와 습기는 본체(300)의 열선(370)으로 공기를 데우고 송풍팬(360)을 이용하여 외부로 송풍 시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순차적으로 외부 공기(c)는 송풍팬(360)과 열선(370)에 의해 고온 건조한 공기가 되어 제1 공간으로 유입(d)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부 수조의 제2 공간으로 유입(e,f,k)되거나 상부 홀(221)로 유입(i)될 수 있다. 또한, 관통 홀(221)과 배기구(160)를 통해 커버(100)를 지나 외부로 방출(g)될 수 있다. 즉, 정리하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열선(370)을 지나면서 고온 건조한 공기로 변할 수 있고, 이러한 고온 건조한 공기는 본체(300), 상부 수조(200) 또는 커버(100)를 지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이러한 고온 건조 공기의 흐름에 따라 내부의 물기와 습기가 제거됨으로써 가습기(10)의 내부가 건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제1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에 송풍팬 및 열선을 포함하는 본체;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제2 공간을 구비하는 상부 수조; 상기 상단부 또는 상기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공간을 덮는 커버; 및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제1 공간과 구분되는 제3 공간에 위치하는 하부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조의 상기 하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경우 가습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상부 수조의 상기 상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경우 건조 모드로 동작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공간을 덮으며 커버 홀이 형성된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커버 프레임의 일면에서 돌출된 커버 제1 돌기와 커버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수조는, 서로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 공간을 정의하는 상부 제1 프레임, 상부 제2 프레임 및 상부 제3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면에서 돌출된 상부 제1 돌기; 상기 제3 프레임의 일면에서 돌출된 상부 제2 돌기; 및 상기 제3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3 프레임에 위치하며 물 공급을 단속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둘러싸는 상부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외형을 정의하는 본체 제1 프레임 및 본체 제2 프레임; 상기 본체 제1 프레임의 내주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3 공간을 구분하는 본체 제3 프레임; 상기 본체 제1 프레임에서 돌출된 본체 제1 돌기; 상기 본체 제2 프레임에서 돌출된 본체 제2 돌기; 상기 본체 제2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수조의 인출 통로가 되는 본체 제1 개구부; 상기 본체 제2 프레임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본체 제2 개구부; 상기 본체 제3 프레임에 위치하는 진동자; 및 상기 제3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3 공간을 연결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본체 제3 프레임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시키고, 상기 열선은 상기 본체 제3 프레임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의 공기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수조는 물을 수용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제2 돌기와 상기 상부 제3 돌기가 상기 본체 제1 프레임의 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밸브가 상기 본체 제3 프레임에서 돌출된 누름부에게 눌려지고 상기 송풍팬과 상기 진동자가 구동함으로써 상기 가습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 제1 프레임의 내면에서 돌출된 개폐 걸이; 상기 개폐 걸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 제3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3 공간을 연통하는 개폐 홀을 덮거나 개방하는 개폐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제1 프레임과 상기 상부 제1 돌기가 상기 본체 제1 프레임의 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상부 제1 돌기가 상기 회전 프레임을 누름에 따라 상기 개폐 커버가 상기 개폐 홀을 개방시키고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열선이 구동함으로써 상기 건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 제3 프레임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경사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프레임과 상기 커버 제2 돌기가 각각 상기 상부 제3 돌기와 상기 상부 제3 프레임에 안착함에 따라 상기 커버가 상기 밸브를 눌러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100 : 커버
200: 상부 수조
300: 본체
400: 하부 수조

Claims (10)

  1.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제1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에 송풍팬 및 열선을 포함하는 본체;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제2 공간을 구비하는 상부 수조;
    상기 상단부 또는 상기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공간을 덮는 커버; 및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제1 공간과 구분되는 제3 공간에 위치하는 하부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조의 상기 하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경우 가습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상부 수조의 상기 상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될 경우 건조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상부 수조는,
    서로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 공간을 정의하는 상부 제1 프레임, 상부 제2 프레임 및 상부 제3 프레임;
    상기 상부 제1 프레임의 일면에서 돌출된 상부 제1 돌기;
    상기 상부 제3 프레임의 일면에서 돌출된 상부 제2 돌기; 및
    상기 상부 제3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3 프레임에 위치하며 물 공급을 단속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제2 프레임이 둘러싸는 상부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공간을 덮으며 커버 홀이 형성된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커버 프레임의 일면에서 돌출된 커버 제1 돌기와 커버 제2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3. 삭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외형을 정의하는 본체 제1 프레임 및 본체 제2 프레임;
    상기 본체 제1 프레임의 내주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3 공간을 구분하는 본체 제3 프레임;
    상기 본체 제1 프레임에서 돌출된 본체 제1 돌기;
    상기 본체 제2 프레임에서 돌출된 본체 제2 돌기;
    상기 본체 제1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수조의 인출 통로가 되는 본체 제1 개구부;
    상기 본체 제2 프레임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본체 제2 개구부;
    상기 본체 제3 프레임에 위치하는 진동자; 및
    상기 본체 제3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3 공간을 연결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본체 제3 프레임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1 공간으로 유입시키고, 상기 열선은 상기 본체 제3 프레임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의 공기에 열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조는 물을 수용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제2 돌기가 상기 본체 제1 프레임의 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밸브가 상기 본체 제3 프레임에서 돌출된 누름부에게 눌려지고 상기 송풍팬과 상기 진동자가 구동함으로써 상기 가습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 제1 프레임의 내면에서 돌출된 개폐 걸이;
    상기 개폐 걸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회전 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 제3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3 공간을 연통하는 개폐 홀을 덮거나 개방하는 개폐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제1 프레임과 상기 상부 제1 돌기가 상기 본체 제1 프레임의 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상부 제1 돌기가 상기 회전 프레임을 누름에 따라 상기 개폐 커버가 상기 개폐 홀을 개방시키고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열선이 구동함으로써 상기 건조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제3 프레임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과 상기 커버 제2 돌기가 각각 상기 상부 제2 돌기와 상기 상부 제3 프레임에 안착함에 따라 상기 커버가 상기 밸브를 눌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KR1020200024707A 2020-02-28 2020-02-28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KR102297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707A KR102297201B1 (ko) 2020-02-28 2020-02-28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KR1020210111907A KR20210110537A (ko) 2020-02-28 2021-08-24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707A KR102297201B1 (ko) 2020-02-28 2020-02-28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907A Division KR20210110537A (ko) 2020-02-28 2021-08-24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201B1 true KR102297201B1 (ko) 2021-09-03

Family

ID=777848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707A KR102297201B1 (ko) 2020-02-28 2020-02-28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KR1020210111907A KR20210110537A (ko) 2020-02-28 2021-08-24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907A KR20210110537A (ko) 2020-02-28 2021-08-24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72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685A (ko) 2011-09-19 2013-03-27 이승현 가습기
KR20130092093A (ko) 2012-02-10 2013-08-20 이은희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습도 제어 방법
KR20160139747A (ko) * 2015-05-28 2016-12-07 염광영 공기정화용 가습기
KR101749061B1 (ko) 2015-10-08 2017-06-2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685A (ko) 2011-09-19 2013-03-27 이승현 가습기
KR20130092093A (ko) 2012-02-10 2013-08-20 이은희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습도 제어 방법
KR20160139747A (ko) * 2015-05-28 2016-12-07 염광영 공기정화용 가습기
KR101749061B1 (ko) 2015-10-08 2017-06-2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537A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1967A (en) Combination evaporative/warm mist humidifier
US5075047A (en) Spray pad humidifier
KR102297201B1 (ko)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KR100764116B1 (ko) 가습기
KR101677677B1 (ko) 분리형 살균 가습기
KR20230031157A (ko) 건조 기능을 갖는 가습기
JPH0347634Y2 (ko)
KR0164173B1 (ko) 가습기
JP6091944B2 (ja) 呼吸用ガスの加温加湿器
CN214276023U (zh) 负离子加湿器
KR0182751B1 (ko) 송풍유로가 구비된 가습기
KR200293592Y1 (ko) 다용도 초음파 가습기
KR0166249B1 (ko) 제습겸용 가습기
KR20220019858A (ko) 공기 정화 겸용 진공청소기
KR20020063047A (ko) 가습기
KR100205123B1 (ko) 일체형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
KR200331842Y1 (ko) 물 주입이 용이한 가습기
JP5169526B2 (ja) 加湿装置とそれを用いたサウナ装置
CA1336561C (en) Vaporizer for relatively large animals
JPS60570Y2 (ja) 室内空気加湿器
JPH0347636Y2 (ko)
KR200418082Y1 (ko) 가습기
JPH0335330Y2 (ko)
KR0158809B1 (ko) 제습기능을 갖는 가습기
JPH042744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