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013B1 - Adaptive drive beam moudule - Google Patents
Adaptive drive beam mou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7013B1 KR102297013B1 KR1020140190179A KR20140190179A KR102297013B1 KR 102297013 B1 KR102297013 B1 KR 102297013B1 KR 1020140190179 A KR1020140190179 A KR 1020140190179A KR 20140190179 A KR20140190179 A KR 20140190179A KR 102297013 B1 KR102297013 B1 KR 1022970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prism
- pattern
- lens unit
- adaptive dr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은, 차량의 헤드 램프 내에 구비되어 상하향빔을 조사하고 상기 차량의 전방에 출현하는 차량이 위치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상하향빔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이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제1 입사면과 상기 제1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을 굴절시켜 제1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의 빛을 출사하는 제1 출사면을 포함하는 제1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출사된 상기 제1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을 굴절시켜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출사된 빛 중 일부가 입사되는 제2 입사면을 포함하는 비구면 렌즈부 및 상기 제2 입사면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1 렌즈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프리즘면을 포함하는 상부 프리즘 렌즈부를 포함한다.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provided in a headlamp of a vehicle to irradiate up and down beams and block at least a portion of the up and down beams in an area where a vehicle appearing in front of the vehicle is located. It is a driving beam module, at least one light source, a first incident surface to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incident, and refracts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first incident surface to emit light of a beam pattern having a first aspect ratio A first lens including a first exit surface and a second lens refracting a beam pattern having the first aspect ratio emitted from the first lens to form a beam pattern of the vertical beam, wherein the second lens includes: , an aspherical lens unit including a second incident surface on which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ens is incident, and a second prism surface extending from an image side of the second incident surface to be inclined toward the first lens. and an upper prism lens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헤드 램프 내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에 조명을 제공하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provided in a headlamp of a vehicle to provide illumination to the front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들을 구비하고 있다. In general, a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vehicle' lamps having a lighting function to easily check an object located around the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and a signal function to notify other vehicles or road users of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차량에 장착되는 램프들 중, 헤드 램프는 야간 주행 시에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램프로서, 일반적으로 차량 전방의 근거리에 빛이 조사되는 로우빔(하향빔)과 차량 전방의 원거리까지 빛이 조사되는 하이빔(상향빔)을 동시 또는 따로 조사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Among the lamps mounted on a vehicle, a head lamp is a lamp including a function to secure a driver's front view when driving at night, and generally includes a low beam (down beam) that is irradiated with light in a short distanc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a head lamp in front of the vehicle. It is equipped with a function that can irradiate the high beam (upward beam) that is irradiated to a long distance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운전자의 입장에서는 로우빔과 하이빔을 동시에 조사하는 것이 차량 전방의 근거리 및 원거리에 대한 운전자의 시야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으므로 차량에 운행에 가장 안전한 방법이지만, 하이빔은 마주오는 대항 차량의 운전자 또는 마주오는 보행자의 눈부심을 유발하여 명순응 및 암순응에 소요되는 시간 동안 시야를 확보할 수 없도록 하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From the driver's point of view, irradiating the low beam and high beam at the same time is the safest way to drive the vehicle because it can secure the driver's field of vision for both near and far in front of the vehicle at the same time. There is a risk that it causes glare of pedestrians, making it impossible to secure the field of vision during the time required for light adaptation and dark adaptation.
그러나, 운전자가 대항 차량 또는 보행자 등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하이빔의 ON/OFF 동작을 반복하는 것 역시 차량 운행의 안전성을 해치고, 운전자는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However, if the driver continuously checks the opposing vehicle or pedestrian and repeats the ON/OFF operation of the high beam, the safety of vehicle operation is also impaired, and the driver feels considerable inconvenience.
이를 보완하여, 대항 차량 및/또는 선행 차량의 유무에 따라 하이빔을 자동으로 ON/OFF 제어하거나, 도로 상황(시가지, 고속도로, 교차로 등)에 따라 로우빔/하이빔의 조사 각도 및/또는 밝기를 제어하는 등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이 개발되어 상용화되었다.Complementary to this, the high beam is automatically turned ON/OFF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n oncoming vehicle and/or a preceding vehicle, or the low beam/high beam irradiation angle and/or brightness is controlled according to road conditions (city area, highway, intersection, etc.) Driver assistance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최근에는, 차량 전방의 영상 이미지로부터 대항 차량, 선행 차량, 보행자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 보행자 등이 위치하는 곳에는 하이빔이 조사되지 않도록 램프 조사각을 변화시키거나 광원을 OFF시키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Adaptive drive beam, ADB)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Recently, an adaptive type that detects an opposing vehicle, a preceding vehicle, a pedestrian, etc. from an image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changes the lamp irradiation angle or turns off the light source so that the high beam is not irradiated where the detected vehicle or pedestrian is located Driving beam (Adaptive drive beam, ADB) technology is develop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ADB)의 상하향빔을 조사하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로서, 색수차가 개선되고, 전방 시인성이 향상된 상하향빔을 조사할 수 있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for irradiating a vertical beam of an adaptive driving beam (ADB),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capable of irradiating a vertical beam with improved chromatic aberration and improved front visibility is to provid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은, 차량의 헤드 램프 내에 구비되어 상하향빔을 조사하고 상기 차량의 전방에 출현하는 차량이 위치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상하향빔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이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제1 입사면과 상기 제1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을 굴절시켜 제1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의 빛을 출사하는 제1 출사면을 포함하는 제1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출사된 상기 제1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을 굴절시켜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출사된 빛 중 일부가 입사되는 제2 입사면을 포함하는 비구면 렌즈부 및 상기 제2 입사면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1 렌즈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프리즘면을 포함하는 상부 프리즘 렌즈부를 포함한다.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provided in a headlamp of a vehicle to irradiate up and down beams, and for an area where a vehicle appearing in front of the vehicle is located, It is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that blocks at least a part, at least one light source, a first incident surface on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incident, and a beam having a first aspect ratio by refracting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first incident surface A first lens including a first emitting surface for emitting light of a pattern, and a second lens for refracting a beam pattern having the first aspect ratio emitted from the first lens to form a beam pattern of the up and down beams, and , the second lens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first lens from an aspherical lens unit including a second incident surface on which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ens is incident, and an image side of the second incident surface and an upper prism lens unit including a second prism surface.
상기 상부 프리즘 렌즈부는 상기 제2 프리즘면으로 입사된 빛 중 일부를 상향 굴절시켜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 중 상부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The upper prism lens unit may upwardly refract som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prism surface to form an upper pattern among the beam patterns of the vertical and downward beams.
상기 상부 프리즘 렌즈부는,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이 상기 제1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보다 상측으로 쉬프팅되도록 하거나,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이 상기 제1 종횡비에 비해 세로 방향 비율이 큰 제2 종횡비를 갖도록 할 수 있다.The upper prism lens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beam pattern of the up and down beam is shifted upward than the beam pattern having the first aspect ratio, or a second aspect ratio of the beam pattern of the up and down beam having a higher vertical ratio than the first aspect ratio. can have it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2 입사면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1 렌즈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프리즘면을 포함하는 하부 프리즘 렌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ens may further include a lower prism lens unit including a third prism surface extending from a lower side of the second incident surface to be inclined toward the first lens.
상기 하부 프리즘 렌즈부는 상기 제3 프리즘면으로 입사된 빛 중 일부를 상향 굴절시켜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 중 중앙 패턴의 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lower prism lens unit may upwardly refract som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third prism surface to improve luminosity of a central pattern among the beam patterns of the vertical and downward beams.
상기 상부 프리즘 렌즈부 및 상기 하부 프리즘 렌즈부는 상기 제2 렌즈의 광축에 대해 상호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rism lens unit and the lower prism lens unit may be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n optical axis of the second lens.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의 색수차 감소를 위해 상기 상부 프리즘 렌즈부 및 상기 하부 프리즘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구면 렌즈부와 이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chromatic aberration of the beam pattern of the vertical beam, at least one of the upper prism lens unit and the lower prism lens un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aspherical lens unit.
상기 비구면 렌즈부는 PMMA(Polymethyl Methacrylate)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리즘 렌즈부 및 상기 하부 프리즘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는 PC(polycarbonate)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aspherical lens un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and at least one of the upper prism lens unit and the lower prism lens un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PC (polycarbonate).
상기 제2 입사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incident surface may be formed as a concave curved surface.
상기 제1 출사면은 상기 제1 입사면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며 상기 제1 렌즈를 통과하는 빛 중 일부의 광 경로를 상기 제2 렌즈의 주변부로 굴절시키도록 상기 제1 입사면 측을 향해 기울어진 제1 프리즘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xit surface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cidence surface and is inclined toward the first incidence surface to refract a light path of some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to the periphery of the second lens. 1 may include a prism face.
상기 제1 프리즘면은 상기 제1 출사면의 상부를 형성하여,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 중 상부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prism surface may form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emission surface to form an upper pattern among the beam patterns of the vertical beam.
상기 제1 프리즘면은 상기 제1 출사면의 하부를 형성하여,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 중 하향빔 패턴의 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prism surface may for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emitting surface to improve luminosity of a downward beam pattern among the beam patterns of the vertical beam.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은, 차량의 헤드 램프 내에 구비되어 상하향빔을 조사하고 상기 차량의 전방에 출현하는 차량이 위치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상하향빔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이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굴절시켜 제1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의 빛을 출사하는 제1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출사된 상기 제1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을 굴절시켜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제1 입사면 및 상기 제1 입사면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며 상기 제1 렌즈를 통과하는 빛 중 일부의 광 경로를 상기 제2 렌즈의 주변부로 굴절시키도록 상기 제1 입사면 측을 향해 기울어진 제1 프리즘면을 포함하여 상하 비대칭 형상을 갖는 제1 출사면을 포함한다.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provided in a headlamp of a vehicle to irradiate up and down beams, and the up and down beams are provided in the area where the vehicle appearing in front of the vehicle is located. It is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that blocks at least part of and a second lens refracting the beam pattern having the first aspect ratio to form a beam pattern of the up and down beams, wherein the first lens includes a first incident surface on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incident and the first A vertical asymmetric shape including a first prism surface that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incident surface and inclined toward the first incident surface to refract a light path of some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to the periphery of the second lens It includes a first exit surface having a.
상기 제1 프리즘면은 상기 제1 출사면의 상부를 형성하여,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 중 상부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prism surface may form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emission surface to form an upper pattern among the beam patterns of the vertical beam.
상기 제1 프리즘면은 상기 제1 출사면의 하부를 형성하여,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 중 하향빔 패턴의 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prism surface may for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emitting surface to improve luminosity of a downward beam pattern among the beam patterns of the vertical beam.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출사되는 빛의 색수차를 개선하여 보다 개선된 전방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다.By improving the chromatic aberration of the emitted light,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improved front visibility.
또한, 상부(원방) 빔 패턴을 강화하여 보다 넓은 전방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far) beam pattern can be strengthened to provide a wider forward field of view.
또한, 하부(근방) 빔 패턴의 광도를 유지 또는 개선하여 근거리의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ar field of view can be secured by maintaining or improving the luminosity of the lower (near) beam pattern.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상하향빔을 스크린에 조사한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의 상하향빔을 스크린에 조사한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비구면 렌즈부와 상/하부 프리즘 렌즈부를 동종 재질로 구성한 경우의 상하향빔을 스크린에 조사한 이미지이다.
도 6은 비구면 렌즈부와 상/하부 프리즘 렌즈부를 이종 재질로 구성한 경우의 상하향빔을 스크린에 조사한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의 상하향빔을 스크린에 조사한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beam pattern in which a conventional vertical beam is irradiated onto a screen.
4 is a view illustrating a beam pattern in which the up and down beams of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rradiated onto a screen.
5 is an image of irradiating up and down beams onto a screen when the aspherical lens unit and the upper/lower prism lens unit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6 is an image of irradiating up and down beams onto a screen when the aspherical lens unit and the upper/lower prism lens unit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eam pattern in which the up and down beams of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rradiated onto a screen.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and/or schematic diagrams that are ideal illustrativ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form of the illustrative drawing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In addition, in each of the drawing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enlarged or reduced to some extent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1)은, 광원(10), 제1 렌즈(20) 및 제2 렌즈(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 the adaptive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제1 렌즈(20) 및 제2 렌즈(30)를 통과하여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빔 패턴을 형성한다.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빔 패턴은 하향빔의 컷-오프라인을 중심으로 상하로 연장되는 상하향빔의 빔패턴으로 형성된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도 1에서는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진행 경로를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하나의 광원(10)을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광원들이 사용될 수 있다.In FIG. 1 , one
광원(10)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등의 반도체 발광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또는 광원(10)으로 벌브 타입의 램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벌브 타입의 램프로는 할로겐 램프, HID(High Intendity Dischage)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0)은 제1 렌즈(20) 및 제2 렌즈(30)의 광축(X)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광원(10)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광축(X)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광원(10)이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1 ,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20)는 광원(10)과 제2 렌즈(3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렌즈(20)는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제1 입사면(21)과 제2 렌즈(30)를 향해 소정의 빔 패턴을 출사하는 제1 출사면(22)을 포함한다.1 , the
제1 출사면(22)은 제1 프리즘면(23)을 포함한다.The
제1 프리즘면(23)은 제1 출사면(22)의 상부를 형성하며, 다른 제1 출사면 영역(제1 출사면(22)의 하부)에 비해 제1 입사면(21)을 향해 기울어져 형성된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30)는 광축(X)을 중심으로 상하 비대칭 형상을 갖게 된다. 도 1에 표시된 점선 부분과 제1 프리즘면(23)을 비교하면 제2 렌즈(30)의 상하 비대칭 형상을 더욱 명확히 알 수 있다. 도 1에 표시된 점선 부분은 제1 출사면의 하부를 광축(X)에 대해 선대칭으로 표시한 것이다.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리즘면(23)은 광축(X)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프리즘면(23)의 하단(23a)은 광축(X)으로부터 d1만큼 이격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리즘면(23)의 상단은 제1 렌즈(20)의 상단과 일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리즘면(23)은 경사를 형성하는 평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제1 렌즈(20)는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제1 종횡비(縱橫比)를 갖는 빔 패턴으로 형성하여 제2 렌즈(30)를 향해 출사한다.The
제1 렌즈(20)의 제1 프리즘면(23)은 제1 입사면(21)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제1 프리즘면(23)을 통해 출사되는 광(L1)을 상향 굴절시켜 제2 렌즈(30)의 제2 입사면(32)의 상측으로 입사되도록 한다.The
도 1에는, 제1 출사면(22) 상에 제1 프리즘면(23)의 형성 유무에 따른 광 진행 경로의 차이를 보여주기 위해, 제1 프리즘면(23)이 없는 경우의 광 진행 경로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In FIG. 1 , in order to show the difference in the light propagation path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리즘면(23)을 통해 출사되는 광(L1)은 상향 굴절되어 제2 렌즈(30)의 제2 입사면(32)의 상측으로 입사됨에 반해, 제1 프리즘면(23)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점선으로 출사면 표시)에는 L1 광과 대략 중첩되는 광 경로로 제1 렌즈(20)를 통과하는 광(L3)은 L1 광보다 아래로 제2 렌즈(30)의 입사면(32)의 중앙부로 입사된다.As shown in FIG. 1 , the light L 1 emitted through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20)는 제1 프리즘면(23)에 의해 제1 프리즘면(23)이 형성되지 않은 렌즈가 출사하는 빔 패턴에 비해 세로 방향 비율이 큰 제1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을 출사하게 된다.Accordingly, the
한편, 제2 렌즈(30)는 제1 렌즈(20)의 제1 출사면(22) 측에 배치된다.Meanwhile,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렌즈(30)는 제2 출사면(31)과 제2 입사면(32)을 포함한다.1 , the
제2 출사면(31)은 전방으로 볼록한 비구면을 형성하고, 제2 입사면(32)은 제2 출사면(31)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된 비구면을 형성한다.The
도 1에 도시된 비구면의 출사면(31)은 전형적인 비구면 렌즈의 출사면의 일례를 도시하였으나, 프레넬 렌즈의 출사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제2 렌즈(30)의 외곽에는 제2 출사면(31) 및/또는 제2 입사면(32)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33)가 형성된다. 플랜지(33)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1)의 하우징(미도시)에 제2 렌즈(30)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이다.A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사면(32)은 오목한 입사면을 형성하며 상부 및 하부에 플랜지(33)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단(34, 35)을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제2 입사면(32)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1 돌출단(34)은 제1 렌즈(20)로부터 출사된 빛을 상방으로 확장하고, 제2 입사면(32)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2 돌출단(35)은 제1 렌즈(20)로부터 출사된 빛을 하방으로 확장한다.The first
그 결과, 제1 렌즈(20)에 의해 형성된 제1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은 제2 렌즈(30)를 통과하며 제1 종횡비보다 세로 방향 비율이 더 큰 제2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As a result, the beam pattern having the first aspect ratio formed by the
특히, 제1 렌즈(20)의 제1 프리즘면(23)을 통해 출사되는 광(L1)은 주로 제1 돌출단(34)으로 입사되어 제2 렌즈(30)를 통해 출사되는 상하향빔의 빔패턴의 상부 패턴을 형성한다. In particular, the light L 1 emitted through the
그리고, 제1 렌즈(20)의 제1 출사면(22)의 하단측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일부(L2)는 제2 돌출단(35)으로 입사되어 제2 렌즈(30)를 통해 출사되는 상하향빔의 빔패턴의 하부 패턴을 형성한다. And, some of the light (L 2 ) emit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그리고, 제1 렌즈(20)의 제1 출사면(22)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제1 돌출단(34) 및 제2 돌출단(35) 사이의 제2 입사면(32)으로 입사된 빛은 제2 렌즈(30)를 통해 출사되는 상하향빔의 빔패턴에 전체적으로 분포하거나, L1, L2 광과 일부 중첩되며 나머지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And, amo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1)은 제1 출사면(22)에 형성된 제1 프리즘면(23)을 이용하여 상부 패턴의 광도가 향상된 상하향빔을 출사할 수 있다. The adaptive
또한, 제1 출사면(22)에 형성된 제1 프리즘면(23)을 이용하여 상부 패턴의 확장된 상하향빔을 출사하여 원거리에 대한 조사 범위를 확대함과 동시에 원거리 시인성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the extended vertical beam of the upper pattern is emitted using the
또한, 제2 렌즈(30)의 제1 돌출단(34) 및 제2 돌출단(35)을 이용하여 상하로 확장된 상하향빔을 출사하여 원거리 및 근거리에 대한 조사 범위를 확대함과 동시에 차량 전방에 대한 전체적인 시인성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by using the first protrud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parts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of parts common to the first embodiment ar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2)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1)에 상부 프리즘 렌즈부(234) 및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가 추가된 제2 렌즈(230)를 포함한다.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상부 프리즘 렌즈부(234)는 제2 입사면(32)의 일부와 오버랩되며 제1 돌출단(34)에 장착된다. The upp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리즘 렌즈부(234)는 제2 입사면(32)의 상측으로부터 제1 렌즈(20)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프리즘면(234a)을 포함한다. 제2 프리즘면(234a)은 제2 입사면(32)의 상측에서 광축(X)을 바라보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리즘면(234a)의 경사 각도 및 상부 프리즘 렌즈부(234)의 설계는 제2 프리즘면(234a)으로 입사된 광(L4)을 입사각에 비해 상향 굴절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As shown in FIG. 2 , the upper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는 광축(X)을 기준으로 상부 프리즘 렌즈부(234)와 대략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즉,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는 제2 입사면(32)의 일부와 오버랩되며 제2 돌출단(34)에 장착된다. That is, the low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는 제2 입사면(32)의 하측으로부터 제1 렌즈(20)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프리즘면(235a)을 포함한다. 제3 프리즘면(235a)은 제2 입사면(32)의 하측에서 광축(X)을 바라보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프리즘면(235a)의 경사 각도 및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의 설계는 제3 프리즘면(235a)으로 입사된 광(L5)을 입사각에 비해 상향 굴절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As shown in FIG. 2 , the low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20)의 제1 프리즘면(23)을 통해 상향 굴절된 광 중 일부(L4)는 상부 프리즘 렌즈부(234)의 제2 프리즘면(234a)으로 입사된다. 상부 프리즘 렌즈부(234)는 제2 프리즘면(234a)으로 입사된 광(L4)을 다시 한번 상향 굴절시켜 제2 출사면(31)을 통해 외부로 조사시킨다. As shown in FIG. 2 , some of the light L 4 refracted upward through the
따라서, 제1 프리즘면(23) 및 제2 프리즘면(234a)을 통과한 광(L4)은 제2 렌즈(230)를 통해 출사되는 상하향빔의 빔패턴의 상부 패턴을 형성함과 동시에 빔 패턴의 상부 영역을 상측으로 확장시킨다. Accordingly, the light L 4 passing through the
그 결과, 제1 렌즈(20)에 의해 형성된 제1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은 제2 렌즈(230)를 통과하며 상측으로 쉬프팅되거나, 제1 종횡비보다 세로 방향 비율이 더 큰 제2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As a result, the beam pattern having the first aspect ratio formed by the
한편, 제1 렌즈(20)의 제1 출사면(22) 중 제1 프리즘면(23)을 제외한 면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주로 제2 렌즈(230)의 제2 입사면(32)과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로 입사된다.On the other hand, light emitted from a surface other than the
제2 입사면(32)으로 입사된 빛은 제2 렌즈(230)를 통해 출사되는 상하향빔의 빔패턴에 전체적으로 분포하거나, 제1 프리즘면(23) 및 제2 프리즘면(234a)에 형성된 상하향빔의 빔패턴의 상부 패턴과 일부 중첩되며 나머지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The light incident on the
제1 출사면(22)의 하단측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일부(L5)는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로 입사된다. Some of the light L 5 emit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는 제3 프리즘면(235a)으로 입사된 광(L5)을 입사각에 비해 상향으로 굴절시켜 제2 출사면(31)을 통해 출사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2 , the lower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에 의해 상향 굴절된 광(L5)은 제2 렌즈(230)를 통해 출사되는 상하향빔의 빔패턴의 중앙 패턴을 보강하며 상하향빔의 빔패턴의 중앙 패턴의 광도를 향상시킨다. The light L 5 refracted upward by the lower
제1 프리즘면(23) 및 상부 프리즘 렌즈부(234)에 의해 상하향빔의 상부 패턴이 상측으로 확장됨에 의해 중앙 패턴의 광도는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가 일부 광(L5)을 상향 굴절시켜 중앙 패턴을 보강함으로써, 중앙 패턴의 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luminous intensity of the central pattern may be reduced as the upper pattern of the vertical beam is expanded upward by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이 출사하는 빔 패턴을 종래의 상하향빔과 비교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beam pattern emitted by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comparing it with a conventional vertical beam.
도 3은 종래의 상하향빔을 스크린에 조사한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의 상하향빔을 스크린에 조사한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eam pattern by irradiating a vertical beam to a scree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beam pattern in which a vertical beam of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rradiated onto the screen. .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폐루프의 선들은 스크린에 조사된 빔 패턴 내에서 대략 동일한 광도를 갖는 지점들을 연결한 선으로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들어올수록 점진적으로 높은 광도를 갖는다.The closed loop lines shown in FIGS. 3 and 4 are lines connecting points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luminous intensity in the beam pattern irradiated on the screen, and have progressively higher luminance as they come in from the outsid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적응형 드라이빙 빔으로 출사되는 빔 패턴(A1)은 컷-오프 라인(중앙 부분의 가로 방향 굵은 선)을 중심으로 대략 상하 대칭되는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광도가 가장 높은 부분은 컷-오프 라인 인근의 중앙 영역(C)에 형성되는 빔 패턴을 갖는다. 도 4의 빔 패턴(A2)과 비교 설명하기 위해, 빔 패턴(A1)의 상단이 위치하는 높이를 BH1 라인으로 표시하고, 빔 패턴(A1)의 하단이 위치하는 높이를 BH2라인으로 표시한다.As shown in FIG. 3 , the beam pattern A 1 emitted by the conventional adaptive driving beam forms a pattern that is approximately vertic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ut-off line (a thick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In addition, the portion having the highest luminosity has a beam pattern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C near the cut-off line. In order to compare and explain the beam pattern (A 2 ) of FIG. 4 , the height at which the upper end of the beam pattern (A 1 ) is located is B H1 It is indicated by a line, and the height at which the lower end of the beam pattern (A 1 ) is located is indicated by the B H2 line.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2)로부터 출사되는 빔 패턴(A2)은 도 3의 빔 패턴(A1)에 비해 상부 패턴이 BH1 라인으로부터 BH2 라인으로 상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 the beam pattern A 2 emitted from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upper pattern compared to the beam pattern A 1 of FIG. 3 . This B H1 B H2 from line It can be seen that the line extends upward.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리즘면(23) 및 제2 프리즘면(234a)을 통과한 광(L4)이 상향 굴절되어 BH1 라인과 BH2 라인 사이의 상부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This is,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L 4 ) passing through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2)로부터 출사되는 빔 패턴(A2)은 도 3의 빔 패턴(A1)에 비해 하부 패턴이 BL1 라인으로부터 BL2 라인으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am pattern A 2 emitted from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pattern B L1 compared to the beam pattern A 1 of FIG. 3 . It can be seen that the line moves upward from the line to the B L2 line.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가 제3 프리즘면(235a)으로 입사된 광(L5)을 상향 굴절시켜 중앙 패턴을 보강함에 따라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가 없다면 BL1 라인과 BL2 라인 사이에 도달할 광(L5)이 중앙 패턴으로 이동한 결과이다.As described above, as the lower
따라서, A1 과 A2 의 빔 패턴을 비교할 때, A2 빔 패턴이 A1 빔 패턴에 비해 상측으로 쉬프팅된 상하향빔 패턴을 이루게 된다.Therefore, when comparing the beam patterns of A 1 and A 2 , the A 2 beam pattern forms an upwardly shifted vertical beam pattern compared to the A 1 beam pattern.
또한, 하부 패턴이 BL1 라인으로부터 BL2 라인으로 이동한 길이에 비해 상부 패턴이 BH1 라인으로부터 BH2 라인으로 이동한 길이가 더 긴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A2 빔 패턴의 종횡비가 A1 빔 패턴의 종횡비보다 세로 방향 비율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lso, the lower pattern is B L1 B L2 from the line Compared to the length moved to the line, the upper pattern is B H1 B H2 from line There are long, go to the line to check that a longer, through which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spect ratio of A 2 a beam pattern that is more vertical orientation ratios larger than the aspect ratio of the A 1 beam pattern.
또한, A2 빔 패턴이 A1 빔 패턴에 비해 전체적인 빔 패턴이 상측으로 쉬프팅됨과 동시에 세로 방향 비율이 더 큰 종횡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광도가 가장 높은 핫존(H2)은 컷-오프 라인 인근의 중앙 영역(C)에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 A 2 beam pattern has a larger aspect ratio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overall beam pattern is shifted upward compared to the A 1 beam pattern, the hot zone with the highest luminosity (H 2 ) is located near the cut-off line. It can be seen that it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C) of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가 제3 프리즘면(235a)으로 입사된 광(L5)을 상향 굴절시켜 중앙 패턴을 보강하기 때문에 가능하다.This is possible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2)은 종래에 비해 상하향빔의 빔 패턴을 상방으로 연장하면서도 동시에 빔 패턴(A2) 내의 핫존(H2)은 컷-오프 라인 인근의 중앙 영역(C) 내에 유지되는 상하향빔의 빔 패턴을 출사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e beam pattern of the up and down beam upwards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at the same time, the hot zone H 2 in the beam pattern A 2 is It emits the beam pattern of the up and down beams maintained in the central area (C) near the cut-off line.
빔 패턴(A1, A2)의 상부 패턴은 차량 전방의 원거리를 조사하게 되는데,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2)로부터 출사되는 빔 패턴(A2)의 상부 패턴이 BH2 라인까지 상측으로 확장되므로 보다 먼 거리까지 빛이 도달하게 되고, 그 결과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이 개선된다.The upper pattern of the beam patterns A 1 and A 2 irradiates a long distanc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upper pattern of the beam pattern A 2 emitted from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B H2 As it extends upwards to the line, the light reaches a greater distance, and as a result, the driver's forward visibility is improved.
그리고, 빔 패턴(A1, A2)의 상부 패턴부터 하부 패턴으로 올수록 차량 전방의 근거리를 조사하게 되는데, 운전 중 운전자의 시야가 가장 오래 머무는 차량 전방의 근거리에 조사되는 컷-오프 라인 인근의 중앙 영역(C) 내에 핫존(H2)을 형성하므로 보다 먼거리까지 조사되는 빔 패턴을 구현함과 동시에 근거리에도 충분한 광도를 형성할 수 있다.And, as the beam pattern (A 1, A 2 ) comes from the upper pattern to the lower pattern, the near-field in front of the vehicle is irradiated. Since the hot zone H 2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C, it is possible to realize a beam pattern irradiated to a greater distance and at the same time to form a sufficient luminous intensity even in a short distance.
한편, 상부 프리즘 렌즈부(234)와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는 제2 렌즈(230)의 비구면 렌즈부(31, 32, 34, 35)와 동종 재질로 일체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2 렌즈(30)를 통해 출사되는 상하향빔의 색수차 개선을 위해 이종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upper
색수차는 빛의 파장에 따라 굴절률이 서로 달라져 생기는 수차로서, 색수차가 심할수록 빛의 경계부분에 여러 개의 색상이 분포하며 경계가 모호하게 나타나다.Chromatic aberration is an aberration caused by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light. As the chromatic aberration is severe, multiple colors are distributed at the boundary of light, and the boundary appears vague.
상하향빔의 빔 패턴의 색수차 개선을 위해, 제2 렌즈(230)의 비구면 렌즈부(31, 32, 33, 34)는 PMMA(Polymethyl Methacrylate)로 형성되거나 PMMA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부 프리즘 렌즈부(234) 및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는 PC(polycarbonate)로 형성되거나 PC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된다.In order to improve the chromatic aberration of the beam pattern of the up and down beams, the
도 5는 비구면 렌즈부와 상/하부 프리즘 렌즈부를 동종 재질로 구성한 경우의 상하향빔을 스크린에 조사한 이미지이고, 도 6는 비구면 렌즈부와 상/하부 프리즘 렌즈부를 이종 재질로 구성한 경우의 상하향빔을 스크린에 조사한 이미지이다.FIG. 5 is an image of a vertical beam irradiated onto a screen when the aspherical lens unit and the upper/lower prism lens unit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FIG. This is the image projected on the screen.
도 5와 도 6의 이미지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부 프리즘 렌즈부(234)와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를 이종 재질로 구성한 경우의 이미지가 동종 재질로 구성한 경우의 이미지에 비해 색수차가 개선되어 상하향빔의 외곽 경계가 보다 명확하게 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confirmed by the images of FIGS. 5 and 6, the image when the upp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2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parts similar to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of parts common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2)에서는 상부 프리즘 렌즈부(234)와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가 서로 광축(X)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됨에 반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3)은 상부 프리즘 렌즈부(334)과 하부 프리즘 렌즈부(335)가 광축(X)을 중심으로 상호 비대칭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In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2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the upper
상부 프리즘 렌즈부(334) 및 하부 프리즘 렌즈부(335)의 기능은 전술한 제2 실시예의 것과 유사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프리즘 렌즈부(334) 및 하부 프리즘 렌즈부(335)을 비대칭으로 형성하여 상하향빔의 빔 패턴을 좀 더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The functions of the upper
즉, 상부 프리즘 렌즈부(334)의 제2 프리즘면(334a)의 각도를 보다 다양하게 설정하여 상하향빔의 빔 패턴(A2, 도 4 참고)의 BH2 라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by setting the angle of the
또한, 하부 프리즘 렌즈부(335)의 제3 프리즘면(335a)의 각도를 보다 다양하게 설정하여 상하향빔의 빔 패턴(A2) 중 광도가 보강되는 부분을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etting the angle of the
예를 들어, L7 광이 제2 실시예의 L5 광보다 하방으로 조사되도록 제3 프리즘면(335a)이 설계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3)의 빔 패턴은 핫존(H2, 도 4 참고)이 도 4의 경우보다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L 7 When the third prism surface 335a is designed so that the light is irradiated downward than the L 5 light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beam pattern of the adaptive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3)은 제2 프리즘면(334a)과 제3 프리즘면(335a)을 비대칭으로 형성하여, 상하향빔의 빔 패턴의 상부 패턴의 높이를 변경하고, 동시에 상하향빔의 빔 패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The adaptiv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parts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of parts common to the first embodiment are omitted.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4)은 제1 렌즈(4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1)과 유사한 구성을 채택한다.As shown in FIG. 8 , in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1)에서는 제1 프리즘면(23)이 제1 출사면(22)의 상부를 형성하는 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4)의 제1 프리즘면(423)는 제1 출사면(22)의 하부를 형성한다. 즉, 제1 출사면(22)의 상부를 형성하는 다른 영역에 비해 제1 프리즘면(423)은 제1 입사면(21)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In the adaptive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1 프리즘면(423)은 광축(X)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리즘면(423)은 제1 출사면(22)의 하부를 형성하므로, 제1 프리즘면(423)의 상단(423a)은 광축(X)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d2만큼 이격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리즘면(423)의 하단은 제1 렌즈(20)의 하단과 일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리즘면(423)은 경사를 형성하는 평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Similar to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420) 역시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제1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으로 형성하여 제2 렌즈(30)를 향해 출사한다(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4)에 대한 설명에서의 제1 종횡비는 제1 실시예에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1)에서의 제1 종횡비와 다른 종횡비를 가질 수 있다).The
제1 렌즈(420)의 제1 프리즘면(423)은 제1 프리즘면(423)을 통해 출사되는 광(L1)을 하향 굴절시켜 제2 렌즈(30)의 제2 입사면(32)의 하측으로 입사된다.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420)는 제1 프리즘면(423)이 형성되지 않은 렌즈가 출사하는 빔 패턴에 비해 세로 방향 비율이 큰 제1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을 출사하게 된다.Accordingly,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420)의 제1 프리즘면(423)을 통해 하향 굴절된 광 일부(L9)는 제2 입사면(32)의 하측에 형성된 제2 돌출단(35)으로 입사된다. As shown in FIG. 8 , a portion of light L 9 refracted downward through the
제2 입사면(32)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2 돌출단(35)은 제1 프리즘면(423)을 통해 하향 굴절된 광(L9)을 하방으로 확장한다.The second
그리고, 제1 프리즘면(423)을 통해 하향 굴절되어 제2 돌출단(35)을 통해 제2 출사면(31)으로 출사된 광(L9)은 상하향빔의 빔패턴의 하부 패턴을 형성한다. Then, the light L 9 refracted downward through the
광(L9)은 상하향빔의 빔 패턴 중 하향빔 패턴의 광도를 향상시키거나, 상하향빔의 빔 패턴의 하부 영역을 하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The light L 9 may improve the luminosity of a down-beam pattern among the beam patterns of the up-and-down beam, or may extend a lower region of the beam pattern of the up-down beam to the lower side.
그 결과, 제1 렌즈(420)에 의해 형성된 제1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은 제2 렌즈(30)를 통과하며 제1 종횡비보다 세로 방향 비율이 더 큰 제2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4)에 대한 설명에서의 제2 종횡비는 제1 실시예에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1)에서의 제2 종횡비와 다른 종횡비를 가질 수 있다).As a result, the beam pattern having the first aspect ratio formed by the
그리고, 제1 출사면(22)의 상단측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일부(L8)는 제1 돌출단(34)으로 입사되어 제2 렌즈(30)를 통해 출사되는 상하향빔의 빔패턴의 상부 패턴을 형성한다. And, some of the light (L 8 ) emit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그리고, 제1 렌즈(420)의 제1 출사면(22)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제1 돌출단(34) 및 제2 돌출단(35) 사이의 제2 입사면(32)으로 입사된 빛은 제2 렌즈(30)를 통해 출사되는 상하향빔의 빔패턴에 전체적으로 분포하거나, L8, L9 광과 일부 중첩되며 나머지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And, amo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4)은 제1 출사면(22)의 하부에 형성된 제1 프리즘면(423)을 이용하여 상하향빔의 빔 패턴 중 컷오프 라인 하부의 빔 패턴의 광도를 향상시키거나, 상하향빔의 빔 패턴의 하부 영역을 하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4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uses the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의 상하향빔을 스크린에 조사한 빔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eam pattern in which the up and down beams of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rradiated onto a scree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4)로부터 출사되는 빔 패턴(A3)은 도 4의 빔 패턴(A2)에 비해 하부 패턴이 BL2 라인으로부터 BL3 라인까지 하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 the beam pattern A 3 emitted from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pattern B compared to the beam pattern A 2 of FIG. 4 . B L3 from L2 line It can be seen that it extends downward to the line.
도 9를 통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4)은 제1 프리즘면(423)이 형성된 제1 렌즈(420)를 이용해 제1 프리즘면(423)이 형성되지 않은 렌즈보다 세로 방향 비율이 더 큰 제1 종횡비를 갖는 1차 빔 패턴을 형성하고, 제1 돌출단(34) 및 제2 돌출단(35)을 이용해 제1 종횡비보다 세로 방향 비율이 더 큰 상하향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9, in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A3을 A2 의 빔 패턴을 비교할 때, 광도가 가장 높은 핫존(H3)이 컷-오프 라인 인근의 중앙 영역(C)에 형성되지만, A2 의 빔 패턴에 비해서는 핫존(H3)이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comparing the beam pattern of A 3 and A 2 , the hot zone (H 3 ) with the highest luminosity is formed in the central area (C) near the cut-off line, but compared to the beam pattern of A 2 , the hot zone (H 3 ) 3 ) is located below.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4)은 빔 패턴(A3)의 하부 패턴이 BL2 라인으로부터 BL3 라인까지 하측 방향으로 확장되고, 동시에 핫존(H3)이 다소 아래에 형성되므로, 차량 전방의 근거리에 대해서는 제1, 2 및 3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2, 3, 4) 보다 우수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attern of the beam pattern A 3 is B L2 B L3 from the line Since it extends downward to the line and at the same time the hot zone H 3 is formed somewhat below, the adaptive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4) 역시 전술한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상부 프리즘 렌즈부(234, 334)와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 3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프리즘 렌즈부(234, 334)와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 335)를 비구면 렌즈부(31, 32)와 이종 재질로 형성하여 빔 패턴의 색수차를 개선할 수 있다.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upp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2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parts similar to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of parts common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2)에서는 제1 프리즘면(23)이 형성된 제1 렌즈(20)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5)은 제1 프리즘면(23)이 형성되지 않은 제1 렌즈(20')를 사용한다.Although the
제1 렌즈(20')에 제1 프리즘면(23)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제1 렌즈(20')를 통해 출사되는 빔 패턴의 종횡비는 제2 실시예의 제1 렌즈(20)를 통해 출사되는 빔 패턴의 종횡비에 비해 세로 방향 비율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그러나, 제2 렌즈(230)에 형성된 상부 프리즘 렌즈부(234)가 광(L10)을 상향 굴절시키므로 상하향빔의 빔패턴의 상부 영역을 상측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However, since the upper
따라서, 제1 렌즈(20')에 의해 형성된 제1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은 제2 렌즈(230)를 통과하며 상측으로 쉬프팅되거나, 제1 종횡비보다 세로 방향 비율이 더 큰 제2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Accordingly, the beam pattern having the first aspect ratio formed by the
또한, 제2 렌즈(230)에 형성된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가 광(L5)을 입사각에 비해 상향으로 굴절시켜, 상하향빔의 빔패턴의 중앙 패턴을 보강하며 상하향빔의 빔패턴의 중앙 패턴의 광도를 향상시킨다.In addition, the lower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5)의 의해 출사되는 빔 패턴은, 도 4에 도시된 빔 패턴(A2)보다는 세로 방향 비율이 작은 빔 패턴을 형성하지만, 대략 유사하게 상측으로 확장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빔 패턴(A1)보다는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쉬프팅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beam pattern emitted by the adaptive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5)은 전술한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프리즘 렌즈부(234)와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가 상호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adaptive
또한,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상부 프리즘 렌즈부(234)와 하부 프리즘 렌즈부(235)를 비구면 렌즈부(31, 32)와 이종 재질로 형성하여 빔 패턴의 색수차를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similar to that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upper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2, 3, 4: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 10: 광원
20: 제1 렌즈 21: 제1 입사면
22: 제1 출사면 23: 제1 프리즘면
30: 제2 렌즈 31: 제2 출사면
32: 제2 입사면 33: 플랜지
34: 제1 돌출단 35: 제2 돌출단
234, 334, 434: 상부 프리즘 렌즈부
234a, 334a, 435a: 제2 프리즘면
235, 335, 435: 하부 프리즘 렌즈부
235a, 335a, 434a: 제3 프리즘면
X: 광축1, 2, 3, 4: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10: Light Source
20: first lens 21: first incident surface
22: first exit surface 23: first prism surface
30: second lens 31: second exit surface
32: second incident surface 33: flange
34: first protruding end 35: second protruding end
234, 334, 434: upper prism lens unit
234a, 334a, 435a: second prism surface
235, 335, 435: lower prism lens unit
235a, 335a, 434a: the third prism face
X: optical axis
Claims (15)
적어도 하나의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이 입사되는 제1 입사면과 상기 제1 입사면을 통해 입사된 빛을 굴절시켜 제1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의 빛을 출사하는 제1 출사면을 포함하는 제1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출사된 상기 제1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을 굴절시켜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출사된 빛 중 일부가 입사되는 제2 입사면을 포함하는 비구면 렌즈부; 및
상기 제2 입사면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1 렌즈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2 프리즘면을 포함하는 상부 프리즘 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프리즘 렌즈부는 상기 비구면 렌즈부와 이종 재질로 형성되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provided in a headlamp of a vehicle to irradiate a vertical beam and block at least a portion of the vertical beam in an area where a vehicle appearing in front of the vehicle is located,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a first lens including a first incident surface to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incident and a first exit surface to refract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first incident surface to emit light of a beam pattern having a first aspect ratio; and
and a second lens that refracts the beam pattern having the first aspect ratio emitted from the first lens to form a beam pattern of the up and down beams,
The second lens,
an aspherical lens unit including a second incident surface on which som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ens is incident; and
Comprising an upper prism lens unit including a second prism surface extending to be inclined toward the first lens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incident surface,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wherein the upper prism lens unit is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aspherical lens unit.
상기 상부 프리즘 렌즈부는 상기 제2 프리즘면으로 입사된 빛 중 일부를 상향 굴절시켜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 중 상부 패턴을 형성하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According to claim 1,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wherein the upper prism lens unit upwardly refracts som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prism surface to form an upper pattern among the beam patterns of the vertical beam.
상기 상부 프리즘 렌즈부는,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이 상기 제1 종횡비를 갖는 빔 패턴보다 상측으로 쉬프팅되도록 하거나,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이 상기 제1 종횡비에 비해 세로 방향 비율이 큰 제2 종횡비를 갖도록 하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prism lens unit,
so that the beam pattern of the up and down beam is shifted upward than the beam pattern having the first aspect ratio;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beam pattern of the up and down beams has a second aspect ratio having a larger longitudinal ratio than the first aspect ratio.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2 입사면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제1 렌즈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프리즘면을 포함하는 하부 프리즘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lens,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further comprising a lower prism lens unit including a third prism surface extending from a lower side of the second incident surface to be inclined toward the first lens.
상기 하부 프리즘 렌즈부는 상기 제3 프리즘면으로 입사된 빛 중 일부를 상향 굴절시켜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 중 중앙 패턴의 광도를 향상시키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5. The method of claim 4,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wherein the lower prism lens unit upward refracts som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third prism surface to improve the luminous intensity of a central pattern among the beam patterns of the vertical beam.
상기 상부 프리즘 렌즈부 및 상기 하부 프리즘 렌즈부는 상기 제2 렌즈의 광축에 대해 상호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5. The method of claim 4,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wherein the upper prism lens unit and the lower prism lens unit are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n optical axis of the second lens.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의 색수차 감소를 위해 상기 하부 프리즘 렌즈부는 상기 비구면 렌즈부와 이종 재질로 형성되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5. The method of claim 4,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wherein the lower prism lens unit is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aspherical lens unit to reduce chromatic aberration of the beam pattern of the vertical beam.
상기 비구면 렌즈부는 PMMA(Polymethyl Methacrylate)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리즘 렌즈부 및 상기 하부 프리즘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는 PC(polycarbonate)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8. The method of claim 7,
The aspherical lens part is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At least one of the upper prism lens unit and the lower prism lens unit is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PC (polycarbonate),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상기 제2 입사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5. The method of claim 1 or 4,
and the second incident surface is formed as a concave curved surface.
상기 제1 출사면은 상기 제1 입사면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며 상기 제1 렌즈를 통과하는 빛 중 일부의 광 경로를 상기 제2 렌즈의 주변부로 굴절시키도록 상기 제1 입사면 측을 향해 기울어진 제1 프리즘면을 포함하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xit surface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cidence surface and is inclined toward the first incidence surface to refract a light path of some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to the periphery of the second lens. 1 An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comprising a prism face.
상기 제1 프리즘면은 상기 제1 출사면의 상부를 형성하여,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 중 상부 패턴을 형성하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wherein the first prism surface forms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exit surface to form an upper pattern among the beam patterns of the vertical beam.
상기 제1 프리즘면은 상기 제1 출사면의 하부를 형성하여, 상기 상하향빔의 빔 패턴 중 하향빔 패턴의 광도를 향상시키는, 적응형 드라이빙 빔 모듈.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adaptive driving beam module, wherein the first prism surface forms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exit surface to improve the luminosity of a down-beam pattern among the beam patterns of the up-down bea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0179A KR102297013B1 (en) | 2014-12-26 | 2014-12-26 | Adaptive drive beam mou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90179A KR102297013B1 (en) | 2014-12-26 | 2014-12-26 | Adaptive drive beam moudu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9201A KR20160079201A (en) | 2016-07-06 |
KR102297013B1 true KR102297013B1 (en) | 2021-09-02 |
Family
ID=5650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90179A KR102297013B1 (en) | 2014-12-26 | 2014-12-26 | Adaptive drive beam mou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701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9832B1 (en) * | 2022-03-07 | 2022-07-11 | 손성근 | Automotive Lighting Device |
WO2023187505A1 (en) * | 2022-03-07 | 2023-10-05 | 손성근 | Lighting device for vehic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12019003756B4 (en) * | 2018-07-24 | 2023-08-17 | Maxell, Ltd. | headlight device |
KR102337342B1 (en) * | 2019-10-17 | 2021-12-09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Optical unit of lamp for vehic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275173A1 (en) * | 2011-04-27 | 2012-11-01 | Michael Hamm | Light module of motor vehicle for generating spot distribution of high-beam-light distribution and vehicle headlights having such modul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23519A (en) * | 2001-10-15 | 2003-04-25 | Honda Motor Co Ltd | Projector type head lamp |
-
2014
- 2014-12-26 KR KR1020140190179A patent/KR10229701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275173A1 (en) * | 2011-04-27 | 2012-11-01 | Michael Hamm | Light module of motor vehicle for generating spot distribution of high-beam-light distribution and vehicle headlights having such modul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9832B1 (en) * | 2022-03-07 | 2022-07-11 | 손성근 | Automotive Lighting Device |
WO2023187505A1 (en) * | 2022-03-07 | 2023-10-05 | 손성근 | Lighting device for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9201A (en) | 2016-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18318B2 (en) | Lighting structure of a vehicular headlamp module | |
US9644811B2 (en) | Vehicular headlamp | |
US10302266B2 (en) | Vehicular headlamp having shade element with reflective portions | |
KR100824912B1 (en) | Vehicular headlamp | |
KR102289755B1 (en) | Low beam shield for head lamp | |
KR102297013B1 (en) | Adaptive drive beam moudule | |
WO2017203749A1 (en) |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using same | |
KR101672031B1 (en) | Lamp module for vehicle | |
KR20220011393A (en) | Lamp for vehicle | |
KR102118137B1 (en) | Lamp for vehicle | |
JP5713179B2 (en) | Projector headlamps for motorcycles | |
KR102289753B1 (en) | Adaptive drive beam moudule | |
KR20150048353A (en) | Illuminating device for vehicle | |
KR102597013B1 (en) | Lamp for vehicle | |
US10890307B2 (en) | Multi-focal collimating lens and bi-function headlight assembly | |
KR101717686B1 (en) | Head lamp for vehicle | |
KR102529889B1 (en) | lamp for vehicle | |
CN107816696A (en) | Illumination structure and light distribution method thereof | |
KR102522911B1 (en) | Lamp for vehicle | |
KR102348896B1 (en) | Head lamp for vehicle | |
KR102298960B1 (en) | Vehicle lamp | |
KR102250659B1 (en) | Optical lens for vehicles and vehicle lamp using the same | |
KR102310284B1 (en) | Lamp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
KR101928752B1 (en) | A lamp for vehicle | |
JP2016018752A (en) | Vehicular lighting to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