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979B1 - Containers for bulkhead fixing - Google Patents
Containers for bulkhead fix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6979B1 KR102296979B1 KR1020210001384A KR20210001384A KR102296979B1 KR 102296979 B1 KR102296979 B1 KR 102296979B1 KR 1020210001384 A KR1020210001384 A KR 1020210001384A KR 20210001384 A KR20210001384 A KR 20210001384A KR 102296979 B1 KR102296979 B1 KR 1022969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d
- partition wall
- packaging body
- present application
- lamin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6—Partitions adapted to be fitted in two or more alternative pos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06—Rigid containers in preformed flexibl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원은 격벽 고정용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 용기의 측면이 내부 측면과 외부 측면으로 구성되어, 내부 측면에 격벽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품을 분리하여 포장하기 위한 격벽을 내부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고정시킬 수 있는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for fixing a bulkhead. More specifically, the 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is composed of an inner side and an outer side, a coupling groove for fixing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partition wall for separating and packaging products is fixed 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It relates to packaging containers that can be made.
상품 포장을 위하여 격벽을 이용하여 구분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품별로 구분된 공간에 상품을 위치시킴으로써, 배송, 이동 중에 상품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상품을 보호할 수 있다.For product packaging, a space is formed using a partition wall, and the product is placed in a space separated by product, thereby preventing collision between products during delivery and movement, and protecting the product.
구분된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은 통상 포장 용기를 조립하는 단계에 포장 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고, 격벽이 충분히 고정되지 못할 경우에 격벽이 비틀리거나, 이탈하게 되어 상품이 파손되거나 훼손될 수 있다.The bulkhead forming the separated space is usually installed inside the packaging container at the stage of assembling the packaging container. .
따라서, 상품을 배송 또는 이송 중에 안전한 포장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격벽이 고정되어 상품 별로 구분된 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a safe packaging state during delivery or transport of the product, it is necessary to fix the partition wall to be positioned in a space divided by product.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1266086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266086.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격벽이 포장 용기의 내부측면에 고정되어 복수개의 구분공간을 형성하여 상품을 안전하게 포장할 수 있는 격벽 고정용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packaging container for fixing a bulkhead in which a bulkhead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a packaging container to form a plurality of partition spaces to safely package a produc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
또한, 본원의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품이 거치되는 거치대에 상품을 고정하고, 상품 별로 구분공간을 형성하며 포장 용기의 내부측면에 고정되는 격벽을 통해, 상품을 안전하게 포장할 수 있는 격벽 고정용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roduct is fixed to a cradle on which the product is mounted, a partition space is formed for each product, and the product is safely packaged through a partition wall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ckaging container for fixing bulkheads.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각 측면이 내부측면, 외부측면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포장 본체, 상기 내부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 상기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복수개의 구분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each 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med including an inner side and an outer side, and a packaging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on the inner side A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upling portion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fixed, and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forming a plurality of division spaces in the receiving spac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상기 격벽은,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격벽결합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1격벽 및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격벽결합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2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이 상기 격벽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of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artition walls hav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 coupling grooves formed in a lower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partition walls hav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 coupling grooves formed in an upper direction.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may be fitted into the partition wall coupling groov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부면에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이 교차하는 교차부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상부 돌출부가 형성된 하단 적층패드,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부면에 상기 교차부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하부 돌출부가 형성된 상단 적층패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located below the receiving space and has a lower laminated pad having an upper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t an intersection where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cross each other and having an upper protrusion, the It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may include an upper lamination pad having a lower protrusion that can be fitted to the intersection on a lower surface thereof.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상기 상단 적층패드와 상기 하단 적층패드 사이에 위치하고, 상부면에 상기 상부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상기 하부 돌출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중단 적층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하단 적층패드와 상기 중단 적층패드 사이, 상기 중단 적층패드 각각의 사이, 상기 중단 적층패드와 상기 상단 적층패드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lamination pad and the lower lamination pad, the upper protrus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middle lamination pads in which the lower protrus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 The partition wall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tacked pad and the middle stacked pad, between each of the middle stacked pads, and between the middle stacked pad and the upper stacked pad, respectively.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상기 포장 본체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상품이 거치되는 복수개의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복수개의 거치대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position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packaging body and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cradles on which a plurality of products are mounted, and the partition wall may be fitted between the plurality of cradles.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상기 거치대는, 상부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상품거치홀, 상기 상품거치홀 하측에 돌출형성된 상품지지부 및 상기 상품거치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holder of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product holding hole formed through an upper surface thereof, a product support part protruding below the product holding hole, and a fitting groove formed between each of the product holding holes. can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상기 내부측면은, 상기 복수개의 거치대를 결합하기 위한 거치대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inner 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one in which a holder coupling groove for coupling the plurality of cradles is formed.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상기 격벽은,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격벽결합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1격벽 및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격벽결합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2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이 상기 격벽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of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artition walls hav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 coupling grooves formed in a lower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partition walls hav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 coupling grooves formed in an upper direction.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may be fitted into the partition wall coupling groov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부면에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이 교차하는 교차부의 하측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상부 돌출부가 형성된 하단 적층패드,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부면에 상기 교차부의 상측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하부 돌출부가 형성된 상단 적층패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has a bottom laminated pad formed with an upper protrusion that can be fitted under an intersec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bulkheads intersect on the upper surface; It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may include an upper lamination pad having a lower protrusion that can be fit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tersection on the lower surfac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상기 상단 적층패드와 상기 하단 적층패드 사이에 위치하고, 상부면에 상기 상부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상기 하부 돌출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중단 적층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 및 상기 복수개의 거치대는, 상기 하단 적층패드와 상기 중단 적층패드 사이, 상기 중단 적층패드 각각의 사이, 상기 중단 적층패드와 상기 상단 적층패드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lamination pad and the lower lamination pad, the upper protrus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middle lamination pads in which the lower protrus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 The partition wall and the plurality of cradles may be respectively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tacked pad and the middle stacked pad, between each of the middle stacked pads, and between the middle stacked pad and the upper stacked pad.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내부에 상기 포장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외부 포장 본체, 상기 외부 포장 본체의 내부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방청비닐, 습기를 흡수하기 위한 방습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장 본체는 상기 방청비닐이 설치된 외부 포장 본체에 위치하고, 상기 포장 본체 상측에 상기 방습지가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urther comprises an outer packaging body for accommodating the packaging body therein, a rust-proof vinyl installed to be seated inside the outer packaging body, and a moisture-proof paper for absorbing moisture, the packaging The main body may be located in the outer packaging body in which the rust-preventing vinyl is installed, and the moisture-proof paper is located above the packaging body.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각 측면이 내부측면, 외부측면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포장 본체, 상기 내부측면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 상기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상품거치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each side formed including an inner side and an outer side, a packaging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inner side, in the side direction The protruding coupling part is fix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may include a lower holder for forming a product holding space in the receiving spac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상기 하부 거치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거치대 및 상기 상품거치공간에 거치되는 상품 형상에 대응하도록 하부면이 형성된 상부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positioned above the lower holder and further include an upper holder having a lower surfac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roduct mounted in the lower holder and the product holding space.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격벽 고정용 포장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상품을 격벽에 의해 형성된 구분공간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여 상품을 안전하게 포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providing a packaging container for fixing the bulkhead, the product can be safely packaged by positioning the product in the partition space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respectively.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하단 적층패드, 중단 적층패드, 상단 적층패드를 이용하여 상품을 격벽에 의하여 구분된 구분공간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면서 다단으로 상품을 포장할 수 있어, 다수의 상품을 각각 격벽과 적층패드에 의해 구분된 공간에 포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package the product in multiple stages using the lower stacking pad, the middle stacking pad, and the upper stacking pad while placing the products in the partition space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 respectively. of products can be packaged in a space separated by a bulkhead and a laminated pad, respectively.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방청 비닐, 방습지를 통해 상품에 산화 반응에 의한 녹, 부식, 얼룩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rust, corrosion, stains, etc. from occurring on the product due to oxidation reaction through the rust-preventing vinyl and moisture-proof paper.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본체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포장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본체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포장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포장 본체의 내부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격벽 및 제2격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본체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본체와 하부 거치대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거치대 및 상부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 적층패드, 상단 적층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단 적층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으로 적층된 포장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거치대의 평면도이다.
도 19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 제조 장치의 구성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packag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 is a view showing an assembled packag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packag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5 is a view showing an assembled packag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6 is a view showing the inner side of the assembled packag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7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tion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8 is a view showing a first partition wall and a second partition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9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packag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packaging body and the low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1 is a view showing a low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2 is a view showing a lower holder and an upp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3 is a view showing a lower lamination pad and an upper lamination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4 is a view showing an intermediate lamination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5 is a view showing a packaging container stack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6 is a view showing a corn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7 is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crad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8 is a plan view of a plurality of crad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9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member is positioned "on", "on", "on", "under", "under", or "under"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positioned on the 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applica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do.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블록"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The suffixes “module,” “block,”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only, and do not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포장 본체(100), 하단 적층패드(320), 복수개의 거치대(400), 격벽(200), 상단 적층패드(3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도1을 참조하면, 포장 본체(100)는 내부에 상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40)을 형성할 수 있고, 하단 적층패드(320)가 수용공간(140)에 안착하고, 하단 적층패드(320) 위로 복수개의 거치대(400)가 안착할 수 있다. 격벽(200)은 거치대(400) 상측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개의 거치대(400)를 각각 구분된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격벽(200)은 하단 적층패드(320)의 상부 돌출부(321), 거치대(400)의 복수개의 거치대(400) 사이, 포장 본체(100)의 내부측면(110)에 형성된 결합홈(13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격벽(200)의 상측으로 상단 적층패드(310)가 위치할 수 있고, 상단 적층패드(310)의 하부 돌출부(301)가 격벽(200)과 결합할 수 있다. 즉, 격벽(200)은 거치대(400), 하부 적층패드 및 상부 적층패드, 결합홈(13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어, 배송 또는 이송 과정에서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결합을 유지하여, 상품 각각이 구분된 공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상품의 훼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본체(100)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절단선을 의미하고,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접는선을 의미한다.2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각 측면이 내부측면(110) 및 외부측면(120)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40)이 형성되는 포장 본체(100), 내부측면(11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130),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210)가 결합홈(13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수용공간(140)에 복수개의 구분공간을 형성하는 격벽(2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도 2를 참조하면, 포장 본체(100)의 측면은 각각 중단 부분에 두 개의 접는선을 포함할 수 있고, 절단된 포장 본체(100)를 접는선에 따라 조립하면 각 측면은 내부측면(110)과 외부측면(120) 두 층으로 측면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측면에서 내부측면(110) 부분에 결합홈(130)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 측면이 마주보는 측면과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영역(A)이 절단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해당 영역들은 격벽(200)이 결합하기 위하여 내부측면(11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130)에 해당한다.Referring to FIG. 2 , each side of th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장 본체(100)는 하부면에 조립을 위한 조립홈, 대응하는 측면에 조립홈에 결합하기 위한 조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홈과 조립부의 형상은 대응하도록 할 수 있고, 조립홈에 조립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서 하부면에는 조립홈이 형성되어 있고, 좌우 측면의 끝단에는 조립부가 조립홈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있어, 조립 시 조립부가 조립홈에 삽입되고 조립부의 끝단이 접혀서 고정될 수 있다. 도 2의 조립부 및 조립홈의 형태 및 위치 등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형태 및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격벽(200)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210)는 조립 과정에서 조립 본체의 결합홈(13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격벽(200)은 복수개의 벽을 포함하고 있어, 복수개의 구분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구분된 공간에 각각 상품이 안착할 수 있다.The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포장 본체(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에 도시된 포장 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포장 본체(100) 전개도에 따라 생산된 포장 본체(100)를 조립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ed
도 3을 참조하면, 포장 본체(100)의 내부 측면에 결합홈(130)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결합홈(130)에는 격벽(200)의 결합부(210)가 결합될 수 있다. 포장 본체(100)의 각 측면은 두 개의 층, 즉 내부측면(110)과 외부측면(120)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포장본체의 내부측면(110)의 상측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내부측면(110)의 길이의 일부에 결합홈(130)이 형성된 경우, 격벽(200)의 결합부(210)는 형성된 결합홈(130)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도 7 등에서는 결합부(210)의 상하방향 길이가 내부측면(110)의 높이의 길이에 대응하는 결합부(210)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결합부(2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격벽(200)의 결합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it can be seen that the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본체(100)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도 4를 참조하면, 포장 본체(100)의 내부측면(110)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130)의 위치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포장 본체(100) 전개도에서 결함홈은 각각 바깥쪽에서부터 안쪽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 2에 도시된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형성된 결합홈(130)과 위치가 상이하다. 즉, 결합홈(130)은 내부측면(110)의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t may be form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포장 본체(100)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ed
도 5 및 도 3을 참조하면, 내부측면(110)에 형성되는 결합홈(130)의 위치에 따라, 포장 본체(100)를 조립하였을 때 결합홈(130)의 위치가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조립된 포장 본체(100)에서는, 조립된 포장 본체(100)의 상측에 결합홈(130)이 형성되고, 도 5의 조립된 포장 본체(100)에서는, 조립된 포장 본체(100)의 하측에 결합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함홈이 내부측면(110)에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포장 본체(100)를 조립하였을 때 결합홈(130)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격벽(200)의 결합부(210)의 위치, 크기, 형상은 결합홈(130)의 위치, 크기,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5 and 3,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결합홈(130)의 위치가 달라지게 되면, 결합홈(130)에 결합되는 격벽(200)을 포장 본체(100)에 조립하는 순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포장 본체(100)의 경우, 포장 본체(100)의 상측에 결합홈(130)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격벽(200)을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고, 도 5의 포장 본체(100)의 경우, 포장 본체(100)의 하측에 결합홈(13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개된 포장 본체(100) 상측에 격벽(20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격벽(200)의 결합부(210)가 결합홈(13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결합홈(130)은 도 6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측면(110)의 상하방향으로 내부측면(110)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When the position of the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포장 본체(100)의 내부측면(1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는 내부측면(110)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결합홈(130)을 나타내고, (b), (c)는 내부측면(110)에 상하방향으로 내부측면(1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결합홈(130)을 나타내며, (d)는 내부측면(110)에 결합홈(130) 및 거치대 결합홈(150)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도 6의 (a), (b), (c)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장 본체(100)를 조립하였을 때 내부측면(110)의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홈(130)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조립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Referring to (a), (b), (c) of Figure 6, when the
도 6의 (d)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내부측면(110)은, 복수개의 거치대(400)를 결합하기 위한 거치대 결합홈(150)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후술하는 거치대(400)가 결합하기 위한 거치대 결합홈(150)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400)는 상품 각각을 거치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거치대 결합홈(150)에 거치대(400)가 결합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상품을 포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d) of Figure 6, the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20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7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210)가 결합홈(13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수용공간(140)에 복수개의 구분공간을 형성하는 격벽(200)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200)은 복수개의 판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구분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구분공간 각각에 상품이 안착될 수 있다. 격벽(200)에 측면 방향으로 돌출될 결합부(210)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부(210)가 결합홈(13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교차하는 교차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in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격벽(230) 및 제2격벽(231)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도 8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격벽(200)은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격벽결합홈(232)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1격벽(230) 및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격벽결합홈(232)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2격벽(231)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격벽(230)과 상기 제2격벽(231)이 상기 격벽결합홈(232)에 끼움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제1격벽(230)에는 복수개의 격벽결합홈(232)이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격벽(231)에는 복수개의 격벽결합홈(232)이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격벽(230)의 격벽결합홈(232)과 제2격벽(231)의 격벽결합홈(232)을 서로 끼움으로써 제1격벽(230)과 제2격벽(231)이 서로 수직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1격벽(230)과 복수개의 제2격벽(231)을 격벽결합홈(232)을 통해 서로 수직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제1격벽(230)과 복수개의 제2격벽(231)이 격자모양을 형성할 수 있고, 격벽(200)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본체(100) 전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도 9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각 측면이 내부측면(110), 외부측면(120)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40)이 형성되는 포장 본체(100), 내부측면(110)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130),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210)가 결합홈(13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수용공간(140)에 상품거치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거치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포장 본체(100)의 전개도는,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포장 본체(100)의 전개도와 달리, 내부측면(110)에 형성되는 결합홈(130)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거치대(300)를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13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하부 거치대(300)에 의해 형성되는 상품거치공간에 상품을 거치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9,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each side is formed to include an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본체(100)와 하부 거치대(300)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는 결합홈(130)이 형성된 내부 측면을 조립한 포장 본체(100), (b)는 (a)의 포장 본체(100)를 A 방향으로 바라본 내부측면(110), (c)는 조립 본체에 하부 거치대(300)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10 is a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좌우방향으로 결합홈(130)이 형성된 내부측면(110)을 포함하는 측면을 조립할 수 있다. 이때, 결합홈(130)이 형성된 내부측면(110)은 (b)와 같은 형태로 결합홈(130)이 좌우방향으로 양측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 거치대(300)에는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거치대(300)의 결합부(210)를 양측 내부측면(110)의 결합홈(130)에 맞추어 중앙 방향으로 밀어서 하부 거치대(300)가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ure 10, the side including the
이때, 하부 거치대(300)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결합홈(130)이 형성되지 않은 측면의 조립이 되지 않은 상태로 하부 거치대(300)가 삽입될 수 있고, 결합홈(130)이 형성되지 않은 좌우 측면 조립 과정에서 실시예의 형태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부가 조립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 조립부가 조립홈에 삽입되는 경로에 해당하는 부분에 홈을 형성하여 조립부가 조립홈에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insert and fix the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거치대(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포장 본체(100)의 결합홈(130)에 양쪽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 거치대(300) 중 좌측 방향에서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 거치대(300)를 나타낸다.11 is a view showing the
도 1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210)가 결합홈(13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수용공간(140)에 상품거치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거치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거치대(300)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측 방향에서 결합홈(130)을 따라 결합부(21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양측 방향으로 삽입된 하부 거치대(300)가 중앙에 상품거치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부(210)는 측면 방향, 즉 결합홈(130)이 형성된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홈(13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고, 도 10과 같이 좌우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홈(130)에 대응하여 하부 거치대(300)의 양 측면에 결합부(210)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거치대(300)는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부(210)가 결합홈(13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어 포장 본체(100)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고, 양측으로 삽입된 하부 거치대(300)가 중앙에 상품이 거치될 수 있는 상품거치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in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상품거치공간 및 하부 거치대(3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상품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상품거치공간 및 하부 거치대(300)는 구형 상품 또는 원기둥 형태의 상품을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예시적으로 상품의 형태가 정육면체인 경우, 상품거치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하부 거치대(300)의 형상(도 11에서 우측 방향의 형상)이 상품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은 우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하부 거치대(300) 또한 상품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product holding space and the
또한, 도 11의 좌측 방향에 형성된 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되지 않은 좌우측 측면(도 10의 좌우측 측면)의 조립을 위하여, 조립부가 조립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예의 형태에 따라 조립부 및 조립홈의 형상이 도 2 등에 도시된 형상과 상이한 경우, 해당 형상에 대응하도록 하부 거치대(300)에 조립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ove formed in the left direction of FIG. 11 is for assembling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FIG. 10) that are not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assembly part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groove and fixed. If the shape of the assembly part and the assembly groove is different from the shape shown in FIG. 2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example, a groove for providing a path for assembling in th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본체(100)의 내부측면(110)은, 제2결합부(210)와 결합할 수 있는 제2결합홈(130)을 포함할 수 있고, 하부 거치대(300)는, 후진 방향측에 제2결합홈(130)에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부(210)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거치대(300)가 포장 본체(100)에 삽입되는 방향이 전진 방향에 해당할 수 있고, 전진 방향의 반대측 방향이 후진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도 9 내지 도 10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포장 본체(100)의 좌우측 측면에 제2결합홈(130)이 형성될 수 있고, 도 11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11시 방향에 제2결합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210)와 제2결합함의 결합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하부 거치대(300) 및 상품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품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거치대(300) 및 상부 거치대(302)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the
도 1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하부 거치대(300)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부 거치대(300) 및 상품거치공간에 거치되는 상품 형상에 대응하도록 하부면이 형성된 상부 거치대(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부 거치대(300)에 형성된 상품거치공간에 상품이 거치되고, 상부 거치대(302)를 이용하여 상품 및 하부 거치대(300)의 상측에서 상품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2는 구형 상품을 상품거치공간에 거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2와 같이, 하부 거치대(300)에 형성된 구형의 상품의 상부로 하부면이 상품 형상에 대응하도록 일부 면이 곡률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하부 거치대(300) 및 상품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거치대(302) 및 하부 거치대(300)에 의하여 상품이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된 상품은 포장 용기가 충격 등에 의하여 외력을 받더라도 상품거치공간을 이탈할 우려가 적고, 상품의 훼손, 손상의 우려가 적어 안전하게 보관된 상태로 취급될 수 있다.12,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이하의 도 13 내지 도 1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 적층패드(320), 중단 적층패드(330), 상단 적층패드(3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The following FIGS. 13 to 14 are views showing the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 적층패드(320), 상단 적층패드(3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의 (a) 는 상단 적층패드(310), 도 13(b)는 하단 적층패드(320)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각 수평방향, 하측면, 상측면을 도시하고 있다.13 is a view showing a
도 13의 (a), (b)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수용공간(140)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부면에 제1격벽(230)과 제2격벽(231)이 교차하는 교차부(220)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상부 돌출부(321)가 형성된 하단 적층패드(320), 수용공간(140)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부면에 교차부(220)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하부 돌출부(301)가 형성된 상단 적층패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단 적층패드(320)와 상단 적층패드(310)가 각각 포장 본체(100)의 수용공간(140)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여 상품을 보호함과 동시에 제1격벽(230)과 제2격벽(231)이 수직으로 교차하여 형성하는 교차부(220)에 고정 결합되어, 격벽(200)을 보다 더 견고히 고정할 수 있고, 격벽(200)에 의해 형성되어 상품이 안착되는 구분공간이 견고하게 유지되어, 외부 충격에 의하더라도 상품 훼손 우려를 줄일 수 있다.13 (a), (b),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located below the receiving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상단 적층패드(310)는 하부면에 교차부(220)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하부 돌출부(301)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돌출부(301)는 교차부(220)의 형상인 십자 형상의 홈을 가지고 있고, 해당 홈에 교차부(220)가 결합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13 , a
도 13의 (b)를 참조하면, 하단 적층패드(320)는 상부면에 교차부(220)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상부 돌출부(321)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돌출부(321)는 교차부(220)의 형상인 십자 형상의 홈을 가지고 있고, 해당 홈에 교차부(220)가 결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B , the lower
상단 적층패드(310)의 하부 돌출부(301)는 격벽(200)의 교차부(220) 각각의 상측과 결합할 수 있고, 하단 적층패드(320)의 상부 돌출부(321)는 격벽(200)의 교차부(220) 각각의 하측과 결합할 수 있다. 즉, 하단 적층패드(320) 및 상단 적층패드(310)가 각각 격벽(200)의 하부 및 상부에 위치하여 격벽(200)을 고정시킬 수 있고, 구분된 공간의 상측 및 하측을 막아줌으로써 상품의 이탈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상단 적층패드(310)와 하단 적층패드(320) 사이에 위치하고, 상부면에 상부 돌출부(321)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하부 돌출부(301)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중단 적층패드(330)를 포함하고, 격벽(200)은, 하단 적층패드(320)와 중단 적층패드(330) 사이, 중단 적층패드(330) 각각의 사이, 중단 적층패드(330)와 상단 적층패드(310)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하단 적층패드(320)와 상단 적층패드(310) 사이에 복수개의 중단 적층패드(330)와 복수개의 격벽(200)을 위치시켜, 복수개의 단을 형성할 수 있고, 복수개의 단 각각에 상품이 안착되기 위한 복수개의 구분공간이 해당 단의 격벽(200)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수의 상품을 수용하여 포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복수개의 상품 각각이 적층패드와 격벽(200)에 의해 구분된 공간에 안착하여 포장되기 때문에 상품을 안전하게 포장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4 ,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located between the
도 14를 참조하면, 중단 적층패드(330)는 상단 적층패드(310)와 하단 적층패드(3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중단 적층패드(330)는 상부면에 상부 돌출부(321), 하부면에 하부 돌출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단 적층패드(320) 또는 상단 적층패드(310)와 달리, 중단 적층패드(330)의 경우 상측 및 하측에 모두 격벽(200)이 위치하기 때문에, 상측 및 하측의 격벽(200)의 교차부(220)와 결합하기 위한 상부 돌출부(321)와 하부 돌출부(301)를 모두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상단 적층패드(310)와 하단 적층패드(320) 사이에 위치하고, 상부면에 상부 돌출부(321)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하부 돌출부(301)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중단 적층패드(330)를 포함하고, 격벽(200) 및 복수개의 거치대(400)는, 하단 적층패드(320)와 중단 적층패드(330) 사이, 중단 적층패드(330) 각각의 사이, 중단 적층패드(330)와 상단 적층패드(310)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후술하는 거치대(400)는 상품 각각을 거치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 적층패드(320), 상단 적층패드(310) 및 중단 적층패드(330)로 구분되는 복수개의 단에 각각 격벽(200)과 복수개의 거치대(400)가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located between the
도 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으로 적층된 포장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서 상부 돌출부(321) 및 하부 돌출부(301)에 격벽(200)이 고정되어 있고, 상하방향의 검은 실선은 격벽(200)의 일측 단면을 나타내고, 사선으로 표시된 영역은 격벽(200)의 일측 단면과 수직하는 방향의 면에 해당한다.15 is a view showing a packaging container stack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FIG. 15 , the
도 15의 (a)를 참조하면, 하단 적층패드(320), 상단 적층패드(310) 및 중단 적층패드(330)에 의하여 이단으로 포장 본체(100)의 수용공간(140)을 분할하고, 하단의 격벽(200)은 하단 적층패드(320) 및 중단 적층패드(33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고, 상단의 격벽(200)은 중단 적층패드(330)와 상단 적층패드(31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15 (a), the receiving
도 15의 (b)를 참조하면, 하단 적층패드(320), 상단 적층패드(310) 및 중단 적층패드(330)에 의하여 이단으로 포장 본체(100)의 수용공간(140)을 분할하고, 하단 및 상단에 각각 격벽(200) 및 복수개의 거치대(400)가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즉 각각의 단은 하단 적층패드(320), 중단 적층패드(330), 상단 적층패드(310)에 의하여 구분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단에 격벽(200)이 위치하여 구분된 공간을 형성하고, 구분된 공간에 각각 거치대(400)가 위치하여 상품이 거치대(400)에 고정될 수 있다.15 (b), the receiving
도 15는 예시적으로 2단의 포장 용기를 나타내고 있으나, 중단 적층패드(330), 격벽(200), 복수개의 거치대(400) 등 구성을 추가하여 3단 이상의 포장 용기를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Although FIG. 15 shows an exemplary two-stage packaging container, it is self-evident that a three-stage or more packaging container can be configured by adding components such as a
도 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 부재(3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6 is a view showing a
도 16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하단 적층패드(320)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코너 기둥(341) 및 중단 적층패드(330)의 하부면 및 하단 적층패드(320)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하중 지지면(342)을 포함하고, 중단 적층패드(330)의 하중을 지지하는 코너 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단 적층패드(330)를 이용하여 2단 이상으로 상품을 적재할 경우, 최하단의 중단 적층패드(330)에는 상품에 의한 하중이 집중될 수 있고,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코너 부재(340)를 이용하여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코너 부재(340)는 사각 기둥 형상, "ㄱ"자 형상 등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ositioned at each corner of th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중단 적층패드(330) 및 상단 적층패드(310)는, 코너 부재(340)가 결합하기 위한 코너 부재(340) 결합홈(130)이 각 모서리에 형성된 것이고, 코너 부재(340)는, 하단 적층패드(32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코너 기둥(341), 상단 적층패드(310) 및 중단 적층패드(330)의 하부면, 하단 적층패드(320)의 상부면과 접촉될 수 있는 하중 지지면(342)을 포함하는 코너 부재(34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코너 부재(340)는 각 모서리에서 중단 접촉패드 및 상단 접촉패드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상하방향의 수직 방향(다시 말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면인 하중 지지면(342)이 형성되어 중단 적층부재 및 상단 적층부재와 접촉면적이 넓어져 보다 효율적으로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하중을 하단 적층패드(32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도 1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거치대(400)를 나타낸 도면이다.17 is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도 17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포장 본체(100)의 수용공간(140)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상품이 거치되는 복수개의 거치대(400)를 더 포함하고, 격벽(200)은 복수개의 거치대(400)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거치대(400)는 격벽(200)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분공간 각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격벽(200)은 거치대(400)에 끼움결합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품은 거치대(400)에 위치하여 상품을 보다 안전하게 포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located in the receiving
도 17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거치대(400)는 수용공간(140) 및 격벽(200)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공간(140)의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 복수개의 거치대(400)는 사각형 형상으로 수용공간(140)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고, 격벽(200)에 의하여 형성되는 구분공간의 가로 및 세로의 개수가 각각 5개, 4개인 경우 도 15와 같이 가로 5개, 세로 4개, 즉 총 20개의 거치대(400)로 복수개의 거치대(400)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the plurality of
도 17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거치대(400)는, 상부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상품거치홀(410), 상품거치홀(410) 하측에 돌출형성된 상품지지부(420) 및 거치대(400)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거치홀(410)은 상품이 삽입되어 거치되기 위한 구멍에 해당하고, 상품거치홀(410)의 하측에 돌출형성된 상품지지부(420)는 각각의 거치대(400) 내에서 상품이 고정 거치되기 위한 것으로, 상품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끼움홈(430)은 거치대(400) 각각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으로, 격벽(200)이 해당 홈에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끼움홈(430)은 격벽(200)의 두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the
도 1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거치대(400)의 평면도이다.18 is a plan view of a plurality of
도 18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400)는 상단 돌출부(301)가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홈(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홈(440)은 상단 돌출부(301)가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단 적층패드(310), 중단 적층패드(330), 하단 적층패드(320)에 의하여 수용공간(140)이 복수개의 단으로 구성되는 경우, 하단 적층패드(320) 또는 중단 적층패드(330)에 형성된 상단 돌출부(301)가 삽입되어 격벽(200)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홈이다.Referring to FIG. 18 ,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단으로 형성되는 포장 용기는 복수개의 단 각각에 격벽(200) 및 복수개의 거치대(4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중단 적층패드(330) 및 하단 적층패드(320)는 상부면에 상단 돌출부(301)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 돌출부(301)는 격벽(200)의 교차부(220)에 대응하여 위치에서 격벽(200)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단 돌출부(301)가 격벽(200)과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거치대(400)는 교차부(220)의 위치에 상단 돌출부(301)가 격벽(200)과 결합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돌출부홈(44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단 적층패드(320)-복수개의 거치대(400) 및 격벽(200)-중단 적층패드(330) 순으로 배치되는 경우, 하단 적층패드(320)의 상부 돌출부(321)는 복수개의 거치대(400)의 돌출부홈(440)을 통해 격벽(200)의 교차부(220)와 결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ackaging container formed of a plurality of stages, th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측면(110)은 복수개의 거치대(400)를 결합하기 위한 거치대 결합홈(150)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도 6(d)에 대한 설명과 같이, 거치대(400)는 내부측면(110)의 거치대 결합홈(15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거치대(400)는 끼움홈(430)에 고정되는 격벽(200) 뿐만 아니라, 내부측면(110)의 거치대 결합홈(150)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th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상품지지부(420)는 거치대(400)의 하부면 중앙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거치부 및 상기 제1거치부에 끼움결합되어 직교되는 제2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거치대(400)는 상부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상품거치홀(410)이 상부면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품거치홀(410)의 하부, 즉 거치대(400)의 하부면 중앙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거치부 및 제1거치부에 끼움결합되어 직교되는 제2거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거치부와 제1거치부에 끼움결합되어 직교되는 제2거치부의 상측 형상을, 거치되는 상품의 하부면과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상품이 제1거치부 및 제2거치부를 포함하는 상품지지부(42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상품이 구형인 경우 제1거치부 및 제2거치부의 상측 형상이 각각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구형 상품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roduct has a spherical shape, the upper shape of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may each have a curvature, so that the spherical product may be seated.
또한, 상품이 베어링 등과 같이 도넛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제1거치부 및 제2거치부가 직교하는 중앙측의 돌출 길이가 바깥쪽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품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이 중앙축 돌출부(301)위를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oduct has a donut shape such as a bearing, the central protrusion length at which the first and second cradle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is longer than the outer protrusion length, so that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roduct is formed in the central axis protrusion ( 301) can be inserted through the stomach.
보다 구체적으로, 상품이 허브 베어링에 해당하는 경우, 중앙에 허브 베어링의 하부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제1거치부 및 제2거치부에 형성될 수 있고, 지지돌기의 양측에 하부방향으로 형성되어 허브 베어링의 하부에 형성되는 원형돌기가 끼움결합되는 고정홈, 지지돌기의 각각의 중앙에 하부방향 및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거치부 결합홈(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거치부 결합홈(130)은 제1거치부와 제2거치부가 끼움결합 할 수 있도록 하고, 상품인 허브 베어링이 지지돌기와 고정홈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product corresponds to a hub bearing, support protrusions for supporting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hub bearing in the center may b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an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rotrus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It may be formed of a fixing groove into which a circular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ub bearing is fitted, and a mounting
또한, 제1거치부 및 제2거치부는 십자모양으로 결합될 수 있고, 상품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고, 지지돌기, 고정홈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상품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may be coupled in a cross shape, and may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product, and may be fixed by a support protrusion or a fixing groove to prevent the product from rotating.
상품에 따라 가공된 상품의 가공 부분이 부식이나 산화되지 않도록 포장, 이송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가공된 금속 재질의 상품의 경우 공기 중의 수분, 습기가 상품 표면에 접촉되어 산화과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대량 생산을 위하여 생산 계획에 따라 부품을 장기 보관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방청 효과가 장기간 지속될 필요가 있다. 즉, 금속 재질의 상품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품이 견고히 지지되고, 구분된 공간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의 훼손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상품의 산화, 부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Depending on the product, it may be necessary to pack and transport the processed product to prevent corrosion or oxida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rocessed metal products, moisture and moisture in the air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roduct to cause oxidation. In addition, for mass production, parts may be stored for a long time according to the production plan, so the anti-rust effect needs to be sustained for a long time. That is, in the case of a metal product,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prevent product damage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oxidation and corrosion of the product by enabling the product to be firmly supported and seated in a separate spac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내부에 포장 본체(100)를 수용하기 위한 외부 포장 본체(100), 외부 포장 본체(100)의 내부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방청비닐, 습기를 흡수하기 위한 방습지를 더 포함하고, 포장 본체(100)는 방청비닐이 설치된 외부 포장 본체(100)에 위치하고, 포장 본체(100) 상측에 상기 방습지가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방청비닐 및 방습지는 외부 포장 본체(100)의 내부에 안착되어 외부의 습기를 차단할 수 있다.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n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외부 포장 본체(100)는 내부 코너부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 개의 외부 코너패드를 더 포함하고, 포장 본체(100)는 부식을 방지하는 포장된 파우더 형태의 보조제와 적층된 최상부 포장 본체(100)의 상부에는 방습지가 설치된 후 안착되어 설치되는 덮개패드를 더 포함하고, 외부 포장 본체(100)의 내부에 포장 본체(100) 복수 개가 적층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외부 포장 본체(100) 내부에 포장 본체(100)가 복수개의 단으로 적층되고, 포장 본체(100)의 상측에 덮개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외부 포장 본체(100) 내에 복수개의 단으로 포장 본체(100)를 적층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상품을 포장할 수 있고, 덮개패드를 구비하여 적층되는 포장 본체(1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one in which th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포장된 파우더 형태의 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파우더 형태의 보조제는 일반적으로 습기를 제거하는 방습제가 일정량 포장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파우더 형태의 보조제는 적층된 포장 본체(100)의 최상층 포장 본체(100)의 상부의 덮개패드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agent in the form of a packaged powder for preventing corrosion. Powder-type adjuvants may generally be used packaged with a certain amount of desiccant that removes moisture. The auxiliary agent in powder form may be provided above the cover pad of the uppermost layer of th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의 포장 본체(100)는 외부 포장 본체(100)의 내부에 안착되어 설치되기 전에 방청액을 도포한 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The
도 19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 제조 장치(500)의 구성도이다.19 is a block diagram of a packaging
도 19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 제조 장치(500)는 구동부(510), 절단부(520), 접힘선 생성부(530), 측정부(540), 감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 the packaging
구동부(510)는 절단부(520) 및 접힘선 생성부(5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부(51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절단부(520) 및 접힘선 생성부(5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장치를 이용하여 절단부(520) 및 접힘선 생성부(530)에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고,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유압, 공압 등 방식으로 절단부(520) 및 접힘선 생성부(530)에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The driving
절단부(520)는 포장 본체 재료(10)를 절단할 수 있다. 전술한 도 2, 도 4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장 본체(100)는 포장 본체 재료(10)를 절단하고, 절단한 포장 본체(100)를 조립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접힘선 생성부(530)는 포장 본체 재료(10)에 접힘선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도 2, 도 4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장 본체(100)는 접힘선을 따라 조립할 수 있다.The
측정부(540)는 절단부(520) 및 접힘선 생성부(530)에 의하여 포장 본체 재료(10)에 가해지는 압력, 압력이 가해지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540)는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asuring
검사부(550)는 가공된 포장 본체(100)의 절단선 및 접힘선의 상태를 압력, 압력이 가해지는 시간 및 검사 센서로부터 센싱한 절단면 및 접힘선 가공 상태에 기초하여 검사할 수 있다. 검사부(550)는 절단면의 가공 상태를 센싱하기 위하여 영상촬영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사부(550)는 절단부(520)에 의한 포장 본체 재료(10)의 절단이 불량한 경우에 해당 포장 본체(100)가 불량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검사부(550)는 접힘선의 가공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절단면의 경우, 외부에서 영상촬영장치 등으로 센싱가능하나 접힘선의 경우 가공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외부의 영상촬영장치뿐만 아니라, 비접촉 단면 측정 장치를 포함하여, 해당 접힘선의 단면 상태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접힘선 가공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검사부(550)는 절단선 및 접힘선의 상태를 압력, 압력이 가해지는 시간, 검사 센서로부터 센싱한 절단면 및 접힘선 가공 상태에 기초하여, 포장 본체(100) 조립 전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특히,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본체(100)의 경우 내부측면(110)에 결합홈(130)을 포함하고 있고, 각 측면이 내부측면(110)과 외부측면(120)으로 이중의 측면벽으로 구성되어 있어, 접힘선과 절단선이 다수 존재하고 복잡한 형상을 지니므로, 검사부(550)에서 가공된 포장 본체(100)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불량 가공된 포장 본체(100)를 걸러낼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또한, 검사부(550)는 가공된 포장 본체(100) 표면의 상태를 측정하여, 포장 본체(100)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포장 본체(100) 표면의 상태는 찢어짐, 구명, 오염 등의 상태를 포함하며, 해당 상태인 경우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본체(100)는 상기 포장 용기 제조 장치(500)에 의하여 생산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다른 포장 용기 제조 장치(500)에 의하여 생산된 포장 본체(100)의 경우, 접힘선 및 절단면의 불량, 포장 본체(100)의 표면 상태의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 본체(100)의 품질을 보증할 수 있다.The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포장 본체 재료
100: 포장 본체
110: 내부측면
120: 외부측면
130: 결합홈
140: 수용공간
150: 거치대 결합홈
200: 격벽
210: 결합부
220: 교차부
230: 제1격벽
231: 제2격벽
232: 격벽결합홈
300: 하부 거치대
301: 돌출부
302: 상부 거치대
310: 상단 적층패드
311: 하단 돌출부
320: 하단 적층패드
321: 상부 돌출부
330: 중단 적층패드
340: 코너 부재
341: 코너 기둥
342: 하중 지지면
400: 거치대
410: 상품거치홀
420: 상품지지부
430: 끼움홈
440: 돌출부홈
500: 포장 용기 제조 장치
510: 구동부
520: 절단부
530: 접힘선 생성부
540: 측정부
550: 검사부10: packaging body material
100: packaging body
110: inner side
120: outer side
130: coupling groove
140: accommodation space
150: holder coupling groove
200: bulkhead
210: coupling part
220: intersection
230: first bulkhead
231: second bulkhead
232: bulkhead coupling groove
300: lower cradle
301: protrusion
302: upper cradle
310: top laminated pad
311: lower protrusion
320: bottom laminated pad
321: upper protrusion
330: Interrupted Lamination Pad
340: corner member
341: corner pillar
342: load bearing surface
400: cradle
410: product storage hall
420: product support unit
430: fitting groove
440: protrusion groove
500: packaging container manufacturing device
510: driving unit
520: cut part
530: fold line generation unit
540: measurement unit
550: inspection unit
Claims (13)
상기 내부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
상기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복수개의 구분공간을 형성하는 격벽;
을 포함하되,
상기 격벽은,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격벽결합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1격벽 및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격벽결합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2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이 상기 격벽결합홈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부면에 상기 제1격벽과 상기 제2격벽이 교차하는 교차부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상부 돌출부가 형성된 하단 적층패드;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부면에 상기 교차부에 끼움결합할 수 있는 하부 돌출부가 형성된 상단 적층패드;
상기 상단 적층패드와 상기 하단 적층패드 사이에 위치하고, 상부면에 상기 상부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상기 하부 돌출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중단 적층패드;
상기 포장 본체의 수용공간에 위치하고, 복수개의 상품이 거치되는 복수개의 거치대; 및
상기 수용공간 내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중단 적층패드 및 상기 상단 적층패드의 하중을 지지하는 코너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하단 적층패드와 상기 중단 적층패드 사이, 상기 중단 적층패드 각각의 사이, 상기 중단 적층패드와 상기 상단 적층패드 사이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복수개의 거치대 사이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내부측면은, 상기 복수개의 거치대를 결합하기 위한 거치대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코너 부재는, 상기 하단 적층패드의 상면, 상기 상기 중단 적층패드의 하면 및 상기 상단 적층패드의 하면 각각에 접촉되는 3 개의 하중 지지면 및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3 개의 하중 지지면을 상호 연결하는 코너 기둥을 포함하는 것인, 포장 용기.Each side is formed to include an inner side, an outer side, the packaging body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therein;
a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ide surface;
a partition wall having a coupling portion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coupled to and fix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forming a plurality of partitioning spaces in the receiving space;
including,
The partition wall,
a plurality of first partition walls hav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 coupling grooves formed in a lower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partition walls hav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 coupling grooves formed in an upper direction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wherein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are the partition walls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 lower lamination pad positioned below the receiving space and having an upper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t an intersection where the first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 intersect;
an upper lamination pad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having a lower protrusion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to be fitted at the intersection;
a plurality of intermediate lamination pad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lamination pad and the lower lamination pad, wherein the upper protrus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the lower protrusion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a plurality of cradles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packaging body and on which a plurality of products are mounted; and
It is disposed at the corner portion in the receiving space, further comprising a corner member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middle stacking pad and the upper stacking pad,
The partition walls are respectively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tacked pad and the middle stacked pad, between each of the middle stacked pads, and between the middle stacked pad and the upper stacked pad, and are fitted between the plurality of cradles,
The inner side surface is formed with a holder coupling groove for coupling the plurality of cradles,
The corner member includes three load-bearing surfaces contacting eac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tacking pad, the lower surface of the middle stacking pa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acking pad, and extending vertically and interconnecting the three load-bearing surfaces A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a corner post.
상기 거치대는,
상부면이 관통되어 형성된 상품거치홀, 상기 상품거치홀 하측에 돌출형성된 상품지지부 및 상기 상품거치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끼움홈을 포함하는, 포장 용기.According to claim 1,
the cradle,
A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a product holding hole formed through an upper surface, a product support part protruding below the product holding hole, and a fitting groove formed between each of the product holding holes.
상기 복수개의 거치대는,
상기 하단 적층패드와 상기 중단 적층패드 사이, 상기 중단 적층패드 각각의 사이, 상기 중단 적층패드와 상기 상단 적층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포장 용기.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cradles,
Between the lower lamination pad and the middle lamination pad, between each of the middle lamination pads, and between the middle lamination pad and the upper lamination pad, the packaging container.
내부에 상기 포장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외부 포장 본체;
상기 외부 포장 본체의 내부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방청비닐;
습기를 흡수하기 위한 방습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장 본체는 상기 방청비닐이 설치된 외부 포장 본체에 위치하고, 상기 포장 본체 상측에 상기 방습지가 위치하는 것인, 포장 용기.According to claim 1,
an outer packaging body for accommodating the packaging body therein;
Anti-rust vinyl installed inside the outer packaging body;
Further comprising a moisture barrier for absorbing moisture,
The packaging body is located in the outer packaging body in which the anti-rust vinyl is installed, and the moisture-proof paper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ckaging body, the packaging contain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1384A KR102296979B1 (en) | 2021-01-06 | 2021-01-06 | Containers for bulkhead fix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1384A KR102296979B1 (en) | 2021-01-06 | 2021-01-06 | Containers for bulkhead fix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6979B1 true KR102296979B1 (en) | 2021-09-02 |
Family
ID=77794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1384A KR102296979B1 (en) | 2021-01-06 | 2021-01-06 | Containers for bulkhead fix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6979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50517U (en) * | 1988-04-06 | 1989-10-18 | ||
JP2002347751A (en) * | 2001-03-22 | 2002-12-04 | Taketoshi Nojima | Bent-up partition wall forming body, bottom-partitioned box, and mold and method for forming bent-up line |
JP2010143615A (en) * | 2008-12-19 | 2010-07-01 | Obata Co Ltd | Packaging member |
KR20110003359U (en) * | 2009-09-28 | 2011-04-05 | 주식회사 신우 | Packing box |
KR101407817B1 (en) * | 2009-12-03 | 2014-06-17 |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 Flexible shipment packaging |
KR101553694B1 (en) * | 2014-11-07 | 2015-09-17 | 창성포장(주) | Anticorrosive packing box for car bearing |
-
2021
- 2021-01-06 KR KR1020210001384A patent/KR10229697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50517U (en) * | 1988-04-06 | 1989-10-18 | ||
JP2002347751A (en) * | 2001-03-22 | 2002-12-04 | Taketoshi Nojima | Bent-up partition wall forming body, bottom-partitioned box, and mold and method for forming bent-up line |
JP2010143615A (en) * | 2008-12-19 | 2010-07-01 | Obata Co Ltd | Packaging member |
KR20110003359U (en) * | 2009-09-28 | 2011-04-05 | 주식회사 신우 | Packing box |
KR101407817B1 (en) * | 2009-12-03 | 2014-06-17 |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 Flexible shipment packaging |
KR101553694B1 (en) * | 2014-11-07 | 2015-09-17 | 창성포장(주) | Anticorrosive packing box for car bear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63380B2 (en) | Packaging container for transporting batteries | |
JP2009536905A (en) | Transport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9928928B2 (en) | Packaging for transporting and/or storing radioactive material, comprising a more effective corner shock absorber | |
KR20220017741A (en) | A battery modul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absorbing battery cell swelling, and a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
US6629606B1 (en) | Packaging for tablet-shaped objects | |
KR102296979B1 (en) | Containers for bulkhead fixing | |
ES2052306T3 (en) | COLLECTIVE PACKAGING FOR MAGNETIC RIBBONS WRAPPED ON CORES. | |
JP6593430B2 (en) | Buffer for packing semiconductor wafer storage container | |
US20230278788A1 (en) | Block stacking arrangement | |
JPH09295686A (en) | Glass tube packaging body | |
US20140227469A1 (en) | Buffer material for packing wafer carrier | |
US8162143B2 (en) | United Nations certified 4G fiberboard box | |
KR101553694B1 (en) | Anticorrosive packing box for car bearing | |
JP2022037899A (en) | Film reel assembly pack | |
KR20120012045A (en) | Insering Paper Assembly Having Buffering Module and Packing Box having The Same | |
KR102562348B1 (en) | packing system for components | |
US20070151896A1 (en) | Packing member for packing wafer container | |
US6964339B2 (en) | Shock absorbing container | |
US11679910B2 (en) | Package body for ceramic separation membrane and packaged item | |
CN220411479U (en) | Packaging device for fuse and fuse shipping suit with packaging device | |
WO2022145372A1 (en) | Packing material, packed body, module assembly, and module packing method | |
JP2507409Y2 (en) | Tiered ball packing structure | |
KR101549496B1 (en) | Equipped with a packing box reinforcement | |
KR102676194B1 (en) | Packaging box for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housed in the same | |
CN213414519U (en) | Assembled wooden packing cart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