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432B1 -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432B1
KR102296432B1 KR1020190094692A KR20190094692A KR102296432B1 KR 102296432 B1 KR102296432 B1 KR 102296432B1 KR 1020190094692 A KR1020190094692 A KR 1020190094692A KR 20190094692 A KR20190094692 A KR 20190094692A KR 102296432 B1 KR102296432 B1 KR 102296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return
control device
user
boo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8563A (ko
Inventor
임학수
이공남
강수현
이사영
조재봉
윤의진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인천광역시
주식회사 이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광역시, 주식회사 이씨오 filed Critical 인천광역시
Priority to KR1020190094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432B1/ko
Publication of KR20210018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07F7/069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by box-like containers, e.g. videocassettes, books
    • G06K2209/1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동차에 탑승한 상태에서 도서 대출반납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도서를 자유롭게 대출 또는 반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시간을 상당량 단축할 수 있는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Description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BOOK DRIVE-IN SYSTEM}
본 발명은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동차에 탑승한 상태에서 도서 대출반납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도서를 자유롭게 대출 또는 반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시간을 상당량 단축할 수 있는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공공기관 등에서 운영하는 각 도서관에는 학생 및 일반인들을 위해 대량의 학술 및 일반 도서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도서관을 이용하기 위한 학생 및 일반인들은 도서관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도서들을 열람한 후 특정 도서의 대출을 도서관측에 신청하여 대출받고, 정해진 대출 기간이 종료되기 이전에 대출받은 해당 도서를 반납하게 된다.
이때, 도서관측으로부터 특정 도서를 대출받기 위한 사용자는 도서관의 도서대출/반납 담당자(예를 들어, 도서관 사서)가 요구하는 신분증(학생증, 주민등록증 등)을 제시하여 신원을 확인받아야 하며, 도서대출/반납 담당자는 해당 사용자의 신분 확인 후 대출 도서의 내용(도서명, 대출 기간 등)을 기록하고 해당 도서를 대출하게 된다. 그리고, 대출도서의 반납시에도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반납하려는 도서를 도서대출/반납 담당자에게 제시하여 담당자의 대출 확인을 거친 후 반납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따른 도서대출 및 반납업무를 위해서는 각 도서관 측에서 도서대출/반납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관리 인력을 두어야 하기 때문에 관리 인력의 증가로 인한 비용이 증가되었으며, 도서대출/반납업무로 인해 전문 인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도서관 개방중 도서대출/반납을 담당하는 인력이 없는 경우(예를 들어, 업무시간 종료로 인하여 퇴근한 경우)에는 도서관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도서대출/반납을 24시간 내내 자유롭게 수행할 수 없으므로 제한적으로 도서관을 이용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해 도서관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물론, 도서관을 운영하는 학교나 공공기관, 더나아가서는 국가의 대내외적인 경쟁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도서관은 주차장 환경이 열악하며, 이에 따라, 도서관을 방문하는 사용자들의 불편이 증가하고 있는데, 도서관 주변의 시설들 및 도서관 내부의 시설들에 의해, 기존의 도서관에 구비된 주차장을 증설하는 것은 쉽지 않으며, 단순히 도서를 대출하거나 반납하기 위해 도서관을 방문하는 사용자는, 주차를 위해 많은 시간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1 특허공개번호 10-2018-0074834: 도서 대출 시스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동차에 승차한 상태에서 도서를 대출 또는 반납할 수 있는, 북 드라인 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서관에서는 반납된 도서의 확인 및 관리와 정리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도서관에서 도서를 정리하는 인력 절감을 통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서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도서를 반납받는 도서 배출반납 장치; 배출용 도서를 선반으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로 이송하거나,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로 반납된 도서를 상기 선반에 배치시키는 도서 이송장치;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로부터 도서 배출이 요청되거나 도서 반납이 요청되면, 상기 요청을 상기 도서 이송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장치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도서 대출이 요청되거나 도서 반납이 요청된 후,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대출 또는 반납을 요청한 사용자가 인식되면, 상기 요청을 상기 도서 이송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식장치는 자동차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신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구비된 제1 투입구; 상기 케이스의 제1 투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 제2투입구; 상기 제1 투입구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었다가 원상 복귀되는 제1 디스펜서; 및 상기 제2 투입구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었다가 원상 복귀되는 제2 디스펜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식장치는 자동차의 높이를 감지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인식장치에서 감지한 자동차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펜서 또는 제2 디스펜서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는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 도서관에 배치된 도서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를 통해 대출 또는 반납된 도서들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 관리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2입력부, 관리자에게 각종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제2출력부 및 제2제어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동차에 승차한 상태에서, 도서를 간편하게 대출하거나 반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어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이 적용되는 도서관의 외관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이 적용되는 도서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에 적용되는 도서 배출반납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에 적용되는 도서 배출반납 장치가 이용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서를 대출 및 반납하는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어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이 적용되는 도서관의 외관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이 적용되는 도서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북드라이브 인 시스템에 적용되는 도서 배출반납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에 적용되는 도서 배출반납 장치가 이용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서(41)를 외부로 대출하거나 도서를 반납받는 도서 배출반납 장치(30), 대출용 도서를 선반(81)으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로 이송하거나,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로 반납된 도서를 상기 선반(81)에 배치시키는 도서 이송 장치(40), 자동차(1)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인식장치(31), 및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로부터 도서 대출이 요청되거나 도서 반납이 요청되면, 상기 요청을 상기 도서이송 장치(4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61)로부터 도서 대출이 요청되거나 도서 반납이 요청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61)와 매칭되어 있는 자동차(1)의 번호판이 상기 인식장치(31)로부터 인식되면, 상기 요청을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로 전송하는 제어장치(20)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는 도서관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는 자동차(1)가 통행할 수 있으며 자동차(1)에 승차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는, 도서의 대출 또는 반납과 관련된 정보들이 입력되는 제1입력부(30a), 도서의 대출 또는 반납과 관련된 정보들을 출력하는 제1출력부(30b), 상기 제어장치(2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미도시), 및 상기 제1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제어장치(2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입력부(30a)와 상기 제1출력부(30b)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의 상기 제1입력부(30a)와 상기 제2출력부(30b)는 하나의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를 통해 직접 도서 대출 요청이 수신되면, 대출 요청이 수신된 도서가 상기 선반(81)에 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도서가 상기 선반(81)에 구비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도서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를 직접 제어하여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를 상기 도서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를 통해 도서 반납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를 제어하여, 상기 도서 이송 장치가, 반납된 상기 도서를 상기 선반(81)에 배치시키도록 한다.
특히,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자동차(1)에 승차한 사용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동차(1)에 승차한 상태에서,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를 이용하여 도서의 대출 또는 반납을 신청할 수 있다.
즉, 도서를 대출 또는 반납하기 위해 도서관을 방문한 사용자는 자동차(1)를 주차시키지 않고 자동차(1)에 승차한 상태에서,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를 이용하여 도서를 대출하거나 반납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1)의 높이는 자동차(1)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며, 자동차(1)에 탑승한 사용자의 손의 높이는 자동차(1)의 높이에 따라 변경된다. 따라서, 도서 배출반납 장치(30) 중 사용자의 손이 닿는 부분은 자동차(1)의 높이에 따라 변경된다. 이 경우, 도서 배출 반납 장치(30)에서 도서가 놓여지는 위치가 사용자의 손이 닿는 부분과 차이가 있으며나 사용자는 도서를 반납하거나 대출하기 어렵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32), 상기 케이스(32)의 저면으로부터 제1 높이에 구비된 제1 투입구(33), 상기 케이스(32)의 저면으로 부터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 구비된 제2 투입구(34), 상기 제1 투입구(33)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장치(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케이스(32)의 외부로 배출되었다가 원상 복귀되는 제1 디스펜서(35) 및 상기 제2 투입구(34)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장치(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케이스(32)의 외부로 배출되었다가 원상 복귀되는 제2 디스펜서(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투입구(33)는 예를 들어, 승용차의 높이를 고려하여 지면으로부터 950cm 높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투입구(34)는 예를 들어, 승합차의 높이를 고려하여 지면으로부터 1250cm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인식장치(31)로부터 전송된 상기 자동차(1)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펜서(35) 또는 상기 제2 디스펜서(36)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식장치(31)는 상기 자동차(1)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식장치(31)를 통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투입구(33)의 높이에 대응되는 자동차(1a)가 인식되면,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 디스펜서(35)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투입구(24)의 높이에 대응되는 자동차(1b)가 인식되면,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2 디스펜서(36)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6의 (c)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자동차들(1a, 1b)이 모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 디스펜서(35) 또는 상기 제2 디스펜서(36)중 구동되는 어느 하나에 도서가 놓여지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디스펜서(35) 또는 상기 제2 디스펜서(36) 중 구동되는 어느 하나에 놓여진 도서가 수거되도록, 상기 도서 이송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투입구(33)의 높이에 대응되는 자동차(1a)가 인식되면,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선반에 놓여진 도서가 상기 제1 디스펜서(35)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디스펜서(35)에 놓여진 도서가 상기 선반(81)에 놓여질 수 있도록 상기 도서 이송장치(40)를 제어하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투입구(34)의 높이에 대응되는 자동차(1b)가 인식되면,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선반에 놓여진 도서가 상기 제2 디스펜서(36)에 놓여질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디스펜서(36)에 놓여진 도서가 상기 선반(81)에 놓여질 수 있도록 상기 도서 이송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와 상기 선반(81)은 상기 도서관 내부의 도서보관실(80)에 구비된다.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는 상기 제어장치(20)로부터 도서 대출 요청이 수신되면, 대출용 도서(41)를 선반(81)으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로 이송한다.
또한,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는 상기 제어장치(20)로부터 도서 반납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로 반납된 도서를 상기 선반(81)에 배치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는 상기 제어장치(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도서 보관실(80)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는, 상기 제어장치(20)로부터 도서 대출 요청과 함께 상기 도서 대출 요청이 수신된 도서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는 상기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선반(81)에 놓여져 있는 도서를 추출한 후,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로 이동한다.
이 경우, 상기 도서는 상기 도서가 놓여져 있는 트레이와 함께 상기 선반(81)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는 추출된 도서를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로 전송한다.
반대로,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는, 상기 제어장치(20)로부터 도서 반납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로 이동한다.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는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로 투입된 도서를 추출한다. 이 경우, 추출된 도서는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에 놓여져 있는 트레이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는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선반(81) 중 비어있는 공간에 상기 도서를 배치시킨다. 이 경우, 상기 도서는 상기 트레이와 함께 상기 선반에 배치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인식장치(31)는 자동차(1)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상기 자동차(1)의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장치(31)는 사용자 단말기(61)에 표시된 바코드를 더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61)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더 인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식장치(31)는 현재 주차장 등에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는 번호판 인식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장치(31)는 상기 번호판 인식장치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기(61)에 표시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 리더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식장치(31)는 상기 번호판 인식장치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기(61)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신호, 예를 들어 블루투스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식장치(31)는 상기 번호판 인식장치, 상기 바코드 리더기 및 상기 수신기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인식장치(31)는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의 주변에 배치되며, 특히,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로 근접해 오는 자동차(1)의 번호판을 인식하기에 유리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인식장치(31)는 인식된 자동차 번호판, 바코드 및 무선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어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인식장치(31)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도서를 대출 또는 반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20)는 사용자가 인식되면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도서를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를 통해 대출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반납된 도서의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인식장치(31)는 상기 자동차(1)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인식장치(31)에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 예를 들어, 빛이 반사되어 오는지의 여부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높이를 감지하는 광학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구성들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성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21), 상기 선반(81)에 배치된 도서들에 대한 정보,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를 통해 대출 또는 반납된 도서들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23), 관리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2입력부(24), 관리자에게 각종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제2출력부(25) 및 상기 구성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부(22)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와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를 제어하여, 자동차에 승차한 사용자에게 도서를 대출하거나, 자동차에 승차한 사용자로부터 반납된 도서를 상기 선반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이용되는 관리자 단말기(10)로부터, 각종 정보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요청에 대응되는 정보들을 추출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0)는 자동차를 이용하여 도서관을 방문하고 있거나 방문할 예정에 있는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사용자 단말기(61)로부터, 도서의 대출 또는 반납과 관련된 각종 정보들이 수신되면, 이에 대응되는 정보들을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6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61)로 도서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각종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61)를 통해서도 제공받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더 간편하고 신속하게 자신이 원하는 도서를 대출받거나 반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서관을 방문하기 전에 미리, 자신이 원하는 도서의 대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도서의 대출을 신청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도서를 다른 사용자보다 빨리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반납하고자 하는 도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장치(20)로 미리 전송함으로써, 신속하게 도서를 반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신청과 관련된 기한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기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6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장치(20)는 도서에 대한 대출과 관련된 신청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61)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기한(예를 들어, 1시간 또는 2시간 또는 하루 등)을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61)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기한 내에 상기 도서에 대한 대출 신청이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를 통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신청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사용자는 상기 도서를 대출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서를 대출 및 반납하는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 중 상기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되거나 간단히 설명된다.
첫째,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동차(1)에 승차한 상태에서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도서의 대출을 신청할 수 있으며, 상기 신청을 수신한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신청한 도서를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를 통해 제공한다(502)
사용자는 자동차(1)에 승차한 상태에서 상기 도서를 회수한 후, 바로 도서관을 벗어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서를 대출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61)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장치(20)로, 자신이 원하는 도서의 대출을 미리신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서관을 방문할 때 이용할 자동차(1)의 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61)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동차(1)를 이용해 도서관을 방문하여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에 접근하면, 상기 인식장치(31)는 상기 자동차(1)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상기 자동차의 번호를 인식한다.
상기 인식장치(31)에서 인식된 번호는 상기 제어장치(2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61)로부터 도서 대출이 요청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61)와 매칭되어 있는 상기 자동차(1)의 번호가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인식되면, 상기 요청을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로 전송한다.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에 의해 상기 도서가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로 이송되면,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는 상기 제어장치(2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정보를 출력한 후,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승인되면, 상기 도서를 자동차에 승차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자동차(1)의 번호에 의해 상기 도서의 대출을 신청한 사용자가 확인되면,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 전화번호, 자동차 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의 일부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에 의해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확인되면, 상기 도서를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를 통해 배출한다.
사용자는 자동차(1)에 승차한 상태에서 상기 도서를 제공받은 후 바로 도서관을 벗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식장치(31)는, 사용자 단말기(61)에 표시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번호 대신 사용자가 특별한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의 번호,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주민번호 등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61)를 통해 상기 제어장치(20)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장치(20)는 수신된 정보들을 암호화하여 바코드를 생성한 후, 상기 바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6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바코드에 매칭된 정보를 저장한다.
자동차(1)에 승차한 사용자가 상기 인식장치에 상기 바코드를 인식하면,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바코드와 매칭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와 매칭되어 있는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장치(20)는 자동차(1)의 번호를 이용하여 도서를 대출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도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61)로부터 도서 대출이 요청된 후 상기 요청과 매칭되어 있는 바코드가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인식되면, 상기 요청을 상기 도서 이송 장치(40)로 전송하여, 상기 도서를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장치(31)는, 사용자 단말기(61)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번호 대신 사용자가 특별한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61)의 번호,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주민번호 등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61)를 통해 상기 제어장치(20)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장치(20)는 수신된 정보들을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6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암호화된 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자동차(1)에 승차한 사용자가 상기 인식장치에 접근하면, 상기 인식장치(31)는 무선신호의 전송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61)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암호화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61)는 상기 암호화된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신호를 상기 인식장치(31)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61)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상기 인식장치(31)는 상기 무선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장치(2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무선신호와 매칭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신호와 매칭되어 있는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장치(20)는 자동차(1)의 번호를 이용하여 도서를 대출을 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도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도서 대출이 요청된 후 상기 요청과 매칭되어 있는 무선신호가 상기 인식장치(31)로부터 인식되면, 상기 요청을 상기 도서 이송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도서를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에는 예약도서 보관부(미도시)가 더 구비되는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61)를 사용하여 미리 예약할 경우 제어장치(20)에서는 이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도서관에 도착하기 전에 도서 이송장치(40)로 해당 도서의 정보를 전송하여 예약한 도서를 도서 배출반납 장치(30)에 구비된 예약도서 보관부로 이송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자동차(1)에 탑승한 상태로 도서관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인식장치(31)에서 자동차(1)의 번호, 바코드, 사용자 단말기(61)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 등을 인식하여 사용자를 확인하고 제1입력장치(30a)를 통한 별도의 입력없이 예약도서 보관부에 수용된 예약 도서를 도서 배출반납 장치(30)의 제1투입구(33) 또는 제2투입구(34)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출하기 위한 정보를 현장에서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신속하게 도서를 대출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식장치(31)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거나 홍체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를 더 구비하여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사용자는 상기에서 설명된 대출 과정과 동일한 과정들을 통해, 이미 대출받은 도서를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30)를 통해 반납할 수 있다(504)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관리자 단말기 20: 제어장치
30: 도서 배출반납 장치 40: 도서 이송 장치
80: 도서 보관실

Claims (8)

  1. 도서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도서를 반납받는 도서 배출반납 장치와,
    배출용 도서를 선반으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로 이송하거나,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로 반납된 도서를 상기 선반에 배치시키는 도서 이송장치와,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로부터 도서 배출이 요청되거나 도서 반납이 요청되면, 상기 요청을 상기 도서 이송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구비된 제1 투입구; 상기 케이스의 제1 투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 제2투입구; 상기 제1 투입구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었다가 원상 복귀되는 제1 디스펜서; 및 상기 제2 투입구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었다가 원상 복귀되는 제2 디스펜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인식장치는 자동차의 높이를 감지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인식장치에서 감지한 자동차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펜서 또는 제2 디스펜서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디스펜서 또는 상기 제2 디스펜서 중 구동되는 어느 하나에 도서가 놓여지도록 하거나, 상기 제1 디스펜서 또는 상기 제2 디스펜서 중 구동되는 어느 하나에 놓여진 도서가 수거되도록 상기 도서 이송장치를 제어할 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도서 대출이 요청되거나 도서 반납이 요청된 후,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대출 또는 반납을 요청한 사용자가 인식되면, 상기 요청을 상기 도서 이송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인식장치는 자동차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인식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신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제어장치는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 도서관에 배치된 도서들에 대한 정보와 상기 도서 배출반납 장치를 통해 대출 또는 반납된 도서들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 관리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제2입력부, 관리자에게 각종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제2출력부 및 제2제어부(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094692A 2019-08-05 2019-08-05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 KR102296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692A KR102296432B1 (ko) 2019-08-05 2019-08-05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692A KR102296432B1 (ko) 2019-08-05 2019-08-05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563A KR20210018563A (ko) 2021-02-18
KR102296432B1 true KR102296432B1 (ko) 2021-09-03

Family

ID=7468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692A KR102296432B1 (ko) 2019-08-05 2019-08-05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4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82079A (zh) * 2022-03-07 2022-06-03 深圳市海恒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免下车还书方法、免下车还书机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834A (ko) 2016-12-23 2018-07-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서 대출 시스템
KR20180137364A (ko) *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 이씨오 무인 도서관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탈로그]경북매일_청도공공도서관 도서 반납 쉬워졌다 (2013.08.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563A (ko)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46774C (en) Multispace parking pay stations including payment improvements
CN105405296B (zh) 基于车牌识别的车辆控制进出系统及其方法
JP5978414B1 (ja) オンライン・レンタル・システムおよびオンライン・レンタル方法
AU2011265760B2 (en) Vehicle rental system and method
EP1656624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mobile access of subscription content
JP6305103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1258689B1 (ko) 차량방문 편의제공 시스템
CN107004341A (zh) 可训练收发器和云计算系统架构系统及方法
CN105491133A (zh) 访客智能拜访系统及智能电子访问单的形成方法
KR101513172B1 (ko)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주차장 사전예약 시스템
WO2016067105A2 (en) Smart parking barrier
JP2018055138A (ja) 認証システム、認証データ管理装置、ゲート管理装置および認証方法
KR20150111885A (ko) 비컨이나 lbs를 이용한 전자사물함, 전자사서함 및 무인택배함 이용 방법
KR102296432B1 (ko) 북 드라이브 인 시스템
US8792911B2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CN205540966U (zh) 电子装置
KR20150120067A (ko) 스마트 무인 도서관 및 무인 도서관 운영 시스템
KR20160094625A (ko) 도서 대출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
JP5127971B1 (ja) 身体障害者用福祉車両識別駐車場システム
JP6741374B2 (ja) オンライン・レンタル・システムおよびオンライン・レンタル方法
KR20200043160A (ko) 무인 노트북 대여 방법
KR102380398B1 (ko) 방문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문차량 관리방법
JP4219752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7364223B2 (ja) 電子錠システム、電子錠システムで実行される方法、携帯端末、携帯端末で実行される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602299B (zh) 通用个人识别信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73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323

Effective date: 20210714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