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431B1 - 당구 연습 장치 - Google Patents

당구 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431B1
KR102296431B1 KR1020200107500A KR20200107500A KR102296431B1 KR 102296431 B1 KR102296431 B1 KR 102296431B1 KR 1020200107500 A KR1020200107500 A KR 1020200107500A KR 20200107500 A KR20200107500 A KR 20200107500A KR 102296431 B1 KR102296431 B1 KR 102296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e
billiard
sensor unit
practic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박희
Original Assignee
이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박희 filed Critical 이박희
Priority to KR1020200107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06Training or aiming arrangements on billiard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8Cues
    • A63D15/10Apparatus for holding or handing-up cues, e.g. racks
    • A63D15/105Guides for the cue during strike, e.g. cue rests,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28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rrangements with two or more detectors, e.g. for sensitivity compen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Billi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구 연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습자가 연습판에서 직접 큐걸이를 하고 큐를 전후로 움직이면서 큐 스트로크(cue stroke) 연습시 발생하는 다양한 물리량을 분석하여 연습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해줄 뿐만 아니라 큐가 곧게 직선왕복운동을 하는지 라인레이저의 레이저빔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연습자의 자세 교정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으면서도 당구공을 직접 타격하지 않고서도 모니터나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장치를 통해 큐와 당구공의 다양한 물리량을 그래프 상태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당구 연습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당구 연습 장치 {Billiard cue practice device}
본 발명은 당구 연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습자가 올바른 자세로 당구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연습자가 당구용 큐를 스트로크시 발생하는 큐와 당구공의 다양한 물리량을 분석하고 표시하는 당구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구(billiards)는 당구대(billiard table) 위에서 적 ·백색 공을 큐(cue stick)로 쳐서 각자의 점수를 겨루는 레저 스포츠이다.
이러한 당구는 기원전 400년 무렵 그리스에 당구의 원형(原型)이라 할 옥외 스포츠가 존재했다는 설이 있으나 정확하지는 않다. 현대식 당구의 기원은 14~15세기 영국에서 성행하던 크리켓 경기를 실내경기로 변형했다는 설이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일부에서는 16세기경 프랑스의 왕실 예술가가 지금의 당구와 비슷한 게임을 고안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당구의 발전에는 기구의 발명과 개량이 큰 역할을 했다. 그 중에서도 초크와 큐 끝에 붙이는 탭의 등장은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그 때부터 공에 자유로이 회전을 줄 수 있게 되고 쿠션을 이용하게 되어 밀어치기와 끌어치기, 찍어치기 등 종래에는 생각지도 못했던 고난이도의 기술이 가능해진 것이다. 처음에 당구는 양 끝에 1개씩 포켓이 있는 테이블을 사용해 게임을 했다. 그 뒤에는 포켓이 4개가 되었고, 다시 6개가 되어 오늘날 포켓게임(pocket game)의 모체가 되었다. 포켓이 없는 테이블에서 하는 캐롬게임(carom game)이 생긴 것은 그 후의 일이다.
당구의 기본은 올바른 자세를 몸에 익히는 일이다. 스탠스(발의 위치와 무게중심), 폼(자세), 글립(잡기), 브리지(큐를 받치기 위하여 대는 손 모양), 스트로크(큐를 내미는 동작)를 올바르게 파악하여야 기술이 향상된다.
특히, 당구의 큐 스트로크(cue stroke)는 큐(cue)로 당구공을 쳐내기 위해 큐를 전후로 움직이면서 스윙하는 준비운동으로 정확한 샷을 하기 위해서는 안정된 스트로크가 중요하다.
이러한 당구 연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2000028호(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1928246호(참고문헌 2)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1은 센서 모듈을 이용한 스트로크 자세 정보 수집 및 코칭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스트로크 미션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제1 스트로크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기 스트로크 미션에 상응하는 제2 스트로크 정보를 불러오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로크 정보와 상기 제2 스트로크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로크 정보와 상기 제2 스트로크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트로크 자세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스트로크 자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코칭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참고문헌 2는 당구 게임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당구 게임 시뮬레이터는 수구를 올려놓고 큐로 상기 수구를 스트로크 했을 때 큐의 방향과 속도의 수평성분과 스트로크된 수구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센서 패드부; 상기 수구를 스트로크하기 위한 큐의 방향과 큐 끝의 위치를 설정하는 큐 위치 설정부; 수구, 제1적구, 제2 적구의 시뮬레이션된 움직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수구의 당점 및 수구의 진행 방향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센서 패드부 및 입력부에서 전송되는 수구의 물리 데이터 및 수구, 제1 적구, 제2 적구의 위치를 기반으로 수구의 스트로크에 따른 당구공들의 움직임을 연산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 1은 당구 큐에 설치된 센서 모듈은 당구 큐의 각도, 길이, 방향 및 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구성은 큐를 이용해 당구공(또는 수구)을 타격하는 경우 이동하는 거리, 충격량 등을 산출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스트로크 연습에 충분한 정보 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참고문헌 2는 수구를 올려놓고 큐로 상기 수구를 스트로크 했을 때 큐의 방향과 속도의 수평성분과 스트로크된 수구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센서 패드부를 구비하여 큐로 수구를 스트로크 했을 때 큐의 방향과 속도의 수평성분과 스트로크된 수구의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지만 전체적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연습자가 직접 자신이 실전처럼 스트로크 연습을 할 수 있는 장치도 아니어서 연숩자가 일관된 스트로크 연습을 통한 당구의 감을 익히는데에는 효과적이지 않다.
아울러, 참고문헌 1 및 2는 모두 큐의 스크로크시 큐가 곧게 직선왕복운동을 하는지를 연습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하며 교정할 수 있는 구성 역시 제안되어 있지 않아 연습자(또는 초보자)의 자세 교정에도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2000028호 참고문헌 2: 등록특허 제10-192824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당구 연습자가 큐의 스트로크시 발생하는 큐의 이동거리와 속도를 정확하게 연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당구공에 가해지는 충격량, 공의 이동거리 등의 다양한 물리량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당구 연습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습자가 직접 큐를 전후로 움직이면서 스크로크시 큐가 곧게 직선왕복운동을 하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연습자(또는 초보자)의 자세 교정에 도움을 주는 당구 연습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스트로크 연습을 위한 구성도 간단하면서도 당구공을 직접 타격하지 않고서도 본 장치를 통해 큐와 당구공의 물리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당구 연습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당구용 큐를 스트로크할 수 있는 연습판과, 연습자가 당구용 큐를 스트로크시 큐를 감지하도록 상기 연습판에 설치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큐의 감지신호에서 위치정보로 산출하고 설정된 당구정보를 활용하여 큐 또는 당구공의 물리량을 분석하는 데이터분석수단과, 상기 데이터분석수단에서 분석된 큐 또는 당구공의 물리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연습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습판은 전후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의 베이스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연습판의 전반부에 구비되되 상기 센서부는 연습자가 연습판의 후측에서 전방으로 스트로크시 큐를 감지하는 복수의 큐 감지센서가 연습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등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습판의 전반부 상측에는 이동식 표적판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센서부의 양측에는 상기 센서부를 구성하며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큐 감지센서들과 나란하게 전후방향으로 한쌍의 가이드바가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 사이에는 중앙에 큐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가상의 당구공 역할을 하는 이동식 표적판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습판의 전방 상측에는 이동식 표적판에 대응하며 이동식 표적판과 동일한 구조의 고정식 표지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의 후측에는 연습자가 연습판에서 스트로크시 큐가 정상적으로 직진 운동을 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자형 레이저빔을 출력하는 라인레이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분석수단은 상기 센서부를 감시하고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큐의 위치정보와 설정된 당구정보를 활용하여 큐와 당구공의 물리량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큐와 당구공의 물리량을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를 구성하는 센서간 거리, 큐의 무게, 당구공의 무게, 당구지의 마찰계수, 쿠션의 반발계수를 포함하는 설정된 당구정보가 저장되는 내장메모리를 갖는 마이컴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구성하는 큐 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위치정보로 산출하고 상기 당구정보를 활용하여 큐 및 당구공의 물리량을 산출하고 그래프로 환산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모니터 또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습자가 연습판에서 직접 큐걸이를 하고 큐를 전후로 움직이면서 큐 스트로크(cue stroke) 연습시 발생하는 다양한 물리량을 분석하여 연습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해줌으로서 연습자의 자세교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습자가 연습판에서 직접 큐를 전후로 움직이면서 스크로크 연습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큐가 곧게 직선왕복운동을 하는지 라인레이저의 레이저빔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연습자(또는 초보자)의 자세 교정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 호기심을 유발하여 단순 반복적인 연습의 지루함을 이겨내는데에도 효과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당구 큐의 스트로크 연습을 위한 구성도 간단하면서도 당구공을 직접 타격하지 않고서도 모니터나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장치를 통해 큐와 당구공의 다양한 물리량을 그래프 상태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구 연습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구 연습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구 연습 장치의 일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구 연습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당구 연습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당구 연습 장치는 당구 연습자가 당구 연습을 위해 큐(1)의 스트로크를 하는 경우 발생하는 큐(1)의 이동거리와 속도를 정확하게 연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당구공에 가해지는 충격량, 공의 이동거리 등의 물리량도 분석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장치로서, 당구용 큐(1)를 스트로크할 수 있는 연습판(100)과, 연습자가 당구용 큐(1)를 스트로크시 큐(1)를 감지하도록 상기 연습판(100)에 설치되는 센서부(200)와, 상기 센서부(200)에서 감지되는 큐(1)의 감지신호에서 위치정보로 산출하고 설정된 당구정보를 활용하여 큐와 당구공의 물리량을 분석하는 데이터분석수단(300)과, 상기 데이터분석수단(300)에서 분석된 큐와 당구공의 물리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400)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연습판(100)은 당구 경기 또는 연습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의 베이스판(11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에는 구비되는 당구지(120)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한손으로 큐걸이를 잡는 경우 실제 당구 경기를 하는 것과 같은 감을 잡는데 유리하다.
이때, 상기 베이스판(110)은 석재, 금속,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당구지(120)는 울(wool)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습판(100)의 전반부에는 센서부(200)가 구비되며, 이에 연습자는 연습판(100)의 후반부에 한손을 올려놓고 큐걸이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큐(1)를 잡고 스트로크를 하여 큐를 전후진시킬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연습자가 연습판(100)의 후측에서 전방으로 스트로크시 큐(1)를 감지하는 복수의 큐 감지센서(210)가 연습판(100)의 전후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등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어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큐 감지센서(210)는 큐(1)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로서 예를 들어 50mm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센서부(200)는 설치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큐(1)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센서가 일렬로 배치된 적외선 센서 어레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감지센서를 적용할 수 있고 각 센서들의 배치 간격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연습판(100)의 전반부 상측에는 이동식 표적판(130)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센서부(200)의 양측에는 상기 센서부(200)를 구성하며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큐 감지센서(210)들과 나란하게 전후방향으로 한쌍의 가이드바(140)가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140) 사이에는 중앙에 큐(1)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132)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가상의 당구공 역할을 하는 이동식 표적판(130)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140)는 연습판(100) 상면에 고정되는 전방 및 후방 고정브라켓(141,142)에 의해 전단 및 후단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식 표적판(130)은 가상의 당구공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식 표적판(130)을 당구공으로 가정하여 당구공의 중심을 타격하는 연습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당구공의 중심에 해당하는 관통공(132)이 이동식 표적판(130)의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140)가 관통하는 가이드공(133)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연습판(100)의 전방 상측에는 이동식 표적판(130)에 대응하며 이동식 표적판(130)과 동일한 구조의 고정식 표지판(150)이 구비되어 연습자가 고정식 표지판(150)의 관통공(152)을 응시하며 큐(1)의 진행방향을 가늠할 수 있으며 큐(1) 끝단이 직접적으로 고정식 표지판(150)에 직접 타격을 가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200)의 후측에는 상기 센서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일자형 레이저빔을 출력하는 라인레이저(500)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는 연습자가 연습판(100)에서 스트로크시 큐(1)가 정상적으로 직진 운동을 하는지를 일자형 레이저빔을 보며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연습자의 시선은 상기 연습판(100)의 후측 상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라인레이저(500)를 상기 연습판(100) 표면에 근접하게 설치하는 경우 정상적인 스트로크시 큐(1)가 일자형 레이저빔을 가리게 되면 정상적으로 직진 운동을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인레이저(150)를 상기 연습판(100) 표면에서 이격되게 상측에 설치하는 경우 정상적인 스트로크시 큐(1)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자형 레이저빔이 표시되면 정상적으로 직진 운동을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연습자가 라인레이저(500)에서 일직선 형태의 일자형 레이저빔을 통해 직관적(直觀的)으로 큐의 직진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스트로크 연습에 매우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데이터분석수단(300)은 상기 센서부(200)에서 감지되는 큐(1)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위치정보로 산출하고 설정된 당구정보를 활용하여 큐와 당구공의 물리량을 분석한다.
이때, 상기 설정된 당구정보는 센서부(200)를 구성하는 센서간 거리, 큐의 무게, 당구공의 무게, 당구지의 마찰계수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분석수단(300)은 센서부(200)에서 감지되는 위치정보와 당구정보 중 센서간 거리, 큐의 무게를 조합하여 큐의 진행 속도(예를 들어 등속, 가속), 이동거리, 충격량, 운동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설정된 당구정보 중에 당구공의 무게, 당구지의 마찰계수, 쿠션의 반발계수 등을 이용해 큐의 운동량이 동일하게 가해지는 당구공의 이동거리, 경로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분석수단(300)은 상기 센서부(200)를 감시하고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200)에서 감지되는 큐(1)의 위치정보와 설정된 당구정보를 활용하여 큐와 당구공의 물리량을 산출하는 제어부(310)와, 상기 제어부(310)에서 산출된 큐와 당구공의 물리량을 디스플레이수단(400)으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10)는 구동시에 라인레이저(500)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구동스위치(330)를 켜서 전원부(34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센서부(200)를 감시함은 물론 상기 라인레이저(500)를 구동시켜 상기 센서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일자형 레이저빔을 출력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라인레이저(500)는 독립구동방식으로 별도의 건전지 등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함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어부(310)는 내장메모리를 갖는 마이컴으로 구성하여 설정된 당구정보인 센서부(200)를 구성하는 센서간 거리, 큐의 무게, 당구공의 무게, 당구지의 마찰계수, 쿠션의 반발계수 등을 저장한다.
이에 상기 제어부(310)는 복수의 큐 감지센서(21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어느 위치에서 감지되었는지 확인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큐가 직진중에는 후단의 큐 감지센서(210)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큐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이때, 큐 감지센서(21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인접 센서간의 검출시간 역시 추출할 수 있으며, 이들 위치정보와 검출시간을 조합하여 인접 센서들 사이를 직진하는 큐의 구간별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큐의 구간별 속도를 산출하면 구간별 속도가 동일하면 등속운동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속도에 변화량이 존재하면 구간별 속도차를 시간차로 나누어 큐의 가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속도와 가속도 정보를 산출한 후 큐의 질량값을 고려하여 큐의 운동량 및 충격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큐의 운동량이 완전하게 당구공에 가해진다고 가정하여 당구공의 초기속도를 구할 수 있으며, 당구지의 마찰계수 및 당구대 테두리의 쿠션 반발계수 등을 고려하여 이동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10)는 복수의 큐 감지센서(21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어느 위치에서 감지되었는지 확인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게 되며, 이러한 위치정보와 감지시간을 이용해 큐의 이동거리 및 속도를 산출하고, 큐의 무게를 고려하여 운동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당구공의 무게, 당구지의 마찰계수, 쿠션의 반발계수 등을 이용해 큐의 운동량이 동일하게 가해지는 당구공의 이동거리, 경로 등을 쉽게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큐 및 당구공에 관한 다양한 물리량 산출방식은 이상적인 상태에 따른 것이고 다양한 변수 및 오차를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바(140)를 따라 연습판(100) 상면에서 이동식 표적판(130)을 특정한 위치에 지지한 상태를 유지하면 제어부(310)는 설정시간(예를 들어 5초)이 경과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특정 큐 감지센서(210)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당구공의 초기 위치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큐 감지센서(210)의 후방에 위치하는 큐 감지센서(210)의 감지신호만 반영하고, 해당 큐 감지센서(210)의 전방에 위치하는 큐 감지센서(210)의 감지신호는 미반영할 수 있다. 이는 실제 큐가 당구공을 가격하는 시점에서는 큐(1)가 직진 운동을 하는 상태로서 큐의 속도가 '0'이 아닌 양(+)의 값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가상의 당구공 위치를 고려함으로써 좀더 정확한 큐와 당구공의 물리량 산출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데이터분석수단(300)은 산출된 큐와 당구공의 물리량은 수치로 산출된 것으로서 이를 그래프로 환산하여 출력하며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디스플레이수단(400)으로 전송되어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수단(400)은 LED, LCD 모니터와 같은 통상의 모니터(41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400)은 개인휴대 단말기인 스마트폰(420)일 수 있다. 이경우 상기 데이터분석수단(300)에 상기 스마트폰(420)을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지만, 상기 데이터분석수단(300)의 인터페이스부(320)를 블루투스모듈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420)과 무선으로 연결하여 큐와 당구공의 물리량을 스마트폰(420)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마트폰(420)에는 큐와 당구공의 물리량을 표시할 수 있는 구동앱이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아울러, 상기 데이터분석수단(300)은 단순히 센서부(200)로부터 감지신호만을 입력받고 이를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출력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에 설정된 당구정보인 센서부(200)를 구성하는 센서간 거리, 큐의 무게, 당구공의 무게, 당구지의 마찰계수, 쿠션의 반발계수를 저장하여 구동앱을 구동하여 큐와 당구공의 물리량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정도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당구 연습 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우선 당구 연습자가 연습판(100)의 상부 전반부에 구비되는 이동식 표적판(130)을 가이드바(140)를 따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데이터분석수단(300)의 구동스위치(330)를 켜서 전원부(34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310)는 복수의 큐 감지센서(210)를 감시하고 라인레이저(500)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습자가 연습판(100)의 후반부에 한손을 올려놓고 큐걸이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큐(1)를 잡고 스트로크를 하여 큐를 전후진시키면서 연습을 하면서 연습자가 라인레이저(500)에서 일직선 형태의 일자형 레이저빔을 통해 직관적(直觀的)으로 큐의 직진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데이터분석수단(300)의 제어부(310)는 센서부(200)에서 감지되는 큐(1)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설정된 센서부(200)를 구성하는 센서간 거리, 큐의 무게, 당구공의 무게, 당구지의 마찰계수, 쿠션의 반발계수 등의 당구설정정보를 활용하여 큐의 진행 속도(예를 들어 등속, 가속), 이동거리, 충격량, 운동량은 물론 당구공의 이동거리 등의 각종 물리량을 분석하고 그래프화한다.
이와 같이 그래프화된 큐 및 당구공에 관한 물리량은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는 모니터(410) 또는 스마트폰(420) 등의 디스플레이수단(400)으로 표시하여 연습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당구 연습자가 큐(1)의 스트로크시 발생하는 큐(1)의 이동거리와 속도를 정확하게 연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당구공에 가해지는 운동량이나 충격량, 당구공의 이동거리 등을 분석하여 표시함으로써 올바른 자세로 당구 연습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큐 100: 연습판
110: 베이스판 120: 당구지
130: 이동식 표적판 140: 가이드바
150: 고정식 표지판 200: 센서부
210: 큐 감지센서 300: 데이터분석수단
310: 제어부 320: 인터페이스부
330: 구동스위치 340: 전원부
400: 디스플레이수단 410: 모니터
420: 스마트폰 500: 라인레이저

Claims (8)

  1. 당구용 큐를 스트로크할 수 있는 연습판과, 연습자가 당구용 큐를 스트로크시 큐를 감지하도록 상기 연습판에 설치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큐의 감지신호에서 위치정보로 산출하고 설정된 당구정보를 활용하여 큐 또는 당구공의 물리량을 분석하는 데이터분석수단과, 상기 데이터분석수단에서 분석된 큐 또는 당구공의 물리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데이터분석수단은 상기 센서부를 감시하고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큐의 위치정보와 설정된 당구정보를 활용하여 큐와 당구공의 물리량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큐와 당구공의 물리량을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연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습판은 전후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의 베이스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연습판의 전반부에 구비되되 상기 센서부는 연습자가 연습판의 후측에서 전방으로 스트로크시 큐를 감지하는 복수의 큐 감지센서가 연습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등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연습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습판의 전반부 상측에는 이동식 표적판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센서부의 양측에는 상기 센서부를 구성하며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큐 감지센서들과 나란하게 전후방향으로 한쌍의 가이드바가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 사이에는 중앙에 큐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가상의 당구공 역할을 하는 이동식 표적판이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연습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습판의 전방 상측에는 이동식 표적판에 대응하며 이동식 표적판과 동일한 구조의 고정식 표지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연습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후측에는 연습자가 연습판에서 스트로크시 큐가 정상적으로 직진 운동을 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자형 레이저빔을 출력하는 라인레이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연습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를 구성하는 센서간 거리, 큐의 무게, 당구공의 무게, 당구지의 마찰계수, 쿠션의 반발계수를 포함하는 설정된 당구정보가 저장되는 내장메모리를 갖는 마이컴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구성하는 큐 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위치정보로 산출하고 상기 당구정보를 활용하여 큐 및 당구공의 물리량을 산출하고 그래프로 환산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연습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모니터 또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연습 장치.
KR1020200107500A 2020-08-26 2020-08-26 당구 연습 장치 KR102296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500A KR102296431B1 (ko) 2020-08-26 2020-08-26 당구 연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500A KR102296431B1 (ko) 2020-08-26 2020-08-26 당구 연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431B1 true KR102296431B1 (ko) 2021-09-01

Family

ID=7777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500A KR102296431B1 (ko) 2020-08-26 2020-08-26 당구 연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4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657A (ko) * 1998-09-07 1998-12-05 남철 교습용 당구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00028A (ko) 1999-04-29 2000-01-15 류승열 다용도컨트롤박스
KR101928246B1 (ko) 2018-08-17 2018-12-11 류연식 당구 게임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657A (ko) * 1998-09-07 1998-12-05 남철 교습용 당구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00028A (ko) 1999-04-29 2000-01-15 류승열 다용도컨트롤박스
KR101928246B1 (ko) 2018-08-17 2018-12-11 류연식 당구 게임 시뮬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4482B1 (en) Putt sensor training device
US5221243A (en) Para-peripheral sports training center
US20100130329A1 (en) Automated Striking And Blocking Trainer With Quantitative Feedback
CN109789327A (zh) 草痕检测高尔夫挥杆垫
JP2008512165A (ja) ゴルフトレーニング装置
US20130172129A1 (en) Swing Training Device and System
CN112121385B (zh) 一种冰球训练装置及评价系统
KR101263699B1 (ko) 권투 연습장치
WO2008129248A1 (en) Interactive fighting apparatus
KR20200103395A (ko) 골프공 위치 조정 시스템 및 방법
CN106039672A (zh) 羽毛球训练反应测试仪
KR102296431B1 (ko) 당구 연습 장치
US8439767B2 (en) Adjustable pendulum golf putting trainer
KR101827543B1 (ko) 배드민턴용 체력검사 및 훈련장치
KR101950243B1 (ko)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체험을 제공하는 골프연습장치
KR20180085843A (ko) 스윙 자세의 교정과 게임이 가능한 스윙 분석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US11844994B2 (en) Stick handling training device
KR0129095B1 (ko) 골프스윙분석기
KR102603884B1 (ko) 당구볼의 두께 타격 연습장치
CN211935487U (zh) 精准高尔夫推杆测评训练系统
KR200444780Y1 (ko) 에버리지 측정기
CN210051520U (zh) 一种台球杆性能检测平台
KR101282048B1 (ko) 퍼팅 연습기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654846B1 (ko)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는 기능이 포함된 게임장치와 연습장치 및 그 분석방법
KR200278786Y1 (ko) 휴대형 골프스윙 분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