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273B1 - Bind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forming a vehicle body - Google Patents

Bind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forming a vehicle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273B1
KR102296273B1 KR1020200001175A KR20200001175A KR102296273B1 KR 102296273 B1 KR102296273 B1 KR 102296273B1 KR 1020200001175 A KR1020200001175 A KR 1020200001175A KR 20200001175 A KR20200001175 A KR 20200001175A KR 102296273 B1 KR102296273 B1 KR 102296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sub
fastening
aluminum profil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1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8091A (en
Inventor
오성근
Original Assignee
(주)동양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정공 filed Critical (주)동양정공
Priority to KR1020200001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273B1/en
Publication of KR2021008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0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2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체를 이루는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간의 결속 구조는, 상기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중 상기 결속 구조의 중심을 구성하는 메인 프로파일; 상기 메인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양측 또는 일측 상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결속하는 서브 프로파일; 상기 메인 프로파일과 서브 프로파일의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 브라켓; 및 상기 메인 프로파일과 체결 브라켓을 체결하거나 상기 서브 프로파일과 체결 브라켓을 체결하는 기능을 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브라켓은 상기 메인 프로파일 상에 형성된 슬립 방지구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프로파일의 끝단 상에 결합되는 형상을 갖고, 이를 통해 상기 메인 프로파일과 서브 프로파일을 결합하는 경우에 결합 위치의 변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ind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constituting a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profile constituting a center of the binding structure among the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a sub-profile for binding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sides or one side based on the main profile; a fastening bracket disposed between the main profile and the sub-profile; and coupling means for fastening the main profile and the fastening bracket or fastening the sub-profile and the fastening bracket, wherein the fastening bracket is seated on the slip prevention device formed on the main profile. It has a shape coupled to the end of the profile, and through th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nge of the coupling position is prevented when the main profile and the sub-profile are coupled.

Description

차량 차체를 이루는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간의 결속 구조{Bind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forming a vehicle body}Bind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forming a vehicle body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를 이루는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을 결속하는 코너 브라켓을 통하여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간의 결합부 상에서 항복 강도를 증가하는 것과 동시에 인장 강도를 증가하게 하는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that increases the tensile strength while increasing the yield strength on a joint portion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through a corner bracket that binds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constituting the body of a vehicle.

대표적인 교통수단인 자동차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공해문제가 심각해지자 자동차가 공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연비향상 및 엔진 효율의 향상, 그리고 차체설계기술 개발 등과 같은 연구과제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자동차의 경량화이며 이와 직결되는 결과가 연비 절감과 배기가스 규제 대응이다.As automobiles, a representative means of transportation, become widespread and pollution problems become more serious, research tasks such as fuel efficiency improvement, engine efficiency improvement, and body design technology development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as part of efforts to minimize the impact of automobiles on pollution. have. Among them, the weight reduction of automobiles occupies the largest part, and the result directly related to this is fuel efficiency reduction and response to exhaust gas regulations.

세계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화석연료 고갈 및 기후변화 협약 등의 환경 규제 심화에 따른 친환경 자동차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 자동차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5%로 온실가스 배출억제를 위한 자동차 분야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선진국 중심 자동차 연비규제를 강화하고 있다.In the global automobile industry, as the need for eco-friendly vehicles increases due to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and the deepening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such as climate change agreements, global automobile greenhouse gas emissions account for 25% of the global automobile industry, and regulations in the automobile sector are being strengthened to suppress greenhouse gas emissions. , the automobile fuel efficiency regulations are being strengthened mainly in developed countries.

국내 자동차 및 부품회사가 내수시장 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에 대처해야 할 가장 큰 문제점이 각국의 자동차 관련 환경법규를 만족해야만 하는 것이며 환경 법규를 만족하기 위한 역으로 자동차 경량화 기술의 체계적으로 구축 및 초경량 차체 및 초저연비 차량 개발이야말로 이를 대처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대처방안이다.The biggest problem that domestic automobile and parts companies have to deal with not only in the domestic market but also in the overseas market is that they have to satisfy the automobile-related environmental laws of each country. And the development of ultra-low fuel economy vehicles is the most effective countermeasure to deal with this.

한편, 경량 소재의 특성에 따라 자동차에 적용하는 것은 제한적이며, 스틸 대비 높은 비용으로 인하여 경량 소재 적용이 제한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 비강도가 우수하고 비용 면에서 타 경량화 소재 대비 저렴하며, 다양한 형상 구현이 용이한 점으로 점차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pplication to automobiles is limi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 materials, and the application of lightweight materials is limited due to high cost compared to steel. , the use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the fact that it is easy to implement various shapes.

경량화 외에도 엔진 등 주요부품의 수명증가를 통해 구조부품의 수명 증가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통해 내식성이 강한 알루미늄 소재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to weight reduction, an increase in the lifespan of structural parts is required by increasing the lifespan of major parts such as engines, and through this, the application of aluminum materials with strong corrosion resistance is increasing.

기존의 버스 바디 프레임을 스틸에서 알루미늄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해외 수요처 요구사항 및 수출형 버스의 제품 경쟁력 강화를 위해 경량화 및 내식성이 강한 알루미늄 소재로 바디 프레임을 개량하는 과정에서, 알루미늄 버스의 바디 프레임 개발 시 경량화 소재 적용으로 인하여 버스 구조의 안전성 확보가 동반되어야 한다. In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body frame with lightweight and corrosion-resistant aluminum material to strengthen the product competitiveness of export-type buses and the requirements of overseas customers to convert the existing bus body frame from steel to aluminum, lightening when developing the body frame of an aluminum bus The safety of the bus structure must be secured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material.

여기에서, 차체의 구조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 프레임의 강건 설계가 필수적이며, 알루미늄 소재 특성으로 인하여 취약점과 프레임별 체결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Here, a robust design of the frame is essential to secur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car body, and research on weaknesses and fastening methods for each frame is ongoing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uminum material.

특히,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 간 연결 방식 개선을 통해 구조적 강성을 강화하는 것과 동시에 결합 과정의 편리성을 향상하는 방안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된다.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methods for enhancing structural rigidity and simultaneous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bonding process by improving the connection method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is highlight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8469호 및 공개특허 제10-2012-0000363호 등은 기존 버스 차체는 스틸로 제작되어 제조공정이 복잡하며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버스 자체의 외관을 이루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형상 구현을 가능하게 하여 경량화된 버스 차체를 구현하는 내용 및 복수의 지주를 일체 연결방식을 통해 지주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며 조립식 골조를 채택하여 해체/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98469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00363, etc., are aluminum extruded materials forming the exterior of the bus itself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that the existing bus body is made of steel,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low. We propose a method of distributing the load acting on the posts through the integral connection method of multiple posts and dispersing the load applied to the posts, and facilitating dismantling/repairing by adopting a prefabricated frame.

(특허문헌 1) KR 10-1198469 B(Patent Document 1) KR 10-1198469 B

(특허문헌 2) KR 10-2012-0000363 A(Patent Document 2) KR 10-2012-0000363 A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를 이루는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을 결속하는 코너 브라켓을 통하여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결합부 상의 항복 강도를 증가하는 것과 동시에 인장 강도를 증가하게 하는 결합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pling method that increases the tensile strength while increasing the yield strength on the coupling portion of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through a corner bracket that binds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constituting the body of a vehic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체를 이루는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간의 결속 구조는, 상기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중 상기 결속 구조의 중심을 구성하는 메인 프로파일; 상기 메인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양측 또는 일측 상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결속하는 서브 프로파일; 상기 메인 프로파일과 서브 프로파일의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 브라켓; 및 상기 메인 프로파일과 체결 브라켓을 체결하거나 상기 서브 프로파일과 체결 브라켓을 체결하는 기능을 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브라켓은 상기 메인 프로파일 상에 형성된 슬립 방지구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프로파일의 끝단 상에 결합되는 형상을 갖고, 이를 통해 상기 메인 프로파일과 서브 프로파일을 결합하는 경우에 결합 위치의 변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ind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constituting a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ain profile constituting a center of the binding structure among the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a sub-profile for binding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sides or one side based on the main profile; a fastening bracket disposed between the main profile and the sub-profile; and coupling means for fastening the main profile and the fastening bracket or fastening the sub-profile and the fastening bracket, wherein the fastening bracket is seated on the slip prevention device formed on the main profile. It has a shape coupled to the end of the profile, and through th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nge of the coupling position is prevented when the main profile and the sub-profile are coupled.

상기 체결 브라켓은, 상기 슬립 방지구에 부합하는 길이를 갖는 브라켓 플레이트,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서브 프로파일의 체결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측 상에 배치되어 상기 서브 프로파일의 내측 상에 접촉되는 구조를 갖는 보강 돌기를 포함한다.The fastening bracket includes a bracket plat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lip prevention device, a pair of guide plates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bracket plate to guide the fastening of the sub-profile, and on the inner side of the pair of guide plates and a reinforcing protrusion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sub-profile and having a structure in contact with it.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 및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끝단은 절곡 형성된다.The ends of the bracket plate and the pair of guide plates are bent.

상기 보강 돌기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비해 짧게 형성된다.The reinforcing protrusion is shorter than the pair of guide plates.

상기 결합 수단은,The coupling means is

상기 메인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브라켓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체결하는 제1 결합체 및 상기 서브 프로파일과 가이드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체결하는 제2 결합체를 포함한다.It includes a first coupling body for fastening through a pair of bracket plates disposed on both sides based on the main profile and a second coupling body for fastening through the sub-profile and the guide pla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간의 결속 구조는 코너 브라켓을 통하여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을 결속함으로써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결합부 상의 항복 강도 및 인장 강도를 증가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inding structure between the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yield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on the aluminum profiles joint portion by binding the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through the corner bracke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체를 이루는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간의 전체적인 결속 구조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을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 구조를 이루는 메인 프로파일과 서브 프로파일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결속 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을 보인다.
도 4는 메인 프로파일과 서브 프로파일을 결속하는 체결 브라켓을 보인다.
도 5는 메인 프로파일과 서브 프로파일을 결속하는 기능을 하는 체결 브라켓이 보이도록 결속 구조의 투영된 상태를 보인다.
1 is a view showing an overall bind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constituting a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one direction.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main profile and the sub-profile constituting the bin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3 is a view showing the binding structure according to FIG. 2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4 shows a fastening bracket for binding the main profile and the sub-profile.
Figure 5 shows the projected state of the binding structure so that the fastening bracket having a function of binding the main profile and the sub-profile is vi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provided for complete disclosure.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차체를 이루는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간의 결속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골조 프레임을 이루는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간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동차를 제외한 다른 운송장치 및 구조물 등에 응용하여 적용 가능할 수 있다.Hereinafter, a bind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constituting a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luminum profiles constituting an automobile frame fra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other transport devices and structures other than automobiles.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은 결속 구조의 중심을 구성하는 메인 프로파일(110) 및 메인 프로파일(110)을 기준으로 양측 또는 일측 상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결속하는 서브 프로파일(120)을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include a main profile 110 constituting the center of the binding structure and a sub-profile 120 that is bound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sides or one side based on the main profile 110 .

메인 프로파일(110)은 속이 빈 중공 형태인 긴 관재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구조로 이루어진 한쌍의 외측 판넬(111) 및 한쌍의 외측 판넬(111) 내부 간을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이격된 한쌍의 내부 판넬(115)을 갖는다. 한쌍의 외측 판넬(111)과 한쌍의 내부 판넬(115)로 이루어진 공간을 통해 프로파일의 무게를 경량화하는 것과 동시에 강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갖게 한다. 외측 판넬(111)의 양측은 내부 판넬(115)의 외측 영역 상에서 한쌍의 외측 판넬(111)의 내부 방향을 따라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즉, 한쌍의 외측 판넬(111)의 내부 공간은 내부 판넬(115) 사이의 공간인 완충 챔버(118) 및 완충 챔버의 양측 상에 배치되는 결합 챔버(119)로 구분한다.The main profile 110 has a long tube shape that is hollow and hollow. Specifically, it has a pair of outer panels 111 having a structure fac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air of spaced apart inner panels 115 having a structure connecting the insides of the pair of outer panels 111 . Through the space made up of a pair of outer panels 111 and a pair of inner panels 115, the profile has a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weight and increasing rigidity at the same time. Both sides of the outer panel 111 have a shape bent along the inner direction of the pair of outer panels 111 on the outer region of the inner panel 115 . That is, the inner space of the pair of outer panels 111 is divided into a buffer chamber 118 that is a space between the inner panels 115 and a coupling chamber 119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uffer chamber.

서브 프로파일(120)도 속이 빈 중공 형태인 긴 관재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구조로 이루어진 한쌍의 외측 판넬(121) 및 한쌍의 외측 판넬(121) 내부 간을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이격된 한쌍의 내부 판넬(125)을 갖는다. 한쌍의 외측 판넬(121)과 한쌍의 내부 판넬(125)로 이루어진 공간을 통해 프로파일의 무게를 경량화하는 것과 동시에 강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갖게 한다. 외측 판넬(1121)의 양측은 내부 판넬(125)의 외측 영역 상에서 한쌍의 외측 판넬(121)의 내부 방향을 따라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즉, 한쌍의 외측 판넬(121)의 내부 공간은 내부 판넬(125) 사이의 공간인 완충 챔버(128) 및 완충 챔버의 양측 상에 배치되는 결합 챔버(129)로 구분한다.The sub-profile 120 also has a long tube shape with a hollow hollow shape. Specifically, it has a pair of outer panels 121 fac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air of spaced apart inner panels 125 having a structure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pair of outer panels 121 to each other. Through the space made up of a pair of outer panels 121 and a pair of inner panels 125, the profile has a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weight and increasing rigidity at the same time. Both sides of the outer panel 1121 have a shape bent along the inner direction of the pair of outer panels 121 on the outer region of the inner panel 125 . That is, the inner space of the pair of outer panels 121 is divided into a buffer chamber 128 that is a space between the inner panels 125 and a coupling chamber 129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uffer chamber.

메인 프로파일(110)과 서브 프로파일(12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메인 프로파일(110)과 서브 프로파일(120)을 결속하는 기능을 하는 체결 브라켓(130)이 제공된다.A fastening bracket 130 having a function of binding the main profile 110 and the sub-profile 120 in a state disposed between the main profile 110 and the sub-profile 120 is provided.

상기 체결 브라켓(130)은 메인 프로파일 상에 형성된 슬립 방지구(A)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프로파일의 끝단 상에 결합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 프로파일과 서브 프로파일을 결합하는 경우에 결합 위치의 변경을 방지한다.The fastening bracket 130 has a shape coupled to the end of the sub-profile while seated on the anti-slip device A formed on the main profile. Through this, when the main profile and the sub-profile are combined, a change in the coupling position is prevented.

슬립 방지구(A)는 외측 판넬(111)의 양측 상에 형성된 결합 챔버(119)에서 외측 판넬(111) 끝단의 절곡 부분 중 일부 영역을 절단한 상태로 형성된 구조이다. 즉, 메인 프로파일(110)의 측면을 통해 서브 프로파일(120) 끝단 삽입 및 결속을 가능하기 위해서 결합 챔버(119) 중 일부 공간 상에 진입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한 것이다.The anti-slip tool (A) has a structure formed in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bent portion of the end of the outer panel 111 is cut in the coupling chamber 119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panel 111 . That is, the sub-profile 120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profile 110 to enable insertion and binding of the end of the coupling chamber 119 in order to form a structure that can enter into the space.

체결 브라켓(130)은, 슬립 방지구에 부합하는 길이를 갖는 브라켓 플레이트(131), 브라켓 플레이트(131)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서브 프로파일의 체결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33) 및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33)의 내측 상에 배치되어 서브 프로파일(120)의 내측 상에 접촉되는 구조를 갖는 보강 돌기(135)를 포함한다.The fastening bracket 130 includes a bracket plate 131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lip prevention device, a pair of guide plates 133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bracket plate 131 to guide the fastening of the sub-profile, and a pair of It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guide plate 133 and includes a reinforcing protrusion 135 having a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sub-profile (120).

브라켓 플레이트(131)와 가이드 플레이트(133)는 각각 그 끝단이 절곡 형성된다. 브라켓 플레이트(131)의 양 끝단은 슬립 방지구의 양측 상에 대응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33)의 양 끝단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Each of the bracket plate 131 and the guide plate 133 has bent ends. Both ends of the bracket plate 131 are bent to correspond to both sides of the slip prevention device, and both ends of the pair of guide plates 133 are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한편, 서브 프로파일(120)을 이루는 외측 판넬(121)의 양측 끝단의 절곡부는 소정 거리 절단한 상태로 형성된다(도 2의 도면 부호 B 참조) 즉, 서브 프로파일(120)을 메인 프로파일(11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33)의 상하단을 통해 외측 판넬(121)의 진입을 가능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bent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outer panel 121 constituting the sub-profile 120 are formed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distance is cut (refer to reference numeral B in FIG. 2 ), that is, the sub-profile 120 is divided into the main profile 110 ). In the process of coupling to the , it enables the entry of the outer panel 121 throug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uide plate 133 .

상기 보강 돌기(135)는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33)에 비해 짧게 형성된다.The reinforcing protrusion 135 is shorter than the pair of guide plates 133 .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33)의 내측 상에 서브 프로파일(120)을 이루는 한쌍의 내부 판넬(125)이 위치하는 것과 동시에 한쌍의 보강 돌기(135)의 외측 상에 한쌍의 내부 판넬(125)의 외면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A pair of inner panels 125 constituting the sub-profile 120 are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pair of guide plates 133 , and at the same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inner panels 125 on the outside of the pair of reinforcing protrusions 135 . This positioning enables stable bonding.

메인 프로파일과 체결 브라켓을 체결하거나 서브 프로파일과 체결 브라켓을 체결하는 기능을 하는 결합 수단(140)을 포함한다.It includes a coupling means 140 for fastening the main profile and the fastening bracket or fastening the sub-profile and the fastening bracket.

상기 결합 수단(140)은, 메인 프로파일(110)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브라켓 플레이트(131)를 관통하여 체결하는 제1 결합체(141) 및 서브 프로파일(120)과 가이드 플레이트(133)를 관통하여 체결하는 제2 결합체(146)를 포함한다.The coupling means 140 includes a first coupling body 141 and a sub-profile 120 and a guide plate 133 that penetrate and fasten a pair of bracket plates 131 disposed on both sides based on the main profile 110 . and a second coupling body 146 fastened therethrough.

제1 결합체(141)는 메인 프로파일(110)을 구성하는 한쌍의 내부 판넬(115) 및 한쌍의 내부 판넬(115)의 외측 상에 배치되는 브라켓 플레이트를 관통 체결한다. The first coupling body 141 penetrates and fastens the bracket plat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pair of inner panels 115 and the pair of inner panels 115 constituting the main profile 110 .

제2 결합체(146)는 서브 프로파일(120)을 구성하는 내부 판넬 및 내부 판넬의 외측 상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관통 체결한다.The second assembly 146 penetrates through the inner panel constituting the sub-profile 120 and the guide plate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panel.

본 발명은 메인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립 방지구에 요동 없이 설치되는 브라켓 플레이트 및 서브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 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통해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유지한다. 즉, 메인 프로파일과 서브 프로파일을 이루는 내부 공간 상에 체결 브라켓을 삽입 가능한 상태로 배치하는 방안을 통해 공간적인 활용도를 높이는 것과 동시에 체결 강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stable coupling structure through a bracket plate installed without oscillation in a slip prevention devic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profile and a guide plat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racket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profile. . That is, through a method of arranging the fastening bracket in an insertable state on the inner space forming the main profile and the sub-profile, it is improved in a direction to increase spatial utilization and at the same time to increase fastening strength.

본 발명은 기존의 체결 구조에 비해 인장 강도 및 항복 강도를 개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le strength and yield strength ar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astening structure.

기존에는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의 결합 부위의 외측 상에 삼각 브라켓 형상으로 돌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형상을 갖는다.Conventionally, it has a shape having a structure protrudingly coupled to a triangular bracket shape on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인장 강도 및 항복 강도가 각각 230 MPa 및 170MPa을 갖지만, 본 발명의 인장 강도 및 항복 강도는 각각 290 MPa 및 240MPa을 갖는바, 인장 강도 및 항복 강도는 각각 최소 26% 및 41%의 향상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ventional tensile strength and yield strength are 230 MPa and 170 MPa, respectively, but the tensile strength and yield strength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290 MPa and 240 MPa, respectively. The tensile strength and yield strength are at least 26% and 41, respectively. % improvement can be see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간의 결속 구조는 코너 브라켓을 통하여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을 결속함으로써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결합부 상의 항복 강도 및 인장 강도를 증가하게 한다.The binding structure between the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creases the yield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on the aluminum profiles joint portion by binding the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through the corner bracket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차량 차체를 이루는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간의 결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중 상기 결속 구조의 중심을 구성하는 메인 프로파일;
상기 메인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양측 또는 일측 상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결속하는 서브 프로파일;
상기 메인 프로파일과 서브 프로파일의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 브라켓; 및
상기 메인 프로파일과 체결 브라켓을 체결하거나 상기 서브 프로파일과 체결 브라켓을 체결하는 기능을 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브라켓은 상기 메인 프로파일 상에 형성된 슬립 방지구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프로파일의 끝단 상에 결합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체결 브라켓은, 상기 슬립 방지구에 부합하는 길이를 갖는 브라켓 플레이트,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서브 프로파일의 체결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측 상에 배치되어 상기 서브 프로파일의 내측 상에 접촉되는 구조를 갖는 보강 돌기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상기 메인 프로파일과 서브 프로파일을 결합하는 경우에 결합 위치의 변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차체를 이루는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간의 결속 구조.
In the binding structure between the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constituting the vehicle body,
a main profile constituting a center of the binding structure among the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a sub-profile for binding along a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sides or one side based on the main profile;
a fastening bracket disposed between the main profile and the sub-profile; and
Including a; coupling means for fastening the main profile and the fastening bracket or fastening the sub-profile and the fastening bracket;
The fastening bracket has a shape coupled to the end of the sub-profile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anti-slip sphere formed on the main profile,
The fastening bracket includes a bracket plat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lip prevention device, a pair of guide plates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bracket plate to guide the fastening of the sub-profile, and on the inner side of the pair of guide plates It is disposed and includes a reinforcing protrusion having a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sub-profile,
Through th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combining the main profile and the sub-profile to prevent a change in the coupling position,
A bond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constituting a vehicle body.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 및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끝단은 절곡 형성되는,
차량 차체를 이루는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간의 결속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ends of the bracket plate and the pair of guide plates are formed by bending,
A bond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constituting a vehicl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돌기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비해 짧게 형성되는,
차량 차체를 이루는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간의 결속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reinforcing protrusion is formed shorter than the pair of guide plates,
A bond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constituting a vehicl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메인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브라켓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체결하는 제1 결합체 및
상기 서브 프로파일과 가이드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체결하는 제2 결합체를 포함하는,
차량 차체를 이루는 복수의 알루미늄 프로파일들 간의 결속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means is
a first assembly for fastening through a pair of bracket plates disposed on both sides based on the main profile; and
Containing a second coupling body fastened through the sub-profile and the guide plate,
A bond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constituting a vehicle body.
KR1020200001175A 2020-01-06 2020-01-06 Bind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forming a vehicle body KR1022962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175A KR102296273B1 (en) 2020-01-06 2020-01-06 Bind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forming a vehicle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175A KR102296273B1 (en) 2020-01-06 2020-01-06 Bind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forming a vehicle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091A KR20210088091A (en) 2021-07-14
KR102296273B1 true KR102296273B1 (en) 2021-09-01

Family

ID=7686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175A KR102296273B1 (en) 2020-01-06 2020-01-06 Bind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forming a vehicle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27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7966A (en) * 2000-06-08 2001-12-18 Toyota Motor Corp Floor under body structur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7966A (en) * 2000-06-08 2001-12-18 Toyota Motor Corp Floor under body structur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091A (en)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2738B2 (en) Structure for connecting wheel house panel to rear floor of vehicle
WO2015029646A1 (en) Framework structure for vehicle
JP4844065B2 (en) Body structure
US20220363318A1 (en) A vehicle side structure
US9573628B2 (en) Vehicle body with structural component
JP5598596B2 (en) Front body structure
US8827355B2 (en) Vehicle body structure
JP6414298B1 (en) Body structure
KR102296273B1 (en) Binding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aluminum profiles forming a vehicle body
JP5686586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in automobile body frame
JPH08324454A (en) Frame structure of automobile body
US8851538B2 (en) Bumper rail for vehicle
US11492045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KR20200065416A (en) Battery case
US20220219763A1 (en) Tunnel having integrated lateral reinforcements
CN107487361B (en) Automobile rear longitudinal beam, rear row seat mounting structure and automobile
US20240140534A1 (en) Side Sill Reinforcement Structure of Vehicle
CN217864012U (en) Anticollision roof beam mounting panel and have its anticollision roof beam subassembly, vehicle
JP2013071532A (en) Skeleton member constituting vehicle body of automobile
KR20230069627A (en) Side sill for vehicle
US20240140533A1 (en) Side Sill Reinforcement Structure of Vehicle
KR20130117029A (en) Fender width type a pillar assembly
CN218702581U (en) Vehicle shock absorber tower subassembly and vehicle
KR101125320B1 (en) Car frame structure of vehicle for improving the hardness of roof
US20170073015A1 (en) Rear side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