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222B1 - 고막 주사용 팁 - Google Patents

고막 주사용 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222B1
KR102296222B1 KR1020200038571A KR20200038571A KR102296222B1 KR 102296222 B1 KR102296222 B1 KR 102296222B1 KR 1020200038571 A KR1020200038571 A KR 1020200038571A KR 20200038571 A KR20200038571 A KR 20200038571A KR 102296222 B1 KR102296222 B1 KR 102296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outer diameter
eardrum
tip
external audi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176A (ko
Inventor
심민보
Original Assignee
심민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9274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97073B1/ko
Application filed by 심민보 filed Critical 심민보
Priority to KR1020200038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2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4Tools for specific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62E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의사가 주사 바늘을 고막에 찌를 때에, 의사로 하여금 주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도록 할 수 있고, 또 의사가 고막 이외의 외이도의 다른 부분을 주사 바늘로 찌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막 주사용 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막 주사용 팁{Tip for injecting to an eardrum}
고막 주사용 팁에 관한 것이다.
중이강 내에 약물 및/또는 혈액을 직접 주사하는 등의 시술을 할 때에, 의사는 고막에 주사 바늘을 삽입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술은 정확히 고막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술 중 환자의 움직임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시술하는 의사의 숙련도가 매우 높아야 한다.
의사가 시술에 미숙하거나, 환자가 시술 중 움직일 경우, 주사 바늘이 정확히 고막에 삽입되지 못하고 고막 주변의 외이도를 찔리거나, 의사가 주사 바늘로 고막을 관통시키지 않고 주사함으로써 외이도에 주사액을 주입하는 실수를 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험이 많은 의사라 할지라도, 일단 한 번 고막 안쪽으로 혈액을 주사하면, 혈액 일부가 차 올라서, 일정 시간 후 다시 시술을 할 때에 고막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한계 및/또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의사가 고막의 정확한 위치에 간단히 주사 바늘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고막 주사용 팁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df
상기 과제, 문제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이도에 삽입되도록 제1 단부가 제2 단부보다 작은 단면을 갖도록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제1단부에 위치하는 제1개구와, 상기 몸체의 제2단부에 위치하는 제2개구와, 상기 제1개구와 제2개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몸체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로를 포함하는 고막 주사용 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외경과, 상기 외경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통로가 구비된 충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경은 탄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진부는 상기 외경보다 경질 재료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제2단부 외측에 위치하는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로는 직선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를 향해 곡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의사가 주사 바늘을 고막에 찌를 때에, 의사로 하여금 주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의사가 고막 이외의 외이도의 다른 부분을 주사 바늘로 찌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술의 정확도를 높이고, 환자의 불편함과 고통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을 이용해 고막에 주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1)은 제1 단부(101) 및 제2 단부(102)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위치하는 제1 개구(11) 및 제2개구(12)와, 몸체(10)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로(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는 환자의 외이도에 삽입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그 외면(103)이 외이도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절두 원추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면(103)은 그 표면이 매끄럽게 구비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외이도에 삽입될 때 환자가 느끼는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외면(103)은 제1 단부(101)에서 제2 단부(102)를 향한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단부(101)가 제2 단부(102)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환자의 외이도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상기 외면(103)은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몸체(10)가 외이도 내에 잘 끼워져 흔들리지 않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는 서로 대향하는 제1 단부(101)와 제2 단부(102)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가 외이도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단부(101)는 상기 제2 단부(102)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다. 상기 고막 주사용 팁(1)이 외이도에 삽입될 때, 상기 제1 단부(101)는 고막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그 단면이 외이도 내부보다 작게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단부(101)에 위치한 제1 개구(11)를 통해 주사 바늘이 나와 고막을 찌르기에 충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길이는 상기 제1 단부(101)와 제2 단부(102) 사이의 길이(l)로 정의될 수 있는 데, 제1 단부(101)의 단면 크기, 제2 단부(102)의 단면 크기, 및 제1 단부(101)와 제2 단부(102) 사이의 길이(l)는, 몸체(10)를 외이도에 삽입했을 때, 제1 단부(101)와 고막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10)를 외이도에 삽입했을 때, 제1 단부(101)와 고막 사이의 거리는 1~10mm 사이가 되도록 할 수 있는 데, 구체적 일 실시예에 따르면 1~5mm 사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단부(101)와 고막 사이의 거리가 짧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단부(101)의 단면 크기, 제2 단부(102)의 단면 크기, 및 제1 단부(101)와 제2 단부(102) 사이의 길이(l)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11)는 상기 제1 단부(101)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개구(12)는 상기 제2 단부(102)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개구(11)는 제1 단부(101)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개구(12)는 상기 제2 단부(102)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개구(11) 및/또는 제2 개구(12)의 위치는, 주사 바늘이 제1 개구(11)를 나와 고막의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11)와 제2 개구(12)은 동일한 크기일 수 있는 데, 상기 제1 개구(11)와 제2 개구(12)는 주사 바늘의 직경보다 약간 정도 큰 크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11)와 제2 개구(12)는 반드시 동일 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개구(11)과 제2 개구(12)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개구(11)이 제2 개구(12)보다 크기가 작게 구비될 수 있는 데, 이 때 제1 개구(11)는 주사 바늘의 직경보다 약간 큰 정도가 될 수 있다. 제1 개구(11)가 제2 개구(12)보다 작게 구비될 경우, 의료진이 제2 개구(12)를 통해 주사 바늘을 삽입하기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0)는 상기 외면(103)의 내부가 채워져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데, 상기 외면(103)과 그 내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제1 개구(11)와 제2 개구(12)를 연결하는 연통로(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로(13)는 직선상으로 구비되어 이를 통해 주사기의 바늘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통로(13)의 단면 크기는 상기 제1 개구(11)와 제2 개구(12)의 크기에 종속되며, 제1 개구(11)와 제2 개구(12)가 동일 크기로 형성된 경우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단면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11)와 제2 개구(12)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경우에는 직선상의 구배를 갖도록 단면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연통로(13)의 내면에는 별도의 경질재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통로(13)를 통해 주사 바늘이 통과할 때에 주사 바늘이 연통로(13)에 찔려 그 진행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0)의 제2 단부(102) 외측에는 핸들(1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14)은 제2 단부(102)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는 데,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1)을 환자의 외이도에 삽입하거나 빼 낼 때에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상기 핸들(14)은 상기 몸체(10)의 내측으로 인입된 구조로, 사용자가 귀에 삽입된 몸체(10)를 빼 내기에 충분한 형상이면 충분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고막 주사용 팁(1)은 고막을 통해 주사 바늘을 삽입하는 시술 및/또는 요법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체의 귀(2)는 귓바퀴(21) 내측으로 고막(23)까지 외이도(22)가 연장되어 있고, 고막(23) 너머에는 중이강(24)이 위치한다. 즉, 외이도(22)와 중이강(24)의 사이에 고막(23)이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의사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1)을 이 외이도(22)에 삽입할 수 있다. 고막 주사용 팁(1)이 외이도(22)에 충분히 삽입된 상태에서 제1단부(101)와 고막(23) 사이의 거리(d)는 1~10mm 사이가 되도록 할 수 있고, 구체적 일 실시예에 따르면 1~5mm 사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고막 주사용 팁(1)이 외이도(22)에 충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단부(101)에 위치한 제1 개구(11)는 고막(23)의 주사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의사는 주사기(3)의 첨단에 위치한 주사 바늘(31)을 제2 단부(102)의 제2 개구를 통해 연통로(13)로 삽입시키고, 주사 바늘(31)이 연통로(13)를 거쳐 고막(23)을 찌를 수 있도록 한다. 의사는 주사 바늘(31)을 고막(23) 너머의 중이강(24)까지 더욱 삽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이강(24)으로 약물(32)을 투입할 수 있다.
이렇게 의사가 주사 바늘(31)을 고막(23)에 찌를 때에,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1)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의사가 고막(23) 이외의 외이도(22)의 다른 부분을 주사 바늘(31)로 찌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이도(22) 내부에 혈액이 위치하거나, 기타 다른 이물질이 위치해, 의사가 육안으로 고막(23)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제1 개구(11)가 고막(23)에 인접하게 위치하므로 연통로(13)를 통과한 주사 바늘(31)은 정확히 고막(23)을 찌를 수 있게 되어, 시술의 정확도를 높이고, 환자의 불편함과 고통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1)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0)는, 제1외경(104)과 충진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외경(104)은 그 외측에 외면(103)을 포함하고, 이 외면(103)이 외이도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진부(105)는 제1외경(104)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는 데, 상기 연통로(13)가 충진부(105)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외경(104)은 경질의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로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외경(104)은 검이경 팁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1외경(104)은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는 데, 상기 제1 두께(t1)는 가능한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경(104) 내에 충진되는 충진부(105)는 플라스틱재가 사용될 수 있는 데, 경질로 구비되어 주사 바늘이 연통로(13)를 찌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외경(104)은 탄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외경(104)은 실리콘 및/또는 폴리 우레탄과 같은 유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의 제1외경(104)의 제1 두께(t1)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제1외경(104)이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된 경우보다 두꺼울 수 있다. 다만, 이 때에도 상기 제1외경(104) 내에 충진되는 충진부(105)는 경질 플라스틱재로 구비되어 주사 바늘이 연통로(13)를 찌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제1외경(104)이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몸체(10)가 외이도에 삽입되었을 때에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몸체(10)의 외면(103)이 어느 정도 신축 변형될 수 있어 외이도에 적정한 깊이까지 삽입하기 용이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1)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0)는, 제1 외경(104)과 제2 외경(106)과 충진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외경(106)은 그 외측에 외면(103)을 포함하고, 이 외면(103)이 외이도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외경(106)의 내면과 접하도록 제1 외경(104)이 위치하고, 제1 외경(104)의 내측에 충진부(105)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통로(13)는 충진부(105)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외경(104)은 경질의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로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외경(104)은 검이경 팁과 동일 및/또는 유사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외경(104) 내에 충진되는 충진부(105)는 플라스틱재가 사용될 수 있는 데, 경질로 구비되어 주사 바늘이 연통로(13)를 찌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경(104)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외경(106)은 실리콘 및/또는 폴리 우레탄과 같은 유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외경(104)이 경질 재료로 형성되고, 제2외경(106)이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몸체(10)가 외이도에 삽입되었을 때에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몸체(10)의 외면(103)이 어느 정도 신축 변형될 수 있어 외이도에 적정한 깊이까지 삽입하기 용이해질 수 있고, 제1 외경(104)에 의해 몸체(1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일관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외경(104)의 제1 두께(t1)는 제2 외경(106)의 제2 두께(t2)보다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몸체(10)의 외면(103)이 외이도와 접촉했을 때에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1)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충진부(105)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제1 외경(104)이 존재하는 데, 이 제1 외경(104)은 충진부(105)의 첨단(105a)을 덮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경(104)의 첨단이 제1 단부(101)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외경(10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부(101)까지 유연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로(13)는 제1 외경(104)에 형성된 제1 연통로(13a)와 충진부(105)에 형성된 제2 연통로(13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연통로(13a)와 제2 연통로(13b)는 서로 직선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몸체(10)가 환자의 외이도에 삽입되었을 때에 제1 단부(101)가 유연성 재질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고막에 제1 단부(101)가 닿더라도 환자가 큰 아픔을 느끼지 않게 되어 환자의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비록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 6에 도시된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적용될 경우, 제1 단부(101)는 제2 외경(106)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1)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10)의 외면(103)이 굴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면(103)은 외이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굴곡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를 외이도에 삽입할 때에 삽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면(103)은 위쪽을 향한 제1 외면(1031)과 아래쪽을 향한 제2 외면(10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면(1031)은 커다란 물결 무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몸체(10)의 아래쪽에 위치한 제2 외면(1032)은 위쪽에 위치한 제1 외면(1031)보다 큰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0)는 외이도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외이도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10)의 외면(103) 형상이 외이도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므로, 몸체(10)를 외이도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 별도의 조정 작업 없이도, 제1 개구(11)가 고막의 정확한 주사 위치에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개구(12)는 제2 단부(102)의 정 중앙에 위치할 필요는 없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부(102)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개구(11)도 제1 단부(101)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되게 위치할 수 있으나, 제1 단부(101)의 크기가 작은 경우 제1 개구(11)는 제1 단부(10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도 연통로(13)는 제1 개구(11)와 제2 개구(12)를 연결하는 직선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2 개구(12)가 제2 단부(102)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되게 위치하는 경우, 더욱 구체적으로 제2 개구(12)가 제2 단부(102)의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 의사가 제2 개구(12)를 통해 연통로(13)로 주사 바늘을 삽입하기 보다 편리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막 주사용 팁(1)을 도시한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10)의 외면(103)이 굴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면(103)은 외이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굴곡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10)를 외이도에 삽입할 때에 삽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면(103)은 위쪽을 향한 제1 외면(1031)과 아래쪽을 향한 제2 외면(10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면(1031)은 대략 직선, 또는 곡률반경이 큰 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10)의 아래쪽에 위치한 제2 외면(1032)은 S자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는 데, 특히 중앙으로부터 제2 단부(102)에 가까운 부분(1033)이 보다 튀어 나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면(103)의 형상은 외이도의 형상이 보다 근접한 형상이 되며, 이에 따라 몸체(10)를 외이도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 별도의 조정 작업 없이도, 제1 개구(11)가 고막의 정확한 주사 위치에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개구(11)와 제2 개구(12)는 각각 제1 단부(101)와 제2 단부(102)의 중앙으로부터 대칭 및 편심되게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개구(12)는 제2 단부(102)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하고, 반면 제1 개구(11)는 제1 단부(101)의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통로(13)는 제1 개구(11)와 제2 개구(12)를 연결하는 직선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개구(11) 및 제2 개구(12)의 위치에 의해, 의사가 제2 개구(12)를 통해 연통로(13)로 주사 바늘을 삽입하기 편리해질 뿐 아니라, 주사 바늘의 삽입만으로 주사 바늘이 삽입될 정확한 위치에 바늘 삽입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각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개별 실시예들은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들에 의한 다양한 조합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고막 주사용 팁
10: 몸체
101: 제1 단부
102: 제2 단부
103: 외면
104: 제1 외경
105: 충진부
106: 제2 외경
11: 제1 개구
12: 제2 개구
13: 연통로
14: 핸들

Claims (7)

  1. 외이도에 삽입되도록 제1 단부가 제2 단부보다 작은 단면을 갖고, 외면이 상기 외이도의 형상에 대응되게 굴곡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제1단부에 위치하는 제1개구;
    상기 몸체의 제2단부에 위치하는 제2개구; 및
    상기 제1개구와 제2개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몸체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1 단부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2 단부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되게 위치하며,
    상기 제1 개구와 제2 개구는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는 고막 주사용 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외경과, 상기 외경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통로가 구비된 충진부를 포함하는 고막 주사용 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경은 탄성을 갖도록 구비된 고막 주사용 팁.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상기 외경보다 경질 재료로 구비된 고막 주사용 팁.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38571A 2017-07-21 2020-03-30 고막 주사용 팁 KR102296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571A KR102296222B1 (ko) 2017-07-21 2020-03-30 고막 주사용 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742A KR102097073B1 (ko) 2017-07-21 2017-07-21 고막 주사용 팁
KR1020200038571A KR102296222B1 (ko) 2017-07-21 2020-03-30 고막 주사용 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742A Division KR102097073B1 (ko) 2017-07-21 2017-07-21 고막 주사용 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176A KR20200037176A (ko) 2020-04-08
KR102296222B1 true KR102296222B1 (ko) 2021-08-31

Family

ID=7027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571A KR102296222B1 (ko) 2017-07-21 2020-03-30 고막 주사용 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2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676B1 (ko) 2011-04-11 2013-05-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이염 치료용 천자침 안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676B1 (ko) 2011-04-11 2013-05-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이염 치료용 천자침 안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176A (ko)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7218B2 (en) Subcutaneous delivery tool
KR101472943B1 (ko) 피부 주름 성형용 캐뉼라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1659B1 (ko) 의료용 실 및 의료용 실 삽입 장치
WO1994011042A1 (en) Injector and use of the same
JP2014519891A (ja) 長さ調節型カニューレ
WO2018101934A1 (en) Device and method for artificial insemination
JP5215394B2 (ja) 耳鼻科用注射針
KR102296222B1 (ko) 고막 주사용 팁
KR20210048662A (ko) 주사기
CN107198572A (zh) 三叉神经半月节压迫装置
US9623219B2 (en) Surgical dilators with tips having curved tapers
KR102097073B1 (ko) 고막 주사용 팁
KR20210042304A (ko) 고막 주사용 팁
CN204709635U (zh) 一种放射粒子穿刺植入针
JP7100875B2 (ja) 皮内注射用補助具
KR102241531B1 (ko) 고막 주사용 팁
US11730894B2 (en) Tip for intra-tympanic injection
KR101699757B1 (ko) 일체형의 약액 공급용 니들 세트
KR20140102499A (ko) 마이크로니들치료기
KR102295832B1 (ko) 혈관 주입 여부의 확인이 가능한 캐뉼라
CN206443738U (zh) 一种具有三维相对固定可旋转翼的腰硬联合穿刺针
US7014650B2 (en) Pin for forming a hole for inserting an indwelling needle
JPH10118192A (ja) ガイドワイヤー挿入具
KR102258513B1 (ko) 관절강 주사액 주입용 주사바늘 및 이를 갖는 주사기
CN212213845U (zh) 一种Ommaya囊引流穿刺针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