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034B1 - Door bell button structure - Google Patents

Door bell butt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034B1
KR102296034B1 KR1020170108143A KR20170108143A KR102296034B1 KR 102296034 B1 KR102296034 B1 KR 102296034B1 KR 1020170108143 A KR1020170108143 A KR 1020170108143A KR 20170108143 A KR20170108143 A KR 20170108143A KR 102296034 B1 KR102296034 B1 KR 102296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nstallation groove
support wire
body po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1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2176A (en
Inventor
김필집
최은수
이병호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8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034B1/en
Publication of KR2019002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1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0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 G10K1/06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electrically operated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통홀이 형성된 설치홈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버튼부재를 포함하고, 설치홈의 전면에 결합되는 바디부와, X축 방향을 따라 바디부와 연속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홈과 바디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지지 와이어와, X축과 교차하는 Y축 방향을 따라 바디부와 연속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홈과 바디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고, 제1 지지 와이어 및 제2 지지 와이어는 버튼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의 유무에 따라 설치홈에 인접하는 제1 위치와, 바디부에 인접하는 제2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도어벨 버튼 구조를 개시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including an installation groov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a button member slidable along the through hole, a body portion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roove, and a body portion along the X-axis direction A first support wire interposed between the installation groove and the body portion to continuously contact with, and a second support wire interposed between the installation groove and the body portion to continuously contact the body portion along the Y-axis direction intersecting the X-axis Including, the first support wire and the second support wire have a doorbell button structure movable in a first position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groove and a second position adjacent to the body par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member. start

Description

도어벨 버튼 구조{DOOR BELL BUTTON STRUCTURE}Doorbell Button Structure {DOOR BELL BUTTON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벨 버튼 구조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doorbell button structure.

일반적으로 도어벨은 주거지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거주자로 하여금 방문자가 출입문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일종의 알람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순한 알람 기능뿐만 아니라, 방문자의 얼굴을 카메라로 확인하고, 원격으로 출입문을 개방하는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도어벨이 개발되고 있다.In general, the doorbell is installed on the door of a residence to serve as a kind of alarm to notify the resident that the visitor has reached the door. Recently, various types of doorbell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implement not only such a simple alarm function, but also a function of checking a visitor's face with a camera and remotely opening a door.

이러한 도어벨 버튼은 다양한 형태로 구조화될 수 있으나, 버튼 사이즈가 클 경우 버튼의 주변부를 눌렀을 때 스위치가 눌러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카메라와 제어회로와 같은 부가적인 구성이 도어벨 내에 설치되는 추세에 맞추어 도어벨 내부에 유체나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방수 기능도 함께 구현할 필요가 있다.Such a doorbell button may be structured in various forms, but if the button size is large, the switch may not be pressed whe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button is pressed. 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in which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cameras and control circuits are installed in the doorbell, it is also necessary to implement a waterproof function that prevents fluid or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doorbell.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deriv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n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방수 및 버튼 감각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도어벨 버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object to provide a doorbell button structure that can easily maintain the waterproof and button sen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통홀이 형성된 설치홈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버튼부재를 포함하고, 설치홈의 전면에 결합되는 바디부와, X축 방향을 따라 바디부와 연속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홈과 바디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지지 와이어와, X축과 교차하는 Y축 방향을 따라 바디부와 연속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홈과 바디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고, 제1 지지 와이어 및 제2 지지 와이어는 버튼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의 유무에 따라 설치홈에 인접하는 제1 위치와, 바디부에 인접하는 제2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도어벨 버튼 구조를 개시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including an installation groov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a button member slidable along the through hole, a body portion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roove, and a body portion along the X-axis direction A first support wire interposed between the installation groove and the body portion to continuously contact with, and a second support wire interposed between the installation groove and the body portion to continuously contact the body portion along the Y-axis direction intersecting the X-axis Including, the first support wire and the second support wire have a doorbell button structure movable in a first position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groove and a second position adjacent to the body par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member. start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과 바디부 사이에 개재되어 프레임에 대해 바디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nter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dy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rame.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바디부와 마주보는 설치홈의 전면 측과 바디부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로부터 관통홀 내부로의 이물질이나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waterproof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front 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facing the body portion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or fluids from the outside into the through hole may be further includ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설치홈의 후면 측과 버튼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관통홀을 따라 버튼부재가 설치홈의 전면 측으로 탈락하지 않도록 버튼부재를 설치홈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탈락방지링을 더 포함하고, 탈락방지링은 버튼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소정 간격 인입되는 설치홈에 설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interposed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and the button member and further includes a drop-off prevention ring for fixing the button member to the installation groove so as to be slidable so that the button member does not fall off to the front 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along the through hole. And, the drop-off prevention ring may be installed in an installation groove that is drawn i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member toward the cent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설치홈은, 제1 지지 와이어의 일 단부 및 제2 지지 와이어의 일 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1 고정부재와, 제2 지지 와이어의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stallation groove includes a first fixing member for fixing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wire and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wire to be rotatabl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wire for fixing to be rotatable. It may include a second fixing memb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설치홈은 상기 제1 지지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1 지지턱과, 제2 지지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2 지지턱을 포함하고, 바디부는 제1 지지턱과 마주보는 제1 지지홈과, 제2 지지턱과 마주보는 제2 지지홈을 포함하고, 제1 지지 와이어는 제1 지지턱과 제1 지지홈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제2 지지 와이어는 제2 지지턱과 제2 지지홈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stallation groove includes a first support jaw for guiding the first support wire and a second support jaw for guiding the second support wire, and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jaw facing the first support jaw. a groove and a second support groove facing the second support jaw, wherein the first support wire is movable between the first support jaw and the first support groove, and the second support wire includes the second support jaw and the second support groove It may be movable between the 2 support grooves.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도어벨 버튼 구조에 의하면, 버튼의 크기에 상관없이 가압 시 버튼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방수 기능을 함께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doorbell butt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inclination of the button when press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button,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a waterproof function together.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벨 버튼 구조를 일부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벨 버튼 구조 중 바디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임의 배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버튼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버튼부재에 탈락방지링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바디부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버튼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제1 지지 와이어와 제2 지지 와이어가 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투시 측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ially disassembled doorbell butt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view illustrating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body part of the doorbell button structure of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frame shown in FIG. 2 .
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utton member shown in FIG. 1 ;
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op-off prevention ring is installed on the button member shown in Figure 4a.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body shown in FIG. 1 .
6 is a perspective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wire and the second support wire move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member of FIG. 1 .
FIG. 7 is a perspective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G. 6 is viewed from another angle.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not in a limiting sense. Also,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will be added.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벨 버튼 구조를 일부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ially disassembled doorbell butt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도어벨 버튼 구조(100)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바디부(120), 바디부(120)를 지지하는 제1 지지 와이어(130) 및 제2 지지 와이어(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doorbell button structure 100 includes a frame 110 and a body portion 120 coupled to the frame 110 , a first support wire 130 and a second support wire 130 supporting the body portion 120 . A support wire 140 may be included.

프레임(110)은 바디부(120)가 설치되는 설치홈(1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10)과 바디부(120)는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프레임(110)과 바디부(120)는 나사 결합과 같이 기구적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설치홈(111)에는 버튼부재(121)가 삽입되는 관통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The frame 110 may include an installation groove 111 in which the body part 120 is installed, and preferably, the frame 110 and the body part 120 may be fitted with each other.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for example, the frame 110 and the body portion 1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mechanically, such as screw coupling, or coupled using an adhesive. In addition, a through hole 112 into which the button member 121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1 . A detailed structure of the frame 110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바디부(120)는 관통홀(11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버튼부재(도 4a의 121 참조)를 포함하고, 설치홈(111)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부재(121)와 바디부(120)의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The body portion 120 includes a button member (see 121 of FIG. 4A ) slidable along the through hole 112 , and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roove 111 .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utton member 121 and the body part 120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4B and 5 .

제1 지지 와이어(130)는 X축 방향을 따라 바디부(120)와 연속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홈(111)과 바디부(12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 와이어(140)는 Y축 방향을 따라 바디부(120)와 연속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치홈(111)과 바디부(12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wire 13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nstallation groove 111 and the body part 120 so as to continuously contact the body part 120 along the X-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wire 14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nstallation groove 111 and the body part 120 to continuously contact the body part 120 along the Y-axis direction.

상세히, 제1 지지 와이어(130)와 제2 지지 와이어(140)는 바디부(120)에 가해지는 압력의 유무에 따라 설치홈(111)에 인접하는 제1 위치(도 6과 7의 P1 참조)와, 바디부(120)에 인접하는 제2 위치(도 6과 7의 P2 참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홈(11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 와이어(130)와 제2 지지 와이어(140)의 구조적인 특징에 대해서는 이하 도 6 및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In detail, the first support wire 130 and the second support wire 140 are located in a first position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groove 111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essure applied to the body part 120 (see P1 in FIGS. 6 and 7 ). ) and the second position adjacent to the body portion 120 (see P2 in FIGS. 6 and 7 ) may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1 to be movable between the two positions. Structural features of the first support wire 130 and the second support wire 140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또한, 도어벨 버튼 구조(100)는 프레임(110)과 바디부(120) 사이에 개재되어 프레임(110)에 대해 바디부(12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탄성부재(150)의 형태가 스프링인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탄성부재(15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고무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탄성부재(150)는 버튼부재(121)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바디부(120)가 설치홈(1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바디부(120)가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그 어떠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oorbell button structure 10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150 interposed between the frame 110 and the body part 120 to elastically support the body part 120 with respect to the frame 110 . . 1 illustrates that the shape of the elastic member 150 is a spring, bu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150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hat is, when the elastic member 150 mov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installation groove 111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member 121 , the body 120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It will be obvious that any material that can provide

또한, 도어벨 버튼 구조(100)는 바디부(120)와 마주보는 설치홈(111)의 전면 측과 바디부(120)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로부터 관통홀(112)의 내부로의 이물질이나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수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수부재(160)는 관통홀(112)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관통홀(112)과 연통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방수부재(160)는 관통홀(112)을 관통하여 관통홀(112)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버튼부재(1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bell button structure 100 is interposed between the body part 120 and the front 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111 facing the body part 120 , and foreign substances or fluids from the outside into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112 . 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proof member 160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Referring to FIG. 1 , the waterproof member 16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112 , and may be configured in a hollow shape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112 .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 , the waterproof member 160 penetrates the through hole 112 and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member 121 , which slidably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2 .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프레임(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설치홈(111)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groove 111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1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도 2는 도 1의 도어벨 버튼 구조 중 바디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FIG. 2 is a top view illustrating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body part of the doorbell button structure of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설치홈(111)에는 제1 지지 와이어(130)의 일 단부 및 제2 지지 와이어(140)의 일 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1 고정부재(100f_b)와, 제2 지지 와이어(140)의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2 고정부재(100f_a)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재(100f_b)는 제1 지지 와이어(130)와 제2 지지 와이어(140)의 일단부를 고정하고, 제2 고정부재(100f_a)는 제2 지지 와이어(140)의 타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1 and 2 , the installation groove 111 includes a first fixing member 100f_b for fixing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wire 130 and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wire 140 to be rotatable, and , a second fixing member 100f_a for fix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wire 140 to be rotatable may be installed. That is, the first fixing member 100f_b fixes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wire 130 and the second support wire 140 ,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00f_a connects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wire 140 . can be fixed

상세히, 제1 지지 와이어(130)와 제2 지지 와이어(140)는 후술하겠으나 바디부(12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바디부(120)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설치홈(111)에 인접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지지 와이어(130)는 제1 고정부재(100f_b)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제2 지지 와이어(140)는 제1 고정부재(100f_a) 및 제2 고정부재(100f_b)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 와이어(130)와 제2 지지 와이어(140)의 이동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In detail, the first support wire 130 and the second support wire 140 are located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groove 111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body part 120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ody part 120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ing wire 130 is rotatable about the first fixing member 100f_b, and the second supporting wire 140 is the first fixing member 100f_a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100f_b). 100f_b) may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The movement structure of the first support wire 130 and the second support wire 14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또한, 설치홈(111)에는 제1 지지 와이어(130)를 가이드하는 제1 지지턱(111s_a)과, 제2 지지 와이어(140)를 가이드하는 제2 지지턱(111s_b)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바디부(120)에 압력을 가할 경우, 바디부(120)가 설치홈(111)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바디부(120)에 접촉하고 있던 제1 지지 와이어(130)와 제2 지지 와이어(140)는 하측, 즉 설치홈(111) 측으로 바디부(12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바디부(120)가 설치홈(111) 측으로 최대한 이동할 경우, 제1 지지 와이어(130)와 제2 지지 와이어(140) 또한 설치홈(111) 측으로 최대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제1 지지 와이어(130)와 제2 지지 와이어(140)는 각각 제1 지지턱(111s_a)과 제2 지지턱(111s_b)에 안착하게 된다.In addition, a first support jaw 111s_a for guiding the first support wire 130 and a second support jaw 111s_b for guiding the second support wire 140 may be form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1 . For example, when the user applies pressure to the body part 120 , as the body part 120 moves toward the installation groove 111 , the first support wire 130 and the second support wire 130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body part 120 are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wire 130 . The wire 140 moves together with the body part 120 toward the lower side, that is, the installation groove 111 side. When the body portion 120 moves toward the installation groove 111 as much as possible, the first support wire 130 and the second support wire 140 also move as far as possible toward the installation groove 111 , in which case the first support wire 130 . ) and the second support wire 140 are seated on the first support jaws 111s_a and the second support jaws 111s_b, respectively.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바디부(120)의 어떠한 부분을 누르더라도 바디부(120)를 X축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지지하는 제1 지지 와이어(130)와, Y축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 와이어(140)에 의해 바디부(120)는 특정 방향 또는 위치로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바디부(120)에 가해지는 힘의 위치의 상관 없이 바디부(120)는 설치홈(111)을 향해 균일하게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효과와 동시에 방수 기능도 함께 기대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user presses any part of the body part 120, the first support wire 130 for supporting the body part 120 to be continuous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support to be continuous in the Y-axis direction. The body 120 may not be inclined in a specific direction or position by the second support wire 140 to It means that it can move uniformly toward (111). In addition, a waterproof function can be expected at the same time as this effect,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below.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레임의 배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버튼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버튼부재에 탈락방지링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frame shown in Figure 2,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utton member shown in Figure 1, Figure 4b is a drop-off prevention ring is installed on the button member shown in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도 3을 참조하면, 도어벨 버튼 구조(100)는 프레임(110)의 배면, 더 구체적으로는 설치홈(111)의 배면 측과 버튼부재(121) 사이에 개재되어 관통홀(112)을 따라 버튼부재(121)가 설치홈(111)의 전면 측으로 탈락하지 않도록 버튼부재(121)를 설치홈(11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탈락방지링(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doorbell button structure 100 is interposed between the back side of the frame 110 , more specifically, the back 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111 and the button member 121 , along the through hole 112 . The button member 121 may further include a drop-off prevention ring 170 for slidably fixing the button member 121 to the installation groove 111 so that it does not fall off to the front 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111 .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이러한 탈락방지링(170)은 버튼부재(121)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소정 간격 인입되는 고정홈(121h)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A and 4B , the drop-off prevention ring 170 may be installed in the fixing groove 121h inser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member 121 toward the center.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탈락방지링(170)은 버튼부재(121)가 관통홀(112) 내에서 소정 간격 슬라이딩하되, 프레임(110)의 전면으로 탈락되지 않도록 버튼부재(121)를 관통홀(112) 내에 고정할 수 있다.With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drop-off prevention ring 170 slides the button member 121 within the through hole 11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ut passes the button member 121 through the through hole so that it does not fall off to the front of the frame 110 . It can be fixed within (112).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바디부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body shown in FIG. 1 .

도 5를 참조하면, 바디부(120)는 제1 지지턱(111s_a)과 마주보는 제1 지지홈(120s_a)과, 제2 지지턱(111s_b)과 마주보는 제2 지지홈(120s_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바디부(120)에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일 경우, 바디부(120)가 설치홈(111)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곳에 위치함에 따라 제1 지지 와이어(130)와 제2 지지 와이어(140)는 제1 지지홈(120s_a)과 제2 지지홈(120s_b)에 안착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body part 120 includes a first support groove 120s_a facing the first support jaw 111s_a and a second support groove 120s_b facing the second support jaw 111s_b. can do. For example, when the user does not apply pressure to the body part 120 , the first support wire 130 and the second support wire are located in the body part 120 spaced apart from the installation groove 1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140) is seated in the first support groove (120s_a) and the second support groove (120s_b).

즉, 제1 지지 와이어(130)는 제1 지지턱(111s_a)과 제1 지지홈(120s_a)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고, 제2 지지 와이어(140)는 제2 지지턱(111s_b)과 제2 지지홈(120s_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6과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at is, the first support wire 130 is movable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 jaw 111s_a and the first support groove 120s_a, and the second support wire 140 is the second support jaw 111s_b. It may be movable in a space formed between and the second support groove (120s_b). This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도 6은 도 1의 버튼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제1 지지 와이어와 제2 지지 와이어가 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투시 측면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wire and the second support wire move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member of Figure 1, and Figure 7 is a perspective side view showing Figure 6 viewed from another angle. am.

도 6과 7을 참조하면, 바디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즉 평상 시의 위치인 참조부호 120의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압력이 가해진 경우의 위치인 참조부호 120'의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바디부(120)는 도 6 및 7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탄성부재(150)의 복원력에 의해 압력이 가해진 이후 사용자가 바디부(120)에서 손을 뗄 경우 다시 원 위치(참조부호 120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6 and 7, the body portion 120 is the position when pressure is not applied by the user, that is, when pressure is applied by the user at the position of reference numeral 120, which is the normal position, reference numeral 120'. can be moved to the position of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S. 6 and 7 , the body part 12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reference numeral 120 ) when the user releases the hand from the body part 120 after pressure is appli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50 . position) can be returned.

사용자에 의해 바디부(120)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 제1 지지 와이어(130)의 위치는 도 7의 참조부호 130'(P1)에 해당하며, 제2 지지 와이어(140)의 위치는 도 6의 참조부호 140'(P1)에 해당한다. 즉, 바디부(120)의 가해지는 압력의 유무에 따라 제1 지지 와이어(130) 및 제2 지지 와이어(140)는 바디부(120)와 인접하는 제2 위치(P2)에서 설치홈(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의 111 참조)에 인접하는 제1 위치(P1)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body part 120 by the user, the position of the first support wire 130 corresponds to reference numeral 130' (P1) of FIG. 7,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support wire 140 is shown in FIG. It corresponds to reference numeral 140' (P1).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essure applied to the body part 120 , the first support wire 130 and the second support wire 140 ar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Fig. Although not shown in FIG. 6 , it is movable between the first positions P1 adjacent to 111 of FIG. 1 ).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1 지지 와이어(130)는 X축을 따라 바디부(120)와 연속적으로 접촉하고, 제2 지지 와이어(140)는 Y축을 따라 바디부(120)와 연속적으로 접촉하므로, 바디부(120)가 사용자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 와이어(130)와 제2 지지 와이어(140)가 바디부(120)를 지지함으로써, 바디부(120)의 크기와 상관 없이 바디부(120)가 사용자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기울어짐에 따른 바디부(120)의 파손이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first support wire 130 is in continuous contact with the body portion 120 along the X-axis, and the second support wire 140 is in continuous contact with the body portion 120 along the Y-axis, so that the body A phenomenon in which the unit 120 is tilted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can be prevented. That is, since the first support wire 130 and the second support wire 140 support the body part 120 , the body part 120 is inclined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body part 120 . Damage or failure of the body part 120 according to the load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by those skilled in the art. point can be understoo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도어벨 버튼 구조 120s_b: 제2 지지홈
110: 프레임 121: 버튼부재
111: 설치홈 121h: 고정홈
111s_a: 제1 지지턱 130: 제1 지지 와이어
111s_b: 제2 지지턱 140: 제2 지지 와이어
112: 관통홀 150: 탄성부재
120: 바디부 160: 방수부재
120s_a: 제1 지지홈 170: 탈락방지링
100: doorbell button structure 120s_b: second support groove
110: frame 121: button member
111: installation groove 121h: fixed groove
111s_a: first support jaw 130: first support wire
111s_b: second support jaw 140: second support wire
112: through hole 150: elastic member
120: body 160: waterproof member
120s_a: first support groove 170: anti-drop ring

Claims (6)

관통홀이 형성된 설치홈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관통홀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버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홈의 전면에 결합되는 바디부;
X축 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와 연속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설치홈과 상기 바디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지지 와이어; 및
상기 X축과 교차하는 Y축 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와 연속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설치홈과 상기 바디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지지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와이어 및 상기 제2 지지 와이어는 상기 버튼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의 유무에 따라 상기 설치홈에 인접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바디부에 인접하는 제2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도어벨 버튼 구조.
a frame including an installation groove in which a through-hole is formed;
a body portion including a button member slidable along the through hole and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roove;
a first support wire interposed between the installation groove and the body portion so as to continuously contact the body portion along the X-axis direction; and
a second support wire interposed between the installation groove and the body portion so as to continuously contact the body portion along the Y-axis direction intersecting the X-axis; and
The first support wire and the second support wire are movable in a first position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groove and a second position adjacent to the body par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member, a doorbell button structu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바디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바디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어벨 버튼 구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body portion to elastically support the body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rame, the doorbell button structu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마주보는 상기 설치홈의 전면 측과 상기 바디부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홀 내부로의 이물질이나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어벨 버튼 구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terproof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front 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facing the body portion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or fluids from the outside into the through hole, doorbell button structu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의 후면 측과 상기 버튼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관통홀을 따라 상기 버튼부재가 상기 설치홈의 전면 측으로 탈락하지 않도록 상기 버튼부재를 상기 설치홈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탈락방지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탈락방지링은 상기 버튼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소정 간격 인입되는 설치홈에 설치되는, 도어벨 버튼 구조.
According to claim 1,
A drop-off prevention ring interposed between the rear 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and the button member to slidably fix the button member to the installation groove so that the button member does not fall off to the front side of the installation groove along the through hole. including,
The drop-off prevention ring is installed in an installation groove that is drawn i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member toward the center, a doorbell button structu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은,
상기 제1 지지 와이어의 일 단부 및 상기 제2 지지 와이어의 일 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지지 와이어의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도어벨 버튼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installation groove is
a first fixing member for rotatably fixing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wire and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wire;
and a second fixing member for rotatably fix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wi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은 상기 제1 지지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1 지지턱과, 상기 제2 지지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2 지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지지턱과 마주보는 제1 지지홈과, 상기 제2 지지턱과 마주보는 제2 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와이어는 상기 제1 지지턱과 상기 제1 지지홈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지지 와이어는 상기 제2 지지턱과 상기 제2 지지홈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도어벨 버튼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installation groove includes a first support jaw for guiding the first support wire, and a second support jaw for guiding the second support wire,
The body por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groove facing the first support jaw, and a second support groove facing the second support jaw,
The first support wire is movable between the first support jaw and the first support groove,
The second support wire is movable between the second support jaw and the second support groove, a doorbell button structure.
KR1020170108143A 2017-08-25 2017-08-25 Door bell button structure KR1022960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143A KR102296034B1 (en) 2017-08-25 2017-08-25 Door bell butt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143A KR102296034B1 (en) 2017-08-25 2017-08-25 Door bell button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176A KR20190022176A (en) 2019-03-06
KR102296034B1 true KR102296034B1 (en) 2021-08-31

Family

ID=6576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143A KR102296034B1 (en) 2017-08-25 2017-08-25 Door bell butt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03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6127B2 (en) 1997-05-19 1999-07-05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Push switch for waterpro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986A (en) * 2002-07-31 2004-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proof type tact switch
JP4457145B2 (en) * 2007-12-14 2010-04-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Push switch
KR200460554Y1 (en) * 2010-04-19 2012-06-01 우진전장 주식회사 Elevator switch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6127B2 (en) 1997-05-19 1999-07-05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Push switch for waterpro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176A (en)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8722B2 (en) Push-butt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US9059529B1 (en) Power outlet with a support platform with inclined surfaces with through holes and a shutter with an incline with a hole
US10867762B2 (en) Keyboard key having a haptic elastic piece abutting the return spring
EP3096339B1 (en) Sealing mechanism and key device
US10180738B2 (en) Electronic assembly
KR102296034B1 (en) Door bell button structure
US20150041297A1 (en) Button device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CN104425162A (en) Key structure
TWI567591B (en) Navigation Keypad
US10008346B1 (en) Waterproof keyboard
JP2016116439A (en) Cable anchoring device
KR101711394B1 (en) Water-Proof Case for Electric Device Supporting Control over Electric Device in Underwater Condition
CN105826110A (en) Wearable device
CN109192573B (en) Switching device
TWI712062B (en) Key and electronic device with same
TW201801115A (en) Button device for elevator capable of achiev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operation reliability and comprising a button holder, a circuit module, a connecting rod set, a button, and a linkage elastic piece
JP2013026093A (en) Switch device
JP6862240B2 (en) Intercom equipment
JP2019114455A (en) Waterproof switch device
JP3185197U (en) Push-button switch
CN104282468B (en) Press-key structure, control system for screen display and electronic installation
JP6703348B2 (en) Elevator push button device
TWM628040U (en) Protective device of emergency switch
TW201503795A (en) Chassis
US20170293323A1 (e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