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301B1 - Wearable device for drowning prevention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Wearable device for drowning prevention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301B1
KR102295301B1 KR1020190099037A KR20190099037A KR102295301B1 KR 102295301 B1 KR102295301 B1 KR 102295301B1 KR 1020190099037 A KR1020190099037 A KR 1020190099037A KR 20190099037 A KR20190099037 A KR 20190099037A KR 102295301 B1 KR102295301 B1 KR 102295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wning
user
wearable
operating device
heartb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0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9871A (en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비앤피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앤피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앤피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9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301B1/en
Publication of KR2021001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8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3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08B21/08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by monitoring a device worn by the person, e.g. a bracelet attached to the swimm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08B21/08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by monitoring physical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놀이를 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직접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타입의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물놀이를 하는 사용자의 익수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이에 대한 감지나 모니터링을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더욱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방법으로 익수자에 대한 구조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익사 방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type device that a user who plays in the water can directly wear on his or her bod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capable of more effectively performing drowning prevention by allowing a rescue of a drowning person to proceed in an active mann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escription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WEARABLE DEVICE FOR DROWNING PREVENTION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물놀이장이나 수영장 등에서 물놀이를 하는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기술로서 물놀이를 하느 사용자의 익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of a type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by a user who plays in a water playground or a swimming pool, and relates to a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that can prevent a drowning accident of a user while playing in the wat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ill be.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휴가나 여가 시간을 활용하여 물놀이장이나 수영장에서 물놀이나 수영을 하면서 휴식을 취하거나 취미 생활을 즐기는데, 이러한 물놀이의 경우 이를 즐기는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반면 물놀이나 수영을 하는 과정에서 물이 기도로 흡인되어 호흡 곤란과 질식을 일으킬 위험성이 항상 존재한다.In general, people use their vacation or leisure time to relax or enjoy hobbies while playing or swimming in a water park or swimming pool. There is always a risk of being sucked into this airway and causing breathing difficulties and suffocation.

이와 같이 물이 사람의 기도로 흡인되어 질식하여 사망하는 것을 익사(Drowning)라고 하는데, 이와 같은 익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익수(溺水)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재빠르게 익수자를 구조해 내는 것이 중요하다.As such, when water is sucked into a person's airways and death occurs due to suffocation, it is called drowning.

흔히 사람이 물에 빠지면 허우적거리면서 살려달라고 소리를 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인지한 주변의 사람들이 그 익수자를 쉽게 구조할 수 있을 것으로 오인하기 쉬우나, 실제로는 익수자가 물에 빠져서 허우적거릴 때 그 허우적거림은 외부에서 쉽게 인지하기 어려우며, 특히 대부분의 경우 익수자는 흔히 호흡곤란을 겪기 때문에 살려달라고 큰 소리로 외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Often, when a person falls into the water, they can scream for life while struggling, so it is easy for people around to recognize this to be mistaken for being able to rescue the drowning person easily. is difficult to recognize from the outside, and it is almost impossible to shout out loud for help, especially since in most cases the drowning person often suffers from shortness of breath.

이와 같은 익수가 익사사고로 이어지는 것은 특히 유소년이나 노인의 경우에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주변에 사람이 많은 경우나 안전요원들이 감시를 하고 있는 경우, 심지어 수영 강사가 옆에 있는 경우에도 익사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is type of drowning leading to drowning accidents tends to occur more frequently, especially in the case of children and the elderly, even when there are many people around, when there are security guards watching, or even when a swimming instructor is nearby. Since drowning accidents occur,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ies to prevent them.

익수자의 익사 방지를 위한 종래의 기술은 구명조끼 등과 같은 물놀이 용품에 관한 기술과, 물놀이장 자체의 익사 방지 구성에 관한 기술, 그리고 물놀이 하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물품을 이용한 익사 방지 기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Conventional technology for preventing drowning of drowning people can be divided into a technology related to water play equipment such as a life jacket, a technology related to the drowning prevention configuration of the water playground itself, and a drowning prevention technology using articles worn by a user who plays in the water. .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특허출원 제10-2016-0098975호, 특허출원 제10-2016-0097963호, 특허출원 제10-2017-0023853호, 특허출원 제10-2015-0107966호 등이 공개되어 있다.As prior art documents related to this,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098975,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097963,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023853,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107966, etc. has been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익사 방지를 위한 종래의 기술들은, 물놀이 용품 등의 경우 물놀이를 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고, 물놀이장 자체의 구성에 관한 기술의 경우 그러한 기술을 채용하지 않은 대부분의 물놀이장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물품을 이용한 익사 방지 기술의 경우 익사 방지를 위한 효과가 상당히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s for preventing drowning as described above may cause great inconvenience to users who play in the water in the case of water play equipment and the like, and in the case of the technology rela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playground itself, most do not employ such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used in the swimming pool of the user, and in the case of a drowning prevention technology using an article worn by a us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ffect for preventing drowning is quite insufficient.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출원 제10-2016-0098975호Patent Application No. 10-2016-0098975

특허출원 제10-2016-0097963호Patent Application No. 10-2016-0097963

특허출원 제10-2017-0023853호Patent Application No. 10-2017-0023853

특허출원 제10-2015-0107966호Patent Application No. 10-2015-0107966

본 발명은 물놀이를 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직접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타입의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물놀이를 하는 사용자의 익수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이에 대한 감지나 모니터링을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더욱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방법으로 익수자에 대한 구조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익사 방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type device that a user who plays in the water can directly wear on his or her bod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capable of more effectively performing drowning prevention by allowing a rescue of a drowning person to proceed in an active mann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본체; 상기 웨어러블 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물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작동디바이스; 상기 사용자의 심박상태, 사용자의 동작 및 수압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작동디바이스를 상기 웨어러블 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구동부; 상기 센싱부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익수사고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분리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작동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디바이스가 상기 웨어러블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물에 뜬 상태에서 구조요청을 알리는 사고알람부를 포함한다.A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able body wearable on a user's body; an operating device detachably coupled to the wearable body and having buoyancy to float on water;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at least one of the user's heartbeat state, the user's motion, and water pressure; a separation driving unit separating the operating device from the wearable body;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operate the separation driving unit by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a drowning accident by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and an accident alarm unit provided in the operating device to notify a rescue request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wearable body and floated on water.

또한 바람직하게는, 물놀이장에 설치된 경광등,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단말기, 상기 물놀이장의 안전을 관리하는 관제센터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통신을 통해 구조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it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a warning light installed in the water park, a terminal preset by the user, and a control center that manages the safety of the water playground do it with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어러블 본체는, 상기 디바이스 몸체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디바이스 몸체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지지하는 수용지지부와, 상기 디바이스 몸체가 분리될 때 상기 디바이스 몸체를 탈거시키는 탈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 몸체는, 상기 수용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디바이스 몸체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지지하며 상기 분리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수용지지부에 지지된 상태를 해제하는 작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wearable body includes a receiving part in which the device body is accommodated, a receiving support part supporting a state in which the device body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and removing the device body when the device body is separated. It includes a detachable part, wherein the device body is supported by the accommodating support part to support the state in which the device body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nd an operation support part for releasing the state supported by the accommodating support part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separation driving part.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지지부는, 상기 디바이스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작동지지부와,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작동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구동부는, 상기 제1 작동지지부와 제2 작동지지부를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동시에 구동시키는 하나의 모터, 또는 상기 제1 작동지지부와 제2 작동지지부를 각각 또는 동시에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operation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rst operation support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evice body and a second operation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vice body, and the separation driving unit includes the first operation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ingle motor for simultaneously driving the support part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or a solenoid for driving the first operation support part and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part respectively or simultaneousl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부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심박상태를 감지하는 심박감지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가속도 및 회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관성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익수사고 시 익수자의 심박에 관한 심박 패턴 정보 및 익수자의 행동에 관한 행동 패턴 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심박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심박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심박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행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성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심박 정보 및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익수사고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n inertial sensor including a heart rate sensor sensing the heart rate state of the user by measuring the heart rate of the user, and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sensing acceleration and rotation according to the user's mo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presets heart rate pattern information on the heartbeat of the drowning person and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on the behavior of the drowning person during a drowning accident, and is detected by the heartbeat sensor based on the preset heartbeat pattern information analyzing the heartbeat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nalyzing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inertial sensor based on the preset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and using at least one of the analyzed heartbeat information and the motion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drowning acciden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부는, 수압을 감지하는 수압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심박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심박 정보 및 상기 관성센서에 의해 감지된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수압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익수사고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sensing unit further includes a water pressure sensor sensing water pressure,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heart rat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heart rate sensor and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inertial sensor and the water press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drowning accident by using the water press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본체와, 상기 웨어러블 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물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작동디바이스를 갖는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으로서, 센싱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심박, 동작 및 수압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센싱부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익수사고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작동디바이스에 구비되는 분리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분리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물에 뜬 상기 작동디바이스가 구조요청을 알리는 사운드 및 경광조명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able body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body, and an operating devic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wearable body and has buoyancy to float on wa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t least one of a heartbeat, an action, and a water pressure of the user by a sensing unit;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 has a drowning accident by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to operate a separate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operating device;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sound and a warning light informing a rescue request by the operating device separated from the wearable body and floating on wat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paration driving uni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익수사고 시 익수자의 심박에 관한 심박 패턴 정보 및 익수자의 행동에 관한 행동 패턴 정보를 미리 설정하며, 상기 센싱부는 심박감지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익수사고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작동디바이스에 구비되는 분리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심박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심박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심박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미리 설정된 행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성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심박 정보 및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익수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control unit of the wearable device presets heart rate pattern information regarding the heart rate of the drowning person and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regarding the behavior of the drowning person during a drowning accident, and the sensing unit includes a heart rate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a drowning accident and operating the separate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operating device, analyzing the heartbeat information of the user detected by the heartbeat sensor based on the preset heartbeat pattern information and analyzing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detected by the inertial sensor based on the preset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and the drowning accident of the user using at least one of the analyzed heart rate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디바이스에 구비된 무선통신부에 의해, 물놀이장에 설치된 경광등,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단말기, 상기 물놀이장의 안전을 관리하는 관제센터 중 적어도 하나에 무선통신을 통해 구조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a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at least one of a warning light installed in the water park, a terminal preset by the user, and a control center that manages the safety of the water park by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operating devi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nding out.

본 발명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은, 물놀이를 하는 사용자의 익수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이에 대한 감지나 모니터링을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더욱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방법으로 익수자에 대한 구조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익사 방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stop at detecting or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a drowning accident of a user playing in water, but also rescue the drowning person in a more active and active way.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that drowning prevention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예와 이의 주요 동작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분리구동부가 작동지지부를 작동시키는 예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구조요청이 이루어지는 예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in operations thereof.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shown in FIG. 1 .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separation driving unit shown in FIG. 1 operates the operation support unit.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rescue request is made using a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 및 주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First, a configuration and main operation of a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예와 이의 주요 동작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in operations thereof,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shown in FIG. 1 .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손목시계 또는 손목밴드 또는 소위 스마트워치 등과 같은 웨어러블 기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1 , the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earable device such as a wrist watch or wristband or a so-called smart watch.

본 발명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의 기기는 물론이고 사용자의 머리, 몸통, 다리나 발목 등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에 직접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라면 어떤 형태의 기기이든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The wearable device for preventing drow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head, torso, legs or ankles as well as the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wrist as described above, Any type of device can be implemented as long as it is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directly worn on a part of the body.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의 기기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evice that can be worn on a user's wris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WD)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본체(100)와, 상기 웨어러블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작동디바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1 , the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W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able body 100 that can be worn on a user's body, and the wearable body 100 is separated from the wearable body 100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perating device 200 that is coupled to be pos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이를 착용하여 물놀이장에서 물놀이를 하다가 익수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그 익수사고를 판단하고 작동디바이스(200)를 웨어러블 본체(100)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하고 이때 작동디바이스(200)가 물위에 뜬 상태에서 적극적인 구조요청 신호와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주변 사람들과 안전요원, 관제센터 등이 익수자를 구조할 수 있도록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drowning accident when a user wears it and a drowning accident occurs while playing in the water, and detaches the operating device 200 from the wearable body 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n active and active method so that nearby people, safety personnel, control center, etc. can rescue drowning people by providing an active rescue request signal and alarm while the operating device 200 is floating on the water. There is this.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동디바이스(200)가 웨어러블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의 (c)는 작동디바이스(200)가 웨어러블 본체(100)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Fig. 1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device 200 of the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wearable body 100, and Fig. 1 (c) shows the operating device ( 200 shows a state in which it is separated from the wearable body 100 .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어러블 본체(100)에는 상기 작동디바이스(2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110)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디바이스(200)가 상기 수용부(110)에 수용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상기 수용부(110)의 일측에는 수용지지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1 , the wearable body 10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art 110 that forms a space in which the operating device 200 can be accommodated, and the operating device 200 is An accommodating support part 112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 to support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0 .

또한, 익수사고 시 작동디바이스(200)가 웨어러블 본체(100)의 수용부(110)로부터 쉽게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디바이스(200)를 탈거시키는 탈거부(120)가 상기 수용부(110)와 작동디바이스(2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moval unit 120 for removing the operating device 200 so that the operating device 2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unit 110 of the wearable body 100 in the event of a drowning accident is provided with the receiving unit 110 and I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perating devices 200 .

한편, 상기 작동디바이스(200)는 디바이스 몸체(201)와 그 내부에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이 내장되어 구성되는데, 작동디바이스(200)는 익수사고시 웨어러블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물위에 뜰 수 있어야 하므로, 물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ng device 200 is configured with the device body 201 and various components built-in therein, and the operating device 200 is separated from the wearable body 100 in case of a drowning accident and should be able to float on the water. ,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material having buoyancy so that it can float on water.

상기 작동디바이스(200)에 내장될 수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2의 블록도로 나타내고 있다.Components that can be built into the operating device 200 are shown in the block diagram of FIG. 2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디바이스(200)에는 디스플레이(31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작동디바이스(200)가 물에 뜬 상태에서 구조요청을 알리는 사고알람부로서 사운드 모듈(320)과, LED 모듈(330)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이들 구성요소들은 도 1의 (b) 및 (c)에서도 도시되어 있다),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 동작 및 수압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싱부로서 가속도 센서(410), 자이로 센서(420), 심박감지센서(430), 수압센서(440) 등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operation device 200 may include a display 310 , and a sound module 320 and a sound module 320 as an accident alarm unit notifying a rescue request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device 200 floats on the water. , an LED module 330, etc. may be provided (these components are also shown in FIGS. 1 (b) and (c)),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t least one of the worn user's state, motion, and water pressure. As such, an acceleration sensor 410 , a gyro sensor 420 , a heartbeat sensor 430 , a water pressure sensor 440 ,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작동디바이스(200)를 상기 웨어러블 본체(100)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구동부(250)가 상기 작동디바이스(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상기 분리구동부(250)에 대해서는 도 1의 (b) 및 (c)에서도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a separation driving unit 250 for separating the operating device 200 from the wearable body 1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operating device 200 (for the separation driving unit 250, FIG. 1(b)) ) and (c) are also shown).

또한, 물놀이장에 설치된 경광등,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단말기, 물놀이장의 안전을 관리하는 관제센터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통신을 통해 구조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통신부(510)가 상기 작동디바이스(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라커키 등과 같은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RFID(5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0 that transmits a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a warning light installed in the water park, a terminal preset by the user, and a control center that manages the safety of the water playground is installed in the operating device 200 inside The RFID 520 may be provided in the device and may include an RFID 520 that allows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used for other purposes such as a locker key.

상기한 바와 같은 모든 구성요소들은 제어부(M)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M)의 제어 하에 구동되며, 상기 제어부(M)는 상기 센싱부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익수사고 여부를 판단하여 분리구동부(250)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All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M) and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M), and the control unit (M)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a drowning accident by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 drowning accident or not. (250) performs a function to operate.

또한, 상기 작동디바이스(200)는, 도 1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분리구동부(250)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지지부(351, 352)를 구비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 몸체(20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작동지지부(351)와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작동지지부(352)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물론 3 이상의 작동지지부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operation device 200, as shown in FIGS. 1 (b) and (c), is provided with operation support parts 351 and 352 operated by the internal separation driving part 250, more specifically A first operation support part 35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evice body 201 and a second operation support part 352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vice body 201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with three or more operating support.

이와 같이 2 이상의 작동지지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작동디바이스(200)가 웨어러블 본체(100)에 균형 있게 결합되어 있도록 할 수 있고 하나의 작동지지부가 오동작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작동디바이스(200)의 이탈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by providing two or more operating support units, the operating device 200 can be coupled to the wearable body 100 in a balanced manner, and even if one operating supporting unit malfunctions, the operating device 200 can be stably separated. .

상기 제1 작동지지부(351) 및 제2 작동지지부(352)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몸체(201)로부터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웨어러블 본체(100)에 구비된 수용지지부(112)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작동디바이스(200)가 웨어러블 본체(100)의 수용부(110)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용부(110) 내에 탈거부(120)로서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상기 작동디바이스(200)를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작동지지부(351) 및 제2 작동지지부(352)가 수용지지부(112)에 걸림되어 지지된다.The first operation support part 351 and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part 352 ar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device body 201,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By hooking the 112, the operating device 200 can be stab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110 of the wearable body 100, and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as a removable part 120 in the receiving part 110. The first operation support part 351 and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part 352 are caught and supported by the receiving support part 112 in a state in which the force pushing the operation device 200 is applied.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가 센싱부의 센싱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에게 익수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가 분리구동부(250)를 동작시키고,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구동부(250)가 구동력으로 제1 작동지지부(351) 및 제2 작동지지부(352)를 안쪽으로 당겨서 수용지지부(112)에 대한 지지 상태가 해제되고 이때 탈거부(120)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작동디바이스(200)가 웨어러블 본체(100)의 수용부(110)로부터 이탈하여 물 위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 drowning accident has occurred in the current user using the sensing result of the sensing unit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the separation driving unit 250 pulls the first operation support part 351 and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part 352 inward with a driving force to release the support state for the receiving support part 112, and at this time, the removal part 120 The operating device 200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part 110 of the wearable body 100 by the pushing force of the wearable body 100 and can be moved on the water.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도 3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a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the flowchart shown in FIG. 3 .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손목과 같은 자신의 신체 일부에 착용을 한 상태에서 작동을 시작하면서, 작동디바이스에 구비되는 센싱부에 의한 사용자의 심박, 사용자의 동작 등이 감지되고 수압센서에 의한 수압도 감지된다(S100).While the user starts operation while wearing the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part of his or her body such as a wrist, the user's heart rate, the user's operation, etc. This is detected and the water pressure by the water pressure sensor is also sensed (S100).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에 의한 중력 가속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동시에 자이로 센서에 의한 3축 방향의 회전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심박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심박을 감지한다. 그리고 수압센서가 수압을 감지한다.Specifically, a change in gravitational acceleration by an acceleration sensor is sensed, and a user's motion is sensed by detecting a rotation in three axes by a gyro sensor, and a heartbeat of the user is sensed by a heart rate sensor. And the water pressure sensor detects the water pressure.

이러한 각종 센서들의 감지 결과는 제어부에 전달되고, 제어부는 이들 센서들의 감지 결과를 분석하여(S110), 사용자에게 익수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The detection results of these various sensors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detection results of these sensors (S110), and determines whether a drowning accident has occurred to the user (S120).

상기 제어부는 익수자의 심박 패턴 정보 및 행동 패턴 정보에 관하여 미리 설정한다.The control unit presets heart rate pattern information and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of the drowning person.

정상적인 상태의 사람의 심박은 물에 빠져서 허우적거릴 경우 매우 높게 뛰게 되는데, 익수자의 경우에 어떤 심박 패턴을 갖게 되는지 미리 실험 등을 통해 데이터를 축적 및 분석하여 그 결과 통상적인 익수자의 심박 패턴 정보를 도출하여 제어부에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이를 '미리 설정된 익수자의 심박 패턴 정보'라 하기로 한다).The heart rate of a person in a normal state beats very high when drowning in water. The data is accumulated and analyzed in advance to determine what heart rate pattern the drowning person will have. Therefore, it can be set in advance in the control unit (this will be referred to as 'preset heart rate pattern information of the drowning person').

또한, 물놀이를 하는 사람의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행동과 익수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의 익수자의 행동은 확연히 차이가 나며, 익수자의 경우에 어떤 행동 패턴으로 동작을 하게 되는지 그 경우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의 센싱값과 자이로 센서의 센싱값에 관하여 미리 실험 등을 통해 데이터를 축적 및 분석하여 그 결과 통상적인 익수자의 행동 패턴에 따른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의 센싱값의 변화 패턴이나 센싱값을 이용하여 도출한 소정의 함수값의 범위 등의 정보를 제어부에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이를 '미리 설정된 익수자의 행동 패턴 정보'라 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re is a marked difference between the behavior of a person playing in the water and the behavior of a drowning person when a drowning accident occurs. As a result of accumulating and analyzing data through experiments in advance regarding the sensing value of the gyro sensor and the drowning person, a change pattern of the sensing value of the accelerometer and the gyro sensor according to the behavioral pattern of a typical drowning person or a predetermined value derived using the sensing value Information such as the range of the function value may be preset in the control unit (this will be referred to as 'pre-set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of the drowning person').

제어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익수자의 심박 패턴 정보 및 행동 패턴 정보에 관하여 미리 설정해 놓고, 예컨대 상기한 심박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사용자의 심박 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된 심박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감지된 심박 패턴이 상기 미리 설정된 심박 패턴과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유사한지 판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presets the heartbeat pattern information and behavioral pattern information of the drowning person, compares the user's heartbea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heartbeat sensor with the preset heartbeat pattern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detected heartbeat patter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preset heartbeat pattern is similar to a preset standard or more.

그리고, 예컨대 제어부는 상기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각각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소정의 함수값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nd,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 predetermined function value using the respective sensing values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 sensor, and determine whether the calculated value is included in a range of a preset value.

상기한 바와 같이 심박감지센서의 센싱 결과와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의 센싱 결과가 모두 상기한 익수자의 심박 패턴 정보 및 행동 패턴 정보에 해당할 경우, 제어부는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익수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20).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nsing result of the heart rate sensor and the sensing result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 sensor all correspond to the heart rate pattern information and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of the drowning person, the control unit may cause a drowning accident to the user currently wearing the wearable device.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has occurred (S120).

사용자에게 익수사고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곧바로 분리구동부(250, 도 2참조)를 구동시켜 제1 작동지지부와 제2 작동지지부(351, 352, 도 2 참조)를 작동시킴으로써 작동디바이스(200)를 웨어러블 본체(100)로부터 이탈시킨다.When a drowning accident occurs to the user, the control unit directly drives the separation drive unit (250, see FIG. 2) to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support parts (351, 352, see FIG. 2) to operate the operating device 200. It is separated from the wearable body 100 .

여기서, 분리구동부와 작동지지부의 구동에 관한 몇 가지 예에 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 some examples of the driving of the separation driving unit and the operation support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상기한 분리구동부는 제1 작동지지부와 제2 작동지지부를 캠이나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동시에 구동시키는 하나의 모터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제1 작동지지부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제2 작동지지부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로서 구현되거나 하나의 솔레노이드가 제1 작동지지부 및 제2 작동지지부를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paration driving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motor that simultaneously drives the first and second operating supporting units through a cam or power transmission means, or a solenoid and second operating supporting units for driving the first operating supporting unit. It may be implemented as a driving solenoid, or it may be implemented in a configuration such that one solenoid drives the first operation support part and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part at the same time.

도 4의 (a) 및 (b)는 제1 작동지지부(351)를 구동시키는 제1 솔레노이드(251) 및 제2 작동지지부(352)를 구동시키는 제2 솔레노이드(252)로서 분리구동부가 구현된 예를 나타내며, 도 4의 (a)는 제1 작동지지부(351)와 제2 작동지지부(352)가 돌출되어 수용지지부(112, 도 1 참조)에 걸려서 작동디바이스가 수용부(110, 도 1 참조)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제1 솔레노이드(251)가 작동하여 제1 작동지지부(351)를 끌어당기고 제2 솔레노이드(252)가 작동하여 제2 작동지지부(352)를 끌어당김으로써 작동디바이스가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를 나타낸다.4 (a) and (b) are the first solenoid 251 for driving the first operation support part 351 and the second solenoid 252 for driving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part 352, the separation driving part is implemented An example is shown, in Fig. 4 (a), the first operation support part 351 and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part 352 protrude and are caught in the accommodation support part 112 (refer to FIG. 1) so that the operating device is the accommodation part 110, FIG. 1 refer), in Fig. 4 (b), the first solenoid 251 operates to pull the first operation support 351, and the second solenoid 252 operates to operate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352. It indicates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part by pulling the .

상기 도 4의 (a) 및 (b)에서는 두 개의 솔레노이드가 각각 작동지지부를 구동하는 구성을 나타내었는데, 하나의 솔레노이드로 제1 작동지지부와 제2 작동지지부를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4 (a) and (b) show the configuration in which two solenoids respectively drive the operation support part,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first operation support part and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part to be driven simultaneously with one solenoid .

한편, 도 4의 (c) 및 (d)에서는 하나의 모터(253)와 동력전달수단으로서 작동핀(261, 262)을 이용하여 동시에 제1 작동지지부(351)와 제2 작동지지부(352)를 구동시키는 예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c) and (d) of Figure 4, using one motor 253 and the operation pins 261 and 262 as power transmission means, the first operation support part 351 and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part 352 at the same time. An example of driving is shown.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53)와 제1 작동지지부(351)가 제1 작동핀(261)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제2 작동지지부(352)와는 제2 작동핀(262)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모터(253)가 회전하면서 제1 작동핀(261)과 제2 작동핀(262)을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도록 구동시킴에 따라 제1 작동핀(261)에 연결된 제1 작동지지부(351)가 끌어당겨지고 또한 제2 작동핀(262)에 연결된 제2 작동지지부(352)가 끌어당겨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c) of FIG. 4 , the motor 253 and the first operation support part 351 are connected by the first operation pin 261 , and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part 352 and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part 351 are connected to the second operation pin 262 . ), as the motor 253 rotates and drives the first operation pin 261 and the second operation pin 262 to rotate as shown in FIG. 4 (d), the first operation pin The first operation support part 351 connected to the 261 may be pulled, and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part 352 connected to the second operation pin 262 may be attracted.

도 4에서 나타낸 구성과 동작은 몇 가지 예를 나타낸 것이고,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제1 작동지지부와 제2 작동지지부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shown in FIG. 4 are shown in some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ll configurations capable of simultaneously driving the first operation support part and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part using a single motor.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구동부가 작동하여 제1 작동지지부와 제2 작동지지부를 각각 끌어당김으로써 걸림 상태가 해제된 작동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본체로부터 이탈하여 물 위로 뜨게 된다(도 1 참조).Returning to FIG. 3 again,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device, in which the locking state is released by pulling the first operation support part and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part by the operation of the separation driving part, respectively, is separated from the wearable body and floats on the water (see FIG. 1 ). ).

물 위에 뜬 작동디바이스는 제어부에 의해 사운드 모듈(320, 도 2 참조)이 구동되어 미리 설정된 구조요청 사운드가 출력되고, LED모듈(330, 도 2 참조)이 구동되어 미리 설정된 패턴의 구조요청 조명이 출력되어 주변 사람들에게 구조요청에 대한 알람을 할 수 있다(S140).As for the operating device floating on the water, the sound module 320 (refer to FIG. 2) is driven by the control unit to output a preset rescue request sound, and the LED module (330, see FIG. 2) is driven to provide a preset pattern of rescue request lighting. It can be output to alert people around the rescue request (S140).

또한, 작동디바이스의 제어부는 무선통신부(510, 도 2 참조)를 통해 예컨대 비콘(Beacon) 신호를 송출하여 물놀이장 주변에 설치된 비콘 단말기를 통해 사고 발생을 알리는 경광등을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고, 물놀이장 내부에 설치된 AP를 통해 관제센터로 무선신호를 송출하여 구조요청을 할 수도 있다(S150).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operating device transmits, for example, a beacon sig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0 (refer to FIG. 2) to operate a warning light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through a beacon terminal installed around the water playground. A rescue request can also be made by transmitting a wireless signal to the control center through the AP installed inside the field (S150).

이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 more specific example of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5는 물놀이장(PL)과 그 주변에 설치된 비콘 통신 방식의 다수의 경광등(ML), 그리고 서버(SV)와 연결된 AP(Acess Point), 상기 AP를 통해 네트워크 가능한 관제센터(CS)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안전요원(SG) 등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5 is a water playground (PL) and a plurality of warning lights (ML) of a beacon communication method installed in the vicinity, and an AP (Access Point) connected to a server (SV), communication with a control center (CS) that can be networked through the AP It shows about a safety officer (SG) wearing a possible wearable device.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익수자(Pd)가 발생한 경우, 그 익수자(Pd)가 착용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작동디바이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물 위로 뜨게 되고, 물 위에 뜬 작동디바이스(200)는 구조요청 사운드 및 조명을 출력함과 함께 비콘 신호를 송출하여 주변의 경광등(ML)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주변의 사람들이 익수자를 인식하고 구조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state shown in FIG. 5 , when a drowning person Pd occurs, the operating device of the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orn by the drowning person Pd is removed from the wearable body as described above. It is separated and floats on the water, and the operating device 200 that floats on the water outputs a rescue request sound and light, and sends a beacon signal so that the surrounding warning lights (ML) operate, so that people around them recognize the drowning person and rescue them. make it possible

그리고, 작동디바이스가 송출하는 무선신호가 AP를 통해 안전요원(SG)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달되어 안전요원에게 익수자가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으며, 관제센터(CS)에 익수자의 발생을 알림으로써 구조에 관한 프로세스(예컨대, 물놀이장 내부의 방송으로 익수자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등)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by the operat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wearable device of the safety personnel (SG) through the AP, so that the safety personnel can be informed that a drowning person has occurred, and the rescue is saved by notifying the control center (CS) of the occurrence of the drowning person. related processes (eg, broadcasting inside the water park to notify that a drowning person has occurred, etc.) may be execu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은 물놀이를 하는 사용자의 익수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이에 대한 감지나 모니터링을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작동디바이스가 분리되어 물 위로 뜨게 만들고 그 물위에 뜬 작동디바이스가 적극적인 구조요청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적극적으로 익수자에 대한 구조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익사 방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detect or monitor the occurrence of a drowning accident of a user playing in water, but also separate the operating device from the wearable device worn by the user. It is a big deal in that drowning prevention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by making the floating device float on the water and allowing the floating device to execute various methods for an active rescue request so that the rescue of the drowning person can proceed more actively. There are advantages.

100: 웨어러블 본체, 110: 수용부
112: 수용지지부, 200: 작동디바이스
201: 디바이스 몸체, 250: 분리구동부
320: 사운드 모듈, 330: LED 모듈
100: wearable body, 110: receiving part
112: receiving support, 200: operating device
201: device body, 250: separate driving part
320: sound module, 330: LED module

Claims (9)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본체;
상기 웨어러블 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물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작동디바이스;
상기 사용자의 심박상태, 사용자의 동작 및 수압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작동디바이스를 상기 웨어러블 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구동부;
상기 센싱부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익수사고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분리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작동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디바이스가 상기 웨어러블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물에 뜬 상태에서 구조요청을 알리는 사고알람부를 포함하며,
상기 웨어러블 본체는 상기 작동디바이스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작동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지지하는 수용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디바이스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분리구동부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분리구동부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작동지지부가 상기 수용지지부에 지지된 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작동디바이스가 상기 웨어러블 본체에 대해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며,
상기 웨어러블 본체의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분리 가능한 상태의 작동디바이스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밀어 내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
a wearable body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body;
an operating device detachably coupled to the wearable body and having buoyancy to float on water;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at least one of the user's heartbeat state, the user's motion, and water pressure;
a separation driving unit separating the operating device from the wearable body;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operate the separation driving unit by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a drowning accident by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and
and an accident alarm unit provided in the operating device to notify a rescue request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wearable body and floated on water,
The wearable body includes a receiving part in which the operating device is accommodated, and a receiving support part support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devic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The operation device is supported by the accommodation support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includes an operation support portion operated by the separation driving portion,
As the separation driving unit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the operating support unit releases the state supported by the receiving support unit so that the operating device is in a detachable state with respect to the wearable body,
A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configured to push the operating device in a detachable state from the receiving portion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wearable body.
제1항에 있어서,
물놀이장에 설치된 경광등,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단말기, 상기 물놀이장의 안전을 관리하는 관제센터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통신을 통해 구조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a warning light installed in the water playground, a terminal preset by the user, and a control center for managing the safety of the water playground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지지부는,
상기 작동디바이스의 몸체를 구성하는 디바이스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작동지지부와,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작동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구동부는,
상기 제1 작동지지부와 제2 작동지지부를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동시에 구동시키는 하나의 모터, 또는 상기 제1 작동지지부와 제2 작동지지부를 각각 또는 동시에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support portion,
A first operation support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evice body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operation device, and a second operation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side,
The separation driving unit,
Drown pre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ingle motor for simultaneously driving the first operation support and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means, or a solenoid for respectively or simultaneously driving the first operation support and the second operation support. wearable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심박상태를 감지하는 심박감지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가속도 및 회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관성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익수사고 시 익수자의 심박에 관한 심박 패턴 정보 및 익수자의 행동에 관한 행동 패턴 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심박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심박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심박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행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성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심박 정보 및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익수사고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and an inertial sensor including a heartbeat sensor for detecting the heartbeat state of the user by measuring the heartbeat of the user, and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for detecting acceleration and rotation according to the user's motion,
The control unit is
In the event of a drowning accident, heart rate pattern information about the heartbeat of the drowning person and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about the behavior of the drowning person are set in advance,
Analyze the user's heartbea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heartbeat sensor based on the preset heartbeat pattern information, and analyze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inertial sensor based on the preset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drowning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analyzed heart rate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수압을 감지하는 수압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심박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심박 정보 및 상기 관성센서에 의해 감지된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수압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익수사고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nsing unit,
It further includes a water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water pressure,
The control unit is
and at least one of heart rat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heart rate sensor and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inertial sensor and water pressure information sensed by the water pressure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 drowning accident drowning-resistant wearable device.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본체와, 상기 웨어러블 본체의 수용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물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작동디바이스를 갖는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으로서,
센싱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심박, 동작 및 수압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센싱부의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익수사고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작동디바이스에 구비되는 분리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분리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작동디바이스에 구비되는 작동지지부가 상기 웨어러블 본체의 수용부에 구비되는 수용지지부에 대한 지지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작동디바이스가 상기 웨어러블 본체에 대해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며, 상기 웨어러블 본체의 수용부에 구비된 탄성부재가 상기 작동디바이스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작동디바이스가 상기 웨어러블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물에 뜬 상기 작동디바이스가 구조요청을 알리는 사운드 및 경광조명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A control method of a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having a wearable body wearable on a user's body, and an operating device detachably coupled to a receiving part of the wearable body and having buoyancy to float on water,
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heartbeat, motion, and water pressure by a sensing unit;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 has a drowning accident by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unit to operate a separate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paration driving unit, the operating support provided in the operating device is released from the supporting state of the receiving support provid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wearable body, so that the operating device is in a detachable state with respect to the wearable body, and the separating the operating device from the wearable body by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wearable body pushing the operating device; and
outputting, by the operating device separated from the wearable body and floating on water, at least one of a sound and a warning light notifying a rescue request;
A control method of a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익수사고 시 익수자의 심박에 관한 심박 패턴 정보 및 익수자의 행동에 관한 행동 패턴 정보를 미리 설정하며, 상기 센싱부는 심박감지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익수사고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작동디바이스에 구비되는 분리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심박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심박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심박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미리 설정된 행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된 심박 정보 및 동작 정보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익수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of the wearable device presets heart rate pattern information regarding the heart rate of the drowning person and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regarding the behavior of the drowning person during a drowning accident, and the sensing unit includes a heart rate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The step of judging whether the user has a drowning accident and operating the separation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operating device comprises:
analyzing the heartbeat information of the user detected by the heartbeat sensor based on the preset heartbeat pattern information;
analyzing the user's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 sensor based on the preset behavior pattern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has a drowning accident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analyzed heart rate information and motion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디바이스에 구비된 무선통신부에 의해, 물놀이장에 설치된 경광등,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단말기, 상기 물놀이장의 안전을 관리하는 관제센터 중 적어도 하나에 무선통신을 통해 구조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사 방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ransmitting a rescue request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at least one of a warning light installed in the water park, a terminal preset by the user, and a control center that manages the safety of the water playgroun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operating device Control method of the drowning prevention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190099037A 2019-08-13 2019-08-13 Wearable device for drowning prevention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2953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037A KR102295301B1 (en) 2019-08-13 2019-08-13 Wearable device for drowning prevention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037A KR102295301B1 (en) 2019-08-13 2019-08-13 Wearable device for drowning prevention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871A KR20210019871A (en) 2021-02-23
KR102295301B1 true KR102295301B1 (en) 2021-08-30

Family

ID=7468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037A KR102295301B1 (en) 2019-08-13 2019-08-13 Wearable device for drowning prevention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30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551B1 (en) * 2017-06-08 2017-10-27 (주)한국해양기상기술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e of emergency on the sea and server using the same
JP2018530088A (en) * 2015-08-24 2018-10-11 ブルーアーク・ファイナンス・アーゲー Device and method for early detection of deaf persons, etc. in order to protect them from drowning accid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0088A (en) * 2015-08-24 2018-10-11 ブルーアーク・ファイナンス・アーゲー Device and method for early detection of deaf persons, etc. in order to protect them from drowning accidents
KR101790551B1 (en) * 2017-06-08 2017-10-27 (주)한국해양기상기술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e of emergency on the sea and serve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871A (en)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5808B2 (en) Water safety monitoring devices, alarm devices and related methods
CN110198763B (en) Intelligent altitude safety system
US9691259B2 (en) Method to activate emergency alarm on a personal alarm safety system device
US10298339B2 (en) Water safety monitoring devices, alarm devices and related methods
JP719592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early detection of drowning, especially for drowning, in order to protect against drowning accidents
US200902807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danger of drowning
US200902955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etection of a Subject in Drowning or Near-Drowning Situation
US20070123121A1 (en) Water safety device
JP2005535041A (en) Rescue and safety equipment for swimming pools and leisure parks
US7106191B1 (en) Child distance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
US20180148144A1 (en) Personal Safety Device
US20140049394A1 (en) Water safety monitoring devices, alarm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8730049B2 (en) Water sensing electrode circuit
KR101990032B1 (en) A wearable smart device for distinguishing dangerous situation and a method for distinguishing dangerous situation using the same
EP2991052B1 (en) Multi-sensor based motion sensing in scba
CN105303767A (en) Fall prevention device
KR102295301B1 (en) Wearable device for drowning prevention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06981173A (en) A kind of monitoring method of the cell safety service platform based on property
KR101676813B1 (en) A alarm for saving a life
KR101015998B1 (en) Apparatus and system of monitoring emergency situation
US20210403132A1 (en) Personal aquatic safety device
EP3114659B1 (en) Mobile monitoring device
EP3178527B1 (en) Fall protection harness with damage indicator
US20220309897A1 (en) Wearable Safety Device for Swimming
JP2012118721A (en) Lifesaving warning system for swimming p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