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033B1 - 높낮이 조절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매트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033B1
KR102295033B1 KR1020210042217A KR20210042217A KR102295033B1 KR 102295033 B1 KR102295033 B1 KR 102295033B1 KR 1020210042217 A KR1020210042217 A KR 1020210042217A KR 20210042217 A KR20210042217 A KR 20210042217A KR 102295033 B1 KR102295033 B1 KR 102295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boundary line
main body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혁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로 filed Critical (주)제이브로
Priority to KR1020210042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47C27/083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with pressure control, e.g. with 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10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높낮이 조절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는,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판상형 구조로 팽창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소정 각도만큼 절곡 가능한 절곡면에 의해 장착되며, 각각 독립된 에어주입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경사형성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경사형성부 사이에 형성되고,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크기의 경사각을 형성하는 절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진 지면 위 또는 요철구조가 있는 지면 위에 설치함에 있어 경사구조 또는 요철구조를 상쇄하여 평탄화된 바닥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매트{Air Mat Having Height Adjustment Structure}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의 상태에 따라 구조를 변경하여 평탄화된 바닥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에어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웃도어 열풍과 함께 실내 또는 야외에서 간이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휴대용 매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매트 중, 공기를 주입하거나 제거하는 방식으로 내부에 공기를 충진시켜 쿠션감을 제공하면서도 공기를 제거하면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할 수 있는 에어매트가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에어매트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지닌 에어매트가 주로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실내 또는 야외에서 에어매트는 바닥에 직접적으로 맞닿도록 설치되며 필요시 간이침대를 별도로 준비하여 그 상부면에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한 매트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매트를 직접 바닥에 닿도록 설치하면 시간과 설치 편의성은 증대되나, 바닥의 냉기로부터 사용자의 체온을 보호하기 어렵고 바닥의 굴곡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감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트래킹을 주로 다니는 사용자의 경우 코트(Cot) 또는 간이 침대를 별도로 준비하여 트래킹 장비가 늘어나는 부담이 문제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인식 하에, 공기가 주입되어 쿠션감을 제공하는 에어매트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필요시 바닥과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코트(Cot) 등으로 전용이 가능한 기능성 에어매트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에어매트가 개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에어매트를 살펴보면, 본체부(10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폭방향으로 다수의 채널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공기주입부(13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간격의 날개부(150)가 상기 본체부(100)와 평행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 타측에는 공기배출구(170)가 구비되되, 상기 날개부(150)에는 접거나 펼 수 있는 지지다리부(20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봉(230)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기능성 에어매트가 코트(Cot)로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다용도 기능성 에어매트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에어매트 역시 요철 구조가 있거나 경사구조가 형성된 바닥면에 사용될 경우,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에어매트를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내부에 설치할 경우, 경사구조 및 바닥 요철구조로 인해 평탄화된 바닥면이 형성된 에어매트를 구현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0454호 (등록일자: 2005년10월31일)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진 지면 위 또는 요철구조가 있는 지면 위에 설치함에 있어 경사구조 또는 요철구조를 상쇄하여 평탄화된 바닥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매트는,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판상형 구조로 팽창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소정 각도만큼 절곡 가능한 절곡면에 의해 장착되며, 각각 독립된 에어주입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경사형성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경사형성부 사이에 형성되고,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크기의 경사각을 형성하는 절곡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의 일측 부분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판상형 구조로 팽창하는 제1본체부; 상기 제1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의 경사 시작부분에 배치되는 경계라인; 및 상기 경계라인을 기준으로 바닥면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구조로 장착되고, 제1본체부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며, 제1본체부와 함께 내부 유체 주입을 통해 팽창하는 제2본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경계라인은,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상기 본체부의 폭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면상으로 보았을 때, 바닥면으로부터 제1본체부 방향으로 기울어진 직선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경계라인은,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상기 본체부의 테두리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는 테두리 경계라인; 및 측면상으로 보았을 때,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형성하는 하부면 경계라인;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경계라인에는, 각각의 경계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경계라인의 폭을 증가시키거나, 내부에 공기를 배출하여 경계라인의 폭을 감소시키는 구조의 경계라인 폭변경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경계라인 폭변경부는, 각각의 경계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 결속되고, 공기주입라인의 위치를 고정하는 결속라인; 및 상기 결속라인에 결속되며,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하거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축소하는 공기주입라인;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매트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경계라인 폭변경부의 공기주입라인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키는 공기펌핑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 연결되며,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공기펌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성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절곡면에 의해 결속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될 수 있는 구조이며, 팽창하여 바닥면과 제1경사각을 형성하는 제1팽창부; 상기 제1팽창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절곡면에 의해 결속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될 수 있는 구조이며, 팽창하여 바닥면과 제2경사각을 형성하는 제2팽창부; 및 상기 제2팽창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절곡면에 의해 결속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될 수 있는 구조이며, 팽창하여 바다면과 제3경사각을 형성하는 제3팽창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곡면은 탈부착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매트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 및 경사형성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본체부의 내부에 주입된 유체의 압력값과 경사형성부 내부에 주입된 유체의 압력값을 검출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압력검출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본체부의 내부 및 경사형성부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펌핑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 연결되며,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공기펌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매트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 및 경사형성부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바닥면으로부터 인가되는 압력값을 검출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요철구조 검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 및 경사형성부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상부면의 기울기를 검출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기울기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요철구조 검출부 및 기울기 검출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와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공기펌핑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매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경사형성부, 절곡면을 구비함으로써, 경사진 지면 위 또는 요철구조가 있는 지면 위에 설치함에 있어 경사구조 또는 요철구조를 상쇄하여 평탄화된 바닥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매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본체부, 경계라인 및 제2본체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구비함으로써, 바닥면의 경사 시작부분에 경계라인을 위치하여 에어매트를 배치함으로써, 바닥면의 경사 구조에 맞춤 적용할 수 있는 에어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매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경계라인 폭변경부가 형성된 테두리 경계라인과 하부면 경계라인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공기주입라인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켜 경계라인의 폭을 변경할 수 있어, 에어매트의 평면상 넓이와 측면상 높이를 설치환경에 맞춰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에어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매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팽창부, 제2팽창부 및 제3팽창부를 포함하는 경사형성부를 구비함으로써, 각각 독립적으로 팽창될 수 있는 제1팽창부, 제2팽창부 및 제3팽창부를 이용하여 바닥면의 경사각에 맞춰 팽창시킬 수 있어, 에어매트의 상부면 구조를 평탄한 구조로 손쉽게 형성할 수 있는 에어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매트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압력검출부, 공기펌핑부, 요철구조 검출부, 기울기 검출부 및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 연결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설정값에 따라 에어매트를 구성하는 본체부와 경사형성부 내부에 공기를 자동으로 주입하거나 배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에어매튼 상부면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에어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차량 내부 바닥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에어매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에어매트를 경사면이 형성된 바닥면에 적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에어매트를 경사면이 형성된 바닥면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선 절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C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D-D'선 절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에어매트를 요철구조, 단차구조 및 경사면이 형성된 바닥면에 적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에어매트를 요철구조, 단차구조 및 경사면이 형성된 바닥면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100)는, 특정 구조의 본체부(110), 경사형성부(120), 절곡면(130)을 구비함으로써, 경사진 지면 위 또는 요철구조가 있는 지면 위에 설치함에 있어 경사구조 또는 요철구조를 상쇄하여 평탄화된 바닥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에어매트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에어매트를 경사면이 형성된 바닥면에 적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4에 도시된 에어매트를 경사면이 형성된 바닥면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100)의 본체부(110)는,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판상형 구조로 팽창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유체는 공기를 포함하여 특수 기체 또는 물과 같은 액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100)의 경사형성부(120)는,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소정 각도만큼 절곡 가능한 절곡면(130)에 의해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각각 독립된 에어주입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에어매트(100)의 절곡면(130)은, 본체부(110)와 경사형성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크기의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제1본체부(111), 경계라인(113) 및 제2본체부(11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의 제1본체부(111)는,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의 일측 부분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판상형 구조로 팽창하는 구성일 수 있다.
경계라인(113)은, 제1본체부(111)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의 경사 시작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본체부(112)는, 경계라인(113)을 기준으로 바닥면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1본체부(111)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며, 제1본체부(111)와 함께 내부 유체 주입을 통해 팽창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경계라인(113)은,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상기 본체부(110)의 폭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계라인(113)은, 측면상으로 보았을 때, 바닥면으로부터 제1본체부(111) 방향으로 기울어진 직선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본체부(111), 경계라인(113) 및 제2본체부(112)를 포함하는 본체부(110)를 구비함으로써, 바닥면의 경사 시작부분에 경계라인(113)을 위치하여 에어매트를 배치함으로써, 바닥면의 경사 구조에 맞춤 적용할 수 있는 에어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성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제1팽창부(121), 제2팽창부(122) 및 제3팽창부(12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팽창부(121)는,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절곡면(130a)에 의해 결속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될 수 있는 구조이며, 팽창하여 바닥면과 제1경사각(a1)을 형성할 수 있다.
제2팽창부(122)는, 제1팽창부(121)의 일단부에 형성된 절곡면(130b)에 의해 결속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될 수 있는 구조이며, 팽창하여 바닥면과 제2경사각(a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팽창부(123)는, 제2팽창부(122)의 일단부에 형성된 절곡면(130c)에 의해 결속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될 수 있는 구조이며, 팽창하여 바다면과 제3경사각(a3)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언급한 절곡면(130, 130a, 130b, 130b)은 탈부착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팽창부(121), 제2팽창부(122) 및 제3팽창부(123)를 포함하는 경사형성부(120)를 구비함으로써, 각각 독립적으로 팽창될 수 있는 제1팽창부(121), 제2팽창부(122) 및 제3팽창부(123)를 이용하여 바닥면의 경사각에 맞춰 팽창시킬 수 있어, 에어매트의 상부면 구조를 평탄한 구조로 손쉽게 형성할 수 있는 에어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의 A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도 8의 B-B'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의 C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도 11의 D-D'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는 도 10에 도시된 에어매트를 요철구조, 단차구조 및 경사면이 형성된 바닥면에 적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의 경계라인(113)은, 특정 구조의 테두리 경계라인(도 7의 113a) 및 하부면 경계라인(도 10의113b)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테두리 경계라인(113a)은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상기 본체부(110)의 테두리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면 경계라인(113b)은 측면상으로 보았을 때,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경계라인(113a, 113b)에는 경계라인 폭변경부(114)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계라인 폭변경부(114)는, 각각의 경계라인(113a, 113b)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경계라인(113a, 113b)의 폭을 증가시키거나, 내부에 공기를 배출하여 경계라인(113a, 113b)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경계라인 폭변경부(114)는,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결속라인(114a) 및 공기주입라인(114b)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결속라인(114a)은, 각각의 경계라인(113)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 결속되고, 공기주입라인(114b)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공기주입라인(114b)은, 상기 결속라인(114a)에 결속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하거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축소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경계라인 폭변경부(114)가 형성된 테두리 경계라인(113a)과 하부면 경계라인(113b)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공기주입라인(114b)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켜 경계라인(113)의 폭을 변경할 수 있어, 에어매트의 평면상 넓이와 측면상 높이를 설치환경에 맞춰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울퉁불퉁한 요철구조, 단차구조, 경사구조가 형성되어 있을지라도, 앞서 언급한 구성을 통해 평탄한 구조의 상부면을 갖는 에어매트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의 제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도 7 내지 도 12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10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공기펌핑부(142) 및 제어부(141)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펌핑부(142)는,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경계라인 폭변경부(114)의 공기주입라인(114b)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어부(141)는,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 연결되며,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공기펌핑부(14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10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압력검출부(143), 요철구조 검출부(144) 및 기울기 검출부(145)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검출부(143)는, 본체부(110)의 일측 및 경사형성부(120)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본체부(110)의 내부에 주입된 유체의 압력값과 경사형성부(120) 내부에 주입된 유체의 압력값을 검출하여 제어부(141)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공기펌핑부(142)는, 제어부(141)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본체부(110)의 내부 및 경사형성부(12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1)는,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 연결되며,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공기펌핑부(14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요철구조 검출부(144)는, 본체부(110)의 하부면 및 경사형성부(120)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바닥면으로부터 인가되는 압력값을 검출하여 제어부(14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기울기 검출부(145)는, 본체부(110)의 하부면 및 경사형성부(120)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상부면의 기울기를 검출하여 제어부(141)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1)는, 요철구조 검출부(144) 및 기울기 검출부(145)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와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공기펌핑부(14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10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압력검출부(143), 공기펌핑부(142), 요철구조 검출부(144), 기울기 검출부(145) 및 제어부(141)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 연결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설정값에 따라 에어매트를 구성하는 본체부(110)와 경사형성부(120) 내부에 공기를 자동으로 주입하거나 배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에어매튼 상부면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에어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에어매트
110: 본체부
111: 제1본체부
112: 제2본체부
113: 경계라인
113a: 테두리 경계라인
113b: 하부면 경계라인
114: 경계라인 폭변경부
114a: 결속라인
114b: 공기주입라인
115: 측면장착 쿠션부
116: 하부면장착 쿠션부
120: 경사형성부
121: 제1팽창부
122: 제2팽창부
123: 제3팽창부
a1: 제1경사각
a2: 제2경사각
a3: 제3경사각
N1: 공기주입구
N2: 공기주입구
N3: 공기주입구
130: 절곡면
141: 제어부
142: 공기펌핑부
143: 압력검출부
144: 요철구조 검출부
145: 기울기 검출부

Claims (5)

  1.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판상형 구조로 팽창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소정 각도만큼 절곡 가능한 절곡면(130)에 의해 장착되며, 각각 독립된 에어주입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경사형성부(120); 및
    상기 본체부(110)와 경사형성부(120) 사이에 형성되고,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크기의 경사각을 형성하는 절곡면(130);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10)는,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의 일측 부분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판상형 구조로 팽창하는 제1본체부(111);
    상기 제1본체부(111)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의 경사 시작부분에 배치되는 경계라인(113); 및
    상기 경계라인(113)을 기준으로 바닥면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는 구조로 장착되고, 제1본체부(111)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며, 제1본체부(111)와 함께 내부 유체 주입을 통해 팽창하는 제2본체부(112);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10)의 경계라인(113)은,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상기 본체부(110)의 테두리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는 테두리 경계라인(113a); 및
    측면상으로 보았을 때,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형성하는 하부면 경계라인(113b);
    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경계라인(113a, 113b)에는,
    각각의 경계라인(113a, 113b)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경계라인(113a, 113b)의 폭을 증가시키거나, 내부에 공기를 배출하여 경계라인(113a, 113b)의 폭을 감소시키는 구조의 경계라인 폭변경부(114);
    를 포함하며,
    상기 경계라인 폭변경부(114)는,
    각각의 경계라인(113)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 결속되고, 공기주입라인(114b)의 위치를 고정하는 결속라인(114a); 및
    상기 결속라인(114a)에 결속되며,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하거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축소하는 공기주입라인(114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매트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고, 경계라인 폭변경부(114)의 공기주입라인(114b)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키는 공기펌핑부(142); 및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 연결되며,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공기펌핑부(14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성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절곡면(130)에 의해 결속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될 수 있는 구조이며, 팽창하여 바닥면과 제1경사각(a1)을 형성하는 제1팽창부(121);
    상기 제1팽창부(121)의 일단부에 형성된 절곡면(130)에 의해 결속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될 수 있는 구조이며, 팽창하여 바닥면과 제2경사각(a2)을 형성하는 제2팽창부(122); 및
    상기 제2팽창부(122)의 일단부에 형성된 절곡면(130)에 의해 결속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될 수 있는 구조이며, 팽창하여 바다면과 제3경사각(a3)을 형성하는 제3팽창부(123);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면(130)은 탈부착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매트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 및 경사형성부(120)의 일측에 장착되고, 본체부(110)의 내부에 주입된 유체의 압력값과 경사형성부(120) 내부에 주입된 유체의 압력값을 검출하여 제어부(141)에 전달하는 압력검출부(143);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고, 제어부(141)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본체부(110)의 내부 및 경사형성부(12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펌핑부(142);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 연결되며,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공기펌핑부(14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1);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면 및 경사형성부(120)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바닥면으로부터 인가되는 압력값을 검출하여 제어부(141)에 전달하는 요철구조 검출부(144); 및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면 및 경사형성부(120)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상부면의 기울기를 검출하여 제어부(141)에 전달하는 기울기 검출부(145);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41)는, 요철구조 검출부(144) 및 기울기 검출부(145)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와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공기펌핑부(142)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매트.
KR1020210042217A 2021-03-31 2021-03-31 높낮이 조절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매트 KR102295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217A KR102295033B1 (ko) 2021-03-31 2021-03-31 높낮이 조절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217A KR102295033B1 (ko) 2021-03-31 2021-03-31 높낮이 조절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033B1 true KR102295033B1 (ko) 2021-08-31

Family

ID=7748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217A KR102295033B1 (ko) 2021-03-31 2021-03-31 높낮이 조절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0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799B1 (ko) 2021-11-01 2022-10-06 윤순일 에어 쿨링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4Y1 (ko) 2005-08-12 2005-11-08 장성철 욕창방지 좌우가변 에어매트리스
JP2007516041A (ja) * 2003-12-23 2007-06-21 エム. カサツコ,ビクター 多形態のエアマットレス装置
KR20100030751A (ko) * 2008-09-11 2010-03-19 이은규 3단식 다용도 냉온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6041A (ja) * 2003-12-23 2007-06-21 エム. カサツコ,ビクター 多形態のエアマットレス装置
KR200400454Y1 (ko) 2005-08-12 2005-11-08 장성철 욕창방지 좌우가변 에어매트리스
KR20100030751A (ko) * 2008-09-11 2010-03-19 이은규 3단식 다용도 냉온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799B1 (ko) 2021-11-01 2022-10-06 윤순일 에어 쿨링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6426B2 (en) Collapsible liquid reservoir
KR102295033B1 (ko) 높낮이 조절 구조를 포함하는 에어매트
US9645609B2 (en) Protective case with keyboar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5898963A (en) Adjustable support cervical pillow
ES2794075T3 (es) Mueble plegable, portátil y compacto
US8104125B2 (en) Self-contained gatching, rotating and adjustable foot section mattress
US20200253388A1 (en) Topper with targeted fluid flow distribution
US5190350A (en) Seating arrangement
US7246393B2 (en) Inflatable mattress
CN103622356B (zh) 坐垫,用该坐垫的座位装置和套件
US8336143B2 (en) Air mattress
US20070241147A1 (en) Baby Carrier
CN102014700A (zh) 用于适应波形支承面的组件
US10517406B2 (en) Cushion wedge
US20100132119A1 (en) Sleep aid
CN108621891A (zh) 用于可躺式座椅的腿部支撑部选项
US20080016623A1 (en) Infant diaper changing system
JP2011045400A (ja) 自動厚さ可変枕敷きマット
JP2004249088A (ja)
KR100636800B1 (ko) 슬림 슬라이드 욕조
KR200393712Y1 (ko) 치질 돌출 방지용 방석
KR102482251B1 (ko) 신생아 쿠션 및 이를 포함하는 쿠션침대
EP3417742A1 (en) Sleeping support
US9072391B1 (en) Portable maternity mat
KR102608342B1 (ko) 위산역류방지용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