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983B1 -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983B1
KR102294983B1 KR1020190168957A KR20190168957A KR102294983B1 KR 102294983 B1 KR102294983 B1 KR 102294983B1 KR 1020190168957 A KR1020190168957 A KR 1020190168957A KR 20190168957 A KR20190168957 A KR 20190168957A KR 102294983 B1 KR102294983 B1 KR 102294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device
pad
pad part
electrically connected
contac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7381A (ko
Inventor
김한림
Original Assignee
김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림 filed Critical 김한림
Priority to KR1020190168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9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7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7Evaluating brux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패드부가 동작장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패드부가 동작장치에 부착된 상태일 때, 접촉단자를 통해 근전도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되, 자극신호가 패드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는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Bruxism detecting system in which pad part and operating device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contact terminal}
본 발명은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패드부가 동작장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패드부가 동작장치에 부착된 상태일 때, 접촉단자를 통해 근전도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되, 자극신호가 패드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는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갈이는 저작이나 연하운동 이외에 턱의 강한 운동에 의해 이를 악물거나 이를 가는 것을 포함하며, 보통 음식물을 씹을 때보다 2 ~ 10배 이상의 힘으로 이를 갈게 되며, 주로 수면 중에 이를 갈게 되지만 낮에 이를 가능 경우도 있다.
이갈이는 한국 전체 인구 중 10% 정도가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민하고 심리상태가 불안정한 상태일 때 잘 나타나고 스트레스가 그 원인이 된다. 그 박께 치아가 잘 맞지 않는 부정교합, 음주 등도 원인이 되며, 유전, 특정 약의 복용, 중추신경계 장애 등도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갈이는 부분적으로 이에 강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치주조직을 상하게 하거나 마모가 생겨 치아의 표면이 닳고, 치아 주위의 조직이 손상되어 찬 음식을 먹으면 이가 시리며, 심한 경우에는 이가 흔들리기도 한다.
이갈이는 심리적인 치료를 시행하거나,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교합안정장치르 장착하거나, 약물치료를 시행하는 등 병원에서 전문적으로 치료를 받을 수도 있다.
최근에는 가정에서 수면 중에 간편하게 이갈이를 진단하고 이를 방지하는 등의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이갈이 진단방법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631500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피검사자의 머리에 장착되어 수면자세 변화에 따른 기울기 신호와, 피검사자의 이갈이와 치아 악물기로 발생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고, 분석 단말기로부터 치료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수면자세 교정신호를 출력하는 헤드셋; 및 상기 헤드셋이 출력하는 기울기 신호와 근전도 신호로부터 피검사자의 수면자세 변화, 이갈이와 치아 악물기의 발생횟수, 시간, 강도를 포함한 증상과 검출 정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고, 상기분석 결과에 따른 치료 신호를 상기 헤드셋으로 전송하는 분석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헤드셋의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이갈이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경우, 수면 중 헤드셋을 쓰고 있는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해야 되는 바, 수면 중 불편함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숙면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KR 10-1631500 B1 2016.06.13.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패드부가 동작장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패드부가 동작장치에 부착된 상태일 때, 접촉단자를 통해 근전도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되, 자극신호가 패드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는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400)과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면서 동작장치(300)에서 측정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는 서버(100);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패드부(200); 상기 패드부(200)과 접촉단자(3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패드부(200)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전달받거나 상기 패드부(200)로 자극신호를 전달하는 동작장치(300); 및 상기 동작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패드부(200)는, 도전성 및 접착성을 갖는 소재의 겔 패드로 이루어져, 한 쌍이 상기 동작장치(300)의 하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동작장치(300)는,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310);
하부면에 상기 패드부(200)가 탈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3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패드 부착부(340); 상기 서버(100)로 동작장치(300)에서 측정되는 측정신호를 전달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작동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 상단측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패드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접촉단자(320); 상기 동작장치(300)에 필요한 전원을 저장 및 공급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로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단자(330)를 포함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패드 부착부(340)는, 절연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촉단자(320)가 관통되는 한 쌍의 연결홈(341a)이 구성되는 부착용 몸체(341); 상기 부착용 몸체(341)의 하부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한 쌍이 상기 연결홈(341a)과 각각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패드부(200)가 탈부착되는 탈부착홈(342); 및 상기 탈부착홈(342)에 부착된 패드부(200)와 면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한 쌍이 상기 연결홈(341a)에 구비되는 전도용 박판(343);을 포함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접촉단자(320)는, 중공의 기둥 형태로 구성되며, 하부면과 상부면에는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는 몸체(321); 상단부가 상기 몸체(321)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노출되되, 하단부가 상기 연결홈(341a)을 관통하여 상기 전도용 박판(343)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몸체(32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접촉부(322); 및 상기 접촉부(322)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탄성체(323);를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축전지는, 직접 USB 케이블이 연결되어 충전되거나 거치대(500)에 거치한 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거치대(500)는, 상기 패드부(200)와 대응되는 안착홈(510)이 구성되며, 상기 안착홈(510)에는 상기 동작장치(300)의 충전단자(330)와 맞물리는 충전돌기(520)가 안착홈(510)의 폭방향 일측에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안착홈(510)의 폭방향 타측에는, 상기 동작장치(300)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동작장치(300)를 고정하는 고정돌기(540)가 구비되고, 상기 동작장치(300)의 측면 일측에는, 상기 고정돌기(540)가 억지 삽입되는 고정홈(360)이 더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310)에는 제 1자력부(350)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500)에는 제 2자력부(530)가 구비되어 상기 제 1자력부(350)와 제 2자력부(530)의 자력에 의해 동작장치(300)와 거치대(500)가 체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패드부가 동작장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패드부가 동작장치에 부착된 상태일 때, 접촉단자를 통해 근전도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되, 자극신호가 패드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거치대에 안착된 상태에서 동작장치의 충전이 가능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거치 및 휴대가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부가 교체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 패드부의 성능이 떨어지면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패드부, 동작장치 및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갈이 감지장치 스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A-A'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B-B'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갈이가 발생된 상태의 EMS 신호 그래프 실시예의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인터페이스 출력 실시예의 도면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400)과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면서 동작장치(300)에서 측정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는 서버(100);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패드부(200); 상기 패드부(200)과 접촉단자(3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패드부(200)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전달받거나 상기 패드부(200)로 자극신호를 전달하는 동작장치(300); 및 상기 동작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으로 구성된 사용자 단말기(400)과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면서 동작장치(300)에서 측정되는 측정신호를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부(200)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이갈이 현상을 측정하거나, 이갈이 현상이 발생된 경우, 자극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전성 및 접착성을 갖는 소재의 겔 패드로 이루어져, 한 쌍이 상기 동작장치(300)의 하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패드부(200)는 도전성 및 접착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동작장치(300)와 접촉되는 제 1층, 도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 1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층 및 도전성 및 접착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 2층의 하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피부와 부착되는 제 3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패드부(200)는 동작장치(300) 및 피부와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전기적 신호를 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패드부(200)는 이갈이 현상을 측정하고 이에 전기 자극을 부여하기 위한 것인 바, 사용자의 하관 또는 관자놀이 주변 등의 피부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작장치(300)는 상기 패드부(200)와 체결된 상태에서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며, 측정된 신호를 분석하여 이갈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극신호를 부가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케이스(310), 패드 부착부(340), 제어부, 접촉단자 및 충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310)는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케이스(310)의 상부면에는 충전 상태를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LED 램프(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310)의 일측에는 전원버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드 부착부(340)는, 하부면에 상기 패드부(200)가 탈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310)의 하부에 구비되도록 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용 몸체(341), 탈부착홈(342) 및 전도용 박판(343)을 포함한다.
상기 부착용 몸체(341)는 절연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촉단자(320)가 관통되는 한 쌍의 연결홈(341a)이 구성된다.
부연하며, 상기 부착용 몸체(341)는 상기 케이스(31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케이스보다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되,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의 형태로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홈(341a)은 한 쌍이 상기 부착용 몸체(34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면서 배치되는데, 상기 부착용 몸체(34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동일한 거리에 배치된다.
상기 탈부착홈(342)은 상기 부착용 몸체(341)의 하부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한 쌍이 상기 연결홈(341a)과 각각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패드부가 탈부착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탈부착홈(342)은 상기 패드부와 대응되는 홈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의 깊이는 상기 패드부(2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패드부(200)가 상기 탈부착홈(342)에 부착된 상태일 때, 상기 패드부(20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사용자의 피부에 쉽게 탈부착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탈부착홈(342)은 상기 연결홈(341a)과 같이 상기 부착용 몸체(34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구비된다.
상기 전도용 박판(343)은 상기 패드부(200)와 동작장치(300) 간의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탈부착홈(342)에 부착된 패드부(200)와 면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한 쌍이 상기 연결홈(341a)에 구비된다.
부연하면, 상기 전도용 박판(343)은 전도성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하면이 상기 탈부착홈(342)에 부착된 패드부(200)와 면접촉되고, 상면이 이후 후술할 접촉단자(320)와 접촉되면서 상기 패드부(200)와 접촉단자(3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전도용 박판(343)은 중심부가 하방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하부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돌출면(343a)을 포함하는 절곡된 박판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돌출면(343a)이 상기 연결홈(341a)을 관통하여 탈부착홈(342)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도용 박판(343)의 돌출면(343a)에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보조 연결부(343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연결부(343b)는 이후 후술할 접촉단자(320)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접촉단자(320)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와 패드부(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100)로 동작장치(300)에서 측정되는 측정신호를 전달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작동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회로 기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접촉단자(320)는 상단측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패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접촉단자(320)가 상기 패드 부착부(340)와 안정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단자(320)는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하며, 이를 위해 몸체(321), 접촉부(322), 탄성체(32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321)는 중공의 기둥 형태로 구성되며, 하부면과 상부면에는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322)는 상단부가 상기 몸체(321)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노출되되, 하단부가 상기 연결홈(341a)을 관통하여 상기 전도용 박판(343)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몸체(321)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접촉부(322)는 상단에 상기 몸체(321)의 하부면과 걸림 가능하게 구성된 걸림돌기(322a)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322)의 하단은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촉 면적이 최대인 상태로 상기 전도용 박판(343)의 보조 연결부(343b)와 접촉함으로써, 상호 구성 간의 접촉 연결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탄성체(323)는 상기 접촉부(322)의 걸림돌기(322a)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부연하면, 상기 탄성체(323)는 압축된 상태로 상기 몸체(321)의 내부에 구비되어 항상 상기 접촉부(322)를 하방으로 밀어내면서 가압하는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접촉단자(320)는 상기 접촉부(322)의 하단이 항상 보조 연결부(343b)를 가압하는 상태가 되면서 상기 접촉단자(320)와 상기 전도용 박판(343)이 안정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게 하며, 상기 접촉단자(320)가 상기 전도용 박판(343)을 가압하는 힘에 의해 상기 전도용 박판(343)의 돌출면(343a)이 상기 패드부(200)와 안정적으로 면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접촉단자(320)는 모두 전도체로 이루어져 전기신호의 전달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충전부는 상기 동작장치(300)에 필요한 전원을 저장 및 공급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로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단자(33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동작장치(300)는 상기 패드부(200)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패드부(200)가 부착된 위치의 근전도 신호를 전달받아 이갈이 발생 여부를 판단하며, 이갈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극신호를 전달하게 한다.
부연하면, 상기 동작장치(300)의 탈부착홈(342)에 패드부(200)를 부착하게 되면, 상기 패드부(200)와 제어부가 전도용 박판(343)과 접촉단자(320)의 연결에 의해 상호 구성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상기 패드부(200)를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게 되면, 상기 접촉단자(320)는 부착된 위치의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근전도 신호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달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이갈이 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이갈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극신호가 송출되도록 상기 동작장치(300)를 제어하게 된다.
부연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드부(200)가 부착된 상태에서 수의적 수축시의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여 이를 기준신호로 설정하게 되며, 설정된 기준신호 값과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근전도 신호 값을 비교하여 측정된 값이 기준신호 값을 초과하되, 초과된 근전도 신호 값의 지속시간이 기준시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이갈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측정된 근전도 신호 값이 기준신호 값보다 40%를 초과하되, 근전도 신호 값이 5초 이상 40초 이하의 시간동안 기준신호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갈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근전도 신호 값이 5초 미만인 경우에는 이갈이 현상이 아닌 단순 움직임인 가능성이 있고, 40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사용자가 상기 동작장치(300)의 오작동인 경우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근전도 신호 값이 5초 이상 40초 이하의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기준신호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갈이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준신호는 더욱 정확한 이갈이 현상의 측정을 위해 사용자가 착용시마다 측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이갈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부(322)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로 전기 자극이 전달되도록 하며, 이때 전달되는 전기 자극은 전기자극은 0.1 ~ 7mA의 세기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전기자극의 세기가 0.1mA 미만인 경우, 자극이 너무 약하여 사용자가 이갈이 중임을 인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상기 전기자극의 세기가 7mA를 초과하는 경우, 자극의 세기가 너무 강하여 수면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극신호의 송출시, 동일한 세기의 자극을 반복적으로 송출하거나, 세기가 점차적으로 커지는 자극을 송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축부가 인체에 부착된 패드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동작장치(300)의 전원이 자동으로 켜지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근전도 신호, 이갈이 발생 여부, 인가된 전기자극의 세기 등에 대한 정보들이 서버(100)로 전송되도록 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상기 동작장치(300)의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이에 대응하여 상기 동작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패드부(200)와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단자(320)가 측정된 근전도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되, 사용자 피부로 부가되는 자극신호를 전달하는 두 가지 역할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동작장치(300)를 더욱 소형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작장치(300)는 상기 케이스(310)에 구비된 별도의 충전단자에 usb 케이블 등을 연결함으로써 축전지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거치대(500)에 거치한 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치대(500)는 상기 패드부(200)와 대응되는 안착홈(510)이 구성되며, 상기 안착홈(510)에는 상기 동작장치(300)의 충전단자(330)와 맞물리는 충전돌기(520)가 안착홈(510)의 폭방향 일측에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거치대(500)에는 상기 패드부(200)가 탈부착홈(342)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동작장치(300)가 상기 안착홈(5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안착홈(510)의 길이방향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패드 안착홈(511)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패드 안착홈(511)은 상기 패드부(200)의 형태에 대응되는 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동작장치(300)가 거치대(500)에 거치된 상태일 때, 상기 패드부(200)가 내입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패드부(200)와 동작장치(300)를 동시에 거치 보관할 수 있게 하여 분실의 위험을 줄이되, 보관 및 이동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패드부(200)에는 보호 시트 등을 부착한 상태로 상기 거치대(500)에 거치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안착홈(510)의 폭방향 타측에는, 상기 동작장치(300)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동작장치(300)를 고정하는 고정돌기(540)가 구비되고, 상기 동작장치(300)의 측면 일측에는, 상기 고정돌기(540)가 억지 탄성 삽입되는 고정홈(360)이 더 구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동작장치(300)가 상기 거치대(500)에 안착시, 상기 충전단자(330)와 충전돌기(520)가 서로 맞물리되, 상기 고정돌기(540)가 상기 고정홈(360)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동작장치(300)의 폭방향 타측을 내측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동작장치(300)가 거치대(5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310)에는 제 1자력부(350)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에는 제 2자력부(530)가 구비되어 상기 제 1자력부(350)와 제 2자력부(530)의 인력에 의해 동작장치와 거치대가 보조적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는 두 개의 제 1자력부(350a, 350b)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500)에는 이와 대응되게 두 개의 제 2자력부(530a, 530b)가 구비되는데, 이때, 두 개의 제 1자력부(350a, 350b)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하며, 이는 케이스(310)의 폭방향 양단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제 2자력부(530a, 530b) 또한 대응되게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거치대(50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동작장치(300)와 거치대(500)가 서로 맞물리지 않게 배치하는 경우, 상기 제 1자력부(350a, 350b)와 제 2자력부(530b, 530a)가 서로 밀어내는 척력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손의 감각으로 불일치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동작장치(300)와 거치대(500)의 체결을 정확하게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는 상기 서버(100)에 저장된 정보를 전달받아 화면 출력부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되, 이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동작장치(300)로 명령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종 이갈이 정보를 정렬하여 출력하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함으로써 동작장치(300)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갈이 정보에는 이갈이 발생시간, 이갈이 횟수, 강도, 1회 발생시 지속시간, 이갈이 발생 간격, 전체 발생 시간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동작장치(300)와 사용자 단말기(400)에는 뒤척임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뒤척임 감지센서는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는 동안 사용자가 뒤척인 시간 및 횟수를 측정하여 수면 정보를 형성하며, 상기 수면 정보와 이갈이 정보를 비교하여 이갈이 현상 발생시, 사용자가 경고에 적절하게 대응하는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뒤척임 감지센서는 자이로 센서 또는 진동 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동작장치(300)와 사용자 단말기(400)에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뒤척임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면 정보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수면의 시작과 종료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면시간을 검출하며, 이 시간동안 발생된 뒤척인 지점 및 뒤척인 횟수 등을 검출하여 수면 정보로서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전달받은 뒤척임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뒤척임을 판단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급격하게 뒤척이는 등의 동작을 취하지 않는 한 뒤척임 감지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 값을 변화되지 않는 바, 상기 측정 값이 급격하게 변화된 지점에서 사용자의 뒤척임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뒤척임 정보로서 저장하여 상기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즉, 상기 뒤척임 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 중 급작스럽게 센싱값이 변화하는 지점을 뒤척임 정보로서 판별하며, 이때, 상기 뒤척임 정보에는 뒤척임이 발생된 시간이 포함되며, 상기 뒤척임신호와 이갈이 현상 발생정보를 비교하여 발생 시기가 일치 또는 인접한 시간대인 경우, 상기 동작장치(300)로부터 안정적으로 자극신호가 전달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부연하면, 이갈이 발생 시간 이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상기 뒤척임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자극신호가 전달되어 이갈이 현상을 인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바, 이 경우, 정상적인 인지 상황인 것으로 판별한다.
예를 들어, 이갈이 발생 시간 이후 5초 이내에 뒤척임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가 이갈이 현상을 인지한 것으로 판단하며, 이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갈이 현상을 정상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 즉, 자극신호가 약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자극이 더 세게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 서버
200 : 패드부
300 : 동작장치
310 : 케이스 320 : 접촉단자
321 : 몸체 322 : 접촉부
322a : 걸림돌기 323 : 탄성체
330 : 충전단자 340 : 패드 부착부
341 : 부착용 몸체 341a : 연결홈
342 : 탈부착홈 343 : 전도용 박판
343a : 돌출면 343b : 보조 연결부
350 : 제 1자력부 360 : 고정홈
400 : 사용자 단말기
500 : 거치대 510 : 안착홈
511 : 패드 안착홈(511)
520 : 충전돌기 530 : 제 2자력부
540 : 고정돌기

Claims (9)

  1. 사용자 단말기(400)과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면서 동작장치(300)에서 측정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는 서버(100);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패드부(200);
    상기 패드부(200)과 접촉단자(3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패드부(200)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전달받거나 상기 패드부(200)로 자극신호를 전달하는 동작장치(300); 및
    상기 동작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동작장치(300)는,
    내부가 빈 함체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310);
    하부면에 상기 패드부(200)가 탈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3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패드 부착부(340);
    상기 서버(100)로 동작장치(300)에서 측정되는 측정신호를 전달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작동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동작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
    상단측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패드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접촉단자(320);
    상기 동작장치(300)에 필요한 전원을 저장 및 공급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로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단자(330)를 포함하는 충전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 부착부(340)는,
    절연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촉단자(320)가 관통되는 한 쌍의 연결홈(341a)이 구성되는 부착용 몸체(341);
    상기 부착용 몸체(341)의 하부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한 쌍이 상기 연결홈(341a)과 각각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패드부(200)가 탈부착되는 탈부착홈(342); 및
    상기 탈부착홈(342)에 부착된 패드부(200)와 면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한 쌍이 상기 연결홈(341a)에 구비되는 전도용 박판(34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200)는,
    도전성 및 접착성을 갖는 소재의 겔 패드로 이루어져, 한 쌍이 상기 동작장치(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320)는,
    중공의 기둥 형태로 구성되며, 하부면과 상부면에는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는 몸체(321);
    상단부가 상기 몸체(321)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노출되되, 하단부가 상기 연결홈(341a)을 관통하여 상기 전도용 박판(343)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몸체(32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접촉부(322); 및
    상기 접촉부(322)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탄성체(3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는,
    직접 USB 케이블이 연결되어 충전되거나 거치대(500)에 거치한 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500)는.
    상기 패드부(200)와 대응되는 안착홈(510)이 구성되며, 상기 안착홈(510)에는 상기 동작장치(300)의 충전단자(330)와 맞물리는 충전돌기(520)가 안착홈(510)의 폭방향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510)의 폭방향 타측에는, 상기 동작장치(300)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동작장치(300)를 고정하는 고정돌기(540)가 구비되고,
    상기 동작장치(300)의 측면 일측에는, 상기 고정돌기(540)가 억지 삽입되는 고정홈(3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10)에는 제 1자력부(350)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500)에는 제 2자력부(530)가 구비되어 상기 제 1자력부(350)와 제 2자력부(530)의 자력에 의해 동작장치(300)와 거치대(500)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
KR1020190168957A 2019-12-17 2019-12-17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 KR102294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957A KR102294983B1 (ko) 2019-12-17 2019-12-17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957A KR102294983B1 (ko) 2019-12-17 2019-12-17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381A KR20210077381A (ko) 2021-06-25
KR102294983B1 true KR102294983B1 (ko) 2021-08-26

Family

ID=7662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957A KR102294983B1 (ko) 2019-12-17 2019-12-17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9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447B1 (ko) * 2005-10-20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용 전극 및 생체 신호 측정장치
KR101631500B1 (ko) 2013-11-07 2016-06-17 (주)오픈텔레콤 이갈이와 치아 악물기 분석장치 및 방법
WO2015126095A1 (ko) * 2014-02-21 2015-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170083483A (ko) * 2016-01-08 2017-07-1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수면장애 감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381A (ko)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143B1 (ko) 이갈이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갈이 판별방법
JP7083086B2 (ja) ユーザの睡眠覚醒状態を自動的に検出する、経皮的電気神経刺激装置
US10335595B2 (en) Dynamic control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herapy using continuous sleep detection
US9592385B2 (en) Patient handheld device for use with a spinal cord stimulation system
US9827420B2 (en)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with user gesture detector and electrode-skin contact detector, with transient motion detector for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e same
US9711060B1 (en) Biometric sensor ring for continuous wear mobile data applications
US5474083A (en) Lifting monitoring and exercise training system
KR102456128B1 (ko) 개인 맞춤형 이갈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JP7448221B2 (ja) ブラキシズム管理用の装置及び方法
EP2914170B1 (en) A portable device for ecg measurement
CN107614054B (zh) 具有腿部朝向和运动的自动检测以用于增强的睡眠分析的增强型经皮电神经刺激器
CN111542369A (zh) 夜尿减少系统
US20060030794A1 (en) Human monitoring apparatus
KR20200033522A (ko) 수면 및 각성 유도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0134584A1 (zh) 一种监护装置及其阈值控制方法
KR102294983B1 (ko) 접촉단자에 의해 패드부와 동작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
KR102295000B1 (ko) 이어폰형 이갈이 측정장치 시스템
CA1331489C (en) Lifting monitoring and exercise training system
JP2012176120A (ja) 体内水分計
JP4399939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KR101529292B1 (ko) 하이브리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KR101112622B1 (ko) 휴대용 어지럼 진단장치
US8460218B2 (en) Patient weight bearing monitor
CN114767076A (zh) 一种基于5g的智慧社区用老人监护系统
JP7424005B2 (ja) 携帯型心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