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948B1 - 통합 위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위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948B1
KR102294948B1 KR1020190173402A KR20190173402A KR102294948B1 KR 102294948 B1 KR102294948 B1 KR 102294948B1 KR 1020190173402 A KR1020190173402 A KR 1020190173402A KR 20190173402 A KR20190173402 A KR 20190173402A KR 102294948 B1 KR102294948 B1 KR 102294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project
index
risk management
tpr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149A (ko
Inventor
안효정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73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9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위험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기관의 위험 관리 부서의 위험 관리 성과를 나타내는 위험 관리 성능 지수를 구하는 단계, 기관의 각 조직에서 수행된 각 프로젝트의 위험 관리 상태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위험 관리 결과 지수를 구하는 단계, 그리고 위험 관리 성능 지수와 위험 관리 결과 지수를 이용하여 구해지는 위험 관리 지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기관에서 기관 내 전체 프로젝트의 위험 상황을 최상위 수준에서 빠르고 명확하게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 위험 관리 방법 및 시스템{Integrated Risk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통합 위험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다중 프로젝트에 대한 통합 위험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항공 우주 산업은 최첨단 기술과 통합되어 있지만 축적된 데이터가 부족하여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항공 우주 연구 개발 기관의 프로젝트는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조직의 최상위 레벨은 위험에 대한 의사 결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직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위험 관리를 수행했다. 그러나 각 프로젝트마다 위험 식별, 평가 및 위험 수준 결정 방법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조직의 위험 관리 측면에서 위험 처리의 우선순위를 전체적으로 설정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조직이 수행하는 모든 프로젝트의 최상위 수준에서 위험 관리 상태를 직관적으로 식별하기 위해 각 프로젝트 수준에서 위험을 통합할 수 있는 표준화되고 정량적인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과학과 기술이 융합 추세로 발전함에 따라 프로젝트는 규모가 크고 복잡하며 다양해지므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고 합리적이며 객관적인 의사 결정이 필요하다. 적절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위험 관리가 수행되어 프로젝트 목표 달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사건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위험은 명시적으로 확립되고 명시된 성능 요구 사항을 달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성능 부족이 미래에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위험 관리는 의사 결정 대안의 선택에 대해 사전에 위험 정보를 제공하고 선택된 대안과 관련된 구현 위험을 관리함으로써 성공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일련의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위험 관리는 위험 상황이 식별될 때 위험 평가를 수행하고 적절한 위험 처리를 수행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로 구성된다. 커뮤니케이션, 모니터링 및 검토는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서 수행된다. 위험 평가는 위험 식별, 위험 분석 및 위험 평가로 구성된다. 위험 분석에는 정량적 및 정성적 방법이 사용된다. 위험 분석을 사용하여 비용, 검사 및 테스트 주기, 신뢰성 및 적절한 품질 보증 수준과 같은 요소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를 사용하여 각 요소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 위험 부분이 고가이고 고 위험 부분이 저렴하면 위험 분석 결과에 따라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위험관리를 사용하면 프로젝트의 경제성과 안전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위험관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여러 영역에서 효과적인 위험관리 접근 방식이 개발되었다.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민첩한 개발 프로세스를 짧은 시간 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완료해야 하는 경우 고도로 복잡하고 개방된 개발 프로세스를 관리하려면 위험관리 기술이 필요하다. 분산 애자일 개발(DAD) 방식에 따라 산업 종사자들은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의 위험을 평가하고, 식별된 위험을 DAD 프로젝트의 다양한 측면과의 관련성을 기준으로 분류된 후 프로젝트에서의 사용 빈도에 따라 방법을 평가한다.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중앙 집중식 통합 위험관리 접근 방식으로 회사의 조직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인적, 조직적, 기술적 문제를 포함하는 복잡한 시스템인 광업(mining) 분야에서 위험관리 방법은 복잡한 시스템 모델링을 기반으로 하는 다변수 기능 분석 접근 방식으로 제공되며 실제 데이터를 통한 위험 관리 도구에 해당한다. 여러 연구에서 작업 진행 상태의 위험을 결정하여 프로젝트 위험을 평가하고 예방하는 결정적 기술을 제시했다. 하이브리드 인프라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연구는 경험적 연구를 기반으로 개념적 프레임 워크와 3가지 가설을 개발하고 가설을 테스트하여 프로젝트 목표에 따른 편차의 위험을 줄였다. 위험을 모니터링하고 통제하기 위해 프로젝트 수명주기 동안 프로젝트가 통제 불능 상태이거나 예상되는 변동성 내에 어떤 조건이 남아 있는지 알 수 있는 그래픽 방법론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다양한 연구에서 프로젝트 위험관리 방법이 개발되었지만 대부분 단일 프로젝트를 제어하기 위한 위험 분석 및 관리 방법에 대한 연구였다. 조직에 많은 프로젝트가 있는 경우 조직 내 전체 프로젝트의 위험 상황을 최상위 수준에서 빠르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프로젝트별 위험관리 결과를 통합하여 프로젝트 위험관리를 모니터링하는 직관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기관에서 기관 내 전체 프로젝트의 위험 상황을 최상위 수준에서 빠르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통합 위험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위험 관리 방법은,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기관의 위험 관리 부서의 위험 관리 성과를 나타내는 위험 관리 성능 지수를 구하는 단계, 상기 기관의 각 조직에서 수행된 각 프로젝트의 위험 관리 상태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위험 관리 결과 지수를 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위험 관리 성능 지수와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를 이용하여 구해지는 위험 관리 지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위험 관리 성능 지수와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가 상기 위험 관리 지수에 반영되는 가중치는 위험 관리 목적과 상기 각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위험 관리 성능 지수는, 상기 위험 관리 부서에서 수행해야 할 각 작업들에 양적 목표를 설정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양적 목표 대비 상기 각 작업들의 달성 비율과 상기 각 작업들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가중치를 각각 곱한 값의 합으로 구해질 수 있다.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각 프로젝트의 식별된 위험 항목별로 위험 지수를 아래 수학식 4에 의해 위험 지수(RIk,i)를 구하는 단계, 상기 각 프로젝트별로 목표 일정 준수를 반영하기 위해 프로젝트 종료 일자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도록 정해진 함수(C(t))에 따른 가중치(SRI)를 구하는 단계, 상기 각 프로젝트별로 아래 수학식 3에 의해 프로젝트 위험 인덱스(PRIk)를 구하는 단계, 상기 기관의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를 아래 수학식 5에 의해 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구해진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수학식 4]
RIk,i = 확률 레벨(Probalility level) × 영향 레벨(Impact level)
여기서, k는 상기 기관에서 수행되고 위험 관리를 위해 선택된 프로젝트 중에서 k번째 프로젝트를 나타내고, i는 상기 k번째 프로젝트에서 식별된 위험 항목 중에서 i번째 위험 항목을 나타내며, 확률 레벨은 상기 i번째 위험 항목이 발생할 확률 레벨, 영향 레벨은 상기 i번째 위험 항목이 상기 k번째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 레벨을 나타낸 것이다.
[수학식 3]
Figure 112019133161481-pat00001
수학식 3에서 n은 k번째 프로젝트에서 식별된 전체 위험 항목의 수를 나타낸다.
[수학식 5]
Figure 112019133161481-pat00002
수학식 5에서 n은 상기 기관에서 수행되고 위험 관리를 위해 선택된 프로젝트의 전체 개수를 나타내고, ωk는 상기 각 프로젝트의 예산 규모를 고려하여 정해지는 가중치이다.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의 목표 값과 최대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의 목표 값에 대응하는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는 참조 포인트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가 상기 최대 값 이상이면,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는 '0'으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가 상기 목표 값과 상기 최대 값 미만이면,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는 상기 참조 포인트부터 '0'까지 역비례하게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가 상기 목표 값 미만이면,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는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가 상기 목표 값과 차이에 비례하게 정해질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위험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기관의 위험 관리 부서의 위험 관리 성과를 나타내는 위험 관리 성능 지수(RMPI)를 RMPI 산출부, 상기 기관의 각 조직에서 수행된 각 프로젝트의 위험 관리 상태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위험 관리 결과 지수(RMRI)를 구하는 RMRI 산출부, 그리고 상기 위험 관리 성능 지수와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를 이용하여 구해지는 위험 관리 지수(RMI)를 구하는 RMI 산출부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기관에서 기관 내 전체 프로젝트의 위험 상황을 최상위 수준에서 빠르고 명확하게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위험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지수 산출에 이용되는 위험 매트릭스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발 단계와 SRI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MRI를 추정하는 전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MRI와 TPRI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위험 모델은 위험 관리 지수(risk management index)(RMI)를 산출한다. RMI는 정성적 및 정량적 측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정성적 RMI는 위험관리 작업의 성과 목표를 달성하고 성과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연간 목표를 기반으로 계산될 수 있다. 정량적 RMI는 프로젝트의 개별 위험(예 : 일정, 예산, 기술 문제)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기반으로 전체 프로젝트 크기 (예산) 및 개발 일정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전체 RMI를 정량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표준화된 평가가 적용되어 각 프로젝트의 위험 식별 및 평가를 정량화할 수 있다. 위험 매트릭스는 각 프로젝트의 위험 수준을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위험 매트릭스는 결과 심각도 범주와 확률 또는 가능성 범주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수년 간의 프로젝트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실행 진행 상황 및 예산에 해당하는 가중치 곡선이 생성될 수 있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위험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위험 관리 시스템(100)은 RMPI 산출부(110), RMRI 산출부(120) 및 RMI 산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RMPI 산출부(110)는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기관의 위험 관리 부서의 위험 관리 성과를 나타내는 위험 관리 성능 지수(RMPI)를 산출할 수 있다.
RMRI 산출부(120)는 해당 기관의 각 조직에서 수행된 각 프로젝트의 위험 관리 상태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위험 관리 결과 지수(RMRI)를 구할 수 있다.
RMI 산출부(130)는 위험 관리 성능 지수와 위험 관리 결과 지수를 이용하여 구해지는 위험 관리 지수(RMI)를 구할 수 있다.
위험 관리 지수(RMI)는 RMPI와 RMRI를 포함하며,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두 지수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수학식 1]
RMI = RMPI + RMRI
RMPI와 RMRI의 구성 비율은 해당 기관, 조직의 위험관리의 목적과 수행할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상위 경영진 또는 위험관리위원회 등에서 합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RMPI는 기관 수준에서 위험관리를 수행할 때 위험관리부서의 성과를 나타낸다. RMPI는 제도적 위험관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위험관리부서의 계획된 비즈니스 목표와 관련하여 양적 목표 달성 측면에서 수치로 표현될 수 있다. RMPI를 계산하려면 기관의 위험 관리에 대해 수행할 작업의 내용을 정의해야 한다. 위험관리위원회, 세미나 및 워크샵 운영, 국제 위험관리 회의 참석, 교육 프로그램 수강 및 강의 제공 등의 작업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전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비율(ri)은 과제의 중요성 또는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제 성과(pr)와 전체성과 목표(pg)의 비율(rp)을 결정해야 한다. RMPI는 다음 수학식 2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9133161481-pat00003
여기서, rp는 pr/pg 이고 n은 전체 작업의 수, i는 전체 작업 중 i번째 작업을 나타낸다. 그리고 α는 미리 정해진 계수일 수 있다. 가령 RMPI와 RMRI의 구성 비율에 따라 RMPI에 부여되는 가중치일 수 있다.
RMPI는 조직 관리에 의해 수행되는 RM 활동을 평가하며 기술적 요소를 직접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RMPI를 사용하여 조직의 목표 달성 및 관리 성과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고 평가할 수 있다.
RMRI는 하위 조직에서 수행 된 각 프로젝트의 위험관리 상태를 수집하여 단일 인덱스로 표시한 것이다. RMRI는 각 프로젝트의 기술적 위험 요소, 프로젝트 기간, 예산 및 인적 요소를 고려할 수 있다.
RMRI는 프로젝트 구현 중 RMPI보다 더 자주 업데이트 되어야 한다. 이 요구 사항은 주어진 예산 및 기간 내에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한다는 목표와 직접 관련이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 실행 중 지수 추세가 반전되는지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문제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조사할 수 있다. 문제가 발생하면 이 위험 관리 모델에서 위험 요소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할 수 있다. PRI(Project Risk Index) 또는 SRI(Schedule Risk Index)에 비정상적인 변화가 있는 경우 각 위험 항목의 RI를 분석하기 위해 하위 시스템을 추적할 수 있다. 따라서 RMRI는 프로젝트 관리가 상위 관리 수준에서 문제를 직관적으로 식별하는 데 도움을 주고 문제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즉각적인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젝트 위험 지수(Project risk index)(PRI)는 각 프로젝트 단위에서 위험관리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RI를 계산하기 위해 먼저 프로젝트의 위험 항목을 식별하고 각 항목의 위험 분석 결과에서 각 항목의 RI를 계산한다. 프로젝트의 모든 RI를 합산한 후 전체 프로젝트 일정에 대한 실제 성능 상태 및 단계를 식별하여 일정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PRI를 계산할 수 있다. PRI는 위험 항목 위험 인덱스(RI)와 SRI에 관련된 것으로, 아래 수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9133161481-pat00004
수학식 3에서 k는 각 프로젝트를 나타내고, n은 k번째 프로젝트에서 식별된 전체 위험 항목의 수를 나타낸다. C(t)는 SRI에 대응하는 함수이다. 실시예에 따라서 일정보다 예산이 프로젝트의 목적과 성격에 따라 더 중요하다고 생각되면, C(t)를 예산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는 함수로 대체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 일정과 예산 모두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험 분석 및 평가를 위해 정량적이고 확률적인 위험 평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가령 프로젝트를 수행할 이전 개발 데이터가 없는 경우 확률 입력 변수를 사용하면 해당 프로젝트의 객관성과 유효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확률적 위험 평가(probabilistic risk assessment)(PRA) 방법은 개발 초기 단계에서 프로젝트의 기술적 위험을 평가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구성 요소, 하위 시스템, 상위 시스템 및 전체 시스템 수준에 대해 위험 시나리오를 정의하고 총 발생 확률을 계산하기 위해 위험 요소 및 확률을 정의한다.
각 프로젝트의 식별된 위험 항목별로 위험 지수(Risk Index)를 아래 설명한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가령 몬테카를로(Monte Carlo) 시뮬레이션이 확률 입력 변수와 엑셀(Excel) 기반 통계 위험 분석 도구(@RISK)를 사용하여 시스템 신뢰성에 대한 확률 밀도 함수를 계산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전체 시스템에 대한 각 성능 변수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도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지수 산출에 이용되는 위험 매트릭스를 예시한 것이다.
위험 분석 후 도 2와 같이 위험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위험 항목별로 위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험 매트릭스는 위험 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전달하는 정성적인 방법이다. 위험 지수는 아래 수학식 4와 같이 확률 레벨(Probalility level)과 영향 레벨(Impact level)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4]
RIk,i = 확률 레벨(Probalility level) × 영향 레벨(Impact level)
여기서, k는 상기 기관에서 수행되고 위험 관리를 위해 선택된 프로젝트 중에서 k번째 프로젝트를 나타내고, i는 k번째 프로젝트에서 식별된 위험 항목 중에서 i번째 위험 항목을 나타내며, 확률 레벨은 i번째 위험 항목이 발생할 확률 레벨, 영향 레벨은 i번째 위험 항목이 k번째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 레벨을 나타낸 것이다.
확률 레벨과 영향 레벨은 프로젝트에 따라 최소 3-5 수준으로 조정할 수 있다. 식별된 위험 항목은 위험 완화 및 제거와 같은 조치로 변경되며, 각 위험 항목에 대한 위험 분석 결과도 변경될 수 있다. 각 위험 항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처리 속도, 환경, 기술 신뢰성, 필수 일정, 비용 등)에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각 항목의 불확실성을 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려면 목표 일정을 준수해야 한다. 개발 단계에서 진행 상황을 추적하고 일정이 지연되는 경우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해야 한다. SRI는 프로젝트 RM 모델에 대한 일정의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적용된다. SRI 가중치 체계는 프로젝트 실행 기간이 종료 날짜에 도달할 때 패널티를 생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프로젝트 완료일이 다가오면 지수가 오목 함수 형태(a shape of concave up function)로 증가한다. 프로젝트 기간 중 주요 이정표는 SDR(system design review) PDR(preliminary design review), CDR(critical design review) 및 PSR(pre-ship review) 등과 같은 개발 검토 단계에 기초한다. SRI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작업은 목표 일정에 접근함에 따라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다. 프로젝트의 목적, 목표, 내용 및 상황에 따라 X 축에 계획된 일정과 가중치 기능의 모양을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발 단계와 SRI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otal project risk index)(TPRI)는 기관이 수행한 프로젝트의 전체 위험 지수를 나타낸다. TPRI 기관 단위가 아닌 경우에도 여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아래 수학식 5와 같이, TPRI는 프로젝트 일정에 따른 위험 항목과 각 프로젝트에 대한 위험 지수(RI)들을 고려하여 RRI를 계산하고, 그런 다음 예산 규모를 고려한 가중치(ωk)를 각 프로젝트의 PRI에 적용하여 기관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를 획득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19133161481-pat00005
수학식 5에서 n은 상기 기관에서 수행되고 위험 관리를 위해 선택된 프로젝트의 전체 개수를 나타내고, ωk는 상기 각 프로젝트의 예산 규모를 고려하여 정해지는 가중치를 나타낸다.
가중치(ωk)는 프로젝트 예산이 증가함에 따라 위험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반영하기 위해 프로젝트 예산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기관을 관리할 때 예산이 많은 프로젝트에는 큰 위험 부담이 있다. 따라서 총 위험을 관리하는 위험관리 모델은 각 프로젝트에 가중치를 할당하여 프로젝트의 중요성을 반영할 수 있다.
RMRI는 조직이 수행한 각 프로젝트의 결과를 수집하고 확인하는 중요한 지표이며 전체 프로젝트의 모든 위험 정보를 포함한다. RMRI를 추정하는 전체 과정을 도 3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MRI를 추정하는 전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먼저 프로젝트 위험 관리와 관련된 이슈를 정의한다(S410). 그리고 위험 식별(S421), 식별된 위험 분석(S423) 및 위험 평가(S425)로 이루어지는 위험 평가를 수행한다(S420). 단계(S420)에서의 위험 평가 결과를 수용할 수 없으면(S430-N), 다시 단계(S410) 및 단계(S420)를 반복한다.
단계(S420)에서의 위험 평가 결과를 수용하면(S430-Y), RI와 SRI를 구한다(S440). 그리고 RI와 SRI를 구한 결과를 기초로 PRI를 구한다(S450).
단계(S440, S450)에서 구해진 RI, SRI 및 PRI가 수용될 수 없으면(360-N), 다시 단계(S440) 및 단계(S450)를 반복한다.
단계(S440, S450)에서 구해진 RI, SRI 및 PRI가 수용될 수 있으면(360-Y), TRRI를 구한다(S470).
마지막으로 단계(S470)에서 구해진 TRRI를 이용하여 RMRI를 산출할 수 있다(S480).
단계(S480)에서 앞서 수학식 5에 의해 계산된 TPRI를 총 RMI의 비율을 고려하여 크기를 조정해서 RMRI를 계산한다. TPRI 크기를 조정하여 RMRI로 매핑하기 위해 참조점(reference point)(RM)이 필요하다. 참조점은 조직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TPRI 목표 값(Target value)의 RMRI는 도 5와 같이 관리 기준으로 β 포인트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MRI와 TPRI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TPRI가 최대 값(Max. value) 이상이면 RMRI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TPRI가 목표 값 아래에서 관리되는 경우 기본적으로 TPRI 목표 값과의 차이에 비례하여 참조점이 추가될 수 있다. TPRI가 목표 값보다 낮으면 프로젝트 위험 관리의 초기 단계보다 위험이 낮아서 위험 관리가 잘 수행됨을 의미한다. 이것은 추가 참조점이 RMRI에 적용되고 β 포인트를 초과하는 경우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기관 수준에서 전체 프로젝트에 대한 위험 관리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RMRI가 β보다 작으면 TPRI가 목표 값을 초과하므로 전체 프로젝트의 위험 관리가 관리 목표를 충족하지 못하므로 위험 상황을 조사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1)

  1. RMPI 산출부에서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기관의 위험 관리 부서의 위험 관리 성과를 나타내는 위험 관리 성능 지수를 구하는 단계,
    RMRI 산출부에서 상기 기관의 각 조직에서 수행된 각 프로젝트의 위험 관리 상태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위험 관리 결과 지수를 구하는 단계, 그리고
    RMI 산출부에서 상기 위험 관리 성능 지수와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를 이용하여 구해지는 위험 관리 지수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관리 성능 지수와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가 상기 위험 관리 지수에 반영되는 가중치는 위험 관리 목적과 상기 각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미리 정해지며,
    상기 위험 관리 성능 지수는, 상기 위험 관리 부서에서 수행해야 할 각 작업들에 양적 목표를 설정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양적 목표 대비 상기 각 작업들의 달성 비율과 상기 각 작업들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가중치를 각각 곱한 값의 합으로 구해지고,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각 프로젝트의 식별된 위험 항목별로 위험 지수를 아래 수학식 4에 의해 위험 지수(RIk,i)를 구하는 단계,
    상기 각 프로젝트별로 목표 일정 준수를 반영하기 위해 프로젝트 종료 일자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도록 정해진 함수(C(t))에 따른 가중치(SRI)를 구하는 단계,
    상기 각 프로젝트별로 아래 수학식 3에 의해 프로젝트 위험 인덱스(PRIk)를 구하는 단계,
    상기 기관의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를 아래 수학식 5에 의해 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구해진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위험 관리 방법:
    [수학식 4]
    RIk,i = 확률 레벨(Probalility level) × 영향 레벨(Impact level)
    여기서, k는 상기 기관에서 수행되고 위험 관리를 위해 선택된 프로젝트 중에서 k번째 프로젝트를 나타내고, i는 상기 k번째 프로젝트에서 식별된 위험 항목 중에서 i번째 위험 항목을 나타내며, 확률 레벨은 상기 i번째 위험 항목이 발생할 확률 레벨, 영향 레벨은 상기 i번째 위험 항목이 상기 k번째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 레벨을 나타낸 것이고,
    [수학식 3]
    Figure 112021048474486-pat00006

    수학식 3에서 n은 k번째 프로젝트에서 식별된 전체 위험 항목의 수를 나타내며,
    [수학식 5]
    Figure 112021048474486-pat00007

    수학식 5에서 n은 상기 기관에서 수행되고 위험 관리를 위해 선택된 프로젝트의 전체 개수를 나타내고, ωk는 상기 각 프로젝트의 예산 규모를 고려하여 정해지는 가중치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서,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의 목표 값과 최대 값을 설정하고,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의 목표 값에 대응하는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는 참조 포인트로 정해지며,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가 상기 최대 값 이상이면,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는 '0'으로 정해지고,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가 상기 목표 값과 상기 최대 값 미만이면,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는 상기 참조 포인트부터 '0'까지 역비례하게 정해지며,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가 상기 목표 값 미만이면,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는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가 상기 목표 값과 차이에 비례하게 정해지는 통합 위험 관리 방법.
  6. 컴퓨터에 제1항 또는 제5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기관의 위험 관리 부서의 위험 관리 성과를 나타내는 위험 관리 성능 지수(RMPI)를 RMPI 산출부,
    상기 기관의 각 조직에서 수행된 각 프로젝트의 위험 관리 상태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위험 관리 결과 지수(RMRI)를 구하는 RMRI 산출부, 그리고
    상기 위험 관리 성능 지수와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를 이용하여 구해지는 위험 관리 지수(RMI)를 구하는 RMI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관리 성능 지수와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가 상기 위험 관리 지수에 반영되는 가중치는 위험 관리 목적과 상기 각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미리 정해지며,
    상기 위험 관리 성능 지수는, 상기 위험 관리 부서에서 수행해야 할 각 작업들에 양적 목표를 설정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양적 목표 대비 상기 각 작업들의 달성 비율과 상기 각 작업들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가중치를 각각 곱한 값의 합으로 구해지고,
    상기 RMRI 산출부는,
    상기 각 프로젝트의 식별된 위험 항목별로 위험 지수를 아래 수학식 4에 의해 위험 지수(RIk,i)를 구하고, 상기 각 프로젝트별로 목표 일정 준수를 반영하기 위해 프로젝트 종료 일자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하도록 정해진 함수(C(t))에 따른 가중치(SRI)를 구하며, 상기 각 프로젝트별로 아래 수학식 3에 의해 프로젝트 위험 인덱스(PRIk)를 구하고, 상기 기관의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를 아래 수학식 5에 의해 구하고, 상기 구해진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를 이용하여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를 결정하는 통합 위험 관리 시스템:
    [수학식 4]
    RIk,i = 확률 레벨(Probalility level) × 영향 레벨(Impact level)
    여기서, k는 상기 기관에서 수행되고 위험 관리를 위해 선택된 프로젝트 중에서 k번째 프로젝트를 나타내고, i는 상기 k번째 프로젝트에서 식별된 위험 항목 중에서 i번째 위험 항목을 나타내며, 확률 레벨은 상기 i번째 위험 항목이 발생할 확률 레벨, 영향 레벨은 상기 i번째 위험 항목이 상기 k번째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 레벨을 나타낸 것이고,
    [수학식 3]
    Figure 112021048474486-pat00008

    수학식 3에서 n은 k번째 프로젝트에서 식별된 전체 위험 항목의 수를 나타내며,
    [수학식 5]
    Figure 112021048474486-pat00009

    수학식 5에서 n은 상기 기관에서 수행되고 위험 관리를 위해 선택된 프로젝트의 전체 개수를 나타내고, ωk는 각 프로젝트의 예산 규모를 고려하여 정해지는 가중치임.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7 항에서,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의 목표 값과 최대 값을 설정하고,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의 목표 값에 대응하는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는 참조 포인트로 정해지며,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가 상기 최대 값 이상이면,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는 '0'으로 정해지고,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가 상기 목표 값과 상기 최대 값 미만이면,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는 상기 참조 포인트부터 '0'까지 역비례하게 정해지며,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가 상기 목표 값 미만이면, 상기 위험 관리 결과 지수는 상기 전체 프로젝트 위험 지수(TPRI)가 상기 목표 값과 차이에 비례하게 정해지는 통합 위험 관리 시스템.
KR1020190173402A 2019-12-23 2019-12-23 통합 위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94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402A KR102294948B1 (ko) 2019-12-23 2019-12-23 통합 위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402A KR102294948B1 (ko) 2019-12-23 2019-12-23 통합 위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149A KR20210081149A (ko) 2021-07-01
KR102294948B1 true KR102294948B1 (ko) 2021-08-26

Family

ID=7686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402A KR102294948B1 (ko) 2019-12-23 2019-12-23 통합 위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9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9680B (zh) * 2022-07-14 2024-02-02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风险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017B1 (ko) * 2008-09-04 2011-01-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지능공간 기술평가장치
KR101090759B1 (ko) * 2009-05-21 2011-12-08 포이스트(주) Cmmi 기반 프로젝트 관리 방법
KR101645083B1 (ko) * 2014-05-21 2016-08-08 주식회사 세븐지엔씨 프로젝트 관리 방법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149A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adzadeh et al. An integrated systemic model for optimization of condition-based maintenance with human error
US115793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arthquake risk mitigation in building structures
US20120016701A1 (en) Intelligent timesheet assistance
Nestic et al. A model of the assessment and optimisation of production process quality using the fuzzy sets and genetic algorithm approach
US20120197674A1 (en) Estimating a future project characteristic based on the similarity of past projects
US11227225B1 (en) Predictive project saturation decision making process
Ou-Yang et al. A hybrid approach for project crashing optimization strategy with risk consideration: A case study for an EPC project
Acebes et al. On the project risk baseline: Integrating aleatory uncertainty into project scheduling
Felderer et al. Experiences and challenges of introducing risk-based testing in an industrial project
Cho et al.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EVMS) reliability: A review of existing EVMS literature
KR102294948B1 (ko) 통합 위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Erdoğan et al. More effective sprint retrospective with statistical analysis
CN117314347A (zh) 一种项目管理方法、系统、终端设备及存储介质
Ahn et al. Integrated risk management method development for multiple aerospace projects using a single index expression
Pataricza et al. Cost estimation for independent systems verification and validation
Kostrzewa et al. Scheduling construction processes using the probabilistic time coupling method III
Bogomolova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risk assessment of real investment projects
Oliveira et al. Modeling and analyzing resource-constrained business processes
Olivieri Hardware and software readiness: A systems approach
Sreenivasan et al. A probabilistic model for predicting service level adherence of application support projects
Putkonen Predicting the effects of time pressure on design work
US20140180753A1 (en)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activity forecasts
Fayad et al. An Improved Earned Value Analysis Tool for Mitigating Progress Risks in Long Duration Projects
Tarokh et al. Supply chain simulation methods
Lavy et al.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facility performance assessment: Measuring core indicators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