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496B1 - 디지털 프로세서 - Google Patents

디지털 프로세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496B1
KR102294496B1 KR1020210053773A KR20210053773A KR102294496B1 KR 102294496 B1 KR102294496 B1 KR 102294496B1 KR 1020210053773 A KR1020210053773 A KR 1020210053773A KR 20210053773 A KR20210053773 A KR 20210053773A KR 102294496 B1 KR102294496 B1 KR 102294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part
moving
forming
storage box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환
Original Assignee
장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환 filed Critical 장석환
Priority to KR1020210053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1Drawers for printed circuit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6Holders for glasses, ashtrays, lamps, candles or the like forming part of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프로세서로서, 신호 처리 회로가 내장되는 수납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프로세서{Digital processor}
본 발명은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디지털 프로세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오디오의 출력 신호를 컨서트 홀, 라이프 하우스 등의 분위기로 만듦으로서 사용자가 청취하기 가장 좋은 상태로 변환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이하 DSP부라 칭함)를 별도로 접속하여 오디오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여기서 DSP부는 Digital Signal Processor(DSP)가 포함된 장치이며 이 DSP는 그 동안 컴퓨터를 주도해 왔던 CPU 대신에 동화상이나 음성, 음향, 정지화상 등과 같은 아날로그 데이터를 처리하는 새로운 하 드웨어 처리기로 자리잡고 있는 것을 말한다.
즉, 논리적인 연산을 수행하는 데는 CPU가 월등히 빠르지만, 아날로그를 샘플링한 자료를 처리하는 데는 DSP가 CPU보다 빠른 속도를 보인다.
수치 연산을 위해 이용하는 코프로세서처럼 아날로그 자료 처리를 전문적으로 해주는 처리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DSP를 PC에서 사용하면 통신, 영상처리, 음악, 잡음제거, 음성인식, 음성합성, 비디오, 전화기, MPEG 오디오 등을 하나의 보드로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오디오 시스템은 외부에 별도로 DSP부가 케이블로 접속됨으로서 외부의 각종 전기적 노이즈에 취약하고 또한 케이블로 길게 연결됨으로서 음성 재생 시간이 많이 걸려 고품격의 음질을 구현하는데 문제가 있다. 또한 DSP부가 별도로 오디오 시스템의 외부에 설치되어야 함으로서 별도의 조립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조립 공수를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자동차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스 형태의 본체에 신호 처리 회로를 내장하여 마련되는 특징에 더하여, 작업자에 의한 디지털 프로세서의 제조에 사용되며, 각종 회로 기판을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구획되어 마련되는 수납함을 포함하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회로가 내장되는 수납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대한 노이즈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소정의 위상 특성을 갖되, 소정 주파수 보다 낮은 대역의 음성 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소정의 위상 특성을 갖되 소정 주파수보다 높은 대역의 음성 신호를 통과시키고, 통과된 상기 낮은 대역의 음성 신호와 상기 높은 대역의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노이즈가 있는 것이 검출되면, 해당되는 대역의 음성 신호의 노이즈의 출력 계수가 작아지도록 노이즈가 없는 것으로 검출된 대역의 음성 신호의 출력 계수를 증가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함은, 높이가 가로와 세로 길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사각 박스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함은, 비어 있는 내부에 상기 신호 처리 회로가 내장되어 있되, 상기 신호 처리 회로의 기판을 분리하여 수납 가능하도록 구획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함은, 양단에 바닥면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기둥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단은 상기 지지기둥을 연결하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상판이 마련되어 있는 작업테이블의 일측면에 내장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업테이블은, 상기 지지상판의 상단에 상기 지지상판에 의해 지지되는 하단형성부; 상기 하단형성부로부터 상측으로 거리를 갖도록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상단형성부; 상기 제1 상단형성부의 상측에 거리를 갖도록 위치하여 상기 수납함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2 상단형성부; 및 상기 수납함이 삽입되는 선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상단형성부는, 상기 하단형성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앞을 향해서는 막혀 있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박스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수직 연장된 정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반부는, 상기 제1 상단형성부와 상기 제2 상단형성부 사이에 상기 수납함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업테이블은, 상기 선반부의 내측면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형성부; 및 상기 제1 상단형성부와 상기 제2 상단형성부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간격형성부는, 상기 수납함이 삽입되는 방향 측면에 상기 제1 상단형성부와 수직되도록 기립하여 위치하며 나사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는, 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이동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형성부는, 상기 이동부와 대응되도록 양측면에 위로 굴곡진 형상의 이동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형성부는, 상기 이동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상기 이동레일에 의해 상기 선반부의 외부로 반출되거나 내측으로 부드럽게 삽입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형성부는, 이동의 한계점을 조절하는 단턱이나 걸림쇠가 구비되어 있어 외부로 한계점까지 나오는 경우, 상기 단턱이나 걸림쇠에 걸려 더 이상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선반부로부터 완전히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직육면체의 형성되되 전면에는 메쉬망이 결합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온(ON)/오프(OFF) 제어가 가능한 전원과 콘센트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각 모서리가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피커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건물 내벽의 천장 또는 내벽에 설치 가능하도록 연결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홈과 대응되는 연결 모듈과 체결되어 상기 건물 내벽의 천장 또는 내벽에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 모듈은, 스테인리스 또는 철강의 소재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홈과 대응되는 위치를 제외한 공간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홈을 관통하며 상기 건물 내벽 또는 천장에 고정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피커는, 두 개의 층을 이루며 세로 방향의 다단 형식으로 거치가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피커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대한 노이즈의 유무를 검출하고, 소정의 위상 특성을 갖되, 소정 주파수 보다 낮은 대역의 음성 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소정의 위상 특성을 갖되 소정 주파수보다 높은 대역의 음성 신호를 통과시키고, 통과된 상기 낮은 대역의 음성 신호와 상기 높은 대역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높이가 가로와 세로 길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사각 박스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납함에 내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납함은, 양단에 바닥면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기둥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단은 상기 지지기둥을 연결하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상판이 마련되어 있는 작업테이블의 일측면에 내장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업테이블은, 상기 지지상판의 상단에 상기 지지상판에 의해 지지되는 하단형성부; 상기 하단형성부로부터 상측으로 거리를 갖도록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상단형성부; 상기 제1 상단형성부의 상측에 거리를 갖도록 위치하여 상기 수납함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2 상단형성부; 및 상기 수납함이 삽입되는 선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상단형성부는, 상기 하단형성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앞을 향해서는 막혀 있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박스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수직 연장된 정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반부는, 상기 제1 상단형성부와 상기 제2 상단형성부 사이에 상기 수납함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업테이블은, 상기 선반부의 내측면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형성부; 및 상기 제1 상단형성부와 상기 제2 상단형성부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간격형성부는, 상기 수납함이 삽입되는 방향 측면에 상기 제1 상단형성부와 수직되도록 기립하여 위치하며 나사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는, 외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이동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형성부는, 상기 이동부와 대응되도록 양측면에 위로 굴곡진 형상의 이동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형성부는, 상기 이동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상기 이동레일에 의해 상기 선반부의 외부로 반출되거나 내측으로 부드럽게 삽입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형성부는, 이동의 한계점을 조절하는 단턱이나 걸림쇠가 구비되어 있어 외부로 한계점까지 나오는 경우, 상기 단턱이나 걸림쇠에 걸려 더 이상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선반부로부터 완전히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디지털 프로세서는 박스 형태의 본체에 신호 처리 회로를 내장하여 마련되는 특징에 더하여, 작업자에 의한 디지털 프로세서의 제조에 사용되며, 각종 회로 기판을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구획되어 마련되는 수납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로세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로세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될 수 있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로세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따른 신호 처리 회로(110)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대한 노이즈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회로(110)는 소정의 위상 특성을 갖되, 소정 주파수 보다 낮은 대역의 음성 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소정의 위상 특성을 갖되 소정 주파수보다 높은 대역의 음성 신호를 통과시키고, 통과된 상기 낮은 대역의 음성 신호와 상기 높은 대역의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회로(110)는 노이즈가 있는 것이 검출되면, 해당되는 대역의 음성 신호의 노이즈의 출력 계수가 작아지도록 노이즈가 없는 것으로 검출된 대역의 음성 신호의 출력 계수를 증가시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함(100)은 높이가 가로와 세로 길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사각 박스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비어 있는 내부에 상기 신호 처리 회로가 내장되어 있되, 상기 신호 처리 회로의 기판을 분리하여 수납 가능하도록 구획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납함(100)은 양단에 바닥면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기둥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단은 상기 지지기둥을 연결하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상판이 마련되어 있는 작업테이블(150)의 일측면에 내장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로세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100)이 내장되는 작업테이블(150)에 수납함(100)이 내장되는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테이블(150)의 상단에는 지지상판(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하단형성부(151), 하단형성부(151)으로부터 상측으로 거리를 갖도록 이격 되어 위치하는 제1 상단형성부(155), 제1 상단형성부(155) 상측에 거리를 갖도록 위치하여 수납함(100)이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제2 상단형성부(159) 및 수납함(100)이 삽입되는 선반부(153)가 위치할 수 있고, 선반부(153)의 내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형성부(15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상단형성부(155)는 하단형성부(151)와 사이에 공간을 가지나, 앞을 향해서는 막혀 있는 즉, 내부에 박스 형상의 공 간이 형성되도록 수직 연장된 정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단형성부(155)의 정면부에는 스피커가 삽입될 수 있고, 전원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마우스와 키보드 연결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USB포트가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상단형성부(155)와 제2 상단형성부(159) 사이에 선반부(153)가 수납함(100)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기 위하여는 각 상단형성부가 서로 거리를 갖도록 이격되어 위치하여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마다 편하게 느껴지는 작업테이블(150)의 높이가 다를 수 있고, 목적에 따라 수납함(100)이 삽입되는 선반부(153) 및 이동형성부(154)의 높이가 다르게 설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상단형성부(155)와 제2 상단형성부(159)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 상단형성부(155)와 제2 상단형성부(159) 사이 양 측면에 사이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형성부(15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간격형성부(156)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그 높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간격형성부(156)의 수납함(100)이 삽입되는 방향 측면에 제1 상단형성부(155)와 수직되도록 기립하여 위치하는 지지부(1561)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561)에는 간격형성부(156)와 나사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15611)가 형성될 수 있다.
간격형성부(156)는 제1 상단형성부(155)와 제2 상단형성부(159)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간격형성부(156) 측면에 지지부(1561)가 접촉한 상태로 체결부(15611)을 통과하도록 나사결합을 하게 되면 결합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체결부(15611)와 간격형성부(156)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각 상단형성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지지부(1561)에는 외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이동부(1562)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형성부(154)에는 이동부(1562)와 대응되도록 양측면에 위로 굴곡진 형상의 이동레일(15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부(1562)와 이동레일(1541)이 구비됨으로써 이동형성부(154)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외부로 반출되거나, 내측으로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동레일(1541)은 위로 볼록하도록 굴곡질 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에 의해 이동부(1562)는 이동레일(1541)에 안정적으로 안착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이동형성부(154)의 이동 정도를 필요에 따라 2단, 3 단 등으로 조절할 수 있는데, 각각의 단에 대응하는 간격마다 걸림턱(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일정 정도 이동되면 걸림턱(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이동형성부(154)는 이동의 한계점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단턱이나 걸림쇠를 구비하여 이동형성부(154)가 외부로 한계점까지 나오는 경우 단턱이나 걸림쇠에 걸려 더 이상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형성부(154)가 예기치 않게 선반부(153)로부터 완전히 이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또한, 제1 상단형성부(155)와 제2 상단형성부(159)에 형성된 모니터 홀은 양 상판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나란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같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형성부(154)가 사용자 방향으로 반출되어 상면에 다른 물건 등이 올려지게 되는 경우, 아래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이동레일(1541)와 이동부(1562) 등에 토크를 가하는 결과가 되어 결합 부위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될 수 있다.
이는 이동레일(1541)와 이동부(1562), 지지부(1561) 등의 내구성에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하중을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동형성부(154)는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하단형성부(151)까지 연장되어 이동형성부(154)을 지지하기 위한 이동지지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이동지지부(200)는 이동형성부(154)의 위치에 따라 기립되는 정도가 다를 수 있는데, 예컨대, 이동형성부(154)가 선반부(153)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경우, 이동지지부(200)는 완전히 접힌 상태로 제1 상단형성부(155)와 제2 상단형성부(159)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이동형성부(154)가 앞을 향해 반출되는 경우에는 하단형성부(151)을 향해 펼쳐져 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지지부(200)에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형성부(154)의 위치에 따라 접힘과 펼침이 조절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채용될 수 있다.
이동형성부(154)는 상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손가락을 걸어 이동형성부(154)을 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 홈의 형상 크기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사용자의 손가락 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형성부(154)의 상단에는 수납함(100)이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고, 이동형성부(154)가 선반부(153)로부터 빠져나와 사용자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이동형성부(154)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수납함(100)도 동시에 사용자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이동형성부(154)의 두께가 적절한 정도로 형성되는 경우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이동형성부(154)의 두께가 홈이 형성되기에 얇은 경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손을 걸어 당길 수 있도록 이동형성부(154)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손잡이 홀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PC게임 이용 시설뿐 아니라, 사무실이나 가정에서도 PC를 이용하는 도중 음료나 물을 곁에 두고 마시는 경우가 많은데, 만약 이러한 음료 등을 담은 컵이 엎질러지는 경우,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전자제품에 손상을 일으키거나, 종이가 젖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상단형성부(155) 및 제2 상단형성부(15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컵이 고정되어 거치되기 위한 컵홀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컵홀더는 바람직하게는 제1 상단형성부(155) 또는 제2 상단형성부(159)의 한쪽 측면에 치우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컵홀더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다양한 직경을 갖는 컵을 모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선반 내장형 컴퓨터 작업테이블(150)은, 제2 상단형성부(159) 및 이동형성부(154)는 제1 상단형성부(155)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즉, 제2 상단형성부(159), 이동형성부(154)가 한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간격형성부(156), 지지부(1561), 이동부(1562)을 포함하여 한 셋트로 이루어져, 기존의 PC방에서 이용되는 컴퓨터 작업테이블(150) 등에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에 사용하던 컴퓨터 작업테이블(150)을 그대로 이용하되,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누릴 수 있으므로, 경제적, 공간적으로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지지부(200)는 삽입고정부(210)와 설치고정부(220), 결합부(250), 걸이홈(260) 및 그립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삽입고정부(210)는 이동형성부(154)에 설치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중공관 형태이고 일측면에는 제1 삽입홀(210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동형성부(154)가 중공부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고정부(210)에는 설치고정부(220)가 설치될 수 있다.
설치고정부(220)는 후술하는 그립부(240)와 걸이홈(260)의 설치 기능 및 걸이홈(260)과의 걸림 현상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다시 제1 고정부(221)와 제2 고정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 중 제1 고정부(221)는 전면이 개방되고 후면에는 제2 삽입홀(2212)이 형성되며 내부면에는 회전홈(2214)이 상호 마주보도록 대칭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1 나사형성부(2216)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나사형성부(2216)는 도면과 같이 단순 요철형태이지만 이 외에도 나사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부(221)는 제2 삽입홀(2212)과 제1 삽입홀(2101)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삽입고정부(210)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부(222)는 외경이 제1 고정부(221) 내경과 거의 동일하고 이루어지고 후면에는 제3 삽입홀(2222)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방지형성부(222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고정부(222)는 제1 고정부(221)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이 과정에서 방지형성부(2224)이 회전홈(2214)에 끼워짐에 따라 제2 고정부(222)이 제1 고정부(221) 안에서 회전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부(222)의 내주면에는 걸이부(2226)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때 걸이부(2226)는 제2 고정부(222)를 사이에 두고 방지형성부(2224)과 대칭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걸이부(2226)를 방지형성부(2224)과 마주보는 지점에 형성시키는 이유는 조립과정에서 걸이홈(260)을 손쉽게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이유는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걸이부(2226)가 두 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한 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동일한 간격을 두고 3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홈(2214)을 제2 고정부(222) 외주면에 형성시키고 방지형성부(2224)를 제1 고정부(221) 내주면에 형성시키는 구조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즉 회전홈(2214)을 제1 고정부(221) 및 제2 고정부(222) 중 어느 곳에 형성시키던지 방지형성부(2224)과 제2 고정부(222)이 연결되어 제2 고정부(22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설치고정부(220)는 다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내부에 고정 공간(2201)이 형성된 구조를 갖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고정부(220)에는 프레임(230)이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230)은 후술하는 그립부(240) 및 결합부(250)의 인출과정에서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경이 제1 고정부(221) 외경과 거의 동일한 중공관 형태이고 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전면 중앙에는 제4 삽입홀(231)이 형성되며 내부면에는 제2 나사형성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프레임(230)은 제1 고정부(221)의 전면과 외부둘레를 감싸는 형태, 즉 제1 고정부(221)가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이때 제2 나사형성부(232)가 제1 나사형성부(2216)에 끼워짐에 따라 프레임(230)이 설치고정부(220)로부터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나사형성부(232)는 기본적으로 제1 고정부(221)의 제1 나사형성부(2216)와 대응되는 단순 요철구조로 이루어지는데, 만약 제1 나사형성부(2216)가 나사산일 경우 제2 나사형성부(232)도 나사산으로 적용될 수 있다.
만약 프레임(230)을 고무재질로 제작할 경우 제2 나사형성부(232)를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는데, 그 이유는 프레임(230)을 제1 고정부(221) 외부에 억지 끼움시키는 과정에서 제1 나사형성부(2216)가 프레임(230) 내부면에 박히게 되므로 프레임(230)이 쉽게 빠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프레임(230)에는 그립부(240) 및 결합부(25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립부(240)는 길이조절부재의 작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프레임(230)처럼 후면이 개방된 중공관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경이 프레임(2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그립부(240)는 프레임(230)의 전면과 외부둘레를 감싸는 형태, 즉 프레임(230)이 그립부(240)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그립부(240)의 내경이 프레임(230)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그립부(240)는 프레임(230)을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프레임(230)을 중심으로 회전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250)는 이동형성부(154)의 상하 이동을 실질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로, 단순 막대 형태이며 중간지점에 나사부(51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부(250)는 일단부가 그립부(240)의 내부 전면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프레임(230)의 제4 삽입홀(231) 과 제1 고정부(221) 및 제2 고정부(222)의 제2 삽입홀(2212), 제3 삽입홀(2222) 및 삽입고정부(210)의 제1 삽입홀(2101)을 관통한 후 이동형성부(154)의 삽입공(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50)는 제1 삽입홀(2101), 제2 삽입홀(2212), 제3 삽입홀(2222) 및 제4 삽입홀(231)에 헐겁게 관통되도록 하여 작동과정에서 각 삽입홀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250)에는 걸이홈(260)이 설치될 수 있다.
걸이홈(260)은 결합부(250)의 불필요한 인출 및 인출상태 유지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2 고정부(222) 내경과 비슷한 면적의 원판 형태이고, 중앙에 제1 홈(261)이 형성되며 테두리 상에는 제2 홈(26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홈(262)은 걸이부(2226)이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양측 대칭되는 지점에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제2 홈(262)의 형성개수는 걸이부(2226)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이홈(260)의 후면 중 제2 홈(262) 사이는 제3 홈(263)이 형성되는데, 제3 홈(263)은 제2 홈(262)과 모양 및 면적이 동일하지만 제2 홈(262)과 달리 걸이홈(260)을 관통하지 않고 일정 깊이 함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3 홈(263)이 제2 홈(262) 사이에 형성됨에 따라 제3 홈(263)과 제2 홈(262)은 걸이홈(260)의 테두리를 따라 번갈아 가며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걸이홈(260)은 제1 홈(261)이 결합부(250)에 끼워져 나사체결 될 수 있다.
결합부(250)가 이동형성부(154)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설치고정부(220)의 고정 공간(2201) 중 걸이부(2226)과 제3 삽입홀(2222) 사이에 위치되는데, 이때 결합부(250)가 제1 홈(261)을 관통한 상태에서 나사부(510)에 나사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그립부(240)의 전후 이동 시 결합부(250)와 걸이홈(260)이 함께 전후 이동되고 그립부(240)의 회전 시 모두가 함께 회전되는 구조를 갖게 될 수 있다.
이렇게 걸이홈(260)이 제1 고정부(221)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각 제2 홈(262)이 각 걸이부(2226)과 엇갈린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프레임(230)의 내부에는 스프링(270)이 설치되는데, 스프링(270)는 가변이동형성부(154)로부터 분리된 결합부(250)의 자동위치복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스프링구조로 이루어지며 결합부(250) 중 걸이홈(260)과 프레임(230) 내부의 전면 사이구간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부는 걸이홈(260) 전면에 접촉되고 타단부는 커버 내부 전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참고로 스프링(270)는 스프링 구조 외에도 탄성력을 갖는 와이어나 판재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삽입고정부(210) 상에 제1 고정부(221)을 고정시킨 뒤 제2 고정부(222)을 제1 고정부(221) 내부에 끼워 넣는 데, 이 과정에서 각 방지형성부(2224)이 각 회전홈(2214)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2 고정부(222)의 회전 및 인출을 방 지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250)가 프레임(230)의 제4 삽입홀(231)을 관통되도록 하여 프레임(230)를 그립부(240) 내부에 삽입시키 고 결합부(250)에 스프링(270)를 결합시킨 뒤 걸이홈(260)을 결합부(250)의 나사부(510)에 나사체결 시킨다.
이 상태에서 걸이홈(260)을 설치고정부(220)의 고정 공간(2201) 중 걸이부(2226)과 제3 삽입홀(2222) 사이공간에 집어넣는데,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걸이부(2226)의 각 제2 홈(262)과 각 걸이부(2226) 간의 위치를 일치시킨 상태로 넣어야지만 걸이홈(260)이 걸이부(2226)을 통과한 후 걸이부(2226)과 제3 삽입홀(2222) 사이 공간까지 이동될 수 있게 될 수 있다.
이때 각 걸이부(2226)은 방지형성부(2224)이 형성된 지점 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걸이홈(260)을 고정 공간(2201)에 집어넣기 전에 방지형성부(2224)의 위치를 확인한 후 걸이홈(260)을 회전시켜 제2 홈(262)을 방지형성부(2224)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삽입하면 자연스럽게 제2 홈(262)이 걸이부(2226)을 통과하게 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221)과 제2 고정부(222)의 회전홈(2214)과 방지형성부(2224)이 걸이부(2226) 위치의 표시역할도 함께 하게 되는 것이다. [0074] 이렇게 걸이홈(260)이 고정 공간(2201)에 완전히 삽입됨과 동시에 프레임(230)는 제1 고정부(221) 외부를 감싼 상태 가 되고 이 상태에서 제1 나사형성부(2216)와의 걸림에 의해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렇게 설치된 본 실시예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도 2]는 위 설치과정을 통해 모든 조립이 완료된 상태, 즉 이동형성부(154)의 길이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 상태에서는 걸이홈(260)이 걸이부(2226)과 제3 삽입홀(2222) 사이 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결합부(250) 단부가 설치고정부(220)를 관통한 후 이동형성부(154)에 체결되어 이동형성부(154)의 상이 이동이 차단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높이조절을 위해 이동형성부(154)를 상하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그립부(240)를 앞 쪽으로 당김과 동시에 약간씩 회전시키면 결합부(250)와 걸이홈(26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각 제2 홈(262)의 위치가 각 걸이부(2226)과 일치됨과 동시에 걸이홈(260)이 걸이부(2226)을 통과하면서 그립부(240)와 결합부(250) 전체가 외부로 인출되며, 이 과정에서 스프링(270)가 걸이홈(260)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이렇게 걸이부(2226)을 통과한 걸이홈(260)은 후면이 걸이부(2226) 반대쪽 단부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고 결합부(250)가 인출되면서 이동형성부(154)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이동형성부(154)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그립부(240)를 다시 일정각도 회전시켜 걸이홈(260)의 제2 홈(262) 위치를 걸이부(2226)과 어긋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그립부(240)를 놓으면 스프링(270)의 탄성력에 의해 그립부(240)를 비롯한 결합부(250)와 걸이홈(260)이 다시 뒤쪽으로 이동하려고 하지만, 걸이홈(260)이 걸이부(2226)에 걸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인출된 상 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홈(262)과 걸이부(2226)의 위치가 어긋남과 동시에 걸이부(2226)과 제3 홈(263)의 위치가 일치되어 걸이부(2226)단부가 제3 홈(263)에 끼워지기 때문에 그립부(240)의 불필요한 회전이 방지되므로 그립부(240)의 불필요한 회전에 의해 걸이홈(260)과 걸이부(2226)간의 걸림이 해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그립부(240)를 놓은 상태에서 두손으로 가변이동형성부(15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길이조절작업이 훨씬 손쉽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달리 그립부(240)가 당겨진 상태에서 걸이홈(260)과 걸이부(2226) 간 걸림구조에 의해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과 달리 양손으로 길이조절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동형성부(154)의 길이조절이 완료된 후 이동형성부(154)의 위치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 그립부(240)를 앞쪽으로 약간 당기면 제3 홈(263)이 걸이부(2226)과 분리되고 이 상태에서 그립부(240)를 다시 일정각도 돌린 뒤 제2 홈(262)과 걸이부(2226)간 위치를 일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그립부(240)를 놓으면 스프링(270)의 탄성력에 의해 걸이홈(260)이 자연스럽게 걸이부(2226)을 통과하면서 그립부(240)와 결합부(250)도 함께 이동되어 결합부(250)의 단부가 이동형성부(154)에 끼워짐에 따라 이동형성부(154)의 상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그 후 그립부(240)를 이용해 걸이홈(260)을 일정각도 돌려 제2 홈(262)과 걸이부(2226)이 어긋나도록 하면 그립부(240)의 불필요한 인출이 차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그립부(240) 인출은 걸이홈(260)을 회전시켜 제2 홈(262)과 걸이부(2226)간 위치를 일치시킨 후에만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과정에서 그립부(240)가 외부와 접촉되더라도 원치 않게 인출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300)는 각 모서리가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300)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건물 내벽의 천장 또는 내벽에 설치 가능하도록 연결홈(301, 309)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연결홈(301, 309)과 대응되는 연결 모듈(305)과 체결되어 상기 건물 내벽의 천장 또는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모듈(305)은 스테인리스 또는 철강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되 상기 연결홈(301, 309)과 대응되는 위치를 제외한 공간에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상기 고정홈(미도시)을 관통하며 상기 건물 내벽 또는 천장에 고정시키는 체결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300)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두 개의 층을 이루며 세로 방향의 다단 형식으로 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300)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대한 노이즈의 유무를 검출하고, 소정의 위상 특성을 갖되, 소정 주파수 보다 낮은 대역의 음성 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소정의 위상 특성을 갖되 소정 주파수보다 높은 대역의 음성 신호를 통과시키고, 통과된 상기 낮은 대역의 음성 신호와 상기 높은 대역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신호 처리 회로는 높이가 가로와 세로 길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사각 박스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납함(100)에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함(100)은 양단에 바닥면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기둥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단은 상기 지지기둥을 연결하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상판이 마련되어 있는 작업테이블(150)의 일측면에 내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수 있다.
100: 디지털 프로세서

Claims (2)

  1. 신호 처리 회로가 내장되는 수납함;을 포함하는, 디지털 프로세서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대한 노이즈의 유무를 검출하고,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소정의 위상 특성을 갖되, 소정 주파수 보다 낮은 대역의 음성 신호를 통과시키고, 상기 소정의 위상 특성을 갖되 소정 주파수보다 높은 대역의 음성 신호를 통과시키고, 통과된 상기 낮은 대역의 음성 신호와 상기 높은 대역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노이즈가 있는 것이 검출되면, 해당되는 대역의 음성 신호의 노이즈의 출력 계수가 작아지도록 노이즈가 없는 것으로 검출된 대역의 음성 신호의 출력 계수를 증가시켜 출력하고,
    상기 수납함은,
    높이가 가로와 세로 길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사각 박스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은,
    비어 있는 내부에 상기 신호 처리 회로가 내장되어 있되, 상기 신호 처리 회로의 기판을 분리하여 수납 가능하도록 구획되어 마련되고,
    상기 수납함은,
    양단에 바닥면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기둥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단은 상기 지지기둥을 연결하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상판이 마련되어 있는 작업테이블의 일측면에 내장되어 위치되고,
    상기 작업테이블은,
    상기 지지상판의 상단에 상기 지지상판에 의해 지지되는 하단형성부;
    상기 하단형성부로부터 상측으로 거리를 갖도록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상단형성부;
    상기 제1 상단형성부의 상측에 거리를 갖도록 위치하여 상기 수납함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2 상단형성부; 및
    상기 수납함이 삽입되는 선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단형성부는,
    상기 하단형성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앞을 향해서는 막혀 있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박스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수직 연장된 정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반부는,
    상기 제1 상단형성부와 상기 제2 상단형성부 사이에 상기 수납함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작업테이블은,
    상기 선반부의 내측면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형성부; 및
    상기 제1 상단형성부와 상기 제2 상단형성부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형성부는,
    상기 수납함이 삽입되는 방향 측면에 상기 제1 상단형성부와 수직되도록 기립하여 위치하며 나사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는,
    외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이동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동형성부는,
    상기 이동부와 대응되도록 양측면에 위로 굴곡진 형상의 이동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형성부는,
    상기 이동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상기 이동레일에 의해 상기 선반부의 외부로 반출되거나 내측으로 부드럽게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이동형성부는,
    이동의 한계점을 조절하는 단턱이나 걸림쇠가 구비되어 있어 외부로 한계점까지 나오는 경우, 상기 단턱이나 걸림쇠에 걸려 더 이상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선반부로부터 완전히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지털 프로세서.
  2. 삭제
KR1020210053773A 2021-04-26 2021-04-26 디지털 프로세서 KR102294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773A KR102294496B1 (ko) 2021-04-26 2021-04-26 디지털 프로세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773A KR102294496B1 (ko) 2021-04-26 2021-04-26 디지털 프로세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496B1 true KR102294496B1 (ko) 2021-08-25

Family

ID=7749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773A KR102294496B1 (ko) 2021-04-26 2021-04-26 디지털 프로세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4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2777A (ja) * 2007-12-27 2008-07-24 Sony Corp 信号処理システム、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2777A (ja) * 2007-12-27 2008-07-24 Sony Corp 信号処理システム、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5337B2 (en) Cable management apparatuses and systems
JP3119144U (ja) 電子デバイス掛け留め機構
US20120134519A1 (en) Integrated television Mount and Audio System
US20100252696A1 (en) Flexible Stand Assembly
JP7099780B2 (ja) キャビネット下のモバイルブロードバンドデバイス用の充電システム
US7988114B2 (en) Adjus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5982537A (en) Speaker apparatus with a picture projecting screen
US8055009B2 (en) Mountable audio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US6682043B1 (en) Shock-absorbing device for a microphone stand
US20040035972A1 (en) Medical and power cord control and storage apparatus
US8324503B2 (en) Wall mounted television cable and cord organizing apparatus
US6536699B2 (en) Medical and power cord control and storage apparatus
KR102294497B1 (ko) 스피커
KR102294496B1 (ko) 디지털 프로세서
US8465318B2 (en) Cord organizer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140086442A1 (en) Furniture
US8229152B2 (en) Interchangeable bar loudspeaker system
US202401215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devices to a flat screen video monitor
US20120061541A1 (en) Hanging structure
US8270652B2 (en) Integrated television mount and audio system
WO2010117338A1 (en) A sound reproduction apparatus for varying sound transmission and a corresponding method thereof
US20160157001A1 (en) Wireless Speaker Enclsoure
CN1753572B (zh) 组合有电路单元的扬声器装置
US11058020B2 (en) Wall mount device
US20190215590A1 (en) Wireless Speaker Enclo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