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120B1 -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 - Google Patents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120B1
KR102294120B1 KR1020210009822A KR20210009822A KR102294120B1 KR 102294120 B1 KR102294120 B1 KR 102294120B1 KR 1020210009822 A KR1020210009822 A KR 1020210009822A KR 20210009822 A KR20210009822 A KR 20210009822A KR 102294120 B1 KR102294120 B1 KR 102294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ller
functional filler
functional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향제
Original Assignee
이향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향제 filed Critical 이향제
Priority to KR102021000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120B1/ko
Priority to PCT/KR2021/003894 priority patent/WO202215864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5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using elastic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primary projections fitting by friction in complementary spaces between secondary projections, e.g.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져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돌기 또는 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물과 끼움 결합하여 조립 가능한 블록부와,
상기 블록부 내부에 삽입되어 블록부에 기능을 부여하는 기능성충전재와,
상기 블록부 내부에 기능성충전재가 수용하도록 형성된 충전재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

Description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Toy block with functional filling}
본 발명은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에 관한 것으로, 가요성을 가지는 블록부 내부에 기능성충전재를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록부에 기능성충전재를 수용하는 충전재수용부를 구비하되, 충전재수용부가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트임부를 구비함으로서 다수의 완구 블록을 별도의 접착부재 사용없이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능성충전재로서, 자성체, 형상유지부재, 발광체, 유체가 밀봉된 튜브 등을 적용함으로써 창의성 발달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레고 블록과 호환 가능하며, 블록부 외면에 부착수단을 구비하여 부착대상물에 부착 가능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에 관한 것이다.
레고(LEGO)로 널리 알려진 블록 장난감의 어원은 덴마크어로 '재미있게 놀다'라는 뜻을 가진 'LEG GODT'를 줄여서 만든 것으로서, 올레라는 덴마크의 목수가 나무 조각을 다듬어 장난감으로 만들어 팔면서 만든 상표이다.
일반적으로 레고를 구성하는 블록은,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의 블록본체와, 블록본체의 개구와 대응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돌기로 형성된다.
블록은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되며, 이러한 블록을 자유롭게 결합시키고 쌓아 원하는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레고 블록은 단순히 블록을 결합시키고 쌓는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아동의 창의력을 개발하고, 창의력 개발을 통해 지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그 모양이 단순하고 결합할 수 있는 위치도 한정되어 있다.
또한 경질로 제조되어 뾰족한 모서리에 의해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6794호에는 도 1과 같이 단위 블록 상호간이 자력에 조립됨과 아울러 전기적인 결선이 이루어져 발광되게 함으로써 블록 조립에 대한 흥미 유발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자력 조립형 발광 블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9847호에는 도 2와 같이 발포폴리프로필렌으로 블록 몸체를 만들고, 표면 전체에 실리콘 고무 재질의 코팅체를 도포하여 제조된 소프트 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4444호에는 도 3과 같이 판형부재가 끼워지는 끼움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3차원 구조물 조립이 가능한 아동용 블록빌더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아동의 창의력 증진과 안전성 향상을 위해 발광 기능, 소프트한 소재 사용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결합, 배치하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이루어지므로 몇 번만 맞추어보면 흥미가 떨어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2501호에는 도 4와 같이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한 심재와, 심재를 둘러싸는 유연재질로 형성되는 피복재로 이루어진 루프 형상의 변형부와, 변형부의 단부에 자성체를 포함하도록 장착된 결합부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져 변형 가능한 변형 완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자체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특징은 있으나, 기존의 레고와 호환이 되지 않으므로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7567호에는 도 5와 같이,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져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돌기(110) 또는 홈(120)이 일체로 형성된 블록부(130)와, 일면이 돌기(110) 또는 홈(120)이 형성되지 않은 면을 차폐하고 다른면은 부착대상물과 부착 가능한 부착층(150)과,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블록부(130)와 부착층(150) 사이에 내장되며 외력에 의해 변형 후 외력 제거시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는 형상유지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요성 완구 블록(100)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가요성 완구 블록은 필요시 절단하여 사용함에 따라 형상유지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크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가요성 완구 블록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만들어낼 수 있는 형태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0674호에는 도 6과 같이 연장부(190) 및 연장결합부(192)를 구비하여 가요성 완구 블록이 단차지지 않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가요성 완구 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가요성은 가지되 확장성이 낮고,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금방 흥미를 잃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가요성을 가지는 블록부 내부에 기능성충전재를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부에 기능성충전재를 수용하는 충전재수용부를 구비하되, 충전재수용부가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트임부를 구비함으로서 다수의 완구 블록을 별도의 접착부재 사용없이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능성충전재로서, 자성체, 형상유지부재, 발광체, 유체가 밀봉된 튜브 등을 적용함으로써 창의성 발달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레고 블록과 호환 가능하며, 블록부 외면에 부착수단을 구비하여 부착대상물에 부착 가능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은,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져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돌기 또는 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물과 끼움 결합하여 조립 가능한 블록부와, 상기 블록부 내부에 삽입되어 블록부에 기능을 부여하는 기능성충전재와, 상기 블록부 내부에 기능성충전재가 수용하도록 형성된 충전재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재수용부 일측에는, 내부와 외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절제된 트임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성충전재는, 알루미늄, 구리, 철, 형상기억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블록부 변형시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기능성충전재는, 내부에 기체 또는 유체를 밀폐 상태로 수용하는 튜브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성충전재는, 자성체가 적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성충전재는, 발광체가 적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부 외면 일측에는, 상기 블록부가 부착대상물에 부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부착력을 갖는 부착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성충전재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대칭되는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이 각각 블록부에 삽입함으로써 한 쌍의 블록부의 이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가요성을 가지는 블록부 내부에 기능성충전재를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다.
블록부에 기능성충전재를 수용하는 충전재수용부를 구비하되, 충전재수용부가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트임부를 구비함으로서 다수의 완구 블록을 별도의 접착부재 사용없이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기능성충전재로서, 자성체, 형상유지부재, 발광체, 유체가 밀봉된 튜브 등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창의성 발달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큰 자우도로 인해 활용도가 높아지므로 싫증 유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착수단을 구비하여 부착대상물에 부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레고 블록과 호환 가능한 효과도 가진다.
도 1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6794호에 개시된 자력 조립형 발광 블록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9847호에 개시된 소프트 블록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3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4444호에 개시된 아동용 블록빌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2501호에 개시된 변형 완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7567호에 개시된 가요성 완구 블록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6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0674호에 개시된 가요성 완구 블록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의 외관 을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 7의 Ⅰ-Ⅰ'부 종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 7의 Ⅱ-Ⅱ'부 종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 9의 "A"부 확대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에서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 9의 "A"부 확대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에서 또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 9의 "A"부 확대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에서 또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 9의 "A"부 확대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에서 블록부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에서 블록부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에서 부착수단이 적용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140)가 구비된 완구 블록(이하 '완구 블록(100)'이라 칭함)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140)가 구비된 완구 블록(100)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140)가 구비된 완구 블록(100)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 7의 Ⅰ-Ⅰ'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140)가 구비된 완구 블록(100)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 7의 Ⅱ-Ⅱ'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구 블록(100)은 기존의 레고와 호환 가능하여 유사한 외형을 가진다. 그리고 외면에는 돌기(122) 및/또는 홈(도 15의 도면부호 128 참조)이 형성되어 있어, 다른 완구 블록(100)과 조립 가능하다.
즉 상기 완구 블록(100)은 블록부(120)에 의해 직육면체의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부(120)의 외면에는 돌기(122)나 홈(12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부(120)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완구 블록(100)은 내부에 기능성충전재(140)를 구비하고 있어서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록부(120) 내부에는 기능성충전재(1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충전재수용부(124)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재수용부(124)에는 블록부(120)의 외측 방향으로 절제되어 블록부(120)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한 트임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트임부(126)는 충전재수용부(124) 내부에 기능성충전재(140)를 삽입할 때 소정의 폭만큼 벌어짐으로써 기능성충전재(14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7에서 상기 기능성충전재(140)는 두개의 완구 블록(100)을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한 쌍의 완구 블록(100)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충전재(140)는 도 8과 같이 충전재수용부(124)와 유사한 외형을 가지며, 충전재수용부(124)보다는 조금 작은 외관 크기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도 9와 같이 한 쌍의 완구 블록(100)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관통하여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기능성충전재(14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140)가 구비된 완구 블록(100)의 내부 구조 및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도 9의 "A"부 확대도이다.
우선 도 10과 같이 상기 기능성충전재(140)는 플렉시블한 블록부(120)에 힘을 가하여 변형시 변형된 모습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능성충전재(140)는 알루미늄, 구리, 철, 형상기억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재(金屬材)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능성충전재(140)는 소성에 의해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여 링(RING) 형태 등 변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능성충전재(140)는 자성체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성충전재(140)는 자성을 띔으로써 블록부(120) 외측에 클립, 핀, 압정 등을 부착하여 보관하는 기능도 수행 가능하며, 고무자석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완구 블록(100)은 기능성충전재(140)를 내장하더라도 플렉시블한 성질을 가지면서도 자성을 동시에 띄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능성충전재(140)는 도 11과 같이 내부에 기체 또는 유체를 밀폐 상태로 수용하는 튜브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기능성충전재(140)의 외면은 내부가 밀봉된 튜브에 의해 형성되게 하고, 튜브 내부에 공기나 물, 오일 등을 채움으로써 다수의 완구 블록(100)을 동시에 관통하여 길게 연장하거나 플렉시블한 성질을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성충전재(140)는 도 12와 같이 자성체나 금속재를 튜브 형태의 보호부재 내부에 내장한 상태에서 충전재수용부(124)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튜브 내부에 내장된 자성체나 금속재는 자성을 발생하거나 형상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이물(철가루 등) 부착시 제거가 용이하고 소정의 충격 완화 기능을 가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능성충전재(140)는 도 13과 같이 발광체가 채택될 수 있다. 발광체가 채택된 기능성충전재(14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함으로써 외부로 빛을 내보내 빛이 나는 완구 블록(100)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발광체는 튜브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충전재수용부(124) 내부에 삽입이 보다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스위치를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발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충전재수용부(124)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140)가 구비된 완구 블록(100)에서 블록부(120)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140)가 구비된 완구 블록(100)에서 블록부(120)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4와 같이 상기 블록부(120)는 내부에 형성되는 충전재수용부(124)의 형상을 변형하여 적용 가능하다.
이때 상기 충전재수용부(124)의 하부는 개구율이 감소하도록 설계하여 트임부(126)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기능성충전재(140)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충전재수용부(124)는 도 16과 같이 한 쌍의 완구 블록(100)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성충전재(140)는 한 쌍의 완구 블록(100)이 마주하여 연통된 충전재수용부(124)와 대응하는 외형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완구 블록(100)의 다른 실시예의 추가 구성을 설명한다.
도 16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충전재(140)가 구비된 완구 블록(100)에서 부착수단(160)이 적용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완구 블록(100) 외면 일측에는 상기 블록부(120)가 부착대상물에 부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부착력을 갖는 부착수단(1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160)은 가전제품 등의 부착대상물에 부착할 수 있도록 자성체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벽체 등의 부착대상물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점착테이프가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떼었다 붙였다를 반복할 수 있도록 벨크로테이프를 채택할 수도 있으며, 당겨지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선택적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흡착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착수단(160)은 트임부(126)가 형성된 면에 부착되되 충전재수용부(124) 내부에는 기능성충전재(140)가 충진된 상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완구 블록 120. 블록부
122. 돌기 124. 충전재수용부
126. 트임부 128. 홈
140. 기능성충전재 160. 부착수단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져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돌기 또는 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물과 끼움 결합하여 조립 가능한 블록부와,
    알루미늄, 구리, 철, 형상기억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블록부 내부에 삽입되며, 블록부 변형시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성충전재와,
    상기 블록부 내부에 기능성충전재가 수용하도록 블록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충전재수용부와,
    상기 블록부 외면 일측에서 블록부가 부착대상물에 부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부착력을 갖는 부착수단과,
    상기 충전재수용부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절제되어 기능성충전재를 충전재수용부에 삽입시 벌어짐으로써 기능성충전재의 길이 방향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충전재수용부에서 개구율이 감소하도록 설계되어 내부의 기능성충전재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제한하며, 다수 블록부의 충전재수용부에 기능성충전재를 삽입시 별도의 접착부재 사용없이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트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
  4.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져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돌기 또는 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물과 끼움 결합하여 조립 가능한 블록부와,
    내부에 기체 또는 유체를 밀폐 상태로 수용하는 튜브 형태로 이루어져 블록부 내부에 삽입시 플렉시블한 성질을 가지는 기능성충전재와,
    상기 블록부 내부에 기능성충전재가 수용하도록 블록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충전재수용부와,
    상기 블록부 외면 일측에서 블록부가 부착대상물에 부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부착력을 갖는 부착수단과,
    상기 충전재수용부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절제되어 기능성충전재를 충전재수용부에 삽입시 벌어짐으로써 기능성충전재의 길이 방향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충전재수용부에서 개구율이 감소하도록 설계되어 내부의 기능성충전재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제한하며, 다수 블록부의 충전재수용부에 기능성충전재를 삽입시 별도의 접착부재 사용없이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트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
  5.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져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돌기 또는 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물과 끼움 결합하여 조립 가능한 블록부와,
    플렉시블하면서 자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블록부 내부에 삽입시 블록부 외면에 클립, 핀, 압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부착하여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성충전재와,
    상기 블록부 내부에 기능성충전재가 수용하도록 블록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충전재수용부와,
    상기 블록부 외면 일측에서 블록부가 부착대상물에 부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부착력을 갖는 부착수단과,
    상기 충전재수용부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절제되어 기능성충전재를 충전재수용부에 삽입시 벌어짐으로써 기능성충전재의 길이 방향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충전재수용부에서 개구율이 감소하도록 설계되어 내부의 기능성충전재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제한하며, 다수 블록부의 충전재수용부에 기능성충전재를 삽입시 별도의 접착부재 사용없이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트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
  6.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져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돌기 또는 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물과 끼움 결합하여 조립 가능한 블록부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함으로써 외부로 빛을 내보내 빛이 나는 블록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충전재와,
    상기 블록부 내부에 기능성충전재가 수용하도록 블록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충전재수용부와,
    상기 블록부 외면 일측에서 블록부가 부착대상물에 부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부착력을 갖는 부착수단과,
    상기 충전재수용부의 내부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절제되어 기능성충전재를 충전재수용부에 삽입시 벌어짐으로써 기능성충전재의 길이 방향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충전재수용부에서 개구율이 감소하도록 설계되어 내부의 기능성충전재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제한하며, 다수 블록부의 충전재수용부에 기능성충전재를 삽입시 별도의 접착부재 사용없이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트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
  7. 삭제
  8.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충전재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서로 대칭되는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이 각각 블록부에 삽입함으로써 한 쌍의 블록부의 이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
KR1020210009822A 2021-01-24 2021-01-24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 KR102294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822A KR102294120B1 (ko) 2021-01-24 2021-01-24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
PCT/KR2021/003894 WO2022158644A1 (ko) 2021-01-24 2021-03-30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822A KR102294120B1 (ko) 2021-01-24 2021-01-24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120B1 true KR102294120B1 (ko) 2021-08-26

Family

ID=77465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822A KR102294120B1 (ko) 2021-01-24 2021-01-24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4120B1 (ko)
WO (1) WO202215864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684Y1 (ko) * 2001-08-11 2001-12-24 글로리 인노베이션스 인코퍼레이티드 회전휠을 갖는 조립식 장난감
JP3675479B2 (ja) * 1994-06-27 2005-07-27 ハンズ オン トイ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組み立て玩具
KR20160008735A (ko) * 2014-07-15 2016-01-25 박진경 샤이닝 튜브블럭 이글루(일명 토이글루)
KR101887567B1 (ko) * 2017-04-27 2018-08-13 이향제 가요성 완구 블록
KR101950654B1 (ko) * 2018-12-21 2019-02-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팽창 블럭 및 굽힘 블럭을 포함하는 소프트 구동 블럭 유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5479B2 (ja) * 1994-06-27 2005-07-27 ハンズ オン トイ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組み立て玩具
KR200256684Y1 (ko) * 2001-08-11 2001-12-24 글로리 인노베이션스 인코퍼레이티드 회전휠을 갖는 조립식 장난감
KR20160008735A (ko) * 2014-07-15 2016-01-25 박진경 샤이닝 튜브블럭 이글루(일명 토이글루)
KR101887567B1 (ko) * 2017-04-27 2018-08-13 이향제 가요성 완구 블록
KR101950654B1 (ko) * 2018-12-21 2019-02-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팽창 블럭 및 굽힘 블럭을 포함하는 소프트 구동 블럭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8644A1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5568T3 (es) Sistema de construcción de juguetes
US9873061B2 (en) Toy magnetic construction pieces for a kit
US20150104992A1 (en) Plaything
US11224821B2 (en) Shell-within-a-shell magnetic toy construction block
US7066779B2 (en) Mounting arrangement for squeakers
US5205773A (en) Deformable toy structure with inverted mouth
KR102250615B1 (ko) 조립식 작동 완구 블록
KR101887567B1 (ko) 가요성 완구 블록
KR102294120B1 (ko) 기능성충전재가 구비된 완구 블록
KR101896144B1 (ko) 조립식 완구블럭
KR100720691B1 (ko) 컨넥터 블록 완구
US6537131B1 (en) Realistic doll head mounting assembly
US20170340980A1 (en) Imagination Blocks
KR200250911Y1 (ko)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블록 조립체
JPH02131278U (ko)
US6648714B1 (en) Toy brick
JP2005342124A (ja) 組立玩具
US20180345162A1 (en) Kit of construction elements
KR20220001410U (ko) 조립형 광원을 구비한 디폼블럭
KR200427056Y1 (ko) 데코 패널
CN220736180U (zh) 一种含有立体造型图案的磁力建构片
KR101940368B1 (ko) 자석블럭완구에 사용되는 조립패널
KR100740408B1 (ko) 학습용 조립블록
CN216531408U (zh) 具有卡通公仔的手机壳
WO2017126983A9 (en) A multidimensional building blocks and assembly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