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863B1 -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 Google Patents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863B1
KR102293863B1 KR1020200035197A KR20200035197A KR102293863B1 KR 102293863 B1 KR102293863 B1 KR 102293863B1 KR 1020200035197 A KR1020200035197 A KR 1020200035197A KR 20200035197 A KR20200035197 A KR 20200035197A KR 102293863 B1 KR102293863 B1 KR 102293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ealing
head insertion
sealing memb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재
권경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5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863B1/ko
Priority to US17/173,068 priority patent/US20210291090A1/en
Priority to KR1020210108615A priority patent/KR102360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863B1/ko
Priority to KR1020220014299A priority patent/KR102400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4Filter housing constructions open-top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31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 B01D29/33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6Arrangements of devices for purifying liquids to be transferred, e.g. of filters, of air or water separators
    • B67D7/766Arrangements of devices for purifying liquids to be transferred, e.g. of filters, of air or water separators of water sepa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4Seals or gas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46Means for avoiding false mounting of differ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62Pipe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laundry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1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filter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는, 입수관 및 출수관이 연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에 구속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필터링 부재; 상기 헤드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와 결합되며, 상단이 개구되어 물이 출입되는 헤드 삽입부; 상기 헤드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필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헤드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헤드와 상기 헤드 삽입부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필터 하우징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실링부;와, 상기 실링부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부에 구속되는 걸림부; 및 상기 실링부와 상기 걸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water purifying apparatus refrigerator}
본 발명은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 장치는 공급되는 물을 필터 또는 여과재 등을 이용하여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수도 또는 탱크의 물을 정화하여 음용 가능한 상태로 정화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음용 가능한 물을 공급하는 정수 장치는 정수기가 대표적이며, 최근에는 냉장고에도 이와 같은 정수 장치의 전체 또는 일부가 구비되어 냉장고를 통해 정수된 물을 공급받거나 이를 이용하여 얼음을 만들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정수 장치는, 냉장고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와 함께 사용자가 외부에서 정수된 물을 취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80168호에는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냉장고에서는 필터의 장착시 상기 필터의 장착 및 고정 과정에서 상기 필터가 회전 장착되며,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필터가 장착되는 부위에서 오링이 탈락되거나, 오링의 위치가 변경되어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필터 하우징 캡의 상단에 오링이 안착되는 부위의 구조가 복잡하게 형성되어 사출성형시 언더컷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사출 성형공정이 필요하거나 후가공이 필요하게 되어 생산 및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오링이 장착되는 부위에서 언더컷의 발생 또는 금형의 노후화로 인한 형상의 정밀도 저하로 인해서 오링이 필터 하우징에 완벽히 밀착되지 못해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필터의 장착시 회전되면서 장착되는 구조에서는 상기 오링의 밀착성이 보다 좋지 못하게 되며, 상기 오링의 위치 이탈 또는 밀착성 저하로 인한 누수 문제가 더욱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헤드에 삽입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헤드에 고정 장착되는 필터의 장착시 필터와 헤드 사이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우징 캡의 상단에 돌출되는 언더컷을 없애고, 하우징 캡과 실링 부재가 밀착하여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필터 하우징이 간단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생산성과 조립 작업성이 향상되는 필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우징 캡과 헤드 사이의 실링되는 면적을 보다 더 넓게 형성할 수 있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여, 필터 하우징 외부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 장치는, 필터 하우징 상단부와 하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실링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 하우징과 상기 헤드 사이를 기밀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 장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이 연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에 구속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필터링 부재; 상기 헤드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와 결합되며, 상단이 개구되어 물이 출입되는 헤드 삽입부; 상기 헤드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필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헤드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헤드와 상기 헤드 삽입부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필터 하우징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실링부;와, 상기 실링부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부에 구속되는 걸림부; 및 상기 실링부와 상기 걸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 하우징은, 상면이 개구되며, 상기 필터링 부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캡은 상기 하우징 바디의 개구된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삽입부는, 상기 고정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 삽입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실링 부재 하단과 접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링부는 단면이 원형인 오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의 양 측단은, 상기 연결부 양 측단 보다 상기 필터 하우징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 내면은, 상기 고정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내면 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실링 부재의 하단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의 두께가, 상기 연결부의 수평 방향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캡은, 상기 헤드 삽입부 내측에서 상방으로 단차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외경은 상기 헤드 삽입부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실링부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접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장부 내면은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헤드 삽입부 중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링부와 연결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실링 부재 하단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의 두께가 상기 제2 연장부의 수평 방향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는 정수 장치;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정수 장치에서 정수된 물을 외부에서 취출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 장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이 연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에 구속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필터링 부재; 상기 헤드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와 결합되며, 상단이 개구되어 물이 출입되는 헤드 삽입부; 상기 헤드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필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헤드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헤드와 상기 헤드 삽입부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필터 하우징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실링부;와, 상기 실링부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부에 구속되는 걸림부;와 상기 실링부와 상기 걸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실링 부재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고정부가 상기 헤드 삽입부 상단과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언더컷을 발생시키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헤드 삽입부 외면에 단일로 형성되어 상기 실링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화되어 사출성형 공정이 간단해지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필터의 장착을 위한 회전 조작시 필터링 유로가 상기 입수부와 출수부에 연결되어 정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며, 필터의 분리를 위한 회전 조작시 바이패스 유로가 연결되어 필터 제거시에도 연속적인 물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필터의 장착 및 분리를 회전 조작에 의해 별도의 추가 조작 없이 유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상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실링 부재가 상기 실링 부재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실링부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한 회전 조작에도 상기 실링 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실링 부재가 상기 고정부 상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 삽입부의 상당 부분의 면적을 감싸도록 하여, 상기 헤드와 상기 하우징 캡 사이를 보다 더 기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실링부재의 실링부는 상기 원형 단면을 가지는 오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의 장착시 상기 헤드의 내측면과 상기 실링부가 선접촉될 수 있으며, 접촉 면적을 최소화 하여 상기 필터의 회전 장착시에도 상기 실링부재가 장착 위치를 이탈하거나 탈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실링부재가 헤드와의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와, 헤드 삽입부에 걸림 구속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재는 실링부에 의해 효과적인 실링기능을 하며,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헤드 삽입부로부터 탈락되지 않고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헤드 삽입부에는 고정부가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부에 의해 상기 실링부재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걸림부의 고정 구조에 의해서 하나만 형성되어도 상기 실링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실링부의 상방에는 별도의 돌출구조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상기 실링부재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헤드 삽입부의 구조로 인하여 상기 헤드 삽입부에는 돌출 구조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필터 또는 하우징 캡의 성형이 용이하고 성형시 언더컷의 발생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후가공이 필요치 않게 되어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간단한 금형 구조로 인하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실링 부재가 상기 헤드 삽입부 외측면에 면 접촉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실링 부재를 상기 헤드 삽입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헤드 삽입부 상단 내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실링 부재를 보다 더 견고하게 상기 하우징 캡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실링 부재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헤드 삽입부의 상단부와 상기 헤드 사이를 더 기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필터 구조가 구비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급수 유로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정수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정수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정수 장치의 필터와 헤드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필터 하우징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8-8'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 캡과 실링 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10-10'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 캡과 실링 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12-12'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링 부재와 하우징 캡이 헤드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장치가 장착된 정수기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베리어(13)를 기준으로 상하로 구획되며, 상부의 냉장실(14)과 하부의 냉동실(15)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5)은 좌우측으로 더 구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4)과 냉동실(15)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는 모두 힌지장치(26)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14)과 냉동실(15)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 중 어느 일측의 도어에는 디스펜서(23)와 아이스메이커(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3)는 냉장실 도어(21)의 전면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사용자가 조작하여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3) 상방에는 제빙실(25)이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25)은 얼음이 만들어지고 보관되는 단열 공간으로 내부에 상기 아이스메이커(24)가 수용되며 별도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14)의 내부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다수의 선반과 서랍(16)들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냉징실(14)의 측방에는 급수되는 물을 정화하여 상기 디스펜서(23)와 상기 아이스메이커(24)로 공급하는 정수 장치(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수 장치(17)는 상기 서랍(161)의 수납 공간과 벽면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161)의 전면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정수 장치(17)의 장착 위치는 서랍(161)의 일측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냉장실(14) 또는 상기 냉장실 도어(21)를 포함한 상기 냉장실(14)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급수 유로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수 또는 냉각한 후에 상기 디스펜서(23)로 취출하거나, 정수된 물을 상기 디스펜서(23) 또는 아이스메이커(24)로 공급하는 급수 유로(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30)는 고외측의 수도와 같은 급수원(2)에 직결되고,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장착되는 튜브 가이드(19)를 통해 고내 공간으로 유입되어 고내측의 정수 장치(17) 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30)는 상기 정수 장치(17)와 제 1 분지관(33)을 연결하며, 제 1 분지관에서 분지된 급수 유로는 각각 상기 메인 워터탱크(34)와 제 1 분지밸브(35)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분지밸브(35) 출구와 연결되는 급수 유로(30)는 상기 튜브 가이드(19)를 통해서 상기 캐비닛(10) 내측의 측벽 또는 캐비닛 외측의 후벽면을 따라 연장된 후 상면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도어 힌지(26)를 거쳐 상기 냉장실 도어(21)로 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급수 유로는 제 2 분지관(36)에 의해 분지되어 상기 서브 워터탱크(37)의 입구 및 제 2 분지밸브(38)와 연결된다. 상기 서브 워터탱크(37)는 상기 디스펜서(23)와 연결되어 냉각된 물이 상기 디스펜서(23)를 통해 취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분지밸브(38)의 출구는 각각 디스펜서(23) 및 아이스메이커(24)와 상기 급수 유로(3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23)와 아이스메이커(24)로 정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정수 장치(17)를 거쳐 정수된 물은 냉각되어 상기 디스펜서(23)로 공급되거나, 냉각되지 않고 정수된 상태로 상기 디스펜서(23) 또는 아이스메이커(24)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 장치(17)는 전체적으로 급수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40)와, 필터(40)가 결합되며 물이 유동되는 유로와 연결되는 헤드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40) 및 헤드 유닛(50)이 수용되는 케이스(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정수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정수 장치(17)는, 복수의 필터(40)와 헤드 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4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상기 헤드 유닛(50)의 입수측과 연결되는 제 1 필터(401)와 상기 헤드 유닛(50)의 출수측과 연결되는 제 3 필터(403)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401)와 제 3 필터(403)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필터(402)로 조합되어 상기 정수 장치(17)를 통과하는 물을 정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필터(401)와 제 2 필터(402) 및 제 3 필터(403)는 각각 프리 카본 필터와, 멤브레인 필터, 그리로 포스트 카본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필터(40)의 개수와 종류에는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정수 장치(17)의 내부에 수납 가능한 개수 그리고 효율적인 정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종류의 기능성 필터를 조합하여 복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4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필터 하우징(4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41)은 내부에 정수를 위한 필터링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 바디(42)와, 상기 하우징 바디(42)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41)의 상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캡(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캡(43)은 상기 헤드(60)의 개구된 하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43)의 상단에는 실링 부재(44)가 구비되어 상기 헤드(60)의 내측면과 접하여 기밀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40)의 장착시 상기 결합홈(631)과 결합돌기(435)가 서로 결합되며, 상기 필터(40)는 상기 헤드(60)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40)와 상기 헤드(60)가 완전히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필터(40)와 헤드(60)의 유로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필터(40)와 헤드(60) 사이에 물이 서로 출입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유닛(50)은 상기 각각의 필터(40)가 결합되는 다수의 헤드(60)와, 상기 헤드(6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마운팅부재(70)와, 상기 마운팅부재(70)의 양단에서 연결되어 원수가 입수되는 입수관(301) 및 정수된 물이 출수되는 출수관(3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부재(70)는 상기 다수의 헤드(60)가 장착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헤드(60)는 연결관(71)에 의해서 유로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입수관(301)을 통해 입수되는 원수는 각각의 필터를 모두 거친 후 정수되어 상기 출수관(302)으로 출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71)과 대응하는 상기 마운팅부재(70)의 일측에는 커버(72)가 장착되어 상기 연결관(71)을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캡(80)은 상기 회전 지지부(71)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마운팅 부재(7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캡(80)은 상기 헤드(60)와 이웃하는 헤드(60) 사이에서 유로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60)를 고정하여 상기 헤드(60)가 회전 조작에도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헤드(60)는 상기 필터(40)의 상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헤드 바디(61)와, 상기 헤드 바디(6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40)의 상단과 연결되어 물이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샤프트(미도시) 그리고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헤드 바디(61)의 상면을 차폐하는 헤드 캡(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40)는 상기 헤드(60)에 회전 방식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40)의 장착과정에서 헤드(60)의 내부로 유로가 연결되어 상기 필터(40) 내부로 정수를 위한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40)에서 정수된 물은 상기 헤드(60)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40)의 분리시 상기 헤드(60) 내부의 유로는 전환되어 누수되지 않도록 필터(40)측으로의 유로는 차단되고, 바이패스하여 상기 헤드(60)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40)의 교환이나 유로의 세척 등과 같은 서비스 작업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상기 필터(40) 제거시 상기 필터(40)가 제거된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입수관(30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상기 헤드(60)를 지나 상기 출수관(302)으로 유동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급수유로(30)상에 물 공급이 중단없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23) 및 아이스 메이커(24)의 정상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40)는 상기 정수 장치(17)의 기능에 따라서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필터(40)가 하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 유닛(50) 또한 하나의 헤드(60)와 마운팅부재(70)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헤드(60)의 구조는 단수 또는 복수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필터(40)와 헤드(60)가 단수로 구성되는 정수 장치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정수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정수 장치의 필터와 헤드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정수 장치(17)는 필터(40)와 헤드(60) 그리고 마운팅부재(7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4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필터 하우징(4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41)은 내부에 필터링 부재(45)를 수용하는 하우징 바디(42)와, 상기 하우징 바디(42)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41)의 상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캡(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42)는 필터링 부재(45)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하우징 바디(42)는 상부 개방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캡(43)은 상기 하우징 바디(42)의 상부 개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캡(43)은 필터링 부재(45)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 2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 캡(42)의 일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43)은 상부 개방부를 가진다.
상기 하우징 캡(43)은 상기 헤드(60)의 개구된 하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43)의 상단에는 실링 부재(4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 부재(44)는 상기 헤드(60)의 내측면과 접하여 기밀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43)의 상부에는 결합돌기(43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435)는 상기 필터(40)의 상부가 상기 헤드(60)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헤드(60)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홈(631)을 따라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마운팅부재(70)는 상기 케이스(171) 또는 냉장고(1) 고내 일측 벽면에 장착되는 베이스(73)와, 상기 베이스(73)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헤드(60)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지지부(74)에는 입수관(301)과 출수관(302)의 단부가 배치되며, 상기 회전 지지부(74)에서 상기 입수관(301)과 출수관(302)은 상기 헤드(60)의 입수부(611)와 출수부(6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헤드(60)는 상기 회전 지지부(74)에 의해 상기 마운팅부재(7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헤드(60)는 하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40)가 삽입 고정되는 헤드 바디(61)와 상기 헤드 바디(61)의 내측에 수용되는 샤프트(90) 그리고, 상기 헤드 바디(6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헤드 캡(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 바디(61)의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435)의 삽입 위치를 표시하는 삽입 표시부(613)가 형성되며 사용자는 상기 결합홈(631)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어, 상기 결합돌기(435)와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바디(61)의 외측면에는 상기 필터(40)의 회전 방향을 표시하는 회전 표시부(6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표시부(614)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필터(40)를 올바른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여 상기 결합돌기(435)가 상기 결합홈(631)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상기 필터 하우징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8-8'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필터 하우징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필터(40)는 상기 헤드(60)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헤드의 개구된 하면에 삽입되며, 상기 헤드의 삽입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헤드에 구속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40)의 장착과정에서 상기 샤프트가 상기 필터(40)와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필터(4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어 유로의 전환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샤프트에 의해 상기 필터(4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필터(40)측으로 유로가 전환되어 상기 필터(40)를 거쳐 물이 정화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4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공급되는 물이 상기 필터(40)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되어 상기 헤드(60)를 통과하도록 유로가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외형을 형성하는 상기 필터 하우징(41)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링 부재(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41)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필터링 부재(45)를 수용하는 하우징 바디(42)와, 상기 하우징 바디(42)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 하우징(41)의 상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캡(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 바디(42)는 필터링 부재(45)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바디(42)는 상부 개방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링 부재(45)는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중공(451)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링 부재(45)의 상단과 하단에는 어퍼 서포터(80)와 로어 서포터(46)가 결합되어 상기 필터링 부재(45)가 상기 필터 하우징(41)의 내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어퍼 서포터(80)는 상기 필터링 부재(45)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헤드 삽입부(431)의 입구와 상기 중공(451)을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 삽입부(431)를 통해 상기 헤드(6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40)에서 정화된 물이 상기 헤드(60)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서포터(80)는 상기 필터링 부재(45)의 상단을 수용하는 서포터 수용부(82)와, 상기 서포터 수용부(82)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필터링 부재(45)의 중공(451)에 삽입되는 서포터 삽입부(83)와, 상기 서포터 삽입부(83) 상면에서 상방으로 단차지게 돌출되는 서포터 단차부(84)와 상기 서포터 단차부(84)의 상면 중앙에서 상기 헤드 삽입부(431)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서포터 연장부(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삽입부(83)는 내부가 중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에 형성되는 필터 출력유로(861)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단차부(84)는 상기 서포터 수용부(82)의 상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서포터 수용부(82)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단차부(84)의 중앙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서포터 연장부(8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연장부(85)는 상기 하우징 캡(43)과 상기 어퍼 서포터(80)의 결합시 상기 헤드 삽입부(431)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포터 연장부(85)는 상기 서포터 단차부(84)에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86)와 상기 제 1 연장부(86)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8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86)는 상기 제 2 연장부(87)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연장부(86)의 상면에는 상기 필터 출구(8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86)의 외측에는 제 1 연장부 오링(863)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연장부(87)의 외측에는 제 2 연장부 오링(87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 오링(863)에 의해서 상기 헤드 삽입부(431)의 내측과 상기 제 1 연장부(86)의 사이가 기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장부 오링(876)은 상기 샤프트(9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 2 연장부(87)와 상기 샤프트(미도시) 사이가 기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물과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정수된 물이 누설되거나 서로 혼합되지 않고 독립적인 유로를 통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상단에는 제 1 연결부(8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851)는 상기 서포터 연장부(85)의 상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851)는 상기 샤프트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헤드 삽입부(431) 내부에는 중공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헤드 삽입부(431)의 내측면에는 상기 어퍼 서포터(80)와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 체결부(4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캡(43)은 상기 하우징 바디(42)의 상부 개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 캡(43)과, 실링 부재(44)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 캡(43)과 실링 부재(44)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10-10' 단면도이다.
상기 하우징 캡(43)은 상기 헤드(60)의 개구된 하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43)의 상부에는 실링 부재(4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 부재(44)는 상기 헤드 바디(61)의 내측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 회전에 의해 상기 필터(40)측으로 유로가 전환되어 상기 필터(40)로 출입되는 물이 상기 필터(40)와 상기 헤드(60) 사이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 캡(43)의 상단에는 상기 헤드(6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60)와 결합되는 헤드 삽입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삽입부(431)는 고정부(432)가 포함하여, 후술할 실링 부재(44)를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32)는 상기 실링 부재(44)가 분리되거나 상기 실링 부재(4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32)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 상단과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면에 단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 부재(44)를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하여 상기 하우징 캡(43) 사출 성형 시, 상기 필터 하우징(4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언더컷(undercut) 발생을 저감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헤드 삽입부(431)는, 상기 실링 부재(44)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부(4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33)는 상기 고정부(432)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33) 상단에는 상기 실링 부재(44) 하단부가 안착되어,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33)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면으로 돌출되는 거리는, 상기 실링 부재(44) 수평 방향의 두께와 대응되거나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33)는, 상기 고정부(432)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거리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32)와 상기 지지부(433)는 삽입 연결부(434)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삽입 연결부(43)는 상기 고정부(432)와 상기 지지부(433) 보다 더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어 후술할 실링 부재(44)의 걸림부(444)와 접하는 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32)와 상기 삽입 연결부(434) 및 상기 지지부(433)는 서로 단차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432)는 상기 삽입 연결부(434)보다 더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33)는 상기 고정부(432)보다 더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면에 견고하게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캡(43)의 상기 헤드 삽입부(431)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사출 성형 시 언더컷 발생을 제거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버(burr)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43)이 상기 헤드(60)에 삽입되었을 때, 버(burr) 발생에 의한 누수가 발생되는 포인트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측에는 결합돌기(4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435)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홈(631)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헤드(6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캡(43)은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 바디(42)와 결합되는 바디 연결부(436)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 연결부(436) 상단은 상기 헤드 삽입부(431) 하단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 캡(43)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경사면(438)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 연결부(436)의 경사면(438)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438)은, 상기 경사면(438)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경사 리브(4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 리브(437)는, 상기 경사면(438)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경사면(438)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 리브(437)는, 상기 필터 하우징(41)의 강도를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연결부(436)는 상기 경사면(438)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면(439)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면(439) 내부에는 상기 필터링 부재(45)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측에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측면 둘레를 따라 밀착 되어, 상기 헤드 삽입부(431)와 상기 헤드(60)의 내측면 사이를 기밀하는 실링 부재(44)가 구비된다.
상기 실링 부재(44)는, 상면과 하면이 개구되어,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 상방에서 삽입되어, 상기 헤드 삽입부(431)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실링 부재(44)는 상기 필터 장착시 상기 헤드 바디의 내측면과 접하게 되어 상기 필터로 출입 또는 출수되는 물이 상기 헤드(60) 사이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실링 부재(44)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헤드 삽입부(431)를 외측에서 감싸는 제1 실링부(441)와, 상기 제1 실링부(441) 상단에서,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실링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441)는, 상기 고정부(432) 상단에서부터, 상기 지지부(433) 상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441)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의 상당 부분의 면적을 감싸도록 하여 상기 헤드 삽입부(431)와 상기 헤드(60)의 사이를 실링하는 면적을 보다 더 넓게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캡(43)이 상기 헤드(6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 캡(43)으로 출입되는 물이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441)는, 상기 고정부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필터 하우징 외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부(444)와 상기 제2 실링부(442)와 상기 걸림부(444)를 연결하는 연결부(4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실링부 외면(441a)은, 상기 헤드 삽입부(431)가 상기 헤드(6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헤드(60)와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실링 부재(44)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 내면(441b)은, 상기 고정부(43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내면 홈을 포함하는 연결부(44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443)는,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432)와 밀착되어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443)는 상기 제1 실링부(441)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면 홈은 상기 고정부(43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432)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링부 내면(441b)은, 상기 내면 홈(443)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433) 상단과 연결되는 걸림부(4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444)는, 상기 걸림부(444) 상단은 내면 홈(443)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걸림부(444) 하단은 상기 실링 부재(44)의 하단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443)와, 상기 걸림부(444)의 내면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 부재(44) 하단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부(444) 수평 방향의 두께는 상기 연결부(443)의 수평 방향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43)는 상기 고정부(432)와 접하여,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 (444)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의 상기 삽입 연결부(434)와 정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부(442)는, 상기 제1 실링부(441) 상단에서 상기 제1 실링부(441)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부(442)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 장착시, 상기 고정부(432)의 상단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캡(43)이 상기 헤드(60)에 연결될 때, 상기 하우징 캡(43)으로 출입되는 물이 상기 하우징 캡(43)과 상기 헤드(60)의 사이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제2 실링부(442) 하단은 상기 고정부(432) 상단과 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실링부(442) 상단은, 상기 헤드 삽입부(431) 상단 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실링부(442)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 상단과, 상기 고정부(4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부(442)의 외면은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측(상기 헤드 삽입부(431)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캡(43)이 상기 헤드(6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헤드(6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하우징 캡(43)과 상기 헤드(60) 사이를 기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실링부(442)의 양 측단은, 상기 연결부(434) 양 측단 보다 더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하우징(41)이 상기 헤드(6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2 실링부(442)는 상기 헤드(60)와 상기 필터 하우징(41) 사이를 기밀하여 물이 누설되는 것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 실링부의 내면(442b)은 상기 제2 실링부(442) 내측(상기 헤드 삽입부(431) 중심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헤드 삽입부(431)와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실링부(442)의 단면은 원형인 오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실링부(442) 외측단은 상기 헤드(60)와 선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필터(40)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 부재(444)가 상기 헤드(60) 내측면과는 선 접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필터(40)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하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링 부재(44)를 달리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432)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 하우징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실링부(442)와, 상기 고정부(432)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필터 하우징 외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부(444)와 상기 실링부(442)와 상기 걸림부(444)를 연결하는 연결부(4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실링부(441)는 상기 연결부(443)와 걸림부(44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실링부(442)는 실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링 부재(44)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 면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캡(43)이 상기 헤드(6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헤드(60)와 상기 하우징 캡(43) 사이에서 실링되는 면적을 보다 더 넓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43)의 헤드 삽입부(431)의 구조를 간단하게 형성하여 사출성형시 언더컷을 발생시키지 않고, 비교적 단순한 금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금형 틀어짐 등으로 인한 버(burr)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60)에 상기 하우징 캡(43) 사이에서 물이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 캡(43)과 실링 부재(44)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11의 12-12'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링 부재(44)가 하우징 캡(43)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하우징 캡(43)의 상단에는 상기 헤드(6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60)와 결합되는 헤드 삽입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삽입부(431)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 상단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돌출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50)는, 후술할 실링 부재(44)를 구성하는 연장부(445)를 상단에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부(450)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 상단과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돌출부(450)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 내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450)의 외경은, 상기 헤드 삽입부(431)의 외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450)의 외경은 상기 헤드 삽입부(431)의 개구된 상면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50)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 상기 실링 부재(44)를 장착하였을 때, 상기 실링 부재(44)를 상단에서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삽입부(431)는 고정부(432)를 포함하여, 상기 실링 부재(44)를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432)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32)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 상단과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면에 단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 부재(44)를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하여 상기 하우징 캡(43) 사출 성형 시, 상기 필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언더컷(undercut) 발생을 저감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헤드 삽입부(431)는, 상기 실링 부재(44)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부(4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33)는 상기 고정부(432)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33) 상단에는 상기 실링 부재(44) 하단부가 안착되어,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33)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면으로 돌출되는 거리는, 상기 실링 부재(44) 수평 방향의 두께와 대응되거나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33)는, 상기 고정부(432)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거리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측에는 결합돌기(4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435)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헤드(6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캡(43)은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 바디(42)와 결합되는 바디 연결부(436)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 연결부(436) 상단은 상기 헤드 삽입부(431) 하단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 캡(43)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경사면(438)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 연결부(436)의 경사면(438)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438)은, 상기 경사면(438)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경사 리브(4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 리브(437)는, 상기 경사면(438)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경사면(438)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 리브(437)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강도를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연결부(436)는 상기 경사면(438)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면(439)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면(439) 내부에는 상기 필터링 부재(45)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측에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측면 둘레를 따라 밀착되어, 상기 헤드 삽입부(431)와 상기 헤드(60)의 내측면 사이를 기밀하는 실링 부재(44)가 구비된다.
상기 실링 부재(44)는, 상면과 하면이 개구되어,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 상방에서 삽입되어, 상기 헤드 삽입부(431)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실링 부재(44)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헤드 삽입부(431)를 외측에서 감싸는 제1 실링부(441)와, 상기 제1 실링부(441) 상단에서,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실링부(442) 및, 상기 제2 실링부(442)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4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441)는, 상기 고정부(432) 상단에서부터, 상기 지지부(433) 상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441)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의 상당 부분의 면적을 감싸도록 하여 상기 헤드 삽입부(431)와 상기 헤드(60)의 사이를 실링하는 면적을 보다 더 넓게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캡(43)이 상기 헤드(6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 캡(43)으로 출입되는 물이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실링부(441) 외면은, 상기 헤드 삽입부(431)가 상기 헤드(6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헤드(60)와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실링 부재(44)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441) 내면은, 상기 고정부(43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내면 홈을 포함하는 연결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면 홈(443)은,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432)와 밀착되어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443)는 상기 제1 실링부(441)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면 홈(443)은 상기 고정부(43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432)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링부(441) 내면은, 상기 연결부(443)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433) 상단과 연결되는 걸림부(4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444)는, 상기 걸림부(444) 상단은 내면 홈(443)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걸림부(444) 하단은 상기 실링 부재(44)의 하단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443)와, 상기 걸림부(444)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실링부(441)는, 상기 제1 실링부(441) 상부의 수평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 실링부(441) 하부의 수평 방향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된다. 상기 내면 홈(443)은 상기 고정부(432)와 접하여,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444)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의 상기 고정부(432)와 상기 지지부(433)의 사이 부분과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부(442)는, 상기 제1 실링부(441) 상단에서 상기 제1 실링부(441)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부(442)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 장착시, 상기 고정부(432)의 상단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캡(43)이 상기 헤드(60)에 연결될 때, 상기 하우징 캡(43)으로 출입되는 물이 상기 하우징 캡(43)과 상기 헤드(60)의 사이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제2 실링부(442) 하단은 상기 고정부(432) 상단과 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실링부(442) 상단은, 상기 헤드 삽입부(431) 상단 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실링부(442)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 상단과, 상기 고정부(4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부(442)의 외면은 상기 헤드 삽입부(431) 외측(상기 헤드 삽입부(431)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캡(43)이 상기 헤드(6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헤드(6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하우징 캡(43)과 상기 헤드(60) 사이를 기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링부(442)의 내면은 상기 제2 실링부(442) 내측(상기 헤드 삽입부(431) 중심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헤드 삽입부(431)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45)는, 상기 제2 실링부(442)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 상단까지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45)는, 상기 하우징 캡(43)이 상기 헤드(6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 캡(43) 상단부와 상기 헤드(60) 사이를 추가적으로 기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445)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60)와 상기 하우징 캡(43)에서 물이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45)는, 상기 실링부(442) 상단에서 상기 헤드 삽입부(431) 상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45)의 상단은, 상기 헤드 삽입부(431) 상단보다 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캡(43)이 상기 헤드(6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 캡(43)의 상면과 상기 헤드(60) 내측의 사이 공간을 기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실링 부재(44)는 상기 연장부(445)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 캡(43)과 상기 헤드(60) 사이의 실링되는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연장부 내면(445b)은, 상기 헤드 삽입부(431) 상부와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부(445) 내면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단차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장부 내면(445b)은 상기 돌출부(450)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헤드 삽입부(431) 중심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연장부 (446)와, 상기 제1 연장부(446)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실링부(442)와 연결되는 제2 연장부(4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부(446)는, 상기 돌출부(45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450)에 상기 실링 부재(44)를 밀착시켜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연장부(447)는, 상기 제2 연장부(447) 상단은 상기 제1 연장부(446)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장부(447) 하단은 상기 제2 실링부(442) 상단과 연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장부(447)는 상기 제1 연장부(446) 수평 방향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링 부재(44)를 달리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432)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 하우징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실링부(442)와, 상기 고정부(432)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필터 하우징 외면을 따라 형성된 걸림부(444)와 상기 실링부(442)와 상기 걸림부(444)를 연결하는 연결부(443) 및 실링부(442)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실링 부재(44)가 상기 헤드 삽입부(431) 상단까지 감싸도록 형성된 연장부(4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캡(43)은, 상기 헤드 삽입부(431)가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사출 성형 과정에서 언더 컷(under cut) 및 버(burr)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링 부재(44)는 상기 헤드 삽입부(431)와 접촉하는 면을 넓게 형성하여, 상기 헤드(60)에 상기 하우징 캡(43)이 삽입되었을 때, 상기 헤드(60)와 상기 하우징 캡(43)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지점을 저감하여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서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정수 장치(17)가 상기 냉장고(1)에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정수 장치(201)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수기(200)를 비롯하여 필터 교환방식으로 물을 정화시킬 수 있는 모든 장치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Claims (18)

  1. 입수관 및 출수관이 연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에 구속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필터링 부재;
    상기 헤드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와 결합되며, 상단이 개구되어 물이 출입되는 헤드 삽입부;
    상기 헤드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헤드와 상기 헤드 삽입부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삽입부는,
    상기 헤드 삽입부 외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 삽입부 외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헤드 삽입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실링부;와,
    상기 실링부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부에 구속되는 걸림부; 및
    상기 실링부와 상기 걸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헤드 삽입부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거리보다 더 길게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 상면에 상기 실링 부재 하면이 안착되어, 상기 실링 부재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정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은,
    상면이 개구되며, 상기 필터링 부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캡을 포함하는 정수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단면이 원형인 오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의 양 측단은,
    상기 연결부 양 측단 보다 상기 필터 하우징 외측으로 더 돌출된 정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내면은,
    상기 고정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내면 홈을 포함하는 정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실링 부재의 하단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의 두께가, 상기 연결부의 수평 방향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정수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캡은,
    상기 헤드 삽입부 내측에서 상방으로 단차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외경은 상기 헤드 삽입부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 정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실링부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접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내면은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헤드 삽입부 중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링부와 연결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실링 부재 하단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의 두께가 상기 제2 연장부의 수평 방향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정수 장치.
  10.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는 정수 장치;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정수 장치에서 정수된 물을 외부에서 취출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 장치는,
    입수관 및 출수관이 연결되는 헤드;
    상기 헤드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에 구속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필터링 부재;
    상기 헤드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헤드와 결합되며, 상단이 개구되어 물이 출입되는 헤드 삽입부; 및
    상기 헤드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헤드와 상기 헤드 삽입부의 사이를 기밀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삽입부는,
    상기 헤드 삽입부 외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 삽입부 외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헤드 삽입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실링부;와,
    상기 실링부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부에 구속되는 걸림부;와
    상기 실링부와 상기 걸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헤드 삽입부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거리보다 더 길게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 상면에 상기 실링 부재 하면이 안착되어, 상기 실링 부재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냉장고.
  11. 외형을 형성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측에 수용되는 필터링 부재;
    상단이 개구되어 물이 출입되는 헤드 삽입부;
    상기 헤드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삽입부는,
    상기 헤드 삽입부 외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헤드 삽입부 외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헤드 삽입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실링부;와,
    상기 실링부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부에 구속되는 걸림부; 및
    상기 실링부와 상기 걸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헤드 삽입부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거리보다 더 길게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 상면에 상기 실링 부재 하면이 안착되어, 상기 실링 부재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필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은,
    상면이 개구되며, 상기 필터링 부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캡을 포함하는 필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단면이 원형인 오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의 양 측단은,
    상기 연결부 양 측단 보다 상기 필터 하우징 외측으로 더 돌출된 필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내면은,
    상기 고정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내면 홈을 포함하는 필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실링 부재의 하단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의 두께가, 상기 연결부의 수평 방향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필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캡은,
    상기 헤드 삽입부 내측에서 상방으로 단차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외경은 상기 헤드 삽입부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 필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실링부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접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필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내면은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헤드 삽입부 중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링부와 연결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필터.
KR1020200035197A 2020-03-23 2020-03-23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293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197A KR102293863B1 (ko) 2020-03-23 2020-03-23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US17/173,068 US20210291090A1 (en) 2020-03-23 2021-02-10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0210108615A KR102360626B1 (ko) 2020-03-23 2021-08-18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0220014299A KR102400145B1 (ko) 2020-03-23 2022-02-03 필터, 필터가 구비된 정수 장치 및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197A KR102293863B1 (ko) 2020-03-23 2020-03-23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615A Division KR102360626B1 (ko) 2020-03-23 2021-08-18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863B1 true KR102293863B1 (ko) 2021-08-26

Family

ID=7746564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197A KR102293863B1 (ko) 2020-03-23 2020-03-23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0210108615A KR102360626B1 (ko) 2020-03-23 2021-08-18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0220014299A KR102400145B1 (ko) 2020-03-23 2022-02-03 필터, 필터가 구비된 정수 장치 및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615A KR102360626B1 (ko) 2020-03-23 2021-08-18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0220014299A KR102400145B1 (ko) 2020-03-23 2022-02-03 필터, 필터가 구비된 정수 장치 및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291090A1 (ko)
KR (3) KR1022938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4511S1 (en) * 2020-01-16 2022-09-2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ilter
CA197583S (en) * 2020-01-16 2022-12-06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ying filter for refriger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2090A (ko) * 1997-07-24 2001-03-15 게스틀, 마크 알. 회전 장착식 유체 필터 조립체
KR200249646Y1 (ko) * 2001-06-26 2001-11-16 (주)엠알 자동차용 오일필터
KR200263107Y1 (ko) * 2001-10-30 2002-02-01 동현말레필터시스템 주식회사 사출 타입 에어필터의 밀봉용 패킹 이탈 방지구조
KR100494595B1 (ko) * 2002-11-14 2005-06-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필터 장치
KR20170109987A (ko) * 2016-03-22 2017-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3673B1 (en) * 2004-09-07 2007-12-04 Wix Filtration Corp Llc High-pressure spin-on filter assembly
US8132675B2 (en) * 2007-12-05 2012-03-13 Baldwin Filters, Inc. Filter having baseplate with internal gasket location
DE102008031170B4 (de) * 2008-07-03 2010-06-17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Adapter zur Befestigung eines Filterelementes
US9803751B2 (en) * 2014-12-05 2017-10-31 Wix Filtration Corp Llc Seal, endcap assembly and filter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2090A (ko) * 1997-07-24 2001-03-15 게스틀, 마크 알. 회전 장착식 유체 필터 조립체
KR200249646Y1 (ko) * 2001-06-26 2001-11-16 (주)엠알 자동차용 오일필터
KR200263107Y1 (ko) * 2001-10-30 2002-02-01 동현말레필터시스템 주식회사 사출 타입 에어필터의 밀봉용 패킹 이탈 방지구조
KR100494595B1 (ko) * 2002-11-14 2005-06-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필터 장치
KR20170109987A (ko) * 2016-03-22 2017-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145B1 (ko) 2022-05-20
KR102360626B1 (ko) 2022-02-09
KR20210118776A (ko) 2021-10-01
US20210291090A1 (en) 2021-09-23
KR20220024248A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0145B1 (ko) 필터, 필터가 구비된 정수 장치 및 냉장고
AU2018233041B2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filter structure
KR101760210B1 (ko)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1780168B1 (ko) 냉장고의 정수 필터 구조
KR102436312B1 (ko)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20190139818A (ko) 필터 구조
US20230144077A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983717B1 (ko) 필터 구조
US20230356121A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and filter structure
KR101897922B1 (ko) 필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