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377B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377B1
KR102293377B1 KR1020200093240A KR20200093240A KR102293377B1 KR 102293377 B1 KR102293377 B1 KR 102293377B1 KR 1020200093240 A KR1020200093240 A KR 1020200093240A KR 20200093240 A KR20200093240 A KR 20200093240A KR 102293377 B1 KR102293377 B1 KR 102293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tage
head
suc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택순
Original Assignee
임택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택순 filed Critical 임택순
Priority to KR102020009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8Dual-powered vacuum cleaners, i.e. devices which can be operated with mains power supply or by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로 해드본체에 상하격판을 장치하여 상단으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전방에서 하단으로 관통된 유턴통로를 통하여 바닥에 형성된 포획구에 장치한 장방형에 반원형의 에어받침에 받혀 좁은 통로로 형성된 분출구에서 넓은 곳에 개방되며 와류현상을 일으켜 포획구에 장치한 회전브러시가 쓸어보낸 먼지와 이물질을 에어로 포획케 하며 배터리와 코드선을 장치하여 무선과 유선을 겸하게 구동본체에 장치한 진공휀과 연통되게 휠터를 구비한 포집통을 장치하여 내부에 배출관을 장치한 흡입관을 1단과 2단으로 결속하여 해드본체의 흡입관과 배출관에 연결하여 공기순환라인을 형성하여 진공휀에서 발생한 압축공기가 해드본체의 포획구에서 먼지와 이물질을 포획하여 포집후 에어는 배출되지 않고 순환하며 진공청소를 하는 것으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외부로 흡입한 공기가 배출되어 거르지 못한 미세먼지와 강력한 배기풍으로 기존먼지의 비산과 강력한 소음으로 건강과 정서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으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은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여 그 편리함으로 저변을 확대하여 경제적으로 이로우며 수출의 활로에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omitted}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로 해드본체에 흡배기능을 갖추고 구동본체의 진공휀과 포집통에 흡입관과 배출관을 장치하여 해드본체의 흡입구와 배출구에 각각 연결하여 공기순환라인을 형성하여 진공휀의 압축공기를 유통시켜 배출공기 없이 진공청소를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흡입해드에서 공기와 이물질을 흡입하여 포집후 압축공기는 청소기 외부로 배출하여 거르지 못한 미세먼지가 실내에 확산되고 세차게 배출되는 배출공기는 기존 먼지를 비산케 하고 소음도 강력하여 건강과 정서적으로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로 진공휀의 압축공기를 배출하지 않고 공기순환라인을 유통하며 압축공기로 이물질을 포집하고 배출공기 없이 압축공기는 순환라인을 계속 순환하여 진공청소를 하고 소음도 현저히 감소시켜 미세먼지 없고 배출공기로 인한 기존먼지의 비산도 없어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로 해드본체 내부에 상하에 분배격판을 형성한 상하격판을 전방은 하단으로 유통하는 유턴통로를 확보하여 장치하고 하단 전방에 장방형의 포획구를 형성하여 장방형에 반원형의 에어받침을 포획구 전방쪽에 부착하고 에어받침 후방과 바닥판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어 흡입구를 만들며, 포획구 테두리 후방을 구부려 포획구받침을 형성하고 상하격판 후방에 유입구와 흡입구를 형성하여 유입구에 자바라호스를 장치하고 흡입구에는 전방에 구형의 볼을 형성한 연결관을 장치하여 측면을 관통하여 해드배출관을 삽설한 해드흡입관을 부착하며, 모터에 진공휀을 장치하여 휠터를 구비한 포집통을 장치하고 손잡이를 형성한 구동본체를 형성하여 상단 측면을 관통하여 1단배출관을 삽설한 1단흡입관을 포집통의 흡입구에 장치하고 배터리와 코드선을 장치하고 배터리잔량램프와 충전램프를 장치하며, 내부에 2단배출관을 삽설하고 상하에 연결소켓을 형성한 2단흡입관을 형성하여 해드흡입관과 해드배출관에 결속하여 진공휀의 압축공기가 배출관을 통하여 해드본체의 유입구를 통하여 상하격판의 분배격판에서 분배되어 유턴통로에서 하단으로 유턴하며 에어받침에 받혀 좁은 면을 통과할때 와류현상을 일으키며 흡입관으로 나갈때 에어받침에 장치한 회전브러시가 회전하여 이물질은 후방으로 쓸어주면 흡입구에서 공기순환라인을 순환하는 압축공기가 이를 포획하여 포집후 배출공기 없이 진공청소하여 미세먼지와 배기풍으로 인한 비산먼지도 없고 소음도 현저히 감소하게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로 공기순환라인을 순환하는 압축공기로 먼지와 이물질을 포획구에서 포획하여 포집통에 포집후 배출공기 없이 에어는 라인을 순환하여 진공청소를 하여 미세먼지와 배기풍으로 인한 기존먼지의 비산도 없으며 소음도 현저히 감소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케 한 것으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청소기의 배출공기로 인하여 거르지 못한 미세먼지의 확산과 배기풍으로 인한 기존먼지의 비산 및 강력한 소음으로 건강과 정서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그 편리함으로 저변을 확대하여 경제적으로 이로우며 수출의 활로에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해드본체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브러시 측면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방은 넓고 후방은 좁게 해드본체(1)를 형성하고 해드본체(1)의 내부 사이즈에 맞춰 전방에 유턴통로(2')를 형성하게 상하격판(2)을 형성하여 상하격판(2) 상단에 중심부는 좁고 좌우의 외곽으로 가면서 점차 폭이 넓게 분배격판(9)을 형성하여 후방에 분배로(10)의 여백을 남기고 넓이의 각도에 맞게 부착하며, 상하격판(2) 하단에는 분배격판(9)의 높이가 상하격판(2) 상단에 부착한 분배격판(9)보다 높게 분배격판(9)을 형성하여 상하격판(2) 상단에 부착한 분배격판(9)과 폭과 각도가 맞게 후방에 분배로(10)의 여백을 남기고 전방은 포획구(6) 후방에 위치하게 부착하여 상하격판(2)을 해드본체(1) 내부에 장치하며, 전방에 장방형의 포획구(6)를 형성하고 포획구(6)가 끝나는 후방 경계에 포획구받침(7)을 형성한 해드본체하판(1')을 형성하여 해드본체(1) 하단에 부착하며, 장방형에 반원의 에어받침(5)을 형성하고 포획구(6) 전방 테두리에 부착하여 포획구(6)에 장치하고 상하격판(2)과 에어받침(5) 사이를 좁게 형성하여 터보기능의 분출구(4)를 형성하고 동시에 포획구(6)와의 사이에 여백을 두어 흡입구(8)를 형성하며, 막대형의 브러시브라켓(11'")을 형성하고 둘레에 브러시(11')와 수지브러시(11")를 교차하여 부착하여 회전브러시(11)를 형성하고 브러시브라켓(11'") 중심에 샤프트를 삽착하여 에어받침(5)의 반원 내에 장치하고 회전브러시모터(12)로 회전케 하여 바닥에 바퀴(33)를 장치하며, 상단에 유입구(3)를 형성하고 유입구(3) 하단 천장에 반원의 요홈을 형성한 후방브라켓(13)을 형성하여 헤드본체(1) 후방에 후방브라켓(13)을 장치하고 자바라호스(15)를 후방브라켓(13)의 유입구(3)에 삽설하며, 상단에 연결소켓(22)을 형성하고 하단에 흡입연결관(14) 삽입공을 천공한 해드흡입관(24)을 형성하여 상단 측면을 관통하여 해드흡입관(24) 중심에 하단이 밀봉되고 하단 측면이 천공되며 상단에 연결소켓(22)이 형성된 해드배출관(26')을 고정링(27)을 끼워 삽설하며, 해드흡입관(24) 측면의 관통된 곳에 연결관(15')을 삽설하여 해드배출관(26')에 연결관(15')을 삽설하고 연결관(15')에 자바라호스(15)를 연결하며, 일측이 구부러진 관을 형성하고 타측 끝단에 구형의 볼(13')을 형성한 흡입연결관(14)을 형성하여 해드흡입관(24) 하단의 흡입연결관(14) 삽입공에 구부러진 흡입연결관(14)을 삽설하며, 끝단의 볼(13')을 후방브라켓(13)의 요홈에 삽입하고 볼덮개(14')로 볼(13')을 덮어 고정하여 볼(13')이 전후좌우로 이동케 해드흡입관(24)을 장치하며, 구동본체(16)에 모터(17)에 부착한 진공휀(18)을 장치하고 휠터를 구비하여 전방에 흡입구를 형성하고 후방에 배출구를 형성한 포집통(19)를 형성하여 포집통(19)의 배출구가 진공휀(18)의 흡입구에 연통되게 진공휀(18) 전방에 장치하고 측면에 손잡이(20)를 장치한 구동본체(16)를 만들어 배터리(28)를 장치하여 손잡이(20)에 각 기구의 스위치(27)를 장치하고 코드선(30)을 부착하여 무선과 유선을 겸하게 하고 배터리잔량램프(31)와 충전램프(32)를 장치하며, 하단에 연결소켓(22)을 형성한 1단흡입관(21)을 형성하고 상단 측면을 관통하여 하단에 연결소켓(22)을 형성하고 상단 측면을 관통하여 나사를 형성한 1단배출관(25)을 형성하여 1단배출관(25)에 고정링(27)을 끼워 1단흡입관(21) 내부에 삽설하며, 포집통(19)의 흡입구에 1단흡입관(21)을 삽설하고 진공휀(18)의 측면을 관통하여 1단배출연결관(25')을 나삽하여 2단배출연결관(25")을 형성하고 배출연결관소켓(25'")에 연결하여 2단배출연결관(25")을 1단흡입관의 관통공으로 삽입하여 1단배출관(25)에 나삽하고 상단과 하단에 연결소켓(22)을 형성한 2단흡입관(23)을 형성하여 상단과 하단에 연결소켓(22)을 형성한 2단배출관(26)을 형성하고 2단배출관(26) 상하 둘레에 고정링(27)을 끼워 2단흡입관(23) 내부에 삽설하여 1단흡입관(21)과 1단배출관(25)에 2단흡입관(23)과 2단배출관(26)을 결속하며 2단흡입관(23)과 2단배출관(26)에 해드흡입관(24)과 해드배출관(26')을 결속하여 공기순환라인을 형성하고 진공휀(18)에서 발생한 압축공기가 해드본체(1)의 유입구(3)로 유입되어 분배로(10)에서 압축공기를 분배할때 유입구(3)는 좁고 포획구(6)는 넓기 ‹š문에 직선으로 유통하는 에어가 중앙부위에만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좌우에도 골고루 에어를 보내기 위하여 분배격판(9)을 장치하였으며 분배격판(9)의 간격은 가까운 중앙부위는 좁게 하였고 좌우 외곽쪽으로 갈수록 폭을 넓게 하여 에어를 균등하게 흐르게 하였으며, 분배격판(9)을 통과한 압축공기는 상하격판(2)이 끝나는 곳에서 하단으로 각도가 꺽여 바닥의 포획구(6)에 장치한 반원의 에어받침(5)을 통과하여 좁은곳의 분출구(4)를 통과하며 곡면끝의 넓은곳에서 분출하며 와류현상을 일으키며 흡입구(8)로 유입되는 먼지와 이물질을 포획하여 흡입구(8')를 통하여 포집통에 포집후 배출공기 없이 에어는 순환하여 진공청소를 계속 하는 것이며, 포집통(19)과 연결된 진공휀(18)의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포집통(19)에 이물질을 포집 후 배출공기 없이 공기는 진공휀(18)의 배출구에 연결된 배출관(25,26)에서 해드본체(1)로 유입되어 유턴하며 포획구(6)에서 이물질을 포획케 된것이며, 진공휀(18)은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압축공기를 순환케 하는 것이며, 배출공기가 없으므로 미세먼지는 제로이고 배기풍으로 하여 기존먼지의 비산도 없으며 강력한 소음도 현저히 감소하여 쾌적한 환경으로 그동안 취약했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포획구(6)에 장치한 에어받침(5) 반원 안에 장치한 회전브라시(11)가 회전하여 바닥의 먼지와 이물질을 후방의 흡입구(8)로 쓸어주면 이곳을 유통하는 압축공기가 이를 포획하게 되며 포획구(6) 후방 포획구받침(7)은 회전브러시(11)로 쓸어준 먼지와 이물질이 후방으로 이탈하지 않게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 해드본체 1. 해드본체하판 2. 상하격판
2'. 유턴통로 3. 유입구 4. 분출구
5. 에어받침 6. 포획구 7. 포획구받침
8. 흡입구 8'. 후방 흡입구 9. 분배격판
10. 분배로 11. 회전브러시 11'. 브러시
11". 수지브러시 11'". 브러시브라켓 12. 회전브러시모터
13. 후방브라켓 13'. 볼 14. 흡입연결관
14'. 볼덮개 15. 자바라호스 15'. 연결관
16. 구동본체 17. 모터 18. 진공휀
19. 포집통 20. 손잡이 21. 1단흡입관
22. 연결소켓 23. 2단흡입관 24. 해드흡입관
25. 1단배출관 25'. 1단배출연결관 25". 2단배출연결관
25'". 배출연결관소켓 26. 2단배출관 26'. 해드배출관
27. 고정링 28. 배터리 29. 스위치
30. 코드선 31. 배터리 잔량램프 32. 배터리충전램프
33. 바퀴

Claims (1)

  1.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전방을 넓고 후방은 좁게 형성된 해드본체(1)를 형성하고 해드본체(1) 내부를 상하로 나누는 상하격판(2)을 형성하여 전방에 유턴통로(2')를 만들고 상하격판(2) 상단에 분배격판을 형성하여 후방에 분배로(10)의 여백을 남기고 상하격판(2) 하단에도 분배격판을 형성하여 후방에 분배로(10)의 여백을 남기며, 하단 전방에 포획구(6)를 형성하고 포획구(6)에 반원의 에어받침(5)을 장치하여 흡입구(8)를 형성하며, 막대형의 브러시브라켓(11'")에 브러시(11')와 수지브러시(11")를 형성하여 에어받침(5)의 반원에 장치하고 회전브러시모터(12)로 회전케 하여 바닥에 바퀴(33)를 장치하며, 상단에 유입구(3)를 형성하고 유입구(3) 하단에 반원의 요홈을 형성한 후방브라켓(13)을 만들어 해드본체(1) 후방에 장치하여 자바라호스(15)를 후방브라켓(13)의 유입구(3)에 삽설하며, 상단에 연결소켓(22)을 형성하고 하단을 천공한 해드흡입관(24)을 형성하여 하단이 밀봉되고 상단에 연결소켓(22)을 형성한 해드배출관(26')을 고정링(27)을 끼워 해드흡입관(24) 중심에 장치하며 해드흡입관(24)가 해드배출관(26') 측면을 천공하여 연결관(15')을 해드배출관(26')에 연통하게 장치하고 해드본체(1)의 자바라호스(15)를 연결관(15')에 연결하여 연통하며, 일측이 구부러진 관을 형성하고 타측 끝단에 구형의 볼(13')을 형성한 흡입연결관(14)을 형성하여 해드흡입관(24) 하단의 천공된 곳에 삽설하고 끝단의 볼(13')은 후방브라켓(13)의 요홈에 삽입하고 볼덮개(14')로 덮어 고정하여 볼(13')이 전후좌우로 이동케 해드흡입관(24)을 장치하며 손잡이(20)를 형성한 구동본체(16)에 모터(17)를 부착한 진공휀(18)을 장치하고 휠터를 구비하여 전방에 흡입구를 형성하고 후방에 배출구를 형성한 포집통(19)을 형성하여 포집통(19)의 배출구를 포집통(19)의 흡입구에 연통되게 진공휀(18)의 전방에 장치하고, 모터(17) 상단에 배터리(28)를 장치하며 손잡이(20)에 각 기구의 스위치(29)를 장치하고 코드선(30)을 부착하여 무선과 유선을 겸하게 하고 배터리 잔량램프와 충전램프를 장치하며, 하단에 연결소켓(22)을 형성하고 상단 측면을 관통하여 나사를 형성한 1단배출관(25)을 형성하여 고정링(27)을 끼워 1단흡입관(21) 중심에 삽설하며, 포집통(19) 흡입구에 1단흡입관(21)을 장치하고 진공휀(18) 측면을 천공하여 배출구를 만들고 1단흡입관(21) 측면을 천공하여 2단배출연결관(25")을 1단배출관에 삽설하여 진공휀과 연통하며, 상단과 하단에 연결소켓(22)을 형성한 2단흡입관(23)을 형성하여 상단과 하단에 연결소켓(22)을 형성한 2단배출관을(26)을 형성하고 고정링을 끼워 2단흡입관(24) 중심에 삽설하여 1단흡입관(21)과 1단배출관(25)에 2단흡입관(23)과 2단배출관(26)을 결속하며, 2단흡입관(24)과 2단배출관(26')에 해드흡입관(24)과 해드배출관(26')을 결속하여 공기순환라인을 형성하여 구성된 진공청소기.
KR1020200093240A 2020-07-27 2020-07-27 진공청소기 KR102293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240A KR102293377B1 (ko) 2020-07-27 2020-07-27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240A KR102293377B1 (ko) 2020-07-27 2020-07-27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377B1 true KR102293377B1 (ko) 2021-08-24

Family

ID=77515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240A KR102293377B1 (ko) 2020-07-27 2020-07-27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3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5771A (ja) * 1992-09-25 1994-04-19 Hitachi Ltd 電気掃除機の吸口
JPH11206628A (ja) * 1998-01-30 1999-08-03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及びその吸込み口体
JP2001120480A (ja) * 1999-10-28 2001-05-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伸縮パイプ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7104334A (ja) * 2015-12-10 2017-06-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5771A (ja) * 1992-09-25 1994-04-19 Hitachi Ltd 電気掃除機の吸口
JPH11206628A (ja) * 1998-01-30 1999-08-03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及びその吸込み口体
JP2001120480A (ja) * 1999-10-28 2001-05-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伸縮パイプ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7104334A (ja) * 2015-12-10 2017-06-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81484A1 (zh) 手持式吸尘器
US11076730B2 (en) Robot cleaner
CN108397826A (zh) 壁挂式空调器室内机
CN108469063A (zh) 壁挂式空调器室内机
KR102293377B1 (ko) 진공청소기
CN206110054U (zh) 一种具有扬尘处理装置的电动地面清扫机
KR102172618B1 (ko) 스팀물걸레 진공청소기
KR102128190B1 (ko) 스팀 물걸레 진공청소기
TW480165B (en) Electric vacuum cleaner
CN209915857U (zh) 一种手持式吸尘器
CN205197899U (zh) 吸尘器
KR20200101631A (ko) 진공청소기
CN208892438U (zh) 吸尘器
KR102425787B1 (ko) 스팀물걸레 진공청소기
CN101623184A (zh) 吸尘器的集尘装置
CN206499396U (zh) 设有一体化精米除尘装置的电饭煲
CN210989983U (zh) 一种手持式旋风分离吸尘器
CN212140328U (zh) 一种应用于吸尘器尘杯的尘气分离装置及吸尘器
CN209269565U (zh) 一种集尘装置及应用其的吸尘器
CN215838844U (zh) 一种用于清洁机的清洁模块及清洁机
CN220344292U (zh) 集尘结构及吸尘设备
CN108679707A (zh) 壁挂式空调器室内机
KR200461691Y1 (ko) 진공청소기
CN2221374Y (zh) 充电式干湿吸尘器
CN113598649B (zh) 清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