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303B1 -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303B1
KR102293303B1 KR1020190132510A KR20190132510A KR102293303B1 KR 102293303 B1 KR102293303 B1 KR 102293303B1 KR 1020190132510 A KR1020190132510 A KR 1020190132510A KR 20190132510 A KR20190132510 A KR 20190132510A KR 102293303 B1 KR102293303 B1 KR 102293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key
input window
content inpu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658A (ko
Inventor
루오타오
곽호월
리리치에
김주웅
남경홍
조원흥
황아영
에리카
강예진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303B1/ko
Priority to US17/768,651 priority patent/US11659077B2/en
Priority to PCT/KR2020/014120 priority patent/WO2021080248A1/ko
Publication of KR20210048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동단말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은 디스플레이; 센싱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디스플레이가 소정의 가상키보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내용을 소정의 내용 입력창에 표시하고, 가상키보드는 내용 입력창에서 수행된 작업을 취소하는 언두(Undo)키와 취소한 작업을 복원하는 리두(Redo)키를 포함하고, 센싱부가 언두키에 대한 터치에 이어서, 언두키 일측 방향에 지정된 제1 경계선을 넘어서는 제1 드래그(drag)을 센싱하는 경우, 제어부는 내용 입력창에 수행된 작업에 대해서, 지정된 단위로 1개의 작업을 취소할 경우 내용 입력창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1 예상수정내용을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은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단말은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단말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10-2010-0060878 (2010.6.26) 터치패드가 구비된 터치식 통신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방법.
본 발명은 가상키보드가 언두(Undo)키와 리두(Redo)키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입력수단을 제공하는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센싱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가 소정의 가상키보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내용을 소정의 내용 입력창에 표시하고, 상기 가상키보드는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수행된 작업을 취소하는 언두(Undo)키와 취소한 작업을 복원하는 리두(Redo)키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가 상기 언두키에 대한 터치에 이어서, 상기 언두키 일측 방향에 지정된 제1 경계선을 넘어서는 제1 드래그(drag)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 입력창에 수행된 작업에 대해서, 지정된 단위로 1개의 작업을 취소할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1 예상수정내용을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이동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가 상기 제1 드래그에 이어서 터치해제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예상수정내용을 상기 내용 입력창에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가 상기 제1 드래그에 이어서 지정된 시간 이상의 터치인 롱터치(long touch)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지정된 언두확장메뉴를 표시하되, 상기 언두확장메뉴는 취소할 작업 개수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가 상기 롱터치 이후, 상기 작업 개수를 선택하기 위한 제2 드래그를 추가적으로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롱터치 이후 상기 제2 드래그까지의 변위에 따라 상기 언두확장메뉴에서 소정의 작업 수를 선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선정된 작업 수가 식별되도록 표시하고, 지정된 단위로 선정된 개수의 작업을 취소할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2 예상수정내용을 상기 내용 입력창에 식별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가 상기 제2 드래그에 이어서 터치해제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예상수정내용을 상기 내용 입력창에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가 현재의 터치지점에서 상기 언두키 방향으로 드래그가 수행되어 상기 제1 경계선 또는 지정된 제2 경계선을 넘어서는 제3 드래그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상기 제1 예상수정내용을 삭제하고, 상기 예상수정내용을 표시하기 전의 내용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가 상기 리두키에 대한 터치에 이어서, 상기 리두키 일측 방향에 지정된 제4 경계선을 넘어서는 제4 드래그(drag)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 입력창에 수행된 취소 작업에 대해서, 1개의 취소 작업을 복원할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4 예상수정내용을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가 제4 드래그에 이어서 터치해제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4 예상수정내용을 상기 내용 입력창에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언두키와 상기 리두키에서 각각 지정된 거리만큼 확장된 영역을 상기 언두키와 상기 리두키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센싱부가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터치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터치 영역에 해당하는 키의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a) 이동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소정의 가상키보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소정의 내용 입력창으로 표시하되, 상기 가상키보드는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수행된 작업을 취소하는 언두(Undo)키와 취소한 작업을 복원하는 리두(Redo)키를 포함한 것인 단계; 및 (b) 상기 센싱부가 상기 언두키에 대한 터치에 이어서, 상기 언두키 일측 방향에 지정된 제1 경계선을 넘어서는 제1 드래그(drag)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 입력창에 수행된 작업에 대해서, 지정된 단위로 1개의 작업을 취소할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1 예상수정내용을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제1 드래그에 이어서 터치해제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1 예상수정내용을 상기 내용 입력창에 반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제1 드래그에 이어서 지정된 시간 이상의 터치인 롱터치(long touch)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지정된 언두확장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언두확장메뉴는 취소할 작업 개수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1)단계 이후에, (b2) 상기 롱터치 이후 상기 작업 개수를 선택하기 위한 제2 드래그를 추가적으로 센싱하는 경우, 상기 롱터치 이후 상기 제2 드래그까지의 변위에 따라 상기 언두확장메뉴에서 소정의 작업 수를 선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선정된 작업 수가 식별되도록 표시하고, 지정된 단위로 선정된 개수의 작업을 취소할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2 예상수정내용을 상기 내용 입력창에 식별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2)단계 이후에, (b3) 현재의 터치지점에서 상기 언두키 방향으로 드래그가 수행되어 상기 제1 경계선 또는 지정된 제2 경계선을 넘어서는 제3 드래그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상기 제2 예상수정내용을 삭제하고, 상기 제2 예상수정내용을 표시하기 전의 내용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 상기 리두키에 대한 터치에 이어서, 상기 리두키 일측 방향에 지정된 제4 경계선을 넘어서는 제4 드래그(drag)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 수행된 취소 작업에 대해서, 1개의 취소 작업을 복원할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4 예상수정내용을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단계는 상기 제4 드래그에 이어서 터치해제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4 예상수정내용을 상기 내용 입력창에 반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술한 이동단말의 제어방법이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가상키보드가 언두(Undo)키와 리두(Redo)키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입력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이동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표시하는 내용 입력창과 가상키보드의 예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언두키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가 이뤄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제1 예상수정내용을 내용 입력창에 반영하여 표시한 일 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예상수정내용을 삭제하고, 예상수정내용을 표시하기 전의 기존 내용 입력창을 표시하는 일 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언두확장메뉴를 표시한 경우에 있어서 이동단말의 제어방법을 예시한 순서도.
도 10은 이동단말이 언두확장메뉴를 표시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두키와 관련된 이동단말의 제어방법을 예시한 순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이 리두키에 대한 터치 및 소정의 드래그를 센싱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단말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동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단말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단말(100)과 다른 이동단말(100) 사이, 또는 이동단말(100)과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단말(100)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단말(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단말 내 정보, 이동단말을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단말은,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단말 내 정보, 이동단말을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단말(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단말(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단말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단말(100)을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단말(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단말(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단말(100)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이동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1)는 이동단말(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단말(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단말(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단말(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단말(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단말(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단말(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단말(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단말(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단말(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단말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단말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단말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일반적인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구성요소를 위주로 설명하나, 상술한 도 1의 내부 구성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은 디스플레이(151), 센싱부(14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51), 센싱부(140) 및 제어부(180)가 이동단말(100)에서 실행할 수 있는 일반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앞서 도 1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은, 디스플레이(151)가 소정의 가상키보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내용을 소정의 내용 입력창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키보드는 내용 입력창에서 수행된 작업을 취소하는 언두(Undo)키와 취소한 작업을 복원하는 리두(Redo)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부(140)가 언두키에 대한 터치에 이어서, 언두키 일측 방향에 지정된 제1 경계선을 넘어서는 제1 드래그(drag)을 센싱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내용 입력창에 수행된 작업에 대해서, 지정된 단위로 1개의 작업을 취소할 경우 내용 입력창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1 예상수정내용을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 이동단말(100)의 내부 구성은 그 명칭에 상관없이, 어느 하나의 구성이 수개의 구성으로 분할되거나, 수개의 구성이 하나의 구성으로 통합되어 구현되는 등의 방법으로, 이동단말(100) 내부의 주요 구성은 다양하게 수정변경될 수 있는 바,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각 단계의 수행주체는 이동단말(100)을 주체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의 제어방법 각 단계의 주체를 이동단말(100)로 예시하여 설명하나, 설명의 편의에 불과하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 등이 각 단계의 주체가 될 수 있음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100)이 표시하는 내용 입력창과 가상키보드의 예시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언두키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가 이뤄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100)이 제1 예상수정내용을 내용 입력창에 반영하여 표시한 일 례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100)이 예상수정내용을 삭제하고, 예상수정내용을 표시하기 전의 기존 내용 입력창을 표시하는 일 례이다.
이하, 도 3을 주요 도면으로 참고하여 설명하면서, 필요시 각 단계별로 관련된 도면을 추가적으로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의 제어방법은, 단계 S310에서 이동단말(100)이 이동단말(1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51)에 소정의 가상키보드(410)를 표시할 수 있고, 단계 S312에서 이동단말(100)은 사용자가 가상키보드(410)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151)에서 소정의 내용 입력창(42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번호 430은 커서(cursor)로서, 일반적으로 내용 입력창(420)에서 사용자가 최종 입력한 지점에서 입력을 대기하는 지점에 표시되나, 사용자가 내용 입력창(420)에서 삭제를 하고자 하는 내용의 시작점 또는 끝점을 별도로 터치한 경우 해당 터치 지점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4에 예시된 가상키보드(410) 및 내용 입력창(420)은 이동단말(100)의 종류에 따라, 또한 이동단말(100)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앱(APP)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이 점은 본 발명의 출원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키보드는 내용 입력창(420)에서 수행된 작업을 취소하는 언두(Undo)키(411)와 취소한 작업을 복원하는 리두(Redo)키(421)를 포함할 수 있다. 언두키(411)와 리두키(421)에 대해서는 이후, 도 5, 도 6,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내용 입력창(420)에서 수행된 작업은 본 발명의 출원시 공지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장의 경우 텍스트의 입력, 삭제, 서식 지정 및 링크 삽입 등이 될 수 있으며, 사진 관련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사진에 대한 다양한 효과의 지정 및 메모 삽입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내용 입력창(420)은 메모장으로, 내용 입력창(420)에서 수행되는 작업은 텍스트의 삽입과 삭제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3 내지 도 6를 참고하면, 도 3의 단계 S330에서 이동단말(100)이 언두키(411)에 대한 터치(601)에 이어서, 언두키(411) 일측 방향에 지정된 제1 경계선(413)을 넘어서는 제2 지점(602)까지의 제1 드래그(drag)을 센싱하는 경우, 단계 S340으로 진행하여 지정된 단위로 1개의 작업을 취소할 경우 내용 입력창(420)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1 예상수정내용(610)을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4와 달리, 도 5 이하의 도면에서는, 가상키보드(410)에서 언두키(411)와 리두키(421) 외의 키에 대해서는 음영처리를 하였다. 여기서, 이 음영처리는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이동단말(100)에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키보드(410)는 공지된 쿼티 자판에서 A키 좌측에 언두키(411)를, L키 우측에 리두키(421)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각 나라 언어 환경에 따라 가상키보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공지된 가상키보드를 크게 수정하지 아니하고, 가상키보드(410)가 빈 공간을 활용하여 언두키(411)와 리두키(421)를 구비함에 따라 언두키(411) 및 리두키(421)가 다른 키에 비해서 다소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단말(100)은 언두키(411)와 리두키(421)에서 각각 지정된 거리만큼 확장된 영역을 언두키(411)와 리두키(421)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이동단말(100)이 각각의 영역에 대한 터치를 센싱하는 경우, 이동단말(100)은 터치 영역에 해당하는 키의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에는 언두키(411)에서 지정된 거리만큼 확장된 언두키 영역(512)이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여기서 도 12 및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두키(421)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지정된 거리는 디폴트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사용자에게 수정할 수 있는 소정의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춰 별도로 지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용 입력창(420)에서 소정의 텍스트가 입력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정된 단위는 '낱말'(또는 단어)' 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예를 들어 한글의 경우 자모, 자소, 한 글자, 한 행(line)등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으며, 각 언어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이동단말(100)이 리두키 영역(512)에서 제1 터치(601)를 감지하고, 이어서 이동단말(100)이 언두키(411) 일측에 지정된 제1 경계선(513)을 넘어서 제2 지점(602)까지의 드래그인 제1 드래그를 인지한 경우(즉, 도 3의 단계 S330), 이동단말(100)은 내용 입력창(420)에서 지정된 단위로 1개의 작업을 취소할 경우 내용 입력창(420)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1 예상수정내용(610)을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는 지정된 단위가 '단어'인 경우이고, 내용 입력창(420)에 직전 수행된 작업이 입력 작업인 경우를 가정한 것으로, 이동단말(100)은 제1 예상수정내용(610)으로 'nature'가 삭제 예상될 수 있음을 서식을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단말(100)이 예상수정내용의 서식을 달리하는 방법은 도 6에 예시된 방법 외에 다양할 수 있으며, 내용 입력창(420)이 속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앱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도 6에 식별번호 615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100)이 리두키 영역(512)에서 제1 터치(601)를 감지하고, 이어서 이동단말(100)이 언두키(411) 일측에 지정된 제1 경계선(513)을 넘어서 제2 지점(602)까지의 드래그를 인지한 경우(즉, 도 3의 단계 S330), 리두키(421)에 대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예정이므로, 이에 대한 안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7을 참고하면, 이동단말(100)은 단계 S350에서 제1 드래그에 이어서 터치해제를 센싱하는 경우, 단계 S355로 진행하여, 제1 예상수정내용(610)을 내용 입력창(420)에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100)이 예상수정내용을 삭제하고, 예상수정내용을 표시하기 전의 기존 내용 입력창을 표시하는 일 례이다.
다시 도 3 및 도 8을 참고하면, 단계 S360에서 이동단말(100)이 현재의 터치 지점(602)에서 언두키(411) 방향으로 드래그가 수행되어 지정된 제2 경계선(802)을 넘어서 임의의 지점(603)까지인 제3 드래그를 센싱하는 경우, 이동단말(100)은 단계 S365로 진행하여 내용 입력창(420)에서 제1 예상수정내용(610)을 삭제하고, 제1 예상수정내용(610)을 표시하기 전의 내용 입력창(42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경계선(802)는 리두키(421) 주변에 미리 지정되어 주어질 수 있으나 앞서 지정된 제1 경계선(513)이거나, 앞서 사용자가 제1 경계선(513)을 지정하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지정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이동단말(100)은 단계 S370에서 제1 드래그에 이어서 제2 지점(602)에서 지정된 시간 이상의 터치인 롱터치(long touch)를 센싱하는 경우, 단계 S375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151)를 제어하여 지정된 언두확장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100)이 언두확장메뉴를 표시한 경우에 있어서 이동단말(100)의 제어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이동단말(100)이 언두확장메뉴를 표시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두확장메뉴(1000)는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취소할 작업 개수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2개(2step), 3개(3step) 및 Series(한 행)일 수 있으며, 이하 '다단계 언두키'라 칭한다.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100)은 단계 S910에서, 제2 지점(602)부터 제3 지점(603)까지의 제2 드래그를 추가적으로 센싱하는 경우, 센싱된 제2 드래그의 변위에 따라서 언두확장메뉴(1000)에 포함된 복수개의 다단계 언두키 중 '3step'을 선정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51)를 제어하여 선정된 '3step'을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단말(100)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2 드래그의 변위에 따라 언두확장메뉴(1000)에 포함된 복수개의 다단계 언두키 중 하나를 선정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출원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도 9의 단계 S920예서 이동단말(100)은 앞서 가정한 바와 같이 지정된 단위는 '단어'이고, 선정된 다단계 언두키가 '3step'이므로, 작업개수 3개가 취소될 경우 내용 입력창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2 예상수정내용(1010)을 내용 입력창에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S930 내지 단계 S945에 대해서는 앞서 도 3의 단계 S350 내지 단계 S365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제어방법 중 언두키(411)와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였다. 이하 리두키(42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두키(421)와 관련된 이동단말의 제어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단말(100)이 리두키(421)에 대한 터치 및 소정의 드래그를 센싱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두키(421)는 지정된 거리만큼 확장된 영역을 리두키 영역(1210)으로 설정하고, 이동단말(100)이 리두키 영역(1210)에 대한 터치를 센싱하는 경우, 리두키(421)에 대한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앞서 도 5를 참고하여 언두키 영역(512)에 대해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취소한 작업은 도 10에서 참고하여 설명한 내용, 즉 3개의 단어를 입력한 것을 취소하여 삭제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단계 S1102에서 이동단말(100)이 리두키 영역(1210)에서 터치(1301)를 감지하고, 이어서 이동단말(100)이 리두키(421) 일측에 지정된 제4 경계선(1212)을 넘어서 임의의 지점(1302)까지의 드래그인 제4 드래그를 인지한 경우, 이동단말(100)은 내용 입력창(420)에서 직전에 취소작업을 수행하여 삭제한 3단어를 복원하는 경우, 내용 입력창에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예상수정내용(1310)을 식별되도록 디스플레이(151)를 제어하여 내용 입력창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1110 내지 단계 S1122는 앞서 도 3의 단계 S350 내지 단계 S365와 비교할 때, 언두키(411)와 리두키(421)의 차이가 있을 뿐 예상수정내용을 내용 입력창에 반영여부를 결정하여 표시하는 것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키보드가 언두키(411)와 리두키(421)를 더 구비함으로서,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입력수단을 가질 수 임을 알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 및 이동단말의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동단말(100)이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터치 및/또는 드래그)을 센싱하거나, 이동단말(100)이 소정의 결과를 디스플레이(151)에 출력할 경우에 출력부(도1의 150)에 구비된 수단을 통하여 음향, 진동 및 빛 등을 사용자에게 피드백으로 출력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의 제어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이동단말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센싱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가 소정의 가상키보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내용을 소정의 내용 입력창에 표시하고,
    상기 가상키보드는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수행된 작업을 취소하는 언두(Undo)키와 취소한 작업을 복원하는 리두(Redo)키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가 상기 언두키에 대한 터치에 이어서, 상기 언두키 일측 방향에 지정된 제1 경계선을 넘어서는 제1 드래그(drag)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 입력창에 수행된 작업에 대해서, 지정된 단위로 1개의 작업을 취소할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1 예상수정내용을 식별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센싱부가 상기 리두키에 대한 터치에 이어서, 상기 리두키 일측 방향에 지정된 제4 경계선을 넘어서는 제4 드래그(drag)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 입력창에 수행된 취소 작업에 대해서, 1개의 취소 작업을 복원할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4 예상수정내용을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이동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가 상기 제1 드래그에 이어서 터치해제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예상수정내용을 상기 내용 입력창에 반영하여 표시하는, 이동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가 상기 제1 드래그에 이어서 지정된 시간 이상의 터치인 롱터치(long touch)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지정된 언두확장메뉴를 표시하되,
    상기 언두확장메뉴는 취소할 작업 개수를 복수개 포함하는, 이동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가 상기 롱터치 이후, 상기 작업 개수를 선택하기 위한 제2 드래그를 추가적으로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롱터치 이후 상기 제2 드래그까지의 변위에 따라 상기 언두확장메뉴에서 소정의 작업 수를 선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선정된 작업 수가 식별되도록 표시하고, 지정된 단위로 선정된 개수의 작업을 취소할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2 예상수정내용을 상기 내용 입력창에 식별도록 표시하는, 이동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가 상기 제2 드래그에 이어서 터치해제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예상수정내용을 상기 내용 입력창에 반영하여 표시하는, 이동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가 현재의 터치지점에서 상기 언두키 방향으로 드래그가 수행되어 상기 제1 경계선 또는 지정된 제2 경계선을 넘어서는 제3 드래그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상기 제1 예상수정내용을 삭제하고, 상기 예상수정내용을 표시하기 전의 내용 입력창을 표시하는, 이동단말.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가 제4 드래그에 이어서 터치해제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4 예상수정내용을 상기 내용 입력창에 반영하여 표시하는, 이동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언두키와 상기 리두키에서 각각 지정된 거리만큼 확장된 영역을 상기 언두키와 상기 리두키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센싱부가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터치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터치 영역에 해당하는 키의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이동단말.
  10. (a) 이동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소정의 가상키보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소정의 내용 입력창으로 표시하되, 상기 가상키보드는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수행된 작업을 취소하는 언두(Undo)키와 취소한 작업을 복원하는 리두(Redo)키를 포함한 것인 단계; 및
    (b) 상기 언두키에 대한 터치에 이어서, 상기 언두키 일측 방향에 지정된 제1 경계선을 넘어서는 제1 드래그(drag)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 수행된 작업에 대해서, 지정된 단위로 1개의 작업을 취소할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1 예상수정내용을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드래그에 이어서 터치해제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1 예상수정내용을 상기 내용 입력창에 반영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d) 상기 리두키에 대한 터치에 이어서, 상기 리두키 일측 방향에 지정된 제4 경계선을 넘어서는 제4 드래그(drag)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 수행된 취소 작업에 대해서, 1개의 취소 작업을 복원할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4 예상수정내용을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제1 드래그에 이어서 지정된 시간 이상의 터치인 롱터치(long touch)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지정된 언두확장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언두확장메뉴는 취소할 작업 개수를 복수개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1)단계 이후에,
    (b2) 상기 롱터치 이후 상기 작업 개수를 선택하기 위한 제2 드래그를 추가적으로 센싱하는 경우, 상기 롱터치 이후 상기 제2 드래그까지의 변위에 따라 상기 언두확장메뉴에서 소정의 작업 수를 선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선정된 작업 수가 식별되도록 표시하고, 지정된 단위로 선정된 개수의 작업을 취소할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2 예상수정내용을 상기 내용 입력창에 식별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2)단계 이후에,
    (b3) 현재의 터치지점에서 상기 언두키 방향으로 드래그가 수행되어 상기 제1 경계선 또는 지정된 제2 경계선을 넘어서는 제3 드래그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상기 제2 예상수정내용을 삭제하고, 상기 제2 예상수정내용을 표시하기 전의 내용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d) 상기 리두키에 대한 터치에 이어서, 상기 리두키 일측 방향에 지정된 제4 경계선을 넘어서는 제4 드래그(drag)을 센싱하는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 수행된 취소 작업에 대해서, 1개의 취소 작업을 복원할 경우 상기 내용 입력창에서 수정되어 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4 예상수정내용을 식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언두키와 상기 리두키에서 각각 지정된 거리만큼 확장된 영역을 상기 언두키와 상기 리두키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터치를 센싱하는 경우, 터치 영역에 해당하는 키의 터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제4 드래그에 이어서 터치해제를 센싱하는 경우, 상기 제4 예상수정내용을 상기 내용 입력창에 반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제어방법.
KR1020190132510A 2019-10-23 2019-10-23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 KR102293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510A KR102293303B1 (ko) 2019-10-23 2019-10-23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
US17/768,651 US11659077B2 (en) 2019-10-23 2020-10-15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20/014120 WO2021080248A1 (ko) 2019-10-23 2020-10-15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510A KR102293303B1 (ko) 2019-10-23 2019-10-23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658A KR20210048658A (ko) 2021-05-04
KR102293303B1 true KR102293303B1 (ko) 2021-08-25

Family

ID=75619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510A KR102293303B1 (ko) 2019-10-23 2019-10-23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59077B2 (ko)
KR (1) KR102293303B1 (ko)
WO (1) WO20210802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1340B2 (en) * 2007-09-13 2014-02-25 Apple Inc. Input methods for device having multi-language environment
KR20100060878A (ko) 2008-11-28 2010-06-07 서은하 Bldc 모터
US20100313158A1 (en) * 2009-06-08 2010-12-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diting data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20000004A (ko) 2010-06-26 2012-01-03 임원 터치패드가 구비된 터치식 통신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방법
US20130285927A1 (en) 2012-04-30 2013-10-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with correction of previously input text
WO2014105279A1 (en) *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user interfaces
KR101434419B1 (ko) * 2013-01-31 2014-08-26 전자부품연구원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70006230A (ko) * 2015-07-07 2017-01-17 유종현 모바일 단말기용 문자입력방법
KR101925953B1 (ko) * 2018-10-10 2018-12-06 주식회사 카카오 텍스트 편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웹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658A (ko) 2021-05-04
US11659077B2 (en) 2023-05-23
US20220360659A1 (en) 2022-11-10
WO2021080248A1 (ko)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624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pying and pasting content in a computing device
EP3101587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96785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e-book pages in portable terminal
KR102077235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시스템, 디바이스와 그 기록 매체
US9898111B2 (en) Touch 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touch-based manipulation for contents
KR102062763B1 (ko) 상황 정보 기반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그 기록 매체
KR2018013466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6928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34425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2015012649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347379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redictive Keyboard
US20110177798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program
US909812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40351725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ng object
KR10223853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3685254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102422793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글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EP2965181B1 (en) Enhanced canvas environments
KR2016005108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55087B1 (ko)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73938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413176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93303B1 (ko)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
JP6449459B2 (ja) トグルインターフェース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258313B1 (ko) 이동단말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