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192B1 -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된 공예품 - Google Patents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된 공예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192B1
KR102293192B1 KR1020210027894A KR20210027894A KR102293192B1 KR 102293192 B1 KR102293192 B1 KR 102293192B1 KR 1020210027894 A KR1020210027894 A KR 1020210027894A KR 20210027894 A KR20210027894 A KR 20210027894A KR 102293192 B1 KR102293192 B1 KR 102293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rame
dried
acorn shells
shells
dried ac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이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진 filed Critical 이영진
Priority to KR1020210027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wooden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의 표면에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하면을 접착제로 부착하는 단계 도토리 껍질 부착 단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부착된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빈 내부공간이 외부로 노출될 때까지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상부를 마모시켜 갈아내는 목마 단계; 그 측면이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측면과 맞닿도록 목재로 구성된 부재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부착시키는 측면 프레임 부착 단계;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빈 내부공간 및,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 공간에 목재분말과 목공풀이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재를 채워 채움부를 형성하는 채움 단계; 상기 혼합재 내부의 수분과 유분이 증발하여 상기 채움부가 단단하게 굳도록 건조시키는 중간 건조 단계;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채움부의 상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연마하는 평탄화 단계; 상기 평탄화된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채움부의 상면에 투명 페인트를 도포하는 코팅 단계; 및 상기 도포된 페인트를 건조시키는 최종 건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재가 건조되어 수축됨에 따라 상기 채움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향해 함입되어 상기 채움부의 상면이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면 보다 낮아진 경우, 상기 채움부의 상면이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면과 같거나 더 높아지도록 상기 채움 단계와 상기 중간 건조 단계는 다수 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된 공예품 {A method of making craft item using acorns and craft item made using it}
본 발명은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된 공예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 장롱, 장식장, 책장, 책상 및 테이블 등을 포함한 각종 공예품은 그 전면에 미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도록 장식 프레임을 부착하거나 이 장식 프레임을 메인 프레임으로 하여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장식 프레임은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는데, 프레임의 전면을 직접적으로 조각하는 방법, 자개 기법을 통해 입체감을 살리는 방법, 필름지를 접착하여 제작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다양한 전통기법들이 있으며 이는 모두 오랜세월에 걸쳐 연구 개발되어 발전되어 왔고, 이들은 모두 우리 생활사에 깊숙히 스며들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상술한 전통기법에서 나아가 산간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장식 프레임이 제작되고, 새로운 프레임을 이용해 제작한 공예품에 대한 수요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즉, 산간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천연 재료들만을 이용해 자연스러운 느낌을 연출하는 새로운 형태의 공예품들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도토리와 나무를 이용해 제작되어 자연스러운 느낌을 연출하는 장식 프레임이 구비된 공예품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예품을 보다 쉽게 제작하는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예품을 이루는 프레임의 강성을 높이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의 표면에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하면을 접착제로 부착하는 단계 도토리 껍질 부착 단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부착된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빈 내부공간이 외부로 노출될 때까지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상부를 마모시켜 갈아내는 목마 단계; 그 측면이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측면과 맞닿도록 목재로 구성된 부재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부착시키는 측면 프레임 부착 단계;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빈 내부공간 및,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 공간에 목재분말과 목공풀이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재를 채워 채움부를 형성하는 채움 단계; 상기 혼합재 내부의 수분과 유분이 증발하여 상기 채움부가 단단하게 굳도록 건조시키는 중간 건조 단계;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채움부의 상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연마하는 평탄화 단계; 상기 평탄화된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채움부의 상면에 투명 페인트를 도포하는 코팅 단계; 및 상기 도포된 페인트를 건조시키는 최종 건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재가 건조되어 수축됨에 따라 상기 채움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향해 함임되어 상기 채움부의 상면이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면 보다 낮아진 경우, 상기 채움부의 상면이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면과 같거나 더 높아지도록 상기 채움 단계와 상기 중간 건조 단계는 다수 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 부착 단계에서는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일측면에는 제1측면 프레임이 부착되며,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타측면에는 제2측면 프레임이 부착되고, 상기 채움 단계에서는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제1측면 프레임,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제2측면 프레임 사이 공간에 상기 혼합재가 채워져 상기 채움부가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 부착 단계는 상기 목마 단계 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을 이용해 제작된 공예품에 있어서, 목재로 구성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부가 마모된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 목재로 구성된 부재이며, 그 측면이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측면과 맞닿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부착되는 측면 프레임; 및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내부공간 및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 공간을 채우며, 목재분말과 목공풀이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재로 이루어진 채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채움부와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면은 동일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토리와 나무를 이용해 제작되어 자연스러운 느낌을 연출하는 장식 프레임이 구비된 공예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예품을 보다 쉽게 제작하는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예품을 이루는 프레임의 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을 이용해 제작된 공예품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 중 도토리 부착 단계와 목마 단계에서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 중 건조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을 이용해 제작된 공예품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1)의 세부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1)은 목재로 구성되며 상면이 평평한 베이스 프레임(2), 상기 베이스 프레임(2)의 상면에 접착제로 부착되며 상단부가 마모된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3), 목재로 구성된 부재이며 그 측면이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3)의 측면과 맞닿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2)에 부착되는 제1측면 프레임(41)과 제2측면 프레임(42) 및,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3)의 내부공간과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3)과 상기 제1측면 프레임(41)과 상기 제2측면 프레임(42) 사이 공간을 채우는 채움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움부(5)는 목재분말과 목공풀이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건조됨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3)과 상기 1측면 프레임(41) 및 제2측면 프레임(42)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움부(5)와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3)과 상기 1측면 프레임(41) 및 제2측면 프레임(42)의 상면은 동일한 높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자연스러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토리 껍질은 내부의 알맹이가 제거된 형태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완성된 공예품 상에서는 원형 또는 주름이 잡힌 원형으로 나타나 자연스러운 문양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의 제작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의 제작방법은 베이스 프레임(2)의 표면에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하면을 접착제로 부착하는 단계 도토리 껍질 부착 단계(S1), 상기 베이스 프레임(2)에 부착된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빈 내부공간이 외부로 노출될 때까지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3)의 상부를 마모시켜 갈아내는 목마 단계(S2), 측면이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3)의 측면과 맞닿도록 목재로 구성된 부재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부착시키는 측면 프레임 부착 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 프레임 부착 단계(S3)는 상기 목마 단계(S2) 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의 제작방법은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3)의 빈 내부공간 및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3)과 상기 측면 프레임(41, 42) 사이 공간에 목재분말과 목공풀이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재를 채워 채움부(5)를 형성하는 채움 단계(S4) 및, 상기 혼합재 내부의 수분과 유분이 증발하여 상기 혼합재가 굳어 상기 채움부(5)를 형성하도록 건조시키는 중간 건조 단계(S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재는 분말화된 목재와 목공풀이 1.0~2.0대 1.0~2.0 대응으로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으며, 그 비율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으나 1대 1 대응이 됨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의 제작방법은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3)과 상기 측면 프레임(41, 42) 및 상기 채움부(5)의 상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연마재로 연마하는 평탄화 단계(S7), 상기 평탄화된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3)과 상기 측면 프레임(41, 42) 및 상기 채움부(5)의 상면에 투명 페인트를 도포하는 코팅 단계(S8) 및, 상기 도포된 페인트를 건조시키는 최종 건조 단계(S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도토리 껍질 부착 단계(S1) 이후, 상기 목마 단계(S2)가 진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우측에서 마모가 더 진행되면 도토리 껍질의 빈 내부 공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상기 채움 단계(S4) 이후, 상기 중간 건조 단계(S5)가 진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혼합재가 건조되어 수축됨에 따라 상기 채움부(5)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2)을 향해 함임되어 상기 채움부(5)의 상면이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3)과 상기 측면 프레임(41, 42)의 상면 보다 낮아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채움 단계(S4)와 상기 중간 건조 단계(S5)가 다수 회 반복되는 단계(S9)가 더 진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채움부(5)의 상면이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3) 및 상기 측면 프레임(41, 42)의 상면과 같거나 더 높아질 수 있다.
도 5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완성된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으로 상기 도토리 껍질은 프레임 표면에 원형 또는 주름이 잡힌 원형으로 나타나 자연스러운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2: 베이스 프레임
3: 도토리 껍질
41: 제1측면 프레임
42: 제2측면 프레임
5: 채움부

Claims (4)

  1. 베이스 프레임의 표면에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하면을 접착제로 부착하는 도토리 껍질 부착 단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부착된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빈 내부공간이 외부로 노출될 때까지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상부를 마모시켜 갈아내는 목마 단계;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측면과 맞닿도록 목재로 구성된 부재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부착시키는 측면 프레임 부착 단계;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빈 내부공간 및,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 공간에 목재분말과 목공풀이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재를 채워 채움부를 형성하는 채움 단계;
    상기 혼합재 내부의 수분과 유분이 증발하여 상기 채움부가 단단하게 굳도록 건조시키는 중간 건조 단계;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채움부의 상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연마하는 평탄화 단계;
    상기 평탄화된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채움부의 상면에 투명 페인트를 도포하는 코팅 단계; 및
    상기 도포된 페인트를 건조시키는 최종 건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건조 단계가 수행되어 상기 혼합재가 건조되어 수축됨에 따라 상기 채움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향해 함입되어 상기 채움부의 상면이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면 보다 낮아진 경우, 상기 채움부의 상면이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면과 같거나 더 높아질때 까지 상기 채움 단계와 상기 중간 건조 단계가 반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 부착 단계에서는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일측면에는 제1측면 프레임이 부착되며,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타측면에는 제2측면 프레임이 부착되고,
    상기 채움 단계에서는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제1측면 프레임,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제2측면 프레임 사이 공간에 상기 혼합재가 채워져 상기 채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 부착 단계는 상기 목마 단계 보다 먼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
  4. 제1항의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을 이용해 제작된 공예품에 있어서,
    목재로 구성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부가 마모된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
    목재로 구성된 부재이며, 그 측면이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측면과 맞닿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부착되는 측면 프레임; 및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의 내부공간 및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과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 공간을 채우며, 목재분말과 목공풀이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재로 이루어진 채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채움부와 상기 다수 개의 건조된 도토리 껍질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면은 동일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KR1020210027894A 2021-03-03 2021-03-03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된 공예품 KR102293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894A KR102293192B1 (ko) 2021-03-03 2021-03-03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된 공예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894A KR102293192B1 (ko) 2021-03-03 2021-03-03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된 공예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192B1 true KR102293192B1 (ko) 2021-08-23

Family

ID=7749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894A KR102293192B1 (ko) 2021-03-03 2021-03-03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된 공예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1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728A (ko) * 1991-11-18 1993-06-21 김청원 판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728A (ko) * 1991-11-18 1993-06-21 김청원 판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125B1 (ko) 색상 및 입체감이 표현되는 나전칠기 제작방법
KR102293192B1 (ko) 도토리를 이용한 공예품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된 공예품
CN102173261B (zh) 人造板花纹喷涂方法
CN105835595A (zh) 一种煤炭琥珀装饰画的制作工艺
CN103628655A (zh) 一种仿古地板及其制备方法
CN106313253B (zh) 3d浮雕木地板的生产工艺
KR20190039369A (ko) 천연재를 이용한 장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Lim Development of 3D printed shoe designs using traditional muntin patterns
KR101305272B1 (ko) 전통 나전칠기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0413A (ko) 레진을 이용한 다층구조 제조공법
CN204023969U (zh) 一种组合地板
KR20170131098A (ko) 수공예품의 제작방법
CN205009869U (zh) 一种模块式工艺画
CN107486916B (zh) 立式钢琴外壳多色图案部件的加工工艺
JPS58128803A (ja) 彫刻用組板の製造法
CN207525548U (zh) 一种仿水洗复古超柔软型聚氨酯合成革
JPH0474200B2 (ko)
KR20110048199A (ko) 목재가구의 표면에 입체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100260741B1 (ko) 축구공 형상의 목공예품 및 그 제조방법
KR790001150Y1 (ko) 장식용 자개판
US1187510A (en) Method of decorating celluloidlike articles.
JPH01314103A (ja) 化粧板及びその製造法
CN104522969A (zh) 一种葡萄干玛瑙漆器首饰盒
JP2003182299A (ja) 樺細工品の製造方法
JPS6018342A (ja) 化粧板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