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959B1 - Self-Assembly Clothes Drying Rack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 Google Patents

Self-Assembly Clothes Drying Rack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959B1
KR102292959B1 KR1020210017657A KR20210017657A KR102292959B1 KR 102292959 B1 KR102292959 B1 KR 102292959B1 KR 1020210017657 A KR1020210017657 A KR 1020210017657A KR 20210017657 A KR20210017657 A KR 20210017657A KR 102292959 B1 KR102292959 B1 KR 102292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air
support
fram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6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안제
이명지
Original Assignee
이안제
이명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안제, 이명지 filed Critical 이안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959B1/en
Priority to CN202122197675.8U priority Critical patent/CN216474086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nd connecting members thereof are disclosed.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rying unit including a pair of mainframes connected to mainframe connecting members and unfold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drying rods positioned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in a space spaced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pair of mainframes; a support unit including a pair of support frames connected to support frame connecting members and unfolded in the first direction to support the drying unit in a third direction; and a propping unit including an upper frame mounted on corresponding drying rods among the plurality of drying rods, and a lower frame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a corresponding support frame between the pair of support frames. Each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includes: a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s installed to be spac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having an upper rod and a lower rod; a fixation ring detachably installed at the outside of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upper rod and the lower rod; and a single integrated connecting member passing a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 between the pair of first support frames to be fixedly positioned by means of the fixation ring and coupling the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 and corresponding one end between opposite ends of the lower frame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costs required in production, packag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and also enhances convenience by minimizing the volume in a separated state.

Description

조립식 빨래 건조대 및 그 연결 부재 {Self-Assembly Clothes Drying Rack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Prefabricated Clothes Drying Rack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Self-Assembly Clothes Drying Rack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이하의 개시는 제품 포장의 부피 또는 면적을 현저히 줄이면서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빨래 건조대 및 그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 The following disclosure relates to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that can be used stably while remarkably reducing the volume or area of product packaging, and a connecting member thereof.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탠드형 빨래 건조대는 빨래가 건조되는 건조부 및 건조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접히고 펼쳐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생산자가 이를 생산하여 접힌 상태로 포장 및 판매하거나, 사용자가 이를 사용하지 않는 때에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A generally used stand-type clothes dryer has a structure in which a dryer part on which laundry is dried and a support part supporting the drying part can be folded and unfolded. It can be folded and stored when not in use.

그런데 비록 빨래 건조대의 제1 방향(예를 들어, 가로 방향)으로는 그 면적이 펼쳐진 상태보다 접힌 상태에서 현저히 작지만, 나머지 방향(예를 들어, 세로 방향 또는 높이 방향)으로는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의 면적 차이가 크지 않다. However, although the area of the clothes dryer in the first direction (eg, horizontal direction) is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folded state than in the unfolded state, in the other direction (eg, in the vertical or height direction), the folded and unfolded state The difference in area is not large.

따라서, 접힌 상태의 빨래 건조대라도 여전히 상당한 부피 또는 면적으로 포장 및 판매되고 있다. 이로 인해, 빨래 건조대를 오프라인으로 구매하는 경우 소비자가 구매 후 직접 또는 차량으로 운반하기 어려운 문제가 야기되고,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경우 배송 등의 곤란이 야기될 수 있다. Therefore, even a clothes dryer in a folded state is still packaged and sold with a considerable volume or area. For this reason, when purchasing a clothes dryer offline, it may be difficult for consumers to transport it directly or in a vehicle after purchase, and when selling online, difficulties such as delivery may occur.

이하의 개시를 통해 제품 포장의 부피 또는 면적을 현저히 줄이면서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빨래 건조대 및 그 연결 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nd a connecting member thereof that can be used stably while remarkably reducing the volume or area of product packaging through the following disclosur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는, 메인 프레임 연결 부재로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펼쳐지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제2 방향으로 이격된 공간 상에 서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다수의 건조봉을 포함하는 건조부; 지지 프레임 연결 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펼쳐져 제3 방향으로 상기 건조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다수의 건조봉 중 대응되는 건조봉에 거치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대응되는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각각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부 봉 및 하부 봉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 및 상기 상부 봉 및 상기 하부 봉의 결합 부위의 외측에 탈장착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 중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링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단 중 대응되는 일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단일의 통합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는, 메인 프레임 연결 부재로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펼쳐지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제2 방향으로 이격된 공간 상에 서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다수의 건조봉을 포함하는 건조부; 지지 프레임 연결 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펼쳐져 제3 방향으로 상기 건조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대응되는 지지 프레임과 결합되는 고정봉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다수의 건조봉 중 대응되는 건조봉에 거치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대응되는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각각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부 봉 및 하부 봉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 중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에 거치되고, 상기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 상기 고정봉의 양단 중 대응되는 일단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단 중 대응되는 일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단일의 통합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한다.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pair of main frames connected by a main frame connection member and sprea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of the pair of main frames a dry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drying ro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paced space; a support part connected by a support frame connection member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include a pair of support frames supporting the drying part in a third direction; and a support portion including an upper frame mounted on a corresponding drying rod among the plurality of drying rods, and a lower frame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one of the upper frame and the pair of support frames. Each of the support frames of the support frame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ncludes a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s including an upper rod and a lower rod; and a fixing ring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pper rod and the lower rod, and passes through a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 among the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s and the position is fixed by the fixing ring and a single integrated connecting member for mutually coupling the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 and the corresponding one end among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pair of main frames connected by a main frame connection member and sprea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of the pair of main frames a dry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drying ro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paced space; a support part connected by a support frame connection member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include a pair of support frames supporting the drying part in a third direction;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ing unit including a fixing rod coupled to a corresponding supporting frame among the pair of supporting frames; and a support portion including an upper frame mounted on a corresponding drying rod among the plurality of drying rods, and a lower frame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one of the upper frame and the pair of support frames. Each of the support frames of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ncluding an upper rod and a lower rod, and among the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s A single integrated connecting member mounted on a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 and coupling the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 a corresponding one end of both ends of the fixed rod, and a corresponding one end of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to each other; includ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는, 메인 프레임 연결 부재로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펼쳐지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제2 방향으로 이격된 공간 상에 서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다수의 건조봉을 포함하는 건조부; 지지 프레임 연결 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펼쳐져 제3 방향으로 상기 건조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대응되는 지지 프레임과 결합되는 고정봉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건조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각각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부 봉 및 하부 봉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 및 상기 상부 봉 및 상기 하부 봉의 결합 부위의 외측에 탈장착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 중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링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 및 상기 고정봉의 양단 중 대응되는 일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단일의 통합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한다.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pair of main frames connected by a main frame connection member and sprea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of the pair of main frames a dry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drying ro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paced space; a support part connected by a support frame connection member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include a pair of support frames supporting the drying part in a third direction;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ing unit including a fixing rod coupled to a corresponding supporting frame among the pair of supporting frames; and a support part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drying part, wherein each support frame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ncludes an upper bar and a lower bar. support frame rods; and a fixing ring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pper rod and the lower rod, and passes through a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 among the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s and the position is fixed by the fixing ring and a single integrated connecting member for mutually coupling one end corresponding to one of both ends of the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 and the fixed r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 및 그 연결 부재에 의하면, 프레임 자체에 홀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공정의 어려움 및 생산 과정에서의 조립의 곤란성을 제거할 수 있고, 홀 주위에 발생하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높이고 제품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nd its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difficulty of the process and the difficulty of assembling in the production process by not forming a hole in the frame itself, and corrosion occurring around the hole can be eliminated. This can improve product quality and prolong product lif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조립식 빨래 건조대 및 그 연결 부재에 의하면, 분리된 상태에서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생산, 포장, 보관 및 운송 등에 요구되는 비용을 줄이면서도 그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nd the connecting member thereof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production, packag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by minimizing the volume in the separated state while improving the ease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 및 그 연결 부재에 의하면, 부피의 최소화 요구에 따라 각 구성 요소가 분리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불필요한 부품을 최소화하여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nd the connecting member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can be separated according to a demand for minimization of volume, and unnecessary parts can be minimized to reduce production cos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 및 그 연결 부재에 의하면, 조립 후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여, 사용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nd the connecting member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state after assembly is strong,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u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조립식 빨래 건조대 및 그 연결 부재에 의하면, 부품들이 교체 가능하여 큰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제품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nd its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parts are replaceable, the lifespan of the product can be increased without incurring a large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 부재를 더 자세히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의 일부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 부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제6 연결 부재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연결 부재를 통한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연결 부재를 통한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 프레임 봉을 포함하는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연결 부재 및 제7 연결 부재가 결합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y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respectively a front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member in more det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ially coupled state of a dry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a combin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showing a fourth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y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ixth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xth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through a sixth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xth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through a sixth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xth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support frame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a sixth connecting member and a seventh connecting member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showing a sixth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and 23 are views each showing first to third connecting mem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pparatu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used otherwise,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some or a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or any part or combination thereof.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X축, Y축 및 Z축이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고,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도면도 도 1의 좌표축과 동일한 기준에서 각 구성 요소들의 방향성이 기술된다. Directional terms such as top, bottom, one side, the other, etc. a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figures. Since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the directional terminology is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not limitation. In this case, the X-axis, Y-axis, and Z-axis of FIG. 1 may be one reference, an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direction of each component is described on the same basis as the coordinate axis of FIG. 1 in other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또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의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또는 위치 등에 대한 설명은 각 구성 요소들이 결합되어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stated, the description of the shape or posi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state in which each component is combined and unfol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는 건조부(120), 지지부(140), 고정부(160) 및 받침부(180) 및 제1 연결 부재(CNT1) 내지 제3 연결 부재(CNT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ying unit 120 , a support unit 140 , a fixing unit 160 and a support unit 180 , and a first connecting member (CNT1). to a third connecting member CNT3 .

건조부(12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펼쳐지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122) 및 각각 메인 프레임(122)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된 공간 상에 서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다수의 건조봉(124)을 포함한다. 한 쌍의 메인 프레임(122)은 일정 각도로 펼쳐지는 때에 함께 "Y"자 또는 "ㅡ"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메인 프레임(122)은 제1 연결 부재(CNT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CNT1)는 메인 프레임 연결 부재로도 명명될 수 있다. The drying unit 12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pair of main frames 122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22 , respectively. It includes a plurality of drying rods 124 positioned. A pair of main frames 122 may form a "Y" or "-" shape together when un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pair of main frames 122 may be connected through a first connecting member CNT1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NT1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main frame connecting member.

지지부(140)는 지지부(140)는 X축 방향으로 펼쳐져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건조부(12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42)을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 프레임(142)은 일정 각도로 펼쳐지는 때에 함께 "A"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 프레임(142)은 일단에서 제2 연결 부재(CNT2)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부재(CNT2)는 지지 프레임 연결 부재로 명명될 수도 있다. The support part 140 includes a pair of support frames 142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to support the drying part 120 in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A pair of support frames 142 may form an "A" shape together when un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pair of support frames 14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CNT2 at one e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CNT2 may be referred to as a support frame connecting member.

제2 연결 부재(CNT2)는 제1 연결 부재(CNT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1 연결 부재(CNT1)와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 프레임(142)은 제3 연결 부재(CNT3)를 통해 한 쌍의 메인 프레임(122)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연결 부재(CNT3)는 중심 부재로 명명될 수 있다. 제3 연결 부재(CNT3)는 제1 연결 부재(CNT1) 및 제2 연결 부재(CNT2)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1 연결 부재(CNT1) 및 제2 연결 부재(CNT2)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와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CNT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NT1 or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NT1 . The pair of support frames 142 may be connected to the pair of main frames 122 through the third connection member CNT3 . The third connecting member CNT3 may be referred to as a central member. The third connecting member CNT3 is integrally formed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NT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CNT2 , or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NT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CNT2 It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at least one connecting member.

제1 연결 부재(CNT1) 내지 제3 연결 부재(CNT3)는 자체적으로 또는 별도의 힌지 부재(미도시)를 통해 그 고정된 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이에, 제1 연결 부재(CNT1) 내지 제3 연결 부재(CNT3)에 연결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122) 및 한 쌍의 지지 프레임(142)은 해당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여,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의 건조부(120) 및 지지부(140)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CNT1) 내지 제3 연결 부재(CNT3)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NT1 to the third connecting member CNT3 can be rota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with respect to the fixed axis by itself or through a separate hinge member (not shown). Accordingly, the pair of main frames 122 and the pair of support frames 142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NT1 to the third connecting member CNT3 are rotatable within a corresponding angular range, so that in conclusion The drying unit 120 and the support unit 140 of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lded or unfolde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NT1 to the third connecting member CNT3 will be described later.

고정부(160)는 지지부(140)의 한 쌍의 지지 프레임(142)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부(140)의 움직임을 고정시킨다. The fixing unit 160 connects the pair of supporting frames 142 of the supporting unit 140 to each other to fix the movement of the supporting unit 140 .

받침부(18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지지 프레임(142) 및 다수의 건조봉(124) 중 임의의 건조봉(124)을 연결한다. 받침부(180)가 연결되는 건조봉(124)의 위치에 따라 건조부(120)가 X축 및 Y축이 이루는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The support unit 180 is provided as a pair and connects the support frame 142 and any drying rod 124 among the plurality of drying rods 124, respectively. The angle formed by the drying unit 120 with the plane formed by the X axis and the Y axis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rying rod 124 to which the support unit 180 is connec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의 구성 각각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y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120)는 빨래가 널릴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건조부(120)의 메인 프레임(122)에 다수의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각 홀에 건조봉(124)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122)에는 홀(hole)이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거치 부재(MTM)를 통해 다수의 건조봉(124)이 이격된 메인 프레임(12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자의 경우에 한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dry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laundry can be spread. For example, a plurality of holes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main frame 122 of the drying unit 120 , and both ends of the drying rod 124 may be inserted and connected to each hole. Alternatively, a hole is not formed in the main frame 1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urality of drying rods 124 are connected between the spaced main frames 122 through a separate mounting member (MTM). can Hereinafter, only the latter case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120)에서, 하나의 메인 프레임(122)은 Y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을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22)의 구조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In the dry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main frame 122 includes a pair of first main frame rods 122-1 spaced apart in the Y-axis direction.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main frame 122 will be described later.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120)는 거치 부재(MTM)를 통해 메인 프레임(122)과 건조봉(124)를 연결한다. 거치 부재(MTM)는 다수의 건조봉(124)이 거치되고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에 거치된다. 도 2는 거치 부재(MTM)가 2개로 구비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거치 부재(MTM)는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각 거치 부재(MTM)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개수의 건조봉(124)이 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2개의 거치 부재(MTM)가 각각 3개 또는 4개의 건조봉(124)과 결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ry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main frame 122 and the drying rod 124 through the mounting member MTM. The mounting member MTM is mounted on a plurality of drying rods 124 and mounted on the first main frame rod 122-1.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wo mounting members MTM are provi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One or three or more mounting members MTM may be provided as needed. The same or different number of drying rods 124 may be mounted on each mounting member MTM.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two mounting members MTM may be coupled to three or four drying rods 124 , respectively.

거치 부재(MTM)의 개수, 거치 부재(MTM)의 폭(X축 방향으로의 길이) 또는 결합된 건조봉(124)의 개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의 각 구성이 분리되어 포장되는 경우, 요구되는 포장면적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거치 부재(MTM)의 폭은 하나의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의 판매 또는 보관 등을 위해 요구되는 포장박스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의 비율이 2:5이라면 적어도 하나의 거치 부재(MTM)의 폭은 하나의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의 길이의 2/5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The number of mounting members (MTM), the width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mounting members (MTM), or the number of the combined drying rods 124 is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se are separately packaged, they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quired pavement area. For example, a width of each mounting member MTM may correspond to a length of one first main frame rod 122-1. For example, if the ratio of the horizontal length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packaging box required for sale or storage of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2:5, at least one mounting member (MTM) The width may be 2/5 or less of the length of one first main frame rod 122-1.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 부재를 더 자세히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3 and 4 are respectively a front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 부재(MTM)는 한 쌍의 거치 프레임(MF) 및 다수의 건조봉 결합홈(DG)을 포함할 수 있다. 2 to 4 , the mounting member MT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air of mounting frames MF and a plurality of drying rod coupling grooves DG.

한 쌍의 거치 프레임(MF)은 각각 대응되는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과 결합한다. 그 결합의 용이성 및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한 쌍의 거치 프레임(MF)은 각각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을 일정 부분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반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거치 프레임(MF)의 제1 영역의 둘레는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의 둘레의 1/2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거치 프레임(MF)이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에서 쉽게 탈장착되면서도 결합의 견고함을 높이면서, 이와 함께 거치 프레임(MF)의 제2 영역의 둘레를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의 둘레의 1/2보다 작게 하여 거치 프레임(MF)의 중량 및 생산 등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때, 거치 프레임(MF)의 제2 영역은 건조봉 결합홈(DG) 사이의 영역일 수 있고, 제1 영역은 제2 영역을 제외한 영역일 수 있다. 거치 프레임(MF)은 사출 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 프레임(MF)은 중량을 더 줄이기 위한 펀칭 처리 등이 될 수도 있다. The pair of mounting frames MF are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first main frame rods 122-1, respectively. In order to increase the ease and stability of the coupling, the pair of mounting frames MF are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to be coupled while enclosing a portion of the first main frame rod 122-1,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area of the mounting frame MF may be greater than 1/2 of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main frame rod 122-1. In this way, while the mounting frame MF is easily detached from the first main frame rod 122-1, while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coupling, the perimeter of the second area of the mounting frame MF is also rotated around the first main frame rod 122. -1) by making it smaller than 1/2 of the circumferen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and cost of production of the mounting frame (MF). In this case, the second area of the mounting frame MF may be an area between the drying rod coupling grooves DG, and the first area may be an area excluding the second area. The mounting frame MF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The mounting frame M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unched or the like to further reduce the weight.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프레임 또는 봉 등은 원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구비됨을 전제하므로 각 프레임 또는 봉과 결합되는 부재들 또한 원기둥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프레임 또는 봉 등은 사각기둥 등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그 경우, 프레임 또는 봉과 결합되는 부재들 또한 사각기둥 등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Unless otherwise noted, since each frame or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umed to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ipe, members coupled to each frame or rod will also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cylinder. However, each frame or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shape such as a square pillar, and in that case, members coupled to the frame or rod may also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tangular pillar.

다수의 건조봉 결합홈(DG)은 거치 프레임(MF)의 외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건조봉 결합홈(DG)은 거치 프레임(MF)의 측면에서 X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rying rod coupling grooves DG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mounting frame MF. The plurality of drying rod coupling grooves DG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X-axis direction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MF.

건조봉(124)의 일단은 건조봉 결합홈(DG) 중 제1 건조봉 결합홈(DG1)에 삽입되거나 제1 건조봉 결합홈(DG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건조봉(124)의 타단은 건조봉 결합홈(DG) 중 제2 건조봉 결합홈(DG2)에 삽입되거나 제1 건조봉 결합홈(DG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drying rod 124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1 among the drying rod coupling grooves DG or separated from the first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1. The other end of the drying rod 124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2 of the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 or separated from the first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2.

이때, 제1 건조봉 결합홈(DG1) 및 제2 건조봉 결합홈(DG2)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건조봉 결합홈(DG1) 및 제2 건조봉 결합홈(DG2)은 모두 X축 방향으로 개방된 반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동일한 형상의 제1 건조봉 결합홈(DG1) 및 제2 건조봉 결합홈(DG2)은 한 쌍의 거치 프레임(MF)이 각각 대응되는 제1 메인 프레임 봉(122_1)에 거치되어 서로 마주보게 되면, 그 개방된 방향이 Y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건조봉 결합홈(DG1)은 X축의 양의 방향으로 개방되고 제2 건조봉 결합홈(DG2)은 X축의 음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1 and the second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2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each other. For example, both the first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1 and the second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2 may be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open in the X-axis direction. The first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1 and the second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2 of the same shape are mounted on a pair of mounting frames MF on the corresponding first main frame rods 122_1 to face each other. Then, the open direction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Y-axis. For example, the first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1 may be opened in a positive direction of the X-axis and the second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2 may be opened in a negative direction of the X-axis.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봉(124)을 건조봉 결합홈(DG)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즉, 건조봉(124)의 일단을 X축 방향으로 제1 건조봉 결합홈(DG1)에 삽입한 후 건조봉(124)을 살짝 기울여 그 타단을 제2 건조봉 결합홈(DG2)에 X축 방향으로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분리하는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함께, 건조봉(124)과 건조봉 결합홈(DG)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특히 어느 방향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건조봉(124)과의 결합력을 더 높이기 위해 제1 건조봉 결합홈(DG1) 및 제2 건조봉 결합홈(DG2)의 둘레는 건조봉(124)의 둘레의 1/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건조봉 결합홈(DG)과 건조봉(124)의 결합이 견고하여 빨래를 건조봉(124)에 널거나 건조봉(124)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도 건조봉(124)이 건조봉 결합홈(DG)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rod 124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 That is, after inserting one end of the drying rod 124 into the first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1 in the X-axis direction, tilt the drying rod 124 slightly and insert the other end of the drying rod 124 into the second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2 in the X-axis direction. Just insert it in the direction. The same is true when separating. Together with thi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drying rod 124 and the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 can be increased, and in particular, the coupling can be maintained no matter which direction is applied. At this time,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bonding force with the drying rod 124 ,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1 and the second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1/2 of the circumference of the drying rod 124 . can be Since the coupling between the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 and the drying rod 124 is strong, even when the laundry is hung on the drying rod 124 or removed from the drying rod 124, the drying rod 124 is connected to the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 ) may not deviate from it.

또한, 건조봉 결합홈(DG)이 X축 방향으로 개방된 반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물빠짐이나 부식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다. 거치 부재(MTM)가 장착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생산 비용이나 재고 관리 등에 효과적일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 is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open in the X-axis direction, it may be effective in preventing water loss or corrosion. Since the mounting member MTM is provided in the same shape regardless of the mounting position, it may be effective for production cost or inventory management.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건조봉 결합홈(DG1) 및 제2 건조봉 결합홈(DG2)은 모두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1 건조봉 결합홈(DG1) 및 제2 건조봉 결합홈(DG2)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건조봉 결합홈(DG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2 건조봉 결합홈(DG2)은 X축 방향으로 개방된 반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거치 프레임(MF)에는 제1 건조봉 결합홈(DG1) 및 제2 건조봉 결합홈(DG2)이 함께 형성되거나, 하나의 거치 프레임(MF)에는 제1 건조봉 결합홈(DG1)만이 형성되고 다른 거치 프레임(MF)상에는 제2 건조봉 결합홈(DG2)만이 형성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oth the first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1 and the second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2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lternatively, the first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1 and the second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2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For example, the first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second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2 may be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opened in the X-axis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1 and the second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2 are formed together in one mounting frame MF, or the first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1 is formed in one mounting frame MF. ) is formed, and only the second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2 may be formed on the other mounting frame MF.

건조봉 결합홈(DG)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봉 결합 보강 부재(DRM)를 형성하여 건조봉(124)의 결합에 의한 하중을 지지(분산)시킬 수 있다. At least one drying rod coupling reinforcing member DRM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drying rod coupling groove DG to support (distribute) the load due to the coupling of the drying rod 124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의 일부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artially coupled state of a dry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부(120)는 거치 부재(MTM)의 건조봉 결함홈(DG)과 건조봉(124)이 용이하게 결합되면서도 메인 프레임(122), 거치 부재(MTM) 및 건조봉(124)의 결합 상태가 견고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22)에 홀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생산 과정에서의 조립의 곤란성을 제거하여 생산 공정이나 생산 비용 측면에서 효과적이고, 불량 또는 사용이나 조립 중의 파손에 의한 건조봉(124)의 교체가 가능하고 메인 프레임(122)의 홀 주위에 발생하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높이고 제품 수명을 연장하는데 유리하다. 이는 후술되는 도 10, 도 12,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도 19, 도 21의 (b) 및 도 2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의 각 프레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Referring to FIG. 5 , in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frame 122 while the drying rod defect groove DG and the drying rod 124 of the mounting member MTM are easily coupled to each other. , it can be seen that the mounting member MTM and the drying rod 124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rigidly coupled. In addition, by not forming a hole in the main frame 122, it is effective in terms of the production process or production cost by removing the difficulty of assembly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drying rod 124 due to defects or damage during use or assembly It can be replaced and corrosion occurring around the hole of the main frame 122 can be prevented, which is advantageous in improving product quality and extending product life. As shown in FIGS. 10, 12, 14, 15, 16, 17, 19, 21 (b) and 24 to be described later, this is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is true for each fram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 부재(MTM)는 하나의 메인 프레임(122)에 대해 하나로 통합되어 구비되거나 둘 이상으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둘 이상의 거치 부재(MTM)는 분리된 상태로 메인 프레임(122)에 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back to FIG. 2 , 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member MT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respect to one main frame 122 ,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wo or more. In the latter case, two or more mounting members MTM may be us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main frame 122 in a separated stat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 부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moun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거치 프레임(MF)의 양단 중 하나의 상부 중앙에는 제1 체결구(FT1)가, 다른 하나의 상부에는 제1 체결구(FT1)가 그 사이로 삽인 가능한 한 쌍의 제2 체결구(FT2)가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거치 부재(MTM)의 거치 프레임(MF)의 제1 체결구(FT1) 및 다른 거치 부재(MTM)의 거치 프레임(MF)의 제2 체결구(FT2)를 일렬로 나열시킴으로써, 두 개의 거치 부재(MTM)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구(FT1)의 양측에 돌기(BM)가 형성되어 제2 체결구(FT2)의 내부 홈(MG1)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구(FT2)는 제1 체결구(FT1)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 홈(MG2)에 장착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거치 부재(MTM)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6 , a pair of first fasteners FT1 in the upper center of one of both ends of the mounting frame MF, and a first fastener FT1 in the upper center of the other one can be inserted therebetween. of the second fastener FT2 may be provided. By arranging the first fastener FT1 of the mounting frame MF of one mounting member MTM and the second fastener FT2 of the mounting frame MF of the other mounting member MTM in a line, two The mounting member MTM may be coupled thereto. In this case, the protrusions BM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astener FT1 to be coupled to the inner groove MG1 of the second fastener FT2 . In addition, the second fastener FT2 may be mounted in the side grooves MG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astener FT1 . The mounting member MTM separated in this way may be stably coupled.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22)은 한 쌍의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 제2 메인 프레임 봉(122-2) 및 한 쌍의 제4 연결 부재(CNT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연결 부재(CNT4)는 메인 프레임 봉 연결 부재로 명명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은 Y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메인 프레임 봉(122-2)은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과 직교하도록 위치한다. 제2 메인 프레임 봉(122-2)은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과 달리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 및 제2 메인 프레임 봉(122-2)은 제4 연결 부재(CNT4)에 의해 연결된다. Referring back to FIG. 2 , the main frame 122 includes a pair of first main frame rods 122-1, a second main frame rod 122-2, and a pair of fourth connecting members CNT4. can do.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CNT4 may be referred to as a main frame rod connecting member.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first main frame rods 122-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Y-axis direction and positioned in parallel. The second main frame rod 122 - 2 is position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main frame rod 122-1 . Unlike the first main frame rod 122-1, the second main frame rod 122-2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The first main frame rod 122-1 and the second main frame rod 122-2 are connected by a fourth connecting member CNT4.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7 and 8 are a combin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showing a fourth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4 연결 부재(CNT4)는 제4 몸체(BD4), 제4 고정캡(FC4) 및 프레임 결합홈(FRG)을 포함할 수 있다. 7 and 8 ,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CNT4 may include a fourth body BD4 , a fourth fixing cap FC4 , and a frame coupling groove FRG.

제4 몸체(BD4)는 그 내부의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의 일단은 제4 고정캡(FC4)을 관통하여 제4 몸체(BD4)의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된 후, 제4 몸체(BD4)와 제4 고정캡(FC4)의 나사 결합에 의해 제4 몸체(BD4)에 고정될 수 있다. 제4 몸체(BD4)와 제4 고정캡(FC4)의 나사 결합을 위해, 제4 몸체(BD4)의 개방된 일단의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4 고정캡(FC4)의 내측에는 대응되는 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몸체(BD4)의 개방된 일단은 일정 간격으로 절개되어, 장착된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을 더 압박하여 그 결합을 더 견고히 할 수 있다. 제4 몸체(BD4)의 타단은 둥글게 성형되어, 사용 중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The fourth body BD4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one end is open and the other end is closed. One end of the first main frame rod 122-1 passes through the fourth fixing cap FC4 and is inserted and mounted into the fourth body BD4, and then the fourth body BD4 and the fourth fixing cap (BD4) FC4) may be fixed to the fourth body BD4 by screw coupling. For screw coupling between the fourth body (BD4) and the fourth fixing cap (FC4),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open end of the fourth body (BD4), and a corresponding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ourth fixing cap (FC4). can be formed. The open end of the fourth body BD4 may be cut at regular intervals to further press the mounted first main frame rod 122-1 to further strengthen the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fourth body BD4 is formed in a round shape, so that safety can be achieved during use.

프레임 결합홈(FRG)은 제4 몸체(BD4)의 타단에 근접한 외측으로부터 돌출되고, 그 내부는 일단이 개방되며 타단이 제4 몸체(BD4)에 의해 폐쇄된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4 몸체(BD4)와 프레임 결합홈(FRG)은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결합홈(FRG)의 타단은 폐쇄되지 아니하고 제4 몸체(BD4)의 내측과 연결될 수 있다. The frame coupling groove FRG protrudes from the outside close to the other end of the fourth body BD4, and the inside thereof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with one end open and the other end closed by the fourth body BD4.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ince the fourth body BD4 and the frame coupling groove FRG are integrally formed, the other end of the frame coupling groove FRG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fourth body BD4 without being closed.

사각기둥 형상의 제2 메인 프레임 봉(122-2)은 프레임 결합홈(FRG)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제2 메인 프레임 봉(122-2)이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4 연결 부재(CNT4)를 통해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과 결합됨에 있어, 사각기둥 형상의 프레임 결합홈(FRG)에 삽입되어 장착되어, 뒤틀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The second main frame rod 122 - 2 having a square column shape may be inserted into the frame coupling groove FRG and mounted thereon. Since the second main frame rod 122-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it is coupled to the first main frame rod 122-1 through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CNT4, and the frame coupling groove of the rectangular pillar shape is formed. (FRG) is inserted and mounted, the distortion phenomenon can be prevented.

그밖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연결 부재(CNT4)는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 및 제2 메인 프레임 봉(122-2)과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몸체(BD4)와 프레임 결합홈(FRG)의 연결 부위에 제4 보강 부재(RM4)를 구비하여 그 결합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거나 분산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CNT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various structures to further strengthen the coupling with the first main frame rod 122-1 and the second main frame rod 122-2. can do. For example, a fourth reinforcing member RM4 may be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ourth body BD4 and the frame coupling groove FRG to support or distribute a load due to the coupling thereof.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120)는 부피 또는 면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대부분의 구성이 분해 또는 분리 가능할 뿐 아니라, 그 조립이 용이하고 결합이 견고하며 사용 상의 편의성 및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2 , most of the components of the dry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assembled or separated so that the volume or area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assembly is easy, the coupling is strong, and the use is convenient. Convenience and stability can also be improved.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120)는 필요에 따라 분해 또는 분리의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120)를 나타내는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레임(122)은 하나의 파이프를 절곡하여 “U”자 형상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dry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the degree of decomposition or separation as needed.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9 showing the dry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frame 12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o a “U” shape by bending one pipe. could be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제6 연결 부재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0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ixth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40)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42)을 포함하고, 각 지지 프레임(142)은 Y축 방향으로 이격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을 포함할 수 있다. 1 and 10 , the support unit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support frames 142 , and each support frame 142 is spaced apart in the Y-axis direction and positioned in parallel. A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s 142-1 may be included.

각각의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은 상부 봉(UR) 및 하부 봉(DR)으로 분리된다. 상부 봉(UR) 및 하부 봉(DR)은 서로 결합되기 위해, 하부 봉(DR)과 결합되는 상부 봉(UR)의 타단의 내측으로 나사골이, 상부 봉(UR)과 결합되는 하부 봉(DR)의 일단의 외측에는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봉(UR) 및 하부 봉(DR)은 서로 나사식으로 결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은 도 12와 달리 상부 봉(UR)의 타단의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부 봉(DR)의 일단의 내측에 대응되는 나사골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Each of the first support frame rods 142-1 is divided into an upper rod UR and a lower rod DR. The upper rod UR and the lower rod DR are screwed to the inside of the other end of the upper rod UR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rod DR so a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lower rod DR is coupled to the upper rod UR. ), a corresponding thread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one end. That is, the upper rod UR and the lower rod DR are screwed to each other. Unlike FIG. 12 , the first support frame rod 14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other end of the upper rod UR and a screw trough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of one end of the lower rod DR. It may be provided to be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은 나사식 결합된 상부 봉(UR) 및 하부 봉(DR)의 결합을 더 견고히 하기 위해 상부 봉(UR) 및 하부 봉(DR)의 결합 부위의 외측에 탈장착되는 제6 고정링(FR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frame rod 142-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rod UR and a lower rod DR to further strengthen the coupling of the upper rod UR and the lower rod DR screwed together. ) may further include a sixth fixing ring (FR6)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coupling site.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의 타단은 제2 지지 프레임 봉(142-2)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지지 프레임(142)을 형성한다. 이때, 각 지지 프레임(142)은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 및 제2 지지 프레임 봉(142-2)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5 연결 부재(CNT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연결 부재(CNT5)는 지지 프레임 봉 연결 부재로 명명될 수 있다.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s 142 -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support frame rods 142 - 2 to form one support frame 142 . In this case, each support frame 142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fifth connecting members CNT5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frame rod 142-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rod 142-2. The fifth connecting member CNT5 may be referred to as a support frame rod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 및 제2 지지 프레임 봉(142-2)의 연결 방식, 그리고 제5 연결 부재(CNT5)의 구조는 도 8 내지 도 10의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 및 제2 메인 프레임 봉(122-2)의 연결 방식, 그리고 제4 연결 부재(CNT4)의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 및 제2 지지 프레임 봉(142-2)의 연결 방식, 그리고 제5 연결 부재(CNT5)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first support frame rod 142-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rod 142-2 and the structure of the fifth connection member CNT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FIGS. 8 to 10 .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first main frame rod 122-1 and the second main frame rod 122-2 and the structure of the fourth connection member CNT4 may be the same or similar. Accordingly, for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first support frame rod 142-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rod 142-2, and the structure of the fifth connection member CNT5, the descriptions of FIGS. 8 to 10 may be referred to. have.

특히, 제5 연결 부재(CNT5)의 그 몸체의 끝단이 제4 연결 부재(CNT4)의 제4 몸체(BD4)의 끝단과 같이 둥글게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가 그 사용되는 바닥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그 이동에 의해 소음이나 생활 기스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end of the body of the fifth connecting member CNT5 is formed to be round like the end of the fourth body BD4 of the fourth connecting member CNT4, so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ly supported by the floor us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noise or life gas by its movemen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142)이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 및 제2 지지 프레임 봉(142-2)으로 분리되는 것에 한해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의 메인 프레임(122)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142)도 하나의 파이프를 절곡하여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support frame 14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into the first support frame rod 142-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rod 142-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Like the main frame 122 of FIG. 9 , the support frame 14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formed in a “U” shape by bending one pipe.

계속해서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는 지지부(140), 고정부(160) 및 받침부(180)를 동시에 연결하는 제6 연결 부재(CNT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6 연결 부재(CNT6)는 통합 연결 부재로 명명될 수 있다. 1 and 10,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xth connecting member ( CNT6) may be further included.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may be referred to as an integrated connecting member.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연결 부재를 통한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xth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through the sixth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6 연결 부재(CNT6)는 제6 몸체(BD6), 고정부 결합홈(FXG) 및 한 쌍의 받침부 결합 날개(SW)를 포함할 수 있다. 11 and 12 , the sixth connection member CNT6 may include a sixth body BD6 , a fixing part coupling groove FXG, and a pair of support coupling blades SW.

제6 연결 부재(CNT6)는 상부 봉(UR)을 관통하여 제6 고정링(FR6)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6 연결 부재(CNT6)의 제6 몸체(BD6)의 내경은 상부 봉(UR)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다소 크고 제6 고정링(FR6)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may be fixed by the sixth fixing ring FR6 passing through the upper rod UR. The inner diameter of the sixth body BD6 of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may be the same as or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rod UR an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ixth fixing ring FR6.

고정부 결합홈(FXG)은 제6 연결 부재(CNT6)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되고, 그 내부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제6 몸체(BD6)에 의해 폐쇄되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고정부 결합홈(FXG)의 타단과 제6 몸체(BD6)는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xing part coupling groove FXG protrudes from the outside of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 and the inside thereof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end open and the other end closed by the sixth body BD6 . However,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art coupling groove FXG and the sixth body BD6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한 쌍의 받침부 결합 날개(SW)는 각각 제6 연결 부재(CNT6)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되고 받침부 결합 날개(SW)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6 관통홀(TH6)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받침부 결합 날개(SW)는 고정부 결합홈(FXG)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받침부 결합 날개(SW)가 고정부 결합홈(FXG)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됨으로써, 제6 연결 부재(CNT6)는 그 장착되는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즉 어느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에 장착되더라도, 고정부(160) 및 받침부(180)를 연결할 수 있다. Each of the pair of support coupling wings SW may include a sixth through hole TH6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and penetrating through the support coupling wings SW. A pair of support coupling wings (SW) may be position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coupling groove (FXG). By providing a pair of support coupling blades SW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coupling groove FXG, the sixth connection member CNT6 has a different mounting position, that is, any first supporting frame. Even if it is mounted on the rod 142-1, the fixing part 160 and the supporting part 180 can be connected.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연결 부재(CNT6)를 나타내는 도 13과 같이, 받침부 결합 날개(SW)가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다. 받침부 결합 날개(SW)가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 제6 연결 부재(CNT6)가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즉 어느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에 장착되는지에 따라, 받침부 결합 날개(SW)는 고정부 결합홈(FXG)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13 showing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upport coupling wing SW may be provided. When the support coupling blade (SW) is provided as one,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is mounted, that is, depending on which first support frame rod (142-1) it is mounted on, the support coupling blade ( SW) may be form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fixing part coupling groove FXG.

그밖에, 제6 몸체(BD6)와 고정부 결합홈(FXG)의 연결 부위 또는 제6 몸체(BD6)와 받침부 결합 날개(SW)의 연결 부위에 제6 보강 부재(RM6)를 더 구비하여, 그 결합에 따른 하중을 지지하거나 분산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sixth reinforcing member (RM6) is further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ixth body (BD6) and the fixing portion coupling groove (FXG) or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ixth body (BD6) and the supporting portion coupling blade (SW), It can support or distribute the load according to the coupling.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연결 부재를 통한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14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through a sixth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는 고정부(160)가 고정부 결합홈(FXG)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6 연결 부재(CNT6)에 장착되고, 받침부(180)의 일부가 받침부 결합 날개(SW)의 제6 관통홀(TH6)을 관통하여 받침부(180)가 제6 연결 부재(CNT6)에 장착될 수 있다. 12 and 14 , in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art 16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coupling groove FXG and mounted on the sixth connection member CNT6. and a part of the support unit 180 passes through the sixth through hole TH6 of the support coupling wing SW so that the support unit 180 may be mounted to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이하에서는 용이하고 견고하게 제6 연결 부재(CNT6)와 결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60) 및 받침부(180)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ixing part 160 and the supporting part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easily and firmly coupled to the sixth connection member CNT6 will be described.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12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60)는 한 쌍의 고정 프레임(162) 및 한 쌍의 고정봉(164)을 포함할 수 있다. 1, 12 and 15 , the fixing unit 1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air of fixing frames 162 and a pair of fixing rods 164 .

한 쌍의 고정 프레임(162)은 각각 한 쌍의 지지 프레임(142)의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 사이의 X축 방향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지지 프레임(142)의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이라 함은 Y축 방향으로 앞측 및 뒤측 중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들을 의미한다. 각각의 고정 프레임(162)은 그 중간 부분에서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가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접히는 때에 함께 접혀질 수 있다. The pair of fixing frames 162 may each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in the X-axis direc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s 142-1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142 . At this time, the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s 142-1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142 refer to the first support frame rods 142-1 positioned on the same side among the front and rear sides in the Y-axis direction. it means. Each of the fixing frames 162 is formed to be foldable in the middle portion thereof, so that it can be folded together when the prefabricated clothes dry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in a state where the assembly is completed.

각각의 고정 프레임(162)의 X축 방향으로의 양단에는 고정 프레임(162)을 관통하는 프레임 관통홀(FTH)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봉(164)은 각각 프레임 관통홀(FTH)을 관통하여, 제6 연결 부재(CNT6)의 고정부 결합홈(FXG)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봉(164)은 각 지지 프레임(142)의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의 Y축 방향의 이격 거리(d1)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Frame through-holes FTH penetrating through the fixing frames 162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fixing frame 162 in the X-axis direction. The pair of fixing rods 164 may pass through the frame through hole FTH, respectively, and may be inserted and mounted in the fixing part coupling groove FXG of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Each of the fixing rods 164 may be provid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d1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rod 142-1 of each support frame 142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60)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42)의 이격 거리를 고정시키는 외에 건조부(120)의 기능을 보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60)는 다수의 보조 건조봉 결합홈(166) 및 다수의 보조 건조봉(16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건조봉 결합홈(166)은 고정 프레임(162)의 내측에 형성된다. 보조 건조봉 결합홈(166)은 도 3 등의 건조봉 결함홈(DG)과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건조봉 결합홈(166) 보조 건조봉(168)은 한 쌍의 고정 프레임(162)의 Y축 방향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되므로, 고정봉(164)보다 그 길이가 짧을 수 있다. The fixing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ssist the function of the drying unit 120 in addition to fix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upport frames 142 . To this end, the fixing unit 1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auxiliary drying rod coupling grooves 166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drying rods 168 . The auxiliary drying rod coupling groove 166 is formed inside the fixing frame 162 . The auxiliary drying rod coupling groove 166 may b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drying rod defect groove DG of FIG. 3 . Since the auxiliary drying rod coupling groove 166 and the auxiliary drying rod 168 are provid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pair of fixing frames 162 , the length may be shorter than that of the fixing rod 164 . .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80)는 상부 프레임(182) 및 하부 프레임(18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82) 및 하부 프레임(184)은 각각 "┌┐"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82)의 두 모서리는 건조봉(124)가 거치될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82) 및 하부 프레임(184) 사이는 접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182)의 양단이 절곡되어 링을 형성하고 링에 하부 프레임(184)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1 and 16 , the support unit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upper frame 182 and a lower frame 184 . The upper frame 182 and the lower frame 184 may be provided in a “┌┐” shape, respectively. The two corners of the upper frame 182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drying rod 124 to be mounted thereon. The upper frame 182 and the lower frame 184 may be foldably connected. For example, both ends of the upper frame 182 may be bent to form a ring, and the lower frame 184 may be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ring.

이때, 하부 프레임(184)의 X축 방향으로의 폭(WD)은 제1 지지 프레임 봉(142_1) 사이의 Y축 방향으로의 이격 거리(d1)보다 길다. 따라서, 하부 프레임(184)은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142_1)에 의해 지지되고, 그 지지력에 의해 된 하부 프레임(184)에 연결된 상부 프레임(182)이 대응되는 건조봉(124)을 지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idth WD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lower frame 184 is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d1 in the Y-axis direction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 rods 142_1 . Accordingly, the lower frame 184 is supported by a pair of first supporting frame rods 142_1, and the upper frame 182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184 by the supporting force of the corresponding drying rod 124 is formed. can support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80)는 접힌 상태로 포장 및 운송되어 비용이나 편의성 측면에서 효과적이면서도 건조부(120)가 "Y"자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84)의 양단은 1회 이상 절곡되어 도 13 등의 받침부 결합 날개(SW)의 제6 관통홀(TH6)로 삽입되어 임의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As such, the support unit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ckaged and transported in a folded state, so that it is effective in terms of cost or convenience while stably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drying unit 120 is unfolded in a “Y” shape. have.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184 may be bent one or more times and inserted into the sixth through hole TH6 of the support coupling wing SW of FIG. 13 and the like so that they may not be arbitrarily separated.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의 받침부(180)는 도 16과 다르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upport unit 180 of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differently from FIG. 16 . This will be described.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xth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는 도 1의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받침부(180)는 직사각형의 둘레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받침부(180)의 4개의 모서리 중 2개의 모서리는 건조부(120)에 거치되고 나머지 2개의 모서리는 지지부(140) 등에 거치될 수 있다. 도 19는 받침부(180)의 나머지 2개의 모서리가 걸림홈(HH)에 장착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걸림홈(HH)은 한 쌍의 지지 프레임(142)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CNT2)가 연장된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17 and 18 ,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100 of FIG. 1 . However, the support unit 18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rectangle, two of the four corners of the support unit 180 are mounted on the drying unit 120 and the other two corners are mounted on the support unit 140 , etc. can be 19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remaining two corners of the support unit 180 are mounted to the locking groove HH. The locking groove HH may be formed at an extended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CNT2 connecting the pair of support frames 142 .

이 경우, 받침부(180)는 제6 연결 부재(CNT6)와 결합되지 않으므로, 제6 연결 부재(CNT6)는 제6 몸체(BD6) 및 고정부 결합홈(FXG)을 포함하고, 도 11 등의 받침부 결합 날개(SW)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support unit 180 is not coupled to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includes the sixth body BD6 and the fixing unit coupling groove FXG, as shown in FIG. 11 and the like. The support part coupling wing (SW) of the may not be included.

이상에서는 제6 연결 부재(CNT6)가 도 10과 같이 상부 봉(UR) 및 하부 봉(DR)이 나사 결합된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과 결합하는 예에 한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연결 부재(CNT6)는 다양한 형태의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as shown in FIG. 10 ,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is described only in an example in which the upper rod UR and the lower rod DR ar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rod 142-1 to which the screw is coupl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ixth connection member CNT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rod 142-1 of various shapes. This will be explained.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 프레임 봉을 포함하는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연결 부재 및 제7 연결 부재가 결합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9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support frame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a sixth connection member and a seventh connection member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은 도 10과 마찬가지로 상부 봉(UR) 및 하부 봉(DR)으로 분리될 수 있다. 다만, 도 19의 제1 지지 프레임 봉(142-1)의 상부 봉(UR) 및 하부 봉(DR)은 나사 결합되는 것이 아니고, 제7 연결 부재(CNT7)를 통해 연결된다. 제7 연결 부재(CNT7)는 상-하부 봉 연결 부재로 명명될 수 있다. 제7 연결 부재(CNT7)는 제7 몸체(BD7) 및 한 쌍의 제7 고정캡(FC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6 연결 부재(CNT6)는 제7 연결 부재(CNT7)의 제7 몸체(BD7)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19 and 20 , the first support frame rod 142-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rod UR and a lower rod DR, as in FIG. 10 . However, the upper rod UR and the lower rod DR of the first support frame rod 142-1 of FIG. 19 are not screw-coupled, but are connected through the seventh connection member CNT7. The seventh connecting member CNT7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lower rod connecting member. The seventh connection member CNT7 may include a seventh body BD7 and a pair of seventh fixing caps FC7 . In this case,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may be coupled through the seventh body BD7 of the seventh connecting member CNT7 .

제7 연결 부재(CNT7)의 제7 몸체(BD7)는 그 내부가 양단이 모두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7 몸체(BD7)의 양단의 외측에는 각각 도 9의 제4 몸체(BD4)의 개방된 일단과 같이 일정 간격으로 절개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7 몸체(BD7)의 양단과 나사 결합하는 한 쌍의 제7 고정캡(FC7)은 도 7 등의 제4 고정캡(FC4)과 같이, 그 내측에는 제7 몸체(BD7)의 양단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venth body BD7 of the seventh connecting member CNT7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both ends of the seventh body BD7 open. Threads cut at regular intervals like an open end may be formed. A pair of seventh fixing caps FC7 screw-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venth body BD7, like the fourth fixing cap FC4 of FIG. A screw bone corresponding to may be formed.

제7 고정캡(FC7)이 제7 몸체(BD7)의 양단에 결합되기 전, 제6 연결 부재(CNT6)가 제7 몸체(BD7)를 관통하여 장착되고, 상부 봉(UR) 및 하부 봉(DR)은 각각 제7 고정캡(FC7)을 관통하여 제7 몸체(BD7)의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7 몸체(BD7)의 내부 중간 부분에 가로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부 봉(UR) 및 하부 봉(DR)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7 몸체(BD7)의 내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 봉(UR) 및 하부 봉(DR)이 삽입되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장착될 수도 있다. Before the seventh fixing cap FC7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venth body BD7,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is mounted through the seventh body BD7, and the upper rod UR and the lower rod ( DR) penetrates through the seventh fixing cap FC7, respectively,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seventh body BD7 and mounted thereon. In this case, a cross bar (not shown) may be formed in an inner middle portion of the seventh body BD7 to fix the positions of the upper rod UR and the lower rod D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terior of the seventh body BD7 may be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upper rod UR and the lower rod DR are inserted and mounted in abutting state.

제7 고정캡(FC7)의 직경이 제7 몸체(BD7)의 직경보다 크고 제6 연결 부재(CNT6)는 제7 몸체(BD7) 중 나사산이 형성된 양단 부분을 제외한 길이(d2)로 구비되어, 제7 고정캡(FC7)이 제7 몸체(BD7)와 결합함에 따라 제6 연결 부재(CNT6)는 자연히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seventh fixing cap FC7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venth body BD7, and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is provided with a length d2 of the seventh body BD7 excluding both ends where threads are formed, As the seventh fixing cap FC7 is coupled to the seventh body BD7, the position of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may be naturally fixed.

도 19 및 도 20에서는 제7 연결 부재(CNT7)와 결합되는 제6 연결 부재(CNT6)가 도 13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받침부 결합 날개(SW)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된 바에 따라 하나 이하로 구비할 수도 있다. 19 and 20,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coupled to the seventh connecting member (CNT7) is illustrated as having a pair of support coupling blades (SW) as in FIG. 13, but is not limited thereto One or less may b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연결 부재(CNT6)가 제1 지지 프레임 봉(142-2) 또는 제7 연결 부재(CNT7)에 관통하여 장착되는 구조에 한해 기술되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above, only the structure in which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hrough the first support frame rod 142 - 2 or the seventh connecting member CNT7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1 is a view showing a sixth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6 연결 부재(CNT6)는 클립 형태로 제1 지지 프레임 봉(142-2) 또는 제7 연결 부재(CNT7)에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6 연결 부재(CNT6)의 제6 몸체(BD6)는 제1 서브 몸체(SBD1) 및 제2 서브 몸체(SBD2)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서브 몸체(SBD1)에는 고정부 결합홈(FXG) 및 받침부 결합 날개(SW)가 형성될 수 있다. 위해 제1 서브 몸체(SBD1)의 내측에 슬라이드 레일(SR)이 형성되고 제2 서브 몸체(SBD2)의 외측에 슬라이드 돌기(SB)가 형성되어 제1 서브 몸체(SBD1) 및 제2 서브 몸체(SBD2)는 서로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1 , the sixth connection member CNT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rod 142 - 2 or the seventh connection member CNT7 in the form of a clip. For example, the sixth body BD6 of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may be separated into a first sub-body SBD1 and a second sub-body SBD2 . A fixing part coupling groove FXG and a supporting part coupling wing SW may be formed in the first sub body SBD1. A slide rail SR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sub-body SBD1 and a slide protrusion SB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sub-body SBD2 to form the first sub-body SBD1 and the second sub-body (SBD1). SBD2) can b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제1 서브 몸체(SBD1) 및 제2 서브 몸체(SBD2)는 분리된 상태에서 상부 봉(UR)이 그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후,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하고, 제6 고정링(FX3)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After the first sub-body SBD1 and the second sub-body SBD2 are separated so that the upper rod UR is positioned therebetween, they are slide-coupled in the Y-axis direction, and are attached to the sixth fixing ring FX3. Its position can be fixed by

도 22 및 도 2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2 and 23 are views showing first to third connecting mem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 부재(CNT1)는 중심에 제1 관통홀(TH1)이 형성된 제1 몸체(BD1), 및 제1 몸체(BD1)와 연결되고 원통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메인 프레임 봉 결합홈(MH)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봉 결합홈(MH)에는 각각 제1 메인 프레임 봉(122_1)의 일단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메인 프레임 봉(122_1)의 일단의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메인 프레임 봉 결합홈(MH)의 내측에 그에 대응되는 나사골이 형성되어, 제1 메인 프레임 봉(122_1) 및 메인 프레임 봉 결합홈(MH)은 나사식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그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할 수 있다. 22 and 23 ,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NT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BD1 having a first through hole TH1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the first body BD1 and It may include a pair of main frame rod coupling grooves MH that are connected and have a cylindrical inner space. One end of the first main frame rod 122_1 may be mounted in each of the main frame rod coupling grooves MH. At this time,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side of one end of the first main frame rod 122_1 and a corresponding screw trough is formed inside the main frame rod coupling groove MH, so that the first main frame rod 122_1 and the main frame rod are formed. The coupling groove MH may be coupled by screw coupling. Therefore, the assembly can be easy and robust.

제2 연결 부재(CNT2)도 제1 연결 부재(CNT1)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 부재(CNT2)는 중심에 제2 관통홀(TH2)이 형성된 제2 몸체(BD2), 및 제2 몸체(BD2)와 연결되고 원통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 프레임 봉 결합홈(SH)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홀(TH1) 및 제2 관통홀(TH2)의 직경을 동일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 봉 결합홈(SH)의 내측에 나사골이 형성되고 제1 지지 프레임 봉(142_1)의 일단의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12와 같이 제1 지지 프레임 봉(142_1)이 상부 봉(UR) 및 하부 봉(DR)으로 분리되고 상부 봉(UR) 및 하부 봉(DR)이 나사식 결합되면, 상부 봉(UR) 및 하부 봉(DR)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CNT2 may also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NT1 . That is,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CNT2 includes a second body BD2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TH2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a pair of support frame rods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BD2 and having a cylindrical inner space. It may include a coupling groove (SH). The diameters of the first through hole T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TH2 may be the same. A screw trough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frame rod coupling groove SH, and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side of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frame rod 142_1 to be screwed together. At this time, when the first support frame rod 142_1 is separated into an upper rod UR and a lower rod DR as shown in FIG. 12 and the upper rod UR and the lower rod DR are screwed together, the upper rod UR ) and the lower rod DR may have the same structure.

제1 연결 부재(CNT1) 및 제2 연결 부재(CNT2)는 제3 연결 부재(CNT3)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연결 부재(CNT1) 내지 제3 연결 부재(CNT3)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NT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CNT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hird connecting member CNT3 . Hereinafter,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NT1 to the third connecting member CNT3 will be described.

제1 연결 부재(CNT1)의 제1 몸체(BD1) 및 제2 연결 부재(CNT2)의 제2 몸체(BD2)는 중첩되어 제1 관통홀(TH1) 및 제2 관통홀(TH2)이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고, 중첩된 제1 관통홀(TH1) 및 제2 관통홀(TH2)의 일측으로 중심봉(CR)이 장착되어 타측까지 위치하고 타측으로 제3 연결 부재(CNT3)가 장착될 수 있다.The first body BD1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CNT1 and the second body BD2 of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CNT2 overlap so that the first through hole T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TH2 are at the same position The center rod CR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overlapping first through-hole TH1 and the second through-hole TH2 and positioned to the other side, and the third connecting member CNT3 may be mounted on the other side.

제3 연결 부재(CNT3)는 연결 후크(CH) 및 고정 스크류(FS)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후크(CH)가 먼저 제1 관통홀(TH1), 제2 관통홀(TH2) 및 중심봉(CR)이 중첩된 영역의 중앙봉(CR)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고정 스크류(FS)가 연결 후크(CH)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The third connection member CNT3 may include a connection hook CH and a fixing screw FS. The connection hook CH is first inserted into the center rod CR of the area where the first through hole TH1, the second through hole TH2, and the center rod CR overlap, and then the fixing screw FS is connected It can be moun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hook (CH).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 연결 부재(CNT1) 및 제2 연결 부재(CNT2)는 회전 가능하여, 건조부(120) 및 지지부(140)가 접철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연결 후크(CH)의 측면 중 일부는 절개되고 내측에 돌출홈이 형성되어 고정 스크류(FS)가 연결 후크(CH)에 장착되는 경우 중심봉(CR)이 제1 관통홀(TH1) 및 제2 관통홀(TH2)에 더 밀착되도록 가압시킴으로써 제1 연결 부재(CNT1) 내지 제3 연결 부재(CNT3)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Through this structur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NT1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CNT2 may be rotatable, so that the drying unit 120 and the supporting unit 140 may be used to be foldable. At the same time, when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hook CH is cut and a protrusion groove is formed on the inside, so that the fixing screw FS is mounted on the connection hook CH, the center rod CR is connected to the first through hole TH1 and By pressing the second through-hole TH2 to be more closely couple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NT1 to the third connecting member CNT3 may be firmly coupled.

이때, 그 결합을 더 견고히 하기 위해 제3 고정링(FR3)이 중첩된 제1 연결 부재(CNT1) 및 제2 연결 부재(CNT2)과 중앙봉(CR) 사이에 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 부재(CNT1) 및 제2 연결 부재(CNT2)는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의 지지부(140)는 별도의 고정부(160)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일정 각도 이상으로 펼쳐지지 않고 고정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further strengthen the coupling, the third fixing ring FR3 may be further coupled between the overlapping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CNT1 and CNT2 and the central rod CR. In addition,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CNT1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CNT2 is limited, the support part 140 of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parate fixing part 160 . ), it may be fixed without being unfolded beyond a certain angle.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는 분리된 상태에서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생산, 포장, 보관 및 운송 등에 요구되는 비용을 줄이면서도 그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에 의하면, 부피의 최소화 요구에 따라 각 구성 요소가 분리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불필요한 부품을 최소화하여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때, 받침부(180)의 상부 프레임(182) 및 하부 프레임(184)이 접철된 상태의 세로 길이(가로 길이는 도 16의 WD) 또는 거치 부재(MTM)의 폭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의 전체 포장 상태의 폭에 대응될 수 있고, 제1 메인 프레임 봉(122-1)의 길이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의 전체 포장 상태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4 ,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volume in a separated state, thereby reducing costs required for production, packag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while improving its ease. hav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can be separated according to the demand for minimization of the volume, and production costs can be reduced by minimizing unnecessary parts through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 At this time, the vertical length (the horizontal length is WD in FIG. 16) or the width of the mounting member (MTM)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frame 182 and the lower frame 184 of the support unit 180 are fol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first main frame rod 122-1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entire packaging state of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100 according to It may correspond to the length.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조립 후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여, 사용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품의 부피와 사용자 편의 또는 조립 후의 견고함 등의 견고의 관계를 고려하여, 일부 부품끼리는 조립된 상태로 포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봉(CR), 제1 연결 부재(CNT1) 내지 제3 연결 부재(CNT3)는 조립된 상태로 포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봉(UR), 제6 고정링(FR6) 및 제6 연결 부재(CNT6)는 조립된 상태로 포장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state after assembly is strong,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In this case, some parts may be packaged in an assembled state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lume of the product and the user's convenience or firmness after assembly. For example, the central rod CR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NT1 to the third connecting member CNT3 may be packaged in an assembled state. For example, the upper rod UR, the sixth fixing ring FR6, and the sixth connecting member CNT6 may be packaged in an assembled stat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0: 조립식 빨래 건조대
120: 건조부
140: 지지부
160: 고정부
180: 받침부
CNT1 ~ CNT7: 제1 연결 부재 ~ 제7 연결 부재
122: 메인 프레임
142: 지지 프레임
162: 고정 프레임
100: prefab laundry drying rack
120: drying unit
140: support
160: fixed part
180: support
CNT1 to CNT7: first connecting member to seventh connecting member
122: main frame
142: support frame
162: fixed frame

Claims (20)

메인 프레임 연결 부재로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펼쳐지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제2 방향으로 이격된 공간 상에 서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다수의 건조봉을 포함하는 건조부;
지지 프레임 연결 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펼쳐져 제3 방향으로 상기 건조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다수의 건조봉 중 대응되는 건조봉에 거치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대응되는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건조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각각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부 봉 및 하부 봉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 및
상기 상부 봉 및 상기 하부 봉의 결합 부위의 외측에 탈장착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 중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링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단 중 대응되는 일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단일의 통합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A drying unit including a pair of main frames connected by a main frame connecting member an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drying ro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p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econd direction of the pair of main frames ;
a support part connected by a support frame connection member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include a pair of support frames supporting the drying part in a third direction; and
a support part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drying part, including an upper frame mounted on a corresponding drying rod among the plurality of drying rods, and a lower frame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one of the upper frame and the pair of support frames; including,
Each of the support frames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a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ncluding an upper rod and a lower rod; and
Containing;
A position is fixed by the fixing ring through a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 among the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s, and a corresponding one end among both ends of the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 and the lower frame is mutually connected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further comprising; a single integrated connecting member for coupl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 중 각각의 메인 프레임은,
홀(hole)이 형성되지 않은 한 쌍의 제1 메인 프레임 봉;
홀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한 쌍의 제1 메인 프레임 봉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메인 프레임 봉; 및
상기 한 쌍의 제1 메인 프레임 봉 중 대응되는 제1 메인 프레임 봉 및 상기 제2 메인 프레임 봉이 탈장착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 봉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 봉 연결 부재 중 각각의 메인 프레임 봉 연결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메인 프레임 봉 중 대응되는 제1 메인 프레임 봉의 일단이 탈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제1 메인 프레임 봉과 상기 몸체를 결합시키는 고정캡; 및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메인 프레임 봉의 일단이 탈장착되는 프레임 결합홈;을 포함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main frame among the pair of main frames,
a pair of first main frame rods in which no holes are formed;
a second main frame rod having no hole and having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ir of first main frame rods; and
a pair of main frame rod connecting members to which the corresponding first main frame rod and the second main frame rod are detachably mounted among the pair of first main frame rods; and
Each of the main frame rod connecting members of the pair of main frame rod connecting members,
a body to which one end of a corresponding first main frame rod among the pair of first main frame rods is detachably mounted;
a fixing cap for coupling the first main frame rod mounted to the body and the body; and
and a frame coupling groove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provided in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body, and having one end of the second main frame rod detachably attach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인 프레임 봉 및 상기 프레임 결함홈은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main frame rod and the frame defect groove ar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to prevent dist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각각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 지지 프레임 봉; 및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 중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 봉이 탈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 봉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 봉은 홀(hole)이 형성되지 아니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봉 연결 부재 중 각각의 지지 프레임 봉 연결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 중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의 일단이 탈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과 상기 몸체를 결합시키는 고정캡; 및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 프레임 봉의 일단이 탈장착되는 프레임 결합홈;을 포함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support frames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a second support frame rod having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s; and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support frame rod connecting members to which the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rod are detachably mounted among the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s;
The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rod do not have a hole (hole) formed,
Each of the support frame rod connection members of the pair of support frame rod connection members,
a body to which one end of a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 among the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s is detachably mounted;
a fixing cap for coupling the first support frame rod mounted to the body and the body; and
and a frame coupling groove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provided in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body, and having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frame bar attached and detach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프레임 봉 및 상기 프레임 결함홈은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 support frame rod and the frame defect groove ar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to prevent dist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봉 및 상기 하부 봉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rod and the lower rod ar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s formed in the same shap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 봉의 일단 및 상기 하부 봉의 일단의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봉의 타단 및 상기 하부 봉의 타단의 내측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골이 형성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7. The method of claim 6,
Screw threads are formed on one end of the upper rod and one end of the lower rod, and a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s is formed inside the other end of the upper rod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r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프레임 봉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통합 연결 부재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first support frame rod,
Each integrated connecting member is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formed in the same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연결 부재는,
상기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의 상부 봉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링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절곡된 양단 중 대응되는 일단이 삽입 또는 분리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받침부 결합 날개;를 포함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connection member,
a body whose position is fixed by the fixing ring through the upper rod of the corresponding first supporting frame rod; and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including a; a support unit coupling wing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corresponding one end of the bent ends of the lower frame is inserted or separate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 중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과 결합되는 고정봉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연결 부재는,
상기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의 상부 봉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링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봉의 양단 중 대응되는 일단이 내부로 삽입되거나 내부로부터 분리되는 고정부 결합홈; 및
상기 몸체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절곡된 양단 중 대응되는 일단이 삽입 또는 분리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받침부 결합 날개;를 포함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ortion including a fixing rod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 of the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
The integrated connection member,
a body whose position is fixed by the fixing ring through the upper rod of the corresponding first supporting frame rod;
a fixing part coupling groov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and having one end corresponding to one of both ends of the fixing rod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inside; and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including a; a support unit coupling wing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corresponding one end of the bent ends of the lower frame is inserted or separate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결합 날개는 하나로 구비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is provided with one of the support-coupled wings.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결합 날개는 상기 고정부 결합홈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pport unit coupling blades ar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s provided in a pair symmetrical to each other based on the fixing unit coupling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 중 각각의 메인 프레임의 일단의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메인 프레임의 일단이 탈장착되는 상기 메인 프레임 연결 부재의 내측에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골이 형성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side of one end of each main frame among the pair of main frames,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in which a screw trough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is formed inside the main frame connecting member to which one end of each of the main frames is detachably moun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링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링 형상의 양단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 형상으로 형성되고 폭이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 사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격 거리보다 넓은 조립식 빨래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frame is formed in a "┌┐" shape and both ends are bent into a ring shape,
The lower frame passes through both ends of the ring shape of the upper frame, i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is formed in a “┌┐” shape, and has a width between the pair of first support frame bars in the second direction. Spacious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각각의 지지 프레임의 일단의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지지 프레임의 일단이 탈장착되는 상기 지지 프레임 연결 부재의 내측에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골이 형성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side of one end of each support frame among the pair of support frames,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in which a screw trough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is formed inside the support frame connecting member to which one end of each support frame is detachably mounted.
메인 프레임 연결 부재로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펼쳐지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제2 방향으로 이격된 공간 상에 서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다수의 건조봉을 포함하는 건조부;
지지 프레임 연결 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펼쳐져 제3 방향으로 상기 건조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대응되는 지지 프레임과 결합되는 고정봉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다수의 건조봉 중 대응되는 건조봉에 거치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대응되는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건조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각각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부 봉 및 하부 봉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 중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에 거치되고, 상기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 상기 고정봉의 양단 중 대응되는 일단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단 중 대응되는 일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단일의 통합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A drying unit including a pair of main frames connected by a main frame connecting member an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drying ro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p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econd direction of the pair of main frames ;
a support part connected by a support frame connection member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include a pair of support frames supporting the drying part in a third direction;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ing unit including a fixing rod coupled to a corresponding supporting frame among the pair of supporting frames; and
A support portion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drying unit, including an upper frame mounted on a corresponding drying rod among the plurality of drying rods, and a lower frame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supporting frame among the upper frame and the pair of support frames; including,
Each of the support frames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A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ncluding an upper rod and a lower rod;
It is mounted on a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 among the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s, and the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 a corresponding one end of both ends of the fixed rod, and a corresponding one end of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are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further comprising; a single integrated connecting member for coupling.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각각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상부 봉 및 상기 하부 봉의 결합 부위의 외측에 탈장착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연결 부재는,
상기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의 상부 봉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링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봉의 양단 중 대응되는 일단 내부로 삽입되거나 내부로부터 분리되는 고정부 결합홈; 및
상기 몸체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절곡된 양단 중 대응되는 일단이 삽입 또는 분리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받침부 결합 날개;를 포함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17. The method of claim 16,
Each of the support frames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It further comprises;
The integrated connection member,
a body whose position is fixed by the fixing ring through the upper rod of the corresponding first supporting frame rod;
a fixing part coupling groove which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and which is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inside at one end corresponding to one of both ends of the fixing rod; and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including a; a support unit coupling wing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corresponding one end of the bent ends of the lower frame is inserted or separated.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통합 연결 부재는,
내측에 슬라이드 레일이 형성된 제1 서브 몸체 및 외측에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된 제2 서브 몸체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제1 서브 몸체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봉의 양단 중 대응되는 일단이 내부로 삽입되거나 내부로부터 분리되는 고정부 결합홈; 및
상기 제1 서브 몸체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절곡된 양단 중 대응되는 일단이 삽입 또는 분리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받침부 결합 날개;를 포함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integrated connection member,
a body including a first sub-body having a slide rail formed on the inside and a second sub-body having a slide protrusion formed on the outside;
a fixing part coupling groov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sub body and into which one end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fixing rod is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inside; and
The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including a; a support coupling wing which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ide of the first sub body and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corresponding one of the bent ends of the lower frame is inserted or separated.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각각의 지지 프레임은,
양단으로 상기 상부 봉 및 상기 하부 봉이 탈장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단 중 대응되는 일단과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캡을 포함하는 상-하부 봉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연결 부재는,
상기 상-하부 봉 연결 부재의 몸체의 외측에 탈장착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17. The method of claim 16,
Each of the support frames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Further comprising; a body to which the upper rod and the lower rod are detachably mounted at both ends, and an upper-lower rod connecting member including a pair of fixing caps coupled to corresponding one end of both ends of the body;
The integrated connection member,
A prefabricated laundry drying rack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of the upper-lower rod connecting member.
메인 프레임 연결 부재로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펼쳐지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제2 방향으로 이격된 공간 상에 서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다수의 건조봉을 포함하는 건조부;
지지 프레임 연결 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펼쳐져 제3 방향으로 상기 건조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대응되는 지지 프레임과 결합되는 고정봉을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건조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프레임 중 각각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부 봉 및 하부 봉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 및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 봉 및 상기 하부 봉의 결합 부위의 외측에 탈장착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 봉 중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링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대응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봉 및 상기 고정봉의 양단 중 대응되는 일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단일의 통합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
A drying unit including a pair of main frames connected by a main frame connecting member an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drying ro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p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econd direction of the pair of main frames ;
a support part connected by a support frame connection member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o include a pair of support frames supporting the drying part in a third direction;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ing unit including a fixing rod coupled to a corresponding supporting frame among the pair of supporting frames; and
Including; a support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drying unit;
Each of the support frames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a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ncluding an upper rod and a lower rod; and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xing ring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upper rod and the lower rod;
A position is fixed by the fixing ring through a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 among the pair of first support frame rods, and a corresponding one end of the corresponding first support frame rod and both ends of the fixing rod is mutually coupled Prefab laundry drying rack further comprising; a single integrated connecting member.
KR1020210017657A 2020-09-10 2021-02-08 Self-Assembly Clothes Drying Rack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KR1022929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2197675.8U CN216474086U (en) 2020-09-10 2021-09-10 Assembled clothes 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16119 2020-09-10
KR20200116128 2020-09-10
KR1020200116119 2020-09-10
KR20200116126 2020-09-10
KR1020200116123 2020-09-10
KR20200116123 2020-09-10
KR1020200116126 2020-09-10
KR1020200116128 2020-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959B1 true KR102292959B1 (en) 2021-08-25

Family

ID=774950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657A KR102292959B1 (en) 2020-09-10 2021-02-08 Self-Assembly Clothes Drying Rack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KR1020210017656A KR102292958B1 (en) 2020-09-10 2021-02-08 Self-Assembly Clothes Drying Rack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656A KR102292958B1 (en) 2020-09-10 2021-02-08 Self-Assembly Clothes Drying Rack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292959B1 (en)
CN (2) CN216474086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325A (en) * 2021-11-01 2023-05-09 (주)애드원리빙 Self-Assembly Clothes Drying Rack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029U (en) * 1974-07-05 1976-01-24
JPS6118798U (en) * 1984-07-10 1986-02-03 睦子 鈴木 clothes drying device
KR200142392Y1 (en) * 1996-09-06 1999-06-01 송진오 Stand of drying the laundry in holding type
KR20160112205A (en) * 2015-03-18 2016-09-28 이안제 Clothes horse drying rods spacing and angle adjustment a drier
KR102147350B1 (en) * 2020-06-19 2020-08-24 김문영 Dry hanger for laundr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679U (en) * 1995-04-13 1996-11-21 서숙희 Clothes rack
KR20190119377A (en) * 2018-04-12 2019-10-22 김종시 Detachable Rods Assembly for Clothes Drying Rac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029U (en) * 1974-07-05 1976-01-24
JPS6118798U (en) * 1984-07-10 1986-02-03 睦子 鈴木 clothes drying device
KR200142392Y1 (en) * 1996-09-06 1999-06-01 송진오 Stand of drying the laundry in holding type
KR20160112205A (en) * 2015-03-18 2016-09-28 이안제 Clothes horse drying rods spacing and angle adjustment a drier
KR102147350B1 (en) * 2020-06-19 2020-08-24 김문영 Dry hanger for laund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325A (en) * 2021-11-01 2023-05-09 (주)애드원리빙 Self-Assembly Clothes Drying Rack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KR102614460B1 (en) * 2021-11-01 2023-12-15 (주)애드원리빙 Self-Assembly Clothes Drying Rack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6474085U (en) 2022-05-10
CN216474086U (en) 2022-05-10
KR102292958B1 (en)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959B1 (en) Self-Assembly Clothes Drying Rack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US8091160B2 (en) Foldable bed frame
US7784631B2 (en) Panel/gate interconnection means for a collapsible materials handling container
US20160302582A1 (en) Bed frame connector
US20170291677A1 (en) Folding heavy-lift unmanned aerial vehicle frame
CN107323651B (en) Arm subassembly, fram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6892503B1 (en) Long span canopy frame connectors
KR102356101B1 (en) Self-Assembly Clothes Drying Rack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US8925999B2 (en) Fairing mounting system
US20160206110A1 (en) Foldable bed framework structure
KR102614460B1 (en) Self-Assembly Clothes Drying Rack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DE2535988A1 (en) COLLAPSIBLE STRUCTURE, IN PARTICULAR FOR CHILDREN'S CARS
US6588590B1 (en) Combination storage box
CN213677674U (en) Container with a lid
CN207202594U (en) A kind of Novel display cabinet
JPS62152486A (en) Seat consisting of ski and ski stock
JP4196633B2 (en) Goods conveying tool
US10266096B1 (en) Recreational vehicle with deck
CN210530181U (en) Lock hole type folding hinge for awning
CN206314767U (en) Portable table, stool combination and its folding table, folding stool
CN210988942U (en) Storage cabinet
CN211736293U (en) Foldable operation hanging basket
CN210391893U (en) Multifunctional transportation support
CN215905108U (en) Powder barrel and powder container oscillation blanking device
CN215466074U (en) Fixing buckle with self-locking function on vibrating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