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542B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542B1
KR102292542B1 KR1020200167931A KR20200167931A KR102292542B1 KR 102292542 B1 KR102292542 B1 KR 102292542B1 KR 1020200167931 A KR1020200167931 A KR 1020200167931A KR 20200167931 A KR20200167931 A KR 20200167931A KR 102292542 B1 KR102292542 B1 KR 102292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leveler
lower reinforcing
precast
bas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542B9 (ko
Inventor
송재혁
Original Assignee
송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혁 filed Critical 송재혁
Priority to KR1020200167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542B1/ko
Publication of KR10229254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54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215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omprising metallic plates or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는 상부 프리캐스트에 구비되는 상부 철근; 상기 상부 프리캐스트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철근의 단부가 결합되며, 내부에 하부 철근 수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홀더; 하부 프리캐스트에 단부가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단부가 상기 하부 철근 수용부에 삽입되는 하부 철근; 상기 하부 철근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철근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의 지지면에 접촉되는 레벨러; 상기 레벨러에 구비되어 상기 레벨러를 회전시키는 조정부재; 및 상기 하부 철근에 관통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벨러에 접촉되는 고정캡; 을 포함하고, 상기 레벨러의 단부에는 경화제를 하부 철근 수용부로 유동시키는 유동로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coupling for precast concret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철근을 하부 철근에 견고하게 지지시키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는 공장 등 일정 시설에서 기둥, 보, 벽체, 바닥판 등의 건설부재를 철제 거푸집으로 만들어 양생시킨 기성 콘크리트 제품이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공법을 PC공법이라고 하며, 공장에서 일정한 규격 및 강도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가 제작되므로, PC공법 적용 시 공기가 단축되고 시공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장점을 갖는다.
하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이 복수개 배근되며, 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철근을 서로 연결하여, 기둥, 보, 벽체, 바닥판, 옹벽 등을 제작한다.
도 1은 일정 규격으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연결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 프리캐스트(PC1)에는 슬리브(SV)가 구비되고,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내부에 구비된 상부 철근(10)에 슬리브(SV)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하부 프리캐스트(PC2)의 내부에는 하부 철근(20)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결합하는데, 슬리브(SV)에 하부 철근(20)을 삽입하고, 슬리브(SV)가 하부 철근(20)에 지지되게 한 상태에서,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 사이에 몰타르(M)(mortar)를 충진시켜 프리캐스트 벽체를 제작한다. 이 경우, 몰타르(M)가 경화되는데 3주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며, 몰타르(M)의 경화가 완료되면 프리캐스트 벽체가 완성된다.
이때, 슬리브(SV)의 충진구(SV2)를 통해 슬리브(SV) 내부로 몰타르(M)가 충진되는데, 슬리브(SV)에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벤트홀(SV1)이 형성되어 있으나 내부의 공기가 벤트홀(SV1)로 완전히 배출되지 않아, 슬리브(SV) 내부에 몰타르(M)가 완전히 충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프리캐스트 벽체의 결합강도가 저하되어 내구연한이 감소되며, 향후 붕괴 등의 안전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아, 하부 프리캐스트(PC2) 제작 시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배치된 일부 하부 철근(20)들의 단부(21)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하부 철근(20)을 일정 길이로 절단 시 절단력에 의해 하부 철근(20)의 단부(21)가 만곡되기도 한다.
이때,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하부 프리캐스트(PC2)를 결합 시, 일부 하부 철근(20)의 경우 상부 철근(10)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는데,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하중이 슬리브(SV)에 이격된 하부 철근(20)을 제외한 나머지 하부 철근(20)에 전달되어, 나머지 하부 철근(20)들의 허용하중을 초과하기도 하므로 프리캐스트 벽체의 내구연한을 감소시키고 붕괴 등의 사고를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이 동축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철근(20)이 슬리브(SV)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아, 현장에서 하부 철근(20)을 일부러 만곡시켜 슬리브(SV)에 삽입시키기도 하므로, 공기가 지연되며 현장의 시공성도 감소된다.
따라서, 하부 철근(20)의 단부(21)의 위치 및 형상에 상관없이 상부 철근(10)을 하부 철근(20)에 견고하게 지지시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내구연한을 보존하고,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의 일치 여부에 상관없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부 철근을 하부 철근에 견고하게 지지시키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상부 프리캐스트에 구비되는 상부 철근; 상기 상부 프리캐스트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철근의 단부가 결합되며, 내부에 하부 철근 수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홀더; 하부 프리캐스트에 단부가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단부가 상기 하부 철근 수용부에 삽입되는 하부 철근; 상기 하부 철근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철근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의 지지면에 접촉되는 레벨러; 상기 레벨러에 구비되어 상기 레벨러를 회전시키는 조정부재; 및 상기 하부 철근에 관통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벨러에 접촉되는 고정캡; 을 포함하고, 상기 레벨러의 단부에는 경화제를 하부 철근 수용부로 유동시키는 유동로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벨러의 외주면은 상기 베이스 홀더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제1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캡은 상기 조정부재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고정캡과 상기 조정부재 사이에 제3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로는 상기 제3갭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제가 상기 유동로를 통해 상기 제1갭에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레벨러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베이스 홀더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벨러가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면, 상기 조정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레벨러를 상기 지지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에 따르면 각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구비된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되므로, 각 레벨러(H)가 각 지지면(30c)에 모두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철근(10)의 하중이 레벨러(40)를 통해 하부 철근(20)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상부 철근(10)이 하부 철근(20)에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상부 프리캐스트(PC1)가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이 상이한 경우라도 제1갭(G1) 및 제2갭(G2)의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수평방향으로 유동시켜 하부 철근(20)의 단부(21)를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하면 되므로, 하부 철근(20)을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시키기 위해 현장에서 하부 철근(20)을 추가적으로 만곡시키는 등의 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시공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연결하여 벽체를 시공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러(40) 및 조정부재(5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가 대향된 상태도이다.
도 7은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고정캡(60)이 조립된 상태도이다.
도 8은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레벨러(40)가 조립된 상태도이다.
도 9는 레벨러(40)가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된 상태도이다.
도 10은 조정부재(50)를 회전시켜 레벨러(40)를 지지면(30c)에 접촉시키는 상태도이다.
도 11은 고정캡(60)을 베이스 홀더(30)에 결합시키는 상태도이다.
도 12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 사이에 경화제(M)를 충진시키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의 결합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벨러(40) 및 조정부재(50)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구비되는 상부 철근(10), 상기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철근(10)의 단부(12)가 결합되며, 내부에 하부 철근 수용부(32)가 형성되는 베이스 홀더(30),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단부(21)가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단부(21)가 상기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되는 하부 철근(20), 상기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수용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에 접촉되는 레벨러(40), 상기 레벨러(40)에 구비되어 상기 레벨러(40)를 회전시키는 조정부재(50), 및 상기 하부 철근(20)에 관통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30)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벨러(40)에 접촉되는 고정캡(60)을 포함한다.
상부 철근(10)은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구비된다. 상부 프리캐스트(PC1)는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PC공법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실시될 수 있다. 상부 프리캐스트(PC1)는 기둥, 보, 벽체, 바닥판, 옹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실시될 수 있다.
상부 철근(10)은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내부에 복수개가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철근(10)은 외주면에 리브(rib)가 형성된 이형철근(deformed bar)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부 철근(10)의 양측 단부(11, 12)는 전조가공되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철근(10)의 타측 단부(12)는 후술하는 베이스 홀더(30)가 결합된다. 상부 철근(10)의 일측 단부(11)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홀더(30)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구비된다. 베이스 홀더(30)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인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홀더(30)에는 상부 철근(10)의 단부(12)가 결합된다. 이 경우, 상부 철근(10)의 단부(1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베이스 홀더(30)가 상부 철근(10)의 단부(1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홀더(30)에는 내부에 하부 철근 수용부(32)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베이스 홀더(30)의 내주면(30a) 및 지지면(30c)이 하부 철근 수용부(32)를 형성한다. 상부 철근(10)의 단부(12)는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까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홀더(30)의 내주면(30a)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철근 수용부(32)에는 후술하는 하부 철근(20)이 삽입된다. 하부 철근 수용부(32)에는 하부 철근(20)의 단부(21)가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 홀더(30)의 일측에는 벤트홀(30h)이 형성될 수 있다. 벤트홀(30h)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벤트홀(30h)은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연결된다. 벤트홀(30h)은, 후술하는 경화제(M)가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충진 시,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유동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 경우, 벤트홀(30h)은 상부 프리캐스트(PC1) 또는 하부 프리캐스트(PC1)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중공 파이프(P)에 연결될 수 있다. 중공 파이프(P)는 상부 프리캐스트(PC1) 또는 하부 프리캐스트(PC2)의 전후면 또는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 이하에는 중공 파이프(P)가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중공 파이프(P)의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철근(20)은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구비된다. 하부 프리캐스트(PC2)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하부 철근(20)은 하부 프리캐스트(PC2)의 내부에 복수개가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철근(20)은 외주면에 리브(rib)가 형성된 이형철근(deformed bar)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하부 철근(20)의 단부(21)는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노출되게 구비된다. 하부 철근(20)의 단부(21)는 전조가공되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철근(20)의 단부(21)는 베이스 홀더(30)의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된다. 이때,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이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이 동축 상에서 벗어나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는 동일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상부 철근(10)은 양측 단부(11, 12)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 철근(10)의 타측 단부(12)는 베이스 홀더(30)가 결합되고, 상부 철근(10)의 일측 단부(11)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철근(10)의 일측 단부(11)는 하부 철근(20)의 일측 단부(21)와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하나의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다른 하나의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하부에 적층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철근(10)의 일측 단부(11)는 다른 하나의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베이스 홀더(30)에 형성된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될 수 있다.
레벨러(40)는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결합된다. 레벨러(40)는 하부 철근(20)에 관통될 수 있다. 레벨러(40)는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벨러(40)의 내주면(40a)에는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벨러(40)가 회전되면, 레벨러(40)는 하부 철근(20)의 단부(21)를 따라 상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다.
레벨러(40)는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수용된다. 레벨러(40)가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수용되면, 레벨러(40)는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에 접촉된다. 이때, 레벨러(40)의 일측 단부(41)가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하중이 레벨러(40)로 전달되어, 하부 철근(20)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레벨러(40)의 외주면(40b)은 베이스 홀더(30)의 내주면(30a)과 이격된다. 레벨러(40)의 외주면(40b)은 베이스 홀더(30)의 내주면(30a)과 이격되어, 제1갭(G1)을 형성한다. 제1갭(G1)은 여유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레벨러(40)는 제1갭(G1)의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 사이에 경화제(M)가 충진될 수 있다. 경화제(M)는 경화 후에도 수축되지 않는 비수축 몰타르(mortar)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제1갭(G1)에는 경화제(M)가 충진될 수 있다. 경화제(M)는 후술하는 유동로(43)를 통해 제1갭(G1)에 충진될 수 있다. 경화제(M)가 제1갭(G1)에 충진되어 경화되면, 레벨러(40)가 베이스 홀더(3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 홀더(30) 및 레벨러(40)에 인장력이 작용 시 레벨러(40)가 베이스 홀더(3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충분한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레벨러(40)의 일측 단부(41)는 상술한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에 접촉된다. 레벨러(40)의 타측 단부(42)는 후술하는 고정캡(60)의 일측 단부(61)에 접촉된다.
레벨러(40)가 회전되면, 레벨러(40)는 상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구비된 각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레벨러(40)의 일측 단부(41)의 연장선이 일정선(H) 상에 배치되어 수평선을 형성할 수 있다.
레벨러(40)의 단부에는 유동로(43)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유동로(43)는 레벨러(40)의 단부(42)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동로(43)는 레벨러(40)의 타측 단부(42)에 형성될 수 있다. 유동로(43)는 단면이 U자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유동로(43)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유동로(43)는 후술하는 경화제(M)를 하부 철근 수용부(32)로 유동시킨다. 경화제(M)가 상부 프리캐스트(PC1) 및 하부 프리캐스트(PC2) 사이에 충진될 때, 경화제(M)가 유동로(43)로 유동된다. 유동로(43)로 유동된 경화제(M)는 하부 철근 수용부(32)로 유동된다.
여기서, 경화제(M)는 유동로(43)를 통해 제1갭(G1)에 충진될 수 있다. 이 경우, 경화제(M)가 제1갭(G1)에 충진된 후 경화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 홀더(30) 및 레벨러(40)에 인장력이 작용 시 레벨러(40)가 베이스 홀더(30)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충분한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갭(G1)에 경화제(M)가 충진되면, 제1갭(G1)에 유동되는 공기가 벤트홀(30h)을 통해 배출된다. 이 경우, 벤트홀(30h)은 중공 파이프(P)에 연결되므로, 제1갭(G1)에 유동된 공기가 중공 파이프(P)를 통해 상부 프리캐스트(PC1) 또는 하부 프리캐스트(PC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에 구비된다.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를 회전시킨다. 즉, 조정부재(50)가 회전되면, 조정부재(50)가 레벨러(40)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레벨러(40)는 하부 철근(20)의 단부(2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정부재(50)가 레벨러(40)와 일체로 형성되면,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에 포함될 수 있다.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와 별도 구성요소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조정부재(50)는 베이스 홀더(30)로부터 노출되게 배치된다. 조정부재(50)는 베이스 홀더(30)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베이스 홀더(30)로부터 노출된다. 즉, 레벨러(40)가 베이스 홀더(30)의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수용되어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에 접촉되면, 조정부재(50)는 베이스 홀더(30)로부터 노출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조정부재(50)는 하부 철근 수용부(32)로부터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조정부재(50)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작업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베이스 홀더(30)로부터 노출된 조정부재(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조정부재(50)가 회전되면,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를 회전시킨다. 레벨러(40)가 회전되면, 레벨러(40)는 하부 철근(20)의 단부(21)를 따라 상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다.
조정부재(50)가 회전되어 레벨러(40)를 회전시키면, 레벨러(40)는 상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구비된 각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레벨러(40)의 일측 단부(41)의 연장선이 일정선(H) 상에 배치되어 수평선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캡(60)은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구비된다. 이 경우, 고정캡(60)은 하부 철근(20)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캡(60)은 베이스 홀더(30)의 단부(31)에 결합된다. 이때, 베이스 홀더(30)의 내주면(30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캡(60)의 외주면(60b)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캡(60)의 외주면(60b)은 베이스 홀더(30)의 내주면(30a)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고정캡(60)이 베이스 홀더(30)의 단부(31)에 결합되면, 고정캡(60)은 레벨러(40)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벨러(40)의 타측 단부(42)가 고정캡(60)의 일측 단부(61)에 접촉된다.
고정캡(60)이 베이스 홀더(30)의 단부(31)에 결합되면, 고정캡(60)의 내주면(60a)은 하부 철근(20)의 외주면과 이격된다. 이 경우, 고정캡(60)의 내주면(60a)은 하부 철근(20)의 외주면과 제2갭(G2)을 형성한다.
제2갭(G2)은 하부 철근(20)이 수평방향으로 유동 시 하부 철근(20)이 유동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제2갭(G2)에는 후술하는 경화제(M)가 충진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조정부재(50)는 고정캡(60)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고정캡(60)이 베이스 홀더(30)의 단부에 결합되면, 조정부재(50)는 고정캡(60)을 관통한다. 이 경우, 고정캡(60)은 조정부재(5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조정부재(50)는 고정캡(60)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고정캡(60)이 베이스 홀더(30)의 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정부재(50)가 고정캡(60)으로부터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조정부재(50)의 길이는 고정캡(6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것과 같이, 고정캡(60)이 베이스 홀더(30)에 결합된 이후에도, 조정부재(50)를 회전시켜 레벨러(40)를 지지면(30c)에 견고하게 접촉시킬 수도 있다.
고정캡(60)이 조정부재(50)와 이격되게 배치되면, 고정캡(60)과 조정부재(50) 사이에 제3갭(G3)이 형성된다. 이때, 유동로(43)는 제3갭(G3)과 연결된다. 이 경우,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 사이에 경화제(M)가 충진될 때, 경화제(M)가 제3갭(G3)으로 유동된 후 유동로(43)로 유동된다. 이에 따라, 유동로(43)로 유동된 경화제(M)가 하부 철근 수용부(32)로 유동되어 제1갭(G1)에 충진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부재(50)는, 상기 레벨러(40)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캡(60)을 관통하며, 상기 하부 철근(20)에 관통되는 중공부(51), 및 상기 중공부(51)의 단부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너트부(52)를 포함한다.
중공부(51)는 레벨러(40)에 구비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중공부(51)는 레벨러(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중공부(51)는 레벨러(40)와 별도 구성요소로 실시될 수 있다.
중공부(51)는 레벨러(40)에 구비된다. 중공부(51)는 레벨러(40)의 타측 단부(42)에 구비될 수 있다. 중공부(51)는 레벨러(40)의 타측 단부(42)로부터 연장되게 구비된다.
중공부(51)는 중심이 중공(hollow)으로 형성된다. 이때, 중공부(51)는 하부 철근(20)에 관통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중공부(51)의 직경은 하부 철근(20)의 직경보타 크게 형성된다.
중공부(51)는 고정캡(60)을 관통한다. 이 경우, 중공부(51)는 고정캡(60)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중공부(51)는 고정캡(60)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공부(51)는 고정캡(60)으로부터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너트부(52)는 중공부(51)의 단부에 형성된다. 너트부(52)는 육각너트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너트부(52)는 중공부(51)의 단부에 돌출 또는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너트부(52)가 중공부(51)의 단부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너트부(52)에는 너트부(52)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가 결합될 수 있다. 너트부(52)가 육각너트로 실시되는 경우, 작업자가 스패너를 너트부(52)에 결합시켜, 너트부(5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너트부(52)가 회전되면 중공부(51)가 회전되어, 레벨러(4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가 대향된 상태도이고, 도 7은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고정캡(60)이 조립된 상태도이고, 도 8은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레벨러(40)가 조립된 상태도이고, 도 9는 레벨러(40)가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된 상태도이고, 도 10은 조정부재(50)를 회전시켜 레벨러(40)를 지지면(30c)에 접촉시키는 상태도이고, 도 11은 고정캡(60)을 베이스 홀더(30)에 결합시키는 상태도이고, 도 12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 사이에 경화제(M)를 충진시키는 상태도이다.
먼저, 도 6과 같이,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제작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부 프리캐스트(PC1)에는 상부 철근(10)이 구비되고, 상부 철근(10)은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내부에 복수개가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철근(10)은 상술한 베이스 홀더(30)에 결합된다. 베이스 홀더(30)에는 상부 철근(10)의 단부(12)가 결합된다. 베이스 홀더(30)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단부(12)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중공 파이프(P)를 삽입할 수 있다. 중공 파이프(P)는 일측이 외부에 노출되고, 타측이 벤트홀(30h)에 접촉된다. 이 경우, 하부 철근 수용부(32)의 공기가 벤트홀(30h) 및 중공 파이프(P)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중공 파이프(P)는 상부 프리캐스트(PC1) 또는 하부 프리캐스트(PC2)의 전후면 또는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 이하에는 중공 파이프(P)가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중공 파이프(P)의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하부 프리캐스트(PC2)를 제작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하부 프리캐스트(PC2)에는 하부 철근(20)이 구비되고, 하부 철근(20)은 하부 프리캐스트(PC2)의 내부에 복수개가 수평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철근(20)의 단부(21)는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는 도 6과 같이,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상부 철근(10)은 양측 단부(11, 12)에 나사산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부 철근(10)의 타측 단부(12)에는 베이스 홀더(30)를 결합시키고, 상부 철근(10)의 일측 단부(11)는 상부 프리캐스트(PC1)에 노출되게 배치시킨다.
이 경우, 상부 철근(10)의 일측 단부(11)는 하부 철근(20)의 일측 단부(21)와 동일하게 실시되어, 어느 하나의 상부 프리캐스트(PC1)는 상부 프리캐스트(PC1)로, 다른 하나의 상부 프리캐스트(PC1)는 하부 프리캐스트(PC2)로 실시될 수 있다.
상부 프리캐스트(PC1) 및 하부 프리캐스트(PC2)의 제작이 완료되면, 도 6과 같이, 하부 프리캐스트(PC2)에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대향시킨다.
여기서, 하부 프리캐스트(PC2)를 제작할 때 하부 거푸집 내에 배치된 각 하부 철근(20)의 길이 차이, 하부 철근(20)의 배치 위치 등에 따라 각 하부 철근(20)의 단부(21)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라, 일부 하부 철근(20)의 단부(21)는 나머지 하부 철근(20)의 단부(21)가 형성하는 일정선(H)과 일정간격(D)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이 동축 상에 위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일부 하부 철근(20)의 단부(21)가 만곡된 상태로 제작되어, 중심축이 동축 상에서 벗어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 철근(20)이 상부 철근(10)에 접촉되지 않아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하중이 하부 철근(20)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후, 도 7과 같이,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고정캡(60)이 관통되게 배치시킨다. 이 경우, 고정캡(60)의 내주면(60a)은 하부 철근(20)의 외주면과 제2갭(G2)을 형성한다. 제2갭(G2)에는 후술하는 경화제(M)가 충진될 수 있다.
이후, 도 8과 같이,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레벨러(40)를 결합시킨다. 레벨러(40)는 하부 철근(20)의 단부(21)와 나사 결합된다. 이 경우, 레벨러(40)를 회전시키면, 레벨러(40)가 하부 철근(20)의 단부(2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레벨러(40)를 회전시켜 레벨러(40)를 일정선(H) 상에 배치시킨다. 즉, 상술한 것과 같이, 각 하부 철근(20)의 단부(21)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되지 않거나,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이 동축 상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철근(20)의 단부(21)에 결합된 레벨러(40)를 회전시켜, 레벨러(40)를 일정선(H)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시킨다. 이때, 하부 철근(20)에서 연장된 레벨러(40)가 일정한 수평선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 홀더(30)의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레벨러(40)를 삽입 시, 각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위치되므로, 각 레벨러(40)가 각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에 접촉될 수 있게 되고, 레벨러(40)를 통해 상부 철근(10)의 하중이 균일하게 하부 철근(20)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레벨러(40) 중 일부의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작업환경 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일부의 레벨러(40)는 일정선(H) 상에 배치시키고, 나머지 일부의 레벨러(40)는 일정선(H) 상에 배치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일정선(H) 상에 배치되지 않은 일부의 레벨러(40)는 베이스 홀더(30)와 상하방향으로 결합공차(C)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레벨러(40)가 베이스 홀더(3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공차(C)를 형성하는 레벨러(40)는 일정선(H)으로부터 일정 간격(2~3mm)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베이스 홀더(30)에 삽입된 각 레벨러(40) 중 결합공차(C)를 형성하는 레벨러(40)는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에 접촉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후, 도 9와 같이,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베이스 홀더(30)에 하부 프리캐스트(PC2)의 레벨러(40)를 삽입한다. 베이스 홀더(30)에 레벨러(40)를 삽입 시 레벨러(40)는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수용된다.
이때, 각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위치되므로, 각 레벨러(40)가 지지면(30c)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프리캐스트(PC1)의 하중이 레벨러(40)로 전달되어, 하부 철근(20)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것과 같이,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과 결합공차(C)를 형성하는 일부의 레벨러(40)가 일정선(H)으로부터 일정 간격(2~3mm)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공차(C)에 의해 복수개의 레벨러(40)가 용이하게 베이스 홀더(3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각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위치되고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이 동축 상에 배치되면, 상부 철근(10)의 하중을 하부 철근(20)이 완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각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위치되는 경우라도,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이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과 동축 상에 배치되지 않고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일부 레벨러(40)가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도 9와 같이,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수평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시켜, 각 하부 철근 수용부(32)를 각 레벨러(40)에 대향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이, 레벨러(40)의 외주면(40b)은 베이스 홀더(30)의 외주면(30b)과 이격되어 제1갭(G1)을 형성하여, 레벨러(40)가 제1갭(G1)의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으므로, 제1갭(G1)의 범위만큼 결합여유가 생겨, 각 레벨러(40)를 각 베이스 홀더(3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하부 철근 수용부(32) 내에서 레벨러(4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므로, 하부 철근(20)이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데, 하부 철근(20)은 제2갭(G2)이 형성하는 여유공간에 의해 제1갭(G1) 및 제2갭(G2) 중에서 작은 크기만큼 유동될 수 있다.
즉, 제1갭(G1)이 제2갭(G2) 보다 작은 경우 하부 철근(20)의 단부(21)는 제1갭(G1)의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유동되고, 제1갭(G1)이 제2갭(G2) 보다 큰 경우 하부 철근(20)의 단부(21)는 제2갭(G2)의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각 레벨러(40)가 일정선(H) 상에 위치되는 경우라도,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이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과 동축 상에 배치되지 않고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일부 레벨러(40)가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수평방향으로 미세하게 유동시켜 각 하부 철근 수용부(32)를 각 레벨러(40)에 대향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레벨러(40)가 제1갭(G1)의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으므로, 제1갭(G1)이 형성하는 여유공간만큼 결합여유가 생겨, 각 레벨러(40)를 각 베이스 홀더(3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레벨러(40)가 지지면(30c)에 견고하게 접촉되므로 각 레벨러(40)로 상부 철근(10)의 하중이 전달되고, 전달된 하중이 레벨러(40)를 통해 하부 철근(20)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상부 철근(10)이 하부 철근(2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철근(10)의 중심축(C1)과 하부 철근(20)의 중심축(C2)이 상이한 경우라도 제1갭(G1) 및 제2갭(G2)의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 프리캐스트(PC1)를 수평방향으로 유동시켜 하부 철근(20)의 단부(21)를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하면 되므로, 하부 철근(20)을 하부 철근 수용부(32)에 삽입시키기 위해 현장에서 하부 철근(20)을 추가적으로 만곡시키는 등의 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시공성이 향상된다.
이후, 도 10과 같이, 작업자가 복수개의 조정부재(50) 중 일부의 조정부재(50)를 회전시킨다. 상술한 것과 같이, 일부의 레벨러(40)가 결합공차(C)를 형성하여, 레벨러(40)가 지지면(30c)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면, 작업자가 조정부재(50)를 회전시켜 레벨러(40)를 지지면(30c)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때, 조정부재(50)는 베이스 홀더(30)로부터 노출되게 배치되므로, 조정부재(50)가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의 틈새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너트부(52)를 작업공구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노출된 조정부재(50)를 회전시켜 레벨러(4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조정부재(50)가 회전되면, 조정부재(50)는 레벨러(40)를 회전시켜 레벨러(40)를 지지면(30c)에 접촉시킨다. 이 경우, 베이스 홀더(30)의 지지면(30c)에 레벨러(40)가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에 따라, 각 레벨러(40)로 상부 철근(10)의 하중이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하부 철근(20)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상부 철근(10)이 하부 철근(20)에 견고하게 지지되고, 시공성이 향상된다.
이후, 도 11과 같이, 고정캡(60)을 베이스 홀더(30)에 결합시킨다. 고정캡(60)은 베이스 홀더(30)의 단부(3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고정캡(60)이 베이스 홀더(30)의 단부(31)에 결합되면, 고정캡(60)은 레벨러(40)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벨러(40)가 고정캡(6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에는 인장력이 작용될 수 있다. 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휨, 굽힘 등에 따른 힘이 작용하는 경우, 상부 철근(10)과 하부 철근(20)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부 철근(10)은 상방향으로, 하부 철근(20)은 하방향으로 각각 힘이 작용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에 인장력이 작용된다.
이 경우, 고정캡(60)이 레벨러(40)를 지지한다. 상부 철근(10)과 하부 철근(20)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할 때, 이에 따라, 인장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고정캡(60)이 레벨러(40)를 지지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조정부재(50)는 고정캡(60)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조정부재(50)가 고정캡(60)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캡(60)이 결합된 이후에도, 조정부재(50)를 회전시켜, 느슨하게 접촉된 레벨러(40)를 지지면(30c)에 견고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이후, 고정캡(60)을 추가적으로 회전시켜, 베이스 홀더(30)에 고정캡(60)을 견고하게 결합시킴에 따라, 고정캡(60)이 레벨러(4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12와 같이,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 사이에 경화제(M)(mortar)를 충진시킨다. 경화제(M)는 제2갭(G2)에 충진될 수 있다. 경화제(M)가 경화되면 상부 프리캐스트(PC1)와 하부 프리캐스트(PC2) 사이의 이격공간이 완전히 충진된다.
이때, 경화제(M)는 제3갭(G3)으로 유동된다. 제3갭(G3)으로 유동된 경화제(M)는 유동로(43)로 유동된다. 유동로(43)로 유동된 경화제(M)는 유동로(43)를 통해 하부 철근 수용부(32)로 유동되어, 제1갭(G1)에 충진된다. 이에 따라, 경화제(M)가 제1갭(G1)에 충진되어 경화되므로, 레벨러(40)가 베이스 홀더(3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인장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갭(G1)에 경화제(M)가 충진되면, 제1갭(G1)에 유동되는 공기가 벤트홀(30h)을 통해 배출된다. 이 경우, 벤트홀(30h)은 중공 파이프(P)에 연결되므로, 제1갭(G1)에 유동된 공기가 중공 파이프(P)를 통해 상부 프리캐스트(PC1) 또는 하부 프리캐스트(PC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갭(G2)에 경화제(M)가 충진되어 경화되면 하부 철근(20)의 단부(21)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도 12와 같이 완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가 제작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상부 철근 20 : 하부 철근
30 : 베이스 홀더 40 : 레벨러

Claims (8)

  1. 상부 프리캐스트에 구비되는 상부 철근; 상기 상부 프리캐스트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철근의 단부가 결합되며, 내부에 하부 철근 수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홀더; 하부 프리캐스트에 단부가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단부가 상기 하부 철근 수용부에 삽입되는 하부 철근; 상기 하부 철근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철근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의 지지면에 접촉되는 레벨러; 상기 레벨러에 구비되어 상기 레벨러를 회전시키는 조정부재; 및 상기 하부 철근에 관통되며, 상기 베이스 홀더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벨러에 접촉되는 고정캡; 을 포함하고,
    상기 레벨러의 단부에는 경화제를 상기 하부 철근 수용부로 유동시키는 유동로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레벨러의 외주면은 상기 베이스 홀더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제1갭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캡은 상기 조정부재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고정캡과 상기 조정부재 사이에 제3갭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로는 상기 제3갭과 연결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가 상기 유동로를 통해 상기 제1갭에 충진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레벨러에 일체로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베이스 홀더로부터 노출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가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면, 상기 조정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레벨러를 상기 지지면에 접촉시키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KR1020200167931A 2020-12-04 2020-12-0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KR102292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931A KR102292542B1 (ko) 2020-12-04 2020-12-0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931A KR102292542B1 (ko) 2020-12-04 2020-12-0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542B1 true KR102292542B1 (ko) 2021-08-20
KR102292542B9 KR102292542B9 (ko) 2022-03-11

Family

ID=77466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931A KR102292542B1 (ko) 2020-12-04 2020-12-0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5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354B1 (ko) * 2018-03-14 2018-10-11 이동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의 나사형 철근 연결용 커플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 연결 방법
KR102024341B1 (ko) * 2018-06-21 2019-09-23 유병훈 콘크리트부재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354B1 (ko) * 2018-03-14 2018-10-11 이동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의 나사형 철근 연결용 커플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 연결 방법
KR102024341B1 (ko) * 2018-06-21 2019-09-23 유병훈 콘크리트부재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542B9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242B1 (ko) 가변형 보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JP2016153571A (ja) 免震装置設置構造
KR10229254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KR20100089645A (ko) 링너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서포트
KR10248292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KR101500066B1 (ko) 콘크리트 케이지를 포함하는 연결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강관말뚝과 강재기둥의 연결부의 휨강도를 보강하는 시공방법
KR10226869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KR101124820B1 (ko)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KR10226869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방법
KR102483543B1 (ko) 제진대용 콘크리트 패드
KR20060037137A (ko) 건축용 서포트의 간격유지장치
KR101673907B1 (ko) 건축물 슬라브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KR101806000B1 (ko) 서포트 길이 연장용 익스텐더
KR200487674Y1 (ko) 서포트용 렌치
KR10221379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KR10221380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방법
CN110656782A (zh) 一种地脚螺栓固定装置及地脚螺栓固定施工方法
JP5080343B2 (ja) 梁調整治具なら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梁調整治具用構成部材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KR101578524B1 (ko) 종횡 철근의 위치 변경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스페이서
JP7049913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接合構造体の施工方法
KR10251421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
CN220868596U (zh) 一种钢筋预埋固定装置
KR20100078557A (ko) 공작기계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작기계 기초 공사 방법
KR10265382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평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