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042B1 -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 - Google Patents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042B1
KR102292042B1 KR1020210040352A KR20210040352A KR102292042B1 KR 102292042 B1 KR102292042 B1 KR 102292042B1 KR 1020210040352 A KR1020210040352 A KR 1020210040352A KR 20210040352 A KR20210040352 A KR 20210040352A KR 102292042 B1 KR102292042 B1 KR 102292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gle phase
plate
phase
fitting groove
tob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미선
Original Assignee
윤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미선 filed Critical 윤미선
Priority to KR1020210040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상 및 상기 단상의 상측에 하나 이상 적층되어 구성된 계상을 포함하는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기초부; 상기 기초부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단상이 지지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단상 또는 계상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내검기; 및 상기 플레이트와 내검기가 탈부착되도록 하는 탈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BEEHIVE WITH ROTARY TYPE INTERNAL INSP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상과 상기 단상의 상측에 하나 이상 적층되는 계상으로 이루어진 토봉에서 단상 또는 계상을 젖혀 내검이 요구되는 공간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공간의 여왕벌 유무, 산란상태, 병해충 발생유무, 봉군의 분봉열, 강군 여부, 화분반입, 육아상황, 소비점검 등의 내검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장에서는 좁은 공간에 많은 벌통을 설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양봉작업의 용이한 관리가 편리하도록 단상과 계상으로 이루어진 벌통을 적층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단상은 산란 육아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단상의 상측에 적층되는 계상은 꿀을 저장하는 저밀방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단상과 계상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 벌통은 여왕벌 유무, 산란상태, 병해충 발생유무, 봉군의 분봉열, 강군 여부, 화분반입, 육아상황, 소비점검 등의 내검이 이루어져야 꿀 생산량이 증가되기 때문에 내검 작업은 필수 작업 공정이다. 특히, 바닥에 찌꺼기가 오래되고, 내부가 깨끗하게 관리되지 않으면 누리가 생기기 쉽고, 누리가 생기면 구더기가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검을 제때 하지 못하면 일벌의 활동량이 감소되어 벌꿀 수확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양보장의 수익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에는 내검을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내검을 하고자 하는 층의 계상 또는 단상을 들어올려 내검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많은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고, 허리를 쉽게 다칠 수 있다.
또한, 적층된 구조의 벌통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프나 끈 등을 이용하여 보강하거나 상단에 돌과 같은 중량물을 올려놓지만, 이는 견고하기 않아 벌통이 쓰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53654(2014.01.1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상과 상기 단상의 상측에 하나 이상 적층되는 계상으로 이루어진 토봉에서 단상 또는 계상을 젖혀 내검이 요구되는 공간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공간의 여왕벌 유무, 산란상태, 병해충 발생유무, 봉군의 분봉열, 강군 여부, 화분반입, 육아상황, 소비점검 등의 내검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은 단상 및 단상의 상측에 하나 이상 적층되어 구성된 계상을 포함하는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기초부; 기초부의 상측에 구비되며, 단상이 지지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단상 또는 계상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내검기; 및 플레이트와 내검기가 탈부착되도록 하는 탈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단상과 상기 단상의 상측에 하나 이상 적층되는 계상으로 이루어진 토봉에서 단상 또는 계상을 젖혀 내검이 요구되는 공간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적음 힘으로도 내검을 실시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되, 상기 중공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유체, 모레, 돌 등의 중량물을 적재하여 토봉 자체의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단상과 하나 이상의 계상이 상측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더라도 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상의 하측에 그물망 형태의 망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망부재가 구비되는 관통홀을 차단하는 수평차단부재에 의해 상기 관통홀이 선택적으로 개구되도록 조절하여 원활한 양봉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검시 단상 또는 계상이 지지되는 내검기에 연장부 결합이 가능함으로써, 서로 다른 개수의 계상이 적층되어 토봉의 높이가 서로 다르더라도 모든 토봉의 내검 실시가 용이한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단상과 계상이 적층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단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수직끼움홈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수평끼움홈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수평끼움홈이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기초부 및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가이드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결속부재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내검기를 나타낸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세로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가로대를 나타낸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탈부착부를 나타낸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탈부착부의 체결부재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탈부착부에 의해 플레이트와 내검기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지지부가 내검기의 가로대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내검이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연장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내검기와 연장부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은 단상(100)과 상기 단상(100)의 상측에 하나 이상 적층되는 계상(200)으로 이루어진 토봉에서 단상(100) 또는 계상(200)을 젖혀 내검이 요구되는 공간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공간의 여왕벌 유무, 산란상태, 병해충 발생유무, 봉군의 분봉열, 강군 여부, 화분반입, 육아상황, 소비점검 등의 내검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은 단상(100)과 하나 이상의 계상(200)이 적층되어 구성된 토봉의 내검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단상(100), 계상(200), 기초부(300), 플레이트(400), 내검기(500), 탈부착부(600) 및 지지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은 단상(100) 또는 계상(200)을 고정시키는 내검기(500)가 상기 플레이트(400)로부터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단상(100)과 계상(200) 사이의 공간 또는 다수 개의 계상(200) 사이사이의 공간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편리하고 쉽게 내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단상과 계상이 적층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단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수직끼움홈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수평끼움홈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수평끼움홈이 형성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단상(100)과 계상(200)은 벌들의 산란과 꿀의 저장 등 벌통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플레이트(400)의 상측에 단상(100)이 구비되고, 상기 단상(100) 상측으로 하나 이상의 계상(200)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단상(100)과 계상(200)은 내부 공간에 중공부가 형성되되, 단상(100)은 1층에 위치하여 산란 육아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계상(200)은 꿀을 저장하는 저밀방으로 사용된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계상(200)의 적층되는 개수를 조절하여 증가시키면, 꿀의 저장되는 공간이 확장됨으로써, 많은 양의 꿀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상(100)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단상은 후술되는 플레이트(40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몸체(110), 관통홀(120) 및 정면개구홀(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10)는 단상(100)의 케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벌들의 출입 뿐만 아니라 토봉의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몸체(11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을 갖는 육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통홀(120)은 몸체(110)의 상측과 하측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120)은 단상(1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중공부가 상,하측으로 연통되도록 한다.
이때, 관통홀(12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측에 그물망 형태의 망부재(121)가 구비될 수 있다.
망부재(121)는 관통홀(120)에 의해 상,하측으로 관통된 형태의 단상(100)이 상측을 개구되어 계상(2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되, 하측에 구비됨으로써, 토봉 내부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의 일부가 그물망 형태의 망부재(121)를 통과하여 상기 망부재(121) 하측 공간인 외부로 배출되고, 벌들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나아가, 단상(100)이나 계상(2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이물질 중 나머지 일부가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망부재(121)를 청소하는 과정만으로도 토봉을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정면개구홀(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정면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관통홀(120)과 정면개구홀(130)은 단상(100)의 내부 공간이 상측과 하측 및 정면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몸체(11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면이 개구된 형태의 정면개구홀(130)을 차단하는 수직끼움홈(111) 및 수직차단부재(112)가 구비될 수 있다.
수직끼움홈(111)은 몸체(110)의 내부 공간 내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으로 장축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된다.
수직차단부재(112)는 수직끼움홈(111)에 끼워져 정면개구홀(130)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수직차단부재(112)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수직끼움홈(111)에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손잡이가 외주면에 구비되거나 또는 수직차단부재(112)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직끼움홈(111)은 단상(100)의 정면측에 형성되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상(100)의 상측에 적층되는 계상(200) 보다 정면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수직차단부재(112)에 끼워져 정면개구홀(130)을 차단하는 수직차단부재(112)가 계상(200)의 정면측에 노출되기 때문에 단상(100)의 상측에 계상(200)이 적층된 이후에도 수직차단부재(112)를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11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하측으로 개구된 형태의 관통홀(120) 하측을 차단하는 수평끼움홈(113) 및 수평차단부재(114)가 구비될 수 있다.
수평끼움홈(113)은 몸체(110)의 내부 공간 내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과 배면측으로 장축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된다.
수평차단부재(114)는 수평끼움홈(113)에 끼워져 관통홀(120)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수평차단부재(114)는 수직차단부재(112)에 별도로 구성된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수평끼움홈(113)의 일단은 단상(100)의 정면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져 수평차단부재(114)가 몸체(110)의 정면으로 탈부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끼움홈(11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하측에 형성되되, 관통홀(120)에 형성되는 망부재(12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수평끼움홈(113)에 수평차단부재(114)가 탈부착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망부재(121)를 차단하거나 또는 관통홀(120)과 연통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관통홀(120)에 구비되는 망부재(121)는 몸체(11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끼움홈(113)이 상측과 하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측에 형성되는 하나의 수평끼움홈(113)에 수평차단부재(114)가 탈부착되도록 하고, 하측에 형성되는 다른 하나의 수평끼움홈(113)에 망부재(121)가 탈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관통홀(120)을 차단하는 수평차단부재(114) 뿐만 아니라 망부재(121)도 선택적으로 탈부착시켜 단상(100)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기초부 및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가이드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기초부(300)는 지면에 구비되며, 후술되는 플레이트(40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초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개구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기초부(300)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통해 토봉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도구 등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으로 활용하거나 또는 기초부(300) 내부 공간에 물, 토사 또는 돌멩이와 같이 중량물을 적재함으로써, 단상(100)과 계상(200)이 상측으로 적재되더라도 쓰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플레이트(400)는 기초부(3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측에 단상(100)이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가이드부재(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플레이트(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지지되는 단상(100)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기초부(300)의 측면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기초부(300)와 결합된다.
이때, 기초부(300)와 플레이트(400)의 결합은 볼트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부재(410)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판 형태의 플레이트(400) 상단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400) 상측에 지지되는 단상(100)의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단상(100)이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단상(100)의 유동을 방지하여 기초부(300)와 플레이트(400)로부터 단상(100) 및 상기 단상(100)의 상측에 적층되는 계상(200)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4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측 단면이 'ㄴ' 형태로 이루어지되, 서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단상(100)의 좌측면과 우측면 각각에 밀착되며, 플레이트(4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400)와 가이드부재(410)의 결합은 볼트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가이드부재(410)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플레이트(400)와 접촉되는 부분에 상,하측으로 관통된 홀(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되되, 상기 홀은 좌,우측으로 길고, 정면과 배면측으로 좁은 긴타원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볼트결합에 의해 플레이트(400)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410)는 홀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좌측과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단상(100)의 좌,우폭이 달라지더라도 한 쌍의 가이드부재(410) 사이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플레이트(400) 상측에 단상(100)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결속부재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플레이트(400)는 상기 플레이트(400) 상측에 적층되는 단상(100) 및 계상(200)이 고정되도록 하는 결속부재(4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속부재(42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깔깔이바(깔깔이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깔깔이바(깔깔이밴드)로 이루어진 결속부재(420)는 한 쌍의 플렉시블한 끈이 플레이트(400)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된 형태로 구비되되, 한 쌍의 끈을 서로 결속하여 조이거나 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결속부재(420)를 이용하여 플레이트(400)의 상측에 적층된 단상(100) 또는 계상(200)을 감싸도록 한 후 조여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상(100)과 계상(200)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결속부재(420)의 양 끝단이 플레이트(400)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연결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결속부재(420)가 기초부(300)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깔깔이바(깔깔이밴드)로 구성된 결속부재(420)의 일단은 기초부(300)의 좌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기초부(300)의 우측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기초부(300)에 결합된 결속부재(420)를 조이면, 기초부(300) 상측에 결합된 플레이트(400)와 상기 플레이트(400)의 상측에 적층된 단상(100) 및 계상(20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내검기를 나타낸 배면측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세로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가로대를 나타낸 배면측 사시도이다.
내검기(500)는 플레이트(4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단상(100) 또는 계상(20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킨 후 회동되어 내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세로대(510) 및 가로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내검기(500)는 회동되는 과정에서 고정된 단상(100) 또는 계상(200)을 젖혀 내검이 요구되는 공간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내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젖히기 위한 단상(100) 또는 계상(20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내검을 실시하기 위한 공간을 선택하여 개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내검기(500)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상(100) 또는 계상(200)이 고정되도록 상기 단상(100)과 계상(200)의 측면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세로대(510)와 한 쌍의 세로대(510)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가로대(5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로대(510)와 가로대(520)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세로대(510)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하측으로 장축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되어 단상(100)과 상기 단상(100)의 상측으로 적층되는 하나 이상의 계상(200)이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기둥벽(511), 측벽(512), 체결공(513) 및 잠금나사(5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세로대(5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 형태의 단면이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지지되는 단상(100)과 계상(200)의 배면과 측면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즉 기둥벽(511)과 측벽(512)은 서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기둥벽(511)은 단상(100) 또는 계상(200)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측벽(512)은 상기 기둥벽(511)의 끝단에 정면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단상(100) 또는 계상(20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하츠긍로 장축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된 측벽(512)은 장축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체결공(5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공(513)에 선택적으로 잠금나사(514)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잠금나사(514)는 노보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체결공(513)에 체결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512)에 지지된 단상(100) 또는 계상(200)의 측면을 가압하여 내검기(500)로부터 단상(100) 또는 계상(200)이 고정되도록 한다.
나아가, 상,하측으로 장축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된 세로대(510)의 체결공(513)에 선택적으로 잠금나사(514)가 체결됨에 따라, 상,하측으로 적재되는 단상(100) 또는 계상(20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킴에 따라, 내검이 요구되는 공간을 용이하게 개방시켜 내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가로대(520)는 도 10에 도싱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세로대(510)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슬라이드홈(521) 및 절개홈(5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가로대(520)는 상,하측으로 장축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된 세로대(510)에 다수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검기(500)의 하단에 구비되는 가로대(520)는 후술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부(600)가 구비되어 내검기(500)가 상기 탈부착부(600)에 의해 플레이트(400)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한다.
슬라이드홈(521)은 가로대(520)의 정면과 배면을 관통하여 세로대(510)와 가로대(520)가 상호 볼트결합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되,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로대(520)의 좌,우측 장축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좌,우측 방향으로 길고, 상,하측 방향으로 좁은 긴타원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세로대(510)는 슬라이드홈(521)을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가로대(520)에 결합이 가능함으로써, 한 쌍의 세로대(5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진 단상(100)과 계상(200)을 안정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절개홈(522)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로대(520)의 중간 부분이 정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지지부(700)가 상기 절개홈(522)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에, 절개홈(522)에 지지부(700)의 일부가 끼워져 고정됨에 따라, 내검기(500)와 지지부(700)가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탈부착부를 나타낸 배면측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탈부착부의 체결부재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탈부착부에 의해 플레이트와 내검기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탈부착부(600)는 플레이트(400)와 내검기(500)가 탈부착되도록 하되, 상기 플레이트(400)로부터 내검기(50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끼움홈(610), 끼움돌기(620) 및 체결부재(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내검기(500)는 탈부착부(600)에 의해 플레이트(4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며, 반대로, 플레이트(400)의 배면측에 내검기(500)가 결합되도록 하되, 플레이트(400)에 결합된 내검기(50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검기(500)에 고정된 단상(100) 또는 계상(200)이 함께 회동되어 내검이 요구되는 공간이 개방되도록 한다.
끼움홈(610)은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플레이트(400)의 배면측에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끼움돌기(62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끼움홈(61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면 일부분이 하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측과 배면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끼움돌기(620)는 내검기(500)에 구성되는 다수 개의 가로대(520) 중 하단에 구비된 가로대(520)의 하측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
즉 끼움돌기(620)는 상측으로 개구된 끼움홈(610)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끼움돌기(620)가 끼움홈(610)에 삽입되면, 한 쌍의 가로대(520)의 측벽(512)은 플레이트(400) 상측에 지지된 단상(100) 또는 계상(200)의 좌,우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이때, 끼움돌기(620)는 가로대(520)의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회동 가능하도록 경첩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끼움돌기(620) 끼움홈(610)에 삽입되면, 내검기(500)는 경첩 형태의 끼움돌기(620)에 의해 배면측으로 회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내검기(500)에 고정된 단상(100) 또는 계상(200)이 함께 회동되도록 한다.
체결부재(630)는 플레이트(400)와 내검기(500)가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끼움홈(610)에 끼움돌기(620)의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체결부재(630)는 플레이트(400)에 구비되는 암연결부(631)와 내검기(500)에 구비되는 수연결부(632)로 구성되되, 매미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암연결부(631)는 끼움홈(610)이 형성되는 플레이트(400)의 배면에 구비되되, 상기 끼움홈(610)으로 삽입된 끼움돌기(620)의 수연결부(632)와 결속되도록 하는 것으로, 회동부재(631a), 고정브라켓(631b) 및 걸림부재(63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동부재(631a)는 끼움홈(610)이 형성되는 플레이트(400)의 배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고정브라켓(631b)이 회동되도록 한다.
고정브라켓(631b)은 회동부재(631a)에 타측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걸림부재(631c)는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측은 고정브라켓(631b)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은 내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재(631c)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곡선의 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수연결부(632)와 걸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연결부(632)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끼움돌기(620)의 배면측에 구비되어 암연결부(631)의 걸림부재(631c)와 체결됨으로써, 플레이트(400)와 내검기(500)가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암연결부(631)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암연결부(631)와 수연결부(632)로 이루어진 체결부재(630)의 동작 과정을 도 1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암연결부(631)와 수연결부(632)가 결합되도록 끼움홈(610)에 끼움돌기(620)가 삽입되면, 암연결부(631)에 구비된 고정브라켓(631b)과 걸림부재(631c)를 외측으로 들어 수연결부(632)에 걸림되도록 한 후, 고정브라켓(631b)을 누르면 암연결부(631)와 수연결부(632)는 상호간에 압착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반대로, 플레이트(400)로부터 내검기(5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암연결부(631)의 고정브라켓(631b)을 들어올려 걸림부재(631c)가 수연결부(632)와 분리되도록 한 후, 끼움홈(610)으로부터 끼움돌기(620)를 분리시키면 플레이트(400)와 내검기(500)가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탈부착부(600)는 플레이트(400)로부터 내검기(500)가 회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검기(500)에 고정된 단상(100) 또는 계상(200)이 함께 회동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내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지지부가 내검기의 가로대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지지부(700)는 가로대(520)의 배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플레이트(400)로부터 회동된 내검기(500)를 지면으로부터 안정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지지부(700)는 내검기(500)의 가로대(5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다수 개의 폴대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지지부(700)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구성되어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700)와 가로대(520)의 결합은 연결수단(7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수단(710)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지부(700)의 타단에 구비되어 가로대(520)에 걸림됨에 따라, 가로대(520)와 지지부(70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회동수단(711), 고정손잡이(712) 및 걸림수단(7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수단(710)은 매미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검기(500)와 탈부착부(600)가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부재(6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체결부재(630)의 회동부재(631a)와 연결수단(710)의 회동수단(711)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체결부재(630)의 고정브라켓(631b)과 연결수단(710)의 고정손잡이(712)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체결부재(630)의 걸림부재(631c)와 연결수단(710)의 걸림수단(713)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수단(710)에 의해 가로대(520)에 지지부(700)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지부(700)는 타단 일부분이 가로대(520)에 형성된 절개홈(522)으로 삽입되면, 회동수단(711)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고정손잡이(712)와 걸림수단(713)을 들어 가로대(520)의 정면측에 상기 걸림수단(713)이 접촉되도록 한 후, 고정손잡이(712)를 지지부(700) 측으로 누르면 걸림수단(713)이 가로대(520)의 정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가로대(520)와 지지부(700)는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반대로, 가로대(520)로부터 지지부(7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고정손잡이(712)를 들어올려 걸림수단(713)이 가로대(52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면, 상기 가로대(520)로부터 지지부(700)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지지부(700)는 내검기(500)의 배면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내검기(500)가 플레이트(400)로부터 회동되면, 지면에 지지되어 내검기(500)가 회동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내검이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내검이 이루어지는 실시 예를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플레이트(400)의 상측에 단상(100)과 계상(200)을 적층 한 후, 탈부착부(600)를 이용하여 플레이트(400)에 내검기(500)가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내검을 하고자 하는 단상(100) 또는 계상(200)을 제외한 나머지 계상(200)이 위치한 곳에 형성된 체결공(513)에 잠금나사(514)를 체결하여 나머지 계상(200)들을 각각 고정시키고, 내검기(500)의 가로대(520) 배면측에 지지부(700)를 결합시킨 후, 도 18에서와 같이, 내검기(500)를 배면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내검기(500)에 고정된 나머지 계상(200)들이 함께 회동됨으로써, 내검이 요구되는 공간이 개방되어 용이하게 내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연장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서 내검기와 연장부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계상(200)의 개수가 증가되어 적층되는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경우, 다수 개의 계상(2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내검기(500)에 연장되어 결합되는 연장부(8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8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검기(500)에 포함되는 세로대(510)와 가로대(520)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검기(500)의 세로대(510) 상측에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별도의 연장돌기(8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돌기(810)는 내검기(500)의 세로대(510)와 연장부(800)의 세로대 구성에 볼트 결합됨에 따라, 상기 내검기(500)와 연장부(800)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연장부(800)는 내검기(500)에 연결되어 적층되는 구조인 계상(200)을 보다 많이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다수의 계상(200)을 모두 고정시켜 내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은 단상(100)과 상기 단상(100)의 상측에 하나 이상 적층되는 계상(200)으로 이루어진 토봉에서 단상(100) 또는 계상(200)을 젖혀 내검이 요구되는 공간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적음 힘으로도 내검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기초부(300)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되, 상기 중공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유체, 모레, 돌 등의 중량물을 적재하여 토봉 자체의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단상(100)과 하나 이상의 계상(200)이 상측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더라도 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단상(100)의 하측에 그물망 형태의 망부재(121)가 구비됨으로써,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망부재(121)가 구비되는 관통홀(120)을 차단하는 수평차단부재(114)에 의해 상기 관통홀(120)이 선택적으로 개구되도록 조절하여 원활한 양봉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검시 단상(100) 또는 계상(200)이 지지되는 내검기(500)에 연장부(800) 결합이 가능함으로써, 서로 다른 개수의 계상(200)이 적층되어 토봉의 높이가 서로 다르더라도 모든 토봉의 내검 실시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단상 110 : 몸체
111 : 수직끼움홈 112 : 수직차단부재
113 : 수평끼움홈 114 : 수평차단부재
120 : 관통홀 121 : 망부재
130 : 정면개구홀
200 : 계상
300 : 기초부
400 : 플레이트 410 : 가이드부재
420 : 결속부재
500 : 내검기 510 : 세로대
511 : 기둥벽 512 : 측벽
513 : 체결공 514 : 잠금나사
520 : 가로대 521 : 슬라이드홈
522 : 절개홈
600 : 탈부착부 610 : 끼움홈
620 : 끼움돌기 630 : 체결부재
631 : 암연결부 631a : 회동부재
631b : 고정브라켓 631c : 걸림부재
632 : 수연결부
700 : 지지부 710 : 연결수단
711 : 회동수단 712 : 고정손잡이
713 : 걸림수단
800 : 연장부 810 : 연장돌기

Claims (10)

  1. 단상(100) 및 상기 단상(100)의 상측에 하나 이상 적층되어 구성된 계상(200)을 포함하는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기초부(300);
    상기 기초부(3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단상(100)이 지지되는 플레이트(400);
    상기 플레이트(4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단상(100) 또는 계상(20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내검기(500);
    상기 플레이트(400)와 내검기(500)가 탈부착되도록 하는 탈부착부(600); 및
    상기 내검기(500)에 결합되어 플레이트(400)로부터 회동된 내검기(50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상(100)은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상측과 하측을 관통시키는 관통홀(120); 및
    상기 몸체(110)의 정면측으로 개구된 형태의 정면개구홀(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상(100)의 상측에 하나 이상의 계상(200)이 적층되어 단상(100)의 내부 공간과 계상(200)의 내부 공간이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몸체(110)는
    내부 공간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측으로 장축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된 수직끼움홈(111); 및
    상기 수직끼움홈(111)에 끼워져 상기 정면개구홀(130)을 차단하는 수직차단부재(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직끼움홈(111)은
    상기 단상(100)의 정면측에 형성되되, 단상(100)의 상측에 적층되는 계상(200) 보다 정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단상(100)의 상측에 계상(200)이 적층된 이후에도 수직차단부재(121)가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내검기(500)는
    한 쌍의 세로대(510);
    상기 한 쌍의 세로대(510)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가로대(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세로대(510)는
    상기 단상(100) 또는 계상(200)의 배면을 지지하는 기둥벽(511);
    상기 기둥벽(511)의 끝단에 정면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단상(100) 또는 계상(200)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벽(512);
    상기 측벽(512)의 장축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 체결공(513); 및
    상기 체결공(513)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잠금나사(5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탈부착부(600)는
    상기 플레이트(400)의 배면측에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진 끼움홈(610); 및
    상기 가로대(52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돌출된 경첩 형태의 끼움돌기(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끼움돌기(620)는
    상기 끼움홈(610)에 끼워져 상기 플레이트(400)로부터 내검기(500)가 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부(700)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폴대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내부 공간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정면과 배면측으로 장축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된 수평끼움홈(113); 및
    상기 수평끼움홈(113)에 끼워져 상기 관통홀(120)을 차단하는 수평차단부재(1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통홀(120)은
    상기 수평차단부재(114) 하측에 그물망 형태의 망부재(1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00)는
    상단에 상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재(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재(410)는
    상기 플레이트(400) 상측에 지지된 단상(100)의 측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600)는
    상기 끼움홈(610)에 끼움돌기(620)의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플레이트(400)와 내검기(500)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6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체결부재(630)는
    상기 플레이트(400)의 측면에 구비되는 암연결부(631); 및
    상기 끼움돌기(620)의 배면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수연결부(6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암연결부(631)는
    상기 끼움홈(610)이 형성되는 플레이트(400)의 배면에 구비되는 회동부재(631a);
    상기 회동부재(631a)에 타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브라켓(631b); 및
    상기 고정브라켓(631b)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폐곡선의 고리로 형성되는 걸림부재(631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검기(500)의 끝단에 연장되어 결합되는 연장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700)는
    상기 내검기(500) 또는 연장부(800) 또는 내검기(500)와 연장부(800) 모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
KR1020210040352A 2021-03-29 2021-03-29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 KR102292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352A KR102292042B1 (ko) 2021-03-29 2021-03-29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352A KR102292042B1 (ko) 2021-03-29 2021-03-29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042B1 true KR102292042B1 (ko) 2021-08-19

Family

ID=7749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352A KR102292042B1 (ko) 2021-03-29 2021-03-29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0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6092A (ko) * 2010-12-14 2012-06-22 장봉환 벌통
KR101353654B1 (ko) 2012-11-23 2014-01-20 상주시 벌통 내검기
KR102046485B1 (ko) * 2019-04-19 2019-12-02 준 이 계상 내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6092A (ko) * 2010-12-14 2012-06-22 장봉환 벌통
KR101353654B1 (ko) 2012-11-23 2014-01-20 상주시 벌통 내검기
KR102046485B1 (ko) * 2019-04-19 2019-12-02 준 이 계상 내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1493B2 (en) Beehive
AU2015287417B2 (en) Multi-use beehive
BRPI0606952B1 (pt) dispositivo e método para assentar e nivelar ladrilhos
KR101227309B1 (ko) 로얄제리 생산용 자동이충기
US9462792B2 (en) Beehive
KR102292042B1 (ko) 회전식 내검기가 구비된 토봉
US2692007A (en) Fisherman's chair
US11109565B2 (en) Hay bale cradle
EP3048880A2 (en) Ergonomic beehive
RO128080A2 (ro) Stup multifuncţional cu protecţie împotriva varozei
KR200491100Y1 (ko) 가이드를 포함하는 계상 벌통의 내검보조기
US1152644A (en) Corn-kiln.
KR200439878Y1 (ko) 양봉용 이충소비
JP2002095376A (ja) ミツバチ巣脾枠装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受粉ミツバチ巣箱用小型巣脾枠の製造法
KR20190052512A (ko) 여왕벌용 소초광
US2250818A (en) Laying nest
KR101561504B1 (ko) 벌집 꿀 채집장치
KR102421176B1 (ko) 수평 채유틀
JP2015061535A (ja) 養蜂用巣枠及び養蜂用巣箱
KR102062909B1 (ko) 분리되는 벌통용 내검장치
KR20230024052A (ko) 토종벌통용 서랍방식 다기능 장치
JP2001169681A (ja) 花粉採集器
IL184011A (en) Hive facility
KR102384062B1 (ko) 헛집 방지기가 구비된 양봉용 벌통
KR100943960B1 (ko) 은어낚시용 미끼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