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595B1 -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ssb 할당 방법, 무선환경 정보 수집 방법 - Google Patents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ssb 할당 방법, 무선환경 정보 수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595B1
KR102291595B1 KR1020190124019A KR20190124019A KR102291595B1 KR 102291595 B1 KR102291595 B1 KR 102291595B1 KR 1020190124019 A KR1020190124019 A KR 1020190124019A KR 20190124019 A KR20190124019 A KR 20190124019A KR 102291595 B1 KR102291595 B1 KR 102291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ignal
ssb
wireless
modules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1383A (ko
Inventor
이덕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4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59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빌딩 솔루션을 위한 Remote 장비 운용 시, 각 Remote 장비 별로 구분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수집을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성능 평가 및 인빌딩 서비스 운용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SSB 할당 방법, 무선환경 정보 수집 방법{SYNCHRONIZING TRANSMISSION DEVICE AND CONTROLMETHOD THEREOF, SSB ALLOCATION METHOD, WIRELESS ENVIRONMENT METHOD, ACQUISITION METHOD}
본 발명은, 인빌딩 솔루션에 관한 기술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빌딩 솔루션을 위한 Remote 장비 운용 시, 각 Remote 장비 별로 구분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수집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4G LTE/LTE-Advanced System 대비 높은 중심주파수를 사용하는 5G NR 시스템에서는, Path-loss에 의한 감쇄 및 O2I(Outdoor to Indoor) 감쇄가 증가함에 따라 인빌딩 내 좋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는 것이 어려울 전망이다.
이에, 인빌딩 내 서비스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솔루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며,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인빌딩 솔루션이 연구 및 제공될 예정이나, 성능 및 운용 관리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RF 중계기를 활용하는 인빌딩 솔루션의 경우, 건물 외부에 설치된 수신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아 인빌딩 내 RF 중계기가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으로서, 구축에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gNB 5G 기지국에서 인빌딩 내 사용자를 구별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RF 중계기를 활용하는 인빌딩 솔루션의 경우, 인빌딩 내 커버리지에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수집을 통한 성능 평가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더불어, RF 중계기를 활용하는 인빌딩 솔루션의 경우, 커버리지 및 전송 속도 제공 측면에서 제약이 존재하여 인빌딩 서비스를 위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한편, 종래 Legacy 망 3G 및 4G에서 사용된 Remote 장비를 활용한 인빌딩 솔루션의 경우, 대출력 Remote 장비 기반의 커버리지 제공 및 소출력 Remote 장비 기반의 대용량 전송속도 제공을 통해, 다양한 인빌딩 환경에 적합한 5G NR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인빌딩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성능 평가 및 운용에 용이성을 지닌다.
특히 종래 4G LTE/LTE-Advanced 시스템에서 5G NR 시스템으로 진화하며, MU-MIMO 기술 기반으로 셀 용량 증대 효과 사용이 용이해 짐에 따라, 인빌딩 내 “"층 및 분리된 장소" 별로 시공간 주파수 자원을 재활용하여 5G NR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각 층 및 분리된 장소"에 설치 될 Remote 장비 별로 5G NR 사용자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KPI 수집을 통한 성능 관리 및 운용에는 여전히 한계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빌딩 솔루션을 위한 Remote 장비 운용 시, 각 Remote 장비 별로 구분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수집을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인빌딩 솔루션을 위한 Remote 장비 운용 시, 각 Remote 장비 별로 구분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수집을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실현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는, 기지국모듈로부터 동일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제공받는 2 이상의 무선모듈과 관련하여, 상기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확인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근거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에서 동기신호를 전송하는 시점을 상이하게 할당하는 할당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할당부는, 상기 동기신호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동기신호 전송을 위한 비트맵(Bitmap)을 근거로, 동기신호 전송을 위해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에 지정된 시간 도메인(Time domain)의 단위 무선자원을 확인하고,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에,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에 지정된 단위 무선자원을 중복되지 않게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은, 상기 기지국모듈과 캐스캐이드(Cascade) 형태로 연결된 Remote 장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할당부는,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에 지정된 상기 단위 무선자원의 개수(M),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개수(N)을 이용한 연산을 통해,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에 지정된 단위 무선자원을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에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 무선자원은,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모듈에서는,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에서 상이하게 할당된 시점의 단위 무선자원 인덱스 및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에 할당되는 레이어(Layer) 인덱스를 기준으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이 서비스하는 커버리지 내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무선모듈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모듈로부터 동일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제공받는 2 이상의 무선모듈과 관련하여, 상기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확인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근거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에서 동기신호를 전송하는 시점을 상이하게 할당하는 할당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기지국모듈과 분리 구성된 무선모듈에서 수행되는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할당 방법은,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확인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모듈에서 동기신호를 전송하는 SSB를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동일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제공받는 다른 무선모듈과는 상이하게 할당하는 할당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할당단계는, 상기 동기신호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동기신호 전송을 위한 비트맵(Bitmap)을 근거로, 동기신호 전송을 위해 상기 무선모듈 및 상기 다른 무선모듈에 지정된 SSB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모듈 및 상기 다른 무선모듈에 지정된 상기 SSB의 개수(M), 상기 무선모듈 및 상기 다른 무선모듈의 개수(N)을 이용한 연산을 통해, 상기 무선모듈 및 상기 다른 무선모듈에 지정된 SSB 중 상기 다른 무선모듈과는 다른 시점의 SSB를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모듈 및 상기 다른 무선모듈은, 상기 기지국모듈과 캐스캐이드(Cascade) 형태로 연결된 Remote 장비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2 이상의 무선모듈과 분리 구성된 기지국모듈에서 수행되는 무선환경 정보 수집 방법은,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로 제공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근거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에서 동기신호 전송을 위해 상이하게 할당되는 시점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에서 상이하게 할당된 시점의 단위 무선자원 인덱스 및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에 할당되는 레이어(Layer) 인덱스를 기준으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이 서비스하는 커버리지 내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무선모듈을 구분하는 구분단계; 및 상기 구분한 무선모듈 별로,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무선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 무선자원은,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SSB 할당 방법, 무선환경 정보 수집 방법에 따르면, 인빌딩 솔루션을 위한 Remote 장비 운용 시, 각 Remote 장비 별로 구분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수집을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실현함으로써, 성능 평가 및 인빌딩 서비스 운용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빌딩 솔루션에서 Remote 장비가 운용되는 환경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빌딩 솔루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4G LTE/LTE-Advanced System 대비 높은 중심주파수를 사용하는 5G NR 시스템에서는, Path-loss에 의한 감쇄 및 O2I(Outdoor to Indoor) 감쇄가 증가함에 따라 인빌딩 내 좋은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는 것이 어려울 전망이다.
이에, 인빌딩 내 서비스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솔루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며,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인빌딩 솔루션이 연구 및 제공될 예정이나, 성능 및 운용 관리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RF 중계기를 활용하는 인빌딩 솔루션의 경우, 건물 외부에 설치된 수신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아 인빌딩 내 RF 중계기가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으로서, 구축에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gNB 5G 기지국에서 인빌딩 내 사용자를 구별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RF 중계기를 활용하는 인빌딩 솔루션의 경우, 인빌딩 내 커버리지에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수집을 통한 성능 평가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더불어, RF 중계기를 활용하는 인빌딩 솔루션의 경우, 커버리지 및 전송 속도 제공 측면에서 제약이 존재하여 인빌딩 서비스를 위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한편, 종래 Legacy 망 3G 및 4G에서 사용된 Remote 장비를 활용한 인빌딩 솔루션의 경우, 대출력 Remote 장비 기반의 커버리지 제공 및 소출력 Remote 장비 기반의 대용량 전송속도 제공을 통해, 다양한 인빌딩 환경에 적합한 5G NR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인빌딩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성능 평가 및 운용에 용이성을 지닌다.
특히 종래 4G LTE/LTE-Advanced 시스템에서 5G NR 시스템으로 진화하며, MU-MIMO 기술 기반으로 셀 용량 증대 효과 사용이 용이해 짐에 따라, 인빌딩 내 "각 층 및 분리된 장소" 별로 시공간 주파수 자원을 재활용하여 5G NR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종래 Legacy 망 Remote 장비를 활용한 인빌딩 솔루션의 경우 역시, Remote 장비 별로 5G NR 사용자 구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인빌딩 내 커버리지에서 "각 층 및 분리된 장소"에 설치 될 Remote 장비 별 KPI 수집이 어렵고, KPI 수집을 통한 성능 관리 및 운용에 여전히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빌딩 솔루션을 위한 Remote 장비 운용 시, 각 Remote 장비 별로 구분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수집을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인빌딩 솔루션을 위한 Remote 장비 운용 시, Remote 장비 별로 동기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예: SSB)를 상이하게 할당하는 방식을 통해 SSB 별로 KPI 구분 수집이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SSB를 기반으로 Remote 장비 별 KPI 수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실현한다.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빌딩 솔루션에서 Remote 장비가 운용되는 환경을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인빌딩 솔루션의 시스템 환경은, 도 1과 같이 기지국모듈(10) 및 무선모듈(1),(2),...(16)로 분리 구성된 기지국(예: gNBDU_H + DU_L 5G 기지국) 구조를 기본으로 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5G NR에서 3.5GHz 대역 B6G(Beyond 6GHz)의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gNBDU_H + DU_L 5G 기지국에서 서비스 가능한 최대 레이어(Layer) 개수가 16개라고 가정하고, Layer Split Hub를 갖는 구조를 일 예로서 가정하고 있다.
Layer Split Hub는, 기지국모듈(10) 및 무선모듈(1),(2),...(16) 사이에서 허브(Hub)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으로서, Layer Split Hub에서 분리 가능한 Layer 수는 1, 2, 4개 단위이며, 도 1에서는 총 16 Layer를 4 Layer로 분리했을 때의 구조를 일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4 Layer로 분리된 구조에서 각 무선모듈 즉 각 Remote 장비(1),(2),...(16)는, Star 혹은 Cascade 형태로 연결 가능하며, 도 1에서는 캐스캐이드(Cascade) 형태로 연결 했을 때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캐스캐이드(Cascade) 형태로 연결된 각 무선모듈 즉 각 Remote 장비의 경우, gNB 5G 기지국에서 할당되는 SSB 및 Layer index가 동일하여 5G NR 사용자가 캐스캐이드(Cascade)로 연결된 각 Remote 장비 중 어떤 Remote 장비에서 서비스 받는지를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했던 기존 기술의 한계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서는, 4 Layer w/ index 1~4에 해당하는 신호는 Remote 장비(1),(2),(3),(4)에 카피(Copy)되어 송신된다. 즉, 캐스캐이드(Cascade)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에 모두 4 Layer 서비스가 가능하며 동일한 신호를 전송된다.
아울러, 도 1에서는, 4 Layer w/ index 5~8에 해당하는 신호는 Remote 장비(5),(6),(7),(8)에, 4 Layer w/ index 9~12에 해당하는 신호는 Remote 장비(9),(10),(11),(12)에, 4 Layer w/ index 13~16에 해당하는 신호는 Remote 장비(13),(14),(15),(16)에 카피(Copy)되어 송신된다.
기존 기술에 따른다면, 캐스캐이드(Cascade)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에는 기지국모듈(10)이 전송하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 1 Message 내 IE가 동일하게 제공되므로, 동일한 무선자원 즉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가 할당된다.
이렇게 되면, 캐스캐이드(Cascade)로 연결된 각 Remote 장비(1),(2),(3),(4)에서는, 4 Layer w/ index 1~4에 해당하는 동일 신호가 송신되고 동일하게 할당된 SSB에서 동기신호가 송신됨에 따라, 동일한 SSB 및 Layer index가 사용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캐스캐이드(Cascade)로 연결된 각 Remote 장비 별로 SSB를 상이하게 할당하는 방식을 통해, 각 Remote 장비 별로 동일하지 않은 SSB 및 Layer index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5G NR SAStandard Alone에서 적용 가능하며, 5G NR NSANon Standard Alone에서도 SIB 1 Message가 전송되는 경우라면 적용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는, 확인부(110), 할당부(12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가 무선모듈 즉 Remote 장비에 구현되는 경우 각 단말 및 기지국모듈(10)과의 실질적 통신 기능을 담당하거나,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각 Remote 장비와의 실질적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부(13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30)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기술, 즉 캐스캐이드(Cascade)로 연결된 각 Remote 장비 별로 SSB를 상이하게 할당하는 기술을 실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확인부(110)는, 기지국모듈로부터 동일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제공받는 2 이상의 무선모듈과 관련하여,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동기신호 구성정보는, 기지국모듈(10)이 전송하는 SIB 1 Message 내 IE를 의미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SIB 1 Message 내 ssb-PositionsInburst IE SSB 개수 및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기지국모듈(10)로부터 동일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제공받는 2 이상의 무선모듈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빌딩 솔루션에 따르면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무선모듈(예: 도 1의 Remote 장비(1),(2),(3),(4))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모듈(10)로부터 동일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제공받는 2 이상의 무선모듈로서, Remote 장비(1),(2),(3),(4)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가 무선모듈 즉 Remote 장비(예: (1),(2),(3),(4) 각각)에 구현되는 경우로 실시예를 설명하면, 확인부(110)는 기지국모듈(10)로부터 제공/수신되는 동기신호 구성정보 즉 SIB 1 Message 내 ssb-PositionsInburst IE SSB 개수 및 위치 정보를 디코딩 및 확인함으로써,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무선모듈(예: 도 1의 Remote 장비(1),(2),(3),(4))로 제공되는 SIB 1 Message 내 ssb-PositionsInburst IE SSB 개수 및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로 실시예를 설명하면, 확인부(110)는 기지국모듈(10)로부터 4 Layer의 캐스캐이드 별로 제공되는 SIB 1 Message 내 ssb-PositionsInburst IE SSB 개수 및 위치 정보를 디코딩 및 확인함으로써,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무선모듈(예: 도 1의 Remote 장비(1),(2),(3),(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로 각기 제공되는 SIB 1 Message 내 ssb-PositionsInburst IE SSB 개수 및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기지국모듈(10)로부터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로 제공되는 SIB 1 Message 내 ssb-PositionsInburst IE SSB 개수 및 위치 정보를 확인한 경우의 실시예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할당부(120)는, 확인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근거로,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에서 동기신호를 전송하는 시점을 상이하게 할당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할당부(120)는, 확인한 ssb-PositionsInburst IE SSB 개수 및 위치 정보를 근거로, 2 이상의 무선모듈 즉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 각각에서 동기신호를 전송하는 시점을 상이하게 할당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할당부(120)는, 동기신호 구성정보 즉 ssb-PositionsInburst IE SSB 개수 및 위치 정보로부터 확인되는 동기신호 전송을 위한 비트맵(Bitmap)을 근거로, 동기신호 전송을 위해 2 이상의 무선모듈 즉 Remote 장비(1),(2),(3),(4)에 지정된 시간 도메인(Time domain)의 단위 무선자원을 확인한다.
그리고, 할당부(120)는, 2 이상의 무선모듈 즉 Remote 장비(1),(2),(3),(4) 각각에, 전술에서 확인한 Remote 장비(1),(2),(3),(4)에 지정된 단위 무선자원을 중복되지 않게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무선자원이란,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를 의미하게 된다.
즉, 할당부(120)는, ssb-PositionsInburst IE SSB 개수 및 위치 정보로부터 확인되는 비트맵(Bitmap)을 근거로,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에서 동기신호를 전송하도록 지정된 SSB를 확인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ssb-PositionsInburst IE SSB 개수 및 위치 정보는, IE 내 중심 주파수대역에 따라서 inOneGroupFor Beyond 6GHz(이하, B6G) 또는 groupPresenceFor Above 6GHz(이하, A6G)가 SSB 할당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inOneGroup IE에서 SSB 할당 위치를 나타내는 방식을 간단히 설명하면, SSB per half frame 개수가 4개 또는 8개인 경우, First/Leftmost bit는 SSB index 0에 해당, second bit는 SSB index 1에 해당, …, eight bit는 SSB index 7에 해당하며, SSB per half frame 개수가 4개인 경우의 오른쪽 4 bit는 무시되는 방식이다.
만약, SSB per half frame 개수가 최대 64개인 경우, First/Leftmost bit는 SSB index 0, 8, …, 56에 해당, second bit는 SSB index 1, 9, …, 57에 해당, …, eight bit는 SSB index 7, 15, …, 63에 해당하는 방식이다.
한편, groupPresence IE에서 SSB 할당 위치를 나타내는 방식을 간단히 설명하면, SSB per half frame 개수가 최대 64개인 경우, First/Leftmost bit는 SSB index 0-7에 해당, second bit는 SSB index 8-15에 해당, …, eight bit는 SSB index 56-63에 해당하는 방식이다.
전술의 동기신호 구성정보 즉, ssb-PositionsInburst IE(inOneGroup IE, 또는 groupPresence IE)는 총 8 Bits의 길이를 지니며, 8 Bits의 IE로부터 확인되는 비트맵(Bitmap)에서 value 0은 해당 SSB가 동기신호 전송을 위해 할당(이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value 1은 해당 SSB가 동기신호 전송을 위해 할당(이용)된 것을 의미한다.
이에, 할당부(120)는, ssb-PositionsInburst IE SSB 개수 및 위치 정보로부터 확인되는 비트맵(Bitmap) 즉 8 Bits 길이의 비트맵(Bitmap)을 근거로,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에서 동기신호를 전송하도록 지정된 단위 무선자원 즉 SSB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sb-PositionsInburst IE(inOneGroup IE, 또는 groupPresence IE)이 "1111 1100"인 경우, 기지국모듈(10)로부터 Remote 장비(1),(2),(3),(4))에 대하여 동기신호 전송을 위해 6개의 연속된 SSB가 지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ssb-PositionsInburst IE(inOneGroup IE, 또는 groupPresence IE)이 "1111 1111"인 경우, 기지국모듈(10)로부터 Remote 장비(1),(2),(3),(4))에 대하여 동기신호 전송을 위해 8개의 연속된 SSB가 지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IE로부터 확인되는 비트맵(Bitmap) 즉 8 Bits 길이의 비트맵(Bitmap)을 근거로,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에 지정된 SSB의 개수를 M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ssb-PositionsInburst IE(inOneGroup IE, 또는 groupPresence IE)이 "1111 1100"인 경우 M은 6이고, ssb-PositionsInburst IE(inOneGroup IE, 또는 groupPresence IE)이 "1111 1111"인 경우 M은 8일 것이다.
그리고, 할당부(120)는, Remote 장비(1),(2),(3),(4) 각각에, 전술에서 확인한 바 있는 Remote 장비(1),(2),(3),(4)에 지정된 SSB M개를 중복되지 않게 할당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2 이상의 무선모듈(예: Remote 장비(1),(2),(3),(4))에 지정된 단위 무선자원을 중복되지 않게 할당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서는, 캐스캐이드로 연결되는 2 이상의 무선모듈(Remote 장비)의 개수를 N으로 정의한다.
이에, 전술과 같이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를 가정하면, 무선모듈(Remote 장비)의 개수 N은 4일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할당부(120)는, 2 이상의 무선모듈 즉 Remote 장비(1),(2),(3),(4)에 지정된 단위 무선자원 즉 SSB의 개수(M, 예: 8), 그리고 Remote 장비의 개수(N=4)을 이용한 연산을 통해, Remote 장비(1),(2),(3),(4)에 지정된 SSB를 Remote 장비(1),(2),(3),(4) 각각에 할당하는 방식으로, Remote 장비(1),(2),(3),(4)에 지정된 SSB를 중복되지 않게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IE 내 중심 주파수대역이 B6G인 경우 SSB 할당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inOneGroup IE가 사용된다.
inOneGroup IE가 사용되는 경우, 할당부(120)는, 다음 수학식 1에 따라 1번째 ~ N번째 Remote 장비 각각에 할당할 SSB 개수(이하, SSB 할당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9102252602-pat00001
예를 들면,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에 대하여 inOneGroup IE가 "1111 1111"로 구성될 때, SSB의 개수(M)의 8이고 Remote 장비의 개수(N)은 4이므로, Remote 장비(1),(2),(3),(4)에 SSB 할당 개수는 각기 2개로 결정될 것이다.
만약, 할당부(120)는, 전술의 수학식 1에 따른 Floor(M/N)이 소수점인 경우라면, 1번째 ~ N번째 Remote 장비 각각에 소수점을 버린 SSB 할당 개수를 가 결정하고, Remote 장비(1),(2),(3),(4)에 지정된 SSB의 개수(M) 중 전술의 가 결정 후 남은 개수를 Remote 장비(1),(2),(3),(4) 중 일부에 다양한 방식으로 추가 할당/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에 대하여 inOneGroup IE가 "1111 1100"로 구성될 때, SSB의 개수(M)의 6이고 Remote 장비의 개수(N)은 4이므로, Floor(M/N)이 1.5로 소수점이 되고, Remote 장비(1),(2),(3),(4)에 SSB 할당 개수는 소수점을 버린 1로 가 결정되며, M(6) 중 가 결정 후 2개의 SSB가 남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Remote 장비(1),(2),(3),(4) 중 랜덤하게 선택되는 2개 Remote 장비 각각에 남은 SSB 개수를 하나씩 추가 할당/결정할 수도 있고, Remote 장비(1),(2),(3),(4) 중 서비스 중인 트래픽이 많은 순서로 선택되는 2개 Remote 장비 각각에 남은 SSB 개수를 하나씩 추가 할당/결정할 수도 있고, 고정된 2개 Remote 장비 각각에 남은 SSB 개수를 하나씩 추가 할당/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Remote 장비(1),(2),(3),(4)에 대하여 inOneGroup IE가 "1111 1111"로 구성되며, Remote 장비(1),(2),(3),(4)에 SSB 할당 개수는 각기 2개로 결정한 실시예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할당부(120)는, 전술과 같이 Remote 장비(1),(2),(3),(4)에 SSB 할당 개수(2개)를 결정하면, 1번째 Remote 장비(1)에는 inOneGroup IE 내 Frist/Leftmost로부터 0이 아닌 SSB 할당 개수(2개)의 bit 위치에 해당되는 SSB를 SSB Set으로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할당부(120)는, 다음 번 Remote 장비((2)->(3)->(4))에는 앞 번째 Remote 장비에 할당하지 않은 inOneGroup IE 내 0이 아닌 SSB 할당 개수(2개)의 bit 위치에 해당되는 SSB를 SSB Set으로 할당함으로써, 마지막 Remote 장비까지 SSB Set을 할당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술처럼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에 대하여 inOneGroup IE가 "1111 1111"로 구성되며, 따라서 Remote 장비(1),(2),(3),(4)에 SSB 할당 개수를 각기 2개로 결정한 경우라면, 할당부(120)는, 다음과 같이 Remote 장비(1),(2),(3),(4) 각각에 서로 중복되는 SSB가 없는 SSB Set을 할당할 수 있다.
Remote 장비(1) : inOneGroup IE = "1100 0000"
Remote 장비(2) : inOneGroup IE = "0011 0000"
Remote 장비(3) : inOneGroup IE = "0000 1100"
Remote 장비(4) : inOneGroup IE = "0000 0011"
기존 기술이었다면, Remote 장비(1),(2),(3),(4)에서는, inOneGroup IE="111 1111"에 따라 동일한 SSB가 할당되므로, 4 Layer w/ index 1~4에 해당하는 동일 신호가 송신되고 동일하게 할당된 SSB에서 동기신호가 송신됨에 따라, 동일한 SSB 및 Layer index가 사용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Remote 장비(1),(2),(3),(4)에서는, 전술처럼 서로 중복되는 SSB가 없는 각기 다른 SSB Set가 할당됨에 따라, 4 Layer w/ index 1~4에 해당하는 동일 신호가 송신되고 서로 다른 시점(SSB Set)에서 동기신호가 송신됨에 따라, 상호 다른 SSB 및 Layer index가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IE 내 중심 주파수대역이 A6G인 경우 SSB 할당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inOneGroup IE 또는 groupPresence IE가 사용된다.
groupPresence IE가 사용되는 경우, 할당부(120)는, 다음 수학식 2에 따라 1번째 ~ N번째 Remote 장비 각각에 할당할 SSB 개수(이하, SSB 할당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9102252602-pat00002
만약, 할당부(120)는, 전술의 수학식 2에 따른 Floor(M/N)이 소수점인 경우라면, 1번째 ~ N번째 Remote 장비 각각에 소수점을 버린 Floor(M/N)를 이용하여 SSB 할당 개수를 가 결정하고, Remote 장비(1),(2),(3),(4)에 지정된 SSB의 개수(M) 중 전술의 가 결정 후 남은 개수를 Remote 장비(1),(2),(3),(4) 중 일부에 전술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추가 할당/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할당부(120)는, 전술과 같이 Remote 장비(1),(2),(3),(4)에 SSB 할당 개수를 결정하면, 1번째 Remote 장비(1)에는 groupPresence IE 내 Frist/Leftmost로부터 0이 아닌 SSB 할당 개수의 bit 위치에 해당되는 SSB를 SSB Set으로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할당부(120)는, 다음 번 Remote 장비((2)->(3)->(4))에는 앞 번째 Remote 장비에 할당하지 않은 groupPresence IE 내 0이 아닌 SSB 할당 개수의 bit 위치에 해당되는 SSB를 SSB Set으로 할당함으로써, 마지막 Remote 장비까지 SSB Set을 할당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Remote 장비(1),(2),(3),(4)에서는, 서로 중복되는 SSB가 없는 각기 다른 SSB Set가 할당됨에 따라, 4 Layer w/ index 1~4에 해당하는 동일 신호가 송신되고 서로 다른 시점(SSB Set)에서 동기신호가 송신됨에 따라, 상호 다른 SSB 및 Layer index가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가 Remote 장비(예: (1),(2),(3),(4) 각각)에 구현되는 경우, 할당부(120)는 자신이 구현된 Remote 장비가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 중 몇 번째 Remote 장비인지를 인지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전술과 같은 방식으로 다른 Remote 장비와는 다른 SSB Set을 자체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 각각에서는, 서로 중복되는 SSB가 없는 각기 다른 SSB Set가 할당됨에 따라, 4 Layer w/ index 1~4에 해당하는 동일 신호가 송신되고 서로 다른 시점(SSB Set)에서 동기신호가 송신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환경의 인빌딩 내 커버리지 특히 Remote 장비(1),(2),(3),(4)가 설치된 서비스 커버리지 내 사용자(단말)을 가정하면, 단말은 기지국 예컨대 gNBDU_H + DU_L 5G 기지국에서 형성하는 다양한 안테나 빔 중 자신과의 채널환경이 가장 우수한 최적의 빔을 선택 및 선택한 빔을 통해 gNBDU_H + DU_L 5G 기지국으로의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앞서 단말이 Remote 장비(1),(2),(3),(4)가 설치된 서비스 커버리지 내 위치하는 경우로 가정하였으므로, 해당 단말은 Remote 장비(1),(2),(3),(4) 중 하나에서 형성하는 안테나 빔을 최적 빔으로 선택하여 gNBDU_H + DU_L 5G 기지국으로의 접속 시도를 위한 Random Access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 Random Access 과정에서 gNBDU_H + DU_L 5G 기지국 특히 기지국모듈(10)은, 해당 단말이 접속을 시도하고 있는 빔의 SSB 및 Layer index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캐스캐이드(Cascade)로 연결된 각 Remote 장비 예컨대 Remote 장비(1),(2),(3),(4) 별로 SSB Set를 상이하게 할당하고 있기 때문에, 기지국모듈(10)에서는, 2 이상의 무선모듈 즉 Remote 장비(1),(2),(3),(4) 각각에서 상이하게 할당된 시점의 단위 무선자원 즉 SSB(SSB Set) index 및 Remote 장비(1),(2),(3),(4)에 할당되는 Layer index를 기준으로, Remote 장비(1),(2),(3),(4)가 서비스하는 커버리지 내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Remote 장비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모듈(10)에서는, Remote 장비(1),(2),(3),(4)가 설치된 서비스 커버리지 내 각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Remote 장비를 구분함에 따라, 구분한 Remote 장비 별로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무선환경 정보(예: SINR, 수신신호 세기, 지연정보 등, 즉 KPI)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캐스캐이드(Cascade)로 연결된 각 Remote 장비 별로 SSB를 상이하게 할당하는 방식을 통해 각 Remote 장비 별로 동일하지 않은 SSB 및 Layer index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Remote 장비 별로 5G NR 사용자 구분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인빌딩 솔루션을 위한 Remote 장비 운용 시, 캐스캐이드(Cascade)로 연결된 각 Remote 장비 별로 구분된 KPI 수집이 가능해지고, 이를 기반으로 성능 평가 및 인빌딩 서비스 운용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빌딩 내 "각 층 및 분리된 장소" 별로 시공간 주파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재활용하여 5G NR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 상, 본 발명의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가 Remote 장비(예: (1),(2),(3),(4) 각각)에 구현되는 실시예로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에서,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 예컨대 Remote 장비(1)에 구현되는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는, 기지국모듈(10)로부터 제공되는 동기신호 구성정보 즉 SIB 1 Message 내 ssb-PositionsInburst IE SSB 개수 및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S10).
이렇게 되면, Remote 장비(1)에 구현되는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는,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에 대하여 기지국모듈(10)로부터 동일하게 제공되는 ssb-PositionsInburst IE SSB 개수 및 위치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에서,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는, 확인한 IE 내 중심 주파수대역을 확인하여, B6G인 경우 SSB 할당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inOneGroup IE가 이용되는지, A6G인 경우 SSB 할당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inOneGroup IE 또는 groupPresence IE가 이용되는지 확인한다(S20).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에서,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는, S20단계에서 확인한 ssb-PositionsInburst IE(inOneGroup IE, 또는 groupPresence IE)로부터 비트맵(Bitmap) 예컨대 8 Bits 길이의 비트맵(Bitmap)을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에 지정된 SSB의 개수(M) 및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Remote 장비의 개수(N)을 확인한다(S30).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의 동작 방법에서,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는, S30단계에서 확인한 SSB의 개수(M) 및 Remote 장비의 개수(N)을 이용한 연산을 통해, 자신(100)이 구현된 Remote 장비(1)의 순서(1번째)에 해당하는 SSB Set을 자체적으로 할당함으로써, 다른 Remote 장비(2),(3),(4)와는 다른 SSB Set을 할당하여, Remote 장비(1),(2),(3),(4) 각각에 SSB를 중복되지 않게 할당할 수 있다(S40).
예를 들어,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에 대하여 inOneGroup IE가 "1111 1111"로 구성될 때, SSB의 개수(M)의 8이고 Remote 장비의 개수(N)은 4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이 경우,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는, 전술의 수학식 1에 따라, 자신(100)이 구현된 Remote 장비(1)의 순서(1번째)에 해당하는 1번째 Remote 장비에 할당할 SSB 개수(이하, SSB 할당 개수), 즉 2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는, 자신(100)이 구현된 Remote 장비(1)의 순서가 1번째임에 따라, inOneGroup IE 내 Frist/Leftmost로부터 0이 아닌 SSB 할당 개수(2개)의 bit 위치에 해당되는 SSB를 SSB Set으로 자체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100)는, 자신(100)이 구현된 Remote 장비(1)에 대해 다음의 SSB Set를 할당할 수 있다.
Remote 장비(1) : inOneGroup IE = "1100 0000"
물론,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Remote 장비(2),(3),(4) 각각에 구현된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에서도, 자신이 구현된 Remote 장비의 순서(2번째, 3번째, 4번째)에 해당하는 SSB Set을 다음과 같이 자체적으로 할당할 것이다.
Remote 장비(2) : inOneGroup IE = "0011 0000"
Remote 장비(3) : inOneGroup IE = "0000 1100"
Remote 장비(4) : inOneGroup IE = "0000 0011"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 각각에서는, 서로 중복되는 SSB가 없는 각기 다른 SSB Set가 할당됨에 따라, 4 Layer w/ index 1~4에 해당하는 동일 신호가 기존처럼 송신되겠지만 동기신호는 서로 다른 시점(SSB Set)에서 송신하기 때문에, 상호 다른 SSB 및 Layer index가 사용될 수 있다(S60).
한편, 기지국모듈(10)은, 캐스캐이드로 연결된 Remote 장비(1),(2),(3),(4)로 제공한 동기신호 구성정보 즉 ssb-PositionsInburst IE SSB 개수 및 위치 정보를 근거로 Remote 장비(1),(2),(3),(4) 각각에서 동기신호 전송을 위해 상이하게 할당되는 시점 즉 각기 할당한 SSB Set을 인지한다(S50).
기지국모듈(10)은, Remote 장비(1),(2),(3),(4) 각각과의 통신을 기반으로 각기 할당한 SSB Set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환경의 인빌딩 내 커버리지 특히 Remote 장비(1),(2),(3),(4)가 설치된 서비스 커버리지 내 사용자(단말)을 가정하면, 단말은 기지국 예컨대 gNBDU_H + DU_L 5G 기지국에서 형성하는 다양한 안테나 빔 중 자신과의 채널환경이 가장 우수한 최적의 빔을 선택 및 선택한 빔을 통해 gNBDU_H + DU_L 5G 기지국으로의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앞서 단말이 Remote 장비(1),(2),(3),(4)가 설치된 서비스 커버리지 내 위치하는 경우로 가정하였으므로, 해당 단말은 Remote 장비(1),(2),(3),(4) 중 하나에서 형성하는 안테나 빔을 최적 빔으로 선택하여 gNBDU_H + DU_L 5G 기지국으로의 접속 시도를 위한 Random Access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 Random Access 과정에서 gNBDU_H + DU_L 5G 기지국 특히 기지국모듈(10)은, 해당 단말이 접속을 시도하고 있는 빔의 SSB 및 Layer index를 확인할 수 있다(S70).
한편, 본 발명에서는 캐스캐이드(Cascade)로 연결된 각 Remote 장비 예컨대 Remote 장비(1),(2),(3),(4) 별로 SSB Set를 상이하게 할당하고 있기 때문에, 기지국모듈(10)에서는, S70단계에서 Remote 장비(1),(2),(3),(4) 각각에서 상이하게 할당된 SSB(SSB Set) index 및 Remote 장비(1),(2),(3),(4)에 할당되는 Layer index를 기준으로, Remote 장비(1),(2),(3),(4)가 서비스하는 커버리지 내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Remote 장비를 구분할 수 있다.
이에, 기지국모듈(10)에서는, Remote 장비(1),(2),(3),(4)가 설치된 서비스 커버리지 내 각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Remote 장비를 구분함에 따라, 구분한 Remote 장비 별로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무선환경 정보(예: SINR, 수신신호 세기, 지연정보 등, 즉 KPI)를 수집할 수 있다(S80).
전술에서 S10~S40,S50단계의 경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선모듈(Remote 장비)에서 수행되는 SSB 할당 방법과도 대응된다.
한편, 전술의 S50,S70~S80단계의 경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지국모듈에서 수행되는 무선환경 정보(예: SINR, 수신신호 세기, 지연정보 등, 즉 KPI) 수집 방법과도 대응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인빌딩 솔루션을 위한 Remote 장비 운용 시, 캐스캐이드(Cascade)로 연결된 각 Remote 장비 별로 SSB를 상이하게 할당하는 방식을 통해 각 Remote 장비 별로 동일하지 않은 SSB 및 Layer index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Remote 장비 별로 구분된 KPI 수집을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실현하여 성능 평가 및 인빌딩 서비스 운용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SSB 할당 방법과 무선환경 정보 수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SSB 할당 방법, 무선환경 정보 수집 방법에 따르면, 인빌딩 솔루션을 위한 Remote 장비 운용 시, 각 Remote 장비 별로 구분된 KPI 수집을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실현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
110 : 확인부 120 : 할당부

Claims (12)

  1. 기지국모듈로부터 동일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제공받고 동일한 레이어(Layer) 인덱스를 할당받는 2 이상의 무선모듈과 관련하여,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로 제공되는 상기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확인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근거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에서 동기신호를 전송하는 시점을 상이하게 할당하는 할당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모듈에서는,
    동일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제공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에 대하여, 각 무선모듈에 상이하게 할당되는 시점을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부는,
    상기 동기신호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동기신호 전송을 위한 비트맵(Bitmap)을 근거로, 동기신호 전송을 위해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에 지정된 시간 도메인(Time domain)의 단위 무선자원을 확인하고,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에,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에 지정된 단위 무선자원을 중복되지 않게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은,
    상기 기지국모듈과 캐스캐이드(Cascade) 형태로 연결된 Remote 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부는,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에 지정된 상기 단위 무선자원의 개수(M),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개수(N)을 이용한 연산을 통해,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에 지정된 단위 무선자원을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무선자원은,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모듈에서는,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에서 상이하게 할당된 시점의 단위 무선자원 인덱스 및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에 할당되는 레이어(Layer) 인덱스를 기준으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이 서비스하는 커버리지 내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무선모듈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
  7. 기지국모듈로부터 동일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제공받고 동일한 레이어(Layer) 인덱스를 할당받는 2 이상의 무선모듈과 관련하여,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로 제공되는 상기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확인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근거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에서 동기신호를 전송하는 시점을 상이하게 할당하는 할당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모듈에서는,
    동일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제공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에 대하여, 각 무선모듈에 상이하게 할당되는 시점을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8. 기지국모듈과 분리 구성된 무선모듈에서 수행되는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확인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모듈에서 동기신호를 전송하는 SSB를 상기 기지국모듈로부터 동일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제공받는 다른 무선모듈과는 상이하게 할당하는 할당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B 할당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단계는,
    상기 동기신호 구성정보로부터 확인되는 동기신호 전송을 위한 비트맵(Bitmap)을 근거로, 동기신호 전송을 위해 상기 무선모듈 및 상기 다른 무선모듈에 지정된 SSB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모듈 및 상기 다른 무선모듈에 지정된 상기 SSB의 개수(M), 상기 무선모듈 및 상기 다른 무선모듈의 개수(N)을 이용한 연산을 통해, 상기 무선모듈 및 상기 다른 무선모듈에 지정된 SSB 중 상기 다른 무선모듈과는 다른 시점의 SSB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B 할당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모듈 및 상기 다른 무선모듈은,
    상기 기지국모듈과 캐스캐이드(Cascade) 형태로 연결된 Remote 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B 할당 방법.
  11. 2 이상의 무선모듈과 분리 구성된 기지국모듈에서 수행되는 무선환경 정보 수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로 제공한 동기신호 구성정보를 근거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에서 동기신호 전송을 위해 상이하게 할당되는 시점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 각각에서 상이하게 할당된 시점의 단위 무선자원 인덱스 및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에 할당되는 레이어(Layer) 인덱스를 기준으로, 상기 2 이상의 무선모듈이 서비스하는 커버리지 내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무선모듈을 구분하는 구분단계; 및
    상기 구분한 무선모듈 별로,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무선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환경 정보 수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무선자원은,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환경 정보 수집 방법.
KR1020190124019A 2019-10-07 2019-10-07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ssb 할당 방법, 무선환경 정보 수집 방법 KR102291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019A KR102291595B1 (ko) 2019-10-07 2019-10-07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ssb 할당 방법, 무선환경 정보 수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019A KR102291595B1 (ko) 2019-10-07 2019-10-07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ssb 할당 방법, 무선환경 정보 수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383A KR20210041383A (ko) 2021-04-15
KR102291595B1 true KR102291595B1 (ko) 2021-08-18

Family

ID=7544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019A KR102291595B1 (ko) 2019-10-07 2019-10-07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ssb 할당 방법, 무선환경 정보 수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595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902106*
3GPP R1-19102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383A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24084A1 (zh) 一种基站、ue中非授权频谱上的调度方法和设备
US20180234888A1 (en) User equipment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US20190021095A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14080488A1 (ja) 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制御方法、無線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101386198B1 (ko) 비승인 대역을 이용한 무선 자원 할당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23315B2 (en) Shared spectrum with high availability for private enterprise networks
JP540825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中継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196434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US10425823B2 (en) Cell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cell management apparatus
JP568833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079928B1 (ko) 클러스터 기반의 협력 센싱을 위한 무선 인지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US101493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WO2014205852A1 (zh) 信号测量方法和装置
KR102291595B1 (ko) 동기신호 전송 제어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ssb 할당 방법, 무선환경 정보 수집 방법
Quang et al. Energy harvesting-based spectrum access model in overlay cognitive radio
KR20160051166A (ko) 주파수 도약에 의한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JP2019193225A (ja) 無線エリア設計装置及び無線エリア設計プログラム
CN107211284B (zh) 用户端侧动态频率选择检查
WO2020196183A1 (ja) 基地局、及び、通知方法
KR101465223B1 (ko) 분할된 무선 자원에 기반하여 레인징하는 시스템
JP7068351B2 (ja) 時間領域リソース情報の指示方法及び装置
US202200708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663785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制御局
EP3869870B1 (en) Signal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base station
KR20130068015A (ko) 차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자원 할당 장치 및 자원 할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