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161B1 - 유압 진동 장치 - Google Patents

유압 진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161B1
KR102291161B1 KR1020210038753A KR20210038753A KR102291161B1 KR 102291161 B1 KR102291161 B1 KR 102291161B1 KR 1020210038753 A KR1020210038753 A KR 1020210038753A KR 20210038753 A KR20210038753 A KR 20210038753A KR 102291161 B1 KR102291161 B1 KR 102291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ommunication path
pressure fluid
vibration device
movable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식
Original Assignee
신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식 filed Critical 신정식
Priority to KR102021003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03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ctuators, e.g. speed, floating function
    • E02F9/22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ctuators, e.g. speed, floating function for generating actuator vib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개시되는 유압 진동 장치는, 가동스풀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는 상부본체; 및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피스톤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되, 상기 가동스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버킷실린더에 진동 구동을 위한 유압을 공급하는 하부본체;를 포함함으로써, 장비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면서 장비의 손상을 유발하지 않도록 안정적인 유압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압 진동 장치{HYDRAULIC VIBRATOR}
본 발명(Disclosure)은, 유압 진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부본체에 가동스풀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고, 상부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본체에 피스톤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되, 가동스풀의 좌우 이동에 따라 피스톤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버킷실린더에 진동 구동을 위한 유압을 공급함으로써, 장비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면서 장비의 손상을 유발하지 않도록 안정적인 유압을 공급할 수 있는 유압 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건설공사 현장 또는 토목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중장비인 굴삭기는 도로공사, 상하수도공사, 건축기초공사, 토지조성공사, 토사 채취 및 암반 파쇄 공사 등 폭넓게 사용되는 건설장비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굴삭기는 타격 작동, 회전 작동 및 드릴링 작동에 따른 지반의 다짐, 파쇄, 굴착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의 용도에 따라 진동 리퍼, 버킷, 브레이커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굴삭기에 장착된 버킷을 이용하여 토양의 다짐 작업 등을 위해서는 버킷을 구동시키는 버킷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고, 이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유압 진동 장치가 구비될 수 있는데, 장비의 손상을 유발하지 않도록 안정적인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진동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79213호(1998.11.25.공개)
본 발명(Disclosure)은, 상부본체에 가동스풀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고, 상부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본체에 피스톤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되, 가동스풀의 좌우 이동에 따라 피스톤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버킷실린더에 진동 구동을 위한 유압을 공급함으로써, 장비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면서 장비의 손상을 유발하지 않도록 안정적인 유압을 공급할 수 있는 유압 진동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는, 가동스풀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는 상부본체; 및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피스톤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되, 상기 가동스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버킷실린더에 진동 구동을 위한 유압을 공급하는 하부본체;를 포함한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에서, 상기 상부본체는, 상기 가동스풀이 구비되는 상부내설공간과 유압탱크와 연결된 제 1 연통포트와 제 2 연통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에서, 상기 하부본체는, 상기 피스톤이 구비되는 하부내설공간의 양단부에 상기 유압탱크 또는 버킷실린더로 고압유체를 배출하는 제 1 배출포트 및 제 2 배출포트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에서, 상기 가동스풀은, 가동스풀몸체의 외주에 제 1 홈부, 제 1 돌출단부, 제 2 홈부 및 제 2 돌출단부가 연속 형성되고, 우측단부의 중앙부분에 상기 상부내설공간의 우측단부에 고정된 고정스풀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에서, 상기 피스톤은,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피스톤몸체가 형성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에서, 상기 상부내설공간은, 상기 하부내설공간과 연결되는 제 1 연통로, 제 2 연통로, 제 3 연통로 및 제 4 연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에서, 상기 유압 진동 장치는, 상기 제 2 연통포트를 통해 상기 고압유체가 상기 제 2 홈부로 공급될 경우 상기 가동스풀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4 연통로를 통해 상기 고압유체가 상기 피스톤의 우측외주부에 유입되어 상기 피스톤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측토출압력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배출포트를 통해 상기 고압유체가 상기 버킷실린더의 일영역에 공급되는 제 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에서, 상기 유압 진동 장치는, 상기 제 1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우측외주부가 상기 제 3 연통로를 통해 상기 상부내설공간과 연결될 경우 상기 가동스풀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스톤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압유체를 우측방향으로 압축시키는 제 2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에서, 상기 유압 진동 장치는, 상기 제 2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가동스풀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연통로를 통해 상기 피스톤의 좌측외주부에 상기 고압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피스톤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타측토출압력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배출포트를 통해 상기 고압유체가 상기 버킷실린더의 타영역에 공급되는 제 3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에서, 상기 유압 진동 장치는, 상기 제 3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피스톤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앙홈이 상기 제 2 연통로 및 제 3 연통로를 통해 상기 상부내설공간과 연통될 경우 상기 가동스풀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4 연통로를 통해 상기 고압유체가 상기 피스톤의 우측외주부에 유입되면서 상기 피스톤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압유체를 좌측방향으로 압축시키는 제 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본체에 가동스풀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고, 상부본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본체에 피스톤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되, 가동스풀의 좌우 이동에 따라 피스톤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버킷실린더에 진동 구동을 위한 유압을 공급함으로써, 장비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면서 장비의 손상을 유발하지 않도록 안정적인 유압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가 설치된 버킷 장비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가 설치된 버킷 장비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10)는 버킷실린더(20)의 일영역(21)과 타영역(22)에 각각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영역과 다른 영역에 유압을 교차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버킷장비(30)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일영역(21) 또는 타영역(22)과 유압 진동 장치(10)는 파이프, 커플러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10)는 상부본체(100), 하부본체(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본체(100)는 상부내설공간(110)에 가동스풀(120)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며, 상부내설공간(110)의 우측단부에 고정스풀(1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본체(100)에는 고압유체를 유입 또는 배출시키는 유압탱크(도시 생략됨)와 상부내설공간(110)이 연결된 제 1 연통포트(140)와 제 2 연통포트(15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연통포트(140)는 가동스풀(120)의 좌측공간 및 제 1 홈부(122) 공간과 유압탱크를 연결시키는 포트이며, 제 2 연통포트(150)는 가동스풀(120)의 제 2 홈부(124) 공간과 유압탱크를 연결시키는 포트이다.
그리고, 가동스풀(120)은 가동스풀몸체(121)의 외주에 제 1 홈부(122), 제 1 돌출단부(123), 제 2 홈부(124) 및 제 2 돌출단부(125)가 연속 형성되고, 우측단부의 중앙부분에 상부내설공간(110)의 우측단부에 고정된 고정스풀(130)이 수용되는 수용홈(12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동스풀(120)에는 제 2 홈부(124)와 수용홈(126)을 연결하는 제 1 연통구(127)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고압유체가 제 2 홈부(124)과 수용홈(126)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하부본체(200)는 상부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피스톤(220)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되, 상부본체(100)에 구비되는 가동스풀(1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피스톤(22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버킷실린더(20)에 진동 구동을 위한 유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본체(200)에는 피스톤(220)이 구비되는 하부내설공간(210)의 양단부에 유압탱크 또는 버킷실린더(20)로 고압유체를 배출하는 제 1 배출포트(230) 및 제 2 배출포트(24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220)은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형의 피스톤몸체(221)가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피스톤몸체(221)는 좌측외주부(222), 중앙부(223) 및 우측외주부(224)로 구획될 수 있으며, 중앙부(223)에는 좌측돌출단(225), 중앙홈(226) 및 우측돌출단(227)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220)의 중앙부(223)와 우측외주부(224)의 경계부에는 내부공간(228)과 연결된 제 2 연통구(229)가 구비될 수 있고, 피스톤(220)의 내부공간(228) 양단부에는 좌측체크밸브(250) 및 우측체크밸브(260)가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피스톤(2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유압탱크와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압탱크로부터 내부공간(228)으로 저압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피스톤(220)의 내부공간(228)은 좌측체크밸브(250) 및 우측체크밸브(260)와 제 2 연통구(229)가 연결되어 부족한 유체가 보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하부내설공간(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220)의 외주면 중에서 좌측외주부(222)에 접하는 하부내설공간(210)의 내주면, 피스톤(220)의 좌측돌출단(225)의 외주면, 피스톤(220)의 우측외주부(224)에 접하는 하부내설공간(210)의 내주면 등에는 좌우측 공간과의 밀폐를 위해 오링(o-ring), 시일(seal) 등이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부본체(100)에 구비된 상부내설공간(110)과 하부본체(200)에 구비된 하부내설공간(210)은 서로 연결되는 제 1 연통로(300), 제 2 연통로(400), 제 3 연통로(500) 및 제 4 연통로(600)를 구비하는데, 가동스풀(1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피스톤(220)이 좌우 이동하게 되면서 상부내설공간(110)과 하부내설공간(210)을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연통로(300)는 가동스풀(120)의 좌우 이동과 피스톤(2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가동스풀(120)의 좌측부 공간 및 제 1 홈부(122) 공간, 또는 제 1 돌출단부(123) 공간, 또는 제 2 홈부(124) 공간과 피스톤(220)의 좌측외주부(224) 공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연통로(400)는 가동스풀(120)의 좌우 이동과 피스톤(2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가동스풀(120)의 제 1 돌출단부(123) 공간 또는 제 2 홈부(124) 공간과 피스톤(220)의 중앙홈(226) 공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동스풀(120)의 제 1 돌출단부(123) 공간과 피스톤(220)의 중앙홈(226) 공간이 연결될 경우 제 1 연통로(300)와 제 2 연통로(40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에, 제 3 연통로(500)는 가동스풀(120)의 좌우 이동과 피스톤(2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가동스풀(120)의 제 2 돌출단부(125) 공간과 피스톤(220)의 중앙홈(226) 공간 또는 우측돌출단(227) 공간 또는 우측외주부(224) 공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동스풀(120)의 제 2 돌출단부(125) 공간과 피스톤(220)의 우측외주부(224) 공간이 연결될 경우 제 3 연통로(500)와 제 4 연통로(60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4 연통로(600)는 가동스풀(120)의 좌우 이동과 피스톤(2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가동스풀(120)의 우측부 공간과 피스톤(220)의 우측외주부(224) 공간을 연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유압 진동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10)는 제 2 연통포트(150)를 통해 고압유체가 제 2 홈부(124)로 공급될 경우 가동스풀(120)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4 연통로(600)를 통해 고압유체가 피스톤(220)의 우측외주부(224)에 유입되어 피스톤(220)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측토출압력을 형성하며, 제 1 배출포트(230)를 통해 고압유체가 버킷실린더(20)의 일영역(21)에 공급되는 제 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단계에서는 제 2 연통포트(150)를 통해 고압유체가 가동스풀(120)의 제 2 홈부(124) 공간으로 공급될 경우 제 2 홈부(124) 공간으로 유입된 고압유체가 제 2 돌출단부(125)의 좌측면을 밀어 가동스풀(120)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동스풀(120)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가동스풀(120)의 우측공간에 존재하는 고압유체가 제 4 연통로(600)를 통해 피스톤(220)의 우측외주부(224)에 유입되어 피스톤(220)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스톤(220)의 좌측 이동에 따라 하부본체(200)의 좌측단부에 일측토출압력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부본체(200)의 좌측단부에 형성된 일측토출압력에 따라 고압유체가 제 1 배출포트(230)를 통해 버킷실린더(20)의 일영역(21)에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피스톤(220)의 내부공간(228) 우측단부에 구비된 우측체크밸브(260)가 개방되고, 유압탱크로부터 내부공간(228)으로 유입된 저압유체는 피스톤(220)의 좌측이동에 따라 하부내설공간(210)의 좌측단부(210a) 방향으로 압축하여 압력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10)는 제 1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우측외주부(224)이 제 3 연통로(500)를 통해 상부내설공간(110)과 연결될 경우 가동스풀(120)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피스톤(220)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압유체를 우측방향으로 압축시키는 제 2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단계에서는 가동스풀(120)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피스톤(220)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일측토출압력을 형성하는 제 1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피스톤(220)의 우측외주부(224)가 제 3 연통로(500)를 통해 상부내설공간(110)과 연결되는 지점(a)을 통과할 경우 제 3 연통로(500)와 제 4 연통로(600)는 서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고압유체가 가동스풀(120)의 우측공간으로 유입되어 가동스풀(120)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스풀(120)의 이동에 따라 제 1 연통로(300) 및 제 2 연통로(400)로 연결된 고압유체의 단면적과 제 3 연통로(500) 및 제 4 연통로(600)로 연결된 고압유체의 단면적의 차이로 인해 피스톤(220)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압유체를 우측방향으로 압축시킬 수 있다.
이 때, 피스톤(220)의 내부공간(228) 좌측단부에 구비된 좌측체크밸브(250)가 개방되고, 유압탱크로부터 내부공간(228)으로 유입된 저압유체는 피스톤(220)의 우측이동에 따라 하부내설공간(210)의 우측단부(210b) 방향으로 압축하여 압력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10)는 제 2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가동스풀(120)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연통로(300)를 통해 피스톤(220)의 좌측외주부(222)에 고압유체가 유입되고, 피스톤(220)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타측토출압력을 형성하며, 제 2 배출포트(240)를 통해 고압유체가 버킷실린더(20)의 타영역(22)에 공급되는 제 3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단계에서는 피스톤(220)의 우측방향 이동에 따라 고압유체를 우측방향으로 압축시키는 제 2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가동스풀(120)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2 홈부(224)을 통해 제 1 연통로(300)와 제 2 연통로(400)가 연결되고, 연결된 제 1 연통로(300)를 통해 고압유체가 피스톤(220)의 좌측외주부(222)에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220)의 좌측외주부(222)으로 유입된 고압유체가 피스톤(220)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부내설공간(210)의 우측단부에 타측토출압력을 형성함으로써, 하부내설공간(210)의 우측단부에 구비된 제 2 배출포트(240)를 통해 고압유체가 버킷실린더(20)의 타영역(22)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피스톤(220)의 내부공간(228) 좌측단부에 구비된 좌측체크밸브(250)가 개방되고, 유압탱크로부터 내부공간(228)으로 유입된 저압유체는 피스톤(220)의 우측이동에 따라 제 2 연통구(229)를 통해 하부내설공간(210)으로 배출된 후 유압탱크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10)는 제 3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피스톤(220)의 중앙부(223)에 형성된 중앙홈(226)이 제 2 연통로(400) 및 제 3 연통로(500)를 통해 상부내설공간(110)과 연통될 경우 가동스풀(120)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4 연통로(600)를 통해 고압유체가 피스톤(220)의 우측외주부(224)에 유입되면서 피스톤(220)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압유체를 좌측방향으로 압축시키는 제 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단계에서는 가동스풀(120)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피스톤(220)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타측토출압력을 형성하는 제 3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피스톤(220)의 중앙홈(226)이 제 3 연통로(500)의 좌측 지점(b)을 통과할 경우 제 2 홈부(124) 공간으로 유입된 고압유체가 다시 제 2 돌출단부(125)의 좌측면을 밀어 가동스풀(120)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동스풀(120)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제 1 연통로(300) 및 제 4 연통로(600)로 연결된 고압유체의 단면적과 제 2 연통로(400) 및 제 3 연통로(500)로 연결된 고압유체의 단면적의 차이로 인해 피스톤(220)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압유체를 좌측방향으로 압축시킬 수 있다.
이 때, 피스톤(220)의 내부공간(228) 우측단부에 구비된 우측체크밸브(260)가 개방되고, 유압탱크로부터 내부공간(228)으로 유입된 저압유체는 피스톤(220)의 좌측이동에 따라 하부내설공간(210)으로 배출된 후 유압탱크로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진동 장치(10)는 제 1 단계, 제 2 단계, 제 3 단계 및 제 4 단계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버킷실린더(20)의 일영역(21)과 타영역(22)에 교대로 반복하여 유압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버킷장비(30)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본체에 가동스풀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고, 상부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본체에 피스톤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되, 가동스풀의 좌우 이동에 따라 피스톤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버킷실린더에 진동 구동을 위한 유압을 공급함으로써, 장비에 진동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면서 장비의 손상을 유발하지 않도록 안정적인 유압을 공급할 수 있다.

Claims (10)

  1. 가동스풀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는 상부본체; 및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피스톤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되, 상기 가동스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버킷실린더에 진동 구동을 위한 유압을 공급하는 하부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본체는, 상기 가동스풀이 구비되는 상부내설공간과 유압탱크와 연결된 제 1 연통포트와 제 2 연통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본체는, 상기 피스톤이 구비되는 하부내설공간의 양단부에 상기 유압탱크 또는 버킷실린더로 고압유체를 배출하는 제 1 배출포트 및 제 2 배출포트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가동스풀은, 가동스풀몸체의 외주에 제 1 홈부, 제 1 돌출단부, 제 2 홈부 및 제 2 돌출단부가 연속 형성되고, 우측단부의 중앙부분에 상기 상부내설공간의 우측단부에 고정된 고정스풀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유압 진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양단부가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피스톤몸체가 형성되는 유압 진동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내설공간은, 상기 하부내설공간과 연결되는 제 1 연통로, 제 2 연통로, 제 3 연통로 및 제 4 연통로를 구비하는 유압 진동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압 진동 장치는, 상기 제 2 연통포트를 통해 상기 고압유체가 상기 제 2 홈부로 공급될 경우 상기 가동스풀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4 연통로를 통해 상기 고압유체가 상기 피스톤의 우측외주부에 유입되어 상기 피스톤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측토출압력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배출포트를 통해 상기 고압유체가 상기 버킷실린더의 일영역에 공급되는 제 1 단계를 수행하는 유압 진동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압 진동 장치는, 상기 제 1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우측외주부가 상기 제 3 연통로를 통해 상기 상부내설공간과 연결될 경우 상기 가동스풀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스톤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압유체를 우측방향으로 압축시키는 제 2 단계를 수행하는 유압 진동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압 진동 장치는, 상기 제 2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가동스풀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연통로를 통해 상기 피스톤의 좌측외주부에 상기 고압유체가 유입되고, 상기 피스톤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타측토출압력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배출포트를 통해 상기 고압유체가 상기 버킷실린더의 타영역에 공급되는 제 3 단계를 수행하는 유압 진동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압 진동 장치는, 상기 제 3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피스톤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앙홈이 상기 제 2 연통로 및 제 3 연통로를 통해 상기 상부내설공간과 연통될 경우 상기 가동스풀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4 연통로를 통해 상기 고압유체가 상기 피스톤의 우측외주부에 유입되면서 상기 피스톤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압유체를 좌측방향으로 압축시키는 제 4 단계를 수행하는 유압 진동 장치.
KR1020210038753A 2021-03-25 2021-03-25 유압 진동 장치 KR102291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753A KR102291161B1 (ko) 2021-03-25 2021-03-25 유압 진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753A KR102291161B1 (ko) 2021-03-25 2021-03-25 유압 진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161B1 true KR102291161B1 (ko) 2021-08-19

Family

ID=7749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753A KR102291161B1 (ko) 2021-03-25 2021-03-25 유압 진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1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4197A (ja) * 1995-04-14 1996-10-29 Komatsu Ltd バケット式掘削機
KR19980079213A (ko) 1997-04-30 1998-11-25 토니 헬샴 유압식 건설기계의 자동진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4197A (ja) * 1995-04-14 1996-10-29 Komatsu Ltd バケット式掘削機
KR19980079213A (ko) 1997-04-30 1998-11-25 토니 헬샴 유압식 건설기계의 자동진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3785A (ko) 슬리브/라이너 어셈블리와 이를 사용하는 유압해머
KR101657058B1 (ko) 더블 팽창식 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트 시공방법
GB2438955A (en) Accumulator for downhole application with movable anti-extrusion device
KR102104260B1 (ko) 수압파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압파쇄방법
CN110029940B (zh) 动压反馈先导控制液动冲击振荡器
KR101868086B1 (ko) 천공 및 그라우팅 로드장치
KR102291161B1 (ko) 유압 진동 장치
US10562165B2 (en) Hydraulic hammer
CN107313472A (zh) 预应力管桩桩端承载力测试装置及方法
US6105686A (en) Pressure accumulator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a hydraulically operated impact device, such as a breaking apparatus
US20090084257A1 (en) Hydraulic cylinder having multi-stage snubbing valve
KR100972629B1 (ko) 무진동 암반절개기용 수압공급장치
CN108730151B (zh) 一种液压驱动的高压注浆泵
KR20160046992A (ko) 밸브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펌프
CN104822950A (zh) 工程机械的液压回路
KR20170028006A (ko) 유압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
CN109578004A (zh) 兼具土压平衡和泥水平衡的组合式顶管机及施工方法
CN103321571A (zh) 旋挖钻机
US10245714B2 (en) Hydraulic buffer with fast startup
CN217302131U (zh) 一种聚氨酯法地下管道局部破损定点修复装置
CN2381669Y (zh) 异形灌注桩振喷挤扩成孔钻头
KR101948851B1 (ko) 유압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유압 장치
CN217735428U (zh) 一种工程勘察用突水突泥探挖装置
CN209892104U (zh) 动压反馈先导控制液动冲击振荡器
KR102635473B1 (ko) 유압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 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