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931B1 - Beverage dispen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f beverage dispenser - Google Patents

Beverage dispen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f beverage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931B1
KR102290931B1 KR1020140100035A KR20140100035A KR102290931B1 KR 102290931 B1 KR102290931 B1 KR 102290931B1 KR 1020140100035 A KR1020140100035 A KR 1020140100035A KR 20140100035 A KR20140100035 A KR 20140100035A KR 102290931 B1 KR102290931 B1 KR 102290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cold water
beverage
lid
hollow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2670A (en
Inventor
다카시 하라다
가쿠 미야가와
히로후미 하나노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2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6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9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디스펜서(7)는 음료수가 봉입된 음료수 용기(2)와 냉각 장치(13)를 구비한 냉수 탱크(11)와 냉수 탱크를 수용하는 케이싱(10)과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고 냉수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냉수 배출부(18A)와 냉수 탱크에 온수를 공급하여 살균하는 살균 처리부를 구비하고, 냉수 탱크는 상자체(12B)와 그 상자체를 폐쇄하는 뚜껑부(12A)를 포함하고 있고 그 뚜껑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냉수 탱크에는 뚜껑부의 개구부에 연통됨과 함께 그 선단이 음료수 용기에 접속되는 중공 니들(4)이 구비되어 있고 적어도 중공 니들 및 뚜껑부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dispenser 7 includes a cold water tank 11 having a beverage container 2 filled with beverages and a cooling device 13, a casing 10 accommodating the cold water tank, and cold water extending from the cold water tank. A discharging unit 18A and a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by supplying hot water to the cold water tank are provided, and the cold water tank includes a box 12B and a lid 12A for closing the box, and the lid has an opening. is formed, and the cold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hollow needle 4 that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of the lid and has a tip connected to the beverage container, and at least the hollow needle and the lid are made of metal.

Description

음료수 디스펜서 및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BEVERAGE DISPEN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F BEVERAGE DISPENSER}Beverage dispen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beverage dispenser

본 발명은 음료수를 공급하는 디스펜서 및 그러한 디스펜서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enser for supplying beverages and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such dispenser.

종래부터 탱크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냉수 탱크에서 냉각하는 것과 함께 온수 탱크에서 가열하여 필요에 따라서 냉수 및/또는 온수를 주출(注出)하는 디스펜서가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a dispenser for cooling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tank in the cold water tank and heating it in the hot water tank and pouring out cold water and/or hot water as needed has been used.

통상적으로는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는 밀폐식으로 공기 중의 잡균이 이들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 안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87295호에는 밀폐 뚜껑에 의해 밀폐되는 냉수 탱크가 개시되어 있다.In general, the cold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tank are sealed, and various germs in the air ar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cold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tank.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187295 discloses a cold water tank sealed by an airtight lid.

여기서 종래 기술의 디스펜서에서는 디스펜서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면 냉수 탱크에 잡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디스펜서를 정기적으로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온수를 냉수 탱크에 공급하여 냉수 탱크를 고온으로 하여 살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층 더 안심되고 안전한 음료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냉수 탱크 이외의 부분, 예를 들어 냉수 탱크의 뚜껑부, 음료수를 수용하고 있는 탱크와 냉수 탱크를 접속하고 있는 배관이나 지그도 살균이나 세정하는 것이 요구되게끔 되었다. 그러나 온수에 의한 살균의 효과는 냉수 탱크에 한정되어 그 이외의 부분을 살균하기 위해서는 디스펜서를 분해해서 각 부품을 살균 및 세정할 필요가 있다.Here, in the dispenser of the prior art, if the dispenser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various germs may be propagated in the cold water tank. For this reason, the dispenser is temporarily stopped periodically, and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tank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for sterilization. However, in order to provide safer and safer drinking water, parts other than the cold water tank, for example, the lid of the cold water tank, and the piping or jig connecting the tank holding the drink and the cold water tank are also required to be sterilized or cleaned. it became sloppy However, the effect of sterilization by hot water is limited to the cold water tank, and in order to sterilize other parts, it is necessary to disassemble the dispenser to sterilize and clean each part.

또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디스펜서의 주변 환경의 냄새가 냉수 탱크 안으로 침입하여 음료수의 풍미가 약간 변화할 가능성이 있어, 디스펜서의 주변 환경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음료수의 풍미를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mell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ispenser penetrates into the cold water tank and the flavor of the beverage is slightly changed.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기간에 걸쳐 운전한 경우라도 잡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청정성을 유지하면서 음료수 본래의 풍미를 유지할 수 있는 음료수의 디스펜서 및 그와 같은 디스펜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dispenser capable of suppressing the growth of various bacteria and maintaining the original flavor of the beverage while maintaining cleanliness even when it is oper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dispenser do it with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번째 양태에 의하면, 음료수가 봉입된 음료수 용기와 냉각 장치를 구비한 냉수 탱크와 그 냉수 탱크에 접속되어 있고 가열 장치를 구비한 온수 탱크와 상기 냉수 탱크 및 상기 온수 탱크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그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냉수 배출부와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수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온수 배출부와 상기 냉수 탱크에 온수를 공급하여 살균하는 살균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수 탱크는 상자체와 그 상자체를 폐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있고 그 뚜껑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에는 상기 뚜껑부의 상기 개구부에 연통(連通)됨과 함께 그 선단이 상기 음료수 용기의 주수구(注水口)에 접속되는 중공 니들이 구비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중공 니들 및 상기 뚜껑부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음료수 디스펜서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first aspect, there is provided a cold water tank having a beverage container filled with beverage and a cooling device, and a hot water tank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and provided with a heating device, the cold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tank. A casing for accommodating the housing, a cold water discharge unit formed in the casing and extending from the cold water tank, a hot water discharge unit formed in the casing and extending from the hot water tank, and a sterilization treatment unit for supplying hot water to the cold water tank to sterilize and the cold water tank includes a box body and a lid for closing the box,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lid, and the cold water tank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of the lid, and the tip ends with the beverage. There is provided a beverage dispenser provided with a hollow needle connected to a water spout of a container, wherein at least the hollow needle and the lid are formed of metal.

두번째 양태에 의하면, 첫번째 양태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 니들이 장착된 장착 부재와 상기 중공 니들의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뚜껑부의 상기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공급 파이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장착 부재 및 상기 공급 파이프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member formed on the lid portion in the first aspect and to which the hollow needle is mounted; and a supply pipe extending from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needle to the opening portion of the lid portion, the mounting member and The supply pipe is made of metal.

세번째 양태에 의하면, 첫번째 또는 두번째 양태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에 장착되어 있고 전자 밸브가 형성된 공기빼기관을 추가로 구비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in the first or second aspect, there is further provided an air bleed pipe mounted on the cold water tank and provided with a solenoid valve.

네번째 양태에 의하면, 첫번째 내지 세번째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에는 상기 냉수 탱크의 음료수의 소정의 저(低)레벨을 계측하는 레벨계를 추가로 구비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in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the cold water tank further includes a level gauge for measuring a predetermined low level of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다섯번째 양태에 의하면, 첫번째 내지 네번째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의 상기 상자체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in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aspects, the box body of the cold water tank is formed of metal.

여섯번째 양태에 의하면, 음료수가 봉입된 음료수 용기와 냉각 장치를 구비한 냉수 탱크와 상기 냉수 탱크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그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냉수 배출부와 상기 냉수 탱크는 상자체와 그 상자체를 폐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있고, 그 뚜껑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에는 상기 뚜껑부의 상기 개구부에 연통됨과 함께 그 선단이 상기 음료수 용기의 주수구에 접속되는 중공 니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에는 전자 밸브가 형성된 공기빼기관이 장착되어 있는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에 있어서의 음료수의 액면 높이를 계측하여 상기 액면 높이가 소정 시간에 걸쳐 소정의 저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냉수 탱크 내에 음료수가 없다고 판단하여 상기 공기빼기관의 상기 전자 밸브를 일정 시간만큼 개방하고, 상기 공기빼기관의 상기 전자 밸브를 일정 시간만큼 개방한 후에 상기 냉수 탱크에 있어서의 음료수의 액면 높이를 계측하여 상기 액면 높이가 소정 시간에 걸쳐 소정의 저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음료수 용기 안의 음료수가 없다고 판단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a cold water tank having a beverage container in which beverage is sealed and a cooling device, a casing for accommodating the cold water tank, and a cold water discharge unit extending from the cold water tank and extending from the cold water tank are It includes a lid part for closing itself and the box, the lid part has an opening, and the cold water tank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part of the lid part and a hollow tip connected to the water spout of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control method of a beverage dispenser provided with a needle and equipped with an air bleed pipe provided with a solenoid valve in the cold water tank, the liquid level of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is measured to determine the liquid level ov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s maintaine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drinking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the solenoid valve of the air bleed pipe is ope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solenoid valve of the air bleed pipe is ope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the cold water Provided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beverage dispenser that measures the liquid level of the beverage in the tank and issues an alarm by judging that there is no beverage in the beverage container when the liquid level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low level over a predetermined time. .

일곱번째 양태에 의하면, 여섯번째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액면 높이가 소정 시간에 걸쳐 소정의 저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냉수 배수부의 전자 밸브를 폐쇄하도록 하였다.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in the sixth aspect, when the liquid level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low level over a predetermined time, the solenoid valve of the cold water drain unit is closed.

첫번째 양태에 있어서는 뚜껑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중공 니들 및 뚜껑부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를 사용한 냉수 탱크의 살균시에 온수의 열에 의해 중공 니들 및 뚜껑부가 짧은 시간에 고온이 된다. 따라서 이들 중공 니들 및 뚜껑부도 살균되어 분해해서 세정하지 않고도 디스펜서의 청정성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된다. 또 뚜껑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에 연통하여 중공 니들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 형상에 따른 압력 손실이 없고 음료수 용기 안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에 공급되기 쉽다. 그 결과 냉수 탱크 안의 밀폐 구조가 유지되면서 냉수 탱크 안에서의 음료수의 수위를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음료수와 공기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냉수 탱크 안의 음료수에 잡균이나 디스펜서 주변 분위기의 냄새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뚜껑부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를 사용한 냉수 탱크의 살균에 따른 열 변형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냉수 탱크 안의 밀폐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 외부로부터의 잡균이나 주변 분위기의 냄새가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지제 부품이 적어지기 때문에, 음료수에 수지의 냄새가 부착되는 것이 억제되어 음료수의 품질이 향상된다. 금속은 SUS(스테인리스강) 또는 구리 등이다.In the first aspect, since an opening is formed in the lid portion and the hollow needle and the lid portion are made of metal, the hollow needle and the lid portion become high temperature in a short time due to the heat of the hot water during sterilization of a cold water tank using hot water. Therefore, these hollow needles and lids are also sterilized, and the cleanliness of the dispenser is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disassembling and cleaning. In addition, since an opening is formed in the lid and a hollow needle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there is no pressure loss due to the shape of the pipe, and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container is easily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As a result, the water level in the cold water tank can be raised while the sealed structure inside the cold water tank is maintained, so that contact between the drink and the air can be prevented, and bacteria and odors from the atmosphere around the dispenser can be prevented from adhering to the drink in the cold water tank.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since the lid part is formed of metal, thermal deformation due to sterilization of the cold water tank using hot water is suppressed. For this reason, the sealed structure in the cold water tank can be maintained, and it can suppress the penetration|invasion of various microbes from the outside and the odor of the surrounding atmosphere. And since resin-made parts decrease, adhesion of the smell of resin to a drink is suppressed, and the quality of a drink improves. The metal is SUS (stainless steel) or copper or the like.

두번째 양태에 있어서는 중공 니들, 뚜껑부, 장착 부재 및 공급 파이프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온수를 사용한 냉수 탱크의 살균시에 이들 부품을 살균할 수 있다. 또 수지제 부품이 더욱 적어지기 때문에, 음료수에 수지의 냄새나 디스펜서 주변 분위기의 냄새가 부착되는 것이 한층 더 억제되어 음료수의 품질이 향상된다.In the second aspect, since the hollow needle, the lid portion, the mounting member and the supply pipe are made of metal, these parts can be sterilized during sterilization of the cold water tank using hot water.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resin parts is further reduced, the adhesion of the smell of resin or the odor of the atmosphere around the dispenser to the beverage is further suppressed, and the quality of the beverage is improved.

세번째 양태에 있어서는 공기가 디스펜서의 외부로부터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잡균 및 디스펜서의 주변 악취가 디스펜서 안으로 혼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공기빼기관을 사용하여 냉수 탱크 안의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가요성 봉지 안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 안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된다.In the third aspect, since air does not flow in from the outside of the dispenser, mixing of various germs and odors surrounding the dispenser into the dispenser is suppressed. In addition, by evacuating the air in the cold water tank using an air bleed pipe, the beverage in the flexible bag can easily flow into the cold water tank.

네번째 양태에 있어서는 냉수 탱크 안의 음료수가 적어진 경우에는 즉시 그 상태가 판명되기 때문에, 뚜껑부의 개구부와 중공 니들이 연통되어 있다고 해도 냉수 탱크 안의 음료수는 거의 가득차게 유지된다. 따라서 음료수와 공기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잡균 및 디스펜서의 주변 악취가 음료수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음료수의 품질이 향상된다.In the fourth aspect, when the amount of drinking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runs out, the state is immediately determined. Therefore, even if the opening of the lid and the hollow needl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drinking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is kept almost ful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air,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adhesion of various germs and odors around the dispenser to the beverage. As a result, the quality of the beverage is improved.

다섯번째 양태에 있어서는 중공 니들, 뚜껑부 및 상자체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를 사용한 냉수 탱크의 살균시에 이들 부품을 살균할 수 있다. 또 수지제 부품이 더욱 적어지기 때문에, 음료수에 수지의 냄새가 부착되는 것이 한층 더 억제되어 음료수의 품질이 향상된다.In the fifth aspect, since the hollow needle, the lid and the box are made of metal, these parts can be sterilized during sterilization of the cold water tank using hot water.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resin parts is further reduced, adhesion of the resin odor to the beverage is further suppressed, and the quality of the beverage is improved.

여섯째 양태에 있어서는 공기빼기관의 전자 밸브를 일정 시간만큼 개방한 후에 냉수 탱크에 있어서의 냉수의 액면 높이가 소정 시간에 걸쳐 소정의 저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냉수 탱크 안의 냉수 및 가요성 봉지안의 음료수가 없다고 판단하여 경보를 발령한다. 따라서 냉수 탱크 안의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음료수가 없는 것을 조작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 경보는 가요성 봉지의 교환을 재촉하는 경보여도 된다.In the sixth aspect, when the liquid level of the cold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maintains a predetermined low level ov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olenoid valve of the air bleed pipe is ope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ld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and the 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drink and issues an alarm. Therefore, while maintaining the airtightness in the cold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operator that there is no drinking water. This alarm may be an alarm prompting replacement of the flexible bag.

일곱번째 양태에 있어서는 잡균이나 주변 환경의 냄새가 외부로부터 냉수 배수부를 통해 디스펜서 안으로 유입되는 것이 억제된다.In the seventh aspect, the inflow of various germs and odor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rom the outside into the dispenser through the cold water drain is suppressed.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들 목적, 특징 및 이점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근거한 음료수 디스펜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근거한 음료수 디스펜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a는 니들 캡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니들 캡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eedle cap;
4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needle cap.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이들 도면은 축척을 적절히 변경하고 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members.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se drawings are appropriately scal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근거한 음료수의 디스펜서(7)의 개략도이다. 음료수의 디스펜서(7)는 음료수 용기인 가요성 봉지(2)를 수용하는 수용부(1)와 냉각 장치(13)를 구비한 냉수 탱크(11)를 주로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가요성 봉지(2)는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음료수를 밀폐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냉수 탱크(11)는 상자체(12B)와 그 상자체(12B)를 밀폐 폐쇄하는 뚜껑부(12A)로 구성되어 있다. 또 냉수 탱크(11)의 냉각 장치(13)는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를 소정의 저온, 예를 들면 10℃ 이하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everage dispenser 7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dispenser 7 mainly includes a cold water tank 11 provided with a cooling device 13 and a accommodating portion 1 for accommodating a flexible bag 2 as a beverage container. Here, the flexible bag 2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or the like, and seals and accommodates beverages. And the cold water tank 11 is comprised from the box 12B and the lid part 12A which hermetically closes the box 12B. Moreover, the cooling device 13 of the cold water tank 11 plays a role of maintaining the drinking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11 at a predetermined low temperature, for example, 10 degrees C or less.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의 저면에는 주수구(3)가 형성되어 있다. 또 냉수 탱크(11)의 뚜껑부(12A)에는 뚜껑부(12A)의 개구부(도시 생략)에 연통되는 중공 니들(4)이 형성되어 있다. 중공 니들(4)이 주수구(3)를 통해서 가요성 봉지(2)에 구멍을 뚫고, 중공 니들(4)과 주수구(3)를 접속하면 가요성 봉지(2)안의 음료수는 중공 니들(4)을 통해서 냉수 탱크(11) 안에 공급된다. 냉수 탱크(11)의 뚜껑부(12A)에 뚜껑부(12A)의 개구부를 연통하는 중공 니들(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요성 봉지(2)안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11)에 공급되기 쉬워 냉수 탱크(11) 안에 음료수가 일정 이상의 양, 대략 거의 가득찬 상태로 저류된다.As shown in FIG. 1 , a water spout 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 . In addition, a hollow needle 4 communicating with an opening (not shown) of the lid portion 12A is formed in the lid portion 12A of the cold water tank 11 . When the hollow needle 4 punches a hole in the flexible bag 2 through the spout 3, and the hollow needle 4 and the spout 3 are connected, the beverage in the flexible bag 2 is transferred to the hollow needle ( 4) through the cold water tank 11 is supplied. Since the hollow needle 4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of the lid portion 12A is formed in the lid portion 12A of the cold water tank 11, the beverage in the flexible bag 2 is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11. It is easy to store the drinking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11 in a state of being almost full in a certain amount or more.

또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냉수 탱크(11)는 케이싱(10)에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냉수용 전자 밸브(18B)를 구비한 냉수 공급 배관(18A)이 냉수 탱크(11)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조작자가 냉수용 전자 밸브(18B)를 조작하면, 냉수 탱크(11) 안의 냉각된 음료수가 냉수 공급 배관(18A)의 냉수 공급구(18C)로부터 주출된다.Also, as can be seen from FIG. 1 , the cold water tank 11 is included in the casing 10 . And 18A of cold water supply piping provided with the solenoid valve 18B for cold water is extend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ld water tank 11. As shown in FIG.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solenoid valve 18B for cold water, the cooled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11 is poured out from the cold water supply port 18C of the cold water supply pipe 18A.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수 탱크(11)에는 레벨계(14)가 구비되어 있다. 이 레벨계(14)에는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가 소정의 저레벨을 계측할 수 있는 레벨계(14l)가 있다. 이 레벨계(14l)는 냉수 탱크에 항상 어느 일정 레벨 이상의 음료수가 저류되는 것을 감시하여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의 양이 적어지면 조기에 경보를 발한다. 또 레벨계(14l)는 냉수 탱크(11) 안의 압력이 상승하여 가요성 봉지(2)로부터의 음료수의 공급이 느려진 경우에는 내압을 낮추는 대응을 취할 수 있다. 이로써 냉수 탱크(11) 안에 음료수가 일정 이상의 양, 대략 가득찬 상태로 저류되기 때문에, 냉수 탱크(11) 안에 공기가 체류하는 공간이 작아져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가 공기와 접촉하는 일도 적어진다. 따라서 디스펜서의 외부로부터 잡균이나 냄새가 음료수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냉수 탱크(11) 안에는 추가로 볼 탑형의 다른 레벨계(14h)가 형성되어 있다. 레벨계(14h)는 소위 볼 플로트식으로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가 어느 만수 레벨에 도달하면 음료수의 가요성 봉지(2)로부터의 공급을 정지시킴과 함께, 후술하는 살균 모드시에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가 가요성 봉지(2)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 1 , the cold water tank 11 is provided with a level gauge 14 . The level gauge 14 includes a level gauge 141 that can measure a predetermined low level of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11 . This level gauge 141 always monitors that beverages above a certain level are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and gives an early warning when the amount of beverages in the cold water tank 11 decreases. Moreover, when the pressure in the cold water tank 11 rises and the supply of the drinking water from the flexible bag 2 becomes slow, the level gauge 141 can take the countermeasure of lowering|hanging internal pressure. As a result, since the beverage is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11 in a state of being substantially full in a certain amount or more, the space in which the air stays in the cold water tank 11 becomes small, and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11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air. los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adhesion of various germs and odors to the beverage from the outside of the dispenser. In addition, in the cold water tank 11, another ball-top type level gauge 14h is formed. The level gauge 14h is a so-called ball float type, and when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11 reaches a certain full water level, the supply of the beverage from the flexible bag 2 is stopped, and in the sterilization mode to be described later, the cold water tank ( 11) Prevent the beverage inside from flowing back into the flexible bag (2).

그리고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냉수 탱크(11)의 뚜껑부(12A)에는 전자 밸브(16)를 구비한 공기빼기관(15)이 형성되어 있다. 냉수 탱크(11)의 뚜껑부(12A)와 액면 사이의 기압이 높아지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전자 밸브(16)를 개방한다. 이로써 냉수 탱크(11)의 기압이 높을 때에 음료수가 가요성 봉지(2)로부터 냉수 탱크(11)까지 공급되지 않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공기빼기관(15)의 선단에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필터(17)가 형성되어 있어 디스펜서의 외부로부터 잡균이나 냄새가 냉수 탱크(11) 안으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And as can be seen from FIG. 1 , an air evacuation pipe 15 provided with a solenoid valve 16 is formed in the lid portion 12A of the cold water tank 11 . When the atmospheric pressure between the lid portion 12A of the cold water tank 11 and the liquid level increases, the solenoid valve 16 is opened according to a command from a control device (not shown). Thereby, when the atmospheric pressure of the cold water tank 11 is high, drinking water is prevented from not being supplied from the flexible bag 2 to the cold water tank 11.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 filter 17 capable of preventing backflow of air is formed at the tip of the air bleed pipe 15 to prevent various germs and odors from entering the cold water tank 11 from the outside of the dispenser.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공 니들(4), 뚜껑부(12A) 및 레벨계(14h)는 수지보다 전열성이 높은 재료, 예를 들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금속은 SUS(스테인리스강) 또는 구리 등이다. 요컨대 본 발명에서는 수지 제품을 가능한 한 적게 하고 있기 때문에, 수지의 냄새가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에 부착되는 것이 억제되는 것과 함께, 음료수 디스펜서(7)의 주변 분위기의 냄새가 수지에 부착되고 부착된 냄새가 음료수에 부착되는 것도 억제된다. 그 결과 음료수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특히 가요성 봉지(2)의 음료수가 천연수인 경우에는 천연수의 풍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low needle 4, the lid portion 12A, and the level gauge 14h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heat transfer property than resin, for example, a metal. Such metals are SUS (stainless steel) or copper or the like. In shor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umber of resin products is reduced as much as possible, adhesion of the resin odor to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11 is suppressed, and the odor of the surrounding atmosphere of the beverage dispenser 7 adheres to and adheres to the resin. Adhering to beverages is also suppresse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as a result, deterioration of the beverage can be prevented. In particular, when the beverage of the flexible bag 2 is natural water, it is advantageous because the flavor of the natural water can be maintained as it is.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수 탱크(30)가 접속 라인(20)을 통해서 냉수 탱크(11)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 라인(20)에는 접속 밸브(21)가 형성되어 있다. 온수 탱크(30)에는 가열 장치(31)가 구비되어 있어 온수 탱크(30) 안의 음료수를 소정의 고온, 예를 들면 80℃로 유지한다.Moreover, as shown in FIG. 1, the hot water tank 30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11 via the connection line 20. As shown in FIG. A connection valve 21 is formed in this connection line 20 . The hot water tank 30 is provided with a heating device 31 to maintain the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30 at a predetermined high temperature, for example, 80°C.

이 온수 탱크(30)도 케이싱(10)에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온수용 전자 밸브(32B)를 구비한 온수 공급 배관(32A)이 온수 탱크(30)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조작자가 온수용 전자 밸브(32B)를 조작하면, 온수 탱크(30) 안의 가열된 음료수가 온수 공급 배관(32A)의 온수 공급구(32C)로부터 주출된다.This hot water tank 30 is also included in the casing 10 . And the hot water supply pipe 32A provided with the solenoid valve 32B for hot water is extended from the hot water tank 30.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solenoid valve 32B for hot water, the heated beverage in the hot water tank 30 is poured out from the hot water supply port 32C of the hot water supply pipe 32A.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수 순환 펌프(41)를 구비한 온수 순환 라인(40)이 온수 탱크(30)로부터 냉수 탱크(11)의 뚜껑부(12A)의 개구부(도시 생략)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들 온수 순환 라인(40) 및 온수 순환 펌프(41)는 음료수 디스펜서(7)의 통상 사용시에는 사용되지 않는다.And as shown in FIG. 1, the hot water circulation line 40 provided with the hot water circulation pump 41 extends from the hot water tank 30 to the opening part (not shown) of the lid part 12A of the cold water tank 11. . These hot water circulation line 40 and hot water circulation pump 41 are not used in normal use of the beverage dispenser 7 .

음료수 디스펜서(7)가 소정의 장기간에 걸쳐 운전된 경우에는 냉수 탱크(11)의 냉각 장치(13)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이하의 요령으로 냉수 탱크(11) 등을 살균하는 살균 모드를 실행한다.When the beverage dispenser 7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long period of time, the cooling device 13 of the cold water tank 11 is stopped. And the sterilization mode which sterilizes the cold water tank 11 etc. in the following way is performed.

살균 모드시에는 접속 밸브(21)를 개방한다. 그리고 온수 순환 펌프(41)를 구동하여 온수 탱크(30)내의 온수를 온수 순환 라인(40)에 통과시켜 냉수 탱크(11)까지 공급시킨다. 그 결과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는 접속 라인(20)을 통해서 온수 탱크(30)로 되돌아간다.In the sterilization mode, the connection valve 21 is opened. Then, the hot water circulation pump 41 is driven to pass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30 through the hot water circulation line 40 to supply the cold water to the cold water tank 11 . As a result,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11 returns to the hot water tank 30 through the connection line 20 .

이와 같이 하여 온수 탱크(30) 안의 온수가 온수 순환 라인(40), 냉수 탱크(11), 접속 라인(20)을 통과하여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의 온도는 50℃ 이상이 된다.In this way,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30 is circulated through the hot water circulation line 40 , the cold water tank 11 , and the connection line 20 .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drinking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11 becomes 50 degreeC or mor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뚜껑부(12A) 및 중공 니들(4)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의 온도가 50℃ 이상이 되면 이들 뚜껑부(12A) 및 중공 니들(4)도 50℃ 이상이 되어 뚜껑부(12A) 및 중공 니들(4)에 부착된 잡균을 살균할 수 있다. 또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가 일정 이상의 양, 대략 가득찬 상태로 저류되어 있기 때문에, 음료수의 열이 보다 빨리 뚜껑부(12A) 및 중공 니들(4)에 전달될 수 있어 효율적인 살균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뚜껑부(12A) 및 중공 니들(4)의 청정성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된다. 그 결과 냉수 탱크(11)를 분해하여 세정, 살균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또한 뚜껑부(12A) 및 중공 니들(4)이 열 변형에 강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에 의한 살균을 실시하더라도 뚜껑부(12A)가 변형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냉수 탱크(11)의 밀폐 구조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펜서의 외부로부터 잡균이나 냄새가 음료수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portion 12A and the hollow needle 4 are formed of metal. 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rinking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11 is 50° C. or higher, these lid portions 12A and hollow needle 4 also become 50° C. or higher, and various germs adhering to the lid portion 12A and the hollow needle 4 are removed. can be sterilized. In addition, since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11 is stored in a state that is more than a certain amount and is approximately full, the heat of the beverage can be transferred to the lid part 12A and the hollow needle 4 more quickly, so that efficient sterilization is possible. . Thereby, the cleanliness of the lid part 12A and the hollow needle 4 is maintain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s a result, there is no need to disassemble the cold water tank 11 to clean and sterilize it. In addition, since the lid portion 12A and the hollow needle 4 are made of a metal resistant to thermal deformation, the lid portion 12A is not deformed even when sterilization is performed with warm water. Therefore, since the sealed structure of the cold water tank 11 can be maintai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various germs and odors from entering the beverage from the outside of the dispenser.

단, 살균 모드시에 중공 니들(4)과 주수구(3)가 접속된 상태인 채로 있으면 가요성 봉지(2)안의 음료수에 의해 중공 니들(4)의 온도가 50℃ 이상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음료수 용기인 가요성 봉지(2)를 수용하는 수용부(1)를 교환할 때, 수용부(1)를 떼어냈을 때에 살균 모드를 적절히 실행한다. 이 경우에는 중공 니들(4)로부터의 방열을 방지하기 위해 도 4a에 나타낸 것과 같은 원통형상의 니들 캡(50)을 중공 니들(4)에 씌운다. 니들 캡(50)은 천면(天面)(51)과 둘레 측벽(52)으로 이루어지고, 천면(51) 및 둘레 측벽(52)은 각각 금속제의 내면부(53)와, 내면부(53)의 외측에 있어서 방열을 방지하는 단열부(54)와, 단열부(54)의 외측에 있어서 단열부(54)를 덮는 외면부(55)로 이루어진다. 단열부(54)는 시판되는 단열재 등의 단열하는 재질, 구조로 이루어진다.However, if the hollow needle 4 and the water spout 3 remain connected in the sterilization mode, there is a case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hollow needle 4 does not exceed 50 ° C due to the drinking water in the flexible bag 2 have. In this case, when replacing the accommodating part 1 which accommodates the flexible bag 2 which is a beverage container, for example, when the accommodating part 1 is removed, a sterilization mode is performed suitably.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heat dissipation from the hollow needle 4, a cylindrical needle cap 50 as shown in FIG. 4A is covered on the hollow needle 4 . The needle cap 50 is composed of a top surface 51 and a circumferential side wall 52, and the top surface 51 and the circumferential side wall 52 have an inner surface 53 and an inner surface 53 made of metal, respectively. It consists of the heat insulating part 54 which prevents heat dissipation in the outer side, and the outer surface part 55 which covers the heat insulating part 54 in the outer side of the heat insulating part 54. As shown in FIG. The heat insulating part 54 is made of a material and structure to insulate, such as a commercially available heat insulator.

즉 온수 탱크(30), 온수 순환 라인(40) 및 온수 순환 펌프(41)는 냉수 탱크(11) 및 그 관련 부재를 살균하는 살균 처리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는 냉수 탱크(11)에 접속되어 있고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만을 가열하는 소형의 가열 장치(도시 생략)를 살균 처리부로서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That is, the hot water tank 30 , the hot water circulation line 40 , and the hot water circulation pump 41 serve as a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the cold water tank 11 and its related members. Alternatively, a small heating device (not shown) that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11 and heats only the drinking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11 may be provided as a sterilizing unit.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냉수 탱크(11)의 상자체(12B)가 뚜껑부(12A) 등과 동일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냉수 탱크(11)의 살균시에 대부분이 음료수에 접촉하는 상자체(12B)도 함께 살균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the box body 12B of the cold water tank 11 may be formed with the same metal as 12A of lid parts. In this case, 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the cold water tank 11 is sterilized, the box 12B that is mostly in contact with the beverage can also be sterilized.

그리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수 탱크(11) 안에는 세퍼레이터(12C)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세퍼레이터(12C)는 단면 T자 형상의 안내 부재이다. 세퍼레이터(12C)는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를 부분적으로 상방 부분과 하방 부분으로 격리시키고 있고, 상방 부분의 음료수는 세퍼레이터(12C)의 중앙의 관 부분을 통해서 접속 라인(20)에 연통되어 있다. 세퍼레이터(12C)의 존재에 의해 상방 부분의 음료수의 온도는 하방 부분의 음료수의 온도보다 높은 경향이 있다.And as shown in FIG. 1, in the cold water tank 11, the separator 12C is arrange|positioned. This separator 12C is a T-shaped guide member in cross section. The separator 12C partially separates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11 into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and the beverage in the upper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connection line 20 through the central pipe portion of the separator 12C. . Due to the presence of the separator 12C,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in the upper portion tends to b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in the lower portion.

그리고 도 1에 있어서는 접속 라인(20)은 냉수 탱크(11)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기 때문에 가요성 봉지(2)로부터 냉수 탱크(11)에 공급된 음료수의 일부는 그다지 냉각되는 일 없이 접속 라인(20)을 통해서 온수 탱크(30)까지 공급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냉수 탱크(11)의 냉각 장치(13)의 냉각 성능이 비교적 낮은 경우라도 충분함이 이해될 것이다.And in FIG. 1 , the connection line 20 extend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ld water tank 11 . Because of this configuration, a portion of the beverage supplied from the flexible bag 2 to the cold water tank 11 can be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30 through the connection line 20 without being cooled too much. For this reas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even a case where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cooling device 13 of the cold water tank 11 is relatively low is sufficient.

본 발명에 있어서는 냉수 탱크(11)의 세퍼레이터(12C)도 뚜껑부(12A) 등과 동일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냉수 탱크(11)의 살균시에 음료수에 접촉하는 세퍼레이터(12C)도 함께 살균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or 12C of the cold water tank 11 is also formed of the same metal as the lid portion 12A or the like. In this case, 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the cold water tank 11 is sterilized, the separator 12C in contact with the beverage may also be sterilized.

냉수 탱크(11)의 음료수를 50℃ 이상에서 소정 시간에 걸쳐 경과시키면 살균 모드가 종료된다. 그 후 온수 순환 펌프(41)가 정지되고 냉각 장치(13)가 재시동된다. 그리고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의 온도가 10℃ 이하까지 저하되면 냉수 탱크(11)로부터의 냉수 및 온수 탱크(30)로부터의 온수의 공급이 재개된다.When the drinking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11 is passed over a predetermined time at 50° C. or higher, the sterilization mode is terminated. After that, the hot water circulation pump 41 is stopped and the cooling device 13 is restarted.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rinking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11 falls to 10 degrees C or less, the supply of the cold water from the cold water tank 11 and the hot water from the hot water tank 30 is restarted.

그런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0)내에는 디스펜서(7)를 제어하는 제어부(33)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어부(33)는 케이싱(10)의 외부에 구비된 스피커(34)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로우차트인 도 2를 참조하면서,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처리는 소정의 제어 주기마다 실시되는 것으로 한다.By the way, as shown in FIG. 1, the control part 33 which controls the dispenser 7 is arrange|positioned in the casing 10. As shown in FIG. And this control part 33 is connected to the speaker 34 provided outside the casing 10. 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the beverage dispens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which is a flowchart in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process shown in FIG. 2 is performed every predetermined control period.

먼저 도 2의 스텝 S10에서 레벨계(14)가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의 액면을 계측한다. 그리고 스텝 S11에서 제어부(33)가 음료수의 액면이 저레벨(14l) 이하이고 또한 소정 시간에 걸쳐 그 저레벨(14l)이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First, in step S10 of FIG. 2 , the level gauge 14 measures the liquid level of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11 . Then, in step S11, the control unit 33 determines whether the liquid level of the beverage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low level 141, and whether the low level 141 has been maintained ov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스텝 S11에서 아니오(NO)로 판정된 경우에는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가 저레벨(14l) 보다 높은 레벨에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냉수 탱크(11) 안에 충분한 음료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처리를 종료한다.If it is determined as NO in step S11, the drinking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11 is at a level higher than the low level 141. In this case, it is judged that there is enough drinking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11, and the process is terminated.

그 반면 스텝 S11에서 예(YES)로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2로 진행하여 냉수 탱크(11)에 음료수가 없거나 또는 음료수가 원하는 양보다 적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에는 스텝 S13에서 공기빼기관(15)의 전자 밸브(16)를 일정 시간만큼 개방하여 냉수 탱크(11) 안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 as YES, the flow proceeds to step S12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11 or that the amount of beverage is less than the desired amount. In this case, in step S13, the solenoid valve 16 of the air bleed pipe 15 is open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discharge the air in the cold water tank 11 to the outside.

이로써 냉수 탱크(11)의 뚜껑부(12A)와 액면 사이의 기압이 저하된다. 그 결과 가요성 봉지(2)안의 음료수가 중공 니들(4)을 통해 냉수 탱크(11) 안으로 용이하게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냉수 탱크(11)의 음료수는 원하는 액면 레벨까지 예를 들어 고레벨(14h)까지 되돌아가게 된다.Thereby, the atmospheric pressure between the lid part 12A of the cold water tank 11 and the liquid level falls. As a result, the beverage in the flexible bag 2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cold water tank 11 through the hollow needle 4 . Thus,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11 is returned to the desired liquid level, for example to a high level 14h.

또 음료수의 액면이 저레벨(14l) 이하인 것이 판정된 경우에는 냉수 공급 배관(18A)의 냉수용 전자 밸브(18B)를 폐쇄해도 된다. 이로써 잡균이 외부로부터 냉수 공급구(18C) 및 냉수 공급 배관(18A)을 통해 디스펜서 안으로 유입되는 것이 억제된다.Moreo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iquid level of drinking water is below the low level 141, you may close the solenoid valve 18B for cold water of 18 A of cold water supply piping. In this way, it is suppressed from the outside from flowing into the dispenser through the cold water supply port 18C and the cold water supply pipe 18A.

이어서 스텝 S14에서는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 레벨계(14)가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의 액면을 재차 계측한다. 그리고 스텝 S15에서 제어부(33)가 음료수의 액면이 저레벨(14l) 이하이고 또한 소정 시간에 걸쳐 그 저레벨(14l)이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Next, in step S14, in order to confirm this, the level gauge 14 measures the liquid level of the drinking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11 again. Then, in step S15, the control unit 33 determines whether the liquid level of the beverage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low level 141, and whether the low level 141 has been maintained ov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스텝 S15에서 아니오(NO)로 판정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냉수 탱크(11) 안에 충분한 음료수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를 종료한다. 그 반면 스텝 S15에서 예(YES)로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5 as NO,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sufficient drinking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11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ocessing is ended.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S15,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6.

스텝 S16에서는 음료수가 가요성 봉지(2)로부터 냉수 탱크(11)에 공급되어 있지 않으므로, 냉수 탱크(11) 안에 음료수가 없는 것에 추가하여 가요성 봉지(2)안에도 음료수가 없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부(33)는 스피커(34)로부터 경보를 발령하고 가요성 봉지(2)를 교환할 필요가 있음을 조작자에게 재촉한다. 스피커(34)로부터 발령되는 경보는 단순한 경고음이어도 되고 또는 가요성 봉지(2)를 교환할 필요가 있음을 말하는 음성이어도 된다. 또는 시각적인 경보, 예를 들어 라이트의 점멸 등을 이용하여 조작자에게 주의를 불러일으켜도 된다.In step S16, since no beverage is supplied from the flexible bag 2 to the cold water tank 11,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beverage in the flexible bag 2 in addition to that there is no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11.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3 issues an alarm from the speaker 34 and prompts the operator that the flexible bag 2 needs to be replaced. The alarm issued from the speaker 34 may be a simple warning sound or a voice indicating that the flexible bag 2 needs to be replaced. Alternatively, a visual alarm may be used to alert the operator, for example by flashing a light.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근거한 음료수 디스펜서의 개략 구성도이다. 제2 실시형태는 가요성 봉지(2)와 냉수 탱크(11)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 있어서 실행되는 형태로, 냉수 탱크(11)의 뚜껑부(12A)에 평판형상의 장착 부재(6)가 배치되어 있고 중공 니들(4)은 장착 부재(6)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 중공 니들(4)의 둘레면으로부터 벨로우즈(5)가 연장되어 있으며 그 선단이 뚜껑부(12A)의 개구부(도시 생략)에 삽입되어 있다.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beverage dispens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mbodiment is implemented when the flexible bag 2 and the cold water tank 1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plate-shaped mounting member 6 is disposed on the lid portion 12A of the cold water tank 11 and the hollow needle 4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member 6 . Further, the bellows 5 extends from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needle 4, and the tip thereof is inserted into an opening (not shown) of the lid portion 12A.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벨로우즈(5) 및 장착 부재(6)도 뚜껑부(12A) 등과 동일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냉수 탱크(11)의 살균시에 벨로우즈(5) 및 장착 부재(6)의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이들을 함께 살균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수지제 부품이 더 적어지기 때문에, 음료수에 수지의 냄새가 부착되거나 디스펜서(7)의 주변 분위기의 냄새가 수지에 부착되는 것이 한층 더 억제되어 음료수의 품질이 향상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se bellows 5 and the mounting member 6 are also formed of the same metal as the lid portion 12A or the like. It will be understood that in this case,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bellows 5 and the mounting member 6 increases during sterilization of the cold water tank 11, they can be sterilized together. In addition, since there are fewer resin parts, it is further suppressed that the odor of resin adheres to the beverage or the odor of the surrounding atmosphere of the dispenser 7 is further suppressed from adhering to the resin,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beverage.

또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볼 탑형의 레벨계(24)가 레벨계(14) 대신에 형성되어 있다. 레벨계(24)는 이른바 볼 플로트식으로, 냉수 탱크(11) 안의 음료수가 어느 만수 레벨에 도달하면 음료수의 가요성 봉지(2)로부터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이 레벨계(24)도 뚜껑부(12A) 등과 동일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짐이 이해될 것이다.Further, in the second embodiment, a ball-top type level gauge 24 is provided instead of the level gauge 14 . The level gauge 24 is a so-called ball float type, and when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11 reaches a certain full water level, the supply of the beverage from the flexible bag 2 is stopped. This level gauge 24 is also made of the same metal as the lid portion 12A.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same effect as described above is obtained.

전형적인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전술한 변경 및 여러 다른 변경, 생략, 추가를 실시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typical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and various other changes, omissions, and addi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7)

음료수가 봉입된 음료수 용기와,
냉각 장치를 구비한 냉수 탱크와,
그 냉수 탱크에 접속되어 있고 가열 장치를 구비한 온수 탱크와,
상기 냉수 탱크 및 상기 온수 탱크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그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냉수 배출부와,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온수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온수 배출부와,
상기 냉수 탱크에 온수를 공급하여 살균하는 살균 처리부를 구비하는 음료수 디스펜서로,
상기 냉수 탱크는 상자체와 그 상자체를 폐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있고 그 뚜껑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에는 상기 뚜껑부의 상기 개구부에 연통됨과 함께 그 선단이 상기 음료수 용기의 주수구에 접속되는 중공 니들이 구비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중공 니들 및 상기 뚜껑부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음료수 디스펜서는,
상기 뚜껑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 니들이 장착된 장착 부재와,
상기 중공 니들의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뚜껑부의 상기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공급 파이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장착 부재 및 상기 공급 파이프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디스펜서.
A beverage container filled with beverage;
a cold water tank having a cooling device;
a hot water tank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and provided with a heating device;
a casing accommodating the cold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tank;
a cold water outlet formed in the casing and extending from the cold water tank;
a hot water discharge part formed in the casing and extending from the hot water tank;
A beverage dispenser having a sterilization unit for sterilizing by supplying hot water to the cold water tank,
The cold water tank includes a box body and a lid for closing the box,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lid portion,
The cold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hollow need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of the lid part and the tip thereof is connected to the water spout of the beverage container,
At least the hollow needle and the lid part are formed of metal,
The beverage dispenser,
a mounting member formed on the lid and to which the hollow needle is mounted;
Further comprising a supply pipe extending from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needle to the opening of the lid portion,
Beverage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member and the supply pipe are formed of met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에 장착되어 있고 전자 밸브가 형성된 공기빼기관을 추가로 구비하는 음료수 디스펜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everage dispenser mounted on the cold water tank and further comprising an air bleed pipe having an electromagnetic val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에는 상기 냉수 탱크의 음료수의 소정의 저레벨을 계측하는 레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음료수 디스펜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verage dispenser further comprising a level gauge for measuring a predetermined low level of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의 상기 상자체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음료수 디스펜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everage dispenser in which the box body of the cold water tank is formed of metal.
음료수가 봉입된 음료수 용기와,
냉각 장치를 구비한 냉수 탱크와,
상기 냉수 탱크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그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냉수 배출부와,
상기 냉수 탱크는 상자체와 그 상자체를 폐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있고 그 뚜껑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에는 상기 뚜껑부의 상기 개구부에 연통됨과 함께 그 선단이 상기 음료수 용기의 주수구에 접속되는 중공 니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냉수 탱크에는 전자 밸브가 형성된 공기빼기관이 장착되어 있는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에 있어서의 음료수의 액면 높이를 계측하고,
상기 액면 높이가 소정 시간에 걸쳐 소정의 저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냉수 탱크 내에 음료수가 없다고 판단하여 상기 공기빼기관의 상기 전자 밸브를 일정 시간만큼 개방하고,
상기 공기빼기관의 상기 전자 밸브를 일정 시간만큼 개방한 후에 상기 냉수 탱크에 있어서의 음료수의 액면 높이를 계측하고,
상기 액면 높이가 소정 시간에 걸쳐 소정의 저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음료수 용기 안의 음료수가 없다고 판단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
A beverage container filled with beverage;
a cold water tank having a cooling device;
a casing accommodating the cold water tank;
a cold water outlet formed in the casing and extending from the cold water tank;
The cold water tank includes a box body and a lid for closing the box,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lid portion,
The cold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hollow need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of the lid part and the tip thereof is connected to the water spout of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beverage dispenser, the cold water tank is equipped with an air bleed pipe having an electromagnetic valve,
Measuring the liquid level of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When the liquid level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low level over a predetermined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drinking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and the solenoid valve of the air bleed pipe is opened for a predetermined time,
measuring the liquid level of the beverage in the cold water tank after opening the solenoid valve of the air bleed pip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liquid level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low level over a predetermined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beverage in the beverage container, and an alarm is issu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액면 높이가 소정 시간에 걸쳐 소정의 저레벨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냉수 배수부의 전자 밸브를 폐쇄하도록 한 음료수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 control method of a beverage dispenser in which the solenoid valve of the cold water drain unit is closed when the liquid level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low level over a predetermined time.
삭제delete
KR1020140100035A 2013-08-23 2014-08-04 Beverage dispen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f beverage dispenser KR10229093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3993 2013-08-23
JP2013173993A JP6137992B2 (en) 2013-08-23 2013-08-23 Drinking water dispenser and drinking water dispenser control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670A KR20150022670A (en) 2015-03-04
KR102290931B1 true KR102290931B1 (en) 2021-08-19

Family

ID=52694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035A KR102290931B1 (en) 2013-08-23 2014-08-04 Beverage dispen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f beverage dispens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137992B2 (en)
KR (1) KR10229093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95B1 (en) * 2015-07-20 2017-02-23 주식회사 비.엘.아이 Dispenser for hot and cool drink
JP6513007B2 (en) * 2015-09-30 2019-05-15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Method for sterilizing beverage supply device, and beverage supply device
KR102148813B1 (en) 2016-05-30 2020-08-27 파파스 가부시키가이샤 Water server and air exhaust valve
KR102416752B1 (en) * 2017-06-16 2022-07-04 와인 플럼 인코포레이티드 liquid dispensing device
JP7144289B2 (en) 2018-05-10 2022-09-29 三菱鉛筆株式会社 Clip mounting structure and writing instrument with this clip mounting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316A (en) * 1998-12-25 2000-07-11 Tanica Denki Hanbai Kk Liquor server
JP2004206301A (en) * 2002-12-24 2004-07-22 Benten:Kk Bactericidal device of absorbed chiller heater
JP2004315049A (en) * 2003-04-17 2004-11-11 Fuji Techno Kk Drink server
JP2010208648A (en) * 2009-03-09 2010-09-24 Kyushu Kaihatsu Kikaku:Kk Water supply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2790A (en) * 1993-04-27 1994-11-08 Toppan Printing Co Ltd Confirming apparatus for residual quantity of liquid in fixed quantity liquid pouring dispenser
JP2006021793A (en) * 2004-07-08 2006-01-26 Fuji Techno Kk Drink server
JP4137114B2 (en) * 2005-10-31 2008-08-20 サントリー株式会社 Mineral water dispenser heat sterilizer
JP4934703B2 (en) * 2009-07-21 2012-05-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ower conver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316A (en) * 1998-12-25 2000-07-11 Tanica Denki Hanbai Kk Liquor server
JP2004206301A (en) * 2002-12-24 2004-07-22 Benten:Kk Bactericidal device of absorbed chiller heater
JP2004315049A (en) * 2003-04-17 2004-11-11 Fuji Techno Kk Drink server
JP2010208648A (en) * 2009-03-09 2010-09-24 Kyushu Kaihatsu Kikaku:Kk Water supply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670A (en) 2015-03-04
JP2015040078A (en) 2015-03-02
JP6137992B2 (en)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0931B1 (en) Beverage dispens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f beverage dispenser
KR100900300B1 (en) Water dispenser
KR102092434B1 (en) Water dispenser
JP2005308297A (en) Dispenser for drinking water
JP5917822B2 (en) Drinking water server, drinking water supply method and water bag
JP2010143590A (en) Beverage server
KR20070084763A (en) Method of controlling a food storage apparatus
EA020233B1 (en) Method and system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milk and container therefor
EP2918542B1 (en) Beverage supply device
JP7049582B2 (en) Sterilizer
WO2019131683A1 (en) Water server and method of supplying water to water server
KR101098191B1 (en) A water tank combined with a cold water tank
KR101600165B1 (en) Dispenser for hot and cool drink
CA2798899C (en) Bottom-loading water coolers with ozone sterilizing devices
JP2008154586A (en) Teat cup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CN101310589B (en) Teat cup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CN108502273A (en) A kind of liquid food packing chlorination equipment
JP4570270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JP2003104494A (en) Drinking water dispenser
JP2007145364A (en) Sterilization method for liquefied gas filling device
GR1009909B (en) Beer cabinet furnished with reusable cooling vessel
JP5168571B2 (en) Water server
JP2006347556A (en) Beverage dispenser
GR1009829B (en) Reusable cooling container for serving beer
JP2007223660A (en) Drinking water ser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