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664B1 -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664B1
KR102290664B1 KR1020200112747A KR20200112747A KR102290664B1 KR 102290664 B1 KR102290664 B1 KR 102290664B1 KR 1020200112747 A KR1020200112747 A KR 1020200112747A KR 20200112747 A KR20200112747 A KR 20200112747A KR 102290664 B1 KR102290664 B1 KR 102290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user device
image
uni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이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이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이스디
Priority to KR1020200112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6Models made by folding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K9/4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기기의 카메라부가 완구판을 인식하는 단계; 사용자기기의 색상인식부가 인식된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각각에 채색된 색상에 대한 제 1 색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기기의 식별정보추출부가 인식된 완구판으로부터 완구판의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사용자기기의 영상생성부가 사용자기기의 메모리부로부터 완구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조립영상을 추출하고, 제 1 색상정보 및 제 1 조립영상을 이용하여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기기의 영상재생부가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 2 조립영상을 증강현실로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기기의 영상생성부에 의해 완구조각 각각에 대하여 생성한 제 2 조립영상 각각을 사용자기기의 조립가이드부가 미리 정해진 완구조각의 조립순서대로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증강현실로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기기의 카메라부를 통해 완구조각의 실제 조립 영상을 획득하여, 사용자기기의 영상처리부에 의해 완구조각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사용자기기의 결합각도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완구조각의 결합각도와 사용자기기의 중첩면적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완구조각간의 중첩면적로부터 사용자기기의 평가점수산출부에 의해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Method for supplying toy augmented reality augmented reality assembly video that can be evaluated}
본 발명은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완구조각 별 조립영상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조립에 대한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객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난감은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여러 가지 물건이다. 최근에는, 장난감이 단순히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물건이 아닌, 아이들의 상상력 및 창작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다.
아이들의 상상력 및 창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난감의 예를 들면, 장난감은 복수의 장난감조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장난감조각이 조립됨으로써 동물 또는 공룡 등의 모형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이들은 복수의 동물 또는 공룡 등의 모형을 완성하기 위하여 장난감조각을 조립하는 동안 창작 능력이 향상될 수 있고, 조립된 동물 또는 공룡 모형을 가지고 노는 동안 상상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장난감조각 각각에는 복수의 장난감조각이 결합되는 순서에 대한 소정의 번호가 기입될 수 있다. 아이들은 복수의 조각 각각에 기입된 소정의 번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조각을 결합하는 순서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조각 각각에 기입된 번호만으로는 복수의 장난감조각이 어떻게 결합되는 지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어렵고, 나이가 어린 아이들은 복수의 장난감조각 각각에 기입된 번호만으로는 스스로 복수의 장난감조각을 조립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452359호의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사용자기기의 카메라부가 완구판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색상인식부가 인식된 상기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각각에 채색된 색상에 대한 제 1 색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식별정보추출부가 인식된 상기 완구판으로부터 상기 완구판의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영상생성부가 상기 사용자기기의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완구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조립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제 1 색상정보 및 상기 제 1 조립영상을 이용하여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기기의 영상재생부가 상기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 2 조립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조립에 대한 영상 제공을 가능하나, 이러한 영상 제공만으로는 조립을 완벽히 가이드하기란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어느 정도로 제대로 조립하였는지를 제대로 평가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사용자 자신이 조립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실력을 가지는지 확인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를 해소하기 위한 평가 기준을 제시시, 객관적이어야 하는데 이 역시 만족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기기의 카메라부가 인식하는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조립영상을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완구의 조립을 손쉽게 수행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완구조각 별 조립영상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립에 대한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객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조립에 대한 실력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기기의 카메라부가 완구판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색상인식부가 인식된 상기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각각에 채색된 색상에 대한 제 1 색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식별정보추출부가 인식된 상기 완구판으로부터 상기 완구판의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영상생성부가 상기 사용자기기의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완구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조립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제 1 색상정보 및 상기 제 1 조립영상을 이용하여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영상재생부가 상기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 2 조립영상을 증강현실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영상생성부에 의해 상기 완구조각 각각에 대하여 생성한 상기 제 2 조립영상 각각을 상기 사용자기기의 조립가이드부가 미리 정해진 완구조각의 조립순서대로 상기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증강현실로 표시되도록 조립을 가이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기기의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완구조각의 실제 조립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기기의 영상처리부에 의해 완구조각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기기의 결합각도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완구조각의 결합각도와 상기 사용자기기의 중첩면적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완구조각간의 중첩면적로부터 상기 사용자기기의 평가점수산출부에 의해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기기의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 2 조립영상을 상기 완구조각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서로 접합된 완구조각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각각 추출한 이미지에서 상기 사용자기기의 도형추출부에 의해 모서리 사이의 오목한 홈을 메꾸도록 모서리를 가상의 직선으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오목한 홈이 없는 도형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결합각도산출부에 의해 서로 접합하는 상기 도형 각각에서 가장 긴 가상의 직선이 서로 이루는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중첩면적산출부에 의해 서로 접합하는 상기 도형의 중첩되는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기기의 평가점수산출부에 의해, 상기 각도와 상기 면적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완구조각별 접합시 기준값과 비교하여 오차값에 반비례하는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형으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도형추출부에 의해 상기 모서리 사이의 오목한 홈을 메꿀 때, 최대로 이격된 모서리를 서로 가상의 직선으로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형으로 산출하는 단계는, 사기 도형추출부가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추출한 이미지에서 오목한 홈을 메꿀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이미지를 그대로 도형으로 추출하고, 상기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결합각도산출부가 상기 이미지를 그대로 추출한 도형의 경우, 가장 긴 직선을 사용하여 상기 각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기기의 카메라부가 인식하는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조립영상을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완구의 조립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완구조각 별 조립영상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사용자가 조립에 대한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객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조립에 대한 실력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기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에 적용 가능한 완구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에 의해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제 2 조립영상의 제 1 실시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에 의해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제 2 조립영상의 제 2 실시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에 의한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또는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아래에서 설명할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라고 함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PDA, 휴대전화, 게임기 등 데이터를 수집, 판독, 처리, 가공, 저장,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계산 수단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기는 해독 가능한 코드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소프트웨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기도 하고,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와 함께 읽어 들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기에는 위와 같은 데이터 처리 기능 뿐 아니라 입력, 출력, 저장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컴퓨터 장치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사운드 카드,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USB, 통신 모뎀 등의 각종 요소들 뿐만 아니라 무선 스마트폰 단말기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칩, 메모리 칩, 사운드엔진, 스피커, 터치패드, USB 등의 외부 연결 단자, 통신 안테나, 3G, LTE, LTE-A, WiFi, 블루투스 등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으로 표시된 장치 또는 그 일부분들은 위와 같은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통신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통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WCDMA, Wibro, WiFi, LTE, LTE-A, 유무선 전화망 등의 각종 네트워크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기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기기(100)는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영상을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기기(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을 통해 완구판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가 기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기기(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영상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가 구동됨으로써 완구 조립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기기(100)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PC 등과 같이 카메라부를 통해 특정 물체를 인식하고 표시할 수 있는 기기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기기(100)는 제어부(110), 메모리부(120), 송수신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인터페이스부(150), 카메라부(160) 및 평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기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기기(100)에 기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영상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가 구동되어 사용자기기(100)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에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색상인식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색상인식부(111)는 카메라부(160)가 인식하는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각각에 채색된 색상에 대한 색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식별정보추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정보추출부(112)는 카메라부(160)가 인식하는 완구판으로부터 완구판에 포함된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영상생성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정보추출부(112)로부터 추출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부(120)에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영상에 대한 복수의 샘플영상 중 하나를 제 1 조립영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영상생성부(113)는 색상인식부(111)로부터 생성되는 색상정보 및 추출된 제1 조립영상을 이용하여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영상재생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재생부(114)는 영상생성부(113)로부터 생성되는 제 2 조립영상을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조립가이드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가이드부(115)는 제 2 조립영상을 완구조각별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즉 조립가이드부(115)는 사용자기기(100)의 영상재생부(114)가 완구조각 각각에 대하여 생성한 제 2 조립영상 각각을 미리 정해진 완구조각의 조립순서대로 사용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되도록 조립을 가이드하도록 한다. 조립가이드부(115)는 영상재생부(114)와 마찬가지로, 제 2 조립영상을 디스플레이부(140)에 통해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립가이드부(115)는 영상재생부(114)를 이용하여 제 2 조립영상을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거나, 직접 제 2 조립영상을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영상재생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재생부(114)는 영상생성부(113)로부터 생성되는 제 2 조립영상을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부(120)는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과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과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영상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됨으로써 복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영상에 대한 복수의 샘플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송수신부(130)는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웹서버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영상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등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영상재생부(114)에 의해 조립영상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공지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키보드,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공지의 입력수단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60)는 제어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피사체를 촬영하여 사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촬영되는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다.
평가부(170)는 영상처리부(171), 도형추출부(172), 결합각도산출부(173), 중첩면적산출부(174) 및 평가점수산출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71)는사용자기기(100)의 카메라부(160)를 통해 완구조각의 실제 조립 영상을 획득하여,완구조각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형추출부(172)는 영상처리부(171)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평가에 용이한 도형으로 변환하도록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결합각도산출부(173)는 완구조각의 결합각도를 산출하도록 하는데, 이때, 도형추출부(172)에 의해 추출되는 도형을 이용할 수 있다. 중첩면적산출부(174)는 완구조각간의 중첩면적을 산출하도록 하는데, 이때 도형추출부(172)에 의해 추출되는 도형을 이용할 수 있다. 평가점수산출부(175)는 결합각도산출부(173)에 의해 산출되는 결합각도와 중첩면적산출부(174)에 의해 산출되는 중첩면적으로부터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서 표시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에 적용 가능한 완구판(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완구판(200)은 완구판(20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은 특정 형상의 모형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됨으로써, 특정 형상의 모형이 완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중 일부는 공룡 또는 동물의 신체 일부를 형상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중 나머지는 공룡 또는 동물의 신체 일부를 형상화하여 형성된 완구조각을 결합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됨으로써, 공룡 또는 동물의 모형이 완성될 수 있으며, 상기의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은 자동차 또는 가구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이 자동차 또는 가구의 일보로 형성되면,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어 자동차 또는 가구의 모형이 완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완구판(200)은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을 통해 코드화될 수 있다. 즉, 완구판(200)은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의 형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완구판(200)에 배치되는 위치를 통해 코드화될 수 있다. 완구판(200)은 코드화됨으로써, 완구판(200)을 식별하기 위한 완구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완구판(200)은 서로 다른 종류의 완구판(200)과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의 형상 또는 배치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완구판(200)은 서로 다른 종류의 완구판(200)과 상이한 완구식별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완구판(200)은 소정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모형의 설명이 기입될 수 있다. 또한, 완구판(200)은 소정위치에 공룡 또는 동물의 신체 일부를 형상화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의 설명이 기입될 수 있다.
한편, 완구판(200)은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성분이 발생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구판(200)은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한 성분이 발생되지 않는 종이 골판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종이 골판지와 같이 유해성분이 발생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된 완구판(200)을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동안 완구판(200)을 통해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한 성분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의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인 도 3을 참고하여, 사용자기기(100)에서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조립영상이 표시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기기(100)의 카메라부(160)가 완구판(200)을 인식한다(S110). 카메라부(160)는 완구판(200)을 촬영함으로써 완구판(200)을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기기(100)는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되는 완구판(200)을 사용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기기(100)의 색상인식부(111)가 인식된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에 채색된 색상에 대한 제 1 색상정보를 생성한다(S120).
이때,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소정 색상으로 채색되어 있을 수 있다. 색상인식부(111)는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되는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에 사용자에 의해 채색된 색상을 인식할 수 있다. 색상인식부(111)는 인식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에 채색된 색상을 근거로 제 1 색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 1 색상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에 채색된 색상에 대한 정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기기(100)의 식별정보추출부(112)가 인식된 완구판(200)으로부터 완구판(200)의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한다(S130).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완구판(200)은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의 형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완구판(200)에 배치되는 위치를 통해 코드화됨으로써 완구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식별정보추출부(112)는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의 형상을 이용하여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에 대한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식별정보추출부(112)는 완구판(20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이 배치되는 위치를 이용하여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에 대한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기기(100)의 영상생성부(113)가 사용자기기(100)의 메모리부(120)로부터 완구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조립영상을 추출한다(S140).
이때, 메모리부(120)에는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는 영상에 대한 샘플영상이 기 저장될 수 있다. 완구판(200)은 서로 다른 종류로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완구판(200)이 존재하는 경우, 메모리부(120)에는 복수의 완구판(200) 각각에 대응되는 샘플영상이 기 저장될 수 있다. 즉, 메모리부(120)에는 복수의 샘플영상이 기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부(120)에 기 저장되는 복수의 샘플영상은 사용자기기(100)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기기(100)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때, 메모리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샘플영상 각각은 영상식별정보가 매칭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샘플영상 각각에 매칭되는 영상식별정보는 완구판(200)에 포함된 완구식별정보와 동일한 형태의 정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구판(200)에 포함된 완구식별정보가 소정의 숫자와 문자가 조합된 코드정보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샘플영상 각각에 매칭되는 영상식별정보도 소정의 숫자와 문자가 조합된 코드정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영상생성부(113)는 완구식별정보와 영상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영상생성부(113)는 복수의 샘플영상 중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에 대한 완구식별정보에 일치하는 영상식별정보가 매칭된 샘플영상을 제 1 조립영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즉, 영상생성부(113)로부터 추출된 제 1 조립영상은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는 영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생성부(113)가 제 1 색상정보 및 제 1 조립영상을 이용하여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한다(S150).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1 색상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각각에 채색된 색상에 대한 정보이고, 제 1 조립영상은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이(210) 조립되는 샘플영상일 수 있다. 즉, 영상생성부(113)는 제 1 색상정보와 제 1 조립영상을 이용하여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사용자에 의해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는 영상에 대한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색상인식부(111)는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에 대응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채색된 제 1 색상에 대한 제 2 색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색상인식부(111)는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에 대응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채색된 색상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색상을 인식하는 위치가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완구판(200)이 책상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카메라부(160)가 완구판(200)과 책상을 함께 인식하고, 기 설정된 색상을 인식하는 위치가 책상의 소정위치인 경우, 색상인식부(111)는 책상의 색상을 이용하여 제 2 색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완구판(20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중 하나에 채색된 색상이 제 2 색상이면, 영상생성부(113)는 제 2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색상이 채색된 완구조각에 제 1 색상을 적용하여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완구판(200)은 기본 색이 흰색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 2 색상은 흰색일 수 있다. 즉, 제 2 색상이 채색된 완구조각은 사용자에 의해 채색되지 않은 조각일 수 있다. 따라서, 영상생성부(113)는 사용자에 의해 채색된 완구조각과 완구판(200) 이외의 영역에서 인식된 색상이 적용된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기기(100)의 영상재생부(114)가 사용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제 2 조립영상을 표시한다(S160, 도 4 및 도 5 참고) 이때, 영상재생부(114)는 제 2 조립영상을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증강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영상재생부(114)는 제 2 조립영상을 증강현실로 표시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카메라부(160)를 통해 촬영화면 위에 제 2 조립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2 조립영상은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는 영상이므로, 사용자기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는 방법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2 조립영상은 사용자에 의해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는 영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인터렉티브(interactive)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생성부(113)는 메모리부(120)로부터 완구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데이터정보를 추출한다(S170).
이때, 메모리부(120)에는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었을 때 생성되는 모형의 정보에 대한 데이터정보가 기 저장될 수 있다. 완구판(200)은 서로 다른 종류로 복수개가 있을 수 있으며, 복수의 완구판(200)이 존재하는 경우, 메모리부(120)에는 복수의 완구판(200) 각각에 대응되는 데이터정보가 기 저장될 수 있다. 즉, 메모리부(120)에는 복수의 데이터정보가 기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부(120)에 저장되는 복수의 데이터정보는 사용자기기(100)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기기(100)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때, 메모리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데이터정보 각각은 데이터식별정보가 매칭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데이터정보 각각에 매칭되는 데이터식별정보는 완구판(200)에 포함된 완구식별정보와 동일한 형태의 정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구판(200)에 포함된 완구식별정보가 소정의 숫자와 문자가 조합된 코드정보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데이터정보 각각에 매칭되는 데이터식별정보도 소정의 숫자와 문자가 조합된 코드정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영상생성부(113)는 완구식별정보와 데이터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다.
영상생성부(113)는 복수의 데이터정보 중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된 완구판(200)에 대한 완구식별정보에 일치하는 데이터식별정보가 매칭된 데이터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데이터정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었을 때 형성되는 모형의 입체모습,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었을 때 형성되는 모형이 움직이는 영상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었을 때 형성되는 모형의 실제 모습에 대한 영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영상생성부(113)는 제 1 색상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었을 때 형성되는 모형의 입체모습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영상생성부(113)는 사용자에 의해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된 모형을 입체모습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재생부(114)가 추출된 데이터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한다(S180). 이때, 영상재생부(114)는 제 2 조립영상이 다 재생된 후, 추출된 데이터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재생부(114)는 데이터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증강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된 모형의 입체모습으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입력되는 별도의 이동신호 또는 회전신호를 이용하여 모형의 입체모습을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다양한 방향에서 모형의 입체모습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제 2 조립영상 및 추출된 데이터정보가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증강현실로 표시되므로, 카메라부(160)를 통해 완구판(200)이 인식되는 동안에만 제 2 조립영상 및 추출된 데이터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카메라부(160)로부터 완구판(200)이 인식되지 않으면, 제 2 조립영상 또는 데이터정보가 표시되는 것이 중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카메라부(160)를 통해 완구판(200)이 모두 인식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카메라부(160)를 통해 완구판(200)의 일부만 인식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카메라부(160)를 통해 완구판(200)의 소정부분이 인식되면, 식별정보추출부(112)는 인식되는 완구판(200)의 소정영역을 통해 완구판(20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의 형상 또는 배치되는 위치를 예측하여 완구판(200)에 대한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식별정보추출부(112)로부터 추출된 완구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완구판(200)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는 영상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완구판(20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완구판(20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중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완구판(200)은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이 배치되는 경계에 소정두께로 경계선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경계선은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의 형상 및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경계선은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 각각의 형상 및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므로, 식별정보추출부(112)는 카메라부(160)를 통해 인식되는 완구판(200)에 표시된 경계선을 이용하여 완구판(200)에 대한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식별정보추출부(112)로부터 추출된 완구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완구판(200)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210)이 조립되는 영상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영상재생부(114)가 추출된 데이터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하면(S180), 사용자기기(100)의 영상생성부(113)에 의해 완구조각 각각에 대하여 생성한 제 2 조립영상 각각을 사용자기기(100)의 조립가이드부(115)가 미리 정해진 완구조각의 조립순서대로 사용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되도록 조립을 가이드한다(S190). 이때, 조립가이드부(115)는 메모리부(120)에 미리 저장된 완구조각 각각의 조립순서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서, 완구조각 각각의 제 2 조립영상이 상기의 순서대로 표시되도록 영상 재생 및 제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가이드부(115)에 의해, 사용자는 완구조각별 조립순서 및 조립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하는 단계(S190)는 사용자기기(100)의 조작, 예컨대 영상 재생 위치 선택 및 방향에 대한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제 2 조립영상을 완구조각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알고자 하는 조립 방법을 완구조각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조작부의 조작신호를 수신받아 해당하는 완구조각에서의 제 2 조립영상이 그 이후의 순서대로 재생되도록 영상재생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영상재생부(114)는 영상생성부(113)로부터 완구조각별로 각각의 제 2 조립영상을 분할 영상으로서 제공받거나, 완구조각별로 경계를 식별할 수 있는 연속 영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런 다음, 조립작업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S200), 이를 위해, 사용자기기(100)의 카메라부(160)를 통해 완구조각의 실제 조립 영상을 획득하여, 사용자기기(100)의 영상처리부(171)에 의해 완구조각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처리하고, 사용자기기(100)의 결합각도산출부(173)에 의해 산출되는 완구조각의 결합각도와 사용자기기(100)의 중첩면적산출부(174)에 의해 산출되는 완구조각의 중첩면적로부터 사용자기기(100)의 평가점수산출부(175)에 의해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사용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되도록 평가하도록 한다(S200).
도 6을 참조하면, 평가하는 단계(S200)는 영상처리부(171)에 의해 서로 접합된 완구조각(210A,210B)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와, 영상처리부(171)에 의해 각각 추출한 이미지에서 사용자기기(100)의 도형추출부(172)에 의해 모서리 사이의 오목한 홈을 메꾸도록 모서리를 가상의 직선(L11,L21,L22; 점선으로 표시)으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오목한 홈이 없는 도형으로 추출하는 단계와, 사용자기기(100)의 결합각도산출부(173)에 의해 서로 접합하는 도형 각각에서 가장 긴 가상의 직선(L11,L21)이 서로 이루는 각도(θ)를 산출하는 단계와, 사용자기기(100)의 중첩면적산출부(174)에 의해 서로 접합하는 도형의 중첩되는 면적(A; 빗금친 부분)을 산출하는 단계와, 사용자기기(100)의 평가점수산출부(175)에 의해, 각도(θ)와 면적(A)을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완구조각별 접합시 기준값과 비교하여 오차값에 반비례하는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완구조각(210A,210B)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영상처리부(171)가 실제 조립과정 또는 조립완료 중인 완구조각들을 촬영한 카메라부(160)의 이미지로부터 예컨대 몸통에 해당하는 완구조각(210A)과 팔에 해당하는 완구조각(210B) 각각의 이미지를 이들의 경계선을 기초로 분리 획득하거나, 기존에 저장된 완구조각(210A,210B)의 이미지 데이터와 매칭을 통해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도형으로 추출하는 단계는 도형추출부(172)에 의해 모서리 사이의 오목한 홈을 메꿀 때, 최대로 이격된 모서리를 서로 가상의 직선으로 연결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모서리를 서로 연결해도 모서리 사이의 오목한 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처리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때, 모서리를 가상의 직선(L11,L21,L22)으로 연결하여 도형을 형성하는 프로세스는 널리 공지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형으로 산출하는 단계는 도형추출부(172)가 영상처리부(171)에 의해 추출한 이미지에서 오목한 홈을 메꿀 필요가 없는 경우, 이미지를 그대로 도형으로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처리부(171)에 의해 추출한 이미지가 볼록한 형태를 가지는 경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결합각도산출부(173)가 도형추출부(172)가 이미지를 그대로 추출한 도형의 경우, 가장자리에서 가장 긴 직선을 가장 긴 가상의 직선 대신으로 사용하여 각도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는 기존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각도와 면적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접합하는 완구조각마다 서로의 각도 및 중첩면적을 다수의 프로세싱을 통해 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평가 점수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기준값은 숙련자가 완구조각을 서로 접합 내지 조립시, 이들이 상기한 바와 같은 각도와 중첩면적을 산출하고, 이를 기준값으로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각도의 기준값은 최상의 조립작업일 때의 완구조각별 각도에 해당하고, 면적의 기준값은 최상의 조립작업일 때의 완구조각별 중첩면적에 해당한다. 그리고, 평가점수산출부(175)는 산출된 각도(θ)와 면적(A)이 기준값의 비교에 의한 점수 산정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아래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시로 이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얻어진 각도에 대한 평가 점수를 구하는 수학식 1의 결과값과, 중첩 면적에 대한 평가 점수를 구하는 수학식 2의 결과값을 평균한 값을 조립 작업의 평가 점수로 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에서의 최대 허용 오차를 360°로 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 다양한 각도를 사용할 수도 있다.
Figure 112020093656791-pat00001
Figure 112020093656791-pat00002
상기와 같은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은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으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스마트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 DVD, 블루레이,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기기의 카메라부가 인식하는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조립영상을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완구의 조립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완구조각 별 조립영상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립에 대한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객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조립에 대한 실력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사용자기기 110: 제어부
111: 색상인식부 112: 식별정보추출부
113: 영상생성부 114: 영상재생부
115: 조립가이드부 120: 메모리부
130: 송수신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인터페이스부 160: 카메라부
170 : 평가부 171 : 영상처리부
172 : 도형추출부 173 : 결합각도산출부
174 : 중첩면적산출부 175 : 평가점수산출부
200: 완구판 210,210A,210B: 완구조각

Claims (5)

  1. 사용자기기의 카메라부가 완구판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색상인식부가 인식된 상기 완구판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 각각에 채색된 색상에 대한 제 1 색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식별정보추출부가 인식된 상기 완구판으로부터 상기 완구판의 완구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영상생성부가 상기 사용자기기의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완구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조립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제 1 색상정보 및 상기 제 1 조립영상을 이용하여 채색된 적어도 하나의 완구조각이 조립되는 제 2 조립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영상재생부가 상기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 2 조립영상을 증강현실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영상생성부에 의해 상기 완구조각 각각에 대하여 생성한 상기 제 2 조립영상 각각을 상기 사용자기기의 조립가이드부가 미리 정해진 완구조각의 조립순서대로 상기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증강현실로 표시되도록 조립을 가이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기기의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완구조각의 실제 조립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기기의 영상처리부에 의해 완구조각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기기의 결합각도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완구조각의 결합각도와 상기 사용자기기의 중첩면적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완구조각간의 중첩면적로부터 상기 사용자기기의 평가점수산출부에 의해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서로 접합된 완구조각 각각에 대한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각각 추출한 이미지에서 상기 사용자기기의 도형추출부에 의해 모서리 사이의 오목한 홈을 메꾸도록 모서리를 가상의 직선으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오목한 홈이 없는 도형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결합각도산출부에 의해 서로 접합하는 상기 도형 각각에서 가장 긴 가상의 직선이 서로 이루는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기기의 중첩면적산출부에 의해 서로 접합하는 상기 도형의 중첩되는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기기의 평가점수산출부에 의해, 상기 각도와 상기 면적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완구조각별 접합시 기준값과 비교하여 오차값에 반비례하는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기기의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제 2 조립영상을 상기 완구조각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형으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도형추출부에 의해 상기 모서리 사이의 오목한 홈을 메꿀 때, 최대로 이격된 모서리를 서로 가상의 직선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형으로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도형추출부가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추출한 이미지에서 오목한 홈을 메꿀 필요가 없는 경우, 상기 이미지를 그대로 도형으로 추출하고,
    상기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결합각도산출부가 상기 이미지를 그대로 추출한 도형의 경우, 가장자리에서 가장 긴 직선을 상기 가장 긴 가상의 직선 대신으로 사용하여 상기 각도를 산출하도록 하는,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
KR1020200112747A 2020-09-04 2020-09-04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 KR102290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747A KR102290664B1 (ko) 2020-09-04 2020-09-04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747A KR102290664B1 (ko) 2020-09-04 2020-09-04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664B1 true KR102290664B1 (ko) 2021-08-19

Family

ID=7749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747A KR102290664B1 (ko) 2020-09-04 2020-09-04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6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082B1 (ko) * 2021-12-23 2022-09-21 안종현 블록 퍼즐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9415A (ko) * 2013-02-02 2014-08-12 태양광발전도로(주) 게임 등의 프로그램에서 가상적으로 작업 및 조립한 작품의 실물 제작 및 전달 방법, 프로그램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기기, 실물 제작을 실행하는 원격지 운영 서버
KR101452359B1 (ko) * 2014-02-21 2014-10-23 주식회사 베이스디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9415A (ko) * 2013-02-02 2014-08-12 태양광발전도로(주) 게임 등의 프로그램에서 가상적으로 작업 및 조립한 작품의 실물 제작 및 전달 방법, 프로그램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기기, 실물 제작을 실행하는 원격지 운영 서버
KR101452359B1 (ko) * 2014-02-21 2014-10-23 주식회사 베이스디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082B1 (ko) * 2021-12-23 2022-09-21 안종현 블록 퍼즐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WO2023120974A1 (ko) * 2021-12-23 2023-06-29 안종현 블록 퍼즐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76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US102848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optically machine readable code for a captured image
Linowes et al. Augmented reality for developers: Build practical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with unity, ARCore, ARKit, and Vuforia
JP6367926B2 (ja) 拡張現実(ar)キャプチャおよびプレイ
Webb et al. Beginning kinect programming with the microsoft kinect SDK
US20160314620A1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8414393B2 (en) Game device, control method for a game device, and a non-transitory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20120108305A1 (en) Data generation device, control method for a data generation device, and non-transitory information storage medium
Rahman Beginning Microsoft Kinect for Windows SDK 2.0: Motion and Depth Sensing for Natural User Interfaces
KR101452359B1 (ko) 완구 조립영상 제공방법
Scolastici et al. Mobile game design essentials
US1078972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ilm previsualization
KR102462139B1 (ko) 3d 에셋 배치를 이용한 교육용 메타버스 구현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290664B1 (ko) 평가가 가능한 완구의 증강현실 조립영상 제공 방법
KR101629894B1 (ko) 매트용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Ronchetti et al. Using kinect to emulate an interactive whiteboard
KR20200060202A (ko) 증강현실 기반의 동화 구현 방법 및 장치
Madsen Aspects of user experience in augmented reality
George Using Object Recognition on Hololens 2 for Assembly
KR20230126187A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컨텐츠 구현 장치 및 방법
Ruiz Jr et al. Using Augmented-Reality to Aid in Lego Construction: A Mobile Application
CN116912463A (zh) 3d虚拟形象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Panayiotou Rgb slemmings: An augmented reality game in your room
CN117853622A (zh) 一种用于创建头像的系统和方法
Arizal et al. Augmented Reality as Education by Using Animal Announcer Based on Android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