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617B1 - vertical stacking type bee hive with multilevel covers - Google Patents

vertical stacking type bee hive with multilevel cov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617B1
KR102290617B1 KR1020210000979A KR20210000979A KR102290617B1 KR 102290617 B1 KR102290617 B1 KR 102290617B1 KR 1020210000979 A KR1020210000979 A KR 1020210000979A KR 20210000979 A KR20210000979 A KR 20210000979A KR 102290617 B1 KR102290617 B1 KR 102290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assembly
hook
cover
bod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9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진
Original Assignee
(주)하이브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브폼 filed Critical (주)하이브폼
Priority to KR1020210000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6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6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A multi-cover mounting-type vertically stacked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assembly (100); a cover assembly (200); a stair-shaped assembly (300); and a double locking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port or storage of the beehive can be facilitated, and the supply of a bee-raising liquid can be performed smoothly.

Description

다중커버 장착식 수직적층형 벌통 {vertical stacking type bee hive with multilevel covers}Vertical stacking type bee hive with multilevel covers}

본 발명은 다중커버 장착식 수직적층형 벌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 또는 보관시 다수의 커버들로 벌통 몸체의 개방된 상부가 덮이도록 다중커버들이 수직으로 적층 되게 벌통 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운반 또는 보관이 용이 해지도록 할 수 있고, 설치 장소에서는 다중커버들이 수직 적층된 상태를 해체하여 벌통의 몸체가 다중커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외부사양기에서의 사양액의 공급도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운반 또는 보관시 벌통 몸체의 상부에 다중커버들을 서로 결합할 때에 이중잠금구조가 적용되도록 하여 수직으로 적층된 벌통의 운반 또는 보관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다중커버들 각각에 형성된 환기구를 통해 운반 또는 보관시 벌통 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히 이뤄지며 다중커버들의 장착에 의해 운반 또는 보관시 벌통의 단열 효과도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다중커버 장착식 수직적층형 벌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over mounted vertically stacked beehive, and more particularly,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beehive body so that the multiple covers are vertically stacked so that the open top of the beehive body is covered with a plurality of covers during transport or storage. It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so that it can be easily transported or stored, and at the installation site, the body of the beehive is easi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at least one of the multiple covers by dismantling the vertically stacked state of the multiple covers. The supply of the specification liquid of the beehive can be made smoothly, and the double locking structure is applied when the multiple covers are combin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ehive body during transport or storage so that the transport or storage state of the vertically stacked beehive is firmly maintained. A multi-cover mounting type vertical that can facilitate air circulation inside the hive during transport or storage through the ventilation holes formed in each of the multiple covers, and improve the insulation effect of the hive during transport or storage by installing multiple covers It relates to a layered hive.

일반적으로 꿀벌은 밀원이 풍부한 유밀기에 채집한 꿀을 벌통 내에 저장하여 두고 무밀기까지 식량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양봉업자들은 꿀벌이 사용하고 남는 여분의 꿀을 채집하여 사용하는 것이 맞는데, 양봉업자들이 채집하는 꿀의 양이 점차 증가 되면서 요즘에는 꿀벌들이 식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꿀의 양은 부족해지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honeybees store the honey collected during the milking season, which is rich in wheat sources, in the hive, and use it as food until no wheat is harvested. And it is right for beekeepers to collect and use excess honey that is used by bees. However, as the amount of honey collected by beekeepers gradually increases, the amount of honey that bees can use as food is becoming insufficient these days.

따라서, 최근 들어서는 꿀벌들의 식량으로 꿀을 대신하여 사람들이 인공적으로 공급해주는 사양액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사양기는 이러한 사양액의 공급시 사용되는 것이다.Therefore, in recent years, the feeding liquid artificially supplied by people instead of honey as food for bees is mainly used, and the feeding period is used when supplying this feeding solution.

사양기는 통상 박스 형상의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로는 공급관 등을 통해 꿀벌들이 사양액을 섭취할 수 있도록 사양액이 공급된다. The feeding machine usually has a box-shaped body, and the feeding solution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dy so that the bees can consume the feeding solution through a supply pipe or the like.

종래기술에 따른 벌통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946590호(2010년03월03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An example of a beehi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946590 (registered on March 03, 20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and the like.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벌통에 의하면 운반 또는 보관시 벌통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단순히 하나의 커버로만 덮어 폐쇄하도록 구비되고 커버와 몸체를 결속하는 잠금 구조는 별도로 없기 때문에 바람이 거세게 불게 되는 이동양봉 또는 고정양봉과 같은 운반 또는 보관 과정에서 커버가 몸체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고, 설치시 몸체가 단순히 지면의 상부에 바로 접촉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내부 사양기의 부력체가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여 외부사양기로부터의 사양액의 공급도 원활히 이뤄지지 못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ransporting or storing, the open upper part of the beehive body is simply provided to cover and close with only one cover, and since there is no separate locking structure for binding the cover and the body, the wind blows strongly. Alternatively, the cove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ody during transport or storage such as fixed beekeeping, and when installed, the body is simply install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so the buoyancy body of the internal specification machine does not work proper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pply of the specification liquid may not be carried out smoothly.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벌통에 의하면 몸체를 덮는 커버가 하나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커버에 환기구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환기가 충분하지 못하게 되며 운반 또는 보관시 단열성도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only one cover covering the body is formed, even if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ventilation is not sufficie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may be deteriorated during transportation or storage.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946590호(2010년03월03일자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946590 (registered on March 03, 2010)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 또는 보관시 다수의 커버들로 벌통 몸체의 개방된 상부가 덮이도록 다중커버들이 수직으로 적층 되게 벌통 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운반 또는 보관이 용이 해지도록 할 수 있고, 설치 장소에서는 다중커버들이 수직 적층된 상태를 해체하여 벌통의 몸체가 다중커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외부사양기에서의 사양액의 공급도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운반 또는 보관시 벌통 몸체의 상부에 다중커버들을 서로 결합할 때에 이중잠금구조가 적용되도록 하여 수직으로 적층된 벌통의 운반 또는 보관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다중커버들 각각에 형성된 환기구를 통해 운반 또는 보관시 벌통 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히 이뤄지며 다중커버들의 장착에 의해 운반 또는 보관시 벌통의 단열 효과도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다중커버 장착식 수직적층형 벌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that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beehive body so that the multiple covers are vertically stacked so that the open top of the beehive body is covered with a plurality of covers during transport or storage, so that transport or storage can be facilitated. At the installation site, the multi-covers are dismantled vertically so that the body of the beehive is easily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multi-covers, so that the supply of the specification liquid from the external specification machine can be smoothly performed. During transport or storage, a double locking structure is applied when combining multiple covers on the upper part of the hive body, so that the transport or storage state of the vertically stacked hive can be firmly maintained, and the ventilation holes formed on each of the multiple covers are installed. 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cover-mounted vertical stacked beehive that can smoothly circulate air inside the hive during transport or storage and improve the insulation effect of the hive during transport or storage by installing multiple cover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커버 장착식 수직적층형 벌통은: 상부가 개방된 오면체 형상의 외관을 갖도록 마련되며, 운반 또는 보관시 하부에 배치되고, 설치시 상부에 배치되는 몸체 어셈블리; 운반 또는 보관시 상기 몸체 어셈블리의 개방된 상부가 밀폐되게 상기 몸체 어셈블리의 상부에 구비되며, 설치시 상기 몸체 어셈블리의 하부에 배치되는 커버 어셈블리;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면체 형상의 외관을 갖도록 마련되며, 운반 또는 보관시 상기 몸체 어셈블리와 상기 커버 어셈블리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하부가 상기 몸체 어셈블리의 상부에 맞물림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커버 어셈블리의 하부에 맞물림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계상 어셈블리; 및, 상기 몸체 어셈블리의 상부와 상기 계상 어셈블리의 하부의 사이, 상기 커버 어셈블리의 하부와 상기 계상 어셈블리의 상부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운반 또는 보관시 이중 잠금 조작에 의해 상기 몸체 어셈블리, 커버 어셈블리, 계상 어셈블리가 서로 수직으로 맞물려 결합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이중잠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lti-cover mounted vertically stacked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ssembly provided to have a pentahedral shape with an open top, disposed at the bottom during transport or storage, and disposed at the top during installation; a cover assemb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ssembly so that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body assembly is sealed during transport or storage, and disposed under the body assembly during installa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provided to have an open tetrahedral appearance, and the lower portion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ssembly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body assembly and the cover assembly during transport or storage, and the upper portion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assembly. an entrainment assembly provided to engage and engage; an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ssembl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nclosing assembly, an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assembly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enclosing assembly. and a double locking device that vertically engages the assembly to fix the coupled state.

여기서, 상기 이중잠금장치는, 상기 커버 어셈블리의 하부와 상기 계상 어셈블리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전방으로 제1 후크가 돌출 연장된 경첩 물림부와, 상기 계상 어셈블리의 상부와 상기 몸체 어셈블리의 상부에서 상기 경첩 물림부의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며 하부에는 전방으로 제2 후크가 돌출 형성된 레버 홀더와 상기 레버 홀더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잠금 레버와 상기 잠금 레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경첩 물림부의 제1 후크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고리로 이뤄진 경첩부와, 상기 잠금 레버의 전방에서 상기 잠금 레버의 회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후크에 상기 걸림 고리의 걸림이 완료되고 난 후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후크를 가로막는 방향으로 걸려 고정되는 빗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double locking device includes a hinge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ver assembly and a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assembly and extending forward with a first hook,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assembly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ssembly. A lever holder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inge engagement portion and having a second hook protruding forward at the lower portion, a lock lever rotatab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ver holder, and a lock lever rotatably provided on the lock lever for rotation operation a hinge portion comprising a locking ring fixed by being caught by the first hook of the hinge engagement portion by means of a hinge portion provided to be rotat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lock lever in front of the lock lever, the locking ring on the first hook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latch part which is caught and fixed in a direction blocking the second hook by a rotation operation after the locking of the hook is completed.

그리고, 상기 계상 어셈블리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환기공이 천공 형성되고, 상기 환기공에는 환기망을 포함하는 환기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it is preferable that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nesting assembly, and a ventilation unit including a ventilation network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ventilation holes.

본 발명에 따르면, 운반 또는 보관시 다수의 커버들로 벌통 몸체의 개방된 상부가 덮이도록 다중커버들이 수직으로 적층 되게 벌통 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운반 또는 보관이 용이 해지도록 할 수 있고, 설치 장소에서는 다중커버들이 수직 적층된 상태를 해체하여 벌통의 몸체가 다중커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외부사양기에서의 사양액의 공급도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운반 또는 보관시 벌통 몸체의 상부에 다중커버들을 서로 결합할 때에 이중잠금구조가 적용되도록 하여 수직으로 적층된 벌통의 운반 또는 보관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다중커버들 각각에 형성된 환기구를 통해 운반 또는 보관시 벌통 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히 이뤄지며 다중커버들의 장착에 의해 운반 또는 보관시 벌통의 단열 효과도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다중커버 장착식 수직적층형 벌통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le covers are vertically stacked so that the open top of the beehive body is covered with a plurality of covers during transport or storage, so that transport or storage can be facilitated by providing a structure mounted on the top of the beehive body. , at the installation site, dismantle the vertically stacked state of the multiple covers so that the body of the beehive is easily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multiple covers, so that the supply of the specification liquid from the external specification machine can be smoothly performed, When transporting or storing multiple covers on the upper part of the beehive body, a double locking structure is applied so that the transport or storage state of the vertically stacked beehive is firmly maintained, an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s formed in each of the multiple cove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cover-mounted vertical stacked hive that can smoothly circulate air inside the hive during transport or storage and improve the insulation effect of the hive during transport or storage by installing multiple cove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커버 장착식 수직적층형 벌통의 운반 또는 보관시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중커버 장착식 수직적층형 벌통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커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계상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몸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이중잠금장치의 잠금과 잠금 해제 과정을 각각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 어셈블리의 하부에 커버 어셈블리가 거치대로서 구비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사양기로부터 사양액을 공급받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 어셈블리의 하부에 커버 어셈블리 및 계상 어셈블리가 거치대로서 구비되도록 설치되어 외부사양기로부터 사양액을 공급받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본 발명에 따른 몸체 어셈블리의 장착 슬롯에 사양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 어셈블리의 장착 슬롯에 장착되는 사양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7 및 도 8의 회전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cover mounted vertically stacked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ported or store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cover mounting type vertically stacked beehive of Figure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assembly of FIG. 1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oring assembly of Figure 1;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assembly of FIG. 1 ;
6a and 6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showing the locking and unlocking process of the double locking device of FIG. 1;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ver assembly is installed as a cradle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receive a specification liquid from an external specification machine;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receiving a specification liquid from an external specification machine installed so as to be provided as a cradl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ecification device is mounted in the mounting slot of the bod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pecification machine mounted in a mounting slot of a bod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valve of FIGS. 7 and 8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커버 장착식 수직적층형 벌통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오면체 형상의 외관을 갖도록 마련되며 운반 또는 보관시 하부에 배치되고 설치시 상부에 배치되는 몸체 어셈블리(100)와, 운반 또는 보관시 몸체 어셈블리(100)의 개방된 상부가 밀폐되게 몸체 어셈블리(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설치시 몸체 어셈블리(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커버 어셈블리(200)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면체 형상의 외관을 갖도록 마련되며 운반 또는 보관시 몸체 어셈블리(100) 및 커버 어셈블리(20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하부가 몸체 어셈블리(100)의 상부에 맞물림 결합되고 상부가 커버 어셈블리(200)의 하부에 맞물림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계상 어셈블리(300)와, 몸체 어셈블리(100)의 상부와 계상 어셈블리(300)의 하부의 사이, 커버 어셈블리(200)의 하부와 계상 어셈블리(300)의 상부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운반 또는 보관시 이중 잠금 조작에 의해 몸체 어셈블리(100), 커버 어셈블리(200), 계상 어셈블리(300)가 서로 수직으로 맞물려 결합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이중잠금장치(400)를 포함한다. The multi-cover mounted vertically stacked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is provided to have a pentahedr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is disposed at the bottom during transport or storage and disposed at the top during installation The body assembly 100 and the cover assembly 20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ssembly 100 so that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body assembly 100 is hermetically sealed during transport or storage and disposed under the body assembly 100 during installation.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provided to have an open tetrahedral appearance, and the lower portion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ssembly 100 so that it is interposed between the body assembly 100 and the cover assembly 200 during transportation or storage, and the upper portion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ssembly 100 and the lower part of the enclosing assembly 300, the lower part of the cover assembly 200 and the enclosing assembly ( 300) provided between the upper parts of the body assembly 100, the cover assembly 200, and the nesting assembly 300 by a double locking operation during transport or storage to be vertically engaged with each other to fix the coupled state device 400 .

이에 따라, 운반 또는 보관시 다수의 커버들로 벌통 몸체의 개방된 상부가 덮이도록 다중커버들이 수직으로 적층 되게 벌통 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구조로 마련되어 운반 또는 보관이 용이 해지도록 할 수 있고, 설치 장소에서는 다중커버들이 수직 적층된 상태를 해체하여 벌통의 몸체가 다중커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외부사양기(20)에서의 사양액의 공급도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동양봉 또는 고정양봉, 바람이 거세게 불게 되는 운반 또는 보관 과정에서 벌통 몸체의 상부에 다중커버들을 서로 결합할 때에 이중잠금구조가 적용되도록 하여 수직으로 적층된 벌통의 운반 또는 보관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다중커버들 각각에 형성된 환기구를 통해 운반 또는 보관시 벌통 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히 이뤄지며 다중커버들의 장착에 의해 운반 또는 보관시 벌통의 단열 효과도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다중커버 장착식 수직적층형 벌통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ultiple covers are vertically stacked so that the open top of the beehive body is covered with a plurality of covers during transport or storage, so that transport or storage can be facilitated by providing a structure to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beehive body. In a place, by dismantling the state in which the multiple covers are vertically stacked, the body of the beehive can be easily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multiple covers, so that the supply of the specification liquid from the external specification machine 20 can be smoothly performed. When combining multiple covers on the upper part of the beehive body with each other during transport or storage in a moving or fixed beekeeping process, when the wind blows strongly, a double locking structure is applied, so that the vertically stacked beehives are securely transported or stored. A multi-cover mounting type that can facilitate air circulation inside the hive during transport or storage through the ventilation holes formed in each of the multiple covers, and improve the insulation effect of the hive during transport or storage by installing multiple covers A vertically stacked hive can be provided.

몸체 어셈블리(1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S(발포 폴리스티렌) 수지 또는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같은 발포 수지재질로 발포되어 상부가 개방된 오면체 형상의 외관을 갖도록 마련된 몸통 발포체(110)와, 몸통 발포체(110)의 개방된 상단 개구의 형상에 대응되게 방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ABS(아크리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수지 또는 PC(폴리카보네이트)수지와 같은 용융 수지재질로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몸통 발포체(110)의 상단 개구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몸통 발포체(110)의 상단 개구에 결합되는 몸체 상단 프레임(13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5, the body assembly 100 is foamed with a foamed resin material such as EPS (expanded polystyrene) resin or EPP (expanded polypropylene) resin to have a pentahedral shape with an open top. The prepared body foam 110 and a molten resin material such as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sin or PC (polycarbonate) resin to form a squar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pen top opening of the body foam 110 and a body upper frame 130 coupl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foam 110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foam 110 .

이에 따라, 종래의 벌통 몸체가 단순히 EPS나 EPP 수지 재질로 마련되어 뒤틀림 등에 의한 변형이 심각해지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벌통에 의하면 ABS나 PC 재질로 마련된 몸체 상단 프레임(130)에 의해 지지 되며 몸체의 상부가 뒤틀려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비가 이탈되거나 장착이 불가해지는 치명적인 결함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몸체 상단 프레임(130)이 ‘ㄱ’자 또는 ‘ㄴ’자의 형상으로 각각 분리 조합되는 형태가 아닌 일체로 방형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벌통 몸체의 상부의 뒤틀림이 억제되며 내구성이 더욱 강화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unlike the conventional beehive body that is simply made of EPS or EPP resin material and the deformation due to distortion becomes serious, according to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supported by the upper frame 130 of the body made of ABS or PC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pper part of the body from being twisted and deformed to prevent a fatal defect that consumption is separated or cannot be mounted, and the upper body frame 130 is separated and combined in the shape of a 'L' or 'B' shape, respectively. It is provided to form an integrally rectangular shape, so that dist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beehive body is suppressed and durability can be further strengthened.

몸통 발포체(110)는, 전방 하부에 꿀벌들이 출입하도록 소문이 형성되고, 바닥공간에서 소문이 형성된 전방에 인접한 부분에는 좌우 양측으로 사양기(10)와 바닥슬롯 환기유닛이 택일적으로 장착되는 장착 슬롯이 형성된다. The body foam 110, a rumor is formed so that the bees enter and exit the front lower part, and in the part adjacent to the front where the rumor is formed in the floor space, the specification machine 10 and the floor slot ventilation unit are alternatively moun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 slot is formed.

이에 따라, 몸통 발포체(110)의 바닥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하여 벌통의 몸체 내부의 소비를 줄이거나 벌통의 몸체를 수평방향으로 불필요하게 확장할 필요없이 몸체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사양기(10)가 장착 슬롯에 간편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벌통 몸체의 바닥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one or more specification devices 10 are installed inside the body without the need to reduce consumption inside the body of the beehive or to extend the body of the beehive unnecessari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ensuring that the floor space of the body foam 110 is sufficiently secured. Since it can be easily mounted in the mounting slot, the utilization of the floor space of the hive body can be improved.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 발포체(110)의 전방에는 소문을 체결할 때에 소문의 결합을 지지하도록 결속되는 정문 너트(121)가 구비되고, 소문의 상부에는 후술할 회전밸브(30)가 상부의 3개의 홈에 거치 되는 밸브 거치대(122)가 구비되며, 밸브 거치대(122)가 소문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회전 너트(123)가 구비되고, 몸통 발포체(110)의 측면 하부에는 하부 측면의 홈과 측면 반원 기둥의 하부 홈을 연결시켜 그 구조를 보강하며 파손 및 뒤틀림을 방지하는 측면 하부커버(124)가 구비되며, 몸통 발포체(110)의 전방에는 회전 너트(123)로 고정되어 후술할 호스(21)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 및 전방 평판으로 구성되는 전방 상부플랜지(125)가 구비되고, 전방 상부플랜지(125)의 관통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이를 막도록 플랜지 마개(126)가 구비되며, 전방 평판에 볼트로 고정되어 소문의 전방으로 회동 개폐되는 이동망을 지지하는 이동망 고리(12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as shown in FIG. 5 , a front door nut 121 coupled to support the coupling of the rumo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body foam 110 when the rumor is fastened, and a rotation valve 3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rumor. ) is provided with a valve holder 122 mounted in the upper three grooves, a rotating nut 123 for fixing the valve holder 122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art is provided, and the lower side of the side of the body foam 110 is A side lower cover 124 that connects the groove of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groove of the side semicircular column to reinforce the structure and prevent damage and distortion is provided, and the front of the body foam 110 is fixed with a rotating nut 123 A front upper flange 125 compris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ose 21 to be described later can pass and a front plate is provided, and a flange stopper 126 to block the through hole of the front upper flange 125 when not in use. is provided, and i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moving net ring 127 that is fixed to the front plate by bolts and supports the moving net that is rotated and opened and closed in the front of the rumor.

한편, 장착 슬롯에 사양기(10)나 바닥슬롯 환기유닛이 장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장착 슬롯의 형상에 대응되게 발포체로 형성되어 보온 기능을 수행하는 슬롯마개가 끼워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pecification device 10 or the floor slot ventilation unit is not mounted in the mounting slot, it is preferable that the slot stopper, which is formed of foam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mounting slot and performs a warming function, is inserted and detachably coupled.

커버 어셈블리(2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어셈블리(10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게 대략 방형의 테두리를 갖도록 형성되며, 설치시 몸체 어셈블리(100)의 하부에 배치될 때에 사양기(10)가 하부로 관통 돌출되는 사양기 관통공(211)이 방사상 천공 형성되며 테두리 부분에서는 하부로 절곡 또는 만곡 되어 측면부가 형성되는 상부커버(210)와, 운반 또는 보관시엔 상부커버(2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부커버(210)를 지지하며 사양기 관통공(211)에 의해 개방되는 부분은 밀폐되도록 하는 커버 발포체(220)와, 상부커버(210)의 측면부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방형의 형상으로 일체형으로 마련된 커버 하단 프레임(23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3 , the cover assembly 200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rim to correspond to the planar shape of the body assembly 100 , and to be disposed under the body assembly 100 when installed. When the specification device 10 is protruded through the bottom, the specification device through hole 211 is radially perforated, and the upper cover 210 in which the side part is formed by bending or bending downward at the edge part, and the upper cover when transporting or storing I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210 to support the upper cover 210 and the portion opened by the specification device through hole 211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portion of the cover foam 220 and the upper cover 210 to be sealed. It includes a cover lower frame 230 integrally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 또는 보관시엔 상부커버(210), 커버 발포체(220), 커버 하단 프레임(230)이 모두 결합된 커버 어셈블리(200)를 몸체 어셈블리(100)와 계상 어셈블리(300)의 상부에 결합하여 몸체 어셈블리(100)의 내부가 보호되도록 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시엔 커버 어셈블리(200)에서 커버 발포체(220)만을 제외하고 몸체 어셈블리(100)의 하부에 커버 어셈블리(200)가 거치대로서 구비되도록 하여 몸체 어셈블리(100)를 지지하며 몸통 발포체(110)의 장착 슬롯에 끼워진 사양기(10)의 높이가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게 지지 되도록 하면서 사양기(10)의 바닥은 몸통 발포체(110)의 바닥면과 일치되지 않고 사양기 관통공(211)을 통해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외부사양기(20)에 연결되는 호스(21)의 주입구로부터 하측으로 충분한 높이 차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부력체의 승강에 의해 사양액의 공급이 단속되는 사양기(10)에서 부력체 동작이 방해받지 않고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사양기(10) 설치의 편리함에 의해 벌통 몸체 내부의 바닥 공간 활용도가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 during transport or storage, the cover assembly 200 in which the upper cover 210 , the cover foam 220 , and the lower cover frame 230 are all combined is combined with the body assembly 100 . It can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assembly 300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body assembly 100, and as shown in FIG. 7 , when installed, only the cover foam 220 in the cover assembly 200 is excluded from the body assembly ( The cover assembly 200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100) as a cradle to support the body assembly 100, and the height of the specification device 10 inserted into the mounting slot of the body foam 110 is suppor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While the bottom of the specification machine 10 does not coincid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foam 110 and protrudes downward through the specification machine through-hole 211, the inlet of the hose 21 connected to the external specification machine 20 By forming a sufficient height difference downward from By convenience,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floor space inside the beehive body.

커버 발포체(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S 수지 또는 EPP 수지 재질로 발포되어 하부가 개방된 대략 오면체 형상의 외관을 갖도록 마련되고, 측면에는 외기가 통과되는 다수의 커버 환기창(221)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관통 형성된 공간이 형성되며, 커버 하단 프레임(230)은 ABS 수지 또는 PC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일체형으로 방형을 이루도록 마련된다. As shown in FIG. 3, the cover foam 220 is foamed with an EPS resin or EPP resin material to have a substantially pentahedral shape with an open lower part, and a plurality of cover ventilation windows 221 through which outside air passes through the side surfaces. ) is formed through the space so that it can be detachably fitted, and the lower frame of the cover 23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ABS resin or PC resin to form a square integrally.

계상 어셈블리(3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어셈블리(100) 및 커버 어셈블리(20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게 대략 방형의 테두리를 갖도록 형성되며, EPS 수지 또는 EPP 수지 재질로 발포되어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사면체 형상의 외관을 갖도록 마련된 계상 발포체(310)와, 계상 발포체(310)의 개방된 상단 개구의 형상에 대응되게 방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ABS 수지 또는 PC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계상 발포체(310)의 상단 개구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계상 발포체(310)의 상단 개구에 결합되는 계상 상단 프레임(320)과, 계상 발포체(310)의 개방된 하단 개구의 형상에 대응되게 방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ABS 수지 또는 PC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계상 발포체(310)의 하단 개구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계상 발포체(310)의 하단 개구에 결합되는 계상 하단 프레임(33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4 , the enclosing assembly 300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edge corresponding to the planar shape of the body assembly 100 and the cover assembly 200, and is made of EPS resin or EPP resin material. ABS resin or PC resin to form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pen top opening of the based foam 310 and the based foam 310 provided to have a tetrahedral shape foamed with an open top and bottom. The upper frame 320 is coupl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foam 310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upper opening of the foam 310, which is provided integrally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shape of the open lower opening of the foam 310. The lower frame 330 is provided integrally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ABS resin or PC resin to form a square shape to correspond to and coupled to the lower opening of the tiered foam 310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lower opening of the tiered foam 310. ) is included.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 또는 보관시엔 계상 어셈블리(300)를 몸체 어셈블리(100)와 커버 어셈블리(200)의 사이에 결합하여 몸체 어셈블리(100)의 내부가 보호되도록 할 수 있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시엔 몸체 어셈블리(100)의 하부에 계상 어셈블리(300)가 커버 어셈블리(200)와 함께 거치대로서 구비되도록 하여 몸체 어셈블리(100)를 더 높이 지지하며 몸통 발포체(110)의 장착 슬롯에 끼워진 사양기(10)의 높이가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더 높이 이격되게 지지 되도록 하면서 사양기(10)의 바닥은 몸통 발포체(110)의 바닥면과 일치되지 않고 사양기 관통공(211)을 통해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외부사양기(20)에 연결되는 호스(21)의 주입구로부터 하측으로 더욱 충분한 높이 차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부력체의 승강에 의해 사양액의 공급이 단속되는 사양기(10)에서 부력체 동작이 방해받지 않고 더욱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 during transport or storage, the nesting assembly 300 is coupled between the body assembly 100 and the cover assembly 200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body assembly 100 and , As shown in FIGS. 8 and 9, when installed, the mounting assembly 300 is provided as a cradle together with the cover assembly 200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assembly 100 to support the body assembly 100 higher, While the height of the specification device 10 fitted in the mounting slot of the body foam 110 is supported to be mo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 bottom of the specification device 10 does not coincid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foam 110. By protruding downward through the group through-hole 211 to form a more sufficient height difference downward from the inlet of the hose 21 connected to the external specification machine 20, the supply of the specification liquid by elevating the buoyancy body is reduced. In the intermittent specification device (10), the buoyancy body operation can be made more smoothly without being disturbe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 어셈블리(100)의 장착 슬롯에 장착되는 사양기(10)(주름관 몸체로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를 갖는)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specification device 10 (having a buoyancy control capable of buoyancy control with a corrugated tube body) mounted in the mounting slot of the body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사양기(10)는,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21)를 통해 외부사양기(20)에 연결되어 외부사양기(20)에서 사양액이 부력체가 구비된 충전부로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pecification device 10 installed inside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7 to 9 ,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specification device 20 through a hose 21 and is specified in the external specification device 20 . The liquid may be injected into the charging unit provided with the buoyancy body.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몸체 어셈블리(100)는 커버 어셈블리(200) 또는 커버 어셈블리(200)와 계상 어셈블리(300)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하여 양봉업자가 허리를 굽혀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개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body assembly 100 of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over assembly 200 or the cover assembly 200 and the nesting assembly 300 so that the inconvenience of the beekeeper having to bend the waist to work is improved. It is preferable to do

여기서, 호스(21)에는 사양액의 주입이 단속되도록 회전밸브(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hose 2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otation valve 30 so that the injection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s interrupted.

회전밸브(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조작에 의해 사양액의 유동이 단속되도록 하는 하부 베이스(31)와, 하부 베이스(31)의 외측에 결합되며 양단부에 호스(21)가 연결되는 호스 연결체(33)와, 고무와 같은 기밀 소재로 마련되어 하부 베이스(31) 및 호스 연결체(33)가 결합되는 부위에 밀착되게 구비된 오링(35)을 포함한다.The rotary valve 30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lower base 31 and the lower base 31 so that the flow of the specification liquid is interrupted by rotational operation, as shown in FIG. 11 , and has a hose 21 at both ends. It includes a hose connector 33 to which is connected, and an O-ring 35 made of an airtight material such as rubber and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a portion where the lower base 31 and the hose connector 33 are coupl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사양기(10)가 호스(21)에 의해 외부사양기(20)에 연결되어 사양액을 공급받을 때에 회전밸브(30)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사양액의 공급이 편리하게 단속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pecification device 10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specification device 20 by the hose 21 to receive the specification liquid, by a simple operation of the rotary valve 30 The supply of the specification liquid can be conveniently intercepted.

여기서, 호스 연결체(33)의 일측에는 밸브 거치대(122)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거치 돌기(34)가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a mounting protrusion 34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hose connection body 33 to be latched and fixed to the valve holder 122 .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상 어셈블리(300)의 계상 발포체(310)의 네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원형의 환기공(311)이 천공 형성되고, 환기공(311)에는 환기망(314)을 포함하는 환기 유닛(313)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a circular ventilation hole 311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nested foam 310 of the nesting assembly 300, and the ventilation hole 311 has a ventilation network ( It is preferable that the ventilation unit 313 including 314 is detachably coupl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운반 또는 보관시 계상 발포체(310)의 환기공(311)에 장착된 환기 유닛(313)을 통해 벌통 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ransporting or storing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irculation inside the beehive can be smoothly performed through the ventilation unit 313 mounted on the ventilation hole 311 of the layered foam 310 .

환기 유닛(3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환기공(311)의 형상에 대응되게 원형의 망체로 형성된 환기망(314)과, 환기시엔 제거되고 환기를 안 할 경우엔 환기망(314)의 내측으로 환기공(311)에 먼저 결합되는 속마개(315)와, 환기시엔 제거되고 환기를 안 할 경우엔 환기망(314)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겉마개(316)를 포함하고, 겉마개(316)는, 원형의 환기망(314)의 형상에 대응되게 원형을 이루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발포된 환기 발포체(317)와, 환기 발포체(317) 및 환기망(314)의 사이에 구비되며 환기망(314)의 다수의 통공들을 메우도록 다수의 돌기들이 판면에 형성되어 벌들이 헛집을 짓게 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는 헛집 방지망(318)과, 환기 발포체(317)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환기 발포체(317) 및 헛집 방지망(318)이 결속되도록 하는 마개 너트(319)를 포함한다.The ventilation unit 313, as shown in FIG. 4, has a ventilation network 314 formed of a circular mesh body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ircular ventilation hole 311, and is removed during ventilation and ventilates when not ventilated. It includes an inner stopper 315 that is first coupled to the ventilation hole 311 inside the mesh 314, and an outer stopper 316 that is removed during ventilation and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ventilation network 314 when not ventilated. And, the outer plug 316 is, between the ventilation foam 317 foamed with synthetic resin material to form a circ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ircular ventilation net 314, and the ventilation foam 317 and the ventilation net 314. It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plate surface to fill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ventilation net 314, so that the bees are prevented from building a nest, and the ventilation foam 317 is coupled to the outside for ventilation It includes a stopper nut 319 that allows the foam 317 and the anti-spit net 318 to be bound.

이에 따라, 환기시엔 속마개(315)와 겉마개(316)를 제거하고 환기망(314)을 통해 벌통 내부의 환기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환기를 안 할 경우엔 겉마개(316)를 환기망(314)의 외측에 결합하여 단열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환기를 안 할 경우 겉마개(316)는 반드시 환기망(314)의 외측에 결합되도록 하지만, 속마개(315)는 필요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환기망(314)의 내측으로 환기공(311)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속마개(315)는 1차적으로 꿀벌들이 헛집을 짓는 불필요한 행위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겉마개(316)의 헛집 방지망(318)은 2차적으로 꿀벌들이 헛집을 짓는 행위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Accordingly, during ventilation, the inner stopper 315 and the outer plug 316 are removed, and the ventilation inside the beehive can be smoothly achieved through the ventilation network 314, and when not ventilated, the outer plug 316 is removed. It can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ventilation network 314 so that heat insulation is achieved. At this time, when ventilation is not performed, the outer plug 316 is necessari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ventilation network 314 , but the inner stopper 315 is selectively provided as needed to the inside of the ventilation network 314 . can be coupled to However, the inner stopper 315 primarily serves to prevent unnecessary actions by the bees to build an empty nest, and the empty nest prevention network 318 of the outer stopper 316 secondarily prevents the bees from building an empty nest. will play a role

이중잠금장치(400)는, 도 1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어셈블리(200)의 하부와 계상 어셈블리(30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전방으로 제1 후크(411)가 돌출 연장된 경첩 물림부(410)와, 계상 어셈블리(300)의 상부와 몸체 어셈블리(100)의 상부에서 경첩 물림부(410)의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며 하부에는 전방으로 제2 후크(422)가 돌출 형성된 레버 홀더(421)와 레버 홀더(421)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잠금 레버(425)와 잠금 레버(425)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회동 동작에 의해 경첩 물림부(410)의 제1 후크(411)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고리(427)로 이뤄진 경첩부(420)와, 잠금 레버(425)의 전방에서 잠금 레버(425)의 회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 후크(411)에 걸림 고리(427)의 걸림이 완료되고 난 후 회동 동작에 의해 제2 후크(422)를 가로막는 방향으로 걸려 고정되는 빗장부(430)를 포함한다. The double locking device 40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assembly 20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nclosing assembly 300, respectively, and the first hook 411 protrudes forward as shown in FIGS. 1 and 6a. The hinge engaging portion 4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entraining assembly 3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ssembly 100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inge engaging portion 410 and a second hook 422 in the lower portion forward.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lever holder 421 and the lock lever 425 rotatably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ver holder 421 and the lock lever 425, and the hinge engagement portion 410 by the rotation operation. A hinge portion 420 consisting of a locking ring 427 that is hooked and fixed to the first hook 411 and the lock lever 425 are provided rotatab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lock lever 425 in front of the lock lever 425. It includes a latch portion 430 that is fixed by being caught in a direction blocking the second hook 422 by a rotation operation after the hook 427 is completely hooked to the first hook 411 .

이에 따라, 도 1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잠금장치(400)를 잠글 때에는 경첩부(420)의 잠금 레버(425)를 들어올리고 걸림 고리(427)를 들어올려 걸림 고리(427)가 제1 후크(411)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 후 잠금 레버(425)를 내려 걸림 고리(427)가 제1 후크(411)에 걸려 고정된 상태가 지렛대의 원리로 강하게 결속되도록 할 수 있고, 빗장부(430)를 회동시켜 잠금 레버(425)의 관통공(426)으로 노출된 제2 후크(422)의 후방으로 걸리도록 하여 빗장부(430)의 가로 막음에 의해 걸림 고리(427)가 풀리는 방향으로 잠금 레버(425)가 다시 들어 올려지는 것을 억제하여 견고한 이중 잠금 구조로 몸체 어셈블리(100), 커버 어셈블리(200) 및 계상 어셈블리(300)가 상호 결속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중잠금장치(400)를 풀 때에는 먼저 빗장부(430)를 원 위치되게 수직방향으로 돌리고 잠금 레버(425)를 들어올려 걸림 고리(427)가 제1 후크(411)에서 풀리도록 하는 간편한 조작에 의해 이중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몸체 어셈블리(100), 커버 어셈블리(200) 및 계상 어셈블리(300)가 서로 용이하게 분리 해체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1 and 6B, when locking the double locking device 400, the lock lever 425 of the hinge part 420 is lifted and the locking ring 427 is lifted to the locking ring 427. is caught by the first hook 411 and then lowered the lock lever 425 so that the locking ring 427 is caught by the first hook 411 so that it is strongly bound by the principle of a lever, and the latch The locking ring 427 is released by the blocking of the latch part 430 by rotating the part 430 so as to be caught behind the second hook 422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426 of the lock lever 425. It is possible to inhibit the lock lever 425 from being lifted again in the direction so that the body assembly 100, the cover assembly 200, and the locking assembly 300 are mutually bound with a strong double locking structure, and the double locking device 400 ) to unlock the double lock state by first turning the latch part 430 to its original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lifting the lock lever 425 to release the locking ring 427 from the first hook 411. By releasing it, the body assembly 100, the cover assembly 200, and the enclosing assembly 300 can be easily separated and disassembled from each other.

여기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레버(425)의 하부에는 제2 후크(422)가 전방으로 관통되어 노출되도록 관통공(426)이 천공 형성되고, 레버 홀더(421)의 하부에서 제2 후크(422)의 좌우 양측 중 적어도 하나에는 빗장부(430)에 의한 제2 후크(422)의 걸림 시 잠금 레버(425)의 하부를 밀어주는 스프링 부재(423)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Here, as shown in FIGS. 6A and 6B , a through-hole 426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 lever 425 so that the second hook 422 is penetrated and exposed in the front, and the lever holder 421 is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hook 422 in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spring member 423 that pushes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 lever 425 when the second hook 422 is caught by the latch portion 430 . desirable.

이에 따라, 이중잠금장치(400)의 잠금 시 스프링 부재(423)에 의해 텐션(tension)이 작용 되어 빗장부(430)가 제2 후크(422)를 가로막아 걸린 상태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빗장부(430)를 풀 때에는 잠금 레버(425)의 하부를 살짝 눌러주었다가 돌려주면 되므로 이중잠금장치(400)의 조작이 좀더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double locking device 400 is locked, tension is applied by the spring member 423 so that the latch part 430 blocks the second hook 422 so that the jammed state is not easily released, When the latch part 430 is released,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 lever 425 is slightly pressed and then return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double locking device 400 can be easily performed with less force.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장치(400)의 잠금과 잠금 해제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잠금장치(400)의 잠금과 잠금 해제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ing and unlocking process of the double locking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side view showing the locking and unlocking process of the double locking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technical aspects have been described above an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he description, and does not limit the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0 : 몸체 어셈블리 110 : 몸통 발포체
111 : 장착 슬롯 113 : 바닥 환기창
115 : 후문 환기창 121 : 정문 너트
122 : 밸브 거치대 123 : 회전 너트
124 : 측면 하부커버 125 : 전방 상부플랜지
126 : 플랜지 마개 127 : 이동망 고리
130 : 몸체 상단 프레임 200 : 커버 어셈블리
210 : 상부커버 211 : 사양기 관통공
220 : 커버 발포체 221 : 커버 환기창
230 : 커버 하단 프레임 300 : 계상 어셈블리
310 : 계상 발포체 311 : 환기공
313 : 환기 유닛 314 : 환기망
315 : 속마개 316 : 겉마개
317 : 환기 발포체 318 : 헛집 방지망
319 : 마개 너트 320 : 계상 상단 프레임
330 : 계상 하단 프레임 400 : 이중잠금장치
410 : 경첩 물림부 411 : 제1 후크
420 : 경첩부 421 : 레버 홀더
422 : 제2 후크 425 : 잠금 레버
427 : 걸림 고리 430 : 빗장부
100: body assembly 110: body foam
111: mounting slot 113: floor ventilation window
115: rear door ventilation window 121: front door nut
122: valve holder 123: rotating nut
124: side lower cover 125: front upper flange
126: flange stopper 127: moving mesh ring
130: body upper frame 200: cover assembly
210: upper cover 211: specification device through hole
220: cover foam 221: cover ventilation window
230: cover lower frame 300: mounting assembly
310: based foam 311: ventilation hole
313: ventilation unit 314: ventilation network
315: inner plug 316: outer plug
317: ventilation foam 318: waste prevention net
319: cap nut 320: top frame framed
330: lower frame 400: double locking device
410: hinge engaging portion 411: first hook
420: hinge 421: lever holder
422: second hook 425: lock lever
427: hook 430: latch

Claims (3)

상부가 개방된 오면체 형상의 외관을 갖도록 마련되며, 운반 또는 보관시 하부에 배치되고, 설치시 상부에 배치되는 몸체 어셈블리(100);
운반 또는 보관시 상기 몸체 어셈블리(100)의 개방된 상부가 밀폐되게 상기 몸체 어셈블리(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설치시 상기 몸체 어셈블리(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커버 어셈블리(200);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면체 형상의 외관을 갖도록 마련되며, 운반 또는 보관시 상기 몸체 어셈블리(100)와 상기 커버 어셈블리(20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하부가 상기 몸체 어셈블리(100)의 상부에 맞물림 결합되고 상부가 상기 커버 어셈블리(200)의 하부에 맞물림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계상 어셈블리(300); 및
상기 몸체 어셈블리(100)의 상부와 상기 계상 어셈블리(300)의 하부의 사이, 상기 커버 어셈블리(200)의 하부와 상기 계상 어셈블리(300)의 상부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운반 또는 보관시 이중 잠금 조작에 의해 상기 몸체 어셈블리(100), 커버 어셈블리(200), 계상 어셈블리(300)가 서로 수직으로 맞물려 결합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이중잠금장치(400);
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잠금장치(400)는, 상기 커버 어셈블리(200)의 하부와 상기 계상 어셈블리(30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전방으로 제1 후크(411)가 돌출 연장된 경첩 물림부(410)와, 상기 계상 어셈블리(300)의 상부와 상기 몸체 어셈블리(100)의 상부에서 상기 경첩 물림부(410)의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며 하부에는 전방으로 제2 후크(422)가 돌출 형성된 레버 홀더(421)와, 상기 레버 홀더(421)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잠금 레버(425)와, 상기 잠금 레버(425)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경첩 물림부(410)의 제1 후크(411)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고리(427)로 이뤄진 경첩부(420)와, 상기 잠금 레버(425)의 전방에서 상기 잠금 레버(425)의 회동방향에 가로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후크(411)에 상기 걸림 고리(427)의 걸림이 완료되고 난 후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후크(422)를 가로막는 방향으로 걸려 고정되는 빗장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계상 어셈블리(300)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환기공(311)이 천공 형성되고, 상기 환기공(311)에는 환기망(314)을 포함하는 환기 유닛(313)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잠금 레버(425)의 하부에는 상기 제2 후크(422)가 전방으로 관통되어 노출되도록 관통공(426)이 천공 형성되고, 상기 레버 홀더(421)의 하부에서 상기 제2 후크(422)의 좌우 양측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빗장부(430)에 의한 상기 제2 후크(422)의 걸림 시 상기 잠금 레버(425)의 하부를 밀어주는 스프링 부재(423)가 구비되며,
상기 환기 유닛(313)은, 상기 환기공(311)의 형상에 대응되게 원형의 망체로 형성된 환기망(314)과, 환기시엔 제거되고 환기를 안 할 경우엔 상기 환기망(314)의 내측으로 상기 환기공(311)에 먼저 결합되는 속마개(315)와, 환기시엔 제거되고 환기를 안 할 경우엔 상기 환기망(314)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겉마개(316)를 포함하고,
상기 겉마개(316)는, 상기 원형의 환기망(314)의 형상에 대응되게 원형을 이루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발포된 환기 발포체(317)와, 상기 환기 발포체(317) 및 상기 환기망(314)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환기망(314)의 다수의 통공들을 메우도록 다수의 돌기들이 판면에 형성되어 벌들이 헛집을 짓게 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는 헛집 방지망(318)과, 상기 환기 발포체(317)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환기 발포체(317) 및 상기 헛집 방지망(318)이 결속되도록 하는 마개 너트(3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커버 장착식 수직적층형 벌통.
The body assembly 100 is provided to have a pentahedral appearance with an open upper portion,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during transport or storage, and is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during installation;
a cover assembly 20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ssembly 100 so that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body assembly 100 is hermetically sealed during transport or storage, and disposed under the body assembly 100 during installatio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re provided to have an open tetrahedral shape, and the lower part is engag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body assembly 100 so that it is interposed between the body assembly 100 and the cover assembly 200 during transportation or storage. and an enclosing assembly 300 provided with an upper portion engaged with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ver assembly 200; and
It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ssembly 100 and the lower part of the enclosing assembly 300, an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cover assembly 200 and the upper part of the enclosing assembly 300, respectively, so that the double locking operation during transport or storage a double locking device 400 for fixing the body assembly 100, the cover assembly 200, and the nesting assembly 300 to be vertically engaged with each other by the;
including,
The double locking device 40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assembly 20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nclosing assembly 300, and a hinge engaging portion 410 in which a first hook 411 protrudes forward, The lever holder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inge engaging portion 41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assembly 3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ssembly 100, and a second hook 422 is protruded forward in the lower portion. 421, a lock lever 425 rotatably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ever holder 421, and a lock lever 425 rotatably provided on the hinge engagement portion 410 by a rotation operation A hinge portion 420 comprising a locking ring 427 that is hooked and fixed to the first hook 411, and the lock lever 425 in front of the lock lever 425 are rotatably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ock lever 425. and a latch portion 430 that is fixed by being caught in the direction blocking the second hook 422 by a rotation operation after the first hook 411 is locked with the locking ring 427,
A ventilation hole 311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tying assembly 300, and a ventilation unit 313 including a ventilation network 314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ventilation hole 311,
A through hole 426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lock lever 425 so that the second hook 422 is penetrated forward and exposed, and the second hook 422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ever holder 421 .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s provided with a spring member 423 that pushes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 lever 425 when the second hook 422 is caught by the latch portion 430,
The ventilation unit 313 includes a ventilation network 314 formed in a circular mesh body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ventilation hole 311, and is removed during ventilation and inside the ventilation network 314 when ventilation is not performed. It includes an inner stopper 315 that is first coupled to the ventilation hole 311, and an outer stopper 316 that is removed during ventilation and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ventilation network 314 when not ventilated,
The outer plug 316 is a ventilation foam 317 foamed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to form a circ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ircular ventilation network 314, and the ventilation foam 317 and the ventilation network 314. Provided between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plate surface to fill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of the ventilation net 314 to prevent the bees from building a nest, and the outside of the ventilation foam 317 A multi-cover mounted vertical stacked beehiv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pper nut (319) coupled to the ventilation foam (317) and the waste prevention net (318) to be boun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00979A 2021-01-05 2021-01-05 vertical stacking type bee hive with multilevel covers KR1022906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979A KR102290617B1 (en) 2021-01-05 2021-01-05 vertical stacking type bee hive with multilevel cov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979A KR102290617B1 (en) 2021-01-05 2021-01-05 vertical stacking type bee hive with multilevel cov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617B1 true KR102290617B1 (en) 2021-08-18

Family

ID=7746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979A KR102290617B1 (en) 2021-01-05 2021-01-05 vertical stacking type bee hive with multilevel cov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61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688Y1 (en) * 2002-11-19 2003-02-15 장봉환 bee house
KR200333819Y1 (en) * 2003-08-22 2003-11-17 임윤재 Duplex beehive opening and shutting of beehive is easy
KR100946590B1 (en) 2008-12-12 2010-03-09 백영근 Bee-breed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688Y1 (en) * 2002-11-19 2003-02-15 장봉환 bee house
KR200333819Y1 (en) * 2003-08-22 2003-11-17 임윤재 Duplex beehive opening and shutting of beehive is easy
KR100946590B1 (en) 2008-12-12 2010-03-09 백영근 Bee-breed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1740B1 (en) Pet kennel
CA1055313A (en) Bee hive
US20050229477A1 (en) Crustacean trap
WO2015107917A1 (en) Small animal rearing container
KR200474009Y1 (en) Beehive where adjustment of opening and shutting of the doorway is possible
KR200385239Y1 (en) bee-keeping beehive improving ventilation
US20090159013A1 (en) Pet shelter construction
KR102266404B1 (en) vertical stacking type bee hive enhanced bottom space efficiency
KR100977605B1 (en) Beehive with ventilating apparatus
CN105994013A (en) Portable beehive
US20210059224A1 (en) Beehive system, kit and method
KR102290617B1 (en) vertical stacking type bee hive with multilevel covers
KR101093261B1 (en) Gateway construction of beehive
CN110122376A (en) A kind of beehive and ancillary equipment
US2522511A (en) Beehive
KR20120000771U (en) House for breeding insects
KR102031501B1 (en) A multifunctional bee hive for beekeeping
KR20090002948U (en) a barn raising for calf
KR20190123471A (en) Beehives molded from foamed resin
KR200287083Y1 (en) a double-beehive
JP4433322B2 (en) Pet carry case
JP4157942B2 (en) Simple compact beekeeping box
CN212520441U (en) King rearing box with feeding device
CN212520440U (en) King rearing tailing box provided with feeding stealing device
KR100417890B1 (en) beeh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