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433B1 - 차량용 레인센서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레인센서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433B1
KR102290433B1 KR1020190153822A KR20190153822A KR102290433B1 KR 102290433 B1 KR102290433 B1 KR 102290433B1 KR 1020190153822 A KR1020190153822 A KR 1020190153822A KR 20190153822 A KR20190153822 A KR 20190153822A KR 102290433 B1 KR102290433 B1 KR 102290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support block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977A (ko
Inventor
박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90153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4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8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a separate clip or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8/00Electricity: motive power systems
    • Y10S318/02Windshield wiper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회로보드를 장착한 바디, 바디에서 연장 형성되어 회로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습도감지모듈을 윈드쉴드 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블록, 및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지지블록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한 지지블록에 슬라이드블록을 끼운 후 고정함으로써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이탈을 방지하고, 습도감지모듈에 대응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코일스프링으로 지지함으로써 코일스프링을 통해 통기성을 증대하며, 코일스프링을 세라믹 재질로 제작하여 코일스프링을 통한 전도성과 자성으로 인해 습도감지모듈의 오작동이나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레인센서유닛{RAIN-SENSOR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한 지지블록에 슬라이드블록을 끼운 후 고정함으로써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이탈을 방지하고, 습도감지모듈에 대응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코일스프링으로 지지함으로써 코일스프링을 통해 통기성을 증대하며, 코일스프링을 세라믹 재질로 제작하여 코일스프링을 통한 전도성과 자성으로 인해 습도감지모듈의 오작동이나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에 관한 것이다.
레인센서(Rain Sensor)는 운전자가 별도로 조작을 하지 않더라고 빗물의 세기와 양 등을 스스로 감지하여 와이퍼의 속도나 작동 시간 등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레인센서는 빗물감지기 또는 빗물감지센서라고도 하며, 운전자가 운전 도중에 와이퍼의 움직임이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별도의 움직임을 취하는 경우, 시선을 돌리거나 불필요한 동작을 함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사고 또는 운전상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개발되었다.
즉, 빗물이 자동차의 윈드실드 글라스에 떨어지면 윈드실드 글라스 뒷면에 설치된 레인센서가 적외선을 통해 빗물의 양과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빗물의 양과 속도에 따라 와이퍼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최근에는, 윈드실드 글라스에 떨어지는 빗물의 양과 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레인센서의 경우, 하나의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여 감지면적이 한정되고 정확한 빗물의 양과 속도 측정이 어려움이 존재하였는바, 정확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감지면적 증대가 요구되고 있다.
관련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0711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레인센서는 신호와 전원의 전달을 위해 구비되는 FPCB를 바디에 후크 결합하는 바,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FPCB가 후크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레인센서는 고무씰로써 FPCB를 윈드쉴드 방향으로 지지함에 따라 FPCB에 실장된 습도감지부가 고무씰로 인해 오작동이나 작동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한 지지블록에 슬라이드블록을 끼운 후, 슬라이드블록을 지지블록에 고정함으로써,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지지블록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습도감지모듈에 대응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코일스프링으로 지지함으로써 코일스프링을 통해 연성인쇄회로기판과의 접촉 면적을 기존 대비 줄임에 따라 습도감지모듈에 대한 통기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을 세라믹 재질로 제작하여 코일스프링을 통한 전도성과 자성으로 인해 습도감지모듈의 오작동이나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은: 내부에 회로보드를 장착한 바디; 상기 바디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로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습도감지모듈을 윈드쉴드 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지지블록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블록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지지블록의 둘레면 궤적을 따라 절곡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타측을 수용하는 함몰홈부; 및 상기 함몰홈부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함몰홈부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슬라이드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함몰홈부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상기 지지블록에 형성된 고정홈;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타측에 통공된 관통홀; 및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과 상기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습도감지모듈이 상기 윈드쉴드에 밀착되도록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탄성 지지하며 접촉 면적의 저감을 위해 코일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은 종래 기술과 달리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한 지지블록에 슬라이드블록을 끼운 후, 슬라이드블록을 지지블록에 고정함으로써,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지지블록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습도감지모듈에 대응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코일스프링으로 지지함으로써 코일스프링을 통해 연성인쇄회로기판과의 접촉 면적을 기존 대비 줄임에 따라 습도감지모듈에 대한 통기성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을 세라믹 재질로 제작하여 코일스프링을 통한 전도성과 자성으로 인해 습도감지모듈의 오작동이나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이 윈드쉴드에 부착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설치하는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슬라이드블록으로 고정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이 윈드쉴드에 부착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설치하는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인센서유닛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슬라이드블록으로 고정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레인센서유닛(100)은 바디(110), 지지블록(120) 및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내부의 공간에 회로보드(112)를 장착 후 고정한다. 회로보드(112)는 전류 및 신호의 인가 또는 송수신을 위한 소자들이 실장된다. 이때, 회로보드(112)는 통상 경질의 인쇄회로기판이다.
바디(110)는 제작상 용이성과 제조단가의 저감을 위해 사출 성형된다. 물론, 바디(1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바디(110)는 회로보드(112)의 조립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상측을 개방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바디(110)의 개방된 상측은 커버(114)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커버(114)가 바디(110)에 결속됨으로써, 바디(110)와 커버(114)는 일체화된다. 물론, 커버(11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커버(114) 또는 바디(110)는 차량의 윈드쉴드(10)에 부착된다. 편의상, 커버(114)가 접착제 또는 클램프 등에 의해 윈드쉴드(10)에 부착 고정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지지블록(120)은 바디(110)에서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특히, 연성인쇄회로기판(FPCB,122)은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회로보드(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연성인쇄회로기판(122)은 축 방향을 따라 타측이 지지블록(120)에 고정된다.
아울러, 연성인쇄회로기판(122)은 일측의 설정 위치에 습도감지모듈(124)을 실장한다. 습도감지모듈(124)은 윈드쉴드(10)에 접촉되어 윈드쉴드(10)에 묻은 습기나 물기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지지블록(120)은 연성인쇄회로기판(122)을 지지함으로써 습도감지모듈(124)이 윈드쉴드(10)에 접촉되도록 하거나, 습도감지모듈(124)이 윈드쉴드(10)에 근접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130)는 연성인쇄회로기판(122)을 지지블록(12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고정부(130)는 함몰홈부(131), 슬라이드블록(132), 고정홈(133), 관통홀(134) 및 걸림돌기(135)를 포함한다.
함몰홈부(131)는 지지블록(120)에 함몰 형성된다. 특히, 함몰홈부(131)는 지지블록(120)의 적어도 하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래서, 연성인쇄회로기판(122)은 일측이 회로보드(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 타측이 지지블록(120)의 상측면과 둘레면 궤적을 따라 절곡되며 함몰홈부(131)에 수용된다.
이때, 습도감지모듈(124)은 윈드쉴드(10)를 향하는 지지블록(120)의 상측면에 위치하고, 연성인쇄회로기판(122)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실장된다.
슬라이드블록(132)은 함몰홈부(131)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연성인쇄회로기판(122)을 함몰홈부(131)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슬라이드블록(132)이 함몰홈부(131)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드블록(132)은 양측면에 끼움돌기(136)를 돌출 형성하고, 지지블록(120)은 끼움돌기(136)를 수용하도록 끼움홀(126)을 통공한다.
그래서, 슬라이드블록(132)의 전측이 연성인쇄회로기판(122)을 함몰홈부(131)의 내측면으로 가압시, 끼움돌기(136)는 끼움홀(126)에 끼움된다.
물론, 끼움돌기(136)는 형상, 크기 및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고정홈(133)은 함몰홈부(131)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지지블록(120)에 형성된다. 이때, 함몰홈부(131)의 내측면은 함몰홈부(131)의 내측에서 연성인쇄회로기판(122)이 면접되는 부위에 해당된다.
그리고, 관통홀(134)은 연성인쇄회로기판(122)의 타측에 통공 형성된다.
아울러, 걸림돌기(135)는 슬라이드블록(132)의 전측에 돌출되어, 관통홀(134)과 고정홈(133)에 삽입됨으로써, 연성인쇄회로기판(122)이 함몰홈부(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걸림돌기(13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슬라이드블록(132)이 지지블록(120)에 결속됨과 연동되어 연성인쇄회로기판(122)을 함몰홈부(131)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또한, 지지블록(120)은, 습도감지모듈(124)이 윈드쉴드(10)에 밀착되거나 최대한 근접되도록, 연성인쇄회로기판(122)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40)을 구비한다.
특히, 코일스프링(140)이 연성인쇄회로기판(122)과 선접촉을 함에 따라, 연성인쇄회로기판(122)과의 접촉 면적이 기존 대비 저하되어 통기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코일스프링(140)은 세라믹 재질 등 절연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금속 재질로 제작됨에 따른 습도감지모듈(124)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블록(120)은 코일스프링(140)을 정위치 설정하기 위해 위치설정돌기(142)를 돌출 형성한다. 코일스프링(140)의 하측을 위치설정돌기(142)에 축 삽입함으로써, 위치설정돌기(142)는 정위치 고정된다. 물론, 위치설정돌기(14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윈드쉴드 100: 레인센서유닛
110: 바디 112: 회로보드
114: 커버 120: 지지블록
122: 연성인쇄회로기판 124: 습도감지모듈
126: 끼움홀 130: 고정부
131: 함몰홈부 132: 슬라이드블록
133: 고정홈 134: 관통홀
135: 걸림돌기 136: 끼움돌기
140: 코일스프링 142: 위치설정돌기

Claims (4)

  1. 내부에 회로보드를 장착한 바디; 상기 바디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로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습도감지모듈을 윈드쉴드 측으로 지지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지지블록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블록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지지블록의 둘레면 궤적을 따라 절곡된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타측을 수용하는 함몰홈부; 및
    상기 함몰홈부에 슬라이드 끼움되어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함몰홈부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슬라이드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함몰홈부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상기 지지블록에 형성된 고정홈;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타측에 통공된 관통홀; 및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과 상기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인센서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습도감지모듈이 상기 윈드쉴드에 밀착되거나 근접되도록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을 탄성 지지하며 접촉 면적의 저감을 위해 코일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인센서유닛.
KR1020190153822A 2019-11-26 2019-11-26 차량용 레인센서유닛 KR102290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822A KR102290433B1 (ko) 2019-11-26 2019-11-26 차량용 레인센서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822A KR102290433B1 (ko) 2019-11-26 2019-11-26 차량용 레인센서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977A KR20210064977A (ko) 2021-06-03
KR102290433B1 true KR102290433B1 (ko) 2021-08-13

Family

ID=76396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822A KR102290433B1 (ko) 2019-11-26 2019-11-26 차량용 레인센서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4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746B1 (ko) 2013-09-25 2015-03-18 암페놀센싱코리아 유한회사 디포그 센서 유닛
KR101717577B1 (ko) 2015-08-10 2017-03-27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차량용 디포그 센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106B1 (ko) * 2011-12-16 2013-08-20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차량용 디포그센서
KR101926471B1 (ko) * 2015-06-30 2018-12-07 주식회사 아모텍 차량용 온도 습도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746B1 (ko) 2013-09-25 2015-03-18 암페놀센싱코리아 유한회사 디포그 센서 유닛
KR101717577B1 (ko) 2015-08-10 2017-03-27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차량용 디포그 센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977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737B1 (ko) 자동차의 통합형 인사이드 미러 조립체
US7510311B2 (en)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vehicles, in particular motor vehicles
US9992882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JP4914816B2 (ja) 自動車のハンドル装置
US9190766B2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ing water proof type housing sealing and method thereof
KR20060049139A (ko) 차량 장착 안테나
JP6171961B2 (ja) 電子装置
KR102290433B1 (ko) 차량용 레인센서유닛
US8963062B2 (en) Photo detection device
JP2007537910A (ja) センサー用支持部材の保持フレーム
KR20130068747A (ko) 차량용 디포그센서
US20170089125A1 (en) Tailgate
KR200408235Y1 (ko) 온/습도 센서유닛
CN113811458B (zh) 车辆传感器单元
KR20030031219A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조절용 노브 어셈블리
WO2020183784A1 (ja) 電子機器
US11768103B2 (en) Photodetector with improved appearance design and vehicle including photodetector of the same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mounted on a light receiving surface side of a printed circuit board
EP2008839B1 (en) Air-conditioning control unit
US20190260261A1 (en) Combination of motor casing and plug connection and dedicated motor casing
KR102278722B1 (ko) 버튼용 방수 장치
JP2516010B2 (ja) 電子機器
CN110565345B (zh) 衣物干燥机
KR102538564B1 (ko) 오토 디포그 센서 유닛
JP2022148745A (ja) 光検出装置
KR20220120134A (ko) 오토 디포그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