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843B1 -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843B1
KR102289843B1 KR1020210026024A KR20210026024A KR102289843B1 KR 102289843 B1 KR102289843 B1 KR 102289843B1 KR 1020210026024 A KR1020210026024 A KR 1020210026024A KR 20210026024 A KR20210026024 A KR 20210026024A KR 102289843 B1 KR102289843 B1 KR 102289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information
camping
measuring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민
Original Assignee
정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민 filed Critical 정재민
Priority to KR1020210026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08B5/226Display details with alphanumeric or graphic display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텐트, 캠핑카 또는 캠핑카라반에서 화재 또는 가스 중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재, 불꽃, 연기 또는 가스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경보, 배기팬 및 스프링클러를 작동하고 관계기관에 신고하며, 주위 사람들에게도 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텐트, 캠핑카 및 캠핑카라반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Automatic indoor hazard warning system for camping}
본 발명은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텐트, 캠핑카 또는 캠핑카라반에서 화재 또는 가스 중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재, 불꽃, 연기 또는 가스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경보, 배기팬 및 스프링클러를 작동하고 관계기관에 신고하며, 주위 사람들에게도 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텐트, 캠핑카 및 캠핑카라반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캠핑에 대한 붐이 생기면서 캠핑을 즐기는 인구의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캠핑카 또는 캠핑카라반을 구매하는 사용자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캠핑 인구 증가 속도만큼 이용객들의 안전의식 수준은 아직 높지 않다. 특히, 겨울철 화재의 위험성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 겨울철 캠핑 관련 화재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영하권으로 떨어진 날씨에는 난방 등의 화기에 의한 사고 위험성이 증가한다. 이와 더불어, 캠핑 이용객들이 난방을 위해 텐트 내에서 가스난로나 석유난로 등을 이용한 난방기구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한 사망사고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로 사람이 인지할 수 없으며 소량으로도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해 두통이나 메스꺼움 증상이 발현되면 즉시 환기를 시켜야 하고, 밖으로 대피하여 응급처치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종래의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0-1332414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은 수면 중 텐트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일산화탄소 등의 공기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수치가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림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의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캠핑 중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화재를 검출할 수 없으며, 화재 혹은 가스로 인한 위험이 발생되었을 때 자동으로 신고할 수 없었고, 자동으로 화재 진압 및 가스 배출이 불가능하여 능동적인 대처가 불가능하여 사고에 대한 대응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32414호(2013.11.18.)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텐트, 캠핑카 또는 캠핑카라반에서 화재 혹은 가스 중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재, 불꽃, 연기 또는 가스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경보, 배기팬 및 스프링클러를 작동하고 관계기관에 신고하며, 주위 사람들에게도 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는,
캠핑장치 내부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가스측정모듈(111), 캠핑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모듈(112) 및 캠핑장치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모듈(113)로 구성되는 환경정보측정부(110),
캠핑장치 내부에서 불꽃을 감지하는 화염감지모듈(121) 및 캠핑장치 내부에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모듈(122)로 구성되는 화재정보측정부(120),
상기 환경정보측정부(110) 및 상기 화재정보측정부(120)에서 수집된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모듈(131)과, 상기 환경정보측정부(110) 및 상기 화재정보측정부(12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상황을 판단하는 상태판단모듈(132)로 구성되는 데이터처리부(130),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에서 판단된 정보로 배기팬(200) 및 스프링클러(300)를 구동하는 상황대응모듈(141),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에서 판단된 정보로 경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모듈(142) 및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에서 판단된 정보를 문자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143)로 구성되는 상황대응부(140) 및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에서 판단한 정보로 신고가 필요할 경우 관계기관에 응급신호를 송출하는 신고데이터전송모듈(151)과,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에 상기 환경정보측정부(110) 및 상기 화재정보측정부(120)에서 수집된 정보 및 상기 상태판단모듈(13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전송모듈(152)로 구성되는 데이터전송부(15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측정모듈(111)은 연소성 가스를 측정하는 연소성가스센서(111a),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VOC 농도를 측정하는 일반가스센서(111b) 및 미세먼지측정센서(111c)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31)은 시간 순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를 통한 그래프 생성 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보모듈(142)은 소리를 통하여 경보를 전달하는 소리경보장치(142a)와, 발광을 통하여 경보를 전달하는 발광경보장치(142b)로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황대응모듈(141)은 캠핑장치 내부의 온도 및 조명 관련 기기, 각종 밸브, 환경정보측정부(110) 및 화재정보측정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전송모듈(152)은 사용자지정단말(400)에서 송신되는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황대응모듈(141)은 상기 수신된 제어정보에 따라 캠핑장치 내부의 온도 및 조명 관련 기기, 밸브, 배기팬(200) 및 스프링클러(3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는, 탠트, 캠핑카, 캠핑카라반 등의 캠핑장치의 실내 환경정보를 통하여 일산화탄소 또는 불꽃이 감지할 경우, 배기팬 및 스프링클러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해당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어 일산화탄소 발생 또는 화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인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계기관에 자동으로 응급신호를 송출하여 즉시 구조대가 파견될 수 있어 일산화탄소 발생 또는 화재로 인해 발생한 환자에게 빠르게 응급조치를 시행할 수 있는 구조인력을 제공하여 인사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관계기관에 응급신호를 송출하기 전에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단말로 비상 상황을 알리고 확인을 요구하여 센서의 오작동으로 발생될 수 있는 오인 신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현재 캠핑장치의 실내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환기 또는 공기 정화를 실시할 수 있어 텐트, 캠핑카 또는 캠핑카라반 실내의 공기질을 최적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 환경정보측정부의 일실시예
도 3은 본 발명 경보모듈의 일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경보장치 제어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 실시예이고, 도 2는 본 발명 환경정보측정부의 일실시예이며, 도 3은 본 발명 경보모듈의 일실시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경보장치 제어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캠핑장치 내부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가스측정모듈(111), 캠핑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모듈(112) 및 캠핑장치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모듈(113)로 구성되는 환경정보측정부(110),
캠핑장치 내부에서 불꽃을 감지하는 화염감지모듈(121) 및 캠핑장치 내부에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모듈(122)로 구성되는 화재정보측정부(120),
상기 환경정보측정부(110) 및 상기 화재정보측정부(120)에서 수집된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모듈(131)과, 상기 환경정보측정부(110) 및 상기 화재정보측정부(12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상황을 판단하는 상태판단모듈(132)로 구성되는 데이터처리부(130),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에서 판단된 정보로 배기팬(200) 및 스프링클러(300)를 구동하는 상황대응모듈(141),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에서 판단된 정보로 경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모듈(142) 및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에서 판단된 정보를 문자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143)로 구성되는 상황대응부(140) 및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에서 판단한 정보로 신고가 필요할 경우 관계기관에 응급신호를 송출하는 신고데이터전송모듈(151)과,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에 상기 환경정보측정부(110) 및 상기 화재정보측정부(120)에서 수집된 정보 및 상기 상태판단모듈(13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전송모듈(152)로 구성되는 데이터전송부(15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캠핑장치는 텐트, 캠핑카, 캠핑카라반 등의 캠핑을 위해 사람이 내부에 머무르고 숙식하기 위해 사용되는 숙소를 의미한다.
상기 환경정보측정부(110)는 상기 가스측정모듈(111), 상기 온도측정모듈(112) 및 상기 습도측정모듈(113)을 통하여 캠핑장치의 실내 공기질에 대하여 성분 뿐 아니라 온도, 습도와 같이 인간이 쾌적함을 느끼기 위해 중요한 정보인 습도 및 온도에 대한 정보 또한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측정모듈(111)은 연소성 가스를 측정하는 연소성가스센서(111a),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VOC 농도를 측정하는 일반가스센서(111b) 및 미세먼지측정센서(111c)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험 경보 발생을 위한 일산화탄소와 같은 가스뿐만 아니라, 냄새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성분, 기타 실내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스들에 대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환기를 시키거나, 환기 및 공기정화를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경정보측정부(110)는 캠핑장치의 전압정보, 엔진가동여부, 엔진상태정보, 상기 배기팬(200)과 같은 기타장비 가동정보를 더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정보측정부(110)는 소음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캠핑장치 내부의 소음원, 장치 오작동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재정보측정부(120)의 상기 화염감지모듈(121) 및 상기 연기감지모듈(122)을 통하여 화재 시 발생되는 두 가지 요소인 불꽃 및 연기를 감지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배기팬 및 스프링클러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함으로써 화재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처리부(130)는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31) 및 상기 상태판단모듈(132)로 구성되어 데이터 저장 및 수집된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31)은 시간 순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를 통한 그래프 생성 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31)은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로 인한 사고 또는 화재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사고의 전후 사정을 확인할 수 있는 블랙박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고가 발생되었을 경우,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31)은 보존될 수 있도록 보호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31)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 조사를 실시할 수 있어 사고처리 및 사고예방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31)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기계학습을 실시하고 사용자가 좋아하는 실내환경을 학습하여, 현재 캠핑장치의 환경조건을 확인하고 최적의 실내환경이 유지되도록 배기팬 작동, 환기, 공기정화 등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정보측정부(110)에서 전송된 데이터와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일산화탄소의 농도, 이산화탄소의 농도, 온도 및 습도의 기준값을 바탕으로 현재 캠핑장치의 실내환경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값이 유지되도록 배기팬 작동, 환기, 공기정화 등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사용자의 느낌에만 의존했던 캠핑장치의 실내환경을 보다 정확한 정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상황대응모듈(141)은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에서 판단된 정보로 상기 배기팬(200) 및/또는 상기 스프링클러(300)를 구동하여 사고발생시 대응할 수 있으며, 사고발생이 아니더라도 캠핑장치의 실내의 환경을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환경정보측정부(110)에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이 직접적으로 중독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가스류가 기준치 이상으로 확인되거나 새집증후군과 같은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톨루엔과 같은 물질이 확인될 경우, 상기 상황대응모듈(141)의 제어를 통해 상기 배기팬(200)을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강제 배기하여 외부로 해당 물질을 배출하며, 상기 화재정보측정부(120)에서 화재가 감지되었을 경우 상기 상황대응모듈(141)의 제어를 통해 상기 스프링클러(300)를 작동하여 화제를 진압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황대응모듈(141)은 캠핑장치 내부의 온도 및 조명 관련 기기, 각종 밸브, 환경정보측정부(110) 및 화재정보측정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전송모듈(152)은 사용자지정단말(400)에서 송신되는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황대응모듈(141)은 상기 수신된 제어정보에 따라 캠핑장치 내부의 온도 및 조명 관련 기기, 밸브, 배기팬(200) 및 스프링클러(3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31)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기계학습을 실시하여 확인된 사용자가 좋아하는 실내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에어컨, 공기청정기, 가습기 및 기타 장치들을 상기 상황대응모듈(141)이 제어하여 캠핑장치의 환경 전반을 사용자가 쾌적하게 느끼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상황대응모듈(141)은 IoT 중앙제어장치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별도 입력 없이도 사용자가 선호하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캠핑장치의 장비들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사용자지정단말(400)에서 상기 데이터전송모듈(152)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격으로 상기 상황대응모듈(141)에 제어 명령을 내렸을 때, 상기 상황대응모듈(141)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에어컨, 공기청정기, 가습기, 밸브, 배기팬(200), 스프링클러(300) 및 기타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외부에서 미리 원격으로 실내 환경을 조절할 수 있으며, 비상시에 배기팬 및 스프링클러를 작동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에서 판단된 정보로 경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경보를 출력하는 상기 경보모듈(142)은 소리를 통하여 경보를 전달하는 소리경보장치(142a)와, 발광을 통하여 경보를 전달하는 발광경보장치(142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캠핑장치 실내 및 실외에 경보가 필요할 경우 경보를 전달하여 실내에 있을 수 있는 사용자에게 대피 또는 조치를 요구하며, 외부에 있는 사람에게 사용자의 구조를 요청하여 문제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을 실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은 상기 환경정보측정부(110) 및 상기 화재정보측정부(120)에서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400ppm 이상이거나, 불꽃이 감지되거나 연기가 감지될 경우, 상기 상황대응모듈(141)을 통해 배기팬을 작동하며, 상기 데이터전송모듈(152)을 통해 비상신호 및 생성된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입력이 1분 내에 없을 경우 상기 신고데이터전송모듈(151)을 통해 관계기관에 응급신고를 수행하고, 상기 경보모듈(142)을 통하여 캠핑장치 내외부에 경보를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위험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해당 상황에 필요한 즉각적인 조치를 실행할 수 있어 사고로 발생될 수 있는 인사사고 피해를 방지하여 보다 안전한 캠핑장치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며, 센서의 오작동 등으로 발생될 수 있는 오인 신고를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하는 시간에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미연에 차단할 수 있어 잘못된 신고로 발생될 수 있는 구조대의 시간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110: 환경정보측정부
111: 가스측정모듈 111a: 연소성가스센서
111b: 일반가스센서 111c: 미세먼지측정센서
112: 온도측정모듈 113: 습도측정모듈
120: 화재정보측정부
121: 화염감지모듈 122: 연기감지모듈
130: 데이터처리부
131: 데이터저장모듈 132: 상태판단모듈
140: 상황대응부
141: 상황대응모듈 142: 경보모듈
142a: 소리경보장치 142b: 발광경보장치
143: 디스플레이모듈
150: 데이터전송부
151: 신고데이터전송모듈 152: 데이터전송모듈
200: 배기팬
300: 스프링클러
400: 사용자지정단말

Claims (6)

  1. 캠핑장치 내부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가스측정모듈(111), 캠핑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모듈(112) 및 캠핑장치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모듈(113)로 구성되는 환경정보측정부(110);
    캠핑장치 내부에서 불꽃을 감지하는 화염감지모듈(121) 및 캠핑장치 내부에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모듈(122)로 구성되는 화재정보측정부(120);
    상기 환경정보측정부(110) 및 상기 화재정보측정부(120)에서 수집된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모듈(131)과, 상기 환경정보측정부(110) 및 상기 화재정보측정부(12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상황을 판단하는 상태판단모듈(132)로 구성되는 데이터처리부(130);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에서 판단된 정보로 배기팬(200) 및 스프링클러(300)를 구동하는 상황대응모듈(141),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에서 판단된 정보로 경보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모듈(142) 및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에서 판단된 정보를 문자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143)로 구성되는 상황대응부(140); 및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에서 판단한 정보로 신고가 필요할 경우 관계기관에 응급신호를 송출하는 신고데이터전송모듈(151)과, 사용자가 지정한 단말에 상기 환경정보측정부(110) 및 상기 화재정보측정부(120)에서 수집된 정보 및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에서 생성된 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전송모듈(152)로 구성되는 데이터전송부(150);로 구성되는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측정모듈(111)은
    연소성 가스를 측정하는 연소성가스센서(111a),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VOC 농도를 측정하는 일반가스센서(111b) 및 미세먼지측정센서(111c)로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31)은 시간 순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사고 발생시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 조사를 실시하며,
    상기 환경정보측정부(110)에서 전송된 데이터와 상기 상태판단모듈(132)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일산화탄소의 농도, 이산화탄소의 농도, 온도 및 습도의 기준값을 바탕으로 현재 캠핑장치의 실내환경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기준값이 유지되도록 배기팬 작동, 환기 및 공기정화를 자동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31)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기계학습을 실시하고 사용자가 좋아하는 실내환경을 학습하여, 현재 캠핑장치의 환경조건을 확인하고 최적의 실내환경이 유지되도록 배기팬 작동, 환기 및 공기정화를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모듈(142)은
    소리를 통하여 경보를 전달하는 소리경보장치(142a)와, 발광을 통하여 경보를 전달하는 발광경보장치(142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모듈(152)은 사용자지정단말(400)에서 송신되는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황대응모듈(141)은 상기 수신된 제어정보에 따라 캠핑장치 내부의 온도 및 조명 관련 기기, 배기팬(200) 및 스프링클러(3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
KR1020210026024A 2021-02-25 2021-02-25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 KR102289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024A KR102289843B1 (ko) 2021-02-25 2021-02-25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024A KR102289843B1 (ko) 2021-02-25 2021-02-25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843B1 true KR102289843B1 (ko) 2021-08-12

Family

ID=7731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024A KR102289843B1 (ko) 2021-02-25 2021-02-25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8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861B1 (ko) * 2022-07-26 2022-11-10 (주)더에스에이치코퍼레이션 캠핑카용 일산화탄소 중독방지 컨트롤러 시스템
KR102524273B1 (ko) * 2022-10-06 2023-04-20 박봉석 캠핑카용 화재 경보 및 전원 제어 시스템
WO2023132594A1 (ko) * 2022-01-04 2023-07-13 주식회사 로제타텍 화재 감지기 및 화재 감지기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414B1 (ko) 2013-01-29 2013-11-22 김명삼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KR20150014101A (ko) * 2013-07-29 2015-02-06 (주) 한국소방엔지니어링 옥외 시설용 소화 설비
KR101859358B1 (ko) * 2017-09-18 2018-05-17 서원석 캠핑용 숙식장치의 안전 및 편리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414B1 (ko) 2013-01-29 2013-11-22 김명삼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KR20150014101A (ko) * 2013-07-29 2015-02-06 (주) 한국소방엔지니어링 옥외 시설용 소화 설비
KR101859358B1 (ko) * 2017-09-18 2018-05-17 서원석 캠핑용 숙식장치의 안전 및 편리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594A1 (ko) * 2022-01-04 2023-07-13 주식회사 로제타텍 화재 감지기 및 화재 감지기 동작 방법
KR102465861B1 (ko) * 2022-07-26 2022-11-10 (주)더에스에이치코퍼레이션 캠핑카용 일산화탄소 중독방지 컨트롤러 시스템
KR102524273B1 (ko) * 2022-10-06 2023-04-20 박봉석 캠핑카용 화재 경보 및 전원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843B1 (ko)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
US6920874B1 (en) Intelligent ventilating safety range hood
US6774802B2 (en) Detection and air evacuation system
US10726700B2 (en) Modular carbon monoxide poisoning prevention system
US6743091B2 (en) Carbon monoxide venting system
US20170193788A1 (en) Air quality notifying device connecting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and wireless terminal, and air quality notifying method therefor
US20190172333A1 (en) Automatic Smoke/Carbon Monoxide Evacuation Power Switch Method and System
JP7001419B2 (ja) 異常判定システム、監視装置、異常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840391A (zh) 安全自动化系统
KR20220144642A (ko)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US20020155807A1 (en) Device for controlling an air-moving apparatus upon activation of a smoke detector
CN113048623A (zh) 一种新风空调控制方法及新风空调
US10726695B1 (en) Building safety system
KR101893850B1 (ko) 원전 주제어실의 화재 상황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환경 조건 학습 방법
KR20090082800A (ko) 화재 감지 시스템
JP2003102858A (ja) 閉鎖空間の防火システム
KR102311141B1 (ko) 지능형 가스 및 화염 감지시스템
CN108877139A (zh) 一种用于车库的物联网智能安防系统
RU2730962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ы пожаротушения
JP7019486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
JP2002064595A (ja) 移動体通信端末機及び移動体通信救援システム
KR102266698B1 (ko) Co 농도 기반의 보일러 경보 장치
US20200380836A1 (en) All-in-One Gas, Carbon Monoxide and Smoke Detector
Meland et al. Detection of smoke: full-scale tests with flaming and smouldering fires
KR102274638B1 (ko) 일산화탄소 누출경보장치를 이용한 일산화탄소 배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