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232B1 - 지중열을 이용한 냉해 방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중열을 이용한 냉해 방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232B1
KR102289232B1 KR1020210045868A KR20210045868A KR102289232B1 KR 102289232 B1 KR102289232 B1 KR 102289232B1 KR 1020210045868 A KR1020210045868 A KR 1020210045868A KR 20210045868 A KR20210045868 A KR 20210045868A KR 102289232 B1 KR102289232 B1 KR 102289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round
heat
blow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옥
Original Assignee
윤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옥 filed Critical 윤정옥
Priority to KR1020210045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10/10Geothermal collectors with circulation of working fluids through underground channels, the working fluids not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2010/5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열을 이용한 냉해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관이 설치되어 공기를 공급해 순환하면서 지중열을 이용하여 공기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하고, 앵육조건에 맞지 않게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져 냉해를 입을 우려가 있는 경우 지열을 과수 등에 공급해 냉해 등을 방지해 생육조건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열을 이용한 냉해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면에 지중으로 파내어 송풍 연결관을 설치하고, 상기 송풍 연결관의 한쪽 선단에서 공기 송풍관을 연결해 내부에 송풍횐을 설치하며, 상기 송풍관은 지상으로 지면에서 노출되며 상기 송풍 연결관에 송풍관이 연결되지 않은 반대쪽은 엔트캡으로 막아 차단한 후, 상기 송풍 연결관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지면을 파내 지중에 매설되어 지열과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선단에 엔드캡을 설치하는 열교환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열교환관에 연결구멍을 천공해 새들 분기구를 통하여 열교환관에서 연결되며 지상으로 80∼120cm 돌출되어 상기 새들 분기구의 상측에서 이경소켓으로 지름이 작아진 방제관으로 지열이 배출되도록 설치하는 분기관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관의 선단에서 이경소켓을 통하여 상측으로 과수의 방향을 따라 절곡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공기가 농작물로 배출되는 방재구멍을 형성하며 상측 선단에는 엔드캡을 연결하는 방제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중열을 이용한 냉해 방제 시스템{Cold-sea control system using ground heat}
본 발명은 지중열을 이용한 냉해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관이 설치되어 공기를 공급해 순환하면서 지중열을 이용하여 공기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하고, 앵육조건에 맞지 않게 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져 냉해를 입을 우려가 있는 경우 지열을 과수 등에 공급해 냉해 등을 방지해 생육조건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열을 이용한 냉해 방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은 경작지에서 재배되고, 수분(受粉)되어 개화됨으로써 과실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종작물의 생육조건으로, 수분, 토양, 기온 등이 요구된다. 따라서 농업인들은 보다 효율적인 농작물 재배를 위해 경작시에 거름을 준다던가, 해충을 방지하기 위한 농약, 살포, 관개 수로의 형성 등을 부지런히 실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농업인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기후 변화에 따라 농작물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벌어지고 있다.
특히, 냉해(Cold Damage)는 농작물의 성장 기간 중 작물의 생육에 지장을 초래한 정도의 저온이 오래 지속되어 농작물의 성장과 수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냉해의 발생 시, 수확량이 감소하거나, 수정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또한, 도열병의 침입이 쉬워지는 등의 피해를 받게 된다.
냉해는 세포조직이 결빙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냉온장해로, 농작물의 생육 중 갑작스러운 기온 저하에 노출되어 저온순화 과정을 거치지 않는 경우 발생한다. 주로, 이른 봄이나, 늦가을, 장마철과 같은 시기의 저온 현상에 의해 발생한다.
이렇게 농가에 큰 손실을 발생시키는 냉해를 방지하기 위해, 지상에 송풍기를 설치하여 지면 측에 위치한 농작물을 향해 강제 송풍을 실시하는 것이 대안으로 이용되고 있다.
대류원 내에서의 온도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지표면 상에서 특정 높이의 상공까지 올라갈수록 기온이 높아지는 구간이 있다. 이를 '기온역전층(Temperature Inversion Layer)'이라 칭한다.
따라서, 송풍기를 기온역전층에 설치하여 기온이 높은 공기를 지표면의 농작물을 향해 강제 송풍시켜 냉해에 따른 농작물 피해를 줄이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송풍기는, 설치비용을 고려하여 대단위 면적의 경작지에 주로 적용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대면적의 경작지에 대하여 멀리까지 송풍시키기 위해 원통형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송풍기를 적용하여 바람의 이동성을 높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원통형 송풍기는 구조상 직진 방향에 해한 이동성은 증가되나, 송풍 영역이 직진방향으로 한정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경작지 전체에 대한 효율적인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송풍기 및 관련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문헌 1] ] 특허공개번호 제2018-0035382호(2018. 04. 06. 공개) [문헌 2] 특허공개번호 제2017-0103252호(2017. 09. 13. 공개) [문헌 3]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00-0002387호(2000. 02. 07. 공개)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1933491호(2018. 12. 21.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보일러와 같이 온도 조절을 통하지 않고 지열을 이용하기 위한 지하수를 사용하지 않고, 오직 지중으로 매설한 열교환관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지상으로 노출되는 공기 송풍관에 송풍횐을 설치하여 공기를 송풍하고 지중에 매설된 열교환관을 통과시켜 공기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한 후 분기되어 방제관의 다양한 높이에서 농작물에 공급되어 냉해와 서리 피해 및 열과를 방지하는 순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면에 지중으로 파내어 송풍 연결관을 설치하고, 상기 송풍 연결관의 한쪽 선단에서 공기 송풍관을 연결해 내부에 송풍횐을 설치하며, 상기 송풍관은 지상으로 지면에서 노출되며 상기 송풍 연결관에 송풍관이 연결되지 않은 반대쪽은 엔트캡으로 막아 차단한 후, 상기 송풍 연결관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지면을 파내 지중에 매설되어 지열과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선단에 엔드캡을 설치하는 열교환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열교환관에 연결구멍을 천공해 새들 분기구를 통하여 열교환관에서 연결되며 지상으로 80∼120cm 돌출되어 상기 새들 분기구의 상측에서 이경소켓으로 지름이 작아진 방제관으로 지열이 배출되도록 설치하는 분기관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관의 선단에서 이경소켓을 통하여 상측으로 과수의 방향을 따라 절곡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공기가 농작물로 배출되는 방재구멍을 형성하며 상측 선단에는 엔드캡을 연결하는 방제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방제관은 이경소켓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선단에 엔드캡으로 마감하며 농작물의 방향에 따라 한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한방향과 두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방제구멍이 형성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농작물에 공급해 냉해가 방제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일러와 같이 온도 조절을 통하지 않고 지열을 이용하기 위한 지하수를 사용하지 않고, 오직 지중으로 매설한 열교환관에 송풍횐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켜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지중에 매설되는 열교환관을 통해 지열 흡수율을 향상시켜 방풍 순환을 통한 온도조절로 상승된 공기를 농작물에 공급해 냉해 방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상으로 노출되는 공기 송풍관에 송풍횐을 설치하여 공기 송풍을 통한 저렴한 유지비용을 제공하고, 지중에 매설된 열교환관을 통과시켜 반대편에서 새들 분기구를 통하여 농작물 주변으로 돌출되어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농작물에 배출되는 순환구조를 통하여 친환경적인 온도조절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냉해 방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을 농작물 주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을 농작물 주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을 농작물 주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농작물 주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이경소켓에서 방제관이 절곡되게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분기관에서 방제관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방제관 선단에 대한 요부확대 단면도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농작물 주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지면(65)에는 트렉터 등의 농기계로 로타리 작업을 통해 다양한 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사과, 배, 복숭아, 자두, 포도와 같은 다양한 과채류를 재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면(65)에는 한쪽 선단 부분에서 지중으로 소정의 깊이가 되도록 파내어 형성한 공간에 송풍 연결관(20)을 폭 방향(좁은 간격)으로 설치한 후, 상기 송풍 연결관(20)의 한쪽 선단에서 공기 송풍관(10)을 연결해 내부에 송풍횐(11)을 설치하되;
상기 송풍관(10)은 지상으로 지면(65)에서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송풍 연결관(20)에 송풍관(10)이 연결되지 않은 반대쪽은 엔드캡(25)으로 막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송풍 연결관(20)의 측면에는 길이방향(넓은 간격)으로 지면(65)을 파내고 열교환관(30)을 매설한 후 선단에서 엔드캡(51)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관(30)을 2줄을 지중에 매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에 다라 1줄 또는 3줄과 4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줄을 매설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관(30)의 간격은 설치시에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송풍 연결관(20)의 지름에 비해 더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순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을 농작물 주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농작물 주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농작물 주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경소켓에서 방제관이 절곡되게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분기관에서 방제관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방제관 선단에 대한 요부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송풍관(10)은 지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대략 400∼600mm의 크기를 갖는 이중벽 하수관과 열십자 보강대가 중공에 설치된 복층벽 하수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면(65)에서 30∼50cm의 높이가 노출되어 지상의 기온역전층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횐(11)을 설치한 송풍관(10)은 송풍 엘보우(12)를 통하여 지중에 설치한 공간에 송풍 연결관(20)을 폭 방향(좁은 간격)으로 설치한 후, 상기 송풍 연결관(20)에 송풍관(10)이 연결되지 않은 반대쪽은 엔드캡(25)을 막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송풍 연결관(20)의 측면에는 길이방향(넓은 간격)으로 지면(65)을 파내고 열교환관(30)을 매설하기 위해 연결하는 송풍 연결구(21)를 하나 또는 두개를 천공하고, 상기 송풍 연결구(21)에 열교환관(30)을 매설하는 것이다.
상기 송풍 연결구(21)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거리 또한 현장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관(30)은 일정한 길이에 연결부재(40)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부재(40)는 환봉연결구와 서스밴드, PE밴드 중 어느 하나이거나 그 이외의 다양한 연결구로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관(30)은 250∼400mm의 지름을 갖도록 하며, 송풍 연결관(20)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이송되며 지열을 흡수하며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송풍 연결관(20)에 연결되는 열교환관(30)의 선단은 송풍 연결관(20)에서 가장 먼 위치에 엔드캡(35)으로 차단하여 공기가 이송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송풍 연결관(20)은 복층벽 하수관과 이중벽 하수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이중벽 하수관은 내부에 대략 사각형의 중공(23)이 형성되는 프로파일(22)을 압출에 의해 성형한 후 냉각과정을 거쳐 나선형으로 와인딩장치에 공급하면서 프로파일(22)의 사이에 이음부재(24)를 용융 공급하면서 외경을 로라로 눌러 평활화 시키면서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관(30)에는 상측 또는 측면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결구멍을 천공한 후 새들 분기구(50)를 통하여 75∼150mm의 크기를 갖는 분기관(60)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분기관(60)을 새들 분기구(50)로 열교환관(30)에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되며 지상으로 노출되는 것이며, 상기 분기관(60)의 선단에는 이경소켓(61)을 통하여 10∼50mm의 크기를 갖는 방제관(70)이 연결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분기관(60)의 상측 선단은 지중에 묻히게 되거나 지상으로 일부가 노출될 수 있으며, 그 연결 길이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되;
분기관(60)이 지상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80∼120cm가 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관(30)과 분기관(60) 및 방제관(70)은 압출에 의해 단일층으로 형성하는 관과 티에치피(THP)관, 이중벽 하수관 및 삼중벽 하수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티에이치피관은 연결부(31)와 보강 돌출부(32)와 같이 요철이 연속해서 형성되어 지중에서 많은 단면적과 열교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돌출부(32)는 내경의 중앙에 보강대(33)가 돌출되어 양쪽으로 각각 중공(34)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지중에 매설된 후 지면(65)에 트렉터가 이동하면서 쟁기 및 로타리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열교환관(30)이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방제관(70)은 상측으로 돌출되고 선단에는 엔드캡(72)으로 마감처리하는 것이며, 일정한 간격으로 한방향 또는 두방향과 원주방향으로 여러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방제구멍(71)을 형성함으로써 지중으로 이동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공기가 배출되어 농작물에 공급되어 냉해 방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방제구멍(71)은 원형의 구멍을 그대로 형성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공급되는 열교환된 공기를 넓게 퍼지도록 공급할 수 있는 공기분산 노즐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공기 공급기를 더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제관(70)은 이경소켓(61)에서 연결될 때, 상측을 향하여 곧게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과수와 같은 경우 과수의 방향을 따라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지상으로 돌출되는 높이와 방향은 현장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연결되는 것과, 선단 부분이 높게 노출되는 경우 과수원의 경우에는 기둥을 설치해 철사 등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이러한 시설을 새로 함으로써 가까운 곳과 연결해 흔들리지 않고 설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지중열을 이용한 냉해 방제 시스템은, 지면(65)에서 폭 방향(좁은 방향)으로 1.2미터 내지 1.5미터의 깊이가 되도록 파내어 송풍 연결관(20)을 매설하고, 상기 송풍 연결관(20)에서 송풍 엘보우(12)를 통하여 연결된 송풍관(10)이 지면(65)에서 30∼50cm 정도 노출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송풍관(10)의 내경에는 송풍횐(11)을 설치하되;
상기 송풍횐(11)은 0.5 내지 10 마력으로 이루어져 전기를 통해 회전하면서 기온역정층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지중에 매설되는 열교환관(30)을 통해 기온역전층 공기의 온도와 지열의 열교환을 통해 자연친화적인 방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송풍관(10)에 설치한 송풍횐(11)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면 송풍 엘보우(12)를 통하여 송풍 연결관(20)에 공급된 후 반대편에서 엔드캡(25)을 통하여 막혀있게 되므로 송풍된 공기는 2개의 송풍 연결구(21)를 통해 열교환관(30)으로 송풍되는 것이다.
상기 송풍 연결관(20)은 합성수지를 압출에 의해 성형하는 관과, 열십자의 보강대가 형성되는 복층벽 하수관 및 중공(23)이 형성되는 프로파일(22)의 사이에 이음부재(24)가 공급되어 성형된 이중벽 하수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되며, 송풍횐(11)으로 기온역전층 공기를 2마력의 힘으로 회전되어 연속 공급하게 되고, 상기 송풍 연결관(20)에 형성한 2개의 송풍 연결구(21)를 통하여 열교환관(30)으로 공기가 연속해서 공급되는 송풍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관(30)은 일정한 간격에서 다양한 연결부재(4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송풍 연결관(20)에서 송풍 연결구(21)를 통하여 연속해서 공급되는 공기가 지중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지열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열교환관(30)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지면(65)의 지중에서 지열보다 낮으면 공기열을 빼앗아 높아지게 되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열교환관(30)은 다양한 관 종류 중 티에이치피(THP)관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지열을 흡수하는 효과가 뛰어난 것이다.
상기 열교환관(30)이 열결부(31)와 보강 돌출부(32)와 같이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지열과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 지열 흡수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보강대(33)의 양쪽으로 중공(34)이 형성된 보강 돌출부(32)를 통하여 지면(65)에서 트렉터가 이동하면서 작업을 통해 각종 농작물을 재배하게 되더라도 하중을 견디며 변형되지 않고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관(30)을 지나면서 지중에 매설되어 지열을 흡수하며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고, 열교환관(30)에 연결된 새들 분기구(50)를 통하여 분기관(60)으로 배출되며, 다시 이경소켓(61)을 통하여 지름이 작아진 방제관(70)으로 배출된 후 방제구멍(71)에서 농작물에 공급되므로 농작물은 지열과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높아진 공기를 공급받아 냉해 방제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경소켓(61)은 지면에 설치되거나 1미터의 범위에서 지상에 노출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경소켓(61)에 연결되는 방제관(70)의 돌출방향과 길이는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농작물에 가깝게 위치해 열교환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해 또는 서리 피해 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 송풍관(10)과 송풍 연결관(20) 및 열교환관(30), 분기관(60), 방제관(70)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관종을 기재하였으나, 기재된 관종에 한정되지 않고, 이중벽관과 다중벽관, 압출관, 하수관, 오수관, 수도관, PVC관, 티에이치피관 등 모든 관종을 포함하여 치환 및 변환시키는 것은 당해기술분야에서 이미 알려진 사실일 것이다.
또한, 포도 비가림 하우스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하우스 내에서 온도가 낮아진 경우 열교환을 통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경우에는 열교환을 통한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열교환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냉해 방지는 물론 열과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일반적으로 냉해를 입을 수 있는 이른 봄이나 늦 가을 및 장마철과 같이 비가 내리면서 주변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경우에 가동되어 생육조절이 매우 양효해 지는 효가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열교환을 통해 공기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어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친환경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상에 노출되는 공기 송풍관과 연결된 송풍 연결관으로부터 지중에 매설되는 열교환관을 통해 공기역전층 공기의 송풍만으로 지열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분기관과 방제관으로 이어지면서 공기가 열교환에 의해 배기되므로 친환경적으로 지열을 이용해 농작물이 있는 주변의 온도를 높여줄 수 있어서 냉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생육조건을 향상시켜 매우 효과적인 농작물 재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공기 송풍관 11 : 송풍횐
12 : 송풍 엘보우 20 : 송풍 연결관
21 : 송풍 연결구 22 : 프로파일
23, 34 : 중공 24 : 이음부재
25, 35, 72 : 엔트캡 30 : 열교환관
31 : 연결부 32 : 보강 돌출부
33 : 보강대 40 : 연결부재
50 : 새들 분기구 60 : 분기관
61 : 이경소켓 65 : 지면
70 : 방제관 71 : 방제구멍

Claims (6)

  1. 지면(65)에 지중으로 파내어 송풍 연결관(20)을 설치하고, 상기 송풍 연결관(20)의 한쪽 선단에서 공기 송풍관(10)을 연결해 내부에 송풍횐(11)을 설치하며, 상기 송풍관(10)은 지상으로 지면(65)에서 노출되며 상기 송풍 연결관(20)에 송풍관(10)이 연결되지 않은 반대쪽은 엔트캡(25)으로 막아 차단한 후, 상기 송풍 연결관(20)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지면(65)을 파내 지중에 매설되어 지열과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선단에 엔드캡(51)을 설치하는 열교환관(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열교환관(30)에 연결구멍을 천공해 새들 분기구(50)를 통하여 열교환관(30)에서 연결되며 지상으로 80∼120cm 돌출되어 상기 새들 분기구(50)의 상측에서 이경소켓(61)으로 지름이 작아진 방제관(70)으로 지열이 배출되도록 설치하는 분기관(60)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관(60)의 선단에서 이경소켓(61)을 통하여 상측으로 과수의 방향을 따라 절곡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공기가 농작물로 배출되는 방재구멍(71)을 형성하며 상측 선단에는 엔드캡(72)을 연결하는 방제관(7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열을 이용한 냉해 방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제관(70)은 이경소켓(6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선단에 엔드캡(72)으로 마감하며 농작물의 방향에 따라 한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한방향과 두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방제구멍(71)이 형성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농작물에 공급해 냉해가 방제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열을 이용한 냉해 방제 시스템.
KR1020210045868A 2021-04-08 2021-04-08 지중열을 이용한 냉해 방제 시스템 KR102289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868A KR102289232B1 (ko) 2021-04-08 2021-04-08 지중열을 이용한 냉해 방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868A KR102289232B1 (ko) 2021-04-08 2021-04-08 지중열을 이용한 냉해 방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232B1 true KR102289232B1 (ko) 2021-08-12

Family

ID=7731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868A KR102289232B1 (ko) 2021-04-08 2021-04-08 지중열을 이용한 냉해 방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2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457B1 (ko) * 2021-09-23 2022-02-1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복합 열교환 구조를 갖는 농업용 냉난방 장치
KR102690879B1 (ko) * 2021-12-06 2024-08-05 주식회사 여명 과수나무 지지대를 이용한 냉해방지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87A (ko) 1998-06-19 2000-01-15 윤종용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의 간섭도 표시 방법
JP2003092933A (ja) * 2001-09-26 2003-04-02 Kokusai Gijutsu Kaihatsu Co Ltd 土地温度管理装置
JP2010068748A (ja) * 2008-09-18 2010-04-02 Nobuhiko Sato 地中熱交換式温度管理装置
JP2015094486A (ja) * 2013-11-11 2015-05-18 エコエネルギ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地中熱交換システム
KR101525172B1 (ko) * 2014-07-25 2015-06-04 주식회사 제이앤지 실내 온습도 제어 장치
KR20170103252A (ko)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메트릭시스템 시설하우스용 난방 및 살균 가능한 저온 제습기
KR20180035382A (ko) 2016-09-29 2018-04-06 주식회사 디커뮤니케이션즈 시설 하우스용 온도조절 시스템
KR101933491B1 (ko) 2018-08-28 2018-12-28 윤정옥 시설 하우스용 냉 방풍 순환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87A (ko) 1998-06-19 2000-01-15 윤종용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의 간섭도 표시 방법
JP2003092933A (ja) * 2001-09-26 2003-04-02 Kokusai Gijutsu Kaihatsu Co Ltd 土地温度管理装置
JP2010068748A (ja) * 2008-09-18 2010-04-02 Nobuhiko Sato 地中熱交換式温度管理装置
JP2015094486A (ja) * 2013-11-11 2015-05-18 エコエネルギ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地中熱交換システム
KR101525172B1 (ko) * 2014-07-25 2015-06-04 주식회사 제이앤지 실내 온습도 제어 장치
KR20170103252A (ko) 2016-03-03 2017-09-13 주식회사 메트릭시스템 시설하우스용 난방 및 살균 가능한 저온 제습기
KR20180035382A (ko) 2016-09-29 2018-04-06 주식회사 디커뮤니케이션즈 시설 하우스용 온도조절 시스템
KR101933491B1 (ko) 2018-08-28 2018-12-28 윤정옥 시설 하우스용 냉 방풍 순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457B1 (ko) * 2021-09-23 2022-02-1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복합 열교환 구조를 갖는 농업용 냉난방 장치
KR102690879B1 (ko) * 2021-12-06 2024-08-05 주식회사 여명 과수나무 지지대를 이용한 냉해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232B1 (ko) 지중열을 이용한 냉해 방제 시스템
CN202925421U (zh) 一种运动场草坪通气、温控与水循环系统
US20070189852A1 (en) Modular network irrigation system
US7913451B1 (en) Planting bed apparatus
US20160255780A1 (en) Underground irrigation system
CN201826288U (zh) 草坪生态水循环系统
CN101967789A (zh) 草坪生态水循环系统
CN108925330B (zh) 一种叶用桑栽培方法
CN103190275B (zh) 一种农田节水灌溉的方法
CN214155603U (zh) 一种设无水提醒式灌溉系统的种植系统
US20230276753A1 (en) Drip irrigator for film-mulching drip irrigation, film-mulching irrigation assemblyand installation method of film mulching irrigation assembly
KR101933491B1 (ko) 시설 하우스용 냉 방풍 순환 시스템
Stobdan Plasticulture in cold arid horticulture
CN214709076U (zh) 一种灌溉管道并联式种植棚种植结构
KR100234560B1 (ko) 온실내 지중온도 조절장치 및 방법
CN214155743U (zh) 一种节约用水的大棚种植单元
KR102459114B1 (ko) 점적관수용 이중호스
CN216821081U (zh) 改进型节水免翻耕精准灌溉系统
CN220600799U (zh) 一种用于农田输水灌溉的预制式水利管道
KR20230160702A (ko) 수분 공급용 관수관을 구비한 이끼 블록
CN202340554U (zh) 适合农业机械作业的地下滴灌系统管网
KR200365891Y1 (ko) 재활용 및 생육조건이 향상된 조립식 밭두둑 덮개
KR200237736Y1 (ko) 농축산 토지의 보온 및 급배수용 파이프
ES2673103A1 (es) Dispositivo de inyección subterránea de agua para riego agrícola
KR200300159Y1 (ko) 하우스용 물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