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122B1 - 보호 커버 - Google Patents

보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122B1
KR102289122B1 KR1020170084491A KR20170084491A KR102289122B1 KR 102289122 B1 KR102289122 B1 KR 102289122B1 KR 1020170084491 A KR1020170084491 A KR 1020170084491A KR 20170084491 A KR20170084491 A KR 20170084491A KR 102289122 B1 KR102289122 B1 KR 102289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ver part
support member
cover
protec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194A (ko
Inventor
조창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4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122B1/ko
Priority to EP18828876.5A priority patent/EP3612052B1/en
Priority to PCT/KR2018/007442 priority patent/WO2019009572A1/en
Priority to US16/027,144 priority patent/US20190000200A1/en
Publication of KR20190004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가 개시 된다. 개시되는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는, 일단에 제 1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보호하기 위한 제 1 커버부,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 1 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면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 2 면을 보호하기 위한 제 2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Description

보호 커버{protecting cover}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보호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MP3 플레이어,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가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다양한 전자 장치를 휴대하면서 다양한 컨텐츠를 접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는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른 전자 장치와의 통신 기능 이외에 음악 및 동영상 재생, 게임, 카메라, 일정 관리, 사전 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나아가, 전자 장치는 다양한 데이터 검색 및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하는 기능까지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휴대용 전자 장치는 소형화 및 경량화 되면서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다니거나, 주머니 또는 가방에 보관하고 다니면서 이동 중에 사용되고 있다. 이 때, 보관 및 휴대에 따른 분실 및 파손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어 이를 안전하고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보호 커버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호 커버는, 예를 들면, 전면 커버와 전자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후면 커버를 구성 될 수 있다.
보호 커버는 전자 장치를 안전하게 수납하고 외부의 충격이나 긁힘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 전자 장치를 다양한 각도로 세워놓을 수 있는 거치대를 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호 커버를 이용하여 책상이나 테이블에 전자 장치를 거치하고 시청할 수 있다.
종래의 보호 커버는 장착 된 전자 장치를 세워서 거치하기 위해서 굴절되는 홈 등을 포함하고 있었고, 이러한 굴절 구조는 보호 커버를 하나의 각도에서 고정하여 전자 장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세워서 거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보호 커버는 제 1 커버부 및 제 2 커버부 사이에 마찰력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다양한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는, 일단에 제 1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보호하기 위한 제 1 커버부,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 1 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면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 2 면을 보호하기 위한 제 2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부는, 상기 거치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 2 커버부와 체결 가능하도록 설정된 거치부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은 제 1 체결공을 포함하는 쌍을 이루는 암(arm)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은 제 2 체결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이 상기 지지 부재의 암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제 1 체결공 및 상기 제 2 체결공을 관통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하면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정된 마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제 1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안착 가능하도록 설정된 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제 1 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제 1 커버부의 일단에 인접하는 경우, 상기 제 1 자성체와 자기적인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설정된 제 2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제 1 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기 회전 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 부재와 중첩되도록 설정된 회전 부재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제 1 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지지 부재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 2 자성체와 자기적인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설정된 제 3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부의 일단 및 상기 제 2 커버부의 일단은 곡면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부는, 상기 제 2 커버부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2 커버부가 인접하는 경우, 상기 제 1 자성체와 자기적인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2 커버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설정된 제 4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과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 2 보호 커버의 일단에 형성되는 구부러진 곡면의 곡률과 유사한 곡률을 가지는 구부러진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는 회전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에 형성된 마찰력을 이용하여 회전 부재에 장착된 전자 장치를 다양한 각도로 세워서 거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는, 제 1 커버부의 포함된 자성체와 회전 부재에 포함된 자성체 사이의 인력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외형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에 포함된 거치부의 회전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에 포함된 회전 부재와 지지 부재가 중첩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의 거치부가 전자 장치를 다양한 각도에서 거치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외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다양한 목적의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11)가 설치되는 주변에는 전자 장치(1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component)들이 배치될 수 있다. 부품들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모듈(12)은, 예컨대, 조도 센서(예: 광센서),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부품들은 제 1 카메라(13)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들은 전자 장치(10)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주기 위한 LED 인디케이터(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의 제 1 면(21)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 2 면(22)에는 제 2 카메라(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2)은 전자 장치(10)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하여, 내부에 제스처 센서(미도시), 마그네틱 센서(미도시), 관성 센서(미도시), 자이로 센서(미도시), 가속도 센서(미도시), 및 지자기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는 이러한 움직임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의 위치의 변화(또는, 전자 장치(10)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의 제 1 면(21)에는 디스플레이(30)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의 상측으로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스피커(11)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의 하측으로는 상대방에게 전자 장치(10)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15)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30)는 터치 스크린 패널,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다이오드(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디스플레이(30)는 정지 영상/동영상 시청 및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30)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센서 전극(미도시)과 구동 전극(미도시) 간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30)에 터치된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센서 전극과 세로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구동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교차점에서 정전용량을 순차적으로 측정하여 특정 지점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최근의 디스플레이는 배젤 영역을 최소화하여 디스플레이를 좀 더 키우고, 플렉서블 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거나, 블록 하거나 오목한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주변부가 밴딩되어 표시 영역이 측면부까지 확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의 표시 영역이 밴딩되어 측면부까지 구비됨에 따라 표시 영역을 확대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측면부에 별도의 화면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30)는 제 1 화면 영역(31)과 제 1 화면 영역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제 2 화면 영역(32(32a, 3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화면 영역(31)과 제 2 화면 영역(32)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3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를 보호하는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에 대한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또는, 보호 커버(100))는 전자 장치(10)의 외형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100)는 제 1 커버부(110), 제 1 커버부(110)와 연결되는 제 2 커버부(120), 및 제 2 커버부(120)에 체결되는 거치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의 외형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 커버(100)의 제 1 커버부(110)와 제 2 커버부(120)의 가로/세로 길이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의 가로/세로 길이와 같거나 적어도 일정 거리 이상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보호 커버(100)를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와 체결한 경우, 제 1 커버부(110)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의 제 1 면(예: 도 1의 제 1 면(21)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면(예: 도 1의 제 1 면(21))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30)가 배치되는 면일 수 있다.
제 1 커버부(110)의 일단(111)은 구부러진 곡면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부러진 곡면 형태의 일단(111)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와 인접한 경우, 제 1 화면 영역(예: 도 1의 제 1 화면 영역(31))의 양측에 위치한 제 2 화면 영역(예: 도 1의 제 2 화면 영역(32))을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버부(110)는 일단에 제 1 자성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자성체(112)는 후술하는 거치부(150)에 포함된 회전 부재(16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도 5에서 후술한다.
제 1 커버부(110)의 타단(113)은 제 2 커버부(120)와 연결하는 연결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커버부(110)와 제 2 커버부(120)는 연결부(130)를 이용하여 상호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제 1 커버부(110)와 제 2 커버부(120)의 반복적인 회전에 강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30)는 고무, 실리콘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2 커버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130)를 이용하여 제 1 커버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100)를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와 체결한 경우, 제 2 커버부(120)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의 제 2 면(예: 도 1의 제 2 면(22))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면(예: 도 1의 제 2 면(22))은, 예를 들면, 제 1 면(예: 도 1의 제 1 면(2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으로서 제 2 카메라가 배치되는 면일 수 있다.
제 2 커버부(120)는 연결부(130)와 연결된 타단(123)과 반대편에 위치한 일단(121)에 구부러진 곡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부러진 곡면 형태의 일단(121)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와 인접한 경우, 제 1 화면 영역(예: 도 1의 제 1 화면 영역(31))의 양측에 위치한 제 2 화면 영역(예: 도 1의 제 2 화면 영역(32a)) 또는 제 2 화면 영역(예: 도 1의 제 2 화면 영역(32b))에 인접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 즉, 제 1 커버부(110)의 일단(111)에 위치한 구부러진 곡면 형태와 제 2 커버부(120)의 일단(121)에 위치한 구부러진 곡면 형태에 의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는 측면 부분도 보호 커버(10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의 제 2 면(예: 도 1의 제 2 면(22))과 접하는 제 2 커버부(120)의 내측(124)에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150)를 삽입할 수 있는 거치부 삽입홈(125)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 삽입홈(125)은, 예를 들면, 제 2 커버부(120)의 일단(121)에서 연결부(130)와 연결되는 타단(123)을 향하여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150)는, 예를 들면, 회전 부재(160), 지지 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부(150)는 회전 부재(160)와 지지 부재(16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회전 부재(160)는, 예를 들면, 회전 부재(160)의 제 1 면(161)에 마련된 부착 부재(165)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의 제 2 면(예: 도 1의 제 2 면(22))에 부착될 수 있다. 회전 부재(160)의 제 1 면(161)에는 부착 부재(165)가 위치할 수 있는 부착 부재 삽입홈(161a)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 부재(165)는 나노 석션(nano suction)을 포함하는 패드일 수 있다. 나노 석션 패드는, 예를 들면, 미세한 크기로 이루어진 수천 개의 홈이 부착 대상체와 접한 경우에 진공 상태를 형성하면서 대상체와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부착 부재(165)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부재(160)는 제 2 자성체(1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자성체(166)는, 예를 들면, 부착 부재 삽입홈(161a)과 부착 부재(165)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거치부(150)는 제 2 자성체(166)와 제 1 자성체(112)의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이용하여 회전 부재(160)가 자유로운 각도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 2 자성체(166)와 제 1 자성체(112)의 인력에 의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의 거치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5에서 후술한다.
지지 부재(170)는 제 2 커버부(120)의 내측(124)에 마련된 거치부 삽입홈(125)에 삽입되어 제 2 커버부(120)와 체결될 수 있다.
거치부 삽입홈(125)에 삽입되는 지지 부재(170)는 회전 부재 삽입홈(173)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부재(160)는 회전하다가 지지 부재(170)와 인접할 수 있고, 나아가 회전 부재(160)는 지지 부재(170)에 마련된 회전 부재 삽입홈(173)에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삽입될 수 있다.
회전 부재(160)와 지지 부재(170)는 상호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부재(160)의 일단과 지지 부재(170)의 일단에는 상호 회전을 위한 구조가 형성 될 수 있다. 회전 구조에 대하여는 도 3에서 후술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에 포함된 거치부의 회전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부(150)는 샤프트(310), 마찰 부재(320)를 이용하여 회전 부재(160)와 지지 부재(170)를 상호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부재(160)의 일단(161)과 지지 부재(170)의 일단(171)에는 회전을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70)의 일단(171)에는 쌍을 이루는 암(arm)(174)이 마련될 수 있다. 쌍을 이루는 암(174)에는 각각 샤프트(310) 및 마찰 부재(320)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 체결공(175)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70)의 일단(171)에 마련된 쌍을 이루는 암(174) 사이에 회전 부재(16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부재(160)의 일단(161)은 쌍을 이루는 암(174) 사이의 길이에 맞추어 폭을 좁게 형성할 수 있다. 폭이 좁게 형성된 회전 부재(160)의 일단(161)에는 샤프트(310) 및 마찰 부재(320)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체결공(162)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부재(160)의 일단(161)이 지지 부재(170)의 일단(171)에 형성된 쌍을 이루는 암(174) 사이에 위치하면, 제 1 체결공(175)과 제 2 체결공(162)의 중심축은 일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마찰 부재(320)는 제 1 체결공(175)과 제 2 체결공(162)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찰 부재(320)의 길이는 지지 부재(170)의 폭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마찰 부재(320)의 외경은 제 1 체결공(175) 및 제 2 체결공(162)의 내경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부재(320)는 개방된 영역(321)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된 영역(321)으로 인하여 마찰 부재(320)는 반경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마찰 부재(320)의 반경이 늘어나면, 마찰 부재(320)는 마찰 부재(320)가 끼워진 회전 부재(160) 및 지지 부재(170) 회전에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 부재(320)가 제 1 체결공(175) 및 제 2 체결공(162)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찰 부재(320) 내측에 샤프트(310)가 삽입될 수 있다. 샤프트(310)의 삽입으로 인하여, 마찰 부재(320)의 반경은 늘어날 수 있고, 마찰 부재(320)의 외측면은 제 1 체결공(175) 및 제 2 체결공(162)의 내측면과 강하게 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마찰 부재(320)는 회전 부재(160) 및 지지 부재(170)의 회전에 대하여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 부재(160)가 샤프트(310)를 기준으로 지지 부재(17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우, 마찰력에 의해, 회전 부재(160)는 자유로운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부(150)는 다양한 각도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를 거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70)의 일단(171)과 회전 부재(160)의 일단(161)은 구부러진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커버부(예: 도 2의 제 2 커버부(120))의 일단(예: 도 2의 일단(121))에 마련된 구부러진 곡면이 형성하는 곡률과 유사한 곡률을 가질 수 있도록, 지지 부재(170)의 일단(171) 및 회전 부재(160)의 일단(161)도 구부러진 곡면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에 포함된 회전 부재와 지지 부재가 중첩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회전 부재(160)와 지지 부재(170)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회전 부재(160)는 지지 부재(170)에 대하여 샤프트(310)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부재(160)가 전자 장치(10)를 부착한 상태로 제 1 방향(411)으로 회전하면 전자 장치(10)의 일측은 점차 제 2 커버부(120)에서 멀어질 수 있다. 반면에, 회전 부재(160)가 전자 장치(10)를 부착한 상태로 제 1 방향(411)과 다른 제 2 방향(412)으로 회전하면, 전자 장치(10)는 점차 제 2 커버부(120)에 근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가 제 2 커버부(120)에 근접하면, 회전 부재(160)와 지지 부재(170)도 점차 근접하게 된다.
도 4의 (b)는 보호 커버(100)가 전자 장치(10)를 장착한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가 제 2 커버부(120)에 가장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회전 부재(160) 역시 지지 부재(170)와 가장 인접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부재(160)는 지지 부재(170)에 마련된 회전 부재 삽입홈(173)에 전체 또는 일부가 삽입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가 제 2 커버부(120)에 가장 근접한 경우에, 회전 부재(160)의 일부 또는 전체가 지지 부재(170)의 제 1 면에 마련된 회전 부재 삽입부(17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부재(160)의 폭 및 길이는 조립 공차를 고려하여 지지 부재(170)에 마련된 지지 부재 삽입홈(173)의 폭 및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170)에 마련된 지지 부재 삽입홈(173)의 깊이는 회전 부재(16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부재(160)의 일부 또는 전체가 지지 부재(170)와 중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면서 전자 장치(10)에 보호 커버(100)를 장착한 상태에서 보호 커버(100)와 전자 장치(10)를 포함하는 두께는 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의 거치부가 전자 장치를 다양한 각도에서 거치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며, 회전 부재(160)와 지지 부재(170)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회전 부재(160)는 지지 부재(17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부재(160)가 전자 장치(10)를 부착한 상태로 제 1 방향(511)으로 회전하면 전자 장치(10)는 점차 제 2 커버부(120)에서 멀어질 수 있다. 반면에, 회전 부재(160)가 전자 장치(10)를 부착한 상태로 제 1 방향(511)과 다른 제 2 방향(512)으로 회전하면, 전자 장치(10)는 점차 제 2 커버부(120)에 근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가 부착된 회전 부재(160)를 회전시키면서 다양한 각도에서 전자 장치(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30))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b) 및 도 5의 (c)는 제 1 커버부(110)에 포함된 제 1 자성체(예: 도 1의 제 1 자성체(112))를 이용하여 회전 부재(160)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는 거치부(150)에 포함된 마찰 부재(예: 도 3의 마찰 부재(320))와 샤프트(예: 도 3의 샤프트(310))에 의해 생성된 마찰력으로 인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 1 커버부(110)의 일단이 회전 부재(160)의 제 2 면(163)에 인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커버부(110)의 일단에 마련된 제 1 자성체(예: 도 1의 제 1 자성체(112))와 회전 부재(160)의 제 1 면(161)에 마련된 제 2 자성체(예: 도 1의 제 2 자성체(166))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자성체(예: 도 1의 제 1 자성체(112))와 제 2 자성체(예: 도 1의 제 2 자성체(166)) 사이에는 자기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부재(160)는 상술한 인력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결국, 거치부(150)는 마찰력으로만 전자 장치(10)를 거치하는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전자 장치(10)를 거치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가 제 2 커버부(120)와 더 멀리 떨어지도록 회전 부재(160)를 제 1 방향으로 더 회전시킨 상태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회전 부재(160)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 1 커버부(110)을 회전시켜 제 1 커버부(110)의 일단이 회전 부재(160)의 제 2 면(163)에 인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제 1 커버부(110)의 일단이 회전 부재(160)와 인접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장에 의해 회전 부재(160)는 이동이 제한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거치부(150)는 보다 안정적으로 전자 장치(10)를 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커버(100)는 거치부(150)에 포함된 샤프트(예: 도 3의 샤프트(310))와 마찰 부재(예: 도 3의 마찰 부재(320))에 의한 마찰력과 보호 커버(100)에 포함된 자성체들(예: 도 2의 제 1 자성체(112)), 제 2 자성체(예: 도 2의 제 2 자성체(166))을 이용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전자 장치(10)를 거치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100)는 제 3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 3 자성체(610)는 지지 부재 삽입홈(125)에 마련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회전 부재(160)와 지지 부재(170)가 중첩되면, 제 2 자성체(166)와 제 3 자성체(610)는 인접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자성체(166)와 제 3 자성체(610) 사이에는 자기장에 의한 상호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는 제 2 커버부(120)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나아가, 전자 장치(10)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30))가 아래 방향을 향하는 자세가 되도록 보호 커버(100)를 배치하여도, 전자 장치(10)는 제 2 커버부(120)에 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의 제 2 면에 자성체 또는 금속이 배치된 경우, 제 3 자성체(610)는 제 2 커버부(120)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가 제 2 커버부(120)에 인접하는 경우, 제 3 자성체(610)와 전자 장치(10) 사이에 자기장에 의한 상호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는 제 2 커버부(120)에 안정적으로 밀착되고, 전자 장치(10)의 디스플레이(30)가 아래 방향을 향하는 자세가 되도록 보호 커버(100)를 배치하여도, 전자 장치(10)는 제 2 커버부(120)에 밀착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100)는 제 4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제 4 자성체(710)는 제 2 커버부(120)의 일단(121)에 포함 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 1 커버부(11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의 제 1 면(21)을 덮은 경우, 제 1 커버부(110)의 일단(111)과 제 2 커버부(120)의 일단(121)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커버부(110)의 일단(111)에 마련된 제 1 자성체(112)와 제 2 커버부(120)의 일단(121)에 마련된 제 4 자성체(710) 사이에는 자기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커버부(110)와 제 2 커버부(120)는 움직임이 제한되고, 보호 커버(100)는 전자 장치(10)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전자 장치
100: 보호 커버
110: 제 1 커버부
120: 제 2 커버부
150: 거치부

Claims (10)

  1. 전자 장치의 보호 커버에 있어서,
    일단에 제 1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보호하기 위한 제 1 커버부;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 1 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면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 2 면을 보호하기 위한 제 2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부는,
    상기 거치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 2 커버부와 체결 가능하도록 설정된 거치부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은 제 1 체결공을 포함하는 쌍을 이루는 암(arm)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은 제 2 체결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이 상기 지지 부재의 암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제 1 체결공 및 상기 제 2 체결공을 관통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하면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정된 마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제 1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안착 가능하도록 설정된 부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제 1 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제 1 커버부의 일단에 인접하는 경우, 상기 제 1 자성체와 자기적인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설정된 제 2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커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제 1 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기 회전 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 부재와 중첩되도록 설정된 회전 부재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커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제 1 면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지지 부재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 2 자성체와 자기적인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설정된 제 3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커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부의 일단 및 상기 제 2 커버부의 일단은 곡면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커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부는,
    상기 제 2 커버부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2 커버부가 인접하는 경우, 상기 제 1 자성체와 자기적인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2 커버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설정된 제 4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커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일단과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 2 보호 커버의 일단에 형성되는 구부러진 곡면의 곡률과 유사한 곡률을 가지는 구부러진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커버.

KR1020170084491A 2017-07-03 2017-07-03 보호 커버 KR102289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491A KR102289122B1 (ko) 2017-07-03 2017-07-03 보호 커버
EP18828876.5A EP3612052B1 (en) 2017-07-03 2018-06-29 Protecting cover
PCT/KR2018/007442 WO2019009572A1 (en) 2017-07-03 2018-06-29 PROTECTIVE COVER
US16/027,144 US20190000200A1 (en) 2017-07-03 2018-07-03 Protecting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491A KR102289122B1 (ko) 2017-07-03 2017-07-03 보호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194A KR20190004194A (ko) 2019-01-11
KR102289122B1 true KR102289122B1 (ko) 2021-08-13

Family

ID=6473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491A KR102289122B1 (ko) 2017-07-03 2017-07-03 보호 커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000200A1 (ko)
EP (1) EP3612052B1 (ko)
KR (1) KR102289122B1 (ko)
WO (1) WO201900957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93654U (en) * 2006-01-05 2006-07-01 Jarllytec Co Ltd Structure of rotation axis
US8016107B2 (en) * 2007-12-27 2011-09-13 Timothy Emsky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724312B2 (en) * 2008-06-23 2014-05-13 Bradley Jones Mobile computer stand with integrated keyboard
KR20100030039A (ko) * 2008-09-09 2010-03-18 주식회사 이피텍 컬링 힌지장치
GB2489190B (en) * 2010-06-11 2013-05-22 John George Andrews Case and stand for a portable computer
US8823477B2 (en) * 2011-06-21 2014-09-02 They Innovate Inc. Shielded magnetic attachment apparatus
US8851280B2 (en) * 2012-05-22 2014-10-07 Feng Wen Tablet cover
KR20130006934U (ko) * 2012-05-23 2013-12-03 김남철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WO2014089367A1 (en) * 2012-12-05 2014-06-12 New Flux, LLC Covering, protecting, and position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2013100893B4 (en) * 2013-07-01 2013-10-24 Stm Management Pty Ltd A case for a tablet shaped device and a method for making a case for a tablet shaped device
KR200490060Y1 (ko) * 2015-04-16 2019-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커버
GB201509751D0 (en) * 2015-06-05 2015-07-22 Hartley & Marks Publishers Inc Tablet case and method of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2052A4 (en) 2020-03-04
EP3612052A1 (en) 2020-02-26
KR20190004194A (ko) 2019-01-11
US20190000200A1 (en) 2019-01-03
EP3612052B1 (en) 2021-01-13
WO2019009572A1 (en) 201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2880B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having expandable display area
KR102661583B1 (ko) 펜 수납이 가능한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80059718A1 (en) Flexible electronic display devices
CN112770554A (zh) 包括防尘结构的电子装置
US9072174B2 (en) Electronic device
US20100164837A1 (en) Electric device and display panel thereof
US10452101B2 (en) Alignment structure
KR102439789B1 (ko) 거치 기능을 가지는 전자 장치
CN109639864B (zh) 电子设备
EP3633488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ccessory
TW201304663A (zh) 電子裝置之支撐裝置
GB2500947A (en) A tablet cover which can be folded to make a stand
KR20180070243A (ko) 전자 장치에 있어서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445025B1 (en) Protection cover
KR102289122B1 (ko) 보호 커버
US20160231771A1 (en) Display equipment and display method
US11630489B2 (en) Computing device with stylus retention
KR102002392B1 (ko) 보호 커버
US20230370769A1 (en) Electronic apparatus
US20230226798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ttery
WO2023027809A1 (en) Computing device with stylus retention
KR20220169698A (ko)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770243B1 (ko) 착탈이 가능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20230166793A (ko)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
CN117897670A (zh) 具有触控笔保持的计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