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899B1 -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899B1
KR102288899B1 KR1020190158840A KR20190158840A KR102288899B1 KR 102288899 B1 KR102288899 B1 KR 102288899B1 KR 1020190158840 A KR1020190158840 A KR 1020190158840A KR 20190158840 A KR20190158840 A KR 20190158840A KR 102288899 B1 KR102288899 B1 KR 102288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ryption
encryption key
voice communication
voic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899B9 (ko
KR20200135128A (ko
Inventor
홍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트로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트로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트로그
Publication of KR20200135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899B1/ko
Publication of KR10228889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89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52Quantum cryptograph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18Block ciphers, i.e. encrypting groups of characters of a plain text message using fixed encryption transformation
    • H04L9/0625Block ciphers, i.e. encrypting groups of characters of a plain text message using fixed encryption transformation with splitting of the data block into left and right halves, e.g. Feistel based algorithms, DES, FEAL, IDEA or KASU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9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random numbers or see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24Key scheduling, i.e. generating round keys or sub-keys for block encry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경한 후 암호화 모듈을 사용하여 암호화 후 다시 음성 데이터로 변경시켜 전달하고,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학적인 암호화키 대신에 양자를 이용한 자연계 난수를 사용하여 생성된 키를 받아 암호화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SYMMETRIC QUANTUM CRYPTOGRAPHY KEY BASED ENCRYPTION DEVICE FOR VOIC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경한 후 암호화 모듈을 사용하여 암호화 후 다시 음성 데이터로 변경시켜 전달하고,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학적인 암호화키 대신에 양자를 이용한 자연계 난수를 사용하여 생성된 키를 받아 암호화를 수행하는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암호화 기술과 관련하여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한 암호화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암호화 기술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암호화가 대부분이고, 일반적인 유/무선 음성 통신 장치에 대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암호화를 수행하고 있지는 않다.
일반적으로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경하는 제품은 많지만, 암호화 하여 다시 음성 데이터로 출력을 하는 기능의 제품들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군대에서 사용되는 무전기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식이 아니고 RF 채널을 변경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일반 유선 전화기는 데이터를 암호화 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되고 있어 도청 및 감청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즉, 일반적인 음성 통신의 경우 해당 전화망 등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어서, 별도의 암호화를 거치지 않아 도청 및 감청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034465호(발명의 명칭: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및 그 장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경한 후 암호화 모듈을 사용하여 암호화 후 다시 음성 데이터로 변경시켜 전달하고,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학적인 암호화키 대신에 양자를 이용한 자연계 난수를 사용하여 생성된 키를 받아 암호화를 수행하는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로서, 음성 데이터 단말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경하여 암호화 하고,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과,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암호화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시켜 음성 데이터 단말 1로 출력하는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은 마스터 모드,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은 슬레이브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에 내재된 암호화 키가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로 전송되어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과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이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에 내재된 암호화 키를 기반으로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 단말과 음성 데이터 단말 1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보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는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과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이 슬레이브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과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은 외부의 암호화 키 생성부로부터 동일한 암호화 키를 추가 수신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는 암호화 키 생성부로부터 수신된 암호화 키를 기반으로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하여 상기 음성통신 단말과 음성통신 단말 1 간에 송수되는 데이터가 보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키는 자연계 양자 난수를 기반으로 한 대칭형 암호화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은 유선 네트워크 기반의 음성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 1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은 내재된 암호화 키를 생성하는 양자 난수 생성부; 상기 암호화 키 생성부 또는 마스터 모드로 설정된 암호화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 키를 수신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이 마스터 모드를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마스터 모드부;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이 슬레이브 모드를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슬레이브 모드부; 상기 마스터 모드부 또는 슬레이브 모드부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의 연결 상태에 따라 마스터 모드로 설정된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또는 암호화 키 생성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 키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암호화 키에 기반한 데이터를 암호화/복호화하는 암호화키 저장부; 및 마스터 모드로 설정된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의 암호화 키 또는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과 암호화 모듈 1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키 저장부는 저장된 암호화 키를 데이터의 암호화에 1회성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다수의 암호화 키를 수신하여 주기적으로 변경한 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키 저장부()는 복수의 암호화 키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내재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교체 주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암호화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키 저장부는 암호화 모듈 및 암호화 모듈 1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의 암호화 키가 손실되어 암호화/복호화의 정상 동작을 수행할 수 없으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모드 설정 또는 미리 설정된 키 모드 동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내부의 암호화 키에 기반한 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은 PCB 또는 상기 PCB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경한 후 암호화 모듈을 사용하여 암호화 후 다시 음성 데이터로 변경시켜 전달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학적인 암호화키 대신에 양자를 이용한 자연계 난수를 사용하여 생성된 키를 받아 암호화를 수행함으로써,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의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의 마스터 모드시 대칭형 암호화 키 전달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의 슬레이브 모드시 대칭형 암호화 키 전달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의 암호화 키 주입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의 다른 암호화 키 주입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를 음성 통신망에서 암호화/복호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를 통신 장치에서 암호화/복호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를 통신 장치의 키 모드 동작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키 기반 암호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의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의 마스터 모드시 대칭형 암호화 키 전달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의 슬레이브 모드시 대칭형 암호화 키 전달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의 암호화 키 주입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의 다른 암호화 키 주입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를 음성 통신망에서 암호화/복호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를 통신 장치에서 암호화/복호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9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를 통신 장치의 키 모드 동작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는 음성 데이터 단말(20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경하여 암호화 하고,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과,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암호화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시켜 음성 데이터 단말 1(200a)로 출력하는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200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과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대칭형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대칭형 암호화 키는 비대칭형 암호화 키와 다르게 내부에 암호화 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키 노출의 위험이 없다.
또한, 상기 암호화 키는 자연계 양자 난수를 기반으로 한 대칭형 암호화 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양자 난수를 기반으로 한 암호화 키는 일반적인 수학적 난수와 다르게 규칙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해킹의 위함으로부터 강하게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대칭형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하기 때문에 암호화 키의 노출 방지 및 외부로부터의 해킹 등의 공격 방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과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를 내부에서 생성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주입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마스터 모드와 슬레이브 모드의 두 가지 모드로 설정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과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마스터 모드인 경우, 내재된 암호화 키를 생성할 수 있도록 양자 난수 생성부(110, 11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양자 난수 생성부(110, 110a)는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과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이 마스터 모드로 설정되면 동작한다.
또한, 상기 양자 난수 생성부(110, 110a)는 내재된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를 생성하여 암호화 키 저장부(160, 160a)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생성된 암호화 키를 통해 데이터의 암호화/복호화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과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슬레이브 모드인 경우, 외부의 암호화 키 생성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를 수신할 수 있도록 외부 인터페이스부(120, 12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120, 120a)는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과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이 슬레이브 모드로 설정되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의 암호화 키 생성부(300)와 미리 설정된 통신 포맷을 이용하여 접속한다.
또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120, 120a)는 바람직하게는 RS-232, RS-422 등과 같은 직렬 통신을 이용하여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120, 120a)는 음성 데이터 단말(200) 및 음성 데이터 단말 1(200a)과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120, 120a)는 접속된 암호화 키 생성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를 수신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과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마스터 모드 또는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마스터 모드부(130, 130a)와 슬레이브 모드부(140, 14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모드부(130, 130a)는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이 마스터 모드, 즉 내재된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를 생성하여 암호화/복호화가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모드부(140, 140a)는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이 슬레이브 모드, 즉 외부의 암호화 키 생성부(300)로부터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를 수신하여 암호화/복호화가 수행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마스터 모드부(130, 130a) 또는 슬레이브 모드부(140, 140a)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도록 연결하는 스위치부(150, 15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50, 150a)는 외부에서 스위치, 점퍼 등의 기계적인 방식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연결 등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150, 150a)는 마스터 모드부(130, 130a)와 연결되도록 설정된 경우, 양자 난수 생성부(110, 110a)에서 생성된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가 암호화키 저장부(160, 160a)에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150, 150a)는 슬레이브 모드부(140, 140a)와 연결되도록 설정된 경우, 외부 인터페이스부(120, 120a)를 통해 연결된 암호화 키 생성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가 암호화키 저장부(160, 160a)에 저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를 저장하는 암호화키 저장부(160, 16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암호화키 저장부(160, 160a)는 스위치부(150, 150a)의 연결 상태에 따라 마스터 모드로 설정된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또는 암호화 키 생성부(3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 키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암호화키 저장부(160, 160a)는 저장된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에 기반하여 음성 데이터 단말(200)로부터 송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 통신망(400) 또는 통신장치(500)를 통해 수신되는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키 저장부(160, 160a)는 저장된 암호화 키를 데이터의 암호화에 1회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암호화키 생성부(300)로부터 1회성으 암호화키를 수신하여 메모리 등의 저장수단에 저장(S10)하고, 이후 음성 데이터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S20)하여 암호화 수행(S30)을 통해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S40)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키 저장부(160, 160a)는 암호화키 생성부(300)로부터 다수의 암호화 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암호화 키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과 같이, 암호화키 저장부(160, 160a)는 암호화키 생성부(300)로부터 복수의 암호화 키를 수신(S10a)하여 메모리 등의 저장수단에 저장(S10)한다.
이후, 상기 암호화키 저장부(160, 160a)는 음성 데이터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S20)하여 암호화 수행(S30)을 통해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S40)하는 과정을 수행하는데, 내재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카운트된 시간을 분석(S10b)하여 현재 사용중인 암호화 키의 교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S10b 단계의 결과에 따라, 현재 사용중인 암호화 키가 유효하면 암호화키 저장부(160, 160a)는 해당 암호화 키를 사용하고, 교체주기가 경과된 경우 다른 암호화키로 변경하여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암호화시켜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암호화 키 저장부(160, 160a)는 암호화 키에 기반하여 동작 중에 해키 등에 의한 외부 요인으로 인해 암호화 키가 손실되면, 데이터의 암호화/복호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통신장치(500) 및 통신장치 1(500a)을 이용한 암호화 키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암호화 키 저장부(160, 160a)는 암호화 모듈(100) 및 암호화 모듈 1(160a)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의 암호화 키가 손실되어 암호화/복호화의 정상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키 모드 설정 또는 미리 설정된 키 모드 동작 프로그램을 통해 음성 통신망(400)이나 또는 별도의 통신장치(500) 및 통신장치 1(500a)를 이용한 암호화 키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인 운용 상황에서는 암호화 키를 주입받아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하면서 운용되고, 상기 키 모드는 운용 중에 암호화 키의 손실로 인한 통신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키 모드 동작 프로그램을 통해 암호화 키가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암호화 키는 내재된 암호화 키 중에서 특정 키를 사용할지에 대한 인덱스 등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 키 저장부(160, 160a)는 일반적인 운용 상황에서는 모드 확인 후 출력되는 결과는 운용모드로 출력하여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하고, 키 모드가 수행되면, 모드 확인 후 키 모드가 출력되어 키 송신 및 수신 기능이 수행되면 통신장치(500) 및 통신장치 1(210a)로 내부의 암호화 키 중 특정 암호화 키를 사용할지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외부로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170, 170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성 데이터 단말(200) 및 음성 데이터 단말 1(200a)은 공지의 음성 데이터 출력장치로서, 음성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화기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암호화 키 생성부(300)는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과 독립된 임베디드 장치 또는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유선 네트워크 기반의 음성 통신망(400)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이 기존에 구성된 음성 통신망(400)에 적용하기 쉽게 하기 위해 음성 데이터 단말(200)과 음성 통신망(400) 및 음성 데이터 단말 1(200a)과 음성 통신망(400) 사이에 설치하여 음성 데이터 단말(200)과 음성 데이터 단말 1(200a) 사이의 음성 통신이 암호화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장치(500) 및 통신장치 1(500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단말로 구성된 통신장치(500)와 통신장치 1(500a) 사이의 음성 통신이 암호화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장치(500) 및 통신장치 1(500a)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RF 통신포맷, 3G 통신포맷, LTE 통신포맷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한 통신 포맷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다양한 무선 통신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PCB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PCB와, 상기 PCB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예를 들면, USB 메모리, CF 카드형 메모리, SD 카드형 메모리 등의 이동형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마스터 모드시 대칭형 암호키 전달)
마스터 모드에서 대칭형 암호화 키를 전달하는 과정은, 우선 스위치부(150, 150a)를 이용하여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은 마스터 모드가 설정되도록 마스터 모드부(130)와 암호화키 저장부(160)를 연결하고,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슬레이브 모드가 되도록 슬레이브 모드부(140a)와 암호화키 저장부(160a)를 연결한다.
이후,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은 마스터 모드,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이 슬레이브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과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이 서로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에 내재된 암호화 키가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로 전송되도록 한다.
즉, 마스터 모드로 설정된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에서 생성된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가 슬레이브 모드로 설정된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로 전송되어 동일한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가 저장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은 외부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연결된 음성 데이터 단말(2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S100)하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S200)한 다음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를 기반으로 암호화(S300)를 수행한다.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는 암호회된 음성 데이터로 변환(S400)하여 음성 통신망(400)을 이용하여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로 전송된다.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이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S500)하면,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를 기반으로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복호화(S600)를 수행하여 암호화가 해제된 디지털 데이터를 (S700)출력한다.
암호화가 해제된 디지털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어 외부 인터페이스부(120a)를 통해 음성 데이터 단말 1(200a)로 출력(S800)됨으로써, 음성 데이터 단말(200)과 음성 데이터 단말 1(200a) 간에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성 데이터 단말 1(200a)로부터 음성 데이터 단말(200)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역순으로 암호화 동작을 수행하여 전송될 수 있다.
(슬레이브 모드시 대칭형 암호화 키 전달)
슬레이브 모드에서 대칭형 암호화 키를 전달하는 과정은 우선, 스위치부(150, 150a)를 이용하여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과,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이 슬레이브 모드가 설정되도록 슬레이브 모드부(130, 130a)와 암호화키 저장부(160)를 연결한다.
이후,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과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이 슬레이브 모드로 설정되면, 암호화 키 생성부(300)와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이 서로 병렬로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암호화 키 생성부(300)로부터 암호화 키가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로 전송되도록 한다.
즉, 암호화 키 생성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가 슬레이브 모드로 설정된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의 암호화키 저장부(16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의 암호화키 저장부(160a)로 각각 전송되어 동일한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가 저장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은 외부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연결된 음성 데이터 단말(2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S100)하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S200)한 다음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를 기반으로 암호화(S300)를 수행한다.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는 암호회된 음성 데이터로 변환(S400)하여 음성 통신망(400)을 이용하여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로 전송된다.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이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S500)하면,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를 기반으로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복호화(S600)를 수행하여 암호화가 해제된 디지털 데이터를 (S700)출력한다.
암호화가 해제된 디지털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어 외부 인터페이스부(120a)를 통해 음성 데이터 단말 1(200a)로 출력(S800)됨으로써, 음성 데이터 단말(200)과 음성 데이터 단말 1(200a) 간에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성 데이터 단말 1(200a)로부터 음성 데이터 단말(200)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역순으로 암호화 동작을 수행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음성 통신망(400)을 이용하지 않고, 통신장치(500)와 통신장치 1(500a) 사이에 직접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이 음성 데이터를 수신(S100')하여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를 기반으로 음성 데이터의 암호화를 수행한 다음 통신장치(500)를 이용하여 통신장치 1(500a)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통신장치 1(500a)은 암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면,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를 기반으로 암호화딘 음성 데이터의 복호화를 수행한 다음 암호화가 해제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S100'a)할 수 있다.
한편, 암호화 키에 기반하여 동작 중에 해키 등에 의한 외부 요인으로 인해 암호화 키가 손실되면, 데이터의 암호화/복호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도 9와 같이 통신장치(500) 및 통신장치 1(500a)을 이용한 암호화 키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암호화 모듈(100) 및 암호화 모듈 1(160a)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의 암호화 키가 손실되어 암호화/복호화의 정상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 경우, 사용자에 의한 키 모드 설정 또는 미리 설정된 키 모드 동작 프로그램을 통해 통신장치(500) 및 통신장치 1(500a)에 의한 암호화 키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드 확인(S100")을 통해 일반적인 운용 모드에서는 암호화 키를 주입받아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하면서 운용(S110")되고, 상기 모드 확인(S100") 결과, 키 모드이면 키 모드가 동작하여 내부의 암호화 키 송신 및 수신 기능이 수행(S120")됨으로써, 통신장치(500)로 내부의 암호화 키 사용을 위한 인덱스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이후, 통신장치 1(210a)은 모드 확인(S130")을 통해 일반적인 운용 모드이면, 암호화/복호화를 수행(S140")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또한, 모드 확인(S130")을 통해 키 모드이면 전송된 암호화 키에 기반한 키 데이터, 즉 인덱스 정보의 송수신(S150")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후 새롭게 설정된 암호화 키에 기반한 암호화/복호화를 통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경한 후 암호화 모듈을 사용하여 암호화 후 다시 음성 데이터로 변경시켜 전달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수학적인 암호화키 대신에 양자를 이용한 자연계 난수를 사용하여 생성된 키를 받아 암호화를 수행함으로써,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00a :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
110, 110a : 양자난수 생성부
120, 120a : 외부 인터페이스부
130, 130a : 마스터 모드부
140, 140a : 슬레이브 모드부
150, 150a : 스위치부
160, 160a : 암호화키 저장부
170, 170a : 외부 인터페이스부
200 : 음성 데이터 단말
200a : 음성 데이터 단말 1
300 : 암호화 키 생성부
400 : 음성 통신망
500 : 통신장치
500a : 통신장치 1

Claims (9)

  1. 음성 데이터 단말(20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경하여 암호화 하고,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과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시켜 음성 데이터 단말 1(200a)로 출력하는 음성 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자연계 양자 난수를 기반으로 하는 대칭형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하고,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어느 하나가 마스터 모드가 설정된 경우 내재된 자연계 양자 난수 기반의 암호화 키를 기반으로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암호화 키를 생성하는 양자 난수 생성부(110, 110a);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과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이 모두 슬레이브 모드로 설정되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의 암호화 키 생성부(300)와 미리 설정된 통신 포맷을 이용하여 접속한 암호화 키 생성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양자 난수 기반의 대칭형 암호화 키를 수신하거나 또는 마스터 모드로 설정된 암호화 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 키를 수신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120, 120a);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이 마스터 모드를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마스터 모드부(130, 130a);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이 슬레이브 모드를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슬레이브 모드부(140, 140a);
    상기 마스터 모드부(130, 130a) 또는 슬레이브 모드부(140, 140a)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부(150, 150a);
    상기 스위치부(150, 150a)의 연결 상태에 따라 마스터 모드로 설정된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또는 암호화 키 생성부(3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 키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암호화 키에 기반한 데이터를 암호화/복호화하되, 사용중인 암호화 키의 유효성을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된 암호화 키를 출력하거나 또는 변경된 암호화 키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암호화키 저장부(160, 160a); 및
    마스터 모드로 설정된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의 암호화 키 또는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과 암호화 모듈 1(100a)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170, 170a);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키 저장부(160, 160a)는 운용 중에 암호화 키의 손실로 인한 통신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한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키 모드 동작 프로그램을 통해 암호화 키가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암호화 키는 내재된 암호화 키 중에서 특정 암호화 키를 사용할지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과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이 슬레이브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과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외부의 암호화 키 생성부(300)로부터 동일한 암호화 키를 추가 수신하고,
    상기 암호화 키 생성부(300)로부터 수신된 암호화 키를 기반으로 암호화/복호화를 수행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 단말(200)과 음성 데이터 단말 1(200a) 간에 송수되는 데이터가 보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유선 네트워크 기반의 음성 통신망(400)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장치(500) 및 통신장치 1(500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키 저장부(160, 160a)는 복수의 암호화 키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내재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교체 주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암호화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키 저장부(160, 160a)는 암호화 모듈(100) 및 암호화 모듈 1(160a)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의 암호화 키가 손실되어 암호화/복호화의 정상 동작을 수행할 수 없으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모드 설정 또는 미리 설정된 키 모드 동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내부의 암호화 키에 기반한 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100) 및 음성통신 암호화 모듈 1(100a)은 PCB 또는 상기 PCB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
KR1020190158840A 2019-05-22 2019-12-03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 KR102288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9890 2019-05-22
KR1020190059890 2019-05-22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128A KR20200135128A (ko) 2020-12-02
KR102288899B1 true KR102288899B1 (ko) 2021-08-12
KR102288899B9 KR102288899B9 (ko) 2022-03-15

Family

ID=73791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840A KR102288899B1 (ko) 2019-05-22 2019-12-03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9949A1 (en) * 2020-12-30 2022-06-30 Psdl Secure communication device and secure communication program
KR102404156B1 (ko) * 2021-08-20 2022-05-3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보안 통신장치 통합형 plc/hmi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499530B1 (ko) * 2021-08-20 2023-02-14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보안 통신장치 통합형 원방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404153B1 (ko) * 2021-08-20 2022-05-3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보안 통신장치 통합형 수배전반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2404138B1 (ko) * 2021-08-20 2022-05-3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보안 통신장치 통합형 자율이동체 이동기록 시스템 및 방법
KR102404148B1 (ko) * 2021-08-20 2022-05-3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보안 통신장치 통합형 자율이동체 식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4089A (ja) * 1999-12-22 2001-07-06 Nec Corp 音声再生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2006039997A (ja) * 2004-07-28 2006-02-09 Mitsubishi Electric Corp パスワード生成装置、パスワード生成方法、パスワード生成システム、icカード、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認証システム
KR101267926B1 (ko) * 2005-07-29 2013-05-27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검출센서 및 그 설정정보 취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465A (ko) 2002-10-16 2004-04-28 (주)메이즈텍 음성신호 암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1359789B1 (ko) * 2011-09-29 2014-02-10 한국전력공사 Scada 통신 네트워크의 보안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4089A (ja) * 1999-12-22 2001-07-06 Nec Corp 音声再生記録装置および方法
JP2006039997A (ja) * 2004-07-28 2006-02-09 Mitsubishi Electric Corp パスワード生成装置、パスワード生成方法、パスワード生成システム、icカード、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認証システム
KR101267926B1 (ko) * 2005-07-29 2013-05-27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검출센서 및 그 설정정보 취득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영철, 임광철, "양자키 교환과 AES 를 이용한 비밀통신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18.1, 84-90(2014.)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899B9 (ko) 2022-03-15
KR20200135128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899B1 (ko) 음성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
CN108629027B (zh) 基于区块链的用户数据库重建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1340443B (zh) 一种通信网络中会话密钥协商方法、系统和服务器
KR100563108B1 (ko) Ic 카드 및 ic 카드간 암호통신 방법
CN103081396A (zh) 通信终端、通信系统、通信方法以及通信程序
JP2013539324A (ja) 通信信頼機関によって管理される量子鍵配送を伴う安全なマルチパーティ通信
JP2013543338A (ja) カード、基地局、および通信信頼機関を使用した量子鍵配送
CN102025505A (zh) 一种基于aes算法的加密、解密方法及装置
KR20080065633A (ko) 제약된 암호 키
CN108632296B (zh) 一种网络通信的动态加密与解密方法
KR102482908B1 (ko) 네트워크 보안 대칭형 양자 암호키 기반 암호화 장치
JP2000295209A (ja) 鍵管理方法、鍵管理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EP34760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communications using a single message exchange and symmetric key
CN105024807A (zh) 数据处理方法及系统
KR102285885B1 (ko) 무선 데이터 통신용 대칭형 양자 암호화 키 기반 암호화 장치
CN101931623B (zh) 一种适用于受控制端能力有限的远程控制的安全通信方法
US106015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y management of end encrypted transmission
CN104239808A (zh) 数据加密传输方法及装置
KR101991775B1 (ko) Fpga기반의 데이터 암복호화 방법
CN103167494A (zh) 信息发送方法和系统
CN111277605B (zh) 数据分享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CN210183353U (zh) 一种基于数据拆分的数据安全传输系统
EP2809045A2 (en) Information security attachment device for voic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ecurity method for voic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CN114867012A (zh) 一种加密耳机及其语音通信方法
CN114499825A (zh) 一种双控密钥管理方法、系统、加密机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